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368B1 - 메모리폼베개 - Google Patents
메모리폼베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0368B1 KR101290368B1 KR1020110043515A KR20110043515A KR101290368B1 KR 101290368 B1 KR101290368 B1 KR 101290368B1 KR 1020110043515 A KR1020110043515 A KR 1020110043515A KR 20110043515 A KR20110043515 A KR 20110043515A KR 101290368 B1 KR101290368 B1 KR 1012903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cell
- memory foam
- support
- ne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3—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with inflatable memb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4—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magn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부지지부(11)와,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지지부(12)와, 목부지지부(11)와 후두지지부(12)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수단(13)을 포함하는 메모리폼베개이며,
목부지지부(11)나 후두지지부(12)중 적어도 한 곳에 높이 조절수단을 부가하고;
높이조절수단은 메모리폼베개(10)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의 에어주입수단(30)에 의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빠지도록 하는 에어셀(20), 에어셀(20)의 주입부 아닌 지점에 형성하여 서서히 공기가 빠지도록 하는 미세공(22),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내면에 형성하여 가동자석이 에어셀(20) 내벽 부위를 향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유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24), 상기 안내홈(24)에 안치시켜 전면에 미세공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판(41)을 붙인 상기 가동자석(40), 상기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외부에 형성하여 상기 가동자석(40)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스위치자석(45)을 끼울 수 있도록 기능하는 끼움공(46)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폼베개 이다.
목부지지부(11)나 후두지지부(12)중 적어도 한 곳에 높이 조절수단을 부가하고;
높이조절수단은 메모리폼베개(10)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의 에어주입수단(30)에 의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빠지도록 하는 에어셀(20), 에어셀(20)의 주입부 아닌 지점에 형성하여 서서히 공기가 빠지도록 하는 미세공(22),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내면에 형성하여 가동자석이 에어셀(20) 내벽 부위를 향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유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24), 상기 안내홈(24)에 안치시켜 전면에 미세공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판(41)을 붙인 상기 가동자석(40), 상기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외부에 형성하여 상기 가동자석(40)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스위치자석(45)을 끼울 수 있도록 기능하는 끼움공(46)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폼베개 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부지지부와,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지지부와, 목부지지부와 후두지지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메모리폼베개에 관한 것으로, 필요시 메모리폼베개 내부에 높이조절수단을 부가하며, 높이조절수단은 초기에는 강제로 사용자의 취향에 맞도록 높게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에어셀의 공기가 빠지도록 하여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여 건강높이의 베개로 작용하도록 하는 메모리폼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폴리에테르(polyether)계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이나 폴리올(polyol) 등 형상 메모리 또는 저속회복 소재로 제작된 소위 메모리폼 베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메모리폼 베개는 스펀지(sponge)와 달리 원래 상태로의 복원 시간이 긴 단점이 있으나 접촉하는 인체의 온도와 압력에 반응, 인체 접촉 부위의 형상대로 수축 변형하는 특징이 있으며, 따라서 체중을 분산시켜 착용감을 높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메모리 베개의 전형적인 형태는 반듯한 수면자세에서의 목 부위를 지지하는 부분과 후두 부위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목 지지부분이 후두 지지부분보다 직경이 큰 원형 또는 반원형의 단면 모양으로 되어있다. 이 형태는 목 부위의 만곡된 경추를 자연스럽게 받쳐주어 교정하는 기능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메모리폼 소재의 특성상 목 부위에 알맞은 높이로 지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고, 충분한 높이로 형성할 경우 얼굴이 파묻혀 오히려 수면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목 부위에 알맞은 높이로 형성한 경우에도 수면자세 중에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는 어깨 높이로 받쳐주지 못하여 효과적인 수면을 취할 수 없다. 따라서 메모리폼 소재는 단순히 베개의 착용감을 높여줄 뿐이어서 베개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수단이 강구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20-041980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메모리폼 소재의 베개 형상에 메모리폼 소재보다는 경도가 높은 우레탄폼 등으로 높이유지부재를 삽입한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높이유지부재는 중앙부 전후의 목지지부와 후두 지지부 그리고 좌우의 옆얼굴지지부를 형성하여 각 부위를 다른 높이로 지지한다. 