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000023B1 -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023B1
KR101000023B1 KR1020100059265A KR20100059265A KR101000023B1 KR 101000023 B1 KR101000023 B1 KR 101000023B1 KR 1020100059265 A KR1020100059265 A KR 1020100059265A KR 20100059265 A KR20100059265 A KR 20100059265A KR 101000023 B1 KR101000023 B1 KR 10100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coupled
frame
module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기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텍
Priority to KR102010005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23B1/ko
Priority to US13/696,141 priority patent/US8826593B2/en
Priority to PCT/KR2011/001928 priority patent/WO201116246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을 조절하는 구조와 구동 방법을 개선하고 단열성과 수밀성을 갖도록 재질과 형상을 개선하고 다수의 재료들 간의 상호 고정 보강을 통해 루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개선한 루버 모듈과 이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을 개시하며, 상기 루버 모듈은 합성수지 재질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장방형상을 갖도록 조립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에 조립되며 웜기어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개폐 장치;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며 내부에 공기층을 이루는 격실을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브라켓이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빔이 조립되고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이 유선형인 다수 개의 루버를 포함하는 루버 유니트; 및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 내부의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분산 배치되는 다수 개의 홀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들 내부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Louver module and Louver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풍을 조절하는 구조와 구동 방법을 개선하고 단열성 및 수밀성을 갖도록 재질과 형상을 개선하고 다수의 재료들 간에 상호 고정 보강을 통해 루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개선한 루버 모듈과 윈도우 샤시와 도어 샤시에 상기 루버 모듈을 결합한 루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루버(Louver)는 보통 많은 통풍이 요구되는 곳에 외부의 시각적 노출을 줄이면서 햇빛을 차단하며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고 통풍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루버는 고정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45° 내지 50° 기울어지게 구성되며, 설치되는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 루버의 기울어지는 각도가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루버는 기계실, 주차장, 공장 벽체와 같이 통풍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다.
종래의 루버를 회전식으로 개선하여 개폐 가능한 루버가 개발된 바 있다. 회전식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는 종래의 고정식 루버에 비하여 사용에 따른 기밀성과 개폐 통기성이 뛰어난 장점을 갖는다.
상술한 회전식 루버는 최근 아파트, 오피스텔 및 주상복합 빌딩의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 또는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가 설치된 장소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회전식 루버는 일반적으로 프레임과 루버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단열 효과가 떨어지고 실내외 간의 온도차가 큰 경우 결로 현상이 발생하여 실내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고 벽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회전식 루버는 루버 간의 충분한 수밀성이 보장되지 않아서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회전식 루버는 루버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가 구조적으로 취약하여서 오작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하여 루버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거나 루버가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와 같이 단열성을 갖는 재질과 여러 개의 공기층을 이루는 격실을 포함하도록 루버를 구성하여 단열성을 확보하면서 실내외 간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도 결로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회전식으로 개폐 가능한 루버를 갖는 루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루버가 열린 경우 통풍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루버가 닫힌 경우 루버 간의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루버와 프레임 사이를 통하여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루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웜기어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루버에 전달함으로써 루버의 미세한 조작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에도 루버의 개폐 상태의 변화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루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루버의 구조를 개선하여 견고히 루버와 프레임이 결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루버가 이탈되거나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 루버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루버 모듈을 환풍, 채광 및 출입용 윈도우 샤시와 도어 샤시에 결합한 루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은, 합성수지 재질의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장방형상을 갖도록 조립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에 조립되며 웜기어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개폐 장치;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며 내부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이루는 격실을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브라켓이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빔이 조립되고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이 유선형인 다수 개의 루버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루버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변을 이루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서로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루버 유니트; 및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 내부의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분산 배치되는 다수 개의 홀더와 상기 수직 프레임들 내부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들은 일면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이면에 한 쌍의 링크 돌기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홀더의 고정 돌기는 자신의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루버 내의 상기 보강빔의 길이 방향 단부와 결합되며, 각각의 상기 홀더의 링크 돌기와 샤프트는 하나씩 링크되고, 상기 개폐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홀더의 한 쌍의 상기 링크 돌기의 단부들이 링크된 샤프트들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장치와 결합되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회전력이 상기 개폐장치에서 상기 특정 홀더로 전달되고, 상기 특정 홀더의 회전에 의하여 한 쌍의 샤프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다른 홀더들로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며, 일 변을 이루는 상기 수직 프레임 내부의 상기 홀더들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력이 상기 보강빔를 통하여 상기 루버로 