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33857B1 -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857B1
KR101233857B1 KR1020100024243A KR20100024243A KR101233857B1 KR 101233857 B1 KR101233857 B1 KR 101233857B1 KR 1020100024243 A KR1020100024243 A KR 1020100024243A KR 20100024243 A KR20100024243 A KR 20100024243A KR 101233857 B1 KR101233857 B1 KR 101233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al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gold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142A (ko
Inventor
임의원
한갑훈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주)솜니허브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솜니허브,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솜니허브
Priority to KR1020100024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8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백 활성과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황금, 지유, 박하, 애엽, 진피, 구절초, 어성초, 포공영, 차조기, 백지, 상엽, 천궁, 백복령, 감초, 당귀, 형개, 살구씨, 자단향, 구기자, 산약, 홍화, 감국, 금은화 및 인진호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한방재료로 사용되는 식물성 한약재와 천연 허브 추출물로 이루어져 피부에 대한 독성이 없고,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피부 보습 효과 등이 탁월한 특성을 나타내어 기초 화장료를 비롯한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와 비누 등의 세정제로 활용이 가능한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with natural orientalplant extract}
본 발명은 한방재료로 사용되는 한약재와 천연 허브 혼합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와 세정제로 활용이 가능한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시장의 급속한 성장은 사실 기능성 화장품 시장의 고속 성장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기능성 화장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기능성화장품법이 발효되어 관련제품이 허가받은지 올해로 6년 만에 약 5000여개의 제품이 허가가 나 첫해 허가분 477개에 비하여 10배의 증식을 가져온 셈이다. 대한화장품협회의 집계에 의하면 기능성 화장품은 2004년 기준 전체 화장품시장에서 점유율 13%를 넘어서고 있다는 분석이며, 그만큼 국내 기능성화장품 시장이 급속히 팽창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한편, 식물유래 소재는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오랫동안 이용되어 오던 화장품 원료중의 하나이며, 특히 광우병 파동 이후 천연 식물유래 소재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급성장하고 있다. 특히 국내의 경우 민간에서 이용되어 오거나 혹은 한방에서 이용되어 오던 식물 및 생약성분을 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업화에 성공을 거둔 예가 다수 있다.
이러한 식물유래 화장품 소재로는 올리브유, 야자유와 사포닌, 소맥 배아유, 미강유, 인지질 등이 계면활성성분으로 이용되고, 아미노산, 단백질, 당류 등을 함유한 수용성 성분 등이 보습제, 피막보호제, 피부보호제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외 기능성 소재로서 최근에는 MMP-1 (Metrix Metalloproteinase-1)활성 및 생산을 억제하는 소재, 엘라스티나제 (Elasti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소재,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촉진하는 소재, 활성산소의 제거능력을 가진 소재, 각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소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소재 등이 연구 개발중이거나 이미 보습, 항노화 및 미백화장품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식물 이외의 천연유래 화장품 소재로서 최근에는 해양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찾아내고, 이를 화장품에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현재 해양에서 얻어진 생리활성물질들은 7,000여종이 넘었고, 스파(SPa)나 해양심층수, 철갑상어의 알인 캐비아 등을 활용한 제품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해양요법(Thalasso-therapy)제품들이 명성을 얻고 있으며, 해조, 바닷물, 바다진흙을 기본으로 하는 다양한 해양요법 화장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프랑스의 CODIF사에서는 홍조류, 녹조류, 갈조류로부터 피부의 노화, 민감피부, 주름방지 등의 기능을 가진 20여종 이상의 해조추출물을 상품화 하고 있다.
한편,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과도한 자외선이나 유해라디칼 등에 방치되면, 홍반, 부종,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자외선이나 유해라디칼 등에 의한 피부 트러블은 미관상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는 종래 제품의 경우 자외선을 충분히 차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더라도 자외선차단제 자체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피부자극물질(유해라디칼)의 발생을 유발하여 피부 자극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자극 및 염증을 감소시키고, 상기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 자체 때문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유해라디칼 등으로 인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항염증 및 피부자극완화 효능이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황금, 지유, 박하, 애엽, 진피, 구절초, 어성초, 포공영, 차조기, 백지, 상엽, 천궁, 백복령, 감초, 당귀, 형개, 살구씨, 자단향, 구기자, 산약, 홍화, 감국, 금은화 및 인진호 혼합 추출물로 이루어진 식물성 한약재와 천연 허브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미백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뛰어난 항산화효과,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및 항균활성 등을 나타내고 보습작용이 우수함을 확인하고, 이를 적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여 항노화작용, 미백작용, 항균작용 및 보습효과 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은, 황금 1 ~ 15 : 지유 1 ~ 15 : 박하 1 ~ 15 : 애엽 1 ~ 15 : 진피 1 ~ 15 : 구절초 1 ~ 15 : 어성초 1 ~ 15 : 포공영 1 ~ 15 : 차조기 1 ~ 15 : 백지 1 ~ 6 : 상엽 1 ~ 6 : 천궁 1 ~ 6 : 백복령 1 ~ 6 : 감초 1 ~ 6 : 당귀 1 ~ 6 : 형개 1 ~ 6 : 살구씨 1 ~ 3 : 자단향 1 ~ 3 : 구기자 1 ~ 3 : 산약 1 ~ 3 : 홍화 1 ~ 3 : 감국 1 ~ 3, 금은화 1 ~ 3 및 인진호 1 ~ 3 중량비(건조중량)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약재 및 천연 허브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5 범위의 저급 알콜 및 알콜 수용액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속썩은풀이라고도 하며, 후라보노이드(flavonoid), 우고닌(wogonin), 바이칼린(baicalin) 등의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는데, 약리 효과로는 심장 및 폐의 열을 내리게 하거나 기침 및 피를 멈추게 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피부에는 항알레르기, 항산화, 항염증 효과를 갖고 있고, 유해 산소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뿌리이다.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는 오이풀이라고도 하며,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장미목 장미과의 다년생 풀로 잎은 타원형의 쪽잎이 여러 개 모인 깃겹잎이다. 피로갈롤, 카테킨, 갈로카테킨 등의 탄닌질(Tannin)을 다량으로 함유하며, 다양한 테르페노이드(terpenoid), 몰식자산, 엘라그산, 시포닌, 스테릴, 쿼세틴, 캠페롤, 류코안토시안, 아스코르빈산, 루틴(rutin), 도코스테롤(daucosterol) 등을 포함하며, 수렴작용, 진통, 이뇨, 해열, 지혈, 강장, 상처 치료 작용 등이 있으며, 소화불량, 혈뇨, 출혈성 변통, 이질, 설사, 치질, 화상 등의 치료에 이용되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현재 한약재 중에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상귀소르배 래딕스(Sanguisorbae radix) 계열이 거의 유일하다고 보여진다. 수렴작용이 있어 지사작용을 하고 화상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문헌에 따르면, 이 약재는 피부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출물을 UV-B를 조사한 피부에 발라주면 UV-B에 의한 주름생성이나 탄력상실 등으로부터 피부가 보호된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추출물은 피부색소 침착에 관여하는 엔도테린-전환효소-1알파(endothelin-converting enzyme-1alpha)를 억제함으로써 UV-B에 의한 색소침착을 막는다고 한다(Hachiya A et al., 2001, Biol. Pharm. Bull. 24: 688-692). 또한 물 추출물은 피동적 피부과민증(PCA)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Shin TY et al., 2002,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4: 455-468).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유 추출물을 화장수에 첨가하여 기존의 한방 화장수가 가지고 있는 보습력에 더하여 UV에 의한 피부상해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더하였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뿌리이다.
