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09081B1 -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 Google Patents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081B1
KR101209081B1 KR1020120101111A KR20120101111A KR101209081B1 KR 101209081 B1 KR101209081 B1 KR 101209081B1 KR 1020120101111 A KR1020120101111 A KR 1020120101111A KR 20120101111 A KR20120101111 A KR 20120101111A KR 101209081 B1 KR101209081 B1 KR 101209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rotating
rotating rod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유앤피
Priority to KR1020120101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0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5/00Control of light, e.g. intensity, colour or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도어에 간단한 구조로 채광과 통풍이 가능하면서도 안전하게 작동되는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에 관한 것이며, 실내판과 실외판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홀(2)이 형성된 도어(1);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봉부(11)의 일측에 나사산부(12)가 형성되며, 한쌍이 상하로 평행되게 고정스톱퍼(40)와 이동스톱퍼(50)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은 고정스톱퍼(40)에 타단은 도어(1)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봉(10); 원형봉체(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이 형성되고,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은 각각 등각도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원형봉체(21)의 지름을 중심으로 일측은 투명부(22)가 형성되고, 원형봉체(21)의 타측은 불투명부(23)가 형성되며, 원형봉체(21)의 상하단에 회전축(26)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봉(20); 원형봉상의 몸체(31)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이동홀(33)이 형성되고, 이동홀(33)에 가이드봉(10)이 삽입되어 가이드봉(10)을 따라 이동하며, 몸체(31)의 저면에 축홈(32)이 형성되어 회전봉(20) 상하단에 형성된 회전축(26)과 각각 회전가능 하게 결합되어 회전봉(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수평이동체(30); 장방형 몸체(41)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42)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이 안착되고, 호형홈(4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43)가 형성되어 회전봉(20)의 홈(25)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몸체(41)의 상하단에 가이드봉(10)의 일단이 고정되고,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 공간에 고정되는 고정스톱퍼(40); 장방형 몸체(5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52)이 형성되고, 호형홈(5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홈(53)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돌기(24)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몸체(51)의 상하단에 전후를 관통하는 홀(54)이 형성되고, 홀(54)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나사산부(12)와 맞물려 회전봉(20)이 회전하면 몸체(51)가 전후이동하게 되는 이동스톱퍼(50); 회전봉(20)의 단부와 회전축이 연결되어 회전봉(20)을 정역회전시키고, 도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스위치박스(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60); 도어(1)의 실내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모터(60)를 회전구동하도록 스위치가 형성된 스위치박스(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 A door of well lighting and ventilation }
본 발명은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도어에 간단한 구조로 채광과 통풍이 가능하면서도 안전하게 작동되는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일반적으로 채광이란 실내공간에 창문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채광 방식으로는 통상적으로 창문을 통해 태양광을 직접 받아 들이는 직접 채광 방식과 반사판을 통해 태양광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간접 채광 방식이 있다.
직접 채광 방식은 태양광의 입사공간이 적어 실내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이 적게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고, 종래의 간접 채광 방식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자연채광이라고 하면 창문을 통하여 채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통상적인 건축물의 문(도어)은 채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채광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구성으로 생각되어 오고 있었다. 따라서 도어를 통한 채광은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채광을 원한다면 건축물의 도어를 열어 놓는 방법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겨울철 등 외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의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므로 장시간 도어를 열어 놓아 채광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09900930호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편광판을 회전시키면 편광판의 편광 정도에 따라 빛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경우 정밀한 편광판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고 수직 상태를 정확히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힘들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연채광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광창을 통해 신문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도어을 통하여 통풍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채광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구성한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러한 채광구조를 통하여 밖에서 침입이 용이하지 않은 구조로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사람이 손으로 회전봉의 간격을 조절하여 바람이 들어오게 할 수 있고, 회전봉의 불투명부와 투명부의 위치를 변화시켜 채광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내판과 실외판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홀(2)이 형성된 도어(1);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봉부(11)의 일측에 나사산부(12)가 형성되며, 한쌍이 상하로 평행되게 고정스톱퍼(40)와 이동스톱퍼(50)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은 고정스톱퍼(40)에 타단은 도어(1)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봉(10); 원형봉체(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이 형성되고,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은 각각 등각도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원형봉체(21)의 지름을 중심으로 일측은 투명부(22)가 형성되고, 원형봉체(21)의 타측은 불투명부(23)가 형성되며, 원형봉체(21)의 상하단에 회전축(26)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봉(20); 원형봉상의 몸체(31)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이동홀(33)이 형성되고, 이동홀(33)에 가이드봉(10)이 삽입되어 가이드봉(10)을 따라 이동하며, 몸체(31)의 저면에 축홈(32)이 형성되어 회전봉(20) 상하단에 형성된 회전축(26)과 각각 회전가능 하게 결합되어 회전봉(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수평이동체(30); 장방형 몸체(41)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42)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이 안착되고, 호형홈(4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43)가 형성되어 회전봉(20)의 홈(25)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몸체(41)의 상하단에 가이드봉(10)의 일단이 고정되고,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 공간에 고정되는 고정스톱퍼(40); 장방형 몸체(5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52)이 형성되고, 호형홈(5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홈(53)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돌기(24)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몸체(51)의 상하단에 전후를 관통하는 홀(54)이 형성되고, 홀(54)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나사산부(12)와 맞물려 회전봉(20)이 회전하면 몸체(51)가 전후이동하게 되는 이동스톱퍼(50); 회전봉(20)의 단부와 회전축이 연결되어 회전봉(20)을 정역회전시키고, 도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스위치박스(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60); 도어(1)의 실내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모터(60)를 회전구동하도록 스위치가 형성된 스위치박스(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동스톱퍼가 이동하면서 회전봉이 회전 가능한 상태와 불가능한 상태로 만들어 투명과 불투명의 채광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스톱퍼와 이동스톱퍼 사이의 공간에서 다수의 회전봉의 자유롭게 수평이동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통풍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회전봉을 밀착시키면 차단상태가 되고, 차단상태에서도 채광과 불투명 상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에서 회전봉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의 주요부에 대하여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과 도8은 본 발명의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의 주요부에 대하여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에 사용되는 회전봉과 수평이동체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도어(1)에 형성된 사각홀(2)을 통해 통풍, 채광, 차단 상태를 간단하게 선택하고, 자유롭게 회전봉의 간격을 조절하며, 회전봉이 투명상태인 갯수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하여 들어오는 빛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같은 위치에 사각홀(2)이 형성되고, 사각홀(2)을 회전봉(20)이 선택적으로 막거나 열게 된다.