전달되어 상기 루버가 회전되고, 다른 일 변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 내부의 상기 홀더들이 자신과 결합된 상기 루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상기 홀더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홀더들과 링크된 다른 일변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 내부의 한 쌍의 상기 샤프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개폐 장치는, 원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원시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웜과 그에 치차결합되어 상기 원시 구동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 1 휠을 포함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의 제 1 휠과 축이음되어서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며 자신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기 홀더의 한 쌍의 상기 링크 돌기들과 결합되는 제2 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웜과 축이음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며 상기 웜과 축이음되는 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버 유니트는 상기 루버의 닫힌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결합된 고정 루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버 유니트의 상기 브라켓은 자신을 관통하여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와 결합되는 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버는 유선형 면이 외면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양단에 결합되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유선형 면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루버가 닫힌 상태에서 자신에 접하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단턱과 맞닿는 부리를 더 포함하여서 상기 부리에 의하여 상기 루버가 닫힌 상태에서 빗물의 흐름이 하부에 위치한 상기 루버의 상기 유선형 면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버는 닫힌 상태에서 하부의 다른 루버의 유선형 면에 접하는 이면에 평행하게 개스킷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 시스템은 상기 루버 모듈; 및 상기 루버 모듈을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샤시는 상기 루버 모듈을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시는 수평 또는 수직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개폐 가능한 상기 루버 모듈을 채용하면서 외부 샤시와 결합되어 슬라이딩 개폐 기능 또는 여닫이 개폐 기능을 갖는 창호 또는 도어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시는 외부 샤시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루버가 회전식으로 구성되는 루버 모듈에서 합성수지와 같이 단열성을 갖는 재질과 여러 개의 공기층을 이루는 격실을 포함하는 루버를 구성하여 단열성을 확보하면서 실내외 간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도 결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루버의 적어도 일면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서 루버가 열린 경우 통풍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루버가 닫힌 경우 루버 간의 기밀성을 보장하면서 루버와 프레임 간의 빗물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식 또는 전동식으로 웜기어를 이용하여 루버가 구동됨으로써 루버의 미세한 조작이 가능하며 외부의 충격에도 루버의 개폐 상태의 변화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루버의 구조를 개선됨으로써 루버와 프레임이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하여 루버가 이탈되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루버 모듈을 환풍, 채광 및 출입용 윈도우 샤시와 도어 샤시와 같은 각종 샤시에 결합하여 다양한 윈도우 및 도어 구현을 위한 루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배면도,
도 6은 루버 유니트의 사시도,
도 7은 루버(20)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8은 루버(20)의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9는 도 6의 A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0은 도 6의 B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보강빔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C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3은 개스킷의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D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15는 브라켓의 사시도,
도 16은 브라켓의 좌측면도,
도 17은 브라켓의 우측면도,
도 18은 루버 유니트의 상부 고정 루버와 상부의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9는 루버 유니트의 하부 고정 루버와 하부의 수평 프레임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0은 수직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21은 수직 프레임 내부의 동력 전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2는 수직 프레임과 그에 결합된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E 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 24는 도 22의 E 부분에서 메인 수직 프레임을 삭제한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25는 사이드 수직 프레임을 삭제하고 케이스를 오픈한 상태의 개폐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 26은 루버가 닫힌 상태의 루버와 샤프트 간의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7은 루버가 반 열린 상태의 루버와 샤프트 간의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8은 루버가 완전히 열린 상태의 루버와 샤프트 간의 링크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9는 루버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 루버 모듈이 닫힌 상태로 샤시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30은 루버 시스템의 일 실시에로 루버 모듈이 열린 상태로 샤시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5는 실시예의 정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루버 모듈은 장방형상의 프레임(10) 내에 루버 유니트(12)가 조립된다.
여기에서 프레임(10)은 합성수지 재질의 수평 프레임(14, 15)과 수직 프레임(16, 17)이 장방형상을 갖도록 조립된 것이고, 조립된 수평 및 수직 프레임(14, 15, 16, 17)은 윈도우 샤시나 도어 샤시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부와 차단됨으로서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수평 및 수직 프레임(14, 15, 16, 17)은 합성수지 재질과 같이 단열성을 갖는 것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16)에 개폐 장치(18)가 설치되며, 개폐장치(18)는 후술되는 웜기어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여 루버 유니트(12)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의 면적의 대부분을 이루는 루버들(20)은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며 단열을 위한 완충 역할을 하는 공기층을 이루기 위한 격실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은 루버들(20)의 재질과 구조에 의한 단열성을 갖는다. 즉,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보다 합성수지 재질의 단열성이 뛰어나므로 루버들(20)은 외부의 차가운 냉기나 외부의 뜨거운 온기를 내부로 전달하지 않는다. 루버들(20)의 구조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인 루버 모듈이 아파트, 오피스텔 및 주상복합 빌딩의 보일러가 설치된 장소 또는 에어컨디셔너의 실외기가 설치된 장소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했을 때 프레임(10)과 루버들(20) 그리고 루버 모듈 및 루버 시스템을 이루는 각 부품들의 단열성에 의하여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루버 모듈과 루버 시스템을 이루는 각 부품들도 단열성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와 같은 단열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바에 의하여 프레임(10)과 루버 유니트(12)는 그 재질적 특성에 의하여 높은 단열성을 가짐으로서 실내외 간의 온도차가 큰 경우에도 결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구성된 바에서 루버 유니트(12)는 루버들(20)과 각 루버들의 길이 방향 양단에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는 브라켓(22)을 포함한다.
