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791B1 - 분기기 레일연마기 - Google Patents
분기기 레일연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4791B1 KR101194791B1 KR1020100060811A KR20100060811A KR101194791B1 KR 101194791 B1 KR101194791 B1 KR 101194791B1 KR 1020100060811 A KR1020100060811 A KR 1020100060811A KR 20100060811 A KR20100060811 A KR 20100060811A KR 101194791 B1 KR101194791 B1 KR 101194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ishing
- frame
- rail
- head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1/00—Working rails, sleepers, baseplates, or the like, in or on the line; 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E01B31/02—Working rail or other metal track components on the spot
- E01B31/12—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 E01B31/17—Removing metal from rails, rail joints, or baseplates, e.g. for deburring welds, reconditioning worn rails by gr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기 레일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제2분기기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제1·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레일연마기에 있어서, 제1·제2분기기레일 상에서 구동하는 구동휠이 지지되는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프레임;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제1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1하부프레임; 및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2하부프레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기기 레일연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철도레일에서, 레일 헤드의 주행면을 연마함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 헤드에 최적의 연마조건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연마석의 위치, 각도, 접촉력, 가공범위 등을 원활히 제어할 수 있는 분기기 레일연마기에 관한 것이다.
열차의 운행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평활한 주행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레일은, 이를 포함하는 궤도의 구성품 중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은, 안정되고 편안한 열차 운행을 위하여 정기적인 점검 및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자칫 소홀한 관리 및 유지는 운행의 불편뿐 아니라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레일에 열차가 반복 운행됨에 따라 누적되는 차륜 접촉면의 응력에 의하여 주름(corrugation), 쉐링(shelling) 등 결함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소음, 진동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레일수명이 단축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레일 상단의 두부 상면에는, 반복되는 차륜의 하중에 의한 전동 피로현상으로 표면상에 0.05~0.2mm의 가공 경화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를 방치할 경우 통과 톤수 증가에 따라 쉐링(shelling)으로 성장하여 레일훼손의 원인이 된다. 여기서 쉐링(shelling)이란, 레일두부 표면에 생기는 조개껍질 형태의 가공 경화층을 말하며, 이러한 레일손상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경우 레일 두부면에서 깊이 1~3mm 가량의 면이 떨어지거나 레일 절손으로 발전되는 현상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가공 경화층의 주기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레일에는, 레일상에서 운행되는 열차의 하중과 선형의 형상(직, 곡선 구배)에 따라 직마모, 편마모 및 파상마모와 같은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음과 진동 증가하고, 승차감이 떨어지게 되며, 차륜과 레일 상호작용에서 큰 접촉 응력이 발생되어 레일수명이 감소되게 된다. 따라서 레일 헤드가 최대한 원형단면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가 요구된다.
또한, 레일 용접부에는, 용접시 발생하는 열 및 열차 통과에 따른 영향에 의해 요철이 진전되게 되고, 이러한 요철이 기준치 이상으로 진행될 경우, 하중에 따른 충격으로 인하여 용접부 상에서 손상이 발생하고 소음 및 진동이 증가하며, 승차감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용접부를 전후로 하여 레일 연마가 필요하다.
정리하면, 레일표면의 결함으로는, 신규레일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서 압연결함, 압연피막 등과, 운행 중에 발생하는 결함으로서 파상마모, 불규칙한 용접부, 레일 두부 손상, 표면 가공 경화, 표면 박리, 표면 패임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이 손상된 레일표면상에서의 차륜접촉으로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운행이 진행됨에 따라 결함이 확대되고, 열차속도가 증가할수록 소음과 진동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또한, 레일표면에 발생한 각종 결함은 수명단축, 승차감저하 및 유지보수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행레일 및 분기기 레일의 효과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레일의 연마를 통하여 레일 상의 결함을 제거하고 레일과 휠(wheel)의 접촉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레일수명을 연장하고자하는 여러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레일연마(Rail Grinding)는 레일의 표면결함을 제거하여 차륜과 레일의 접촉을 원활하게 유지하여 열차주행시 레일에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궤도자재의 수명이 연장되고 틀림량을 감소시켜 전체적인 유지보수주기를 연장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레일연마의 방식에는 수정연마, 유지보수연마, 예방연마로 나눌 수 있으며, 수정연마(Corrective Grinding)는 다수의 연마 회수에 의하여 레일표면에 나타난 결함들을 제거함으로써 레일을 교정하는 것을 말하고, 유지보수연마(Maintenance Grinding)는 레일 형상(Profile)의 유지가 주목적인 연마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1회 이상의 연마 회수로 레일형상을 유지하는 것이며, 예방연마(Preventive Grinding)는 주기적 연마를 통하여 적은 통과 톤수의 레일에 대하여 최소의 금속량 제거와 빠른 연마 속도로 레일연마를 시행하는 것이 주목적인 방식이다.
