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03057B1 -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 Google Patents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057B1
KR102203057B1 KR1020190076614A KR20190076614A KR102203057B1 KR 102203057 B1 KR102203057 B1 KR 102203057B1 KR 1020190076614 A KR1020190076614 A KR 1020190076614A KR 20190076614 A KR20190076614 A KR 20190076614A KR 102203057 B1 KR102203057 B1 KR 102203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esent
case
rotation shaft
lam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080A (ko
Inventor
여성열
Original Assignee
여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성열 filed Critical 여성열
Priority to KR1020190076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0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0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단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을 돌출 형성하는 받침프레임(100);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쪽 측면이 상기 브래킷의 대응면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사각 형상의 틀프레임(200); 상기 틀프레임의 내측에서 복수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격벽부재(300); 상기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되며 상하측 표면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400);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며 전원 인가시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5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관 조명등이 복수개 배열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 회전은 물론 각각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조명하고자 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조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Lighting lamp for event}
본 발명은 경관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관 조명을 위해 특정 장소에 설치된 복수개의 경관등이 광고 또는 이벤트 등을 위한 주변 환경적 요건에 따라 복수개의 경관등이 각각 조명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및 과학 분야의 급격한 발전을 통해 삶의 질이 크게 향상됨과 아울러 쾌적한 주거 환경 및 경관 확보의 요구 등 도시 미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한편, 도심 및 도심주변에는 미관 확보를 위한 구조물 또는 다양한 편의를 위한 각종 시설물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 또는 시설물에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분위기 있는 야경을 연출하기 위하여 주요 부분을 경관등 투사등의 조명등을 통해 조명하도록 하여 미려한 분위기의 야경을 연출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조명등에 적용되는 LED램프는, 전력 소비 효율이 높고, 밝게 조명하며,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이 적용하고 있다.
상기 조명등의 종류를 살펴보면, 조명등은 등주의 형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며, 지주의 상단을 구부려서 그 단부에 설치하는 형태, 지주의 상단을 수평으로 전개시켜 수평단을 형성하고 이 수평단에 설치하는 형태, 지주의 상단에 램프를 설치하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되어 설치되고 있다.
조명등의 광원(光源)으로는 고압수은등(高壓水銀燈), 형광등, 나트륨등, 보통 전구(電球)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최근에는 고휘도의 엘이디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경관 조명, 광고 조명, 조형물 조명, 길거리 조명 등에 적용되는 경관 조명등의 기본적 구조를 살펴보면 통상 지주의 상단에 LED 조명등이 배열된 판상의 등기구가 설치된 것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등기구는 대부분 판상의 표면에 LED (light-emitting diode)가 배열된 것이 적용되고 있다.
상기한 조명등의 경우 조형물 조명시 조형물에만 조명하도록 되어 있어 조형물마다 조명등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 즉, 조명등이 판 형태로 되어 있어 조사각이 한정되는 문제점 그리고 별도의 방열구조가 없는 경우 LED 조명등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 특허 제10-0884619호 공고일 2009. 02. 20 KR 특허 제10-1974805호 공고일 2019. 05. 03 KR 특허 제10-1739333호 공고일 2017. 05. 25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기존의 경관 조명등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경관 조명등이 보다 효율적으로 다양하게 조명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경관 조명등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경관 조명등이 복수개 배열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 회전은 물론 각각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조명하고자 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특정하여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경관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 및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은, 경관 조명등에 있어서, 양단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을 돌출 형성하는 받침프레임;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쪽 측면이 상기 브래킷의 대응면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사각 형상의 틀프레임; 상기 틀프레임의 내측에서 복수개 공간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격벽부재; 상기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되며 상하측 표면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며 전원 인가시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틀프레임의 저면에 상기 케이스를 고정시키는 회전축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회전수단이 더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수단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에 대해 상기 틀프레임이 자동 회전되도록 제2회전수단이 더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수단은, 상기 브래킷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틀프레임에 구비되는 호형기어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호형기어와 치합되어 회전시 상기 틀프레임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의 달성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경관 조명등이 복수개 배열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상하 회전은 물론 각각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조명하고자 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특정하여 조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등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램프를 분리시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 회전각도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설물 조명시 시설물 특징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며 투사 조명할 수 있는 경관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 또는 건축 구조물의 벽면 등에 고정되는 받침프레임(100)과,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프레임(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사각 형상의 틀프레임(200)과, 상기 틀프레임(200)의 내측에 복수개 공간(220)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격벽부재(300)와, 상기 공간(220)에 하나 또는 복수개 위치되며 상하측 표면이 회전축(4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우 회전하게 되는 케이스(400)와,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에 고정되며 전원 인가시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프레임(100)은,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상태에서 양쪽 단부에 상향으로 수직 절곡된 형태의 브래킷(110)(12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브래킷(110)(120)은 좌우 한 쌍을 가지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된다.