박하(Menthae Herba)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로서, 박하유의 주성분인 멘톨은 도포제, 진통제, 흥분제, 건위제 등으로 약용하고, 치약, 사탕, 잼, 화장품, 담배 등에 향료나 청량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과 줄기이다.
애엽(艾葉)은 국화과의 황해쑥(Artemisia argyi), 쑥(A. pronceps. var. orientlis) 또는 산쑥(A. montana)의 잎 및 어린줄기를 말린 약재를 말하며, 애구초, 구초, 첨애, 애, 빙대, 의초, 황초, 애호 등으로 불리운다. 애엽은 기혈과 경맥을 따뜻하게 하므로 자궁과 하복부가 허약하고 차서 생기는 자궁 출혈, 임신 중 출혈, 토혈, 코피, 각혈에 지혈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하초가 허약하고 차며 복부에 냉감과 동통이 있는 증상 및 생리불순, 생리통, 대하 등에 사용하며, 습진, 피부가려움증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지혈작용, 억균작용, 기관지 평활근 이완작용, 진해거담작용, 수면작용, 자궁흥분유도작용, 과민성 쇼크 보호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과 줄기이다.
진피(陣皮)는 귤나무의 성숙한 과실인 귤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고 맛은 맵고 쓰다. 휘발성 정유, 헤스페리딘(플라본 배당체), 구연산, 비타민 B1,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비경, 폐경에 작용할 뿐만 아니라 간경, 위경에도 작용한다. 이기건비(理氣健脾), 조습화담(燥濕化痰)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 latilobum) 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다년생초이며, 구일초, 선모초, 들국화라고도 한다. 꽃이 달린 풀 전체를 치풍, 부인병, 위장병에 처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전초 부위이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쌍떡잎식물 후추목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비늘줄기는 건위, 정장, 화상에 사용하고, 씨는 한방에서 구자라 하여 비뇨의 약재로 사용하고, 연한 식물체는 식용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 줄기 및 뿌리이다.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민들레, 보개초, 포공초 등이라고도 한다. 봄에 어린잎을 나물로 먹으며 한방에서는 꽃피기 전의 식물체를 포공영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열로 인한 종창, 유방염, 인후염, 맹장염, 복막염, 급성간염, 황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전초 부위이다.
차조기(Perilla frutescens)는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초이며 소엽, 청자소라고도 불리우는 한방 생약의 한 종류로 진해, 진정, 진통, 이뇨 효과와 방부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꽃, 잎, 줄기이다.
백지(Angelica dahuricae)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초이며, 구릿대, 방향, 효, 부리, 택분, 백거, 대활, 독활이라고도 한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백지는 구릿대의 뿌리를 말하기도 한다. 항균작용, 진정, 진경, 진통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으며 두통과 치통 치료에 널리 사용되었다. 주요성분으로 쿠마린과 정유, 사포닌, 후라보노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뿌리이다.
상엽(Morus alba)은 뽕나무과의 뽕나무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잎을 의미하며, 발열, 두통, 안구충혈, 해수, 구갈, 피부 두드러기 등에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잎이다.
천궁(Cnidium officinale)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음위, 간질, 대하, 치풍 치료에 쓰고 보익제, 진정제, 진통제 및 강장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약재로 쓰는 천궁은 고르지 못한 혹 모양으로 덩어리를 이룬 뿌리줄기이다. 휘발성 정유, 알코올, 페놀성 물질, 새다논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뿌리줄기이다.
백복령(Poria cocos)은 담자균류 민주름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서 예로부터 한방 재료로 이용되어 온 약용 버섯이다. 약용으로 하는 것은 이 버섯이 땅 속의 소나무 뿌리에 만드는 균핵이며, 자실체는 균핵이 지표에 노출되었을 때 균핵의 표면에 드물게 형성된다. 이뇨제, 진정제, 강장제로서, 부종, 정신불안, 동계, 소화불량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백복령에 포함된 다당류의 일종일 파키만에 항종양성작용이 있다고 발표되기도 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자실체 부위이다.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 다년생 초본식물로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피부탄력, 주름개선, 피부보습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콜라겐 합성 및 히아론산 합성 증진효과가 우수하다. 감초의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글리시리친(glycyrrhizin), 후라보노이드(flavonoid), 마니톨(mannitol)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줄기, 잎 부위이다.