레일연마에 사용되는 레일연마차(rail grinding machine)에는, 연마 형식에 따라 그라인딩(Grinding)형, 슬라이딩(Sliding)형, 밀링(Milling)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라인딩형은 회전숫돌 타입으로서, 연마석을 고속회전 모터에 장착 회전시키며, 좌우로 각도를 조정하여 레일 단면 상태를 따라 연마하는 방식을 말한다. 슬라이딩형은 왕복숫돌 타입으로서, 4각형 블록 모양의 연마석이 장착된 프레임을 레일면 위에서 앞뒤로 활동하게 하여 연마하는 방식을 말한다. 밀링형은 절삭타입으로서, 밀링인서트가 장착된 밀링툴(milling tool)이 레일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며 레일두부면을 원형 단면으로 절삭 가공하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서 그라인딩형은 레일 헤드의 상면 및 게이지 균열부를 따라 각도를 조정하며 반복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장비가격이 비교적 고가인 단점이 있으나, 연마모듈을 소정의 각도로 좌우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레일 단면에 따라 윤곽절삭(Profiling)이 가능하고, 고속 회전모터방식을 사용하여 연마능력이 양호한 이점이 있어 비교적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레일연마차는, 주행레일 연마용으로만 개발되어 분기기를 제외한 구간에 대한 연마로 국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선로 상에 열차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설치된 분기기는 그 형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기존의 레일 연마기로 연마가 불가하여 레일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연마를 하지 못하는 등,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형태의 마모가 발생되어도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어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신품으로 대체할 수밖에 없으며, 이러한 점은 선로유지 비용 측면에서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철도 분기기 레일에서, 분기기 레일 헤드의 주행면을 연마함에 있어서 각각의 레일 헤드면 상에서 최적의 연마조건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의 연마석이 안정되게 지지되고, 연마석의 위치, 각도, 접촉력, 가공범위 등을 원활히 제어할 수 있는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제2분기기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레일연마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 상에서 구동하는 구동휠이 지지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1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1하부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2하부프레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보스(boss)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과 상기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암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암은 상기 보스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을 연결하는 푸쉬롤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제1연마장치와 제2연마장치 각각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스프링푸쉬블럭; 상기 스프링푸쉬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레일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쉬롤러; 및 상기 푸쉬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쉬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각각을 연결하는 하부실린더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실린더장치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제2유압실린더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블럭;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제2두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두부브라켓; 상기 두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두부모터; 상기 두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두부연마석; 상기 두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두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두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두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제2측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측부브라켓; 상기 측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부모터; 상기 측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측부연마석; 상기 측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측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측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측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제2분기기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레일연마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 상에서 구동하는 구동휠이 지지되고, 승강실린더장치가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승강실린더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분기기레일 또는 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장치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로드앤드; 상기 승강로드앤드 하단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프레임에 고정되는 승강회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송프레임에는, 상기 승강실린더장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다수 개의 승강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을 연결하는 쇼크옵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의 중앙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보스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보스 각각은, 상기 승강실린더장치에서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는, 종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이송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이송가이드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 또는 제2분기기레일에 안착하여 구동하는 지지휠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이송프레임이 최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이송프레임을 지지하는 행거실린더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행거실린더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는 행거실린더; 상기 행거실린더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행거핀; 상기 행거핀을 지지하고,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프레임에는, 상기 행거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행거블럭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장치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장치와, 상기 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1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1하부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2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2하부프레임으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하부보스(boss)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과 상기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암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암은 상기 하부보스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을 연결하는 푸쉬롤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제1연마장치와 제2연마장치 각각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스프링푸쉬블럭; 상기 스프링푸쉬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레일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쉬롤러; 및 상기 푸쉬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쉬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각각을 연결하는 하부실린더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실린더장치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제2유압실린더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블럭;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제2두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두부브라켓; 상기 두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두부모터; 상기 두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두부연마석; 상기 두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두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두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두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제2측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측부브라켓; 상기 측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부모터; 상기 측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측부연마석; 상기 측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측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측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측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상부프레임에서 승강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연마시 궤도레일상에서 지지되는 이동프레임과, 이 이동프레임에서 개별적으로 가동되도록 이루어지고 제1·제2연마장치가 형성된 제1·제2하부프레임에 의하여 연마장치의 안정된 결합 및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고, 레일 헤드의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분기기 레일에서의 원활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둘째, 푸쉬롤러장치 및 하부실린더장치를 통하여 레일연마기의 이동중에서도 제1·제2하부프레임이 궤도레일과 안정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제1·제2연마장치에 의한 가공이 이루어지므로 더욱 정밀한 연마가 가능하다.
셋째, 두부연마장치와 측부연마장치가 개별적으로 구동되도록 하고, 각각의 연마석이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넓은 범위의 레일 헤드 표면을 가공할 수 있으며, 레일 헤드의 원형 형상 유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연마기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배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
도 2는 도 1의 상부프레임, 이송프레임 및 제1·제2하부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상부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배면도, 평면도, 좌측면도를, 도 4는 이송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를, 도 5는 제1하부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배면도,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레일연마기에서 제1·제2하부프레임 및 이에 결합되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좌측면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푸쉬롤러장치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된 제1두부연마장치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확대 도시한 좌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1두부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에서 도시된 제1측부연마장치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확대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측부연마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프레임, 이송프레임 및 제1·제2하부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좌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상부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배면도, 평면도, 좌측면도를, 도 4는 이송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를, 도 5는 제1하부프레임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배면도,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레일연마기에서 제1·제2하부프레임 및 이에 결합되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좌측면도,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푸쉬롤러장치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된 제1두부연마장치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확대 도시한 좌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1두부연마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6에서 도시된 제1측부연마장치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확대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측부연마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는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궤도레일을 연마하는 장치이며, 열차와 같이 레일 상에서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레일 헤드 표면을 가공한다.