루버 유니트(12)는 후술되는 개폐장치(18)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루버(20)가 회전되어서 개폐됨으로써 통풍을 위하여 개방되고 외부와 통풍을 차단하기 위하여 닫히는 동작을 수행한다. 루버(20)의 개폐는 개폐장치(18)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10과 같이 루버 유니트(12)의 루버(20)는 유선형 일면을 가지며 상부와 하부에 고정 루버(20a, 20b)를 포함하며, 고정 루버들(20a, 20b) 사이에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루버(20)는 설치되었을 때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유선형 면을 가지며 폭 방향 하단은 닫힌 상태에서 다른 루버(20)의 폭 방향 상단과 맞물리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루버(20)의 유선형 면의 반대면은 루버(20)가 닫힌 상태에서 상하에 배치된 루버의 면과 편평한 수직면을 이루도록 편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루버(20)는 내부에 공기층으로 양면을 완충하기 위한 격실(20d)이 형성되며 격실(20d)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쐐기홈(20h)과 고정나사홈(20c)이 형성되고 격실(20d)의 내부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보강빔(24)이 삽입되는 공간을 이루면서 보강빔(24)을 지지하기 위한 돌기들(20e)이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루버(20)의 일단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개스킷(26)의 돌기(26a)가 삽입되기 위한 요부가 형성된다.
또한, 루버(20)의 각 부에는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한 보강 격실(20f)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단열 효과 등을 고려한 다양한 보강 격실(20f)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부호 185는 후술되는 고정나사(185)가 고정나사홈(20c)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구성되는 루버(20)는 도 7의 실시예로 구성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도 8의 실시예와 같은 형상을 갖는 루버(20)를 적용할 수 있으며, 도 7 및 도 8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열 효과를 고려한 일부 보강 격실(20f) 등의 구조의 변형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루버(2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보강빔(24)이 조립되며, 보강빔(24)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루버(20) 내부에 삽입되어서 루버(20)과 같이 회전되며 회전력을 제공받기 위하여 고정구(24a)가 형성되어서 도 20 내지 도 22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홀더의 고정 돌기가 삽입된다.
루버(20) 내부에 보강빔(24)이 삽입됨으로써 루버(20)는 강한 풍압이나 외부에 가해지는 물리적 환경에 대응하여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보강빔(24)은 고강도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질의 빔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루버(20)는 닫힌 상태에서 하부의 다른 루버(20)의 유선형 면에 접하는 이면에 평행하게 개스킷(26)이 설치되며, 도 13 및 도 14와 같이 개스킷(26)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루버(20)의 면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화살촉 형상의 돌기(26a)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된다.
루버(20)는 폭 방향 단부에 개스킷(26)이 설치됨으로써 루버(20)가 닫혀서 상하의 다른 루버(20)와 맞물린 상태에서 개스킷(26)에 의하여 기밀성이 보장될 수 있다. 즉 미세한 외풍의 출입이나 냉기 또는 온기의 유입 및 유출 또는 습기의 유입 등이 개스킷(26)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스킷(26)은 온도 변화 및 자외선에 의한 변형성이 없는 이피디엠(EPDM : Etlylene Propylene DieniMethylene linkage)과 같은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루버(20)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브라켓(22)이 결합되며, 브라켓(22)은 도 15 내지 도 17의 사시도,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로써 설명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22)은 일면에 돌출되어 루버(20)의 길이 방향 단부를 파지하는 파지부(22a, 22b)가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22)은 루버(20)의 유선형 면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면서 루버(20)가 닫힌 상태에서 자신에 접하는 수직 프레임(16, 17)에 측면에 형성된 단턱(도 20의 160)과 맞닿는 부리(22c)를 가지며, 부리(22c)가 수직 프레임(16, 17)의 단턱(160)게 맞닿음에 의하여 루버(20)가 닫힌 상태에서 빗물의 흐름이 하부에 위치한 루버(20)의 유선형 면으로 유도된다. 즉, 부리(22c)에 의하여 외부의 빗물이 루버(20)와 수직 프레임(16, 17) 사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22)의 중앙에는 도 20 내지 도 22에서 후술되는 홀더(180)의 고정 돌기(182b)가 관통되는 홀더홀(22d)이 형성되고, 홀더홀(22d)에 인접한 영역에는 도 20 내지 도 22에서 후술되는 쐐기홀(22e, 22f)이 형성되며, 쐐기홀(22e, 22f)에 인접하게 고정나사홀(22g, 22h)이 형성된다.