당귀(Angelica gigas)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방향성 초본인 당귀의 뿌리이다. 한약재 중 보혈제의 대표적인 생약으로 혈을 보하여 주고 청열작용과 혈의 흐름을 좋게 한다. 그래서, 빈혈이나 어혈로 인한 혈행 장애에서 오는 동통증에 크게 활용하고 있다. 또한, 장의 연동운동을 활발히 해주며, 체내의 가스를 원활히 배출시켜 충분한 영양 흡수를 돕는다. 데쿠르시놀, 데쿠르신, 나다케네틴, 움벨리페론, 베타-시토스테롤 및 기타 수용성 불휘발성 결정물질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뿌리이다.
형개(Schizonepeta tenuifolis)는 해열작용, 소염작용, 항균작용 및 지혈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멘쏜(D-menthone 및 DL-menthone), 알파-리모넨(α-limonene), 알파-피넨(α-pinene) 등을 주요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부위는 잎이다.
살구씨는 장미과(Rosaceae) 식물인 살구의 성숙한 종자로 성질은 따뜻하고 맛이 달고 쓰고 독이 없다. 기침이 나면서 기가 치미는 것, 폐기로 숨이 찬 것 등을 치료하고 해기(解肌)하여 땀이 나게 하며 개의 독을 없앤다고 알려져 있다.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여 피부진정 및 유연효과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자단향은 자단나무(Pterocarpus santalinus)를 잘게 깎아서 만든 향을 의미한다. 자단나무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에 속하는 상록 소교목으로 자단나무의 심재는 자줏빛으로 박달나무처럼 단단하여 자단이라 불린다. 자단나무의 심재는 생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동의보감에 따르면 지혈효과가 있어 금창, 창상 등의 예리한 금속으로 입은 상처에 가루내어 붙여 사용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산탈린(santalin) 이라는 붉은 색소 성분 외에 다양한 후라보노이드계,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구기자(Lycium chinense)는 마을 주변에 야생성으로 생육하고 있는 낙엽활엽 관목이고 토심 깊은 곳에 원줄기는 비스듬하게 기대며 끝이 밑으로 쳐져 잘 자라며 종자 등의 방법으로 쉽게 번식할 수 있다. 잎은 식용, 열매는 약용으로 이용하는데 열매를 구기자, 잎은 구기엽, 뿌리의 껍질은 지골피라고 하며, 열매에는 베타인, 과피에는 피살린, 잎에는 루틴이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A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인과 탄수화물, 단백질 등의 성분이 골고루 들어있다. 잎에는 혈관벽을 튼튼하게 하고 동맥경화를 막는 비타민 C가, 열매에는 혈액순환을 잘 되게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혈압을 낮추고 중풍을 예방할 수 있게 하며, 그 밖에 강장작용, 해열작용이 있으며, 당뇨 및 지방간 환자에 좋다. 특히 여성에게는 피부가 고와지고 기미도 없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어 예로부터 구기자 나무의 뿌리, 줄기, 잎, 열매를 미용제로 사용하여 왔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부위는 뿌리, 줄기, 잎 및 열매이다.
산약은 마(Disocoreaceae)과에 속하는 덩굴성 참마(Disocorea japonica) 또는 마(Disocorea batatas)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을 의미하며, 비기능을 높여 권태감, 무력감, 음식감소, 설사 등을 다스리며 폐음을 보해 해수, 천식, 가래를 없애고, 소갈증, 허리와 무릎 시린 증상, 유정, 조루증, 빈뇨, 신체허약과 빈혈, 사지마비 동통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관활동자극, 혈당강하, 항노화작용 등이 보고되고 있다.
홍화(Carthamus tinctorius)는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풀로서 홍람, 이꽃, 잇꽃, 잇나물이라고도 한다. 한방에서 부인병, 통경, 복통에 쓰며 종자에서 짠 기름에는 리놀산이 많이 들어 있어 콜레스테롤 과다에 의한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치료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꽃, 잎 부위이다.
감국(Chrysanthemum indicum)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며, 황국이라고도 불리운다. 가을에 꽃을 말려서 술에 넣어 마시고, 어린잎은 나물로 쓴다. 한방에서 열감기, 폐렴, 기관지염, 두통, 위염, 장염, 종기 등의 치료에 처방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꽃 부위이다.
금은화(Lonicera japonica)는 인동과(Capriofoliaceae)의 반상록덩굴성 관목식물로서, 인동초라고도 불리며, 억균작용, 면역 부활작용, 소염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항암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전통적인 한약재로서 주요 성분으로는 루리세린, 후라보노이드, 탄닌, 알칼로이드, 루테루닌, 이노시톨, 사포닌, 로니세린 및 루테오린 성분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꽃 부위이다.
인진호는 국화과의 사철쑥(Artemisia capillaris)의 지상부를 말린 약재를 말하며, 급성간염으로 발연, 전신황색, 소변이 붉고 적은 증상 등에 사용한다. 또한 만성간염, 간경변증, 간암, 담낭염, 담낭결석에도 사용한다. 습진, 옴, 버짐, 풍진 등의 피부질환과 돌림병으로 열이 몹시 나고 발광하는 증상에도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담즙 분비 촉진 작용, 간기능 보호작용, 간세포 재생작용, 지질 분해작용, 관상 동맥 확장작용, 혈압 강하작용, 해열, 이뇨 작용, 항미생물 작용, 실험성복수암 세포 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위는 지상부이다.
