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92511B1 -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511B1
KR101292511B1 KR1020110129031A KR20110129031A KR101292511B1 KR 101292511 B1 KR101292511 B1 KR 101292511B1 KR 1020110129031 A KR1020110129031 A KR 1020110129031A KR 20110129031 A KR20110129031 A KR 20110129031A KR 101292511 B1 KR101292511 B1 KR 10129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witch
tcu
stage
shift lever
ge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2645A (ko
Inventor
김두훈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10129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51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5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레버유닛과 TCU(Transmission Control Unit) 간 통신 불량시, 기어가 중립(N)단으로 변환되도록 제어되고, 나아가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의 일시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운전자가 변속단을 임의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TCU와 전자식 변속레버유닛에 포함되는 레버제어부 사이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통신상태 확인단계; 및 상기 통신상태 확인단계에서 통신 불량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TCU가 기어를 N단에 위치시키도록 변속기를 제어하는 N단 변환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Emergency controlling method of electronic shift lever}
본 발명은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변속레버유닛과 TCU 간 통신 불량시, 기어가 중립(N)단으로 변환되도록 제어되고, 나아가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의 일시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운전자가 변속단을 임의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발 또는 양산되고 있는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의지를 각종 제어기에서 입력 받은 후 주행상황에 맞는 최적화된 제어를 시행하기 위해 드라이브 바이 와이어(이하 DbW: Drive by Wire)라고 불리는 차량 전자 제어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DbW 시스템에는 핸들, 브레이크, 스로틀 개도 또는 변속 레버 등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구성되어 있다.
DbW 기술은 무엇보다 운전자의 의지와 각 상황에 맞는 주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잡한 제어로직 구현 및 고장진단 후 대체 기능 수행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는 어려움이 단점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구조가 단순해짐으로써 얻어지는 경량화 효과와 더불어 최적의 제어를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이 기술을 적용하는 차량이 늘고 있는 추세다.
DbW 기술 중에서 현재 고급차용 자동변속기에 주로 적용되고 있는 시프트 바이 와이어(이하 SbW: Shift by Wire)라고 통칭되는 변속 레버 전자 제어기술은 기계식 변속 레버와 변속기 사이에 위치하는 케이블, 링크와 같은 기계적인 연결 구조 대신에 전자식 변속레버와 전선과 같은 전기적인 연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는 제어기의 각종 알고리즘에 의해 구동기(모터 또는 전자식 밸브)를 제어하여 기어 변경(P, R, N,D-range) 및 매뉴얼모드 변속과 같은 각종 변속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변속 레버 전자 제어기술은 운전자에게 보다 간편하고 편리한 조작성을 제공하고, 패키징 공간의 유연성 확보 및 전자키와 연동하여 도난 방지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 기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변속 레버 전자 제어기술이 적용된, 즉 전자식 변속레버가 사용되는 차량은 기술의 특성상 비상시를 대비한 페일-세이프(fail-safe)를 갖춰야 한다.
상기한 페일-세이프를 갖춘 변속 레버 전자 제어기술의 일 예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2755호에 개시된 "전자식 변속레버를 이용한 티시유 페일-세이프 제어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공개특허는, 변속기 제어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이하 'TCU'라 한다)과 전자식 변속레버유닛 간 통신을 수행하되, TCU 쪽의 페일상태 발생시, 즉 통신 불량 발생시 변속기 쪽으로 이어진 파킹용 오버라이드케이블(Override Cable)을 전자식 변속레버로 잡아당겨 파킹(Parking) 삽입을 강제로 해제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변속 레버 전자 제어기술은, 전자식 변속레버유닛과 TCU 사이의 통신 불량이 발생했을 때, 상기한 공개특허가 제시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외에도, 운전자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운행조건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상기한 통신 불량의 발생시, 차량의 급발진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TCU에 의한 변속기의 적절한 제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의 일시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운전자의 임의 조작에 따른 기어 변속이 가능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변속 레버 전자 제어기술에서는 전자식 변속레버유닛과 TCU 간 통신 불량 발생시 상기한 비상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체적인 제어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변속 레버 전자 제어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자식 변속레버유닛과 TCU 간 통신 불량이 발생한 경우, 기어가 N단 으로 변환되도록 제어되며, 나아가,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의 일시적인 운행이 가능하도록, 운전자의 임의 조작에 의한 기어 변속이 이루어지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와 전자식 변속레버유닛에 포함되는 레버제어부 사이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통신상태 확인단계; 및 상기 통신상태 확인단계에서 통신 불량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TCU가 기어를 N단에 위치시키도록 변속기를 제어하는 N단 변환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N단 변환단계에 따라 기어가 N단에 위치하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전자식 변속레버유닛에 포함되는 