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454B1 - 차량용 전조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조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39454B1 KR101239454B1 KR1020100125109A KR20100125109A KR101239454B1 KR 101239454 B1 KR101239454 B1 KR 101239454B1 KR 1020100125109 A KR1020100125109 A KR 1020100125109A KR 20100125109 A KR20100125109 A KR 20100125109A KR 101239454 B1 KR101239454 B1 KR 101239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shade
- irradiation
- vehicle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8—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 F21S41/68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screens by moving screens
- F21S41/689—Flaps, i.e. screens pivoting around one of their ed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와 동등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광원의 수를 저감하여 심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는, 투영 렌즈(20)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제1 조사 영역(100a)을 형성할 수 있는 벌브(14a)와, 투영 렌즈(20)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광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제1 조사 영역(100a)과 나란히 연결되는 제2 조사 영역(100b)을 형성할 수 있는 벌브(14b)와, 적어도 제1 조사 영역(100a)과 제2 조사 영역(100b)이 연결되는 오버랩부(100c)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으로의 광을 차광하는 위치와, 단부 영역으로의 조사를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쉐이드(12)와, 벌브(14a, 14b), 가동 쉐이드(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벌브(14a) 및 벌브(14b)의 점소등 상태와 가동 쉐이드(12)의 이동 상태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배광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사 상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는, 투영 렌즈(20)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제1 조사 영역(100a)을 형성할 수 있는 벌브(14a)와, 투영 렌즈(20)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광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제1 조사 영역(100a)과 나란히 연결되는 제2 조사 영역(100b)을 형성할 수 있는 벌브(14b)와, 적어도 제1 조사 영역(100a)과 제2 조사 영역(100b)이 연결되는 오버랩부(100c)를 포함하는 단부 영역으로의 광을 차광하는 위치와, 단부 영역으로의 조사를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쉐이드(12)와, 벌브(14a, 14b), 가동 쉐이드(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벌브(14a) 및 벌브(14b)의 점소등 상태와 가동 쉐이드(12)의 이동 상태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배광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조사 상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전조등 장치, 특히 배광 패턴을 가변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쉐이드에 의해 차광함으로써 로우빔을 형성하고, 쉐이드에 의해 차광하지 않는 경우에 하이빔을 형성하는 배광 가변 타입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가 있다. 또한, 최근의 차량의 고성능화에 따라 전조등도 주위 상황에 따라 표준적인 로우빔이나 하이빔과는 형상이 다른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전조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히 하이빔의 경우, 운전자의 시계를 향상시키는 한편, 대향차나 보행자에 대한 글레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차량용 등기구는, 보행자, 선행차, 또는 대향차의 유무에 따라 하이빔의 조사 영역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차량용 등기구의 경우,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각각의 광원이 상이한 영역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개의 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조합함으로써, 예를 들어 보행자가 존재하는 부분의 조사를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3개의 광원을 탑재하여 3개의 개별적인 조사 영역을 형성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3개의 광원을 제어하여 전체 점등 상태, 2개 점등 상태, 1개 점등 상태, 전체 소등 상태를 형성하여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의 차량용 등기구의 경우, 점소등을 하고자 하는 영역마다 광원이 필요하게 되어, 케이스의 대형화, 부품 비용의 증가, 제어의 번잡화 등을 초래하였다. 또한, 광원의 증가에 따라 필요 전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개선한 심플한 구조의 차량용 전조등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와 동등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광원의 수를 저감하여 심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는, 투영 렌즈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제1 조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제1 광원과, 투영 렌즈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광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제1 조사 영역과 나란히 연결되는 제2 조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광원과, 적어도 제1 조사 영역과 제2 조사 영역이 연결되는 연결 부분으로의 광을 차광하는 위치와, 연결 부분으로의 조사를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쉐이드와,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점소등 상태와 가동 쉐이드의 이동 상태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배광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제1 광원의 점소등에 의해 제1 조사 영역의 조사 상태의 제어가 가능해지고, 제2 광원의 점소등에 의해 제2 조사 영역의 조사 상태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 쉐이드에 의해 제1 조사 영역과 제2 조사 영역과의 연결 부분으로의 광을 차광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연결 부분의 조사 상태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즉, 광원의 수보다 많은 수의 영역의 조사 상태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조사 제어가 가능한 영역수와 동일한 수의 광원을 이용했던 종래에 비하여 광원수를 저감할 수 있어, 케이스의 소형화, 부품 비용의 경감, 제어의 심플화, 필요 전력의 경감이 가능해진다.
가동 쉐이드는 측면에 반사부를 가지며, 반사부에 입사한 광을 제1 조사 영역 또는 제2 조사 영역으로 유도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반사부에 입사한 광을 제1 조사 영역 또는 제2 조사 영역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반사광이 유도된 영역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광원의 능력을 바꾸지 않고서도 광량을 늘릴 수 있게 되어, 배광 패턴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반사광을 유도하는 방향이나 반사광의 양은 반사부의 형상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제1 광원과 제2 광원의 사이에서 광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 조사 영역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와 제2 조사 영역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에서의 세로 방향의 커트라인을 정하는 영역 커트 부재를 포함해도 좋다. 