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36520B1 -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6520B1
KR101236520B1 KR1020060060448A KR20060060448A KR101236520B1 KR 101236520 B1 KR101236520 B1 KR 101236520B1 KR 1020060060448 A KR1020060060448 A KR 1020060060448A KR 20060060448 A KR20060060448 A KR 20060060448A KR 101236520 B1 KR101236520 B1 KR 101236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electrodes
thin film
film transistor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956A (ko
Inventor
이선용
이세응
권재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0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6520B1/ko
Priority to CN2006101459034A priority patent/CN101097366B/zh
Priority to US11/643,974 priority patent/US7768588B2/en
Publication of KR2008000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6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65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0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1 단위 픽셀들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2 단위 픽셀들의 제2 전극들을 구비한다.
Figure R1020060060448
컬러 쉬프트, 고개구율, 횡전계 모드, 단위 픽셀

Description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종래의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및 제2 화소 전극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및 제2 공통 전극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 표시장치 110 : 액정 분자
120 : 컬러 필터 기판 13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32 : 게이트선 134 : 데이터선
150 : 제1 화소 전극 152 : 제2 화소 전극
160 : 제1 공통 전극 162 : 제2 공통 전극
P1 : 제1 단위 픽셀 P2 : 제2 단위 픽셀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텔레비젼, 컴퓨터용 모니터, 노트북 등과 같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를 경박단소화하여 제조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음극선관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그 중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소형화 뿐만 아니라 대형화가 가능한 액정 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분자들의 전기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액정 표시장치는 그 모드(mode)에 따라 트위스티드 네마틱(twisted nematic; TN) 모드, 수직 배향(vertically aligned; VA) 모드 및 횡전계(in plane switching; IPS) 모드 등으로 분류되며, 각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는 전압 인가에 따른 액정 분자들의 배열 변화를 이용하여 광의 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다양한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 중 광시야각을 구현할 수 있고, 특히 측면에서의 시야각이 우수한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단위 픽셀(P),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게이트선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데이터선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의 교차에 의해 복수의 서브 픽셀이 정의된다.
단위 픽셀(P)은 복수의 서브 픽셀 중 3개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로 구성되며, 각 단위 픽셀(P)은 게이트선 방향 및 데이터선 방향 각각으로 일렬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단위 픽셀(P)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각각에는 데이터선과 평행하게 형성된 화소 전극(50) 및 공통 전극(6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전극(60)은 화소 전극(50)과 함께 횡전계(E)를 형성한다.
액정층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2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0) 사이의 전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컬러 필터 기판(20)은 블랙매트릭스 및 복수의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액정층이 컬러 필터 기판(2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0) 사이의 전역에 형성되므로, 액정층은 보다 구체적으로, 단위 픽셀(P)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각각에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층을 이루는 액정 분자(10)들은 유전율 이방성(Δε) 및 굴절율 이방성(Δn)을 갖는다.
한편, 미설명 부호 C는 액정 분자(10)들의 초기 배열을 결정하는 배향막의 러빙축(C)을 나타낸다.