모드스위치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CU가,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모드스위치의 작동 유무에 따라 기어의 변속단이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단 제어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에 의해 작동 유무가 확인되는 상기 모드스위치는, 제1 모드스위치 및 제2 모드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속단 제어단계는,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제1 모드스위치 및 상기 제2 모드스위치 모두로부터 온(on)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TCU가 상기 신호를 무시하고 기어를 계속하여 N단으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변속단 제어단계는,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제1 모드스위치로부터 온(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스위치로부터 오프(off)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TCU가 기어를 D단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변속단 제어단계는,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제1 모드스위치로부터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스위치로부터 온(on)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TCU가 기어를 R단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하면, 전자식 변속레버유닛과 TCU 간 통신 불량시, 변속단이 N단으로 강제 변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 및 변속단 제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경우에는, 변속단 변환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더 추가됨이 없이 이미 구비되어 있는 모드스위치를 이용하여 변속단의 변환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는 필요에 따라 손쉽게 모드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변속단을 D단 또는 R단으로 변환하여 차량을 안전지대나 차량 정비소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변속레버 전자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변속레버 전자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본 시스템은, 전자식 변속레버유닛(Electronic Shift Lever Unit)(100)과, 변속기 제어유닛(Transmission Control Unit; 이하 'TCU'라 한다)(200)과, 변속기(Transmission)(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전자식 변속레버유닛(100)은, 변속레버(110)와, 변속레버(110)를 제어하는 레버제어부(120)와, 모드스위치(1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레버제어부(120)는, 변속레버(110)의 레버포지션(N, D, R, P단)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변속레버(110)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후술할 TCU(200) 등의 제어유닛과 통신라인으로 연결되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모드스위치는, 통상의 변속레버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모드(Mode) 전환용 스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예컨대, 이코노미(Economy) 스위치, 파워(Power) 스위치, 홀드(Hold) 스위치, O/D (Over Drive) 스위치, LSS(Low Speed Start) 스위치 등을 말한다.
모드스위치와 TCU(200)는 서로 배선으로 연결되어 운전자가 필요한 모드스위치를 작동(on)시키게 되면, 작동된 해당 모드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TCU(200)가 변속기(300)를 제어하게 된다.
전술한 모드스위치는, 변속레버유닛(100)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일 예로서, 2개의 모드스위치(130), 즉 제1 모드스위치(131)와 제2 모드스위치(132)가 구비된 예가 제시된다.
다만, 도시된 바와 달리 셋 이상의 모드스위치가 구비되어도 무관하다. 후술할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에서 확인의 대상이 되는 모드스위치는 구비된 셋 이상의 모드스위치에서 선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하기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에 관한 흐름도가 도시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통신상태 확인단계(S200)와, N단 변환단계(S300)가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통신상태 확인단계(S200)에 앞서, 우선 TCU(200)가 시동이 온(on) 상태인지를 확인하는 시동 확인단계(S100)를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시동이 온(on) 상태인 경우, 다음으로 통신상태 확인단계(S200)를 수행하게 되는데, 통신상태 확인단계(S200)는, 레버제어부(120)와 TCU(200) 간 전술한 통신 상태가 정상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통신상태 확인단계(S200)에서 통신 상태가 정상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차량이 정상 주행 작동하도록 별다른 제어 과정이 수반되지 않는다.
통신이 정상이 아닌 경우, 즉 통신 불량인 경우, 예컨대 전술한 통신라인의 불량이 별도의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TCU(200)가 이를 인지하였다거나 또는 TCU(200)가 레버제어부(120)로부터 필요한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것으로 인지한 경우에는, 다음으로 N단 변환단계(S300)가 수행된다.
통신이 불량인 경우, TCU(200)는 변속레버(110)의 레버포지션 등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TCU(200)가 변속기(300)에 대하여 잘못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급발진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상태 불량이 확인된 경우에는 TCU(200)가 기어를 강제로 N단으로 위치시키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N단 변환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N단 변환단계(S300)에 따라 기어가 N단에 위치하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TCU(200)가 전술한 모드스위치(130)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모드스위치(130)는 일 예로서 제1 모드스위치(131) 및 제2 모드스위치(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모드스위치가 제1 모드스위치와 제2 모드스위치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는,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에서 TCU(200)에 의해 작동 유무가 확인되는 모드스위치가 모두 2개라는 의미이다. 그리고, 확인되는 2개의 모드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제1 모드스위치, 그리고 다른 하나가 제2 모드스위치가 된다.