또한, 각 높이 유지부재는 별도의 판재를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삽입케 하여 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전형적인 메모리폼 베개의 부드러운 착용감과 함께 신체 부위에 따라 다른 일정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베개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개의 높낮이 조절용으로 에어셀을 이용한 기술이 알려졌는바,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284206호와 같이 목부에 해당되는 부위에 높낮이 조절용 에어셀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구조이나, 사용자의 컨디션 상태나 사용자 체격에 따라 일일이 높낮이를 조절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에어가 빠진 경우는 베개로서의 기능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국내공개특허 10-2008-0075263호로 알려진 기술은 베개에 에어셀 내설홈을 설치하여 기본 높이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경부 등의 누름압력을 베게 표면의 센서를 통하여 에어셀의 압력을 인식하여 에어셀의 압력을 조절하는 등의 이점은 있으나, 이는 센서를 통한 전자동 개념이어서 사용상의 편리함은 있으나 고가이며, 사용자의 건강에 유익한 수면 자세를 유도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부지지부와 후두지지부가 결합수단을 개재하여 결합하거나 분리시켜 한 사람 또는 두 사람이 사용 가능토록 하는 메모리폼베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모리폼 베개에 에어셀을 부가하여 높이 조절을 초기에 강제로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숙면에 들어가면 공기가 빠져서 건강기능의 본연의 베개로 작용하도록 하여 건강 체형을 유도하는 메모리폼베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석의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공기 빠짐 및 유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유지에 비용이 들지 않고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 가능토록 하는 메모리폼베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메모리폼베개에 있어서, 목부를 지지하는 목부지지부와,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지지부와, 목부지지부와 후두지지부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수단을 가지는 메모리폼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요시 목부지지부와 후두지지부중 적어도 한 곳에 높이조절수단을 부가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목 부위를 지지하는 메모리폼베개 내부에 설치하며 에어주입수단에 의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빠지도록 하는 에어셀, 상기 에어셀의 주입부 아닌 지점에는 서서히 공기가 빠지도록 형성하는 미세공, 상기 미세공 부위의 에어셀 내면에 형성하여 가동자석이 에어셀 내벽 부위를 향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안내하는 안내홈,
상기 안내홈에 안치시켜 전면에 미세공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판을 붙인 가동자석,
상기 미세공 부위의 에어셀 외부에 형성하여 상기 가동자석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스위치자석을 끼울 수 있는 끼움공을 포함하는 메모리폼베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메모리폼 베개를 이루는 목부지지부와 후두지지부를 분리 및 결합 가능토록 하여 2인용 또는 일인용으로 사용가능토록 하고, 때로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하여 죽부인으로 사용 가능토록 한다.
본 발명은 메모리폼 베개에 에어셀을 부가하여 높이 조절을 초기에 강제로 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 숙면에 들어가면 공기가 빠져서 건강기능의 본연의 베개로 작용하도록 하여 건강 체형을 유도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자석의 인력과 척력에 의하여 공기 빠짐 및 유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기능 유지에 비용이 들지 않고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 가능토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에어가 빠지는 구조를 보인 수직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에어가 빠지지 않는 구조를 보인 수직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에어가 빠지는 구조를 보인 수직단면도,
도 4는 도 3의 에어가 빠지지 않는 구조를 보인 수직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메모리폼베개에 있어서,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부지지부(11)와,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지지부(12)와, 목부지지부(11)와 후두지지부(12)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결합수단(13)은 매직테이프나, 후크, 단추 등의 알려진 구조이므로 특별히 도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목부지지부(11)나 후두지지부(12)중 적어도 한 곳에 높이 조절수단을 부가하고;
높이조절수단은 목부위를 지지하는 메모리폼베개(10) 내부에 설치하며 에어주입수단(30)에 의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빠지도록 하는 에어셀(20), 에어셀(20)의 주입부 아닌 지점에는 서서히 공기가 빠지도록 형성하는 미세공(22),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내면에 형성하여 가동자석이 에어셀(20) 내벽 부위를 향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유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24),
안내홈(24)에 안치시켜 전면에 미세공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판(41)을 붙인 가동자석(40),
상기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외부에 형성하여 상기 가동자석(40)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스위치자석(45)을 끼울 수 있는 끼움공(46)을 포함한다.
