KR101301522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1522B1 KR101301522B1 KR1020070113394A KR20070113394A KR101301522B1 KR 101301522 B1 KR101301522 B1 KR 101301522B1 KR 1020070113394 A KR1020070113394 A KR 1020070113394A KR 20070113394 A KR20070113394 A KR 20070113394A KR 101301522 B1 KR101301522 B1 KR 1013015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window
- key
- area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각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내측에 형성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도전 패턴이 형성된 터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은 단일의 레이어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터치 시트를 보다 슬림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빛의 투과율이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도전패턴이 구비된 터치시트를 구비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보다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하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 기능을 휴대 단말기에 적용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시트의 두께를 보다 슬림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시트의 빛의 투과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고, 터치시트의 재료비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시각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내측에 형성되며,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도전 패턴이 형성된 터치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 패턴은 단일의 레이어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도전패턴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좌우측에 절곡점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절곡점에 인접하는 두 라인은 상기 절곡점을 지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시트는 상기 도전패턴의 일면에 배치되는 도전층과,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터치시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데이터 라인, 및 상기 터치시트의 가장자리에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도전층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장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시트는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 기장 발생부는 상기 터치시트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시트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도전층에 발생한 전기장을 선형적으로 보정하는 보정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시트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서 연장되어 키입력부를 형성하는 제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도전 패턴은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영역에는 복수의 개소로 떨어져 위치되는 터치키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치 시트의 도전 패턴을 단일의 레이어로 형성시킴으로써, 터치 시트를 보다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전 패턴을 단일의 레이어로 형성시킴으로써, 터치시트의 광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전 패턴의 재료인 도전성 물질의 사용을 감소시킴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입력 방식 이외에도 방향키에 의한 입력 방식과 키패드에 의한 입력 방식을 함께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 레이어에 의한 터치 감지 방식과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된 도전층과 전기장 발생부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식을 함께 적용함으로써 터치 시트의 두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터치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상기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 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터치스크린부(113), 터치키패드부(114), 음향출력부(115), 제1영상입력부(116), 및 제1조작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전면에는 제1영역(113a)과 제2영역(113b)이 형성되고, 제1영역(113a)과 제2영역(113b)에는 터치스크린부(113)와 터치패드부(114)가 각각 형성된다.
터치스크린부(113)는 시각 정보를 표시함과 아울러 터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터치키패드부(114)는 제2영역 상의 설정된 위치에 가하여진 터치에 의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음향출력부(115)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제1영상입력부(116)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17)는 누름 동작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4),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및 제3조작부(123,124)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및 제3조작부(123,124)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7)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4)는 제1영상입력부(116)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영상입력부(128)는 제1영상입력부(116,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6)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6)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제2영상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는 플래쉬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8)가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6)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덮기 위한 배터리 커버(127)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는 제2바디(12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와 달리 외장의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배터리 커버(127)의 후면에는 휴대 단말기(100)가 바닥이나 경사면에 대하여 쉽게 이동되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턴부(129)가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129)는 격자 또는 빗살무늬와 같은 기하학적인 규칙적인 무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턴부(129)는 수지물을 메탈 베이스에 코팅 또는 사출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의 분해 사시도로서, 구체적으로 제1바디(1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바디(110)를 구성하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인쇄회로기판들(134a,134b)이 장착되고, 인쇄회로기판(134a, 134b)에는 휴대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부품들이 장착된다.
인쇄회로기판(134a)에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5)이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35)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35)의 외측면에는 윈도우(136)가 배치되며, 윈도우(136)는 디스플레이 모듈(135)에 표시된 시각 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한다. 윈도우(136)의 재질로서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윈도우(136)의 제2영역(114a, 도 1 참조)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관통홀(136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음향출력부(115)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115a)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윈도우(136)를 안착시키기고 지지하기 위한 윈도우 안착부(138)가 형성될 수 있고, 이는 프론트 케이스(111)의 표면에서 움푹 들어간 형태로 형성된다.
