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91787B1 -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787B1
KR101191787B1 KR1020120056670A KR20120056670A KR101191787B1 KR 101191787 B1 KR101191787 B1 KR 101191787B1 KR 1020120056670 A KR1020120056670 A KR 1020120056670A KR 20120056670 A KR20120056670 A KR 20120056670A KR 101191787 B1 KR101191787 B1 KR 10119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panel
frame
led
bar
ang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노
김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
김대우
이남노
웰스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 김대우, 이남노, 웰스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
Priority to KR102012005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21V29/6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 F21V29/67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fans the fans being used for int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조명부의 LED패널의 상하각도와 더불어 상기 LED패널의 좌우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LED패널의 빛이 조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LED패널로부터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상기 LED패널의 방열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LED패널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LED 조명장치{LED LIGHT APPARATUS}
본 발명은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조명부의 LED패널의 상하각도와 더불어 상기 LED패널의 좌우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LED패널의 빛이 조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LED패널로부터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상기 LED패널의 방열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LED패널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각종 등기구의 광원인 할로겐등, 형광등, 수은등과 같은 경우에는 전력소모가 많기 때문에 선호도가 급속하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할로겐등, 형광등, 수은등은 수명이 짧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폐기처분에 따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 LED패널을 광원으로 하는 등기구가 국내등록특허 10-0859419(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가로등의 방열시스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0475(엘이디 투광기)등으로 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LED패널을 광원으로 하는 등기구는 할로겐등, 형광등, 수은등에 비하여 전력소모가 매우 적어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특히,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등기구의 LED패널의 각도조절이 불가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경과될 수록 상기 LED패널에 묻는 먼지로 인해 상기 LED패널의 방열효율이 저하되어 상기 LED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10-0859419(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가로등의 방열시스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0475(엘이디 투광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조명부의 LED패널의 상하각도와 더불어 상기 LED패널의 좌우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LED패널의 빛이 조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LED패널로부터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상기 LED패널의 방열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LED패널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면에 방열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LED패널과, 상기 LED패널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LED패널의 상측과 하측이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LED패널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LED패널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각도조절용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의 각도조절용 브라켓은 상기 LED패널의 일측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LED패널의 일측에서 상기 LED패널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바와; 상기 LED패널의 타측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LED패널의 타측에서 상기 LED패널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바와; 상기 일측바의 후측과 상기 타측바의 후측 사이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일측바와 상기 타측바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LED패널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의 후면에 고정되는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은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의 후면에 고정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의 상측에 수직형성되는 상측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의 하측에 수직형성되는 하측 수직바로 구성되는 수직바와; 상기 상측 수직바의 상측에 상기 상측 수직바의 후방으로 수평연장되는 상측연장판과, 상기 하측 수직바의 하측에 상기 하측 수직바의 후방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하측 연장판으로 구성되는 연장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조명부가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표면에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이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좌우이동부재가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의 일측에 상기 LED패널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LED패널을 회전시켜 LED패널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상하각도조절용 모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의 하부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LED패널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좌우각도조절용 모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상부에 상기 좌우이동부재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보조좌우이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후측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상기 지지판의 전방방향으로 수평연장되고, 상부에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의 하부 상측과 축결합되는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가 수직고정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상기 좌우이동부재를 좌우이동시키는 구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와 축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연결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LED패널과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사이에 팬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LED패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팬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리모콘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조명부의 LED패널의 상하각도와 더불어 상기 LED패널의 좌우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LED패널의 빛이 조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LED패널로부터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상기 LED패널의 방열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LED패널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LED 조명장치의 조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조명부의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프레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LED패널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상하각도조절용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LED패널이 좌우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좌우각도조절용 모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프레임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배면도이고,
도 14는 좌우이동부재를 좌우이동시키는 구동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구동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6은 좌우이동부재를 좌우이동시키는 구동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동부재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8은 팬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배면도이고,
