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95B1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3395B1 KR101173395B1 KR20090047174A KR20090047174A KR101173395B1 KR 101173395 B1 KR101173395 B1 KR 101173395B1 KR 20090047174 A KR20090047174 A KR 20090047174A KR 20090047174 A KR20090047174 A KR 20090047174A KR 101173395 B1 KR101173395 B1 KR 1011733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shing
- water treatment
- circulation
- treatment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3472 neutra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2459 clea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386 neutral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048246 Gallicrex ciner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 ammonium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SVXSBDYLRYLIG-UHFFFAOYSA-N dioxidochlorine(.) Chemical compound O=Cl=O OSVXSBDYLRYL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43 Cellulose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55 Chlorine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98 chlorine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56—Cleaning of water-treatment install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6—Pressure conditions
- C02F2301/066—Overpressure, high press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기기의 내부에서 손이 닫지 않는 부분까지 세척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되는 순환부재; 및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순환부재에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재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배수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된 순환관을 구비하고,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처리 기기, 세척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 기기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기기는 원수를 여과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처리 기기에는 정수기, 이온수기 등이 있다.
상기 수처리 기기에는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취수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취수 코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처리 기기에는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탱크,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들 이나 또는 상기 탱크들 중 일부가 설치되는 탱크 타입과, 상기 탱크들이 설치되지 않는 직수 타입이 있다.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취수 코크 및 각종 탱크들은 정수가 유동될 수 있도록 정수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수처리 기기가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 경우, 상기 탱크들, 취수 코크 및 각종 정수관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이게 된다. 따라서, 정수기 사용자나 관 리자(coordinator)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한 때에 각 탱크의 내부를 청소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취수 코크나 각종 정수관의 유로가 좁고 길게 형성되어 세척 도구가 들어 가지 않거나 또는 손이 닫지 않으므로 세척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기기를 청소한 후에도 상기 취소 코크나 각종 정수관에 끼인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정수를 마셔야 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 기기에서 세척 도구나 손이 닫지 않아서 세척이 곤란한 부분도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되는 순환부재; 및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순환부재에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부재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배수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된 순환관을 구비하고,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순환관은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토출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부를 구성하는 코크와 드레인관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순환관은 상기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 또는 정수 저장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이 정수 저장부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순환관은 상기 정수 저장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조절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또는 순환관에는 세척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메쉬망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연결관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다수의 연결포트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연결포트들에 대응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된 디스크; 및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개구홀이 해당 연결포트에 대응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연결포트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포트를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의 하우징에는, 상기 각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유로부와, 상기 연결유로부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상기 순환관측에 연결되는 통합유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은 연결관이 결합되는 연결포트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수처리 기기의 코크와 드레인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들의 개폐 개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의 상면에는 연결관이 결합되도록 연결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모듈의 측면에는 순환관이 결합되도록 순환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는 배수관; 상기 순환부재와 배수관의 연결 부분에 결합되어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 전환부; 및 상기 유로 전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수처리 기기의 유로 또는 배수관으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은 세척수의 유동을 측정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순환 펌프의 세척수 토출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유압센서 또는 유량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은, 순환부재에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세척수 유입 단계; 및 순환모듈을 가동하여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 세척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 세척 단계에서는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토출측에 세척수가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유입 