윈도우 안착부(138)의 둘레에는 지지 프레임(139)이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139)의 재질로서 금속재질이나 반투광성의 합성수지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39)의 일 영역에는 누름 동작되는 제1조작부(1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34b)에는 제1조작부(117)가 누름 동작됨에 따라 정보가 입력되는 스위치(117a)들이 장착될 수 있다.
윈도우(136)의 내측면에는 터치의 감지를 위한 터치시트(150)가 부착되며, 터치시트(15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시트(150)는 연성회로기판(14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시트(150)의 제2영역(113b)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관통홀(150a)이 형성될 수 있고, 윈도우(136)와 터치시트(150)의 관통홀(136a, 150a)에는 센터키(118)가 누름 동작 가능하게 배치된다. 센터키(118)의 후면에는 센터키(144)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118a)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시트(150)의 일 영역에는 제1조작부(117)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홀(150b)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시트(150)의 내측에는 면발광되는 발광시트(160)가 배치된다. 발광시트(160)는 윈도우(136)의 제2영역(114a)에 해당하는 부분을 조명하거나 여기에 일정한 표지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EL 시트(ElectroLuminescence Sheet)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터치시트(150)의 평면도로서, 터치시트(150)를 제1바디(110)의 후면에서 전면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그리고, 도 5는 도 3의 Ⅴ-Ⅴ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단면도이며, 도 5에서 터치 시트(15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어 도시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터치시트(150)에는 터치스크린부(113)을 형성하는 제1영역(151)과, 제1영역(151)에서 연장되어 터치패드부(114)를 형성하는 제2영역(152)이 구비된다.
제1 및 제2영역(151,152)에는 터치 감지를 위한 도전패턴이 형성되며, 도전 패턴은 도전성 재질로서, 예를 들면 ITO(인듐 주석 산화물, Indium Tin Oxide)이 터치시트(150)에 패턴화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1영역(151)의 도전 패턴(156)은 터치시트(150)의 일면에 단일의 레이어(layer)로 형성되며,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도전 패턴(156)이 터치시트(15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기초로 설명하나. 도전 패턴(156)이 터치시트(15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영역(151)의 도전 패턴(156)은 제1바디(110)의 길이 방향, 즉 음향 출력부(115)에서 제1조작부(117)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지그재그 형태를 갖는다. 지그재그 형태의 도전 패턴의 좌측과 우측에는 패턴의 방향이 바뀌는 절곡점들(157a,157b)이 형성된다. 절곡점(157b)에 인접하는 두 라인은 절곡점(157b)을 지나는 수평선(157c, 가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이 윈도우(136)에 접촉될 때, 손가락은 터치시트(150)의 도전 패턴(156)이 형성된 영역 상에 위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전 패턴(156)이 형성된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설명의 편의상 도전 패턴(156)에 '접촉'된다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한다
도전 패턴(156)은 사용자의 손가락(F)이 적어도 두 개의 라인(157d,157e)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개의 라인(157d, 157e) 사이의 최대 거리가 손가락(F)의 크기보다 가깝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전 패턴(151)의 양 단부(X,Y)는 터치시트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데이터 라인(153)에 연결된다. 데이터 라인(153)은 도전 패턴(156)에 입력된 터치 신호를 제1바디(110)의 내부로 전달하며, 이를 위하여 데이터 라인(153)의 말단은 연성회로기판(14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4a)과 연결된다.
제2영역(152)의 도전 패턴(158)은 미리 설정된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영역(152)에는 복수의 개소로 떨어져 위치되는 터치키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터치키부(154)는 관통홀의 중심으로 상, 하, 좌, 우로 떨어져 배치된다.
상기 터치시트(150)의 제1영역(151)에 형성된 도전 패턴(156)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윈도우(136)를 터치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155)은 도전 패턴(151)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라인(157d,157e)과 접촉되게 배치된다.
도전 패턴(156)의 라인을 따라 단말기 내부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흐르고, 사용자의 손가락(F)이 도전 패턴(156)과 접촉됨에 따라 도전 패턴(156)의 저항값이 변하게 된다.