한편, 루버 유니트(12)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 루버(20a)의 상부에는 도 18과 같이 수평 프레임(14)이 조립되고, 루버 유니트(12)의 하부에 배치되는 고정 루버(20b)의 하부에는 도 19와 같이 수평 프레임(15)이 조립된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면, 고정 루버(20a)의 상부는 클리핑 수평 프레임(146)에 삽입되며, 클리핑 수평 프레임(146)은 내부에 삽입되는 고정 루버(20a)와 결합력 상태를 지지하기 위하여 내벽에 돌기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벽에는 메인 수평 프레임과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구(146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수평 프레임(144)은 상부로 개방된 채널과 하부로 개방된 채널을 가지며, 메인 수평 프레임(144)의 하부로 개방된 채널에는 클리핑 수평 프레임(146)이 삽입되고, 메인 수평 프레임(144)의 상부로 개방된 채널은 커버 수평 프레임(142)과 결합되어 닫힌다.
여기에서 메인 수평 프레임(144)의 상부로 개방된 채널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과 커버 수평 프레임(142)의 저면에 형성된 단턱이 서로 체결됨으로써 메인 수평 프레임(144)과 커버 수평 프레임(142)의 조립 상태가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수평 프레임(144)의 하부로 개방된 채널의 단부에 형성된 단턱과 클리핑 수평 프레임(146)의 외벽에 형성된 지지구(146)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메인 수평 프레임(144)과 클리핑 수평 프레임(146)의 조립 상태가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고정 루버(20b)의 하부도 수평 프레임(15)의 클리핑 수평 프레임(156)과 결합되며 도 1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수평 프레임(14)과 동일한 구조의 수평 프레임(15)이 고정 루버(20b)와 결합되므로, 클리핑 수평 프레임(156), 메인 수평 프레임(154) 및 커버 수평 프레임(152)의 결합 구조는 도 19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및 도 19의 고정 루버(20a, 20b)는 도 7 및 도 8에서 예시한 루버(20)의 상단 또는 하단이 일부 절단되어 적용된 것이 예시되고 있으며,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20) 또는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루버(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16, 17)의 구성에 대하여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직 프레임(16, 17)은 루버(20)와 결합되는 브라켓(22)에 결합되며, 수직 프레임(16, 17)은 커버 수직 프레임(172), 메인 수직 프레임(174) 및 사이드 수직 프레임(176)을 각각 포함하고, 메인 수직 프레임(174)와 커버 수직 프레임(172) 사이에는 한 쌍의 샤프트(180a, 180b)와 각 브라켓(22)에 대응되는 수의 홀더(18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홀더(182)와 한 쌍의 샤프트(180a, 180b)는 동력 전달 장치에 포함된다.
먼저, 브라켓(22)은 자신을 관통하는 한 쌍의 쐐기(184)가 쐐기홀(22e, 22f)를 관통하여 루버(20)의 쐐기홈(20b)에 결합된다. 또한, 브라켓(22)은 자신의 고정나사홈(22g, 22h)을 관통하는 한 쌍의 고정나사(185)가 루버(20)의 고정나사홈(20c)에 결합된다. 이로써 브라켓(22)과 루버(20)는 쐐기(184) 및 고정나사(185)을 이용한 결합에 의한 견고한 고정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루버(20)가 홀더(182)를 이탈하는 것이 쐐기(184)와 고정나사(185)로써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프레임(16, 17)을 이루는 커버 수직 프레임(172)와 메인 수직 프레임(174) 간의 결합은 도 18 및 도 19에서 설명된 메인 수평 프레임(144, 154)과 커버 수평 프레임(142, 152) 간의 결합 관계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수직 프레임(174)과 사이드 수직 프레임(176)도 단턱이 맞물려서 결합 상태가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홀더(182)는 일면에 고정 돌기(182b)가 형성되고 이면에 한 쌍의 링크 돌기(182a)가 형성된다.