단계에서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다수의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켜 일부 유로씩 나누어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유입 단계에서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다수의 탱크 중 일부 탱크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켜 일부 탱크씩 나누어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정수 저장부에 세척수가 만수되기 전에 순환모듈을 가동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는 세척수의 유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는 세척 단계가 완료되거나 또는 오작동이 감지되면 순환모듈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 단계에서는 순환모듈이 정지되었을 때에 세척 완료 또는 오작동에 관하여 디스플레이 또는/및 부저를 통해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은, 상기 세척 단계 후에,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은, 상기 세척 단계 후에,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은, 상기 세척 단계 후에, 세척수에 중화제를 투입하여 세척수를 중화시키는 세척수 중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중화 단계에서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다수의 유로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수 중화 단계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면 디스플레이 또는/및 부저를 통해 세척수의 중화 완료를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은, 상기 세척수 중화 단계가 수행된 후에, 순환모듈의 유로 전환부를 가동하여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은, 상기 배수 단계가 수행된 후에,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정수를 공급한 후 배수시킴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정하는 세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정 단계에서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정수 저장부에 정수를 완전히 채운 후에 상기 유로 전환부를 가동하여 정수 저장부의 정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 도구나 손이 닫지 않아서 세척이 곤란한 부분도 용이하고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서 수압 차이에 의해 부분적으로 세척이 되지 않거나 세척 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척시 오작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탱크 타입 정수기와 직수 타입 정수기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세척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수처리 기기 중에서 탱크 타입의 정수기에 세척장치는 설치된 경우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와 세척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상기 수처리 기기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면서 수처리 기기의 내부 유로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100)가 적용되는 수처리 기기(1)의 일예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수처리 기기(1)는 수도관(5)이나 교체 가능한 디스펜서용 물통에서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필터부(10)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10)는 세디먼트 필 터(sediment filter),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 및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상기 프리카본 필터는 계면 활성탄이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 등을 여과한다. 상기 멤브레인 필터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사용한 다공성 막을 통과시켜 원수를 여과한다.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는 프리카본 필터의 계면 활성탄보다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여 색소와 냄새를 제거한다.
상기 수처리 기기(1)는 상기 필터부(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저장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 저장부(20)는 상기 필터부(10)에서 여과된 정수가 저장되는 정수 탱크(21)와, 상기 정수 탱크(21)에서 토출된 정수가 유입되는 냉수 탱크(23)와 온수 탱크(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수 저장부(20)는 냉수 탱크(23)와 온수 탱크(25)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수 탱크(23)에는 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온수 탱크(25)에는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 저장부(20)의 유입측에는 정수가 통과됨에 따라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조절부(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 조절부(22)는 필터부(10)에서 토출된 정수가 정수 탱크(21)에 유입될 수 있도록 정수 탱크(21)의 정수 유입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수위 조절부(22)는 정수가 통과함에 의해 정수 탱크(21)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정수 탱크(21)가 만수되면 정수의 유입을 차단하는 구조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정수 저장부(20)는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에 의해 배수부(30)에 연결된다. 상기 배수부(30)는 정수 탱크(21)와 냉수 탱크(23)에 연결되는 냉/정수 코크(31)와, 상기 온수 탱크(25)에 연결되는 온수 코크(32)와, 상기 냉수 탱크(23)와 온수 탱크(25)의 물을 외부로 각각 드레인시키는 드레인관(33,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정수 코크(31)는 상기 정수 탱크(21)에 연결된 정수관과 상기 냉수 탱크(23)에 연결된 정수관이 하나로 연결된 정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 코크(32)는 온수 탱크(25)에 연결된 정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드레인관(33,34)의 토출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세척장치(100)의 연결관(113,114)이 결합됨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개폐부재(33a,34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정수 코크(31)와 온수 코크(32)는 각 코크(31,32)의 내부 유로를 수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레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가 가압되면 각 코크(31,32)가 개방되고 가압 해제되면 해당 코크(31,32)의 유로가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정수 코크(31)와 온수 코크(32)는 각 코크(31,32) 내부의 유로를 전자기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전자식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식 밸브로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제시한다.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냉/정수 코크(31)와 온수 코크(32)에 전자식 밸브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제어부(50: 도 6 참조)에는 전자식 밸브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접속단자(51: 도 6 참조)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0)의 접속단자(51)는 상기 전자식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미도시)의 접속단자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세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척장치(100)는, 순환부재(111-114, 117)와 순환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순환부재(111-114,117)는 수처리 기기(1)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부재(111-114,117)는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함께 무한 루프(infinite loop)를 형성한다.