상기 종래의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에서 액정 분자(10)들은 화소 전극(50) 및 공통 전극(60) 사이에 횡전계(E)가 형성되기 이전에는 액정 표시장치(1) 전역에서 배향막의 러빙축(C)을 따라 일률적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액정 분자(10)들은 화소 전극(50) 및 공통 전극(60) 사이에 횡전계(E)가 형성되면, 액정 분자(10)들의 광축이 화소 전극(50) 및 공통 전극(60) 사이의 횡전계(E)와 평행하도록 일률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횡전계(E) 형성 여부에 따라 일률적으로 배열되고, 굴절율 이방성(Δn)을 갖는 액정 분자(10)들의 특성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1)를 소정의 기울임각에서 보았을 때, 그 시야각 방향에 따라 액정 표시장치(1)는 원하지 않는 색상을 띄게 된다. 이를 수학식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T。*sin²(2χ)*sin²(π*Δnd/λ)
T : 광투과율
T。: 참조(reference)광에 대한 광투과율
χ: 액정 분자의 광축과 편광판의 편광축이 이루는 각
Δn : 굴절율 이방성
d : 셀갭
λ: 입사되는 광파장
상기 수학식 1에 의하면, 위상차(Δnd)가 변화되면, 최대 광투과율(T)을 얻기 위해 입사되는 광파장(λ)이 변화된다. 이 때문에, 위상차(Δnd)가 변화됨에 따라, 액정 표시장치(1)는 그 시야각 방향에 따라 원하지 않는 색상을 띄게 된다. 즉, 액정 분자(10)들의 장축을 바라보는 방향(A)에서와, 액정 분자(10)들의 단축을 바라보는 방향(B)에서 액정 분자(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이 상이하므로, 최대 광투과율(T)을 얻기 위해 입사되는 광파장(λ)이 변화되고, 액정 표시장치(1)에서는 변화된 입사되는 광파장(λ)에 해당되는 색상이 발현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액정 분자(10)들의 장축을 바라보는 방향(A)에서는 굴절율 이방성(Δn)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므로, 최대 광투과율(T)에 이르기 위해 입사되는 광파장(λ) 또한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파장을 갖는 노르스름한(yellowish) 색이 액정 표시장치(1)에서 표현된다.
반면, 액정 분자(10)들의 단축을 바라보는 방향(B)에서는 굴절율 이방성(Δn)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최대 광투과율(T)에 이르기 위해 입사되는 광파장(λ) 또한 상대적으로 짧아지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을 갖는 푸르스름한(blueish) 색이 액정 표시장치(1)에서 표현된다.
이와 같이 소정의 방위각에서 노르스름한 또는 푸르스름한 색이 표현되는 것을 컬러 쉬프트(color shift)라고 하며, 이 컬러 쉬프트는 액정 표시장치(1)의 화질을 감소시킨다.
상기 컬러 쉬프트를 방지하기 위해 각 서브 픽셀(R, G, B)을 대칭적인 2개의 도메인(domain) 각각으로 나누어, 2개의 도메인 각각에서 서로 대칭적인 화소 전극(50) 및 공통 전극(60) 각각을 형성하여, 굴절율 이방성(Δn) 차이를 보상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각 도메인이 인접한 영역에서는 액정 분자(10)들의 배열을 제어할 수 없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이 때문에, 각 도메인이 인접한 영역을 블랙 매트릭스와 중첩시켜야 하므로 개구율이 저하된다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컬러 쉬프트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개구율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1 단위 픽셀들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2 단위 픽셀들의 제2 전극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전극들은 상기 제1 단위 픽셀과 상기 제2 단위 픽셀 간의 데이터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2 전극들과 선대칭을 이룬다.
상기 제1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1 전극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2 전극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들의 경사진 방향과 상기 제2 전극들의 경사진 방향이 서로 다르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게이트선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 각각은 상기 데이터선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액정 분자들의 초기 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은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고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일치하며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이다.
상기 제1 전극들은 제1 화소전극과, 상기 제1 화소 전극과 함께 제1 횡전계를 형성하는 제1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전극은, 제2 화소 전극과, 상기 제2 화소 전극과 함께 제2 횡전계를 형성하는 제2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액정층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들은 상기 제1 횡전계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들은 상기 제2 횡전계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2 단위 픽셀 내의 액정 분자들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단위 픽셀 내의 액정 분자들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상기 게이트선 위에 배치된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제1 전극은 상기 게이트선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제1 전극과 동일한 사선 방향을 따라 경사진다.
상기 게이트선 위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제2 전극은 상기 게이트선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제2 전극과 동일한 사선 방향을 따라 경사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컬러 필터 기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내면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배향막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전극들 사이에 인가되는 횡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1 단위 픽셀들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2 단위 픽셀들의 제2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들은 상기 제1 단위 픽셀과 상기 제2 단위 픽셀 간의 데이터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2 전극들과 선대칭을 이루고, 상기 게이트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게이트선 위에 배치된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제1 전극들과 상기 게이트선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제1 전극들은 서로 선대칭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게이트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게이트선 위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제2 전극들은 상기 게이트선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제2 전극들과 서로 선대칭을 형성하도록 경사지며, 상기 제1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1 전극들이 각각 형성된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2 전극들이 각각 형성된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게이트선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액정 분자들의 초기 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은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고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일치하며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이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 각각의 서브 픽셀들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와,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가 동일하다.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 각각의 서브 픽셀들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 간의 상기 데이터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와 선대칭이다.