도 2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LED 조명장치의 조명부(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LED 조명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D패널(110)과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으로 구성되는 조명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조명부(10)의 LED패널(110)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열핀(111)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핀(111)은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에서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명부(10)의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은 상기 LED패널(110)의 후측에 구비된다.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일측과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타측은 각각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과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 중간부와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 중간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 중간부와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LED패널(110)의 상측과 상기 LED패널(110)의 하측은 작업자에 의해 상기 LED패널(110)의 상하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다.(도 8 참조.)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10)의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은 크게, 일측바(121), 타측바(122) 및 연결바(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바(121)의 전측은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바(121)는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에서 상기 LED패널(1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바(122)의 전측은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 중간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바(122)는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에서 상기 LED패널(1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바(123)는 상기 일측바(121)의 후측과 상기 타측바(122)의 후측 사이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일측바(121)와 상기 타측바(122)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LED패널(110)의 후방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조명부(10)의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10)는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후면에 고정되는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은 크게, 수평바(131), 수직바(132) 및 연장판(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바(131)는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연결바(123)와 평행을 이룬 상태로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연결바(123)의 후면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바(132)는 상측 수직바(132a)와 하측 수직바(13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수직바(132a)는 상기 수평바(131)의 상측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수직바(132b)는 상기 수평바(131)의 하측 중간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133)은 상측 연장판(133a)과 하측 연장판(13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연장판(133a)은 상기 상측 수직바(132a)의 상측에 상기 상측 수직바(132a)의 후방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연장판(133b)은 상기 하측 수직바(132b)의 하측에 상기 하측 수직바(132b)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프레임(1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프로파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프레임(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내측에는 상기 조명부(10)가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2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좌우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수평고정되는 상측프레임(211)과; 상기 상측프레임(211)의 하부방향에 수평구비되는 하측프레임(212)과; 상기 상측프레임(211)의 일측과 상기 하측프레임(212)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상측프레임(211)의 타측과 상기 하측프레임(212)의 타측 사이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는 일측프레임(213) 및 타측프레임(2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의 상측프레임(211)의 상부면, 하부면,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상기 프레임(20)의 상측프레임(211)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상측프레임(211)의 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홈(201)이 상기 프레임(20)의 상측프레임(211)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의 하측프레임(212)의 상부면, 하부면,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상기 프레임(20)의 하측프레임(212)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20)의 하측프레임(212)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상기 가이드홈(201)이 상기 프레임(20)의 하측프레임(212)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프레임(20)의 가이드홈(201)을 따라 상기 프레임(20)의 상측프레임(211)의 일측 및 하측프레임(212)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20)의 상측프레임(211)의 타측 및 하측프레임(212)의 타측방향으로 각각 좌우이동 좌우이동부재(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0)는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상측과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하측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0)는 상측좌우이동부재(301)와 하측좌우이동부재(30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좌우이동부재(301)의 중심부는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상측연장판(133a)의 중심부에 수직형성된 축(133c)의 상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좌우이동부재(301)의 상측에는 상기 프레임(20)의 상측프레임(2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프레임(2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01)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상측가이드돌기(301a)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중심부는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하측연장판(133b)의 중심부에 수직형성된 축(133d)의 하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20)의 하측프레임(21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프레임(212)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01)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하측가이드돌기(302a)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측좌우이동부재(301)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은 작업자에 의해 좌우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다.(도 10 참조.)
도 8은 LED패널(110)의 상하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일측바(121)의 전측에는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 중간부와 축결합되는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가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가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 중간부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는 상기 LED패널(110)을 정역회전시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LED패널(11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자동으로 상하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도 10은 LED패널(110)이 좌우회전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하측 연장판(133b)의 중심부에 수직형성된 축(133d)의 상측과 축결합된 상태에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LED패널(110)을 자동으로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상부에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보조좌우이동부재(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좌우이동부재(31)는 지지판(310)과 고정판(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0)은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후측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20)은 상기 지지판(310)의 상측에 상기 지지판(310)의 전방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20)의 상부에는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하측 연장판(133b)의 중심부에 수직형성된 축(133d)의 상측과 축결합되는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가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도 12는 프레임(1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상부프레임(10a)와 하부프레임(10b)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0a)은 상기 상측프레임(211), 상기 하측프레임(212), 상기 일측프레임(213) 및 상기 타측프레임(2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b)는 일측프레임(215), 타측프레임(216) 및 하측프레임(21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프레임(215) 및 상기 타측프레임(216)은 상기 상부프레임(10a)의 하측프레임(212)의 하부 일측과 상기 상부프레임(10a)의 하측프레임(212)의 하부 타측에 각각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217)은 상기 일측프레임(215)의 하측과 상기 타측프레임(216)의 하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프레임(217)의 상부면, 하부면,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상기 하측프레임(217)의 일측에서 상기 하측프레임(217)의 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상기 가이드홈(201)이 상기 하측프레임(217)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10)는 상부조명부(10a)와 하부조명부(1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조명부(10a)는 상기 상부프레임(10a)의 내측에 상기 상부프레임(10a)의 일측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0a)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좌우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명부(10b)는 상기 하부프레임(10b)의 내측에 상기 하부프레임(10b)의 일측에서 상기 하부프레임(10b)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가능하게 일정간격으로 좌우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명부(10b)의 좌우이동부재(30)의 상측좌우이동부재(301)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상측가이드돌기(301a)는 상기 상부프레임(10a)의 하측프레임(212)의 하부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01)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조명부(10b)의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하측에 형성된 상기 하측가이드돌기(302a)는 상기 하부프레임(10b)의 하측프레임(217)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201)내에 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도 14는 좌우이동부재(30)를 좌우이동시키는 구동부재(6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구동부재(60)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에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를 자동으로 좌우이동시켜 위치조절하는 구동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후측에는 상기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몸체(3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60)는 리드스크류(610)와 구동모터(6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1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몸체(303)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20)는 