가동 쉐이드의 반사부는, 영역 커트 부재의 광축 방향 전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영역 커트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광원만을 점등한 경우 제1 조사 영역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에서의 세로 방향의 형상을 명확하게 하여 아래로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밝기가 점차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광원만을 점등한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가동 쉐이드의 반사부로 영역 커트 부재의 광축 방향 전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제1 조사 영역이나 제2 조사 영역에서의 특정 부분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부분측의 단부에서 세로 방향의 커트라인 부근의 광량을 증가시키면, 차광 영역과의 명암(明暗)이 보다 명확해져 운전자의 전방 인식도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1 조사 영역과 제2 조사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차광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 쉐이드를 주위에 복수 갖는 회전식 쉐이드를 더 포함해도 좋다. 가동 쉐이드는 회전식 쉐이드의 일부에 형성되고, 가동 쉐이드 또는 능선 쉐이드는, 회전식 쉐이드의 회전에 의해 차광 상태를 변화시켜도 좋다. 회전 쉐이드를 이용함으로써 쉐이드 형상을 복수 갖는 것이 가능해져, 광원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배광 패턴의 종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동 쉐이드의 투영 렌즈측에는, 상기 투영 렌즈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래광이 제1 광원측 및 제2 광원측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래광이 광원 및 그 주변 부품에 미치는 열영향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별도의 부품을 설치하지 않고도 광원의 열보호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동등한 기능을 유지하면서, 광원의 수를 저감하여 심플화를 도모할 수 있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의 제1 광원, 제2 광원, 가동 쉐이드의 위치 관계와 그것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광원, 제2 광원, 가동 쉐이드의 제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배광 패턴의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동 쉐이드가 반사부를 갖는 경우의 반사의 상태와 반사광의 중첩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에 영역 커트 부재를 갖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 광학계에 의한 조명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에 영역 커트 부재와 가동 쉐이드를 갖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 광학계에 의한 조명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에 영역 커트 부재와 가동 쉐이드를 가지며 영역 커트 부재의 일부를 가동 쉐이드의 반사부가 덮는 구성을 설명하고, 이 광학계에 의한 조명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회전 쉐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회전 쉐이드로 형성할 수 있는 쉐이드 형상과 그 때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회전 쉐이드로 형성할 수 있는 쉐이드 형상과 그 때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가동 쉐이드가 외래광을 차단하는 차단면을 갖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의 제1 광원, 제2 광원, 가동 쉐이드의 위치 관계와 그것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광원, 제2 광원, 가동 쉐이드의 제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배광 패턴의 예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2의 가동 쉐이드가 반사부를 갖는 경우의 반사의 상태와 반사광의 중첩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에 영역 커트 부재를 갖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 광학계에 의한 조명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에 영역 커트 부재와 가동 쉐이드를 갖는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고, 이 광학계에 의한 조명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 사이에 영역 커트 부재와 가동 쉐이드를 가지며 영역 커트 부재의 일부를 가동 쉐이드의 반사부가 덮는 구성을 설명하고, 이 광학계에 의한 조명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회전 쉐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회전 쉐이드로 형성할 수 있는 쉐이드 형상과 그 때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회전 쉐이드로 형성할 수 있는 쉐이드 형상과 그 때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가동 쉐이드가 외래광을 차단하는 차단면을 갖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함)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는 차량의 차폭방향의 좌우에 1등씩 배치되는 하이빔용 전조등이며, 그 구조는 실질적으로 좌우 동등하기 때문에, 차량 우측에 배치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R)의 구조를 대표로 설명한다.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는, 별도로 배치되어 있는 로우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가 형성하는 로우빔에 배광 패턴을 중합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하이빔용 배광 패턴을 형성한다.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R)는, 램프 보디(212)와 투명 커버(214)를 포함한다. 램프 보디(212)는, 차량 전방 방향으로 개구부를 가지며, 후방측에는 유지보수시에 떼어내는 착탈 커버(212a)를 갖는다. 그리고, 램프 보디(212)의 전방의 개구부에는, 투명 커버(214)가 접속되어 등실(216)이 형성된다. 등실(216)에는, 광을 차량 전방 방향으로 조사하는 등기구 유닛(10)이 수납되어 있다. 등기구 유닛(10)의 일부에는, 해당 등기구 유닛(10)의 요동 중심이 되는 피봇 기구(218a)를 갖는 램프 브래킷(218)이 형성되어 있다. 램프 브래킷(218)은 램프 보디(212)의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에이밍 조정 나사(220)와 나사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등기구 유닛(10)은 에이밍 조정 나사(220)의 조정 상태에 따라 정해진 틸팅 가능한 상태로 등실(216) 내의 소정 위치에 지지되게 된다.
또한, 등기구 유닛(10)의 하면에는, 스위블 액츄에이터(222)의 회전축(222a)이 고정되어 등기구 유닛(10)이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위블 액츄에이터(222)는, 유닛 브래킷(224)에 고정되어 있다. 유닛 브래킷(224)에는, 램프 보디(212)의 외부에 배치된 레벨링 액츄에이터(226)가 접속되어 등기구 유닛(10)이 수직 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실(216)의 내벽면, 예를 들어, 등기구 유닛(10)의 하측 위치에는, 등기구 유닛(10)의 점소등 제어나 배광 패턴의 형성 제어를 실행하는 조사 제어부(228)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사 제어부(228)는, 스위블 액츄에이터(222), 레벨링 액츄에이터(226) 등의 제어도 실행한다. 또한, 조사 제어부(228)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R) 이외에도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단지 차량측으로부터의 점소등 제어를 중계하는 기능이어도 좋다.
등기구 유닛(10)은, 가동 쉐이드(12)를 포함하는 쉐이드 기구(18), 광원으로서의 벌브(14), 리플렉터(16)를 내벽에 지지하는 등기구 하우징(17), 투영 렌즈(20)로 구성된다. 벌브(14)는, 예를 들어, 백열구나 할로겐 램프, 방전구, LED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벌브(14)를 할로겐 램프로 구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리플렉터(16)는 벌브(14)로부터 방사되는 광을 반사한다. 그리고, 리플렉터(16)에서 반사된 광은, 그 일부가 쉐이드 기구(18)를 구성하는 가동 쉐이드(12)를 거쳐 투영 렌즈(20)로 유도된다. 도 2에서도 나타내지만, 본 실시형태의 등기구 유닛(10)은, 차폭방향으로 2개의 벌브(14a, 14b)를 가지며, 각 벌브가 조사 제어부(228)에 의해 점소등 제어된다.
가동 쉐이드(12)는 벌브(14)의 광의 일부를 차광하는 위치(이하 진출 위치라고 함)와 차광하지 않는 위치(이하 후퇴 위치라고 함)로 이동 가능하게 회동축(12a)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가동 쉐이드(12)가 진출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쉐이드 기구(18)는, 가동 쉐이드(12)를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가동 쉐이드(12)는, 액츄에이터에 의한 예를 들어 진출 위치로의 이동에 대항하여 소정의 자세, 예를 들어 후퇴 위치로 복귀시키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의 경우, 편향 부재로서 스프링이 예시되어 있다. 가동 쉐이드(12)는,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퇴 위치와 진출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어도 좋다.