상기, 끼움공(46)의 에어셀(20) 접촉 부위에는 스위치 자석(45)이 끼워질 때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스페이서(47)를 부가한 것이 좋다. 스페이서는 에어셀과 같은 재질로 할 수도 있고, 별도의 패킹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홈(24)을 이루는 격벽(25)에는 에어셀(20)의 공기가 미세공(22)으로 통기 가능토록 하는 전달공(26)을 형성한다. 상기 격벽(25)은 역시 에어셀을 이루는 같은 재질로 할 수도 있고, 보다 강한 재질(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 (30)은 에어주입수단이고, 에어주입수단(30)의 에어펌프(32) 출력단에는 에어주입관(34)을 설치하고, 에어주입관(34)을 통한 공기압은 에어셀(20)로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에어주입관(34)의 일 개소에는 에어를 배출시키는 에어배출나사(36)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도 5와 같은 목부지지부(11)와 후두지지부(12)를 결합수단(13)으로 결합하면 메모리폼베개로 사용하고, 분리시키면 이인용으로 사용 가능하고, 목부지지부(11)와 후두지지부(12)를 길이 방향으로 결합수단(13)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죽부인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높이조절수단은 목부지지부(11)와 후두지지부(12)의 적어도 한 곳이나 동시에 설치할 경우, 에어펌프(32)를 수동(필요할 경우 전동식으로도 가능하다)으로 작동시켜 에어주입관(34)을 통하여 에어셀(20) 내부를 일정 높이가 되도록 에어를 충진시킨다.
한편, 에어펌프(32)를 작동시키지 않고 메모리폼 형태로만 사용하려면, 에어셀(20) 내에 있던 공기도 에어배출나사(36)를 사용하여 에어셀(20) 내부 공개를 배출시키면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상보다 높은 상태로의 취침에 익숙한 사람을 정상적인 취침상태로 길들이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초기 사용시 정상보다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에어펌프(32)를 작동시켜 에어주입관(34)을 통하여 에어셀(20)에 공기를 주입하여 원하는 높이를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설정시간(예를 들어 30분)이 지나 에어셀(20)의 내부 공기가 빠지도록 작용하려면, 도 2 및 도 3 상태와 같이 스위치자석(45)의 극성이 가동자석(40)과 척력이 발생하여 상호 이격되도록 한다. 그러면 에어셀(20) 내부 공기가 전달공(26), 안내홈(24), 미세공(22), 및 끼움공(46)을 통하여 서서히 배출함으로써 잠이 드는 초기에는 일정 높이를 이루다가 숙면이 시작되는 시간(예를 들어 30분)이 되면 에어셀(20)의 공기가 빠져서 정상의 메모리폼 상태를 이루어, 정상상태로 적용하도록 훈련하여,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한편, 일정 높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할 때는 도 4 와 같이 도 3 상태에서의 자석 극성을 다르도록 바꿔서 끼움공(46)에 끼운다. 그러면 도 4 와 같이 스위치 자석(45)과 가동자석(40)이 상호 인력이 작용하고, 가동자석(40)의 전면에는 실리콘판(41)이 붙어있어, 실리콘판(41)이 에어셀(20)의 미세공(22)을 막아주어 에어셀(20) 내부의 공기 배출이 차단되어 에어셀(20)의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스위치자석(45)을 고정시키는 끼움공(46)은 외부와 통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끼우도록 하고,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직테이프나, 후크 결합이나 부분 봉제 등으로 고정 및 열리는 덮개(48)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10;메모리폼베개 20;에어셀 22;미세공 24;안내홈 25;격벽 26;전달공 30;에어 주입수단 32;에어펌프 34;에어주입관 36;에어배출나사 40;가동자석 41;실리콘판 45;스위치 자석 46;끼움공 47;스페이서 48;덮개
Claims (5)
- 삭제
- 삭제
- 메모리폼베개에 있어서,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부지지부(11)와, 후두를 지지하는 후두지지부(12)와, 목부지지부(11)와 후두지지부(12)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수단(13)을 포함하고;
상기, 목부지지부(11)나 후두지지부(12)중 적어도 한 곳에 높이 조절수단을 부가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메모리폼베개(10) 내부에 설치하여 외부의 에어주입수단(30)에 의하여 에어를 주입하거나 빠지도록 하는 에어셀(20),
상기 에어셀(20)의 주입부 아닌 지점에 형성하여 서서히 공기가 빠지도록 하는 미세공(22),
상기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내면에 형성하여 가동자석(40)이 에어셀(20) 내벽 부위를 향하여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유동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24),
상기 안내홈(24)에 안치시켜 전면에 미세공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판(41)을 붙인 상기 가동자석(40),