상기 액정 분자들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과 일치하는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횡전계가 이루는 각은 45도 이상 90도 미만이다.
상기 액정 분자들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과 일치하는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횡전계가 이루는 각은 1도 이상 45도 미만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에서 제1 화소 전극 및 제1 공통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횡전계, 및 제2 화소 전극 및 제2 공통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횡전계 각각에 의한 액정 분자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선, 데이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제1 및 제2 화소 전극, 및 제1 및 제2 공통 전극은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화소 전극 및 제1 공통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1 횡전계, 및 제2 화소 전극 및 제2 공통 전극에 의해 형성된 제2 횡전계 각각에 의한 액정 분자들의 동작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00)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의 교차에 의해 복수의 서브 픽셀이 정의된다. 복수의 서브 픽셀은, 예를 들어,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선은 x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데이터선은 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은 게이트선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형성되고, 데이터선 방향으로 일렬적으로 형성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제1 단위 픽셀(P1)은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단위 픽셀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은, 예를 들어,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은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각각에 대해 평행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을 포함한다. 즉,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은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각각에 대해 사선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공통 전극(160)은 제1 화소 전극(150)과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공통 전극(160)은 제1 화소 전극(150)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공통 전극(160)은 제1 화소 전극(150)과 함께 제1 횡전계(E1)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횡전계(E1)는 x축과 180-θ1 만큼의 각을 이룬다.
제2 단위 픽셀(P2)은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중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2 단위 픽셀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은, 예를 들어,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은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각각에 대해 평행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을 포함한다. 즉,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은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각각에 대해 사선 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 각각의 사선 방향과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 각각의 사선 방향은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간의 데이터선을 대칭축으로 하는 선대칭을 이룬다.
상기 제2 공통 전극(162)은 제2 화소 전극(152)과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공통 전극(162)은 제2 화소 전극(152)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2 공통 전극(162)은 제2 화소 전극(152)과 함께 제2 횡전계(E2)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횡전계(E2)의 방향은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간을 기준으로 제1 횡전계(E1)의 방향과 대칭이다. 즉, 제2 횡전계(E2)는 x축과 θ1 만큼의 각을 이룬다.
한편, 제1 단위 픽셀(P1)이 데이터선 방향으로 일렬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선을 기준으로 상하로(데이터선 방향으로) 제1 화소 전극(150)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을 기준으로 상하로(데이터선 방향으로) 제1 공통 전극(160)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 각각은 게이트선에 대해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 각각은 게이트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위 픽셀(P2)이 데이터선 방향으로 일렬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선을 기준으로 상하로(데이터선 방향으로) 제2 화소 전극(152)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선을 기준으로 상하로(데이터선 방향으로) 제2 공통 전극(162)이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 극(162) 각각은 게이트선에 대해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 각각은 게이트선에 대해 대칭인 사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및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배치는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간을 기준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이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각각으로 이루어져 있을 시, 제1 및 제2 서브 픽셀(P1, P2) 각각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의 배치 순서는 x축 방향으로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순일 수 있다.
액정층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 사이의 전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컬러 필터 기판(120)은 게이트선, 데이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는 블랙매트릭스, 및 복수의 서브 픽셀과 중첩되는 복수의 컬러 필터(예를 들어, 적색/녹색/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액정층이 컬러 필터 기판(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 사이의 전역에 형성되므로, 액정층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 및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에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층을 이루는 액정 분자(110)들은 유전율 이방성(Δε) 및 굴절율 이방성(Δn)을 갖는다. 여기서, 유전율 이방성(Δε)은 양일 수 있다.