설명의 편의상,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궤도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앞쪽으로 정하고, 반대쪽을 뒤쪽으로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도 1(b)를 기준으로 할 때, 우측을 전방, 좌측을 후방, 하측을 좌측방, 상측을 우측방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의 내부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배면도,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상부프레임(100), 이송프레임(200) 및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의 내부구성이 나타나도록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상부프레임(100)의 배면도, 평면도, 좌측면도를, 도 4는 이송프레임(200)의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를, 도 5는 제1하부프레임(300)의 배면도,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인연마기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의 표면을 연마하는 레일연마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 상에서 구동하는 구동휠(110)이 지지되고, 승강실린더장치가 구비되는 상부프레임(100); 상기 승강실린더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프레임(200); 및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분기기레일(10) 또는 제2분기기레일(20)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장치(400, 600)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300, 50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마장치(400, 600)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장치(400)와, 상기 제2분기기레일(20)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장치(600)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프레임(300, 500)은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구비되는 제1하부프레임(300)과, 상기 제2연마장치(600)가 구비되는 제2하부프레임(500)으로 나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상기 제2하부프레임(500)은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는 승강실린더(121); 상기 승강실린더(121)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로드앤드(122); 상기 승강로드앤드(122) 하단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고정되는 승강회동축(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은 통상의 궤도레일과 같이 평행하게 형성되며, 레일연마기의 연마 대상이 되는 객체이다.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의 상단에는 열차의 차륜이 접촉하는 접촉면이 형성되며, 이러한 접촉부분은 다소 두껍게 이루어져 헤드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연마기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의 차륜 접촉면(레일 헤드)을 연마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본 발명인 분기기 레일연마기의 몸체를 이루며, 상기 이송프레임(200) 및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을 지지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에는 구동장치가 형성되어 그 자체로 가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별도의 대차에 의하여 견인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은 4각형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좌우대칭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을 따라 구동하는 4개의 상기 구동휠(110)이 결합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 아래쪽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상기 제1·제2연마장치(400, 600)를 포함하여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을 지지하며,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을 상하방향으로 안내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 또한 4각 프레임 형태로 좌우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중앙에 결합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연결되어 승강하도록 이루어지며, 양자 사이에는 승강을 제어하는 승강실린더장치(12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고정형성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의 승강회동축은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는, 승강실린더(121), 승강로드앤드(122), 승강회동축(12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프레임(200)이 상기 상부프레임(100)에서 승강함에 있어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121)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고정결합되며, 특히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는 기본적으로 상기 이송프레임(200)을 지지하면서 승강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균형을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대체로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실린더(121)의 실린더 로드 단부에는 상기 승강로드앤드(122)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로드앤드(122)는 상기 승강실린더(12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승강실린더(121)와 승강회동축(123)을 매개한다. 상기 승강로드앤드(122)는 상측에서 상기 승강실린더(121)와 결합하고, 하측에 상기 승강회동축(123)이 결합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승강실린더(12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제1분기기레일(10) 및 제2분기기레일(20)을 잇는 선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앤드(122) 또한 상기 제1분기기레일(10) 및 제2분기기레일(20)을 잇는 선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회동축(123)은 상기 승강로드앤드(122)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승강로드앤드(122)에 결합되고, 양 단부가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승강회동축(123)은 상기 승강로드앤드(122)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일반적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평행한 상태가 유지된다고 할 수 있으나,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에 의해 승강하는 경우에는, 보다 안정된 승강을 위하여 전후 방향의 흔들림, 즉 어느 정도의 피칭(pitching)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승강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회동축(123)은 상기 승강로드앤드(122)에 고정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게 된다.
도 2(a), 도2(b), 도 3, 도 4 등에는 승강보스(B1)와 쇼크옵서버(S), 이송가이드바(230)와 가이드롤러(130) 도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이송프레임(200)에는,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와 이격된 위치에서 다수개의 승강보스(B1, boss)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보스(B1)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이송프레임(200)을 연결하는 쇼크옵서버(S)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승강실린더장치(120)는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중앙에 결합하고, 다수개의 상기 승강보스(B1)는 균형이 맞는 형태로 상기 이송프레임(200)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실린더장치(120)에서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전단 및 후단에는, 종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이송가이드바(23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00)에는, 상기 이송가이드바(2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13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안정된 승강을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하부프레임 간에는 쇼크옵서버(S, shock absorber, 쇼바)가 결합되며, 서로 대칭된 형태로 4개의 쇼크옵서버(S)가 결합된다. 상기 쇼크옵서버(S)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이송프레임(200)에는 서로 대칭된 위치에서 승강보스(B1, boss)가 형성된다. 이외에도 후술할 가이드롤러(130) 및 이송가이드바(230)가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안정된 승강을 돕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전단 및 후단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지지바(2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10)에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10) 또는 제2분기기레일(20)에 안착하여 구동하는 지지휠(220)이 결합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의 연마가 불필요한 경우, 즉 이동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지지되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과 떨어져 있으나, 연마시에는 하강하여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전단 및 후단에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 상에서 구동되도록 형성된 지지휠(220)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휠(220)이 결합되는 지지바(21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210)는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단부에 상기 지지휠(220)이 결합되는데,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상기 지지휠(220)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안착될 때까지 상기 상부프레임(100)에서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지지휠(220)은 상기 이송프레임(200)이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함께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 상에서 안정되게 구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을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에 유지되도록 하여, 안정된 상태에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전후 단부에는, 상하로 비교적 길게 형성되고 종단면이 일정한 이송가이드바(230)가 두개씩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전부 단부에는 상기 이송가이드바(230)의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롤러(1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30)는 중앙이 다소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가이드바(230)와 꼭 맞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송가이드바(230)의 좌우 이격이 없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가이드바(230) 및 가이드롤러(130)에 의하여,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전후 또는 좌우 이격 없이 안정되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은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좌측 아래쪽에서 결합되며, 상기 이송프레임(200)과 함께 승강한다. 