도 1의 예에서는,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에 에이밍 기구나 레벨링 기구가 포함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에이밍 기구나 레벨링 기구는 생략해도 좋다. 예를 들어,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는 로우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와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이밍 기구나 레벨링 기구는,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나 로우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를 배치하는 베이스 부재에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에이밍 조정이나 레벨링 조정을 양쪽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에서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2의 (a), (b)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제1 광원, 제2 광원, 가동 쉐이드의 위치 관계와 그것에 의해 형성되는 배광 패턴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a)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는 광원을 2개 포함하고 있다. 하나는 투영 렌즈(20)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제1 조사 영역(100a)을 형성할 수 있는 제1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벌브(14a)이다. 또한, 다른 하나도 마찬가지로 투영 렌즈(20)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제2 조사 영역(100b)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광원으로서 기능하는 벌브(14b)이다. 벌브(14a)는 광원 형상 자체가 도 2의 (b)의 가늘고 긴 배광 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리플렉터(16a)에 의한 반사 조정에 의해 가늘고 긴 배광 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이 형성되어, 투영 렌즈(20) 방향으로 유도된다. 벌브(14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리플렉터(16a, 16b)는, 예를 들어 회전 포물면 등을 기준으로 형성된 리플렉터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제2 조사 영역(100b)은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광축(O)(도 1 참조)에 대하여 제1 조사 영역(100a)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연결되어 있다. 도 2의 (b)는 제1 조사 영역(100a)의 단부 영역과 제2 조사 영역(100b)의 단부 영역이 서로 겹쳐 오버랩부(100c)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오버랩부(100c)의 조정은 예를 들어 각 벌브(14a, 14b)의 배치 조정이나 리플렉터(16a, 16b)의 형상 조정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1 조사 영역(100a)과 제2 조사 영역(100b)을 연결 부분에서 오버랩시킴으로써 하이빔을 형성한 경우, 중앙부 근방에서 광이 중첩하여 광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져, 하이빔 사용시의 시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제1 조사 영역(100a)의 단부 영역과 제2 조사 영역(100b)의 단부 영역은, 꼭 오버랩시킬 필요는 없고, 제1 조사 영역(100a)의 단부 영역과 제2 조사 영역(100b)의 단부 영역을 맞춰서 연결시키도록 해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연결 부분은, 단부 영역을 오버랩시켜 연결시키는 경우와, 단부 영역의 엣지를 맞춰 접촉시켜 연결시키는 경우를 포함한다. 도 2의 (b)는, 제1 조사 영역(100a)의 단부 영역과 제2 조사 영역(100b)의 단부 영역이 오버랩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제1 조사 영역(100a)과 제2 조사 영역(100b)을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하 방향의 어긋남이 없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쉐이드(12)는, 쉐이드 기구(18)에 의해 적어도 제1 조사 영역(100a)과 제2 조사 영역(100b)이 연결되는 연결 부분으로의 광을 차광하는 위치와, 연결 부분으로의 조사를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도 2의 (b)는, 가동 쉐이드(12)에 의한 차광 영역(102)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차광 영역(102)은, 오버랩부(100c)를 완전히 덮도록 오버랩부(100c)의 넓이보다 약간 넓어지게 가동 쉐이드(12)의 크기 및 이동 위치가 정해져 있다. 차광 영역(102)의 넓이는, 오버랩부(100c)의 넓이와 일치해도 좋지만, 오버랩부(100c)의 넓이보다 차광 영역(102)이 좁은 경우는, 가동 쉐이드(12)에 의해 차광했을 때 광이 중합된 밝은 부분이 차광 영역(102)에 인접하여 남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광원의 점소등과 가동 쉐이드(12)에 의한 차광/비차광의 전환에 의해 3개의 광원을 점소등 제어하여 3 영역의 점소등을 실현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제어 상태와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이미지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배광 패턴은,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에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만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는, 별도로 로우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에서 형성되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과 합성되어 전체적으로 하이빔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실제의 하이빔의 형상은, 중앙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가 아래로 늘어진 산형상이지만, 도 3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직사각형으로 나타내고 있다.
조사 제어부(228)의 제어에 의해, 벌브(14a, 14b)를 점등하고, 가동 쉐이드(12)를 비차광 상태로 하는 제어 1로 함으로써, 오버랩부(100c)를 포함하는 제1 조사 영역(100a) 및 제2 조사 영역(100b)이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완전한 하이빔 조사 상태이며, 광원 3개를 이용하여 3 영역을 점등한 경우와 동일한 배광 패턴을 2개의 광원의 점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오버랩부(100c)의 형성에 의해 중앙 부근의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사 제어부(228)의 제어에 의해, 벌브(14a, 14b)를 점등하고, 가동 쉐이드(12)를 차광 상태로 하는 제어 2로 함으로써, 오버랩부(100c)가 차광 영역(102)에 의해 차광되고, 제1 조사 영역(100a)의 일부 및 제2 조사 영역(100b)의 일부가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중앙 차광의 하이빔 조사 상태이며, 광원 3개를 이용하여 3 영역을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 좌우 2개만을 점등한 경우와 동일한 배광 패턴을 실현하고 있다. 이 중앙 차광의 하이빔 조사 상태는, 예를 들어, 자차와 가까운 전방에는 선행차나 대향차, 보행자 등이 존재하지 않지만, 먼 전방에 대향차나 선행차가 존재할 때 이들에게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 유효한 배광 패턴이다.
조사 제어부(228)의 제어에 의해, 벌브(14a)만을 점등하고, 가동 쉐이드(12)를 차광 상태로 하는 제어 3으로 함으로써, 오버랩부(100c)에 해당하는 하이빔의 중앙 영역이 차광 영역(102)에 의해 차광되고, 제1 조사 영역(100a)의 일부가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중앙 차광이고 대향 차선측만이 하이빔 조사 상태이며, 광원 3개를 이용하여 3 영역을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 우측만을 점등한 경우와 동일한 배광 패턴을 실현하고 있다. 이 우편측 하이빔 조사 상태는, 예를 들어, 자차와 가까운 전방에 존재하는 선행차나 먼 전방에 존재하는 선행차나 대향차에게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면서, 대향 차선의 비교적 가까운 전방에 대향차나 보행자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그 영역의 시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배광 패턴이다.
조사 제어부(228)의 제어에 의해, 벌브(14a)만을 점등하고, 가동 쉐이드(12)를 비차광 상태로 하는 제어 4로 함으로써, 오버랩부(100c)에 해당하는 하이빔의 중앙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조사 영역(100a)이 점등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는, 중앙 영역 및 대향 차선측이 하이빔 조사 상태이며, 광원 3개를 이용하여 3 영역을 제어하는 구성에 있어서 중앙과 우측을 점등한 경우와 동일한 배광 패턴을 실현하고 있다. 이 우편측 하이빔 조사 상태는, 예를 들어, 자차와 가까운 전방에 존재하는 선행차에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면서, 자차와 먼 전방의 선행차나 대향차, 자차와 가까운 전방의 대향차나 보행자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그 영역의 시계를 향상시키는 데 유효한 배광 패턴이다.