상기한 황금, 지유, 박하, 애엽, 진피, 구절초, 어성초, 포공영, 차조기, 백지, 상엽, 천궁, 백복령, 감초, 당귀, 형개, 살구씨, 자단향, 구기자, 산약, 홍화, 감국, 금은화 및 인진호를 포함하는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를 해당 중량비로 혼합한 후, 추출용매로서 알콜을 사용할 경우에는 알콜을 상기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의 1 내지 30 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배 부피량을 사용하여, 10 내지 80 ℃, 바람직하게는 실온에서 0.5 내지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로서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물을 상기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의 1 내지 30 배, 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15 배 부피량을 사용하여 3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의 추출 온도에서 0.5 내지 10 시간, 바라직하게는 1 내지 5 시간 침적,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한 후 추출액을 원심분리 및 여과, 농축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미백활성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뛰어난 항산화효과, 티로시나제 저해활성, 및 항균활성 등을 나타내고 보습작용이 우수하여, 항노화작용, 미백작용, 항균작용 및 보습효과 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할 것으로 예측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은 한방 화장료 조성물 중 5 ~ 2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0 ~ 15 중량% 범위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한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와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하여도 무방하며, 이러한 성분들로는 예를들어 유지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분체, 방부제, 살균제, 산화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항료, 냉감제, 제한제, 정제수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현탁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세정료, 및 모발화장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바디크림, 핸드크림, 비누, 클린징 크림, 클린징 폼, 클린징 워터, 바디클린저, 샴푸, 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파운데이션, 파우더, 에센스 및 팩 등 중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방재료로 사용되는 식물성 한약재와 천연 허브 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이 없고, 항산화 활성 및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우수한 성분들을 사용하여 미백 효과가 탁월하여 주름 생성 등의 피부 노화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방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되어 일상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황금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을 수득하는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황금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지유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금은화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감국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구절초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포공영 추출물 및 용매별 분획의 항균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화장수 시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은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한방비누 시제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에 의해 얻어진 한방마스크 팩 사용 전후의 얼굴 부위별 피부에 대한 수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4에 의해 얻어진 한방 CP비누 사용 전후의 얼굴 부위별 피부에 대한 수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 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다음 실시예 및 실험예 등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물의 명칭은 판매되는 생약명칭을 따랐으며, 원산지 증명 및 검사를 필한 것들만 판매상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추출물 제조 및 각 유기용매분획 제조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첨부도면 도 1 참조].
즉, 일정량의 건조된 식물을 잘게 부순 후 여기에 알콜과 물 혼합액을 일정량 가하여 가온하면서 추출하고[65 ℃, 24 시간], 거즈로 여과한 후 다시 알콜과 물의 혼합액 일정량 가하여 동일한 과정으로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후 이를 다시 거즈로 1차 여과한 다음 유리섬유 필터(glass fiber filter)를 사용하여 여과하여 얻은 여액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하에서 증발건조한 후 여기에 물을 가하고 다시 노르말 헥산(n-hexane)을 가하여 진탕한 후 층이 분리되도록 방치하였다. 층이 완전히 분리된 후 헥산층을 취하고, 이렇게 분리된 헥산층을 모아 회전식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서 증발건고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차례대로 물층에 클로르포름,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을 가하여 분획화(fractionation)하였다. 각 유기용매 분획들은 회전식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서 증발건고한 후 여기에 알콜을 가하여 녹인 후 1차로 유리 섬유 필터(glass fiber filter)를 통해 여과하고, 다시 이어서 0.45 μm 필터를 통하여 여과시켜 얻은 여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하에서 증발건고시킨 후 얻은 고형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들 고형물에 알콜을 가하여 고형물로서 10 mg/mL이 되도록 하여 이후의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알콜에 녹인 추출물은 냉장보관하였다.
이하에서 주요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의 추출물을 얻은 수 이들의 항산화활성, 미백활성 및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제조예 1-1. 황금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시료 황금 100 g을 도 1에 제시된 바에 준하여 80% 메탄올 1000㎖로 70℃ 수조(water bath)에서 16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고 그 여과액 300㎖을 농축하여 메탄올 80% 추출물과 헥산 분획(n-hexane fr.), 클로로포름 분획(chloroform fr.), 에칠 아세테이트 분획(ethyl acetate fr.) 및 부탄올 분획(n-butanol fr.)으로 계통분획 분리하여 각 분획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로 감압농축하였다.
제조예 1-2. 지유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시료 지유 100 g을 도 1에 제시된 바에 준하여 50% 에탄올 1000㎖로 70℃ 수조(water bath)에서 16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고 그 여과액 300㎖을 농축하여 메탄올 80% 추출물, 헥산 분획(n-hexane fr.), 클로로포름 분획(chloroform fr.), 에칠 아세테이트 분획(ethyl acetate fr.) 및 부탄올 분획(n-butanol fr.)으로 계통분획 분리하여 각 분획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rotary vaccum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였다.
단, 지유 추출분획 중 헥산 분획은 2개의 맑은층과 가루층으로 나뉘어져서 이들을 각각 분리 농축하였다.
제조예 1-3. 금은화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시료 금은화 100 g을 도 1에 제시된 바에 준하여 80% 메탄올 1000㎖로 70℃ 수조에 16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고 그 여과액 300㎖을 농축하여 메탄올 80% 추출물, 헥산 분획(n-hexane fr.), 클로로포름 분획(chloroform fr.), 에칠 아세테이트 분획(ethyl acetate fr.) 및 부탄올 분획(n-butanol fr.)으로 계통분획 분리하여 각 분획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로 감압농축하였다.
