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231B1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n the conveying bel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n the conveying bel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0231B1 KR101180231B1 KR1020100132169A KR20100132169A KR101180231B1 KR 101180231 B1 KR101180231 B1 KR 101180231B1 KR 1020100132169 A KR1020100132169 A KR 1020100132169A KR 20100132169 A KR20100132169 A KR 20100132169A KR 101180231 B1 KR101180231 B1 KR 1011802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eign material
- unit
- transfer belt
- foreign matter
- b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2—Cleaning devices comprising scrapers
- B65G45/14—Moving scra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4—Cleaning devices comprising plural diverse clean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이물질제거부(200); 및 상기 이송벨트(B)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가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와 이송벨트(B)에 연계되는 구동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송벨트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으며, 콘베이어장치 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isclosed is a transfer belt debris removal device capable of easily removing a foreign matter attached to a transfer belt.
Transport belt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200 configur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port belt (B); And a driving unit 300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200 and the conveying belt B so that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200 reciprocates by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belt B. As shown in FIG.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conveying belt,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belt can be smooth, can prevent the failure of the conveyor device, and can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벨트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belt debris removal device that can easily remove the debris of the transport belt.
이송벨트는 콘베이어장치 등에 무한궤동운동을 하도록 구비되어 소결광이나 코크스 탄 등의 이송물을 이송물이 적치된 장소로부터 이송물이 사용될 장소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The conveying belt is provided to convey the endless movement of the conveyor device to the conveying material such as sintered or coke, etc., from the place where the conveying material is placed to the place where the conveying material is to be used.
이러한 이송벨트에는 소결광이나 코크스 탄 등의 이송물로부터 발생된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이송물을 이송물이 적치된 장소로부터 이송물이 사용될 장소로 이송시킨 후 이송물이 사용될 장소로부터 이송물이 적치된 장소로 이동하는 이송벨트에는 이물질이 부착되게 된다. The transfer belt may be attached to foreign matters generated from the conveyed material such as sintered or coke coal. For example, foreign matter is attached to the conveyance belt which transfers the conveyed material from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material is stored to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is to be used and then moves from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is used to the place where the conveyed object is stored.
이와 같이,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은 이송벨트의 이동을 어렵게 할 수 이있으며, 콘베이어장치 등에 떨어져서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고, 콘베이어장치의 주변에 떨어져서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is way,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conveying belt may make it difficult to move the conveying belt, may cause a failure by falling off the conveyor, etc., and may be polluted around the conveyor device to pollute the environment.
한편, 이송벨트의 이동속도는 비교적 빠른 편이기 때문에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oving speed of the conveying belt is relatively fast, it is difficult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conveying be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of the needs or problems arising from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port belt.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송벨트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port belt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transport b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콘베이어장이 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failure of a conveyor rail due to a foreign matter attached to a conveyance bel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transport belt.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port belt debris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problems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제거부와, 이물질제거부와 이송벨트에 연계되어 이물질제거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based on the inclusion of a foreign matter removal unit, and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in connection with the foreign matter removal unit and the transport belt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conveyance belt.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는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이물질제거부; 및 이송벨트의 이동에 의해서 이물질제거부가 왕복이동되도록 이물질제거부와 이송벨트에 연계되는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ransport belt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configur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port belt;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and the conveying belt so that the foreign matter removing unit reciprocates by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belt. As shown in FIG.
이 경우,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구동부에 연결되며 구동부에 의해서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이물질제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at least one moving member reciproc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by the driving unit; And at least one foreign matter removing member provided in the moving memb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conveyance belt.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재는 V자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member may be V-shaped.
