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86891B1 - 휴대기기 충전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충전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891B1
KR101186891B1 KR1020100082819A KR20100082819A KR101186891B1 KR 101186891 B1 KR101186891 B1 KR 101186891B1 KR 1020100082819 A KR1020100082819 A KR 1020100082819A KR 20100082819 A KR20100082819 A KR 20100082819A KR 101186891 B1 KR101186891 B1 KR 101186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electromagnetic field
unit
management serv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561A (ko
Inventor
조동호
공병오
최주영
이순종
신재규
서대원
전성즙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08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8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04B5/26Inductive coupling using coils
    • H04B5/266One coil at each side, e.g. with primary and secondary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20The network being internal to a load
    • H02J2310/22The load be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기기 및 그의 충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장을 발생하는 급전장치와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휴대기기 및 충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급전장치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휴대기기의 충전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휴대기기와 콘센트를 선으로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이 아닌 무선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내가 깔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기기 충전관리 시스템 {CONTROL CHARGING SYSTEM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MP3 플레이어, PMP, 노트북, 게임기, 휴대폰폰 내에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면서도 많은 용량을 포함할 수 있으면서 슬림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이동단말기의 휴대성이 향상되었고, 다양한 기능을 접하기 위해 사용자는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를 소유하여 실내에서나 실외에서 용도에 맞추어 사용한다.
하지만, 이동단말기의 슬림화/고도화에 따라 제조사마다 표준화된 충전모듈이 아닌 다양한 충전 어댑터를 사용하여 이동단말기의 충전을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는 소유하고 있는 각각의 이동단말기에 알맞은 충전모듈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각각의 이동단말기의 충전을 위한 연결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수개의 이동단말기를 한 번에 충전할 수 없고 한 개의 단말기 충전이 끝나면 다른 단말기의 충전을 해야 하며, 기기의 충전이 언제 완료되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충전이 완료되었어도 계속 콘센트와 연결하고 있어 불필요한 전력낭비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기 제조하는 제조사에서는 각각의 기기에 맞추어진 충전모듈이 제작해야하는 문제점 때문에 자원낭비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편리한 이동단말기 충전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충전관리 시스템은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외부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는,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급전 통신부; 및 상기 급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를 받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는, 상기 외부장치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판단감지부; 및 상기 거리판단감지부에서 판단된 상기 외부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급전장치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급전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급전장치와 통신하는 관리서버 통신부; 및 상기 관리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급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관리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으로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기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집전부; 상기 집전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급전장치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및 상기 방향감지부에서 감지된 방향에 따라 상기 집전부에서 발생시키는 전류의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집전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의 양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의 급전 통신부로 전송하는 휴대기기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편, 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급전장치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외부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급전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부는,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급전 통신수단; 및 상기 급전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관리부의 제어를 받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부는, 상기 외부장치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판단 감지수단; 및 상기 거리판단 감지수단에서 판단된 상기 외부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급전 제어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급전부와 통신하는 관리서버 통신수단; 및 상기 관리서버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급전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급전부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관리서버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휴대기기는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의 전자기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집전부; 상기 집전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부; 상기 급전장치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및 상기 방향감지부에서 감지된 방향에 따라 상기 집전부에서 발생시키는 전류의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집전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기기는,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의 양을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의 급전 통신부로 전송하는 휴대기기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급전장치와 관리서버를 포합하는 충전관리 시스템과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휴대기기를 이용하여 휴대기기를 급전장치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휴대기기의 충전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기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다수개의 기기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절약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휴대기기와 콘센트를 선으로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이 아닌 무선으로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내가 깔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기기의 충전상태를 급전장치에서 인식하고 충전관리 시스템에서 제어하여 휴대기기의 충전상태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전력낭비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휴대기기 내부에서 전기장이 발생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그 방향에 맞추어 충전을 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리 시스템 및 휴대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충전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기기(200)는 휴대할 수 있는 어떠한 전자기기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핸드폰, 노트북, MP3플레이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리 시스템(100)은 급전장치(110)와 관리서(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1에서는 급전장치(110)를 실외 공간의 테이블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테이블로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 상면에 휴대기기(200)가 위치하여 휴대기기(200)로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형태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 및 충전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리 시스템(100)은 급전장치(110) 및 관리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전장치(110)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며,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외부장치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외부장치는 후술할 휴대기기(200)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급전장치(110)로 테이블을 하나의 예로써 사용하였으나 휴대할 수 있는 외부장치가 놓일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가능하며 하나 이상 설치하여 다수의 휴대 전자기기가 놓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급전장치(110)는 급전 통신부(111), 급전 제어부(112), 거리판단감지부(113), 급전부(11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전 통신부(111)는 관리서버(120)와 통신하는 역할을 하며, 관리서버(120)로부터 오는 정보를 받아 급전장치(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급전 통신부(111)는 후술할 휴대기기(200)의 통신부와도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통신된 휴대기기(200)의 정보를 급전 제어부(112)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휴대기기(200)의 정보란 휴대기기(200)의 충전부(220)가 충전되어 있는 상태나, 휴대기기(200)가 급전장치(110)상에 놓여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급전 제어부(112)는 상기 급전 통신부(111)와 통신한 관리서버(120)의 정보와 후술할 거리판단감지부(113)로부터 판단된 외부장치와의 거리를 바탕으로 급전장치(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게 된다.