제조예 1-4. 감국 , 구절초 및 포공영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시료 감국, 구절초 및 포공영을 각각 100 g씩 준비하고, 도 1에 제시된 바에 준하여 80% 메탄올 1000㎖로 70℃ 수조에 16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하고 그 여과액 300㎖을 농축하여 메탄올 80% 추출물, 헥산 분획(n-hexane fr.), 클로로포름 분획(chloroform fr.), 에칠 아세테이트 분획(ethyl acetate fr.) 및 부탄올 분획(n-butanol fr.)으로 계통분획 분리하여 각 분획을 회전식 진공 증발기로 감압농축하여, 감국, 구절초 및 포공영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항산화 활성도 측정
실험예 1-1. 황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 측정
황금 추출물을 1mg/ml 농도가 되게 메탄올(MeOH)에 녹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96 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시료 100㎕와 150uM DPPH 용액을 150㎕ 넣은 그룹A와 시료 100㎕와 MeOH 150㎕를 넣은 그룹B를 나누어 실험하였다. 또한, 25㎍/ml 농도의 아스코르브산 용액(Ascorbic acid solution) 100㎕를 시료 대신 사용하여 실험하였고, 이들을 표준용액(standard substance(=positive-control))으로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MeOH 100㎕에 DPPH 용액 150㎕를 넣은 것을 그룹C(Control)로, MeOH 250㎕만을 넣은 것을 그룹D(Control-blank)로 하여 실험하였다. 마지막으로 37℃에서 30 분 동안 반응시킨 후 518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율(전자공여능)은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7238332-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A(Abs sample)는 약물 + DPPH 용액이 들어있는 웰(well)의 흡광도이고, B(Abs blank)는 약물 + MeOH이 들어있는 웰의 흡광도이며, C(Abs control)는 control + DPPH 용액이 들어있는 웰의 흡광도이고, D(Abs c-blank)는 control + MeOH이 들어있는 웰의 흡광도이다.
황금 DPPH(+) 평균
(A)
DPPH(-) 평균
(B)
전자
공여능*
표준
편차
1 2 3 1 2 3
1 0.074 0.076 0.076 0.075 0.038 0.039 0.039 0.039 95.9 0.0012
2 0.078 0.081 0.082 0.080 0.042 0.044 0.044 0.043 95.8 0.0021
3 0.078 0.080 0.081 0.080 0.045 0.046 0.046 0.046 96.2 0.0015
4 0.078 0.080 0.081 0.080 0.043 0.044 0.045 0.044 96.0 0.0015
5 0.073 0.073 0.074 0.073 0.038 0.039 0.040 0.039 96.1 0.0006
control 0.914 0.926 0.937 0.926 0.036 0.037 0.038 0.037 0.0 0.0115
* : 전자공여능은 {1-(A-B)/(C-D}× 100에 의하여 계산함.
실험예 1-2. 지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 측정
황금 대신 지유를 동량 사용하고,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지유 DPPH(+) 평균
(A)
DPPH(-) 평균
(B)
전자
공여능*
표준
편차
1 2 3 1 2 3
1 0.111 0.118 0.118 0.116 0.080 0.080 0.080 0.080 96.0 0.0040
2 0.823 0.835 0.827 0.828 0.039 0.040 0.038 0.039 11.2 0.0061
3 0.087 0.089 0.087 0.088 0.043 0.045 0.043 0.044 95.1 0.0012
4 0.086 0.089 0.088 0.088 0.045 0.047 0.047 0.046 95.4 0.0015
5 0.137 0.139 0.142 0.139 0.088 0.093 0.094 0.092 94.6 0.0025
6 0.144 0.153 0.154 0.150 0.099 0.106 0.109 0.105 94.9 0.0055
control 0.914 0.926 0.937 0.926 0.036 0.037 0.038 0.037 0.0 0.0115
* : 전자공여능은 {1-(A-B)/(C-D}× 100에 의하여 계산함.
실험예 1-3. 금은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도 측정
황금 대신 금은화를 동량 사용하고,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금은화 DPPH(+) 평균
(A)
DPPH(-) 평균
(B)
전자
공여능*
표준
편차
1 2 3 1 2 3
1 0.080 0.082 0.082 0.081 0.042 0.043 0.041 0.042 95.6 0.0012
2 0.598 0.587 0.589 0.591 0.095 0.102 0.101 0.099 44.4 0.0059
3 0.173 0.160 0.158 0.164 0.076 0.081 0.081 0.079 90.5 0.0081
4 0.075 0.076 0.076 0.076 0.040 0.042 0.042 0.041 96.1 0.0006
5 0.076 0.077 0.078 0.077 0.040 0.042 0.041 0.041 95.9 0.0010
control 0.917 0.928 0.925 0.923 0.038 0.039 0.038 0.038 0.0 0.0057
* : 전자공여능은 {1-(A-B)/(C-D}× 100에 의하여 계산함.
실험예 2. 미백 활성도 측정
실험예 2-1. 황금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측정
황금 추출물을 10mg/ml 농도가 되게 메탄올에 녹여 시료를 준비하였다. 96 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시료 10㎕, 0.1M 인산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7.0)에 녹인 티로시나제(Tyrosinase) 20U/170㎕, 및 6mM L-DOPA 20㎕를 순서대로 넣고 37℃에서 1분 동안 반응한 뒤 엘리사 판독기(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0.1M 인산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7.0) 10㎕를 시료 대신 사용하여 실험 하였다. 미백활성을 위한 티로시나제(Tyrosinase) 활성 저해율은 다음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0017238332-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A는 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이고, B는 시료액에 티로시나제 대신 인산 완충용액으로 대체하여 측정한 흡광도이며, C는 공시료액의 반응 후의 흡광도이고, D는 공시료액에 티로시나제 대신 인산 완충용액으로 대체하여 측정한 흡광도이다.
황금 티로시나제(+) 평균
(A)
티로시나제(-) 평균
(B)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
표준
편차
1 2 3 1 2 3
1 0.091 0.091 0.090 0.091 0.071 0.072 0.073 0.072 97.1 0.0006
2 0.582 0.626 0.623 0.610 0.450 0.297 0.365 0.371 62.9 0.0246
3 0.765 0.682 0.730 0.726 0.509 0.752 0.586 0.616 83.0 0.0417
4 0.616 0.560 0.566 0.581 0.309 0.316 0.393 0.339 62.6 0.0307
5 0.686 0.656 0.664 0.669 0.069 0.071 0.078 0.073 7.7 0.0155
control
(MeOH
0.732 0.701 0.713 0.715 0.069 0.070 0.068 0.069 -0.1 0.0156
황금
(mix)
티로시나제(+) 평균
(A)
티로시나제(-) 평균
(B)
티로시나제
활성제해율
표준편차
1 2 3 1 2 3
1 0.098 0.095 0.096 0.096 0.544 0.358 0.421 0.441 147.3 0.0015
2 0.655 0.724 0.712 0.697 0.073 0.075 0.077 0.075 14.6 0.0369
3 0.844 0.753 0.843 0.813 0.570 0.748 0.710 0.676 81.1 0.0523
4 0.649 0.659 0.625 0.644 0.375 0.368 0.411 0.385 64.3 0.0175
5 0.765 0.702 0.737 0.735 0.072 0.074 0.077 0.074 9.3 0.0316
control
(MeoH)
0.850 0.764 0.778 0.797 0.069 0.069 0.069 0.069 0.0 0.0461
* :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은 {1-(A-B)/(C-D)}× 100에 의하여 계산함.