한편, 미설명 부호 C´는 액정 분자(110)들의 초기 배열을 결정함과 아울러 컬러 필터 기판(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 각각의 내면에 형성된 배향막의 러빙축(C´)을 나타낸다. 여기서, 러빙축(C´)은 도 2와 같이 게이트선(또는 x 축)과 나란하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 외면에 형성되는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일치할 수 있으며, 컬러 필터 기판(120)의 외면에 형성되는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일 수 있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00)에서 제1 및 제2 횡전계(E1, E2) 각각에 의한 액정 분자(110)들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 사이에 제1 횡전계(E1)가 형성되지 않고,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 사이에 의해 제2 횡전계(E2)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액정 분자(110)들의 장축이 일률적으로 러빙축(C´)을 따라 배열된다. 그러면, 하부 편광판을 통과한 광은 액정 분자(110)들을 통과하게 되면서 그 편광 상태가 변화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액정 분자(110)들을 통과한 광은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직교하는 상부 편광판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액정 표시장치(100)는 블랙 상태를 표현한다.
반면,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여 제1 횡전계(E1)가 형성되고,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여 제2 횡전계(E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단위 픽셀(P1)에는 x축과 180-θ1 만큼의 각을 이루는 제1 횡전계(E1)가 형성되고, 제2 단위 픽셀(P2)에는 x축과 θ1 만큼의 각을 이루는 제2 횡전계(E2)가 형성된다.
이 때, 배향막의 러빙축(C´)과 일치하는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 및 제1 및 제2 횡전계(E1, E2)가 이루는 각(θ1)은 45도 이상 90도 미만일 수 있다. 이는 액정 표시장치(100)의 최대 투과율을 만족시키기 위함이다. 즉,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 및 제1 및 제2 횡전계(E1, E2)가 이루는 각(θ1)이 45도 이상 90도 미만일 때, 유전율 이방성(Δε)이 양인 액정 분자(110)들을 사용할 경우, 액정 분자(110)들의 장축이 제1 및 제2 횡전계(E1, E2)와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액정 분자(110)들은 45도 정도로 충분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장치(100)는 최대 광투과율을 가지며 화이트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의 회전 방향 및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의 회전 방향은 반대이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은 제1 횡전계(E1)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은 제1 횡전계(E1)와 대칭인 제2 횡전계(E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간에 액정 분자(1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의 차이가 보상된다. 이 때,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제2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에서 액정 분자(1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의 차이가 보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의 적색 서브 픽셀(R´) 각각 간에 액정 분자(1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의 차이가 보상되며,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의 녹색 서브 픽셀(G´) 각각 간에 액정 분 자(1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의 차이가 보상되고,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의 청색 서브 픽셀(B´) 각각 간에 액정 분자(1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의 차이가 보상될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별로 볼 때에는 액정 분자(11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액정 표시장치(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눈은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을 식별하지 못할 만큼 둔감하므로, 사용자는 실제적으로 컬러 쉬프트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는 도메인이 나뉘어지는 부분이 없다. 즉,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는 1개의 도메인이 형성되기 때문에, 블랙 매트릭스를 게이트선, 데이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중첩시키면 되므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와 복수의 서브 픽셀 배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그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00)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00)에서는,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및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배치는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간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이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각각으로 이루어져 있을 시, 제1 서브 픽셀(P1)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의 배치 순서는 x축 방향으로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순일 수 있다. 반면, 제2 서브 픽셀(P2)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의 배치 순서는 제1 단위 픽셀(P1)에서의 배치 순서와 역순인 즉, x축 방향으로 청색/녹색/적색 서브 픽셀(B´, G´, R´) 순일 수 있다.
한편,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은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 사이에 형성된 제1 횡전계(E1)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은 제1 횡전계(E1)와 대칭임과 아울러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 사이에 형성된 제2 횡전계(E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간에 액정 분자(1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의 차이가 보상된다. 이 때,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에 대응하여 제2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에서 액정 분자(110)들의 굴절율 이방성(Δn)의 차이가 보상될 수 있다.