상기 순환부재(111-114,117)는, 수처리 기기(1)의 배수부(3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111-114)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10) 토출측에 연결되는 순환관(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1-114)은 수처리 기기(1)의 코크(31,32)들과 드레인관(33,34) 등과 같은 배수 구조에 충분히 연결될 수 있는 만큼의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 구조의 개수가 적게 형성된 수처리 기기의 경우, 상기 연결관(111-114)들 중 일부는 배구 구조와 연결되지만 나머지 연결관들은 배수 구조와 연결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연결관(111-114)들은 상기 배수부(30)를 구성하는 코크(31,32) 또는/및 드레인관(33,3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연결관(111-114)의 일단부에는 상기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에 착탈 가능할 수 있도록 피팅장치 내지 커넥터(111a-114a) 등(아래에서는 '커넥터'라고 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연결관(111-114)의 타단부에는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111a-114a)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111a-114a)는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에 연결된 후 잡아당기거나 밀면 상기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111a-114a)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17)은 필터부(10)의 토출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순환관(117)은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 또는 정수 저장부(20) 중에서 정수 탱크(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관(117)의 양단부에는 상기한 연결관(111-114)의 커텍터(111a-114a)와 같은 형태의 커넥터(117a)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17)의 커넥터(117a)는 필터부(10)를 수처리 기기(1)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11)은 필터부(10)와 정수 탱크(21)를 연결하는 정수관을 말한다.
또한, 상기 순환관(117)의 커넥터(117a)는 상기 정수 저장부(20)의 수위 조절부(22)와 토출측 정수관(11)을 분리한 후 상기 수위 조절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11-114) 또는 순환관(117)에는 세척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메쉬망(115)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쉬망(115)은 연결관(111-114)과 순환관(117)에 세척수의 수압이 크게 걸리지 않을 정도의 메쉬(mesh)를 갖는다. 도 2에서는 상기 메쉬망(115)이 연결관(111-114)의 커넥터(111a-114a)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연결관과 순환관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메쉬망(115)은 연결관(111-114)의 타단부측 커넥터(111a-114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기기(1)에 연결관(111-114)을 설치하기 전이나 분리한 후에 상기 메쉬망(115)을 깨끗이 씻어내거나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용이하다.
상기 연결관(111-114)은 상기 순환모듈(120)를 바닥면에 놓은 후 상기 수처리 기기(1)에 배치된 코크(31,32)/드레인관(33,34)과 순환모듈(120)에 결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117)은 순환모듈(120)를 바닥면에 놓은 후 수처리 기기(1)의 상측에 배치된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이나 정수 탱크(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117)은 연결관(111-114)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세척제(detergent)와 중화제(counteragent)가 투입될 수 있도록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는 순환 펌프(173)의 세척수 토출측 또는 유입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모듈(120)에서 세척수의 유동성이 가 장 활발한 부분에 세척제와 중화제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세척제와 중화제가 정수에 빠른 시간 내에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순환모듈(120)에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를 설치하지 않고 사용자나 관리자가 정수 탱크(21) 또는 순환모듈(120)의 유로에 세척제와 중화제를 직접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세척제로는 수처리 기기의 내부 표면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화학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세척제의 성분에 따라 적절한 화학물질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세척제의 일예로는 대한민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129670호에 기재된 세척제를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세척 방법으로는 이산화염소를 함유하는 제1차 세정액에 의해 1차 세정하고, 암모늄이온 및 수산화이온을 함유하는 2차 세정액에 의해 세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세척제 이외에도 다양한 세척제가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연결관(111-114)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연결포트(131-134)와, 상기 순환관(117)이 연결되는 하나의 순환포트(1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포트(131-134)는 연결관(111-114)의 커넥터(111a-114a)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순환포트(137)는 순환관(117)의 커넥터(117a)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포트(131-134)들은 순환모듈(120)의 케이스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모듈(120)를 바닥면 등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상기 연결 관(111-114)의 커넥터(111a-114a)를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상측에서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연결관(111-114)이 연결포트(131-134)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순환포트(137)는 순환모듈(120)의 케이스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관(117)의 커넥터(117a)가 상기 순환모듈(120)의 순환포트(137)에 결합된 후 상기 순환모듈(120)를 바닥면 등에 올려 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연결포트(131-134)들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유로부(141)와, 상기 연결유로부(141)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상기 순환포트(137)에 연결시키는 통합유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부(141)는 통합유로부(142)로부터 다수 갈래 분지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연결유로부(141)와 통합유로부(142)는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수단(16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통합유로부(142)와 상기 순환포트(137)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수포트(1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연결포트(131-134)들의 