그리고, 상기 이물질제거부재는 일자형이며 이동부재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member may be straight and inclined to the moving member.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이송벨트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fluid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fluid to the conveyance belt;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유체분사유닛은 유체공급원에 연결되며 이물질제거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유체유동관; 및 유체유동관에 구비되는 유체분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luid inje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fluid supply source and the fluid flow pipe is located adjacent to the foreign matter removing member; And a fluid injection unit provided in the fluid flow tube;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이송벨트에 접촉되어 회전되며 양측에 각각 캠부재가 구비된 구동롤러; 구동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이물질제거부에 포함되는 이동부재가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가 이송벨트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캠부재에 접촉되는 돌출부재가 구비되는 구동보조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belt and the driving roller is provided with cam members on each side; A support member rotatably provided with a driving roller and a moving member included i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being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ance belt; And a driving auxiliary member connected to the moving member and having a protruding member contacting the cam member such that the moving member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roller. It may includ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port bel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송벨트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moving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fer belt can be moved smoothly.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콘베이어장치 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ilure of the conveyor device and the like caused by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port belt.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벨트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conveyance bel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transport belt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transport belt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transport belt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belt foreign matter removal apparatus associated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Hereinafter, the 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st suitable embodiments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is to be exemplifi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order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the reference numeral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mong the components that will have the same function in each embodiment, the related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extension numbers.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이물질제거부와, 이물질제거부와 이송벨트에 연계되어 이물질제거부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ically based on a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nd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in connection with the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and the transfer belt so as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erial.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100)는 이물질제거부(200)와 구동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transfer belt
이물질제거부(200)는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물질제거부(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210)와 하나 이상의 이물질제거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oreign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210)는 구동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210)는 구동부(300)에 의해서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이동부재(210)는 2개 일 수 있다. 그러나, 이동부재(210)의 갯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개나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moving
이물질제거부재(22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210)에 이물질제거부재(220)가 끼워지는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이물질제거부재(220)가 이동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볼트 등의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이물질제거부재(220)가 이동부재(210)에 구비될 수도 있고, 용접 등에 의해서도 이물질제거부재(220)가 이동부재(210)게 구비될 수도 있다. The foreign
이러한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해서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물질제거부재(220)는 V자형일 수 있다. 또한, 이물질제거부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자형일 수 있으며 이동부재(210)에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transfer belt (B) by the foreign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V자형의 이물질제거부재(220)는 이동부재(210)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일자형 이물질제거부재(220)는 V자형 이물질제거부재(220)의 양 측에 각각 경사지게 이동부재(21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물질제거부재(220)의 형상이나 배열 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형상이나 배열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나 배열이라도 가능하다. As shown in FIG. 1, the V-shaped foreign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210)는 구동부(300)에 의해서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재(210)에 구비되는 이물질제거부재(220)도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을 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210)가 2개 구비되고 이에 각각 이물질제거부재(220)가 구비되면, 하나의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해서 일부의 이물질이 제거된 이송벨트(B)의 부분을 다른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해서 한 번 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므로, 이송벨트(B)의 이물질 제거가 신뢰성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1 and 2, when two moving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물질제거부(200)는 유체분사유닛(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분사유닛(230)은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벨트(B)에 물 또는 공기 등의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의 접착력을 약화시켜서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고 이송벨트(B)를 세척할 수 있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foreign