도전 패턴(156)의 두 개의 라인(157d, 157e)에 손가락(F)이 접촉되면 두 개의 접촉점(A,B)이 발생하며, 접촉점(A,B)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도전 패턴(156)의 일단(X)과 하나의 접촉점(A) 사이의 거리 및 도전 패턴(156)의 타단(Y)과 다른 하나의 접촉점(B) 사이의 거리도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저항의 변화값도 접촉점(A,B)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도전패턴(156)의 양단(X,Y)에서 측정된 전하량은 각 터치 지점마다 각각 변화하게 되며, 도전 패턴(156)의 양단(X,Y)에서 측정된 값을 각 터치 영역들에서 미리 측정된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터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도 6는 도 3의 Ⅵ-Ⅵ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110)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6을 참조하면, 제2영역(152)의 내측에는 발광시트(160)가 배치될 수 있고, 발광시트(160)는 터치패드부(114)에 발광 패턴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시트(150)의 가장자리에는 쉴딩 패턴(155)이 형성될 수 있다. 쉴딩 패턴(155)은 도전패턴의 신호{예를 들면, 데이터 라인(153)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외부의 영향, 즉 전자부품들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부터의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쉴딩 패턴(155)은 도전성 재질의 물질, 예를 들면 금속 물질이 터치시트(150)에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쉴딩패턴(155)은 데이터 라인(1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데이터 라인(153)이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라인(153)이 터치시트(150)의 내측에 형성되고, 쉴딩패턴(155)은 터치시트(150)의 외측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데이터 라인(153)이 터치시트(150)의 외측에, 쉴딩 패턴(155)이 터치시트(15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전 패턴(156,158)은 데이터 라인(153)이 위치한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발광시트(160)에는 그라운드(161)가 형성되며, 쉴딩패턴(155)은 발광시 트(160)의 그라운드(161)와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여기서, 발광시트(160)의 그라운드(161)와 쉴딩패턴(155)의 연결 방식은 케이블에 의한 연결 또는 접점간의 연결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쉴딩패턴(155)과 발광시트(160)의 그라운드(161)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킴에 의해 발광시트(160)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터치시트(15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도 3의 발광시트(160)의 정면도들로서, 터치패드부(114)에 터치 입력시 발광시트(160)의 동작을 시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발광시트(160)에는 터치패드부(114)가 터치되었을 때, 터치키부(154)를 개별적으로 조명시키도록 개별화된 발광패턴(162)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 패턴(162)은 복수의 터치키부(154)들 중 하나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발광됨으로써 터치키부(154)에 터치가 입력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발광패턴(162)은 터치시트(150)의 터치키부(154)에 대응되는 영역에 복수로 위치되며, 각 발광패턴(162)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발광시트(160)의 우측 영역에 배치된 발광패턴(162)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실선으로 나타낸 것은 발광패턴(162)이 발광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점선으로 나타낸 것은 발광패턴(162)이 발광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발광패턴(162)은 그 반경에 따라 제1 내지 제4발광패턴(162a 내지 162d)들로 구성될 수 있고, 각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은 반경에 따라 차 례로 배열된다.
각 발광패턴(162a 내지 162d)들은 전류의 세기에 따라 밝기가 조절될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발광패턴(162a 내지 162d)은 시순차적으로 주변 방향을 따라 밝기가 차례로 변하도록 개별 제어될 수 있다. 도 7a 내지 7d에서 다른 발광패턴(162)에 비해 굵기가 굵게 나타낸 것은 가장 밝기가 밝은 상태의 발광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발광패턴(162)들은 시간에 따라 제1 내지 제4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이 차례로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와 같이, 터치시트(150)의 터치키부(154)에 터치가 입력되면 제1발광패턴(162a)이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제어되고, 시간이 지나면 제1발광패턴(162a)의 밝기가 어두워지고, 제2발광패턴(162b)의 밝기가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제어된다(도 7b 참조).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도 7c와 같이 시간에 따라 제3발광패턴(162c)이 가장 밝은 상태가 되고, 도 6d와 같이 제4발광패턴(162d)이 가장 밝은 상태가 된 후 제1 내지 제4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의 발광이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터치패드부(114)에 터치를 입력하면 해당 터치키부(154)에 대응되는 발광패턴(162)이 발광하게 되며, 링 형태의 빛이 주변 방향을 따라 퍼져 나가도록 보이는 시각적 효과가 구현된다.