홀더(182)의 고정 돌기(182b)는 메인 수직 프레임(174) 및 사이드 수직 프레임(176)에 형성된 관통구(176a)와 브라켓(22)에 형성된 홀더홀(22d)을 관통하여 루버(20) 내의 보강빔(24)의 고정구(24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홀더(182)의 한 쌍의 링크 돌기(182a)는 샤프트(180a, 180b)를 관통하면서 샤프트(180a, 180b)와 회전이 자유롭게 링크될 수 있다. 상술한 링크에 의하여 샤프트(180a)가 상승하면 샤프트(180b)가 하강하고 그에 연동하여 샤프트(180a, 180b)와 링크된 일 변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16, 17) 내에 배치된 홀더들(182)이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수직 프레임(16, 17) 중 어느 하나에 개폐 장치(18)가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좌측의 한 변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16)에 개폐 장치(18)가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우측의 한 변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17)에 도 22와 같이 개폐 장치(18)가 구성될 수 있다.
도 22의 개폐 장치(18)는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개폐 장치(18)는 노브(200)를 포함하며, 케이스(202) 내에 웜(204) 및 휠들(206, 208)을 포함한다. 노브(200)는 웜(204)과 축이음되며 사용자가 노브(200)를 회전시키면 웜(204)이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웜(204)과 휠(206)이 치차 결합을 가지며 웜(204)의 회전 방향과 휠(206)의 회전 방향이 수직으로 교차됨에 따라서 노브(200)의 원시 구동력에 의한 웜(204)의 회전력이 휠(206)에 의하여 수직으로 방향을 전환한 회전력이 휠(206)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리고, 휠(206)과 휠(208)은 수평하게 배치된 것으로서 이들 간은 축(210)으로 연결되며 휠(206)의 회전력이 수평 방향으로 휠(208)에 전달된다.
여기에서 웜(204)과 휠(206)은 커버 수직 프레임(176)의 외부에 배치되며, 휠(208)은 커버 수직 프레임(176)과 메인 수직 프레임(178)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휠(208)에는 한 쌍의 링크홀(212)이 형성되고, 한 쌍의 링크홀(212)에는 홀더(182)의 한 쌍의 링크 돌기(182)가 삽입된다.
여기에서, 휠(208)에는 특정 홀더(182)가 대응되어 결합되며, 특정 홀더(182)의 링크 돌기(182)는 한 쌍의 샤프트(180a, 180b)를 관통하여 휠(208)의 링크홀(212)과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 장치(18) 및 홀더와 샤프트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장치가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루버(20)를 개폐하기 위하여 노브(200)를 회전시키면 사용자에 의하여 원시구동력이 노브(200)에 전달되고, 노브(200)가 회전됨으로써 웜(204)이 연동하여 회전되고, 웜(204)과 수직 방향의 회전력이 휠(206)에 의하여 발생되며 휠(206)은 휠(208)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휠(208)은 자신에 결합된 특정 홀더(182)를 회전시킨다.
특정 홀더(182)는 자신이 포함된 수직 프레임(16) 내의 한 상의 샤프트(180a, 180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하며, 한 쌍의 샤프트(180a, 180b)의 구동은 그에 링크된 다른 홀더들(182)의 회전을 유발하고, 홀더들(182)이 회전됨으로써 그와 결합된 루버(20) 및 브라켓(22)이 회전된다. 이때, 루버(20)와 브라켓(22)은 루버(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닫히거나 열리는 방향으로 홀더들(182)을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즉, 도 26의 상태에서 도 27 및 도 28의 상태로 전개되어서 루버(20)와 브라켓(22)이 열릴 수 있으며, 반대로 도 28의 상태에서 도 27 및 도 25의 상태로 전개되어서 루버(20)와 브라켓(22)이 닫힐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 노브 대신에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으로 조작할 수 있는 전동 모터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회전 방향이 결정되는 원시 구동력이 전동 모터에 의하여 웜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은 루버 유니트에 포함되는 루버(20)가 웜(204)과 휠(206) 간의 기어 결합을 포함하는 웜 기어에 의하여 작동되므로 미세한 각도로 루버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웜(204)과 휠(206)이 기어 결합으로 맞물린 상태이므로, 루버(20)에 외풍 등에 의한 외압이 가해지는 상황에도 쉽게 루버(20)의 개폐 상태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으로 개폐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의 루버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유선형으로 구성됨으로써 루버 구조에 의하여 통풍되는 공기에 양력이 발생하여 통풍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서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은 도 29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29는 루버 모듈(300)이 샤시(40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샤시(400)는 아파트, 오피스텔 및 주상복합 빌딩의 통풍창 또는 배연창 등을 결합하기 위한 샤시에 해당되며 고정식 또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샤시(400)에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300)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루버 모듈(300)이 수직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경우 도 30과 같이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루버 모듈(300)은 다양하게 루버 시스템에 채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0 : 프레임 12 : 루버 유니트
14, 15 : 수직 프레임 16, 17 : 수평 프레임
18 : 개폐 장치 20 : 루버
22 : 브라켓 24 : 보강빔
26 : 개스킷 180a, 180b : 샤프트
182 : 홀더 184 : 쐐기
185 : 고정나사 200 : 노브
202 : 케이스 204 : 웜
206, 208 : 휠 300 : 루버 모듈
400 : 샤시

Claims (13)

  1. 수평 프레임(14, 15)과 수직 프레임(16, 17)이 장방형상을 갖도록 조립된 프레임(10);