이러한 유체분사유닛(230)은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체유동관(231)과, 유체분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유동관(231)은 물 또는 공기가 저장된 유체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 또는 공기가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유동관(231)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유동관(231)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한 이송벨트(B)의 이물질제거와 유체분사유닛(230)에 의한 이송벨트(B)로의 물 또는 공기 등의 유체의 분사가 연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유체분사부(232)는 유체유동관(23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유체유동관(231)으로 유동된 물 또는 공기 등의 유체는 유체분사부(232)를 통해 이송벨트(B)에 분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한편,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분사부(232)는 분사노즐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사구멍의 형태인 것도 가능하며 물 또는 공기 등의 유체가 이송벨트(B)에 분사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구동부(300)는 이물질제거부(200)와 이송벨트(B)에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벨트(B)의 이동에 의해서 이물질제거부(200)가 왕복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구동부(3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동롤러(310)와, 지지부재(320) 및, 구동보조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구동롤러(310)는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송벨트(B)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롤러(310)의 양측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각각 캠부재(3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캠부재(311)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구동보조부재(330)에 구비된 돌출부재(331)와 연계하여 구동보조부재(330)가 연결된 이동부재(210)가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The driving
즉, 도3에 도시된 위치에서 구동롤러(310)가 180°회전되면, 캠부재(311)에 접촉되는 돌출부재(331)에 의해서 이동부재(210)는 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 상태에서 구동롤러(310)가 또 다시 180°회전되면, 이동부재(210)는 도면에서 보아 촤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구동롤러(310)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부재(210)가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riving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320)는 구동롤러(3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지지부재(320)에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구동롤러(310)의 회전축(310a)이 삽입되는 축삽입구멍(32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롤러(310)가 지지부재(32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축삽입구멍(320a)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구동롤러(31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320)에는 이동부재(210)가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320)에는 이동부재(210)의 일측 또는 타측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부재관통구멍(320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320)에 이동부재(210)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구동보조부재(33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동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이동부재(210)가 사용되는 경우에 구동보조부재(330)는 2개의 이동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보조부재(3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캠부재(311)에 접촉되는 돌출부재(3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310)의 회전에 의해서 캠부재(311)가 회전되고, 캠부재(311)와 돌출부재(331)의 접촉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210)가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될 수 있다. The driving
이하, 도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one embodiment of the transport belt
이송벨트(B)가 이동되면, 이에 접촉된 구동롤러(310)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구동롤러(3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 캠부재(311)도 회전된다. 그리고, 이러한 캠부재(311)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보조부재(330)의 돌출부재(331)가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재(331)가 구비된 구동보조부재(330)에 연결된 이동부재(210)도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When the conveying belt (B) is moved, the driving
이에 따라, 이동부재(210)에 구비된 이물질제거부재(220)가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oreign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의 이동부재(21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송벨트(B)의 이송방향으로 앞에 설치된 이동부재(210)에 구비된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해서 이송벨트(B)의 이물질이 일부 제거된 후, 뒤에 설치된 이동부재(210)에 구비된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해서 이송벨트(B)의 이물질이 한 번 더 제거된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1 and 2, when two moving
또한, 이와 같이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한 이물질 제거시 유체분사유닛(230)의 유체분사부(232)에 의해서 이송벨트(B)에 물 또는 공기와 같은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의한 이물질의 제거가 더 용이할 수 있으며, 이송벨트(B)를 세척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oreign material is removed by the foreig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100)를 사용하면,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송벨트(B)의 이동이 원활할 수 있고,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콘베이어장치 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using the transfer belt foreign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above-described transport belt debris removal device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have.
100 :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 200 : 이물질제거부
210 : 이동부재 220 : 이물질제거부재
230 : 유체분사유닛 231 : 유체유동관
232 : 유체분사부 300 : 구동부
310 : 구동롤러 310a : 회전축
311 : 캠부재 320 : 지지부재
320a : 축삽입구멍 320b : 부재관통구멍
330 : 구동보조부재 331 : 돌출부재
B : 이송벨트 100: transfer belt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200: foreign material removal unit
210: moving member 220: foreign matter removing member
230: fluid injection unit 231: fluid flow tube
232: fluid injection unit 300: drive unit
310: driving
311: cam member 320: support member
320a:
330: driving auxiliary member 331: protruding member
B: conveying belt
Claims (7)
상기 이송벨트(B)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200)가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와 이송벨트(B)에 연계되는 구동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 A debris removal unit 200 configured to remove debris attached to the transfer belt B; And
A driving unit (300) associated with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200) and the conveying belt (B) such that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200) is reciprocated by the movement of the conveying belt (B);