상기와 반대로 제4발광패턴(162d)부터 제1발광패턴(162a)이 차례로 가장 밝은 상태에 있도록 개별 제어함으로써, 링 형태의 빛이 시간에 따라 내부 방향을 따라 들어오도록 보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4개의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이 차례로 배열된 구성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발광 패턴들(162a 내지 162d)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100)의 평면도들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13)에는 휴대 단말기(100)가 갖는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메뉴 또는 아이콘(113c)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동작시키고자 하는 메뉴나 아이콘(113c,예를 들면 문자 메세지)이 표시된 부분을 터치하면 그 해당 기능이 동작하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부(113)에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113d)가 표시될 수 있고, 리스트(113d)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113e)가 위치된다.
여기서, 터치키패드부(114)는 리스트(113d)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113e)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패드부(114)가 터치되면 발광시트(160)의 발광 패턴(162)이 터치패드부(114)에 표시되어 해당 영역이 터치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도 8b에서는 리스트의 일예로서 전화번호부를 들었으며, 하부에 위치한 터치키부(154)에 해당하는 영역을 터치함으로써 커서 또는 포인터(113e)를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중앙 영역에 위치한 센터키(154)를 누름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8c와 같이 사용자는 제3조작부(123)를 조작함으로써, 문자, 숫자, 심볼 등을 단말기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해당 아이콘(113c)을 직접 터치함에 따라 그 해당 아이콘(113c)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터치 스크린 입력 방식과, 리스트(113d)에 표시된 커서(113e)를 이동시키는 방향키에 의한 입력 방식과, 문자, 숫자, 심볼 등을 입력시키기 위한 키패드에 의한 입력 방식을 모두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되는 메뉴나 아이콘(113c)은 사용자의 보다 편리한 터치 입력을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대응되거나 그보다 더 큰 크기로 표시될 수 있고, 본 발명에 관련된 터치시트(150, 도 3 참조)의 도전 패턴(156)은 상기와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인식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를 감지하기에 적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터치시트(250)의 평면도로서, 터치시트(250)의 내측에서 외측을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터치시트가 제1바디(110)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터치시트(250) 및 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어 도시된 것이다.
터치시트(250)에는 터치스크린부(113)를 형성하는 제1영역(251)과, 제1영역(251)에서 연장되어 터치패드부(114)를 형성하는 제2영역(252)이 구비되며, 제1영역(251)과 제2영역(252)에 형성된 도전패턴들(256,258)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터치시트(250)에 형성된 도전패턴(256)의 내측면에는 절연층(264)이 구비되며, 절연층(264)의 내측면에는 투명한 재질의 도전성 물질이 진공 증착(예를 들면,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층(265)이 구비된다.
도전층(265)은 제1영역(251)에 형성되며, 도전층(265)의 가장자리에는 도전층(26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라인(253)이 배치된다. 여기서 데이터 라인(253)은 제1영역(251)과 제2영역(25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영역(251,252)의 도전패턴들(256,258)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터치시트(250)의 가장자리에는 데이터 라인(253)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가 외부의 영향, 즉 전자부품들에서 발생되는 전자파로부터의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쉴딩 패턴(255)이 형성된다.