실험예 2-2. 지유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측정
황금 대신 지유를 동량 사용하고,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지유 티로시나제(+) 평균
(A)
티로시나제(-) 평균
(B)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
표준
편차
1 2 3 1 2 3
1 0.555 0.576 0.575 0.569 0.132 0.139 0.140 0.137 33.2 0.0118
2 0.633 0.616 0.641 0.630 0.072 0.081 0.089 0.081 15.0 0.0128
3 0.655 0.639 0.593 0.629 0.080 0.083 0.069 0.077 14.6 0.0322
4 0.533 0.542 0.687 0.587 0.103 0.111 0.069 0.094 23.7 0.0864
5 0.568 0.605 0.543 0.572 0.188 0.198 0.222 0.203 42.8 0.0312
6 0.641 0.638 0.657 0.645 0.167 0.147 0.119 0.144 22.4 0.0102
control
(MeOH)
0.732 0.701 0.713 0.715 0.069 0.070 0.068 0.069 -0.1 0.0156
지유
(mix)
티로시나제(+) 평균
(A)
티로시나제(-) 평균
(B)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
표준
편차
1 2 3 1 2 3
1 0.678 0.711 0.662 0.684 0.139 0.161 0.158 0.153 27.1 0.0250
2 0.763 0.710 0.765 0.746 0.071 0.075 0.078 0.075 7.8 0.0312
3 0.820 0.722 0.730 0.757 0.080 0.082 0.070 0.077 6.6 0.0544
4 0.616 0.602 0.769 0.662 0.115 0.120 0.069 0.101 22.9 0.0926
5 0.630 0.648 0.587 0.622 0.216 0.267 0.276 0.253 49.4 0.0313
6 0.681 0.674 0.688 0.681 0.177 0.161 0.145 0.161 28.6 0.0070
control
(MeoH)
0.850 0.764 0.778 0.797 0.069 0.069 0.069 0.069 0.0 0.0461
* :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은 {1-(A-B)/(C-D)}× 100에 의하여 계산함.
실험예 2-3. 금은화 추출물의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 측정
황금 대신 금은화를 동량 사용하고, 상기 실험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금은화 티로시나제(+) 평균
(A)
티로시나제(-) 평균
(B)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
표준
편차
1 2 3 1 2 3
1 0.618 0.570 0.616 0.601 0.073 0.071 0.074 0.073 27.4 0.0272
2 1.068 0.925 1.153 1.049 0.500 0.506 0.748 0.585 36.3 0.1152
3 0.609 0.595 0.611 0.605 0.088 0.098 0.100 0.095 30.0 0.0087
4 0.488 0.502 0.559 0.516 0.076 0.081 0.084 0.080 40.1 0.0376
5 0.633 0.656 0.651 0.647 0.071 0.073 0.072 0.072 21.1 0.0121
control
(MeOH)
0.886 0.759 0.744 0.796 0.068 0.069 0.068 0.068 0.0 0.0760
금은화
(mix)
티로시나제(+) 평균
(A)
티로시나제(-) 평균
(B)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
표준편차
1 2 3 1 2 3
1 0.727 0.630 0.736 0.698 0.073 0.073 0.076 0.074 16.5 0.0588
2 0.976 1.043 1.081 1.033 0.428 0.562 0.524 0.505 29.2 0.0532
3 0.698 0.648 0.681 0.676 0.093 0.098 0.100 0.097 22.5 0.0254
4 0.622 0.615 0.641 0.626 0.080 0.082 0.083 0.082 27.1 0.0135
5 0.746 0.749 0.772 0.756 0.073 0.074 0.075 0.074 8.7 0.0142
control
(MeoH)
0.883 0.756 0.807 0.815 0.069 0.068 0.069 0.069 0.0 0.0639
* : 티로시나제 활성저해율은 {1-(A-B)/(C-D)}× 100에 의하여 계산함.
실험예 3. 항균활성 측정
상기 제조예 1-1 내지 1-4에 의하여 얻어진 황금, 지유, 금은화, 감국, 구절초 및 포공영 추출물, 또는 이들의 용매별 분획의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항균활성은 페이퍼 디스크 디퓨전 에세이(paper disc diffusion assay)법으로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메탄올에 녹여져 있는 각 추출분획 50 ㎕를 취하여 직경 10 mm인 페이퍼 디스크에 가하였다. 이 디스크를 미생물이 접종되어 있는 배지위에 놓았다.
시험대상으로 한 미생물은 그람 양성균 1종 (Staphylococcus aureus), 그람음성균 2종 (Escherichia coli , Pseudomonas aeruginosa), 진균류 2종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niger)이었으며, 이들을 다음 표 7에 나열하였다.
진균 배양을 위해서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즈 아가(Potato Dextrose Agar, PDA) 배지를 사용하고, 박테리아 배양에는 트립틱 소이 아가(Tryptic Soy Agar, TSA) 배지를 사용하였다. 미생물을 접종한 배지는 30 ℃에서 24시간 혹은 그 이상 배양하였다. 이들에 대한 항균력 결과는 첨부 도면에 각각 나타내었다.