상기 미세공(22) 부위의 에어셀(20) 외부에 형성하여 상기 가동자석(40)을 당기거나 밀어주는 스위치자석(45)을 끼울 수 있도록 기능하는 끼움공(46)을 포함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메모리폼베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공(46)의 에어셀(20) 접촉 부위에는 스위치 자석(45)이 끼워질 때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스페이서(47)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폼베개.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24)을 이루는 격벽(25)에는 에어셀(20)의 공기가 미세공(22)으로 통기 가능토록 하는 전달공(2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폼베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515A KR101290368B1 (ko) | 2011-05-09 | 2011-05-09 | 메모리폼베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3515A KR101290368B1 (ko) | 2011-05-09 | 2011-05-09 | 메모리폼베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831A KR20120125831A (ko) | 2012-11-19 |
KR101290368B1 true KR101290368B1 (ko) | 2013-07-26 |
Family
ID=4751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3515A KR101290368B1 (ko) | 2011-05-09 | 2011-05-09 | 메모리폼베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03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4113B1 (ko) * | 2017-09-29 | 2018-11-01 | 김태진 |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643776A (zh) * | 2015-02-06 | 2015-05-27 | 吴江市永利工艺制品有限责任公司 | 一种可调节型支撑颈部枕头 |
CN106490908B (zh) * | 2016-10-08 | 2018-01-23 | 东莞市邦达实业有限公司 | 一种包含食品级发泡塑料颗粒的多功能抱枕 |
KR20230118017A (ko) * | 2022-02-03 | 2023-08-10 | 박송범 | 자동 높이 조절 베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3537A (ja) * | 1993-06-02 | 1994-12-20 | Nippon Valqua Ind Ltd | 空気吸入装置付きエアー袋 |
JP2005058698A (ja) | 2003-08-11 | 2005-03-10 | Keiko Hyodo | 蒸れにくく、横向きに寝る時、高さが2倍近くにできる機能性枕 |
JP3140457U (ja) * | 2008-01-11 | 2008-03-27 | 幸夫 橋本 | 枕 |
-
2011
- 2011-05-09 KR KR1020110043515A patent/KR1012903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3537A (ja) * | 1993-06-02 | 1994-12-20 | Nippon Valqua Ind Ltd | 空気吸入装置付きエアー袋 |
JP2005058698A (ja) | 2003-08-11 | 2005-03-10 | Keiko Hyodo | 蒸れにくく、横向きに寝る時、高さが2倍近くにできる機能性枕 |
JP3140457U (ja) * | 2008-01-11 | 2008-03-27 | 幸夫 橋本 | 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4113B1 (ko) * | 2017-09-29 | 2018-11-01 | 김태진 |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
WO2019066321A1 (ko) * | 2017-09-29 | 2019-04-04 | 김태진 |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갖는 베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25831A (ko) | 2012-1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0368B1 (ko) | 메모리폼베개 | |
US10098486B2 (en) | Expandable and collapsible pillow structure | |
EP3039993A1 (en) | Cushion having embedded automatically-charging air tub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KR20100124613A (ko) | 코골이 방지용 베개 | |
US10681999B2 (en) | Expandable and collapsible pillow structure | |
KR200471847Y1 (ko) | 기능성 베개 | |
KR100895254B1 (ko) | 코골이 방지 베개 | |
JP3177133U (ja) | 直接連通する気嚢型高さ調整構造 | |
US20140130252A1 (en) | Pnuematic bed system with table | |
KR101133417B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 |
JP2011045400A (ja) | 自動厚さ可変枕敷きマット | |
KR20160099761A (ko) | 메모리폼 매트리스 | |
KR100718886B1 (ko) | 높낮이 조절 맞춤형 베개 | |
CN101390702B (zh) | 一种枕头倾角的调节装置 | |
KR20140002999U (ko) | 자동조절이 가능한 에어백 베개 | |
KR101525989B1 (ko) | 구슬 매트리스 | |
JP3163913U (ja) | 寝具 | |
JP4857400B1 (ja) | 枕の載置台 | |
CN205866527U (zh) | 记忆枕 | |
CN210124509U (zh) | 一种神经内科用治疗失眠的理疗枕 | |
WO2014207487A1 (en) | Body support unit and related components | |
CN201500264U (zh) | 一种高低、上下位置可调节的按摩椅枕头 | |
KR101165833B1 (ko) | 착탈식 그늘막 베개 | |
KR20160149121A (ko) | 수면 쿠션 | |
CN205649269U (zh) | 改进的医疗护理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