급전부(114)는 급전 통신부(111)를 통해 통신된 관리서버(120)로부터 오는 신호를 받아 급전 제어부(112)를 거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선을 따라 흐르는 전류로 인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전선이나 코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급전장치(110)로 사용되는 테이블의 상판에 해당되는 부분에 전선이나 코일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리판단감지부(113)는 급전장치(11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외부장치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판단된 거리는 급전 제어부(112)로 전송되어 급전부(114)에서 발생될 전자기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관리서버(120)는 하나 이상인 급전장치(110) 각각의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관리서버(120)는 관리서버 통신부(121), 관리서버 제어부(122) 등을 포함하며 구성된다.
관리서버 통신부(121)는 급전장치(110)의 급전 통신부(111)와 통신한다. 급전 통신부(111)를 통해 전달되는 휴대기기(200)의 정보를 전달 받고 급전장치(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도록 정보를 관리서버 제어부(122)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정보가 급전 통신부(111)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급전 통신부(111)와의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관리서버 제어부(122)는 급전 통신부(111)와 통신한 관리서버 통신부(121)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급전장치(110)에서 발생될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이유는 충전될 외부장치의 충전상태나 외부장치의 위치, 외부장치의 유무에 따라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조절하여 효율적인 충전이 이루어지기 위함이다.
휴대기기(200)는 급전장치(110) 상에 위치하여 급전장치(110)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으로 전력이 충전되며, 여기서 휴대기기(200)로는 MP3 플레이어, PMP, 휴대폰, 노트북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휴대기기(200)는 집전부(210), 충전부(220), 장치부(230), 방향감지부(240), 제어부(250) 및 휴대기기 통신부(2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집전부(210)는 코일로 형성되어 있으며 급전장치(110)의 급전부(114)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전류를 발생시켜 충전부(220)의 전력을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충전부(220)는 집전부(210)에서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한다. 여기서 충전부(220)로는 휴대기기(200)에 장착되는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장치부(230)는 충전부(220)에서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며 휴대기기(20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방향감지부(240)는 급전장치(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급전장치(110)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휴대기기(200)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어부(250)는 방향감지부(240)에서 감지하는 방향을 따라 집전부(210)에서 발생되는 전류의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집전부(210)의 방향을 제어한다.
휴대기기 통신부(260)는 휴대기기(200)의 충전부(210)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러한 상태를 급전 통신부(11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급전 통신부(111)로 전달된 휴대기기(200) 충전상태를 급전 통신부(111)에서는 관리서버(120)로 전송하게 되고 관리서버(120)에서는 그러한 상태에 알맞은 전자기장을 발생하도록 급전장치(110)를 제어하게 된다.
즉, 급전장치(110)에 휴대기기(200)가 올려져 있을 때, 휴대기기 통신부(260)는 급전 통신부(111)로 휴대기기(200)의 충전상태를 알리는 정보를 보내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받은 급전 통신부(111)는 관리서버 통신부(121)로 정보를 전송하게 되고 관리서버(120)에서는 휴대기기(200)의 상태에 알맞은 충전이 이루어 지도록 급전장치(110)로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또한, 급전 통신부(111)는 관리서버(120)로부터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신호를 받고, 이러한 신호를 급전 제어부(112)로 보내고, 또한 급전장치(110)의 거리판단감지부(113)는 휴대기기(200)와의 거리를 판단하여 알맞은 전자기장의 세기를 발생하도록 정보를 급전 제어부(112)로 보내게 된다.
이러한 정보를 받은 급전 제어부(112)는 급전부(114)로 휴대기기(200)의 충전상태 및 휴대기기(200)와의 거리를 고려한 알맞은 세기를 갖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렇게 급전장치(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휴대기기(200)의 집전부(210)를 이루고 있는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여 충전부(220)의 전력을 저장하게 된다.