상기 제2하부프레임(500)은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우측 아래쪽에서 결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200)과 함께 승강하며,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부프레임(500)과 이에 형성되는 제2연마장치(600)는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 및 이에 형성되는 제1연마장치(400)와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상기 제2하부프레임(500)과 제2연마장치(600)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제1연마장치(400)에 대한 설명에 갈음하도록 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 또한 4각형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대략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을 연마하는 제1연마장치(400)가 설치되며,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안정되게 지지한다. 상기 제1연마장치(400)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레일 헤드 상부면 내지는 내측면을 연마하도록 이루어지며, 열차의 차륜이 접촉하는 면 상에서 연마석(413, 423)이 접촉하여 가공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마장치(400)의 작동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은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연마를 위한 초기위치,즉 상기 제1연마장치(400)의 자체적인 구동에 의하여 바로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이동시킨다. 예컨대, 상기 제1연마장치(400)에 따른 연마석이,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에서 연마의 대상이 되는 부분의 중심을 향하여 바로 인접하게 놓이는 위치에 이동시킨다. 상기 제1연마장치(400)는 작동시에만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에 접촉하여 접촉면을 가공하며,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때에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10)과 충분히 이격되어 위치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상기 제1분기기레일(10)과 접촉하거나 근접하여 위치하는 경우, 레일연마기의 이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또는 불필요한 접촉은 상기 제1연마장치(400) 등의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에 근접하여 연마를 함에 있어서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고 안정되게 놓여야 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송프레임(200)이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연마를 위한 1차적인 위치선정 및 고정을 위한 수단이라면,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은 2차적인 위치선정 및 고정을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보다 정밀하고 안정된 제어를 위하여, 우선 상기 이송프레임(200)을 통하여 상기 제1연마장치(400)를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에 근접시키고, 다음으로 가공위치, 가공깊이 등이 조정된 만큼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을 통하여 상기 제1연마장치(400)를 세팅(setting)시킨다.
도 2(a) 및 도2(b)에는 행거실린더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에서, 상기 상부프레임(100)에는, 상기 이송프레임(200)이 최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이송프레임(200)을 지지하는 행거실린더장치(140)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보스(B1)와 쇼크옵서버(S)는 상기 이송프레임(200)가 승강하는 경우에 지지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프레임(200)이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매달려 유지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단이 요구된다.
상기 행거실린더장치(140)는 이처럼, 레일 연마가 행하여 지지 않는 경우, 상기 이송프레임(200)이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에 해당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형성되는 행거실린더장치(140)는 행거실린더(141), 행거핀(142), 지지블럭(14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프레임(200)에는 상기 행거실린더장치(140)에 분리·결합되는 행거블럭(240)이 형성된다.
상기 행거실린더장치(140)는 실린더 로드가 좌우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즉, 상기 행거실린더장치(140)는 상기 상부프레임(100)에서 뉘어진 상태로 결합되며, 보다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행거실린더(141)에서 실린더 로드가 외측(좌우측 바깥쪽 방향)으로 인출되고, 이 실린더 로드에 상기 행거핀(142)이 결합된다. 상기 행거핀(142)은 상기 행거블럭(240)과 결합되며, 상기 이송프레임(200) 등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블럭(143)은 상기 행거핀(142)이 관통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거핀(142)이 상기 지지블럭(143) 내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블럭(143)은 상기 행거핀(142)이 안정된 형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특히 상기 행거핀(142)이 상기 행거블럭(240)과의 결합시 상기 이송프레임(200) 및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 등의 하중을 견디는데 무리가 되지 않도록 상기 행거핀(142)을 안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행거블럭(240)은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고정형성되며, 좌우 양측에서 상기 행거핀(142)에 대응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행거블럭(240)은,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행거핀(142)의 단부가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이송프레임(200) 등이 상기 상부프레임(100)에 지지되어 매달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행거실린더장치(140)에 의하여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되며, 안정된 상태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에서, 상기 이송프레임(200)과 제1하부프레임(300) 및 제2하부프레임(500) 각각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하부보스(B2, boss)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보스(B2)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200)과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 및 제2하부프레임(500)을 연결하는 링크암(A)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암(A)은 상기 하부보스(B2)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상기 이송프레임(200)에는 양자를 연결하는 링크암(A)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암(A)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이송프레임(200)에 형성되는 하부보스(B2, boss)에 결합된다.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이송프레임(200)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하부보스(B2)는, 상기 상부프레임(100)과 이송프레임(200)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승강보스(B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의 4개의 귀퉁이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링크암(A)은 유압쇼바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보스(B2)에 결합된다. 상기 링크암(A)은 상기 하부보스(B2)에 고정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부보스(B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이 상기 이송프레임(200)을 상대로 좌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프레임(200)은 상기 지지휠(220)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 상에 안착 될 때까지 상기 상부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하강하며, 안정된 상태로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을 지지한다.