분류 미생물명
Gram (+)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Rosenbach (ATCC 6538)
Gram (-) bacteria Escherichia coli (Migula) Castellani and Chalmers (ATCC 8739)
Pseudomonas aeruginosa (Schroeter) Migula (ATCC 9027)
Fungi Candida albicans (Robin) Berkhout (ATCC 10231)
Aspergillus niger (ATCC 8642)
Cryotococcus neoformans
도 2에는 황금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2에 의하면 황금 추출물 중 특히 헥산 분획(n-hexane fr.), 에칠 아세테이트 분획(ethyl acetate fr.), 부탄올 분획(n-butanol fr.)이 C. albicans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는 지유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에 의하면 지유 추출물 중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chloroform fr.)분획이 C. albicans , P. aeruginosa, A. niger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4에 의하면 금은화 추출물 중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chloroform fr.), 에칠 아세테이트 분획(ethyl acetate fr.)이 각각 P. aeruginosa , C. albicans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감국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국의 경우에는 메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및 에칠아세테이트 분획에서 S. aureus 에 대한 분명한 미생물 성장저해활성을 보였다. 그 외 부탄올 분획은 C. albicans 에 대해서도 성장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6에는 구절초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절초의 경우에는 클로르포름 분획이 특히 활성을 뚜렷하게 나타내었는데, 구절초의 클로르포름 분획은 Pseudomonas aeruginosa 와 기회감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는 C. neoformans 에 대해서 미생물 성장 저해효과를 보였다.
도 7에는 포공영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공영(민들레)의 경우는 더욱 뚜렷한 미생물 성장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S. aureus , P. aeruginosaE. coli 에 대해 성장억제활성을 보였으며, 진균류에 대해서도 성장저해활성을 보였다.
제조예 2.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이하, 실시예에서 사용한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는, 황금, 지유, 박하, 애엽, 진피, 구절초, 어성초, 포공영, 차조기(이상 각 8g), 백지, 상엽, 천궁, 백복령, 감초, 당귀, 형개(이상 각 4g), 살구씨, 자단향, 구기자, 산약, 홍화, 감국, 금은화, 및 인진호(이상 각 2g)(건조중량)이다.
상기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의 혼합물 총 중량의 10 배량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상온에서 12 시간 침지하였다. 상등액과 침전물을 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같은 방법으로 3 회 반복 추출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한 후, 원심분리,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시료를 얻었다.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다음 화장료 및 세정제 성분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화장수의 제조
한방화장수의 제조시 사용된 원료 및 함량은 다음 표 8 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하기 A 상의 성분들을 수욕상에서 65℃ 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B 상의 원료들을 랩으로 봉한 후 수욕상에서 완전용해시킨 다음 상기 A 상과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이를 3분간 교반한 다음 45℃에서 C 상의 원료들을 투입하였으며 냉각시켜 한방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2 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다. 도 8에 제조된 한방화장수의 시제품 사진을 나타내었다.
원료명 함량(g)
A 상 1,3-butylene glycol 3
Glycerin 2
EDTA-2Na 0.05
Allantoin 0.05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혼합 추출물 10
DI-water TO 100
B 상 Ethanol 10
Methyl Paraben 0.1
PEG-60 Hydrogenated caster oil(HCO-60) 0.5
Fragrance(+세신 5 drops) 0.2
C 상 Citric acid 0.01
Hyaluonate-Na 2
실시예 2. 투명 점성 타입 에센스의 제조
투명 점성 타입 에센스의 제조시 사용된 원료 및 함량은 다음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하기 A 상의 성분들을 수욕상에서 80 ℃ 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A-1 상의 성분을 투입하였다. B 상의 원료들을 랩으로 봉한 후 수욕상에서 완전용해시킨 다음 상기 A 상과 A-1 상의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이를 3분간 교반한 다음 냉각하여 35 ℃에서 C 상의 원료들을 투입하였으며 냉각시켜 투명 점성 타입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2 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다.
원료명 함량(g)
A 상 P.G or 1,3-butylene glycol 11
Glycerin 4
EDTA-2Na 0.05
Allantoin 0.05
Methyl Paraben 0.2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혼합 추출물 10
DI-water TO 100
A-1 상 Xanthan gum(2%) 20
B 상 PEG(poly Ethylene Glycol) 0.5
Fragrance(+세신 5 drops) 0.2
C 상 Citric acid 0.02
DI-water 4
실시예 3. 한방 마스크 팩의 제조
한방 마스크팩은 유상과 수상을 유화하여 에센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수상에 적당량 (약 5%)의 허브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그 기능성을 높였다.
즉, 한방 마스크팩의 제조시 사용된 원료 및 함량은 다음 표 10 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하기 A 상의 성분들을 수욕상에서 80 ℃ 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여기에 A-1 상의 성분을 투입하였다. B 상의 원료들을 랩으로 봉한 후 수욕상에서 완전용해시킨 다음 상기 A 상과 A-1 상의 혼합물에 교반하면서 천천히 첨가하고 이를 3분간 교반한 다음 냉각하여 35 ℃에서 C 상의 원료들을 투입하였으며 냉각시켜 얻은 투명 점성 타입 에센스를 마스크팩으로 활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2 에 의하여 제조된 것이다.
원료명 함량(g)
A 상 P.G or 1,3-butylene glycol 11
Glycerin 4
EDTA-2Na 0.05
Allantoin 0.05
Methyl Paraben 0.2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혼합 추출물 10
DI-water TO 100
A-1 상 Xanthan gum(2%) 20
B 상 PEG(poly Ethylene Glycol) 0.5
Fragrance(+세신 5 drops) 0.2
C 상 Citric acid 0.02
DI-water 4
실시예 4. 한방 CP 비누의 제조
천연비누는 CP(cold process)비누로서, 올리브유를 주성분으로 하여 5종류의 오일을 활용하여 비누화 시킨 것으로 비누화과정에서 물이 들어가는 약 30 내지 40%의 부분을 허브추출물로 사용하여 기능성을 높였다. 도 9에 제조된 한방비누 시제품의 사진을 나타내었다.