따라서, 전자식 변속레버유닛(100)에 포함되는 모드스위치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2개인 경우에는,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에서 TCU(200)는 이 2개의 모드스위치(130) 모두에 대하여 작동 유무를 확인하게 되며, 2개 중 어느 하나가 제1 모드스위치(131), 다른 하나가 제2 모드스위치(132)가 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드스위치가 셋 이상인 경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에서 TCU(200)는 셋 이상의 모드스위치 중 선택된 2개의 모드스위치에 대하여 작동 유무를 확인하게 되며, 확인 대상으로 선택된 2개의 모드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제1 모드스위치, 다른 하나가 제2 모드스위치가 된다.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는, TCU(200)가 모드스위치(130)의 본원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기 위하여 모드스위치(130)의 작동(on)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다. 본 단계(S400)에서는, TCU(200)가 후술할 변속단 제어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모드스위치(130)의 작동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TCU(200)에 설계되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통신상태가 정상일 때에 모드스위치(130)의 작동 유무에 따라 작동하는 프로그램 외에, 통신상태가 불량일 때에 모드스위치(130)의 작동 유무에 따라 작동하는 프로그램이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에서 TCU(200)가 모드스위치(130)의 작동 유무를 확인한 경우, 다시 말해, 운전자가 모드스위치(130)를 작동(on)시킴으로써 TCU(200)가 모드스위치(130)의 온(on) 신호를 전술한 배선을 통해 수신하였거나, 또는 운전자가 모드스위치(130)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TCU(200)가 모드스위치(130)의 온(on)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이와 같은 모드스위치(130)의 작동 유무에 따라 TCU(200)가 기어의 변속단이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변속단 제어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변속단 제어단계는 N단 변환단계(S300)에 따라 기어가 N단으로 위치하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모드스위치(130)의 임의 작동을 통해 변속단의 변환을 실현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변속단의 변환이 허용되지 않는다면, 기어가 계속하여 N단으로 유지될 것이고,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의 일시적인 이동이 필요한 경우, 예컨대 안전지대로 차량을 이동시킨다거나 차량 정비소로 차량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운전자가 차량을 직접 밀어 이동시키거나 아니면 견인차에 의존하여 차량을 이동시킬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변속단 제어단계가 더 포함됨으로써, 차량의 일시적인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 운전자가 모드스위치(130)를 임의 작동시킴으로써 이를 실현할 수 있다.
변속단 제어단계는 더욱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드스위치(130)가 제1 모드스위치(131) 및 제2 모드스위치(132)로 이루어지는 일 예에서, 변속단 제어단계는,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S400)에서 제1 모드스위치(131) 및 제2 모드스위치(132) 모두 오프(off) 상태로 확인된 경우에, TCU(200)가 기어를 계속하여 N단으로 유지시키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단계(S5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모드스위치(131)가 오프(off) 상태이고, 제2 모드스위치(132)가 온(on) 상태로 확인된 경우, TCU(200)가 기어를 R단에 위치시키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단계(S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모드스위치(131)가 온(on) 상태이고, 제2 모드스위치(132)가 오프(off) 상태로 확인된 경우, TCU(200)가 기어를 D단에 위치시키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단계(S5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모드스위치(131) 및 제2 모드스위치(132) 모두가 온(on) 상태로 확인된 경우에는, 변속단 제어단계는, TCU(200)가 모드스위치(130)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무시하고, 제1 모드스위치(131) 및 제2 모드스위치(132)가 모두 오프(off) 상태로 확인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어를 계속하여 N단에 유지시키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단계(S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변속단 제어단계(S510,S520,S530,S540)가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전, 후진 이동이 불필요한 경우 제1 모드스위치(131) 및 제2 모드스위치(132)를 모두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변속단이 계속하여 N단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전진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 모드스위치(131)만을 작동(on)시킴으로써 변속단을 D단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차량의 후진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2 모드스위치(132)만을 작동(on)시킴으로써 변속단을 R단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D단 변환시에는 TCU(200)가 가속페달의 신호 크기에 따라 변속단이 1단에서 3단까지만 변속되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R단 변환시에는, 만약 차량이 정지 중인 상태가 아니라 전진 운행 중인 상태에 있다면,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작동으로 차량이 멈추었음을, TCU(200)가 차속 센서 등에 의해 확인하였을 때에만 기어를 R단으로 변환시키도록 변속기(3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의도하였음에도 운전자가 실수로 제1 모드스위치(131) 및 제2 모드스위치(132) 모두를 작동(on)시켰다면, 이 경우는 변속단이 변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TCU(200)는 모드스위치(13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무시하고 변속단이 계속하여 N단에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은, 이처럼 통신 불량이 발생한 비상시에 변속단이 N단으로 강제 변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나아가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모드스위치(130)를 작동시킴으로써 변속단을 D단 또는 R단으로 변환하여 차량의 전, 후진 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전자식 변속레버유닛 110; 변속레버