상기 틀프레임(200)은, 직사각의 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양쪽 브래킷(110)(120) 사이에 위치되며 양쪽 측면이 상기 브래킷(110)(120)의 대응면에 위치되어 상호 회전축(15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따라,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양쪽 브래킷(110)(120)에 대해 상기 틀프레임(200)이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격벽부재(300)는, 상기 틀프레임(200)의 내측에 복수개 공간(220)이 배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부재(300)가 패널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패널과 패널 사이에 수납공간(320)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수납공간(320)의 개방된 전방면을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커버(340)로 결합시켜서 된 것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수납공간(320)에 별도의 램프를 위치시킬 수 있고 또한, 수납공간(320)에 전기 공급을 위한 케이블 소재의 전기적 라인 등을 위치 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400)는, 판상의 소재로 직사각의 틀 형태를 이루며, 전후방으로 관통된 안내홀(41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안내홀(410)에는 램프(5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면과 하면이 각각 상기 틀프레임(200)의 공간에서 상하 내벽에 회전축(420)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전하게 된다.
상기 램프(500)는, 전원 인가시 투사 점등을 위한 것이며, 상기 케이스(400)의 안내홀(410)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510)와, 상기 고정부(510)의 상단에 고정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LED 점등부(520)로 구성된다.(도 3 참조)
즉, 상기 고정부(510)의 상단에 대해 LED 점등부(520)가 회동되면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프레임(100)이 구조물 등에 끼워져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100)의 하부에 수직고정부(600)를 형성시킨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고정부(600)가 회동 가능하게 접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즉, 구조물에의 설치시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저면 중심에 위치한 수직고정부(600)를 회전시켜 수직상태로 한 후 구조물에 형성된 홈에 끼워 넣거나 벽면 등에 밀착시킨 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이는,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양쪽 브래킷(110)(120)에 상기 회전축(150)을 통해 상기 틀프레임(200)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회전수단(700)이 설치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상기 제1회전수단(700)은, 상기 브래킷(110)(120)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틀프레임(200)에 구비되는 호형기어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호형기어와 치합되어 회전시 상기 틀프레임(200)이 상기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틀프레임(200)에 상기 케이스(400)를 고정시키는 회전축(420)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회전수단(8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수단(800)은, 상기 회전축(420)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수단(700)(800)은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관 조명등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치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바닥면에 받침프레임(100)을 올려놓고 고정시킨다. 그런다음 틀프레임(200)의 양쪽 측면을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양쪽 브래킷(110)(1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회전축(150)을 통해 상기 브래킷(150)에 대해 상기 틀프레임(200)이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시킨다.
이후, 틀프레임(200)의 내측에 공간을 분할하는 복수의 격벽부재(300)가 설치되도록 한후, 연속해서 격벽부재(300)와 이웃한 격벽부재(300) 사이의 공간(220)에 케이스(300)를 위치시킨후, 상기 케이스(300)의 상면 및 하면을 각각 회전축(420)을 통해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에 각각 램프(500)를 설치하면 된다.
여기서, 수동으로 설치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받침프레임(100)에 대해 틀프레임(200)을 회전시켜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하면 되고, 상기 틀프레임(200)의 내측에 배열된 상기 케이스(400)의 경우에도 각각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후 고정하면 된다.