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은 상기 이송프레임(200)과 함께 승강하며, 좌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은 서로 동일한 변위를 갖도록 서로 대칭되게 이동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별도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는, 승강하는 상기 이송프레임(200)과 이를 기준으로 좌우이동하는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을 통하여 상기 제1·제2연마장치(400, 600)가 안정되게 고정되고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상기 이송프레임(200)을 통하여 상기 제1연마장치(400)를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에 근접시킨 후, 제1하부프레임(300)을 통하여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이동 및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제1·제2연마장치(400, 600)가 분리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 및 제2하부프레임(500) 각각에 결합되어 가공이 이루어지고, 장치의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어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기기(turnout) 레일에서의 가공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된 레일연마기에서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 및 이에 결합되는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및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도시된 푸쉬롤러장치(700)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에서, 상기 이송프레임(200)과 제1하부프레임(300) 및 제2하부프레임(500) 각각을 연결하는 푸쉬롤러장치(700)를 구비하고, 상기 푸쉬롤러장치(700)는, 상기 제1연마장치(400)와 제2연마장치(600) 각각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제2하부프레임(500)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제2하부프레임(5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쉬롤러장치(700)는,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710);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에 고정결합되는 스프링푸쉬블럭(720); 상기 스프링푸쉬블럭(72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의 레일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쉬롤러(730); 및 상기 푸쉬롤러(7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쉬스프링(7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제2하부프레임(500)의 전단 및 후단 각각을 연결하는 하부실린더장치(80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실린더장치(800)는, 제2유압실린더(810); 상기 제2유압실린더(810)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블럭(820);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810)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하부프레임(500)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블럭(8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푸쉬롤러장치(700)는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을, 상기 이송프레임(200)을 기준으로 좌우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푸쉬롤러장치(700)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이 상기 하부롤러장치의 중간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도록 하고, 연마작업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이 상기 하부롤러장치의 좌측에 치우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서 연마가 필요한 부분은, 열차의 차륜이 맞닿는 부분인 레일 헤드의 상단면과 내측면이며, 상기 제1연마장치(400) 또한 이러한 가공면으로 접근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연마장치(400)는 상기 이송프레임(200)의 중심쪽에서 상기 제1분기기레일(10)방향으로 접근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푸쉬롤러장치(700)는,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내측면을 향하여 접근하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을 상기 이송프레임(200)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푸쉬롤러장치(700)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제2하부프레임(50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인 레일연마기의 주행시 및 작업시에도 상기 제1연마장치(400)가 안정되게 지지되어 연마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푸쉬롤러장치(700)는 제1유압실린더(710), 스프링푸쉬블럭(720), 푸쉬롤러(730) 및 푸쉬스프링(7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이 좌우이동하며, 상기 푸쉬롤러(730)에 의하여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는 일측 단부가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결합되어,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을 좌우이동시킨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는 상기 이송프레임(200)에 고정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힌지결합된다. 상기 스프링푸쉬블럭(720)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고정되고, 아울러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의 실린더 로드 단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의 작동시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이 좌우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푸쉬롤러(730)는 상기 스프링푸쉬블럭(720)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푸쉬블럭(720)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단부에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접촉하는 접촉판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710)의 작동에 따라 실린더 로드가 인출되고, 상기 스프링푸쉬블럭(720)과 함께 상기 푸쉬롤러(730)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을 향해 접근하며, 상기 푸쉬롤러(730)가 궤도레일에 접촉하여 이동이 저지될 때까지 이동한다. 상기 스프링푸쉬블럭(720)의 내부에는 상기 푸쉬스프링(740)이 구비되며, 상기 푸쉬롤러(730)가 탄성력을 받아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안정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푸쉬롤러(730)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접촉한 상태에서, 본 발명인 분기기 레일연마기의 주행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제2연마장치(400, 600)는 연마가 바로 가능한 위치에 놓이게 되며, 상기 제1·제2연마장치(400, 600)를 제어하여 연마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하부실린더장치(800)는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제2하부프레임(500)의 전단 및 후단을 연결하며,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과 제2하부프레임(500)이 좀더 안정된 상태로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된 제1두부연마장치(410)를 확대 도시한 좌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1두부연마장치(41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에서, 상기 제1연마장치(400)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두부연마장치(410)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측부연마장치(4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마장치(600)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두부연마장치(610)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측부연마장치(62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제2두부연마장치(610)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에 결합되는 두부브라켓(411); 상기 두부브라켓(41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두부모터(412); 상기 두부모터(412)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두부연마석(413); 상기 두부모터(412)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두부서보모터(414); 및 일측은 상기 두부브라켓(4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부브라켓(411)을 회전시키는 두부스크류잭장치(4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연마장치(400)와 제2연마장치(600) 각각은 레일 헤드의 상부면과 측부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되는 두부연마장치와 측부연마장치로 나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와 제2두부연마장치(610) 및 제1측부연마장치(420)와 제2측부연마장치(620)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고 작동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와 제1측부연마장치(420)만을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는 항상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나, 대체로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므로, 수직으로 놓인 상태(상기 두부연마석(413)의 가공면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헤드면 상부면을 위주로 가공하도록 이루어지며, 원활한 윤곽절삭(Profiling)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연마를 위한 연마석의 이동 및 가공면의 깊이 조정을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두부브라켓(411), 두부모터(412), 두부연마석(413), 두부서보모터(414) 및 두부스크류잭장치(415)를 포함하고 있으며, 좌우회전은 상기 스크류잭장치 및 두부브라켓(411)에 의하여, 상하이동의 제어는 상기 두부서보모터(41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두부브라켓(411)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결합되어,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를 지지한다. 상기 두부브라켓(411)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의 좌측 단부에 인접하여 결합되며, 힌지작동을 위하여 힌지결합한다. 상기 두부브라켓(411)은 전후단에서 힌지결합되며, 결합부분에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베어링(bearing)이 개재된다. 상기 두부브라켓(411)을 기준으로 상측에 상기 두부모터(412)가 결합되고, 전측에 상기 두부서보모터(414), 우측에 상기 스크류잭장치가 결합된다.