이 때에도,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별로 볼 때에는 액정 분자(11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액정 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실제적으로 컬러 쉬프트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는 도메인이 나뉘어지는 부분이 없으므로 컬러 필터 기판(120)의 블랙 매트릭스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의 게이트선, 데이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중첩시키면 되므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는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 및 제1 및 제2 횡전계가 이루는 각도 및 액정 분자들의 유전율 이방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와 동일하므로 그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00)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층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120)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 사이의 전역에 형성된다. 액정층은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 및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에 형성된다. 이러한 액정층을 이루는 액정 분자(110)들은 유전율 이방성(Δε) 및 굴절율 이방성(Δn)을 갖는다. 여기서, 유전율 이방성(Δε)은 음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100)에서, 제1 화소 전극(150) 및 제1 공통 전극(160)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여 제1 횡전계(E1)가 형성되고, 제2 화소 전극(152) 및 제2 공통 전극(162) 사이에 전압차가 발생하여 제2 횡전계(E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단위 픽셀(P1)에는 x축과 180-θ2 만큼의 각을 이루는 제1 횡전계(E1)가 형성되고, 제2 단위 픽셀(P2)에는 x축과 θ2 만큼의 각을 이루는 제2 횡전계(E2)가 형성된다.
이 때, 배향막의 러빙축(C´)과 일치하는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 및 제1 및 제2 횡전계(E1, E2)가 이루는 각(θ2)은 1도 이상 45도 미만일 수 있다. 이는 액정 표시장치(100)의 최대 투과율을 만족시키기 위함이다. 즉,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 및 제1 및 제2 횡전계(E1, E2)가 이루는 각(θ2)이 1도 이상 45도 미만일 때, 유전율 이방성(Δε)이 음인 액정 분자(110)들을 사용할 경우, 액정 분자(110)들의 단축이 제1 및 제2 횡전계(E1, E2)와 평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액정 분자(110)들은 45도 정도로 충분하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액정 표시장치(100)는 최대 광투과율을 가지며 화이트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 때에도,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별로 볼 때에는 액정 분자(11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의 회전 방향 및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의 회전 방향은 반대이므로, 액정 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실제적으로 컬러 쉬프트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는 도메인이 나뉘어지는 부분이 없으므로 컬러 필터 기판(120)의 블랙 매트릭스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의 게이트 선, 데이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중첩시키면 되므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와 복수의 서브 픽셀 배치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므로 그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00)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100)에서는,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및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배치는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간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이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각각으로 이루어져 있을 시, 제1 서브 픽셀(P1)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의 배치 순서는 x축 방향으로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 순일 수 있다. 반면, 제2 서브 픽셀(P2)의 적색/녹색/청색 서브 픽셀(R´, G´, B´)의 배치 순서는 제1 단위 픽셀(P1)에서의 배치 순서와 역순인 즉, x축 방향으로 청색/녹색/적색 서브 픽셀(B´, G´, R´) 순일 수 있다.
이 때에도,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별로 볼 때에는 액정 분자(110)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제2 단위 픽셀(P2)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의 회전 방향 및 제1 단위 픽셀(P1)의 적어도 3개의 서브 픽셀 각각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110)들의 회전 방향은 반대이므로, 액정 표시장치(100)의 사용자는 실제적으로 컬러 쉬프트 현상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에는 도메인이 나뉘어지는 부분이 없으므로 컬러 필터 기판(120)의 블랙 매트릭스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의 게이트선, 데이터선 및 박막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중첩시키면 되므로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및 제2 화소 전극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제1 및 제2 공통 전극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서는 도 2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을 보다 상세히 도시하였다. 도 3, 도 4 및 도 5 각각의 횡전계 모드의 액정 표시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도 6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100)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30)은 게이트선(132), 데이터선(134),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32)은 구동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을 게이트 전극(136)에 제공한다. 이러한 게이트선(132)은 Cr 또는 Cr합금, Al 또는 Al합금, Mo 또는 Mo합금, Ag 또는 Ag합금, Cu 또는 Cu합금, Ti 또는 Ti합금, Ta 또는 Ta합금 등의 물질로 적어도 1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선(134)은 구동회로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을 소스 전극(138)에 제공한다. 이러한 데이터선(134)은 Cr 또는 Cr합금, Al 또는 Al합금, Mo 또는 Mo합금, Ag 또는 Ag합금, Cu 또는 Cu합금, Ti 또는 Ti합금, Ta 또는 Ta합금 등의 물질로 적어도 1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선(134)은 자신과 게이트선(132)의 절연을 위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선(132)과 절연 및 교차된다. 