벌브(14a)를 소등하고, 벌브(14b)만을 점등하여 가동 쉐이드(12)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 5 및 제어 6은, 제어 3과 제어 4에 대하여 조사 영역이 대향 차선과 자차선에서 반대가 된다. 제어 5는, 대향 차선의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대향차나 보행자 및 먼 전방에 존재하는 선행차나 대향차에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면서, 자차와 가까운 전방에 선행차 등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유효한 배광 패턴이다. 또한, 제어 6은, 대향 차선의 비교적 가까운 전방에 존재하는 대향차나 보행자에게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하면서, 자차와 가까운 전방이나 먼 전방에 선행차나 대향차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유효한 배광 패턴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벌브(14a) 및 벌브(14b)의 점소등 상태와 가동 쉐이드(12)의 이동 상태의 조합에 의해 복수 종류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즉, 2개의 광원에 의해, 광원을 3개 구비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배광 패턴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광원수의 저감에 의해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소형화가 용이해지고, 부품 비용의 경감, 점소등 제어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광원수의 삭감에 의해 필요 전력의 경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광원을 3개 이용하는 경우, 중앙만의 점등이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중앙만 점등할 수는 없다. 그러나, 중앙부만을 점등하는 하이빔의 이용 빈도는 낮아, 중앙부만을 점등할 수 없는 경우라도 실용상의 문제는 거의 없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와 같이 가동 쉐이드(12)를 갖는 경우, 가동 쉐이드(12)의 차광면과는 다른 측면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즉, 가동 쉐이드(12)의 측면을 반사면으로 하여, 거기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가동 쉐이드(12)로 차광하지 않고 조사된 광의 조사 영역에서 중첩하여 배광 패턴의 일부의 광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의 (a)∼(c)는, 가동 쉐이드가 반사부를 갖는 경우의 반사의 상태와 반사광의 중첩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쉐이드(12)는, 벌브(14)측에 면하는 차광부(104)와 그 측면의 반사부(106)를 포함한다. 반사부(106)는, 예를 들어 반사 부재를 접합하거나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동 쉐이드(12) 자체를 반사 부재로 구성하고, 차광부(104)를 형성하기 위해 비반사 부재를 접합하거나 코팅해도 좋다. 벌브(14a)측의 반사부(106a)에 입사한 광은 제1 조사 영역(100a)의 소정의 위치로 유도되도록, 반사부(106a)의 표면 상태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벌브(14b)측의 반사부(106b)에 입사한 광은 제2 조사 영역(100b)의 소정의 위치로 유도되도록, 반사부(106b)의 표면 상태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의 (b)는, 벌브(14a)만을 점등하여 가동 쉐이드(12)를 비차광 상태로 한 경우에 형성되는 제1 조사 영역(100a)이다. 도 4의 (c)는, 벌브(14a)만을 점등하여 가동 쉐이드(12)를 차광 상태로 한 경우에 형성되는 제1 조사 영역(100a) 및 차광 영역(102)이다. 이 경우, 반사부(106a)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이 제1 조사 영역(100a)의 차광 영역(102)측의 위치에 중첩되어 중첩부(100d)를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내는 제어 2, 3, 5와 같이, 차광 영역(102)에 의해 하이빔용 배광 패턴의 일부를 차광하는 경우라도 운전자의 운전중의 주요 시선 방향은 전방 중앙이 된다. 따라서, 조사 영역의 중앙부측의 중첩부(100d)에 의해 광도를 높게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안심을 주기 쉬워진다. 마찬가지로, 벌브(14b)를 점등한 경우도 제2 조사 영역(100b)의 소정 위치에 반사광을 중첩할 수 있게 되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사부(106)의 각도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해도 좋다. 이 경우, 반사광에 의한 중첩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운전자의 기호에 따른 영역의 광도의 향상이 가능해지고, 반사광의 이용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벌브(14a)나 벌브(14b)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투영 렌즈(20)를 통해 그대로 전방에 조사하는 경우, 형성되는 배광 패턴은 중앙 부분이 가장 밝고 측방을 향함에 따라 어두워지며, 배광 패턴의 형상도 측방을 향함에 따라 아래로 늘어져 산형이 되고 그 윤곽도 선명하지 않게 된다. 가동 쉐이드(12)로 차광하지 않고 벌브(14a, 14b)를 점등한 경우에는, 오버랩부(100c)를 형성하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또한, 오버랩부(100c)가 아닌 단부측의 형상은 엄밀함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도 3에서의 제어 4나 제어 6과 같이, 가동 쉐이드(12)로 차광하지 않고 벌브(14a) 또는 벌브(14b)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점등하는 편측 하이빔의 경우, 소등되어 있는 측의 영역에 점등되어 있는 측의 광이 들어간다. 그 결과, 실제로는 차광하고자 하는 부분의 일부가 밝아져, 글레어의 배제 성능이 저하되고, 단부의 윤곽이 불안정해진다.
따라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벌브(14a)와 벌브(14b) 사이에서 광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제1 조사 영역(100a)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와 제2 조사 영역(100b)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에서의 세로 방향의 커트라인을 정하는 영역 커트 부재(108)를 구비한다. 영역 커트 부재(108)는 박판 형상의 부재이며, 단순히 제1 조사 영역(100a)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 및 제2 조사 영역(100b)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에 커트라인을 형성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영역 커트 부재(108)의 측면에 반사부를 마련하여, 거기에서 반사된 광을 제1 조사 영역(100a)이나 제2 조사 영역(100b)으로 유도해 중첩하여 광도를 증대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5의 (b)에는, 벌브(14a)만을 점등한 경우의 등조도 곡선의 예를 나타낸다. 이 예의 경우, 제1 조사 영역(100a)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는, 조사 영역의 중앙인 「0°」를 넘은 2.3°에서 영역 커트 부재(108)에 의해 커트라인을 형성한 위치가 된다. 영역 커트 부재(108)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 제1 조사 영역(100a)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는, 0°를 넘어, 예를 들어 8° 부근까지 연장되고, 단부에서는 광도가 저하되어 형상이 아래로 늘어진다. 이와 같이, 영역 커트 부재(108)를 마련함으로써 제1 조사 영역(100a)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의 윤곽을 명확하게 할 수 있고 조사 범위를 명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벌브(14b)를 점등하는 경우와, 벌브(14a, 14b)를 모두 점등하는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의 (a)는, 도 5의 구성에 가동 쉐이드(12)를 추가하여, 제1 조사 영역(100a)에 차광 영역(102)을 형성 가능하게 한 예이다. 이 경우,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3의 제어에 대응하는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의 경우, 제1 조사 영역(100a)은 조사 영역의 중앙인 「0°」의 앞 2.3°에서 가동 쉐이드(12)에 의해 커트라인을 형성하며, 중앙의 「0°」를 넘어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영역 커트 부재(108)로 차광하고 있다.