도전층(265)의 가장자리에는 도전층(265)에 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기장 발생부(P1 내지 P4)가 배치된다(도 9 참조). 전기장 발생부(P1 내지 P4)는 직사각형 형태의 제1영역(251)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데이터 라인(2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전층(265)의 가장자리, 즉 도전층(265)과 데이터 라인(262)의 사이에는 도전층(265)에 발생한 전기장을 선형적으로 보정하는 보정 패턴(259)이 형성된다. 보정패턴(259)은 도전성 물질이 특정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보정 패턴(259)에 흐르는 전류와 도전층(265)에 발생된 전기장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장의 형태가 제1영역(251)이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에 대응되게 보정된다.
전기장 발생부(P1 내지 P4)는 도전층(265) 위에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251)의 일 지점(P)이 터치되었을 때의 개략적인 회로도를 그리면 도 11과 같다.
도 11의 도시와 같이, 도전층(265)에 형성된 전기장은 터치된 지점(P)을 기준으로 하나의 커패시터(C)와 네 개의 저항(R1 내지 R4)을 가지는 회로도로 간단하게 대체할 수 있다.
터치되는 지점(P)이 변화함에 따라 저항들(R1 내지 R4)의 값들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터치되는 지점(P)에 축적되는 전하량(C)도 달라지게 된다. 상기 전하량(C)의 변화값을 측정하여 미리 해당 영역에서 측정된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터치 위치가 감지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도전 패턴(256)에 의한 터치 감지 이외에도 진공 증착에 의해 형성된 도전층(265)과 전기장 발생부(P1 내지 P4)를 이용한 터치 감지 방식을 더 포함함으로써, 터치시트(250)의 두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터치 감지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30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휴대 단말기(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13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 단말기 또한 제1바디(310)의 전면에 제1영역(313a)과 제2영역(314a)이 형성되고, 제1영역(313a)과 제2영역(314a)에는 터치스크린부(313)와 터치키패드부(314)가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313a)의 전면에는 투광성 재질의 윈도우(336)가 장착되며, 윈도우(336)의 내측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시트(350)가 장착된다. 윈도우(336)에 터치가 입력되면, 터치시트(350)가 이를 감지하여 단말기 바디(310, 320)의 내부로 터치 신호를 전달한다.
터치시트(350)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도전패턴들이 형성되고, 이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전패턴들(156,25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도전층(265)과 전기장 발생부(P1 내지 P4)가 터치시트(35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제2영역(314a)의 전면에는 터치 패널(319)이 장착되며, 터치 패널(319)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널(319)의 내측에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319a)가 장착되며, 터치 센서(319a)는 인쇄회로기판(334)에 복수의 개소로 떨어져 장착된다.
터치 패널(319) 중 터치 센서(319a)에 대응되는 영역이 터치되면, 터치 센서(319a)가 이를 감지하여 인쇄회로기판(334)에 터치신호를 전달한다.
터치 패널(319)의 중앙에는 관통홀(319b)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319b)에는 누름 동작 가능한 센터키(318)가 장착될 수 있다. 센터키(318)의 내측에는 센터키(318)의 누름 동작에 따라 정보를 입력하는 스위치(318a)가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널(319)의 내측에는 터치 패널(319)에 발광 패턴을 표시하는 발광시트(360)가 장착될 수 있으며, 발광 시트(260)의 구성 및 작용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나, 도 12의 휴대 단말기(300)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71), 조작부(117,123,124), 영상 입력부(116,128), 음향입력부(125), 터치스크린부(113), 터치키패드부(114), 음향 출력부(115), 센싱유닛(17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75), 메모리(174), 전원공급부(130),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터치스크린부(113)와 터치키패드부(114)에 입력된 터치 신호를 받아들여, 다른 전자부품들이 이와 관련된 동작을 하도록 다른 전자부품들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17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 하는 송신부(17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73)을 포함한다.
조작부(117,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16,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터치스크린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6,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7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7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부(113)는 터치 방식에 의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5)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7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5)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유닛(176)은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형태인 경우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3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센싱 유닛(176)은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터치스크린부(113) 또는 터치패드부(114)에 터치가 입력되면, 이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제어부(170)에 인가한다. 터치 시트(150,도 3 참조)의 도전 패턴(156,158,도 4 참조)에 터치가 입력되면, 센싱 유닛(176)은 도전 패턴(156,158)에서 발생하는 전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게 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된 메뉴나 아이콘(113c,도 8a 참조)을 터치하면, 센싱 유닛(176)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70)에 해당 신호를 인가하고, 제어부(170)는 메뉴나 아이콘(113c)의 해당 기능을 동작시킨다.