상기 두부브라켓(411)의 전측 상단에는 상기 두부서보모터(414)가 결합된다. 상기 두부서보모터(414)에는 커플링(coupling) 및 볼 스크류(ball screw)가 연결되며, 상기 두부서보모터(414)에 의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두부브라켓(411)의 상측, 상기 두부서보모터(414)에 인접하여 상기 두부모터(412)가 결합된다. 상기 두부모터(412)는 상기 두부서보모터(414)에 연결되며, 양자 사이에 엘엠 가이드(LM guide)가 개재된다. 상기 엘엠 가이드는 상기 두부모터(412)가 상기 두부서보머터의 작동에 따라 안정되게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두부모터(412)의 하단에는 상기 두부연마석(413)이 결합되고, 상기 두부모터(41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헤드 상부면을 가공한다.
상기 두부스크류잭장치(415)는 상기 두부연마석(413)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접촉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를 회동시킨다. 상기 두부스크류잭장치(415)는 상기 두부브라켓(411)에 연결되어 있어며, 상기 두부브라켓(411)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두부연마석(413)의 연마각을 조절한다.
상기 두부스크류잭장치(415)는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잭(screw jack)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잭의 일측에는 서보모터(servo motor)가 결합되며,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크류잭의 로드가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스크류잭의 로드 단부는 상기 두부브라켓(41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잭의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두부브라켓(411)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두부스크류잭장치(415)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두부연마석(413)의 연마각도가 조절되며, 이때 연마각도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약 1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도 6에서 도시된 제1측부연마장치(420)를 확대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1측부연마장치(420)를 정면에서 바라본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기기 레일연마기에서, 상기 제1·제2측부연마장치(620)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10, 20)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에 결합되는 측부브라켓(421); 상기 측부브라켓(42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부모터(422); 상기 측부모터(422)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측부연마석(423); 상기 측부모터(422)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측부서보모터(424); 및 일측은 상기 측부브라켓(4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300, 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브라켓(421)을 회전시키는 측부스크류잭장치(4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부연마장치(420)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레일 헤드 측부면을 위주로 가공하는데 사용되며, 대체적인 구성은 상기 제1두부연마장치(410)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측부연마장치(420)는 항상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나, 대체로 레일 헤드의 우측면(내측면)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므로, 수평으로 놓인 상태(상기 측부연마석(423)의 가공면이 레일 헤드의 우측면을 향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방향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측부연마장치(420)는, 원활한 윤곽절삭(Profiling)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즉, 제1두부연마장치(410)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연마를 위한 상기 측부연마석(423)의 이동 및 가공면의 깊이 조정을 위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측부연마장치(42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측부브라켓(421), 측부모터(422), 측부연마석(423), 측부서보모터(424) 및 측부스크류잭장치(42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하회전은 상기 측부스크류잭장치(425) 및 측부브라켓(421)에 의하여, 좌우이동의 제어는 상기 측부서보모터(424)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측부브라켓(421)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결합되어, 상기 제1측부연마장치(420)를 지지한다. 상기 측부브라켓(421)은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의 좌측 단부에 인접하여 결합되며, 힌지작동을 위하여 힌지결합한다. 상기 측부브라켓(421)은 전후단에서 힌지결합되며, 결합부분에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베어링(bearing)이 개재된다. 상기 측부브라켓(421)을 기준으로 우측에 상기 측부모터(422)가 결합되고, 후측에 상기 측부서보모터(424), 전측에 상기 스크류잭장치가 결합된다.
상기 측부브라켓(421)의 후측 우측단에는 상기 측부서보모터(424)가 결합된다. 상기 측부서보모터(424)에는 커플링(coupling) 및 볼 스크류(ball screw)가 연결되며, 상기 측부서보모터(424)에 의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측부브라켓(421)의 우측, 상기 측부서보모터(424)에 인접하여 상기 측부모터(422)가 결합된다. 상기 측부모터(422)는 상기 측부서보모터(424)에 연결되며, 양자 사이에 엘엠 가이드(LM guide)가 개재된다. 상기 엘엠 가이드는 상기 측부모터(422)가 상기 측부서보머터의 작동에 따라 안정되게 좌우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측부모터(422)의 좌측단에는 상기 측부연마석(423)이 결합되고, 상기 측부모터(42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헤드 측부면을 가공한다.
상기 측부스크류잭장치(425)는 상기 측부연마석(423)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1분기기레일(10)의 접촉면을 가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측부연마장치(420)를 회동시킨다. 상기 측부스크류잭장치(425)는 상기 측부브라켓(421)에 연결되어 있어며, 상기 측부브라켓(421)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측부연마석(423)의 연마각을 조절한다.