상기 리드스크류(610)의 일측 또는 상기 리드스크류(610)의 타측에 축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61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2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측프레임(212, 217)의 상부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20)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61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몸체(303)가 구비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와 함께 상기 조명부(10)가 자동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16은 좌우이동부재(30)를 좌우이동시키는 구동부재(6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동부재(60)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와 달리,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60)는 전동실린더 등을 포함한 실린더(6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63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측프레임(212, 217)의 상부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30)의 일측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의 몸체(303)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일체형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630)의 좌우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몸체(303)가 구비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하측좌우이동부재(302)와 함께 상기 조명부(10)가 자동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도 18은 팬부재(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LED패널(110)과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 사이에 구비되도록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내측에는 팬부재(70)가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도 20은 제어부(9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LED패널(110)에 구비되어 상기 LED패널(11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80)와; 상기 온도센서(80)의 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팬부재(70)를 제어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는 가령,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90)에는 기준온도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80)가 측정한 온도값이 상기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LED패널(110)의 방열을 위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팬부재(70)는 상기 LED패널(11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와 함께 상기 LED패널(110)의 후측 주변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팬부재(70)의 후방방향으로 배출하게 되고,
이때, 특히 상기 LED패널(110)의 후측에 묻은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은 비산되어 상기 LED패널(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상기 LED패널(110)의 방열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LED패널(11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는 상기 팬부재(70)의 후방방향으로 배출되어 대류현상에 의해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순환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겨울철에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난방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90)는 작업자가 소지가능한 리모콘(10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와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00)는 가령, 상기 프레임(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리모콘(100)은 가령 RF 신호 등을 송신할 수 있겠으나,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와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특히, 적외선 신호를 상기 수신부(200)로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함과 더불어 상기 수신부(200)는 적외선 수신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콘(10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상하각도조절버튼과;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좌우각도조절버튼과; 상기 구동부재(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좌우위치조절버튼;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상하각도조절버튼, 좌우각도조절버튼 및 좌우위치조절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LED패널(110)의 상하각도, 상기 LED패널(110)의 좌우각도 및 상기 LED패널(110)의 좌우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공장 등을 포함한 작업현장의 실내공간의 천장에 설치된 상기 조명부(10)의 LED패널(110)의 상하각도와 더불어 상기 LED패널(110)의 좌우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상기 LED패널(110)의 빛이 조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LED패널(110)로부터 먼지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상기 LED패널(110)의 방열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LED패널(1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조명부, 110; LED패널,
120; 각도조절용 브라켓.

Claims (15)

  1. 후면에 방열핀(1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LED패널(110)과,
    상기 LED패널(110)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LED패널(110)의 상측과 하측이 상하회전이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각도조절용 브라켓(120)과,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후면에 고정되는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으로 구성되는 조명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0)의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은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에서 상기 LED패널(1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일측바(121)와;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에 전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LED패널(110)의 타측에서 상기 LED패널(1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바(122)와;
    상기 일측바(121)의 후측과 상기 타측바(122)의 후측 사이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일측바(121)와 상기 타측바(122)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LED패널(110)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는 연결바(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은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후면에 고정되는 수평바(131)와;
    상기 수평바(131)의 상측에 수직형성되는 상측 수직바(132a)와, 상기 수평바(131)의 하측에 수직형성되는 하측 수직바(132b)로 구성되는 수직바(132)와;
    상기 상측 수직바(132a)의 상측에 상기 상측 수직바(132a)의 후방으로 수평연장되는 상측연장판(133a)과, 상기 하측 수직바(132b)의 하측에 상기 하측 수직바(132b)의 후방방향으로 수평연장되는 하측 연장판(133b)으로 구성되는 연장판(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10)가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프레임(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의 표면에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2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가이드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20)의 가이드홈(201)을 따라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서 상기 프레임(20)의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는 좌우이동부재(30)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이 좌우회전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상기 좌우이동부재(30)가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의 일측에 상기 LED패널(110)의 일측과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LED패널(110)을 회전시켜 LED패널(110)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상하회전이동시키는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하부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을 회전시켜 상기 LED패널(110)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상부에 상기 좌우이동부재(30)를 따라 좌우이동하는 보조좌우이동부재(31)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좌우이동부재(31)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의 후측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지지판(310)과; 상기 지지판(310)의 상측에 상기 지지판(310)의 전방방향으로 수평연장되고, 상부에 상기 보조각도조절용 브라켓(130)의 하부 상측과 축결합되는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가 수직고정되는 고정판(3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에 상기 좌우이동부재(30)를 좌우이동시키는 구동부재(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6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30)와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610)와;
    상기 리드스크류(610)와 축결합되어 상기 리드스크류(61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60)는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일측이 상기 좌우이동부재(30)에 연결되는 실린더(6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패널(110)과 상기 각도조절용 브라켓(120)사이에 팬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LED패널(1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80)와;
    상기 온도센서(80)의 온도측정값에 따라 상기 팬부재(70)를 제어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를 제어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90)는 리모콘(10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상하각도조절용 모터(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를 제어하는 제어부(9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90)는 리모콘(100)이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좌우각도조절용 모터(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장치.