    상기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에 조립되며 웜기어(204, 206)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개폐 장치(18);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며 내부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을 이루는 격실을 포함하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브라켓(22)이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빔(24)이 조립되고 외면 중 적어도 일면이 유선형인 다수 개의 루버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루버(20)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변을 이루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서로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되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루버 유니트(12); 및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상기 수직 프레임들 내부의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분산 배치되는 다수 개의 홀더(182)와 상기 수직 프레임들 내부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는 샤프트(180a, 180b)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들은 일면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이면에 한 쌍의 링크 돌기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홀더의 고정 돌기는 자신의 위치에 해당되는 상기 수직 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루버 내의 상기 보강빔의 길이 방향 단부와 결합되며, 각각의 상기 홀더의 링크 돌기와 샤프트는 하나씩 링크되고, 상기 개폐장치가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특정 홀더의 한 쌍의 상기 링크 돌기의 단부들이 링크된 샤프트들을 관통하여 상기 개폐장치와 결합되는 동력 전달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회전력이 상기 개폐장치에서 상기 특정 홀더로 전달되고, 상기 특정 홀더의 회전에 의하여 한 쌍의 샤프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다른 홀더들로 상기 회전력이 전달되며, 일 변을 이루는 상기 수직 프레임 내부의 상기 홀더들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력이 상기 보강빔을 통하여 상기 루버로 전달되어 상기 루버가 회전되고, 다른 일 변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 내부의 상기 홀더들이 자신과 결합된 상기 루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며, 상기 홀더들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홀더들과 링크된 다른 일변을 이루는 수직 프레임 내부의 한 쌍의 상기 샤프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장치는,
    원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장치;
    상기 구동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원시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웜(204)과 그에 치차결합되어 상기 원시 구동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회전력을 발생하는 제 1 휠(206)을 포함하는 웜기어; 및
    상기 웜기어의 제 1 휠과 축이음되어서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회전되며 자신에 해당하는 위치의 상기 홀더의 한 쌍의 상기 링크 돌기들과 결합되는 제2 휠(208);을 포함하는 루버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웜과 축이음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는 노브(200)를 포함하는 루버 모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회전되며 상기 웜과 축이음되는 전동 모터를 포함하는 루버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니트는 상기 루버의 닫힌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최상부와 최하부에 결합된 고정 루버를 더 포함하는 루버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니트의 상기 브라켓은 자신을 관통하여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단부와 결합되는 쐐기(184)와 고정나사(18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루버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유선형 면이 외면이 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루버의 길이 방향 양단에 결합되는 상기 브라켓은 상기 유선형 면을 따라 하부로 연장되면서 상기 루버가 닫힌 상태에서 자신에 접하는 상기 수직 프레임에 형성된 단턱과 맞닿는 부리(22c)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부리에 의하여 상기 루버가 닫힌 상태에서 빗물이 하부에 위치한 상기 루버의 상기 유선형 면으로 유도되어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되는 루버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닫힌 상태에서 하부의 다른 루버의 유선형 면에 접하는 이면에 평행하게 개스킷(26)이 더 설치되는 루버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항의 상기 루버 모듈; 및
    상기 루버 모듈을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시(4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루버 모듈을 수평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루버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상기 루버 모듈을 수직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는 루버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을 축으로 회전 개폐 가능한 상기 루버 모듈과 조립되며 상기 샤시는 슬라이딩 개폐 기능 또는 여닫이 개폐 기능을 갖는 창 또는 도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루버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는 외부 샤시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루버 시스템.