사용자가 터치키패드부(114)를 터치하면, 센싱 유닛(176)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70)에 신호를 인가한다. 터치키패드부(114)가 방향키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부(113)에 표시된 리스트(113d, 도 8b 참조)의 커서(113e)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터치패드부(114)에 인가함과 동시에 발광 패턴(162,도 7a 내지 7d 참조)이 발광되기 위한 신호를 발광시트(160)에 인가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동심원 형태의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이 시순차적으로 밝기가 변화되도록 각 발광패턴들(162a 내지 162d)을 개별 제어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7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스크린부(113), 음향 출력부(115)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7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3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터치시트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6는 도 3의 Ⅵ-Ⅵ 라인을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는 도 3에 도시된 발광시트의 정면도들.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평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터치시트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터치시트가 제1바디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터치시트의 터치되었을 때 도전층에 형성된 전기장을 개략적으로 변환한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53)
-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윈도우;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상기 관통홀 내에 배치되어, 누름 조작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메커니컬 키;상기 윈도우의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 및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와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단일 레이어로 구성되는 터치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영역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되어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터치시트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각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영역으로 연장된 상기 터치 레이어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홀 내에 배치되고, 상기 메커니컬 키의 외주는 상기 터치 레이어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상기 윈도우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상기 터치 레이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제1도전패턴을 구비하는 도전층; 및상기 터치 레이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기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도전패턴에 입력된 터치 신호를 전달하도록 이루어지는 데이터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도전층에서 발생한 전기장을 보정하는 보정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상기 데이터 라인이 위치하는 면의 반대면에 상기 데이터 라인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가 외부 전자파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지는 쉴딩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도전층은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키에 대응되는 제2도전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터치 레이어는 연성회로기판을 통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의 외주는 상기 윈도우에 의하여 완전히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관통홀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윈도우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키는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복수의 개소에 각각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메커니컬 키는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 사이에 배치되며,상기 메커니컬 키와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키를 조명하도록 형성되는 조명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키에 터치가 가해졌을 때 발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키를 개별적으로 조명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상기 키는 상기 제2영역 내에서 복수의 개소에 각각 떨어져 위치하는 복수의 터치키부를 포함하며,상기 조명 유닛은 상기 복수의 터치키부에서 대응되는 터치키부를 조명시키도록 개별화된 복수의 조명 패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조명 패턴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들이 집합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조명패턴의 밝기를 상기 키에 대한 터치 시간에 근거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에 형성되어, 음향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방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음향출력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관통홀과 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제1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음향출력홀은 상기 단말기 바디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전면에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구비하는 제1바디; 및상기 제1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28항에 있어서,상기 제2바디의 전면에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숫자,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 윈도우 안착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 안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서 리세스되어 상기 윈도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장착되고 일 영역에 조작 유닛을 구비하는 지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상기 지지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조작 유닛이 누름 동작됨에 따라 가압되어 정보를 입력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0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되는 제1영상입력유닛; 및상기 윈도우 안착부에 상기 제1영상입력유닛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제1영상입력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영역을 벗어난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2항에 있어서,상기 제1영상입력유닛과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영상입력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영상입력유닛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4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영상입력유닛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모듈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배터리 