Conveying belt debris removal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구동부(30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300)에 의해서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부재(210); 및
상기 이동부재(210)에 구비되어 이송벨트(B)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하나 이상의 이물질제거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200
One or more moving members 210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300 and reciprocat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ing belt B by the driving part 300; And
At least one foreign material removal member 220 provided on the moving member 210 to remove foreign matters attached to the transfer belt B;
Transfer belt debri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이송벨트(B)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유닛(2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200
A fluid injection unit 230 for injecting fluid into the transfer belt B; Transfer belt debris remov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유체공급원에 연결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재(22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유체유동관(231); 및
상기 유체유동관(231)에 구비되는 유체분사부(2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luid spray unit 230
A fluid flow tube 231 connected to a fluid supply source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foreign substance removing member 220; And
A fluid injection unit 232 provided in the fluid flow pipe 231;
Transfer belt debri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상기 이송벨트(B)에 접촉되어 회전되며 양측에 각각 캠부재(311)가 구비된 구동롤러(310);
상기 구동롤러(31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200)에 포함되는 이동부재(210)가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재(320); 및
상기 이동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롤러(31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재(210)가 이송벨트(B)의 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도록 상기 캠부재(311)에 접촉되는 돌출부재(331)가 구비되는 구동보조부재(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벨트 이물질 제거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unit 300
A driving roller 310 which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transfer belt B and provided with cam members 311 at both sides thereof;
A support member 320 rotatably provided with the driving roller 310 and a movable member 210 included in the foreign material removing unit 200 to be mov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belt B; And
Protruding member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210 and in contact with the cam member 311 so that the movable member 210 is reciprocat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nsfer belt (B)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roller 310 ( A driving auxiliary member 330 provided with a 331;
Transfer belt debris removal devic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169A KR101180231B1 (en) | 2010-12-22 | 2010-12-22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n the conveying bel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2169A KR101180231B1 (en) | 2010-12-22 | 2010-12-22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n the conveying bel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0734A KR20120070734A (en) | 2012-07-02 |
KR101180231B1 true KR101180231B1 (en) | 2012-09-10 |
Family
ID=4670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216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80231B1 (en) | 2010-12-22 | 2010-12-22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n the conveying bel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023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8058B1 (en) * | 2017-10-24 | 2019-05-13 | 현대제철 주식회사 | Auto repairing device for belt conveyo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0604Y1 (en) | 2005-05-02 | 2005-07-22 |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 a cleaning device for adhesive matter in conveyorbelt |
-
2010
- 2010-12-22 KR KR1020100132169A patent/KR10118023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0604Y1 (en) | 2005-05-02 | 2005-07-22 | 주식회사 대길이에스 | a cleaning device for adhesive matter in conveyorbel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0734A (en) | 2012-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TE513771T1 (en) | ROLLER BELT CONVEYOR FOR PACKING AND MOVING ITEMS LATERALLY ACROSS THE CONVEYOR | |
CN102698910B (en) | Self-rotating type bottle body spraying device | |
CN105151650B (en) | A kind of plate chain type conveyer | |
KR20090030516A (en) | Foreign material removal device on the conveyor return belt surface | |
KR101424427B1 (en) | Cleaner device for belt conveyor | |
KR101180231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on the conveying belt | |
KR20150111493A (en)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object of belt conveyor | |
JP2010234579A (en) | Cleaning mechanism for conveying belt and inkjet recor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190044165A (en) | Belt conveyor cleaner | |
KR20130098801A (en) | Handling device of sticking material for belt conveyor | |
KR101167161B1 (en) | Belt conveyor | |
CN104477635B (en) | A kind of high speed taps machine | |
KR101299044B1 (en) | Reclaimer | |
KR20070096597A (en) | Horizontal conveying pallet conveyor | |
KR102122481B1 (en) | Chain conveyor | |
KR101187763B1 (en) | Cleaner for belt conveyor | |
KR101291534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foreign element in materials | |
KR20140031390A (en) | Plate material conveyance device and plate material conveyance method | |
KR101735667B1 (en) | Conveyor carousel for luggage transferring | |
KR101635417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inclination of belt in conveyor belt | |
CN104444219A (en) | Material conveying machine and hopper attitude control device thereof | |
JP5444585B2 (en) | Transport device | |
KR20130046592A (en) | Cleaning device for belt conveyor | |
JP5229837B2 (en) | Double speed conveyor chain and double speed conveyor | |
KR20090006367U (en) | Roller Convey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