가이드봉(10)은 회전봉(20)이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봉으로서 상하 한쌍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봉(10)은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가이드봉(10)을 이루는 봉부(11)의 일측에 나사산부(12)가 형성된다.
가이드봉(10)은 한쌍이 상하로 평행되게 고정스톱퍼(40)와 이동스톱퍼(50)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은 고정스톱퍼(40)에 타단은 도어(1)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브라켓은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그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봉(20)은 원형봉체(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이 형성되고,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은 각각 등각도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돌기(24)끼리 인접하고 홈(25)끼리 인접하게 형성한다.
원형봉체(21)의 지름을 중심으로 일측은 투명부(22)가 형성되고, 원형봉체(21)의 타측은 불투명부(23)가 형성된다. 불투명부(23)가 통상적으로 실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불투명부(23)에 돌기(24) 투명부(22)에 홈(25)을 형성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회전봉(20)은 원형봉체(21)의 상하단에 회전축(26)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수평이동체(30)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수평이동체(30)는 길이가 짧은 원형 봉상의 몸체(31)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이동홀(33)이 형성되고, 이동홀(33)에 가이드봉(10)이 삽입되어 가이드봉(10)을 따라 이동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몸체(31)의 저면에 축홈(32)이 형성되어 회전봉(20) 상하단에 형성된 회전축(26)과 각각 회전가능 하게 결합되어 회전봉(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스톱퍼(40)는 가이드봉(10)의 일측단에서 회전봉(20)의 수평 이동을 막는 구성으로서, 장방형 몸체(41)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42)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이 안착된다.
상기 호형홈(4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43)가 형성되어 회전봉(20)의 홈(25)과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돌기(43)의 길이는 회전봉(20)의 홈(25)의 길이와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회전봉(20)의 호형홈(42)에 삽입될 때 돌기(43)와 홈(25)이 끼워져 서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
고정스톱퍼(40)의 몸체(41) 상하단에 가이드봉(1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고정스톱퍼(40)는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 공간에 고정된다.
이동스톱퍼(50)는 회전봉(20)이 수평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조절하여 주는 구성으로서, 이동스톱퍼(50)가 좌우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봉(20)은 서로 밀착되거나 유격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동스톱퍼(50)는 장방형 몸체(5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52)이 형성되고, 호형홈(5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홈(53)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돌기(24)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동스톱퍼(50)의 몸체(51) 상하단에 전후를 관통하는 홀(54)이 형성되고, 홀(54)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나사산부(12)와 맞물려 회전봉(20)이 회전하면 몸체(51)가 전후이동하게 된다.
회전봉(20)을 서로 밀착시킨 후 이동스톱퍼(50)을 이동시키면 회전봉(20)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없어지고 인접한 회전봉(20)의 홈(25)과 돌기(24)가 서로 결합되어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모터(60)는 도어(1)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봉(20)의 단부와 회전축이 연결되고, 모터(60)의 회전에 따라 회전봉(20)이 정역회전된다.
그리고 모터(60)는 도어(1)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스위치박스(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된다. 스위치박스(70)는 도어(1)의 실내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모터(60)를 회전구동하도록 전원과 스위치가 형성된다.