KR1020100059265A 2010-06-22 2010-06-22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Active KR10100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265A KR101000023B1 (ko) 2010-06-22 2010-06-22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US13/696,141 US8826593B2 (en) 2010-06-22 2011-03-21 Louver module and louver system employing the same
PCT/KR2011/001928 WO2011162469A1 (ko) 2010-06-22 2011-03-21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265A KR101000023B1 (ko) 2010-06-22 2010-06-22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023B1 true KR101000023B1 (ko) 2010-12-10

Family

ID=4351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265A Active KR101000023B1 (ko) 2010-06-22 2010-06-22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26593B2 (ko)
KR (1) KR101000023B1 (ko)
WO (1) WO2011162469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75B1 (ko) 2012-11-22 2013-01-31 (주)태흥그레이팅 그레이팅의 결속구조
KR101268067B1 (ko) 2011-03-10 2013-05-29 조선태 시스템 루버
KR101381498B1 (ko) 2012-04-17 2014-04-04 씨티케이 주식회사 히팅 케이블을 포함하는 융설 루버
KR101481707B1 (ko) * 2014-04-17 2015-01-22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가변형 소음기
KR101720471B1 (ko) 2016-11-04 2017-03-28 김종인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1926689B1 (ko) 2017-09-06 2018-12-07 (주)플러스미 빗물유입 방지 환기창
KR20200102027A (ko) 2019-02-20 2020-08-31 윤석희 환기창용 시스템 루버
KR102392106B1 (ko) 2021-08-18 2022-04-27 정정우 루버 자동 각도조절장치
KR20230097552A (ko) 2021-12-24 2023-07-03 정정우 시스템 루버의 자동 각도조절장치
KR20230134788A (ko) 2022-03-15 2023-09-22 한상선 각도변환수단을 갖는 루버 각도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1456B2 (en) * 2011-02-27 2014-11-11 Peng Xu Shading devices
EP2772700B1 (de) * 2013-03-01 2017-06-28 TROX GmbH Lüftungs-Luftlenkgitter zur Anordnung in einem Lufteinlass und/oder in einem Luftauslass einer klima- und raumlufttechnischen Anlage
AU2016204260B2 (en) * 2015-06-25 2021-04-08 Hunter Douglas Inc. Shutter assembly with motorized louver drive system
US10619886B2 (en) 2015-10-01 2020-04-14 Acme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Corp. Airfoil damper
AU201712410S (en) * 2017-03-22 2017-05-10 Wirth Res Limited Air curtain stabilising device
JP7126059B2 (ja) * 2018-03-28 2022-08-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シャッター、送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16Y1 (ko) * 2000-04-15 2000-09-15 김종훈 셔터 창의 개폐 장치
JP2003253972A (ja) * 2002-02-27 2003-09-10 Meiko:Kk 窓のルーバ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0936A (en) * 1960-11-14 1963-11-19 Berard Oreste Composite louver slats for jalousie windows
US4316493B1 (en) * 1977-08-15 1997-06-24 Newell Operating Co Vertical blind controls
IT1219943B (it) * 1988-05-23 1990-05-24 Antonio Mazzocco Perfezionamento nelle persiane a lamelle orientabili
US5052150A (en) * 1990-09-18 1991-10-01 Chen Chih Tsung Structure of venetian blind
DE4115220A1 (de) * 1991-05-10 1992-11-12 Eberspaecher J Jalousie zur abdeckung von lueftungsoeffnungen in gebaeuden
US5216837A (en) * 1992-10-07 1993-06-08 Lafayette Venetian Blind, Inc. Enclosed louver mechanism
US5379551A (en) * 1992-11-20 1995-01-10 Swapp; Ronald L. Window shutter
AUPM760994A0 (en) * 1994-08-22 1994-09-15 Nomad Handicrafts Pty Ltd Improved louvre mechanism
US5941021A (en) * 1996-11-06 1999-08-24 Vassallo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Louver-type window and slat therefor
US5775399A (en) * 1997-01-08 1998-07-07 Shields, Jr.; John W. Louvered blind with removable cloth shades
US6401391B2 (en) * 1997-12-15 2002-06-11 Vinylbiltshutter Systems Inc. Louver control in a movable louver assembly
KR100318131B1 (ko) * 1999-06-17 2001-12-22 장덕재 차양막의 개폐작동장치
US6145251A (en) * 1999-09-17 2000-11-14 Ricci; Fernando Adjustable shutter assembly and slat control mechanism using a control gear and gear engaging positioner
CA2432793A1 (en) * 2000-12-22 2002-07-04 Robert Phillip Griffiths Boss and shutter assembly
US6848213B1 (en) * 2001-11-26 2005-02-01 Ronald L. Swapp Louver mechanism for shutter
US6701669B1 (en) * 2002-09-10 2004-03-09 Kim Charles Yorgason Shutter system rotation mechanism