도 7의 (a)는, 도 4에서 설명한 반사부(106)를 가동 쉐이드(12)가 구비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7의 (a)의 예에서는, 수평 단면이 직사각형의 C형 형상이 되도록, 가동 쉐이드(12)의 양측면에 반사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는,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쉐이드(12)로 차광된 차광 영역(102) 근방에 반사부(106)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중첩하여 광도가 증대한다.
이와 같이, 벌브(14a), 벌브(14b)를 포함하는 광학계에 영역 커트 부재(108), 반사부(106)를 구비하는 가동 쉐이드(12)를 설치함으로써, 광원을 3개 구비하는 경우와 거의 동일한 종류의 배광 패턴을 2개의 광원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소형화가 용이해지고, 부품 비용의 경감과, 점소등 제어의 간략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광원수의 삭감을 통해 필요 전력의 경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그 배광 패턴의 형상의 명확화가 가능하여 배광 패턴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예는,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에 관해 설명했다. 즉, 이것과는 별도로 로우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를 구비하여, 로우빔과의 합성에 의해 하이빔을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하이빔의 제어는 하이빔 및 로우빔을 하나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로 형성할 수 있는 배광 가변식 전조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가동 쉐이드(12) 외에, 로우빔 등의 다른 배광 패턴을 형성할 때 필요하게 되는 쉐이드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의 (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회전 쉐이드(110)를 이용한다.
도 8의 (a)와 (b)는, 동일한 회전 쉐이드(110)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회전 쉐이드(110)는, 회전축(110a)이 쉐이드 기구(18)의 고정 부분에서 지지되어, 예를 들어 모터 구동에 의해 소정의 회전 각도로 정확하게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회전 쉐이드(110)는 사각기둥을 모재로 하여, 길이방향의 각 면(4면)에 로우빔용 쉐이드(112),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 하이빔용 노치면(116), 도버 로우빔용 쉐이드(118)를 각각 갖는다. 기본적인 광학계는,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것을 이용한다. 즉, 벌브(14a)와 리플렉터(16a)로 구성되는 제1 광원계와, 벌브(14b)와 리플렉터(16b)로 구성되는 제2 광원계가 영역 커트 부재(108)에 의해 분리되고, 그 광축 방향 전방에 가동 쉐이드(12)에 상당하는 쉐이드를 포함하는 회전 쉐이드(110)를 사이에 두고서, 투영 렌즈(20)가 배치된다.
로우빔용 쉐이드(112) 및 도버 로우빔용 쉐이드(118)는, 벌브(14a, 14b)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가장 많이 차광하는 쉐이드이다. 그리고, 로우빔용 쉐이드(112) 및 도버 로우빔용 쉐이드(118)는 소정의 차광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회전축(110a)의 중심으로부터 거리(h)만큼 이격된 위치에, 각각의 쉐이드 엣지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로우빔용 쉐이드(112)의 쉐이드 엣지(112a)는, 컷오프 라인의 윤곽을 명료화하기 위해, 회전 쉐이드(110)가 로우빔의 회전 위치로 회전했을 때 투영 렌즈(20)의 후방 촛점면과 겹치는 위치에서 광을 차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 쉐이드(110)는, 다른 쉐이드도 탑재하고, 강성의 확보나 가공의 용이함이 요구되기 때문에 사각기둥을 모재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8의 (a)의 경우, 화살표 A 방향으로부터 광원의 광이 조사되는 상태에서, 쉐이드 엣지(112a)는 로우빔용 쉐이드(112)의 형성면 중 광원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쉐이드 엣지(112a)의 광원측의 앞부분에 반사면(112b)을 형성해 두고, 이 부분에서의 반사광도 로우빔 형성에 유효하게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벌브(14a) 또는 벌브(14b) 중 어느 하나만을 점등한 경우의 배광 패턴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에 있어서 세로 방향의 커트라인을 정하는 영역 커트 부재(10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영역 커트 부재(108)는 회전 쉐이드(110) 상의 쉐이드 엣지에 가능한 한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로우빔용 쉐이드(112) 등은 회전축(110a)으로부터의 높이가 있기 때문에 회전 쉐이드(110)와 영역 커트 부재(108)가 회전시에 접촉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회전 쉐이드(110)의 로우빔용 쉐이드(112)의 형성면에는, 회전 쉐이드(110)가 회전할 때 영역 커트 부재(108)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노치홈(120)이 형성되어 있다.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벌브(14a, 14b)를 점등하여 하이빔으로 한 경우에, 중앙 부분을 도 7 등에 나타내는 가동 쉐이드(12)와 동일하게 차광하는 쉐이드로서 기능한다. 회전 쉐이드(110)의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를 형성하는 부분은 크게 절결되어 하이빔과 동일한 조사 영역을 형성하고, 중앙부에 형성한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에 의해, 도 3의 제어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중앙 차광이나 제어 3이나 제어 5와 같은 편측 하이빔을 형성한다.
하이빔용 노치면(116)은, 회전축(110a)의 일측에서의 회전 쉐이드(110)의 부분 전체가 절결된 상태와 동일해지도록, 회전 쉐이드(110)의 일면이 회전축(110a)에 고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하이빔용 노치면(116)은, 로우빔용 쉐이드(112)의 형성면이나 도버 로우빔용 쉐이드(118)의 형성면에 비해 영역 커트 부재(108)에 대한 거리가 멀다. 그 결과, 하이빔용 노치면(116)과 영역 커트 부재(108) 사이에 간극이 생겨, 예를 들어, 도 3의 제어 4나 제어 6과 같은 중앙 차광을 수반하지 않는 편측 하이빔을 형성하는 경우, 영역 커트 부재(108)에 의한 세로 방향의 커트라인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하이빔용 노치면(116)에는, 영역 커트 부재(108)와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보완하기 위해 영역 커트 부재(108)와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보완 부재(116a)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의 (a)의 경우, 보완 부재(116a)는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의 배면측(비차광면)에 연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버 로우빔용 쉐이드(118)는, 로우빔용 쉐이드(112)와는 좌우 반대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쉐이드 엣지(118a)를 갖고 있다.