120; 레버제어부 130; 모드스위치
131; 제1 모드스위치 132; 제2 모드스위치
200; TCU 300; 변속기
S100; 시동 확인단계 S200; 통신상태 확인단계
S300; N단 변환단계 S400;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
S510,S520,S530,S540; 변속단 제어단계

Claims (7)

  1.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와 전자식 변속레버유닛에 포함되는 레버제어부 사이의 통신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통신상태 확인단계;
    상기 통신상태 확인단계에서 통신 불량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TCU가 기어를 N단에 위치시키도록 변속기를 제어하는 N단 변환단계; 및
    상기 N단 변환단계에 따라 기어가 N단에 위치하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전자식 변속레버유닛에 포함되는 모드스위치의 작동 유무를 확인하는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TCU가,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상기 모드스위치의 작동 유무에 따라 기어의 변속단이 변경되거나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변속단 제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에 의해 작동 유무가 확인되는 상기 모드스위치는, 제1 모드스위치 및 제2 모드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단계는,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제1 모드스위치 및 상기 제2 모드스위치 모두로부터 온(on)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TCU가 상기 신호를 무시하고 기어를 계속하여 N단으로 유지시키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단계는,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제1 모드스위치로부터 온(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스위치로부터 오프(off)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TCU가 기어를 D단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속단 제어단계는, 상기 모드스위치 작동 확인단계에서 상기 TCU가 상기 제1 모드스위치로부터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스위치로부터 온(on)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TCU가 기어를 R단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변속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KR1020110129031A 2011-12-05 2011-12-05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9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31A KR101292511B1 (ko) 2011-12-05 2011-12-05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31A KR101292511B1 (ko) 2011-12-05 2011-12-05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45A KR20130062645A (ko) 2013-06-13
KR101292511B1 true KR101292511B1 (ko) 2013-08-01

Family

ID=4886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292511B1 (ko) 2011-12-05 2011-12-05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264B1 (ko) 2015-12-16 2017-10-23 주식회사 인팩 비상 해제 케이블의 작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261U (ko) * 1990-08-31 1992-04-27
JP2002310285A (ja) 2001-04-16 2002-10-23 Fuji Heavy Ind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846291B2 (ja) 2005-07-27 2011-12-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9261U (ko) * 1990-08-31 1992-04-27
JP2002310285A (ja) 2001-04-16 2002-10-23 Fuji Heavy Ind Ltd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4846291B2 (ja) 2005-07-27 2011-12-2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45A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7208B2 (ja) オートマチック式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の油圧式制御装置
JP5148853B2 (ja) オートマチック式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の油圧式制御装置
US7402123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having fail-safe function
JP5463620B2 (ja) 自動変速機搭載車のシフトバイワイヤ故障時制御装置
US9103435B2 (en) Device for operating a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hydraulically actuated friction-fit and form-fit shift elements
US20130252784A1 (en) Failsafe device for shift-by-wire system
US20090287383A1 (en) Shift-by-wir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JP4320647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5612624B2 (ja) レンジ切替装置
CN104661887B (zh) 用于操控车辆动力总成的装置和方法
CN105042064B (zh) 无发动机动力的情况下对线控换档变速器进行换档的方法
JP2005172148A (ja) 自動車、及びその制御装置、並びにその駆動力伝達装置
JP5460764B2 (ja) レンジ切替装置
JP2007170546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KR101684102B1 (ko) 전자식 변속레버의 변속제어방법
KR20050116351A (ko) Abs와 복합제어 되는 유압식 주차브레이크 자동제어장치 및제어방법
RU2729868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8530469A (ja) 自動車における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292511B1 (ko) 전자식 변속레버의 비상제어방법
JP6626585B2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KR20110062610A (ko) 자동변속기의 주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526648B1 (ko) 차량용 동력 전달 장치의 제어 회로 이상 판정 장치
KR101417430B1 (ko) 하이브리드 버스의 비상 변속장치 및 방법
JP2022152515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6162022A (ja) シフトバイワイヤ式レンジ切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