이 때 집전부(210)는 급전장치(110)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240)로 인해 제어부(250)를 통해 그 방향이 전자기장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받기위한 방향으로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충전부(210)는 가장 효율적으로 전력을 충전하게 되고 장치부(230)에서는 이러한 전력을 사용하여 휴대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관리 시스템(100) 및 휴대기기(200)의 이용으로 휴대기기(200)의 충전상태를 관리서버(120)로 알려 그에 알맞은 충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낭비될 수 있는 전력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200)는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집전부(21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20)는 한 개 이상의 급전장치(110) 각각을 관리하여 휴대기기(200)가 올려져 있지 않거나, 충전이 완료된 휴대기기(200)를 파악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이 또한 낭비될 수 있는 전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200)를 급전장치(110)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편히 충전이 되는 장점과 기존에 사용했던 충전 아답터나 선들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외관의 깔끔함과 자원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외부 출입을 했을 때, 휴대기기(200)에 알맞은 충전 모듈이 구비되지 않아 충전을 할 수 없었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충전관리 시스템
110 : 급전장치
111 : 급전 통신부 112 : 급전제어부
113 : 거리판단감지부 114 : 급전부
120 : 관리서버
121 : 관리서버 통신부 122 : 관리서버 제어부
200 : 휴대기기
210 : 집전부
220 : 충전부
230 : 장치부
240 : 방향감지부
250 : 제어부

Claims (14)

  1.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외부장치를 충전하기 위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전류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으로 이용하는 하나 이상의 휴대기기; 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는,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신호를 받아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급전 통신부; 및
    상기 급전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서버의 제어를 받아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급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휴대기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집전부;
    상기 집전부에서 발생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는 장치부;
    상기 급전부가 상기 휴대기기의 충전상태를 고려하여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충전부에서 충전된 전력의 양을 상기 급전 통신부로 전송하는 휴대기기 통신부;
    상기 급전장치에서 발생된 전자기장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감지부; 및
    상기 방향감지부에서 감지된 방향에 따라 상기 집전부에서 발생시키는 전류의 세기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집전부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급전장치는,
    상기 외부장치와의 거리를 판단하는 거리판단감지부; 및
    상기 거리판단감지부에서 판단된 상기 외부장치와의 거리에 따라 상기 급전장치에서 발생시키는 전자기장의 세기를 제어하는 급전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급전장치와 통신하는 관리서버 통신부; 및
    상기 관리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급전장치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급전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제어하는 관리서버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00082819A 2010-08-26 2010-08-26 휴대기기 충전관리 시스템 KR101186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19A KR101186891B1 (ko) 2010-08-26 2010-08-26 휴대기기 충전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19A KR101186891B1 (ko) 2010-08-26 2010-08-26 휴대기기 충전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208A Division KR101270675B1 (ko) 2012-08-28 2012-08-28 급전장치
KR1020120094209A Division KR20120112311A (ko) 2012-08-28 2012-08-28 휴대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61A KR20120019561A (ko) 2012-03-07
KR101186891B1 true KR101186891B1 (ko) 2012-10-02

Family

ID=4612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19A KR101186891B1 (ko) 2010-08-26 2010-08-26 휴대기기 충전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8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421A (ja)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6141170A (ja) 2004-11-15 2006-06-0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送電装置並びに受電装置
JP2010154635A (ja) 2008-12-25 2010-07-08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車両の充電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0421A (ja) 2003-09-30 2005-04-2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6141170A (ja) 2004-11-15 2006-06-01 Sharp Corp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送電装置並びに受電装置
JP2010154635A (ja) 2008-12-25 2010-07-08 Chubu Electric Power Co Inc 車両の充電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61A (ko) 201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20471B (zh) 排除交叉连接的无线功率接收器的无线功率发送器和用于控制其的方法
KR100976161B1 (ko)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그의 충전제어방법
EP2683051B1 (en) Contactless multi-charger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2694423B (zh) 无线电力传输装置的电力传输控制方法及电力传输装置
US20150050881A1 (en) Wireless power charger
JP2019083683A (ja) 共振型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電力伝送制御方法、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無線電力受信装置
CN103457332B (zh) 无线充电器设备和无线充电方法
CN105048524B (zh) 无线电源接收电路、充电系统以及充电控制方法
JP2014183740A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無線充電機能を備えた家具及び無線電力送信装置
CN101330229A (zh) 一种非接触式电能传输装置
JP2012511890A (ja) 平面螺旋形コア構造を備えた無接点電力充電ステーション、無接点電力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51797A (ja) 出力コネクタを備えるバッテリパック及びバッテリパックと電池駆動機器並びにバッテリパックを用いた充電方法
JP2015523842A (ja) 無線充電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13439376A (zh) 为外部设备无线地充电的电子设备
CN106068484B (zh) 包括键盘的便携式计算设备盖体
CN103348555A (zh) 电力输送
KR101740924B1 (ko) 휴대용 무선 듀얼 충전 배터리 팩
CN104426186B (zh) 一种充电控制方法及电子设备
KR101270675B1 (ko) 급전장치
KR20130018506A (ko) 통신 기능이 구비된 무선 충전기
CN104917227A (zh) 一种控制充电的方法、充电设备及终端设备
KR100971714B1 (ko) 평면나선형 코어구조의 파워트랜스피씨비코어가 복층형으로구비된 멀티무접점충전스테이션
TWI478462B (zh) 電池及具有該電池的充電系統
KR20140117185A (ko)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CN108551184A (zh) 无线充电方法、存储介质、储能设备及无线充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