도 9, 도 10은,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회전 쉐이드(110)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선택할 수 있는 쉐이드 형상과 그 때에 형성되는 배광 패턴의 등조도 곡선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회전 쉐이드(110)의 회전 위치의 결정 및 벌브(14a, 14b)의 점소등 제어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전조등 전환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자차의 주위의 상황, 예를 들어 앞서 달리는 차나 대향차, 보행자 등의 존재를 차량 탑재 카메라 등의 검출 수단을 통해 검출하거나, 주행중의 도로의 형태나 형상, 지형 등의 정보를 네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취득하여, 현재의 주위 상황에 대응한 최적의 조명 상태를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현재의 자차 주위의 상태에 기초하여 로우빔의 조사가 적당한 경우, 즉 배광 모드를 「로우빔」으로 하는 경우, 조사 제어부(228)는, 회전 쉐이드(110)를 로우빔용 쉐이드(112)가 벌브(14)의 광로에 임하도록 회전시킨다. 이 경우, 벌브(14a, 14b)를 모두 점등한다. 이 때, 로우빔용 쉐이드(112)는, 광축을 포함하는 라인[도 9 중의 수평선(Y)]의 하측을 차광한다. 투영 렌즈(20)는, 전방측 표면이 볼록면이고 후방측 표면이 평면인 평볼록 비구면 렌즈이기 때문에, 후방 촛점면 상에 형성되는 광원상을 반전상으로 하여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 전방에 투영한다. 「로우빔」의 경우, 벌브(14a, 14b)가 점등되어 오버랩부(100c)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등조도 곡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광도가 높은 전방 인식이 용이한 로우빔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의 자차 주위의 상태에 기초하여 중앙부를 차광한 하이빔의 조사가 적절한 경우, 즉 배광 모드를 「중앙 차광 하이빔」으로 하는 경우, 조사 제어부(228)는, 회전 쉐이드(110)를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가 벌브(14)의 광로에 임하도록 회전시켜, 광축을 포함하는 라인의 하측의 일부를 차광한다. 이 경우, 벌브(14a, 14b)를 모두 점등한다. 「중앙 차광 하이빔」은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에 의해 하이빔의 중앙 부분이 차광되기 때문에, 그 등조도 곡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차와 먼 전방에 존재하는 대향차나 앞서 달리는 차에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고려할 수 있고, 그 밖의 영역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빔을 제공할 수 있다.
자차와 먼 전방이나 대향 차선에 차량이나 보행자가 존재하고, 자차선과 가까운 전방에 선행차가 존재하지 않으면, 자차선측만 하이빔으로 조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한다. 즉, 배광 모드를 「좌편측 하이빔」으로 하는 경우, 조사 제어부(228)는, 회전 쉐이드(110)를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가 벌브(14)의 광로에 임하도록 회전시켜, 광축을 포함하는 라인의 하측의 일부를 차광한다. 이 경우, 우측의 벌브(14b)만을 점등한다. 투영 렌즈(20)의 후방 촛점면 상에 형성되는 광원상은 반전상이 되기 때문에, 자차 전방의 좌측(자차선측)만의 좌편측 하이빔을 조사시킨다. 이 때,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에 의해 하이빔의 중앙 부분이 차광된다. 그 결과, 「좌방측 하이빔」의 등조도 곡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차와 먼 전방에 존재하는 대향차나 앞서 달리는 차 및 가까운 전방의 대향 차선의 대향차나 보행자에게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고려할 수 있고, 자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빔을 제공할 수 있다.
자차선에 선행차가 존재하지 않고, 대향 차선에 차량이나 보행자가 존재하면, 자차선측만 하이빔을 조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한다. 즉, 배광 모드를 「좌편측 하이빔+중앙」으로 하는 경우, 조사 제어부(228)는, 회전 쉐이드(110)를 하이빔용 노치면(116)이 벌브(14)의 광로에 임하도록 회전시켜, 광축을 포함하는 라인의 하측을 포함하여 광로 전체를 비차광으로 한다. 이 경우, 우측의 벌브(14b)만을 점등한다. 투영 렌즈(20)의 후방 촛점면 상에 형성되는 광원상은 반전상이 되기 때문에, 자차 전방의 좌측(자차선측)만의 좌편측 하이빔을 조사시킨다. 이 때, 차광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좌방측 하이빔+중앙」의 등조도 곡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좌방측 하이빔」에 더하여 중앙부도 조사 영역이 되는 하이빔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가까운 전방의 대향 차선의 대향차나 보행자에게 글레어를 부여하지 않도록 고려할 수 있고, 자차선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이빔을 제공할 수 있다.
자차선 및 대향 차선에 차량이나 보행자 등 글레어를 고려해야 하는 대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하이빔을 조사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한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광 모드를 「하이빔」으로 하는 경우, 조사 제어부(228)는, 회전 쉐이드(110)를 하이빔용 노치면(116)이 벌브(14)의 광로에 임하도록 회전시켜, 광축을 포함하는 라인의 하측을 포함하여 광로 전체를 비차광으로 한다. 이 경우, 벌브(14a), 벌브(14b)를 점등한다. 이 때, 차광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벌브(14a, 14b)에 의한 오버랩부(100c)도 형성되므로, 「하이빔」의 등조도 곡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광도가 높은 전방 인식이 용이한 하이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통 법규가 우측 통행으로 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좌측 통행의 경우와는 반대 형상의 로우빔, 즉 도버 로우빔이 필요하다. 이 경우, 조사 제어부(228)는, 회전 쉐이드(110)를 도버 로우빔용 쉐이드(118)가 벌브(14)의 광로에 임하도록 회전시킨다. 이 경우, 벌브(14a, 14b)의 양쪽 모두를 점등하고, 도버 로우빔용 쉐이드(118)는, 광축을 포함하는 라인의 하측을 차광한다. 그 결과, 전술한 「로우빔」과는 반대 형상의 컷오프 라인을 갖는 도버 로우빔이 형성될 수 있어, 「도버 로우빔」의 등조도 곡선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부분의 광도가 높은 전방 인식이 용이한 도버 로우빔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투영 렌즈(20)가, 예를 들어 낮, 태양광 등의 외래광에 노출되면, 도 11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태양광이 리플렉터(16a, 16b)에서 집광되어, 벌브(14a, 14b)나 그 주변의 온도가 상승하여, 변형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 때문에, 벌브(14)를 내열 사양으로 해야 하거나, 그 주변의 구성 부품을 내열 사양으로 해야 하여, 비용 상승이나 설계의 자유도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에서는, 투영 렌즈(20)의 후방 촛점면 상에 존재하는 가동 쉐이드(12)나 회전 쉐이드(110)의 투영 렌즈(20)측에 상기 투영 렌즈(20)를 통해 벌브(14)측으로 향하는 외래광을 차단하는 차단면(200)을 형성하고 있다. 이 차단면(200)은, 벌브(14)로 향하는 외래광을 차단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소정의 내열 성능이 있다면, 가동 쉐이드(12)나 회전 쉐이드(110)의 일부의 구성면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이빔용의 차량용 전조등 장치(210)의 경우, 벌브(14)의 점등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 가동 쉐이드(12)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광 위치로 이동시켜 둔다. 즉, 이 위치를 낮 또는 비점등시의 표준 위치로 해두면 된다. 그 결과,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쉐이드(12)에 의해 외래광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게 되어, 벌브(14)측에서의 온도 상승을 경감할 수 있다. 즉, 외래광의 열영향을 고려한 높은 내열 성능을 벌브(14)측에 부여할 필요가 없어져, 벌브(14)나 그 주변의 부품을, 예를 들어, 내열성이 비교적 낮은 수지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부품 비용 저감이나 부품 선택의 자유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회전 쉐이드(110)를 이용하는 경우, 낮이나 비점등시의 표준 위치에서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를 벌브(14)의 광로 상에 위치시키면 된다. 이 경우, 회전 쉐이드(110)의, 예컨대 중앙 차광용 쉐이드(114)의 형성면으로 외래광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외래광이 벌브(14)에 집광하는 것을 경감할 수 있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차단면(200)은 비반사면으로 해도 좋고, 반사면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도면에 나타내는 구성은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2 : 가동 쉐이드