즉, 게이트선(132) 및 데이터선(134)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 각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복수의 서브 픽셀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위 픽셀(P1, P2)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제1 및 제2 화소 전극(150, 152) 각각, 제1 및 제2 공통 전극(160, 162) 각각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복수의 서브 픽셀 각각 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선(132)으로부터 제공되는 게이트 온/오프 전압에 의해 턴 온/턴 오프됨으로써 스위칭 소자의 역할을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턴 온 시 데이터선(134)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을 제1 및 제2 화소 전극(150, 152)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선(132)과 접속된 게이트 전극(136), 데이터선(340)과 접속된 소스 전극(138),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형성된 보호막을 관통하는 콘택홀(142)을 통해 제1 및 제2 화소 전극(150, 152)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140),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전극(136) 및/또는 게이트선(132)과 중첩되며 채 널을 형성하는 활성층 및 오믹 접촉을 위해 활성층 상에 형성된 오믹 접촉층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화소 전극(150, 152) 각각은 드레인 전극(14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을 액정층에 인가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화소 전극(150, 152) 각각은 ITO(induim tin oxide) 또는 IZO(induim zinc oxide)와 같은 투명한 도전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화소 전극(150, 152) 각각의 다른 특징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및 제2 공통 전극(160, 162) 각각은 자신들과 접속된 공통 전극선(164)으로부터 제공되는 공통 전압을 액정층에 인가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공통 전극(160, 162) 각각은 게이트선(132)과 동일 평면 상에 동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제1 및 제2 화소 전극(150, 152)과 동일 평면 상에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통 전극(160, 162) 각각의 다른 특징들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 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는 컬러 쉬프트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액정 표시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은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컬러 필터 기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내면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배향막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전극들 사이에 인가되는 횡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1 단위 픽셀들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2 단위 픽셀들의 제2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들은 상기 제1 단위 픽셀과 상기 제2 단위 픽셀 간의 데이터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2 전극들과 선대칭을 이루고,
    상기 제1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1 전극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2 전극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들의 경사진 방향과 상기 제2 전극들의 경사진 방향이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게이트선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 각각은 상기 데이터선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상기 액정 분자들의 초기 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은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고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일치하며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들은 제1 화소전극과, 상기 제1 화소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1 공통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은 제2 화소전극과, 상기 제2 화소전극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2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액정층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들은 상기 제1 화소전극과 상기 제1 공통전극 사이의 횡전계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액정층에 존재하는 액정 분자들은 상기 제2 화소전극과 상기 제2 공통전극 사이의 횡전계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2 단위 픽셀 내의 액정 분자들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단위 픽셀 내의 액정 분자들의 회전방향은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7. 삭제
  8. 삭제
  9.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컬러 필터 기판,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하부 편광판,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외면에 형성된 상부 편광판,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내면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의 내면에 형성되는 배향막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된 전극들 사이에 인가되는 횡전계에 의해 구동되는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1 단위 픽셀들의 제1 전극들; 및
    상기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에 형성되어 상기 액정층에 횡전계를 인가하는 제2 단위 픽셀들의 제2 전극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전극들은 상기 제1 단위 픽셀과 상기 제2 단위 픽셀 간의 데이터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2 전극들과 선대칭을 이루고,
    상기 게이트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게이트선 위에 배치된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제1 전극들과 상기 게이트선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제1 전극들은 서로 선대칭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고, 상기 게이트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게이트선 위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제2 전극들은 상기 게이트선 아래에 배치된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제2 전극들과 서로 선대칭을 형성하도록 경사지며,
    상기 제1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1 전극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제2 전극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3 개의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은 상기 게이트선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들의 경사진 방향과 상기 제2 전극들의 경사진 방향이 서로 다르고,
    상기 액정 분자들의 초기 배열 방향을 결정하는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은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고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일치하며 상기 상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0. 삭제
  11. 제1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 각각의 서브 픽셀들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와,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2. 제1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들 각각의 서브 픽셀들은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위 픽셀 간의 상기 데이터선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제2 단위 픽셀의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및 청색 서브픽셀의 배치 순서와 선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제1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분자들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과 일치하는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횡전계가 이루는 각은 45도 이상 90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6. 제1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분자들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며,
    상기 배향막의 러빙축과 일치하는 상기 하부 편광판의 편광축과, 상기 횡전계가 이루는 각은 1도 이상 45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KR1020060060448A 2006-06-30 2006-06-30 액정 표시장치 Active KR101236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448A KR101236520B1 (ko) 2006-06-30 2006-06-30 액정 표시장치