즉, 가성소다 4g과 상기 제조예 2에 의하여 얻어진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추출물 10 g을 혼합하여 가성소다를 녹이고 45 ~ 50 ℃까지 냉각시킨 다음 베이스 오일 86 g을 45 ~ 50 ℃까지 가온하여 혼합하고, 한쪽 방향으로 계속 교반하면서 트레이스가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트레이스가 되었는지 확인하고 기타 기능성 첨가물을 넣고 고루 섞이도록 잘 저어준 다음 에센셜 오일을 넣은 다음 혼합하여 트레이스 되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고, 준비된 틀에 부어서 하루에서 이틀정도 보온하면서 저온숙성시켜 한방 CP 비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1. 식물성 한약재 및 천연 허브 혼합 추출물에 의한 보습 효과 측정
상기 실시 예 3과 실시 예 4에 의해 얻어진 한방마스크 팩과 한방 CP비누 사용 전후의 피부(U zone과 T zone)에 대한 수분 측정 결과를 도 10 과 도 11에 각각 나타내었다.
수분 측정은 피부수분 측정기를 사용하였으며, 피부수분 측정기는 피부의 전기전도도에 따른 피부의 수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기계로, 수분함량의 정도에 따라 피부의 상태와 종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표피의 수분함량에 따라 화장품에 대한 효과도 알아낼 수 있는 기기다.
수분 측정 결과치의 경우 20.1 내지 29.9는 매우 낮음(low very low)에 해당되며, 30.0 내지 49.9는 보통(normal)에 해당되는데, 그중 30.0 내지 35.0은 낮은 보통(low normal), 35.1 내지 40.0은 중간 보통(mid normal), 40.1 내지 44.9는 높은 보통(high normal)을 나타낸다.
도 10의 결과를 보면 한방 마스크 팩의 경우 사용하기 전보다 사용후 훨씬 높은 수분량 측정값이 나타났으며, 도 11의 결과 또한 한방 CP 비누에 의한 수분측정값이 일반 대조 비누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삭제

Claims (4)

  1. 혼합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황금 1 ~ 15 : 지유 1 ~ 15 : 박하 1 ~ 15 : 애엽 1 ~ 15 : 진피 1 ~ 15 : 구절초 1 ~ 15 : 어성초 1 ~ 15 : 포공영 1 ~ 15 : 차조기 1 ~ 15 : 백지 1 ~ 6 : 상엽 1 ~ 6 : 천궁 1 ~ 6 : 백복령 1 ~ 6 : 감초 1 ~ 6 : 당귀 1 ~ 6 : 형개 1 ~ 6 : 살구씨 1 ~ 3 : 자단향 1 ~ 3 : 구기자 1 ~ 3 : 산약 1 ~ 3 : 홍화 1 ~ 3 : 감국 1 ~ 3 : 금은화 1 ~ 3 : 및 인진호 1 ~ 3 중량부(건조중량)로 혼합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 5 범위의 저급 알콜 및 알콜수용액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한방 화장료 조성물 중 5 ~ 20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방 화장료 조성물은 유액, 현탁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세정료, 및 모발화장료 중에서 선택된 제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24243A 2010-03-18 2010-03-18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233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243A KR101233857B1 (ko) 2010-03-18 2010-03-18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243A KR101233857B1 (ko) 2010-03-18 2010-03-18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42A KR20110105142A (ko) 2011-09-26
KR101233857B1 true KR101233857B1 (ko) 2013-02-15

Family

ID=4495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243A KR101233857B1 (ko) 2010-03-18 2010-03-18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8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309B1 (ko) 2015-05-20 2016-05-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719124B1 (ko) 2016-12-12 2017-03-23 주식회사 라임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4764B1 (ko) 2017-09-25 2019-04-1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20210031264A (ko) * 2019-09-11 2021-03-19 (주)브로컬리컴퍼니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1992A (ko)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새비 차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또는 항주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84B1 (ko) * 2011-12-28 2018-08-16 유은미 구절초 및 아로니아로 구성되는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67479B1 (ko) * 2012-04-20 2018-06-15 (주)아모레퍼시픽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57972B1 (ko) * 2012-12-21 2014-11-06 대한민국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1710A (ko) * 2013-11-05 2015-05-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18674B1 (ko) * 2015-11-18 2022-07-07 팅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중약 유래 바디 워시 모액
KR102303644B1 (ko) * 2019-06-21 2021-09-17 백양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9858B1 (ko) * 2020-05-12 2021-01-08 (주)지에프씨생명과학 한방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083223A (ja) * 2021-12-03 2023-06-15 住友化学株式会社 気虚及び/又は血虚に関連する症状の予防、改善又は緩和のための組成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222A (ko) * 2004-04-13 2005-10-18 주식회사 참 존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지유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3651A (ko) * 2007-02-02 2007-07-1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222A (ko) * 2004-04-13 2005-10-18 주식회사 참 존 주름 생성 억제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지유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73651A (ko) * 2007-02-02 2007-07-10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박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309B1 (ko) 2015-05-20 2016-05-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719124B1 (ko) 2016-12-12 2017-03-23 주식회사 라임 천연광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4764B1 (ko) 2017-09-25 2019-04-17 주식회사 익스플즌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20210031264A (ko) * 2019-09-11 2021-03-19 (주)브로컬리컴퍼니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89943B1 (ko) 2019-09-11 2021-08-13 (주)브로컬리컴퍼니 구절초, 겨우살이, 바위손, 쇠비름 및 소엽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61992A (ko) 2021-05-31 2022-12-07 주식회사 새비 차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항염, 또는 항주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142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5004B1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83343B1 (ko)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피부외용제
KR101471818B1 (ko)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4719A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80090806A (ko) 천연 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1549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04898B1 (ko) 강화사자발쑥 등의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과를 갖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7013693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Poudel et al. Terminalia chebula Retz.
KR102585726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87446B1 (ko) 아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il-s를 포함하는 항균, 보습, 가려움개선, 세라마이드증가, 항염 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0708552B1 (ko) 특정의 복합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