14, 14a, 14b : 벌브
16, 16a, 16b : 리플렉터
18 : 쉐이드 기구
20 : 투영 렌즈
100a : 제1 조사 영역
100b : 제2 조사 영역
100c : 오버랩부
102 : 차광 영역
104 : 차광부
106 : 반사부
108 : 영역 커트 부재
110 : 회전 쉐이드
200 : 차단면
210 : 차량용 전조등 장치
228 : 조사 제어부
14, 14a, 14b : 벌브
16, 16a, 16b : 리플렉터
18 : 쉐이드 기구
20 : 투영 렌즈
100a : 제1 조사 영역
100b : 제2 조사 영역
100c : 오버랩부
102 : 차광 영역
104 : 차광부
106 : 반사부
108 : 영역 커트 부재
110 : 회전 쉐이드
200 : 차단면
210 : 차량용 전조등 장치
228 : 조사 제어부
Claims (6)
- 투영 렌즈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제1 조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제1 광원과,
상기 투영 렌즈를 통해 차량 전방에 광을 조사하여, 광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상기 제1 조사 영역과 나란히 연결되는 제2 조사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제2 광원과,
적어도 상기 제1 조사 영역과 상기 제2 조사 영역이 직접 연결되는 연결 부분으로의 광을 차광하는 위치와, 상기 연결 부분으로의 조사를 허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가동 쉐이드와,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점소등 상태와 상기 가동 쉐이드의 이동 상태의 조합으로 결정되는 배광 패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쉐이드는 측면에 반사부를 갖고, 상기 반사부에 입사한 광을 상기 제1 조사 영역 또는 상기 제2 조사 영역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 사이에서 광축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사 영역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와 상기 제2 조사 영역의 연결 부분측의 단부에서의 세로 방향의 커트라인을 정하는 영역 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 쉐이드의 반사부는, 상기 영역 커트 부재의 광축 방향 전측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사 영역과 상기 제2 조사 영역 중 적어도 한쪽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차광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 쉐이드를 주위에 복수 구비한 회전식 쉐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쉐이드는 상기 회전식 쉐이드의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 쉐이드 또는 상기 능선 쉐이드는, 상기 회전식 쉐이드의 회전에 의해 차광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쉐이드의 상기 투영 렌즈측에는, 상기 투영 렌즈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래광이 상기 제1 광원측 및 상기 제2 광원측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쉐이드의 상기 투영 렌즈측에는, 상기 투영 렌즈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래광이 상기 제1 광원측 및 상기 제2 광원측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조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285497 | 2009-12-16 | ||
JP2009285497A JP5398507B2 (ja) | 2009-12-16 | 2009-12-16 | 車両用前照灯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8864A KR20110068864A (ko) | 2011-06-22 |
KR101239454B1 true KR101239454B1 (ko) | 2013-03-06 |
Family
ID=4379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5109A KR101239454B1 (ko) | 2009-12-16 | 2010-12-08 | 차량용 전조등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297814B2 (ko) |
EP (1) | EP2336634B1 (ko) |
JP (1) | JP5398507B2 (ko) |
KR (1) | KR101239454B1 (ko) |
CN (1) | CN10210913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92183B2 (ja) * | 2010-07-16 | 2014-09-17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灯具 |
WO2012151249A1 (en) * | 2011-05-02 | 2012-11-08 | Peterson Manufacturing Company | Illumination lamp with dual beam functions |
JP5717565B2 (ja) * | 2011-07-11 | 2015-05-13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照明灯具 |
JP5842435B2 (ja) * | 2011-07-26 | 2016-01-13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用前照灯 |
FR2979688A1 (fr) | 2011-09-05 | 2013-03-08 | Valeo Vision | Module optique pour dispositif de signalisation et/ou d'eclairage |
JP5828424B2 (ja) * | 2011-10-28 | 2015-12-09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輌用前照灯 |
EP2587123B1 (en) * | 2011-10-31 | 2019-05-15 | SL Corporation | Automotive headlamp |
KR101375245B1 (ko) * | 2011-10-31 | 2014-03-17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헤드 램프 |
US9097400B2 (en) * | 2011-10-31 | 2015-08-04 | Sl Corporation | Automotive headlamp |
FR2982929B1 (fr) * | 2011-11-22 | 2014-01-17 | Valeo Vision | Dispositif d'emission de lumiere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
FR2983279B1 (fr) * | 2011-11-24 | 2015-08-21 | Valeo Vision | Element opaque et mobile empechant une focalisation des rayons solaires dans un projecteur |
KR101354384B1 (ko) * | 2011-12-28 | 2014-01-23 |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 차량용 헤드램프 구조 |
JP2013161569A (ja) * | 2012-02-02 | 2013-08-19 | Ichikoh Ind Ltd |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
JP6051533B2 (ja) * | 2012-02-02 | 2016-12-27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
FR2987102B1 (fr) * | 2012-02-16 | 2014-03-14 | Valeo Vision | Piece d'un projecteur comprenant un moyen de reflexion a coefficient de reflexion superieur a 90% |
DE102012101434B4 (de) * | 2012-02-23 | 2023-05-04 | HELLA GmbH & Co. KGaA | Linsenhalter zur Aufnahme einer Linse in einem Scheinwerfer |
KR101460730B1 (ko) * | 2012-04-12 | 2014-11-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자동차의 조명 장치 |
JP6059884B2 (ja) * | 2012-05-02 | 2017-01-11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CN103895713A (zh) * | 2012-12-25 | 2014-07-02 | 张清华 | 立体车壳式汽车后尾箱盖 |