US7124537B2 (en) * 2003-04-11 2006-10-24 Young Stephen C Decorative shutter with hidden louver control
US7353636B1 (en) * 2003-04-22 2008-04-08 Hunter Douglas Inc. Adjustable size shutter with rack and pinion tilt mechanism
US6901701B2 (en) * 2003-06-09 2005-06-07 Han-Sen Lee Modular assembled shutter set
US7389609B2 (en) * 2004-05-12 2008-06-24 Kim Charles Yorgason Louver ro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50257429A1 (en) * 2004-05-12 2005-11-24 Yorgason Kim C Louver rotation apparatus and method
CA2570549A1 (en) * 2004-06-17 2005-12-29 Robert Phillip Griffiths Cassette for rotating a louvre shutter
US7328533B1 (en) * 2004-07-26 2008-02-12 David Harold Coleman Window shutt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20070101651A1 (en) * 2005-11-09 2007-05-10 Nien Made Enterprise Co., Ltd. Blade of shutter door
US20080000157A1 (en) * 2006-06-29 2008-01-03 Keng-Hao Nien Method and device to motorize bladeset rotation angle of shutter
US7673853B2 (en) * 2006-10-12 2010-03-09 Cordell Eldred Ebeling Fencing section with adjustable fencing members
US7866737B2 (en) * 2007-01-31 2011-01-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ctive material actuated louver system
TWM321463U (en) * 2007-04-04 2007-11-01 Nien Made Entpr Co Ltd Apparatus for helping angular positioning of blades of a motorized shutter
US20090113798A1 (en) * 2007-11-02 2009-05-07 World Engineering Solutions Corp. Security window
US8413378B2 (en) * 2007-11-23 2013-04-09 Maxxmar Inc. Louvre blade seal
KR101196850B1 (ko) * 2008-09-23 2012-11-05 유영흥 슬라이딩가능한 루버조립체
US8281518B2 (en) * 2010-02-17 2012-10-09 Maxxmar Inc. Louvre control system
US8393379B2 (en) * 2010-10-07 2013-03-12 Maxxmar Inc. Shutter with gear drive for louvres
AU2012202652B2 (en) * 2011-05-09 2016-05-05 Hunter Douglas, Inc Shutter with field serviceable louv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516Y1 (ko) * 2000-04-15 2000-09-15 김종훈 셔터 창의 개폐 장치
JP2003253972A (ja) * 2002-02-27 2003-09-10 Meiko:Kk 窓のルーバー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067B1 (ko) 2011-03-10 2013-05-29 조선태 시스템 루버
KR101381498B1 (ko) 2012-04-17 2014-04-04 씨티케이 주식회사 히팅 케이블을 포함하는 융설 루버
KR101228375B1 (ko) 2012-11-22 2013-01-31 (주)태흥그레이팅 그레이팅의 결속구조
KR101481707B1 (ko) * 2014-04-17 2015-01-22 주식회사 성지공조기술 가변형 소음기
KR101720471B1 (ko) 2016-11-04 2017-03-28 김종인 신축형 셔터를 이용한 전동 루버 시스템
KR101926689B1 (ko) 2017-09-06 2018-12-07 (주)플러스미 빗물유입 방지 환기창
KR20200102027A (ko) 2019-02-20 2020-08-31 윤석희 환기창용 시스템 루버
KR102392106B1 (ko) 2021-08-18 2022-04-27 정정우 루버 자동 각도조절장치
KR20230097552A (ko) 2021-12-24 2023-07-03 정정우 시스템 루버의 자동 각도조절장치
KR20230134788A (ko) 2022-03-15 2023-09-22 한상선 각도변환수단을 갖는 루버 각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086843A1 (en) 2013-04-11
US8826593B2 (en) 2014-09-09
WO2011162469A1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023B1 (ko) 루버 모듈 및 그를 채용한 루버 시스템
KR101302744B1 (ko) 디벨류 커튼월 창
KR100773155B1 (ko) 더블창짝을 구비한 창호시스템
JP5914630B2 (ja) 二重窓
US20090272037A1 (en) Jalousie window with insulating louvers
JP2018526553A (ja) カーテンウォール二重外被システム建具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489307B1 (ko) 단열 시스템 루버
KR102002110B1 (ko) 단열 강화 유리가 구비된 루버 창호
JP4735451B2 (ja) 通風建物
KR101612006B1 (ko) 이중창 시스템
KR101923600B1 (ko)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폴딩도어
KR100662657B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JP6184095B2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US6478072B1 (en) Solar screen mounting for an awning window
KR101173175B1 (ko) 이중 개폐 시스템 블라인드 창호
KR20170019681A (ko) 창호 시스템
WO2009098440A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20180004524A (ko) 루버 조립체
JP2000274152A (ja) カーテンウオールの窓部
KR101811984B1 (ko) 방충 및 단열을 위한 루버셔터
KR100326649B1 (ko)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KR100692086B1 (ko) 열교차단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실외기실 환기루버
KR102510539B1 (ko) 이중 시스템루버를 구비한 루버 어셈블리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JPS59137736A (ja) 太陽熱の取入れ及び換気を行う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