1 : 도어 2 : 사각홀
10 : 가이드봉 11 : 봉부
12 : 나사산부 20 : 회전봉
21 : 원형봉체 22 : 투명부
23 : 불투명부 24 : 돌기
25 : 홈 26 : 회전축
30 : 수평이동체 31 : 몸체
32 : 축홈 33 ; 이동홀
40 : 고정스톱퍼 41 : 몸체
42 : 호형홈 43 : 돌기
50 : 이동스톱퍼 51 : 몸체
52 : 호형홈 53 : 돌기홈
54 : 홀 60 : 모터
70 : 스위치박스

Claims (1)

  1. 실내판과 실외판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홀(2)이 형성된 도어(1);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봉부(11)의 일측에 나사산부(12)가 형성되며, 한쌍이 상하로 평행되게 고정스톱퍼(40)와 이동스톱퍼(50) 사이에 설치되고, 일단은 고정스톱퍼(40)에 타단은 도어(1) 내측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이드봉(10);
    원형봉체(21)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이 형성되고, 2개의 돌기(24)와 2개의 홈(25)은 각각 등각도로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며, 원형봉체(21)의 지름을 중심으로 일측은 투명부(22)가 형성되고, 원형봉체(21)의 타측은 불투명부(23)가 형성되며, 원형봉체(21)의 상하단에 회전축(26)이 돌출 형성되는 회전봉(20);
    원형봉상의 몸체(31)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이동홀(33)이 형성되고, 이동홀(33)에 가이드봉(10)이 삽입되어 가이드봉(10)을 따라 이동하며, 몸체(31)의 저면에 축홈(32)이 형성되어 회전봉(20) 상하단에 형성된 회전축(26)과 각각 회전가능 하게 결합되어 회전봉(20)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수평이동체(30);
    장방형 몸체(41)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42)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이 안착되고, 호형홈(4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43)가 형성되어 회전봉(20)의 홈(25)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몸체(41)의 상하단에 가이드봉(10)의 일단이 고정되고, 도어(1)의 실내판과 실외판 사이 공간에 고정되는 고정스톱퍼(40);
    장방형 몸체(51)의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호형홈(52)이 형성되고, 호형홈(52)에 길이 방향으로 돌기홈(53)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돌기(24)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몸체(51)의 상하단에 전후를 관통하는 홀(54)이 형성되고, 홀(54)의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봉(20)의 나사산부(12)와 맞물려 회전봉(20)이 회전하면 몸체(51)가 전후이동하게 되는 이동스톱퍼(50);
    회전봉(20)의 단부와 회전축이 연결되어 회전봉(20)을 정역회전시키고, 도어(1)의 내측에 설치되어 스위치박스(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60);
    도어(1)의 실내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모터(60)를 회전구동하도록 스위치가 형성된 스위치박스(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KR1020120101111A 2012-09-12 2012-09-12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Active KR101209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11A KR101209081B1 (ko) 2012-09-12 2012-09-12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111A KR101209081B1 (ko) 2012-09-12 2012-09-12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081B1 true KR101209081B1 (ko) 2012-12-06

Family

ID=4790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111A Active KR101209081B1 (ko) 2012-09-12 2012-09-12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0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96B1 (ko) *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2241727B1 (ko) * 2020-10-19 2021-04-19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복도의 회전형 자동 개폐 창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23Y1 (ko) 2004-03-03 2004-06-02 주식회사 태원창호 문 설치용 블라인드 개폐장치
KR100660750B1 (ko) 2006-09-20 2006-12-22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공동주택용 도어의 자연채광장치
KR100813102B1 (ko) 2007-10-05 2008-03-17 (주)건축사사무소도연 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148814B1 (ko) 2012-04-12 2012-05-24 (주) 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023Y1 (ko) 2004-03-03 2004-06-02 주식회사 태원창호 문 설치용 블라인드 개폐장치
KR100660750B1 (ko) 2006-09-20 2006-12-22 종합건축사사무소명승건축(주) 공동주택용 도어의 자연채광장치
KR100813102B1 (ko) 2007-10-05 2008-03-17 (주)건축사사무소도연 자연 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1148814B1 (ko) 2012-04-12 2012-05-24 (주) 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796B1 (ko) *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KR102241727B1 (ko) * 2020-10-19 2021-04-19 (주)부산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복도의 회전형 자동 개폐 창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58838T3 (es) Sistema de accionamiento para puerta corredera automática
KR100990930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218704B1 (ko) 다수의 기능이 있는 기능휠이 구비되어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US11047168B2 (en) Shutter and blade driving system and transmission device thereof and blade angle control method used in the same
KR101000023B1 (ko)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EP2673445B1 (en) Thermal shutter system
KR101586399B1 (ko) 햇빛 차단 및 빗물 유입 방지용 루버가 구비된 창호
KR101492050B1 (ko) 기밀성 블라인드 장치
JP5267034B2 (ja) 窓用ブラインド
KR101209081B1 (ko) 부분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KR101179502B1 (ko) 자연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148814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598977B1 (ko) 건축물의 채광 가능한 도어
KR101152697B1 (ko) 건축물의 자동 환기용 창문
KR101568255B1 (ko)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101252016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통풍 가능 도어
JP4814850B2 (ja)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KR101217515B1 (ko)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KR101975708B1 (ko) 루버시스템의 자동개폐장치
KR101370396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101720471B1 (ko)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1495870B1 (ko) 건축용 안전 창문틀
KR101686889B1 (ko) 통풍의 방향 전환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KR101594842B1 (ko) 자연 채광 및 통풍 구조를 갖는 건축물 도어
KR101704360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건축물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8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