  15. 삭제
KR1020120056670A 2012-05-29 2012-05-29 Led 조명장치 KR10119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70A KR101191787B1 (ko) 2012-05-29 2012-05-29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70A KR101191787B1 (ko) 2012-05-29 2012-05-29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87B1 true KR101191787B1 (ko) 2012-10-16

Family

ID=47288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670A KR101191787B1 (ko) 2012-05-29 2012-05-29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66Y1 (ko) * 2013-10-15 2014-07-09 김영천 투광기
KR101686491B1 (ko) * 2016-02-23 2016-12-29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슬라이드 방식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led 실외등
CN109237437A (zh) * 2018-09-20 2019-01-18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滑轨探照灯
KR20210001080A (ko) * 2019-06-26 2021-01-06 여성열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3267B2 (ja) 1992-12-03 2002-04-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照明装置
JP2007115541A (ja) 2005-10-20 2007-05-10 Yamaha Corp 光源ユニット
KR100989390B1 (ko) 2008-02-15 2010-10-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3267B2 (ja) 1992-12-03 2002-04-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照明装置
JP2007115541A (ja) 2005-10-20 2007-05-10 Yamaha Corp 光源ユニット
KR100989390B1 (ko) 2008-02-15 2010-10-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66Y1 (ko) * 2013-10-15 2014-07-09 김영천 투광기
KR101686491B1 (ko) * 2016-02-23 2016-12-29 에이펙스인텍 주식회사 슬라이드 방식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led 실외등
CN109237437A (zh) * 2018-09-20 2019-01-18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滑轨探照灯
KR20210001080A (ko) * 2019-06-26 2021-01-06 여성열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KR102203057B1 (ko) 2019-06-26 2021-01-13 여성열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787B1 (ko) Led 조명장치
CN208204688U (zh) 一种便于清理节能型led隧道灯
KR20100107619A (ko) 틸팅형 led 가로등
KR101670544B1 (ko) 엘이디 모듈의 조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 등기구
US20190032875A1 (en) Luminaire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light output
KR101691622B1 (ko) 조명 위치 조절이 가능한 가로등주
KR200485097Y1 (ko) 조사각 조절이 용이한 가로등
EP2264356B1 (en) Lighting device
CN108644694A (zh) 一种节能环保led投光灯
KR101202289B1 (ko) 가로등유닛
KR20170067026A (ko) 지능로봇 조명 장치
US10088117B2 (en) Luminaire with independently controlled light output
KR101112108B1 (ko) 운전자 시야보호를 위한 지능형 터널등
CN215570072U (zh) 一种转动式智能装饰筒灯
KR20090011424U (ko) 엘이디 램프 가로보안등
CN210860822U (zh) 一种便于调节投射方向的投光灯
KR101580617B1 (ko) 빛의 조사구간 선택이 용이한 실외용 엘이디등기구
KR101197003B1 (ko) 개별 방열 및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02887B1 (ko) 반사갓 가변형 도로용 조명기구
KR101128770B1 (ko) 각도 조절부가 구비된 가로등
CN219346369U (zh) 一种隧道清底施工用照明灯
CN218032824U (zh) 一种楼宇亮化工程用外墙照明装置
KR101508930B1 (ko) 배광조절이 가능한 조명기구
CN216693297U (zh) 一种建筑工程节能用照明设备
CN220229053U (zh) 一种便于散热的投光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