상기 측부스크류잭장치(425)는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고정되며, 상기 제1하부프레임(3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잭(screw jack)을 포함한다. 상기 스크류잭의 일측에는 서보모터(servo motor)가 결합되며,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크류잭의 로드가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스크류잭의 로드 단부는 상기 측부브라켓(421)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잭의 로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측부브라켓(421)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측부스크류잭장치(425)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측부연마석(423)의 연마각도가 조절되며, 이때 연마각도 범위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약 76°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제1분기기레일 20 : 제2분기기레일
100 : 상부프레임 110 : 구동휠
120 : 승강실린더장치 121 : 승강실린더
122 : 승강로드앤드 123 : 승강회동축
130 : 가이드롤러 140 : 행거실린더장치
141 : 행거실린더 142 : 행거핀
143 : 지지블럭
200 : 이송프레임 210 : 지지바
220 : 지지휠 230 : 이송가이드바
240 : 행거블럭
300 : 제1하부프레임 400 : 제1연마장치
410 : 제1두부연마장치 411 : 두부브라켓
412 : 두부모터 413 : 두부연마석
414 : 두부서보모터 415 : 두부스크류잭장치
420 : 제1측부연마장치 421 : 측부브라켓
422 : 측부모터 423 : 측부연마석
424 : 측부서보모터 425 : 측부스크류잭장치
500 : 제2하부프레임 600 : 제2연마장치
610 : 제2두부연마장치 620 : 제2측부연마장치
700 : 푸쉬롤러장치 710 : 제1유압실린더
720 : 스프링푸쉬블럭 730 : 푸쉬롤러
740 : 푸쉬스프링
800 : 하부실린더장치 810 : 제2유압실린더
820 : 제1실린더블럭 830 : 제2실린더블럭
A : 링크암 B1 : 승강보스
B2 : 하부보스 S : 쇼크옵서버
100 : 상부프레임 110 : 구동휠
120 : 승강실린더장치 121 : 승강실린더
122 : 승강로드앤드 123 : 승강회동축
130 : 가이드롤러 140 : 행거실린더장치
141 : 행거실린더 142 : 행거핀
143 : 지지블럭
200 : 이송프레임 210 : 지지바
220 : 지지휠 230 : 이송가이드바
240 : 행거블럭
300 : 제1하부프레임 400 : 제1연마장치
410 : 제1두부연마장치 411 : 두부브라켓
412 : 두부모터 413 : 두부연마석
414 : 두부서보모터 415 : 두부스크류잭장치
420 : 제1측부연마장치 421 : 측부브라켓
422 : 측부모터 423 : 측부연마석
424 : 측부서보모터 425 : 측부스크류잭장치
500 : 제2하부프레임 600 : 제2연마장치
610 : 제2두부연마장치 620 : 제2측부연마장치
700 : 푸쉬롤러장치 710 : 제1유압실린더
720 : 스프링푸쉬블럭 730 : 푸쉬롤러
740 : 푸쉬스프링
800 : 하부실린더장치 810 : 제2유압실린더
820 : 제1실린더블럭 830 : 제2실린더블럭
A : 링크암 B1 : 승강보스
B2 : 하부보스 S : 쇼크옵서버
Claims (23)
-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제2분기기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레일연마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 상에서 구동하는 구동휠이 지지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1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1하부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2하부프레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보스(boss)가 형성되고,
상기 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과 상기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암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암은 상기 보스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을 연결하는 푸쉬롤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제1연마장치와 제2연마장치 각각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스프링푸쉬블럭;
상기 스프링푸쉬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레일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쉬롤러; 및
상기 푸쉬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쉬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각각을 연결하는 하부실린더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실린더장치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제2유압실린더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블럭;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두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두부브라켓;
상기 두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두부모터;
상기 두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두부연마석;
상기 두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두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두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두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측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측부브라켓;
상기 측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부모터;
상기 측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측부연마석;
상기 측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측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측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측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제2분기기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레일연마기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 상에서 구동하는 구동휠이 지지되고, 승강실린더장치가 구비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승강실린더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이송프레임;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분기기레일 또는 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장치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강로드앤드;
상기 승강로드앤드 하단에 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형성하며, 상기 이송프레임에 고정되는 승강회동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송프레임에는, 상기 승강실린더장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다수개의 승강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프레임과 이송프레임을 연결하는 쇼크옵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린더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의 중앙에 결합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보스 및 상기 이송프레임에 형성되는 승강보스 각각은, 상기 승강실린더장치에서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는, 종단면의 형상이 일정한 이송가이드바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이송가이드바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에는 하측으로 절곡된 지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에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 또는 제2분기기레일에 안착하여 구동하는 지지휠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에는, 상기 이송프레임이 최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이송프레임을 지지하는 행거실린더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행거실린더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는 행거실린더;
상기 행거실린더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행거핀;