FR3009367B1 (fr) * | 2013-08-05 | 2018-06-15 | Valeo Vision | Dispositif optique et systeme de signalisation et/ou d'eclairage |
JP6264787B2 (ja) * | 2013-09-03 | 2018-01-24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用灯具 |
CN105593062B (zh) * | 2013-09-26 | 2018-05-11 | 株式会社小糸制作所 | 车辆用灯具控制系统 |
JP5636485B2 (ja) * | 2013-10-21 | 2014-12-03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灯具ユニット |
JP6197660B2 (ja) * | 2014-01-21 | 2017-09-20 | マツダ株式会社 | 車両用前照灯 |
US9534759B2 (en) * | 2014-03-14 | 2017-01-03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Lamp adjuster to control margins |
DE102014215785B4 (de) * | 2014-08-08 | 2016-03-31 |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 Projektionslichtmodul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
CN108591959B (zh) * | 2014-12-25 | 2023-11-21 | 株式会社小糸制作所 | 照明装置 |
JP6517556B2 (ja) * | 2015-03-24 | 2019-05-22 |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 車両用灯具 |
CN113552887B (zh) * | 2015-05-25 | 2024-11-08 | 克朗设备公司 | 工业车辆地理特征系统 |
CN109792826B (zh) * | 2016-09-29 | 2021-11-16 | 昕诺飞控股有限公司 | 照明装置 |
JP6932499B2 (ja) * | 2016-12-14 | 2021-09-0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US10197236B2 (en) * | 2017-04-21 | 2019-02-0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headlamp system with obstacle sensor and heated photochromic lens |
JP7306223B2 (ja) * | 2019-10-30 | 2023-07-11 | 市光工業株式会社 | 車両用前照灯の可動シェード機構及び車両用前照灯 |
KR20220014172A (ko) * | 2020-07-28 | 2022-02-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7221A (ja) * | 2002-03-04 | 2003-09-12 | Koito Mfg Co Ltd | 車両用前照灯 |
JP2007179969A (ja) * | 2005-12-28 | 2007-07-12 | Koito Mfg Co Ltd | 車両用灯具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860669B4 (de) | 1998-12-29 | 2007-08-23 |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 Fahrzeugscheinwerfer nach dem Projektionsprinzip |
JP4244015B2 (ja) * | 2004-03-10 | 2009-03-25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投射型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
JP4459702B2 (ja) * | 2004-04-27 | 2010-04-2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照明灯具 |
JP4424148B2 (ja) * | 2004-10-13 | 2010-03-03 | 市光工業株式会社 | プロジェクタ型車両用前照灯ユニット |
JP4444875B2 (ja) * | 2005-04-27 | 2010-03-31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JP4527639B2 (ja) * | 2005-09-09 | 2010-08-1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 |
US7540638B2 (en) * | 2006-11-10 | 2009-06-02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 for a vehicle |
DE102007040760B4 (de) * | 2007-08-29 | 2016-03-24 |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 Projektionsmodul eines Fahrzeugscheinwerfers |
JP5069985B2 (ja) * | 2007-09-13 | 2012-11-07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の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前照灯 |
JP4995748B2 (ja) * | 2008-01-29 | 2012-08-08 | 株式会社小糸製作所 | 車両用前照灯装置及び車両用前照灯装置の制御方法 |
DE102008014182A1 (de) * | 2008-03-14 | 2009-09-17 | Daimler Ag | Verfahren zur Fahrlichtsteuerung eines Fahrzeugs |
JP2009283408A (ja) * | 2008-05-26 | 2009-12-03 | Koito Mfg Co Ltd | 車両用前照灯 |
-
2009
- 2009-12-16 JP JP2009285497A patent/JP539850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12-08 KR KR1020100125109A patent/KR1012394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12-14 EP EP10194896.6A patent/EP233663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0-12-14 US US12/967,189 patent/US829781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16 CN CN2010106005759A patent/CN102109137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57221A (ja) * | 2002-03-04 | 2003-09-12 | Koito Mfg Co Ltd | 車両用前照灯 |
JP2007179969A (ja) * | 2005-12-28 | 2007-07-12 | Koito Mfg Co Ltd | 車両用灯具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398507B2 (ja) | 2014-01-29 |
CN102109137A (zh) | 2011-06-29 |
KR20110068864A (ko) | 2011-06-22 |
EP2336634B1 (en) | 2015-02-18 |
US20110141753A1 (en) | 2011-06-16 |
EP2336634A1 (en) | 2011-06-22 |
US8297814B2 (en) | 2012-10-30 |
CN102109137B (zh) | 2013-05-29 |
JP2011129320A (ja) | 2011-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9454B1 (ko) | 차량용 전조등 장치 | |
US8459849B2 (en) | Optical device for a motor vehicle | |
EP2407710B1 (en) | Vehicle lamp | |
JP5833861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配光制御方法 | |
JP6039964B2 (ja) | 車両用前照灯 | |
JP5398443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5424742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US8511873B2 (en) | Optical unit | |
JP5074888B2 (ja) | 車両用ランプシステム | |
JP2010000957A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5467917B2 (ja) | 車両用照明灯具 | |
JP7155124B2 (ja) | 灯具ユニットおよび車両用前照灯 | |
EP2230128B1 (en) |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pattern | |
JP6101447B2 (ja) | 車両用前照灯 | |
JP5317871B2 (ja) | 車両用前照灯装置 | |
JP2002109915A (ja) | 車両用前照灯 | |
EP2399776A2 (en) | Vehicle headlamp system,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adlamp | |
EP2384933B1 (en) | Vehicle headlamp system, control device and vehicle headlamp | |
JP5636485B2 (ja) | 灯具ユニット | |
JP2006073305A (ja) | 車両用前照灯 | |
JP4341538B2 (ja) | ヘッドランプ | |
JP2011238378A (ja) | 車両用灯具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 |
JP2006012450A (ja) | 車両用灯具 | |
JP2006059555A (ja) | 車両用灯具 | |
JP2006012451A (ja) | 車両用灯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