커버를 더 포함하며,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기하학적 무늬를 포함하는 패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기하학적 무늬는 격자 또는 빗살무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37항에 있어서,상기 패턴부는 수지물을 메탈 베이스에 코팅 또는 사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OLED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된 시각 정보가 보이도록 투광성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는 강화유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가 표시되며,상기 리스트에는 커서 또는 포인터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3항에 있어서,상기 키는 상기 리스트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방향키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센싱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5항에 있어서,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키에 터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7항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는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48항에 있어서,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측에 배치되며,상기 외장형 카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IM(User Identity Module) 또는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단말기 바디의 일 측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형성되는 방송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51항에 있어서,상기 부가 데이터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채널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하는 단말기 바디;상기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을 구비하는 윈도우;상기 윈도우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키;상기 윈도우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되는 부분 내에 형성되는 관통홀;상기 윈도우의 배면에 배치되어 상기 시각 정보에 대한 상기 윈도우 상의 터치 및 상기 키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홀을 구비하는 터치시트; 및상기 관통홀 및 상기 홀 내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커니컬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394A KR101301522B1 (ko) | 2007-11-07 | 2007-11-07 | 휴대 단말기 |
TW097125382A TWI406551B (zh) | 2007-11-06 | 2008-07-04 | 行動式終端機 |
MX2008008909A MX2008008909A (es) | 2007-11-06 | 2008-07-10 | Terminal movil. |
US12/172,522 US8249661B2 (en) | 2007-11-06 | 2008-07-14 | Mobile terminal |
DE202008018311U DE202008018311U1 (de) | 2007-11-06 | 2008-09-04 | Mobiles Endgerät |
PL08163667T PL2058727T3 (pl) | 2007-11-06 | 2008-09-04 | Terminal przenośny z gładzikiem i ekranem dotykowym |
EP08163667.2A EP2058727B1 (en) | 2007-11-06 | 2008-09-04 | Mobile terminal with touchpad and touchscreen |
ES08163667.2T ES2468245T3 (es) | 2007-11-06 | 2008-09-04 | Terminal móvil con teclado y pantalla táctil |
EP14151191.5A EP2722738B1 (en) | 2007-11-06 | 2008-09-04 | Mobile terminal |
JP2008259500A JP4849483B2 (ja) | 2007-11-06 | 2008-10-06 | 移動端末機 |
CN200810176144.7A CN101431552B (zh) | 2007-11-06 | 2008-11-06 | 移动终端 |
CN201410008368.2A CN103761040B (zh) | 2007-11-06 | 2008-11-06 | 移动终端 |
US13/544,591 US8447364B2 (en) | 2007-11-06 | 2012-07-09 | Mobile terminal |
US13/865,565 US8712479B2 (en) | 2007-11-06 | 2013-04-18 |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3394A KR101301522B1 (ko) | 2007-11-07 | 2007-11-07 |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7302A KR20090047302A (ko) | 2009-05-12 |
KR101301522B1 true KR101301522B1 (ko) | 2013-09-04 |
Family
ID=4085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3394A KR101301522B1 (ko) | 2007-11-06 | 2007-11-07 |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152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9993A (ja) * | 1996-07-26 | 1998-02-13 | Fujitsu Kiden Ltd |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入力装置 |
KR20040004365A (ko) * | 2000-08-17 | 2004-01-1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 매트에 키 조명이 통합된 장치 |
KR20070023147A (ko) * | 2005-08-23 | 2007-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보의 연속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
-
2007
- 2007-11-07 KR KR1020070113394A patent/KR1013015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9993A (ja) * | 1996-07-26 | 1998-02-13 | Fujitsu Kiden Ltd |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入力装置 |
KR20040004365A (ko) * | 2000-08-17 | 2004-01-13 | 노키아 코포레이션 |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 매트에 키 조명이 통합된 장치 |
KR20070023147A (ko) * | 2005-08-23 | 2007-02-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정보의 연속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47302A (ko) | 2009-05-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521B1 (ko) | 휴대 단말기 | |
JP4849483B2 (ja) | 移動端末機 | |
TWI387906B (zh) | 行動式終端機 | |
KR10148539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37991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05908A (ko) | 휴대 단말기 | |
EP1887597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4962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0152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772078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4000170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00025412A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76109A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09872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74443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10058524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00129029A (ko) |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
KR20090030101A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08927A (ko) | 터치 패널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