그리고, 자동으로 설치하는 경우 설치 완료상태에서 전원인가에 따른 스위칭 조작으로 제1 및 제2 회전수단(700)(800)을 제어하면서 회전 각도를 조절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받침프레임
110,120: 브래킷 150: 회전축
200: 틀프레임
220: 공간
300: 격벽부재
400: 케이스
420: 회전축
500: 램프

Claims (4)

  1. 경관 조명등에 있어서,
    양단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110)(120)을 돌출 형성하는 받침프레임(100); 상기 받침프레임(100)의 상측에 위치되며 양쪽 측면이 상기 브래킷(110)(120)의 대응면에 회전축(15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직사각 형상의 틀프레임(200); 상기 틀프레임(200)의 내측에서 복수개 공간(220)이 형성되도록 배열되는 격벽부재(300); 상기 공간(2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되며 상하측 표면이 회전축(420)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400);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에 고정되며 전원 인가시 불빛을 발산하는 램프(500)를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110)(120)에 대해 상기 틀프레임(200)이 자동 회전되도록 제1회전수단(700)이 더 제공되도록 하되, 상기 제1회전수단(700)은, 상기 브래킷(120)에 구비되는 모터와, 상기 틀프레임(200)에 구비되는 호형기어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호형기어와 치합되어 회전시 상기 틀프레임(200)이 상기 회전축(15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기어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틀프레임(200)에 상기 케이스(400)를 고정시키는 회전축(420)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2회전수단(800)이 더 제공되도록 하되, 상기 제2회전수단(800)은, 상기 회전축(420)에 구비된 기어와, 상기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기어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는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76614A 2019-06-26 2019-06-26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Active KR102203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614A KR102203057B1 (ko) 2019-06-26 2019-06-26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614A KR102203057B1 (ko) 2019-06-26 2019-06-26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80A KR20210001080A (ko) 2021-01-06
KR102203057B1 true KR102203057B1 (ko) 2021-01-13

Family

ID=7412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614A Active KR102203057B1 (ko) 2019-06-26 2019-06-26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0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366B1 (ko) 2009-07-17 2010-03-02 빌트조명(주) 엘이디 조명장치
JP2010062126A (ja) * 2008-08-07 2010-03-18 Koyo Denki Kogyo Kk 照明装置
KR101021166B1 (ko) 2010-12-01 2011-03-15 (주)엔엘에스 확대반사수단을 갖는 역방향 자연채광장치
KR101191787B1 (ko) 2012-05-29 2012-10-16 주식회사 디에스 Led 조명장치
KR101220473B1 (ko) 2009-06-12 2013-01-10 이종목 개별 제어가 가능한 멀티 서치라이트
JP2013171805A (ja) * 2012-02-22 2013-09-02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19B1 (ko) 2008-12-02 2009-02-20 (주)세광산업조명 Led 경관등
KR101425515B1 (ko) * 2012-08-29 2014-07-31 쓰리아이전기 주식회사 각도조절이 되는 분할광원을 갖는 가로등용 엘이디 등기구
KR101974805B1 (ko) 2016-12-13 2019-05-03 김경선 엘이디 방수 경관조명등
KR101739333B1 (ko) 2017-02-17 2017-05-25 주식회사 네오스라이트 가변형 차단판을 갖는 경관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2126A (ja) * 2008-08-07 2010-03-18 Koyo Denki Kogyo Kk 照明装置
KR101220473B1 (ko) 2009-06-12 2013-01-10 이종목 개별 제어가 가능한 멀티 서치라이트
KR100944366B1 (ko) 2009-07-17 2010-03-02 빌트조명(주) 엘이디 조명장치
KR101021166B1 (ko) 2010-12-01 2011-03-15 (주)엔엘에스 확대반사수단을 갖는 역방향 자연채광장치
JP2013171805A (ja) * 2012-02-22 2013-09-02 Stanley Electric Co Ltd 照明装置
KR101191787B1 (ko) 2012-05-29 2012-10-16 주식회사 디에스 Led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80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2264B1 (en) 2×2 dawn light volumetric fixture
US6457847B1 (en) Lighting system employing glass block lens
US78329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ing involving reflectors
KR101368254B1 (ko) 천정설치가 용이한 조명기구
US20060291218A1 (en) Light fixtures and methods for directionally controlling light emissions
JP2010146973A (ja) 照明器具
KR102203057B1 (ko) 이벤트용 경관 조명등
KR200448976Y1 (ko) 형광등과 교체 가능한 발광표시소자 조명장치
KR100998702B1 (ko) 가변형 반사갓을 갖는 엘이디 형광등
KR200385055Y1 (ko) 엘이디에 의한 보조발광부를 갖는 조명등
KR100717994B1 (ko) 램프커버 회전형 직간접 조명기구
KR101221363B1 (ko) 엘이디램프 등기구용 바디 프레임
US8702268B1 (en) 2×4 dawn light volumetric fixture
KR100576061B1 (ko) 문화재 전시용 진열장의 조명장치
CN204986668U (zh) Led内光外透装饰灯具
US6681509B1 (en) Artistic display
KR200400245Y1 (ko) 조명기구
KR102340361B1 (ko) 경관 조명용 등기구
CN109404803A (zh) 灯组件和驱动器组件之间具有独立调节的嵌入式照明灯具
KR101361261B1 (ko) 엘이디용 렌즈장치
CN222230373U (zh) 一种条形照明灯具结构
CN217423146U (zh) 一种多面泛光灯
JP2010177140A (ja) 天井取付け式led照明構造
CN202501308U (zh) Led嵌入式组合板
CN201373375Y (zh) 镜前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