상기 행거핀을 지지하고, 이동을 안내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프레임에는, 상기 행거핀의 단부가 삽입되는 행거블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장치는, 상기 제1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1연마장치와, 상기 제2분기기레일의 표면을 연마하는 제2연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1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1하부프레임과, 상기 이송프레임에 연결되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며 상기 제2연마장치가 구비되는 제2하부프레임으로 나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에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하부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프레임과 상기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암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암은 상기 하부보스를 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프레임과 제1하부프레임 및 제2하부프레임 각각을 연결하는 푸쉬롤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제1연마장치와 제2연마장치 각각이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근접하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지지되어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롤러장치는,
상기 이송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스프링푸쉬블럭;
상기 스프링푸쉬블럭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의 레일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이루어지는 푸쉬롤러; 및
상기 푸쉬롤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푸쉬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부프레임과 제2하부프레임의 전단 및 후단 각각을 연결하는 하부실린더장치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실린더장치는,
제2유압실린더;
상기 제2유압실린더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실린더블럭; 및
상기 제2유압실린더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실린더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1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마장치는, 레일 헤드의 상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두부연마장치와, 레일 헤드의 측부면을 향하여 연마하는 제2측부연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두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두부브라켓;
상기 두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두부모터;
상기 두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두부연마석;
상기 두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두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두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두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두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측부연마장치는,
상기 제1·제2분기기레일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측부브라켓;
상기 측부브라켓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측부모터;
상기 측부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레일 헤드를 연마하는 측부연마석;
상기 측부모터가 슬라이딩 되도록 가동하는 측부서보모터; 및
일측은 상기 측부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제1·제2하부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측부브라켓을 회전시키는 측부스크류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기 레일연마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0811A KR101194791B1 (ko) | 2010-06-25 | 2010-06-25 | 분기기 레일연마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0811A KR101194791B1 (ko) | 2010-06-25 | 2010-06-25 | 분기기 레일연마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446A KR20120000446A (ko) | 2012-01-02 |
KR101194791B1 true KR101194791B1 (ko) | 2012-10-25 |
Family
ID=4560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0811A KR101194791B1 (ko) | 2010-06-25 | 2010-06-25 | 분기기 레일연마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47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981B1 (ko) * | 2014-07-18 | 2015-06-02 | (주)운창메카텍 | 철도레일 보수차량 |
KR101642280B1 (ko) | 2014-08-06 | 2016-07-2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레이저 프로파일 스캐닝과 레이저 클래딩을 이용한 철도 레일 보수장치 및 방법 |
CN107178016B (zh) * | 2017-07-19 | 2023-04-14 | 杨怀杰 | 一种钢轨肥边打磨机 |
KR102339067B1 (ko) * | 2019-11-29 | 2021-12-15 | 주식회사 천경기업 | 경량 레일표면 연마장치 |
CN111794023A (zh) * | 2020-06-21 | 2020-10-20 | 任林昌 | 一种可调式地铁轨道打磨清洗作业机械手 |
KR102465764B1 (ko) | 2020-09-21 | 2022-11-15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레일 프로파일 기반 연마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8301A (ja) | 1996-08-26 | 1998-03-03 | Sankyu Inc | レールフローの無動力自動研削装置 |
JP2002046053A (ja) | 2000-08-07 | 2002-02-12 | Sankyu Inc | レールフロー研削用接続装置及び該接続装置を有するレールフロー研削装置 |
JP2004190334A (ja) | 2002-12-11 | 2004-07-08 | Three F Giken:Kk | 軌道レールの側面処理装置 |
-
2010
- 2010-06-25 KR KR1020100060811A patent/KR1011947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8301A (ja) | 1996-08-26 | 1998-03-03 | Sankyu Inc | レールフローの無動力自動研削装置 |
JP2002046053A (ja) | 2000-08-07 | 2002-02-12 | Sankyu Inc | レールフロー研削用接続装置及び該接続装置を有するレールフロー研削装置 |
JP2004190334A (ja) | 2002-12-11 | 2004-07-08 | Three F Giken:Kk | 軌道レールの側面処理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0446A (ko) | 2012-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94791B1 (ko) | 분기기 레일연마기 | |
CN206858975U (zh) | 一种钢轨轨廓轨迹精磨机 | |
KR20180028741A (ko) | 금속 용기 연마장치 | |
CN102939419B (zh) | 用于打磨轨道的钢轨的打磨机 | |
CN104722823B (zh) | 大型结构件直焊缝铣削装置 | |
CN103331681A (zh) | 数控抛光机 | |
JPS624482B2 (ko) | ||
US5265379A (en) | Device for the reprofiling of the rails of railway track | |
CN106414850A (zh) | 用于铁路轮廓的切向研磨机 | |
CN112405256B (zh) | 一种具有角度调节功能的磨削设备 | |
CN106670929A (zh) | 印刷机托盘精度修复机 | |
CN113136751A (zh) | 一种钢轨复合打磨车 | |
CN110258212B (zh) | 一种机器人化钢轨打磨装置 | |
CN209335320U (zh) | 一种轨道修磨装置 | |
US8490548B2 (en) | Device for railway maintenance | |
CN111719363B (zh) | 一种消除铁路轨枕上拱病害的方法 | |
JP5800775B2 (ja) | レール頭部削正機および自走式レール頭部削正装置 | |
CN210703950U (zh) | 一种耐磨板自动磨光机 | |
CN207807289U (zh) | 一种高加工精度的磨床 | |
CN110241667A (zh) | 一种钢轨打磨装置 | |
CN216066714U (zh) | 一种双端面磨床 | |
KR102605645B1 (ko) | 레일 관리장치 | |
CN113174790B (zh) | 一种钢轨复合打磨方法 | |
CN111719360B (zh) | 一种消除铁路轨枕上拱病害的铣磨装置 | |
CN210341069U (zh) | 一种轧辊修复用激光熔覆同步打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