CN2006101459034A CN101097366B (zh) 2006-06-30 2006-11-21 用于液晶显示器的薄膜晶体管基板
US11/643,974 US7768588B2 (en) 2006-06-30 2006-12-22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448A KR101236520B1 (ko) 2006-06-30 2006-06-30 액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56A KR20080001956A (ko) 2008-01-04
KR101236520B1 true KR101236520B1 (ko) 2013-02-21

Family

ID=3887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448A Active KR101236520B1 (ko) 2006-06-30 2006-06-30 액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68588B2 (ko)
KR (1) KR101236520B1 (ko)
CN (1) CN1010973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677B1 (ko) * 2008-12-09 2015-07-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US8587639B2 (en) * 2008-12-11 2013-11-19 Alcatel Lucent Method of improved three dimensional display technique
CN101930139B (zh) * 2009-06-25 2015-01-0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像素阵列基板、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1286497B1 (ko) * 2009-09-23 2013-07-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야각 조절 액정표시장치
CN102566157B (zh) * 2010-12-16 2014-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和液晶显示器
JP5937389B2 (ja) * 2011-10-25 2016-06-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3208247B (zh) 2012-01-16 2016-12-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双屏显示器及显示方法
CN103901675B (zh) * 2012-12-28 2017-06-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薄膜晶体管阵列基板和液晶显示装置
CN105549290B (zh) 2016-02-01 2019-07-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777A (ja) * 1997-03-31 1998-10-13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9990086579A (ko) * 1998-05-29 1999-12-15 김영환 아이피에스 모드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03751A (ko) * 1999-06-25 2001-01-15 김영환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02055A (ko) * 2000-06-29 2002-01-09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621B1 (ko) 1997-08-25 2005-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전극배열구조
KR100293434B1 (ko) 1997-09-08 2001-08-07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횡전계방식액정표시소자
KR100354904B1 (ko) * 1998-05-19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시야각액정표시장치
KR100482468B1 (ko) * 2000-10-10 2005-04-14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구동 액정 표시 장치
KR100674233B1 (ko) 2000-12-05 2007-01-25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 표시 장치
JP4248835B2 (ja) * 2002-04-15 2009-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JP4516348B2 (ja) * 2004-04-21 2010-08-0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JP4372648B2 (ja) * 2004-09-13 2009-1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4777A (ja) * 1997-03-31 1998-10-13 Nec Corp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9990086579A (ko) * 1998-05-29 1999-12-15 김영환 아이피에스 모드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03751A (ko) * 1999-06-25 2001-01-15 김영환 고개구율 및 고투과율 액정 표시 장치
KR20020002055A (ko) * 2000-06-29 2002-01-09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프린지 필드 구동 모드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97366A (zh) 2008-01-02
KR20080001956A (ko) 2008-01-04
US7768588B2 (en) 2010-08-03
US20080002083A1 (en) 2008-01-03
CN101097366B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3006B2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40580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increased visual sensitivity
US7388639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multi-domains
US7924375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djustable viewing angl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236520B1 (ko) 액정 표시장치
KR100643039B1 (ko)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US79403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71001A (ko)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111364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capable of improving an aperture ratio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2011003244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95009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385661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096256A (ko) 표시 장치
US6894756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60146250A1 (en) Lcd device having adjustable viewing angles
JPWO2011132452A1 (ja)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16853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6002860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6031638A1 (ja) 液晶表示装置
WO2015012092A1 (ja) 液晶表示装置
KR20100066220A (ko) 시야각 제어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39451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40034628A (ko)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38242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40043485A (ko)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4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911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21107

Appeal identifier: 2010101010218

Request date: 20101230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2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11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307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1030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28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011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21107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01230

Decision date: 20121107

Appeal identifier: 201010101021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7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7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