상측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커버(14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46)는 연결포트(131-134)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순환모듈(120)에 외부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코드(147)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순환모듈(120)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14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개폐수단(1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수 단(160)은, 상기 연결관(111-114)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관(111-114)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1)의 필터부(10) 토출측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폐수단(16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131-134)들의 개폐 개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150)에는 코크(31,32)의 개수와 드레인관(33,34)의 개수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3)를 통해 가시화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나 관리자가 조작부(150)를 통해 코크(31,32)의 개수와 드레인관(33,34)의 개수를 입력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제어하여 상기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 중에서 1개씩 또는 일부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면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내부를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수 탱크(23) 및 이에 연결된 코크(31), 냉수 탱크(23)의 드레인관(33), 온수 탱크(25) 및 이에 연결된 코크(32), 온수 탱크(25)의 드레인관(34)을 순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 탱크(23){코크(31) 포함}와 그 드레인관(33)을 동시에 세척한 후 상기 온수 탱크(25){코크(32) 포함}와 그 드레인관(34)를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들에 는 상기 연결관(111-114)의 결합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결합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포트(131-134)에 연결관(111-114)이 결합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제어부(180)에서 연결관(111-114)이 어느 연결포트(131-134)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모듈(120)의 제어부(180)는 개폐수단(160)을 제어하여 상기 연결관(111-114)이 결합된 연결포트(131-134)들 중 일부 연결포트(131-134)를 개방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내부 유로들 중에서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에 결합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조작부(150)를 통해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의 개수를 입력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상기 순환모듈(120)의 조작부(150)에는 코크(31,32) 및 드레인관(33,34)의 개수, 순환 세척, 세척수 중화, 세척수 배수 및 일괄세척에 관한 버튼부(151a-151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부(151a-151f)에는 기계식 또는 터치 패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150)에는 세척수의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알람으로 알려주도록 디스플레이부(153)와 부저(155)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53)로는 LED나 액정표시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모듈(120)은 순환부재(111-114,117)에 연결되는 세척수 배수관(148)과,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과 순환부재(111-114,117)의 연결 부분에 결합되어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 전환부(171)와, 상기 유로 전환부(171)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를 수처리 기기(1)의 유로 또는 세척수 배수관(148)으로 유동시키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순환 펌프(1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은 연결관(111-114)과 순환관(117)의 연결 부분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유로 전환부(171)는 상기 연결관(111-114), 순환관(117), 배수관(148)의 연결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 펌프(173)는 상기 연결관(111-114) 또는 순환관(11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은 순환모듈(120)의 배수포트(14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은 순환모듈(120)에서 배수된 세척수를 싱크대나 하수구에 배출시킨다.
상기 유로 전환부(171)로는 상기 연결관(111-114)에 유입된 세척수를 순환관(117) 또는 배수관(148)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를 제시한다.
상기 순환 펌프(173)는 내부에 임펠러(미도시)와 펌핑모터(미도시)가 설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세척수의 유동을 측정하여 상기 순환모듈(120)의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세척수 감지부(17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로는 유압센서 또는 유량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순환 펌프(173)의 세척수 토출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순환 펌프(173)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개폐수 단(160)이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완전히 개방시키지 못하는 등의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순환 펌프(173)의 세척수 토출측에는 충분한 수압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를 세척수 토출측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개폐수단(160)과 순환 펌프(173)의 정상작동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연결관와 연결포트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각 연결포트(131-134)에는 체크밸브(13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36)는 상기 연결관(111-114)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연결관(111-114)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각 체크밸브(136)는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내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재(136a)와, 상기 개폐부재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136c)과, 상기 개폐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승된 상태에서 연결포트(131-134)를 폐쇄시키는 패킹(13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포트(131-134)에 연결관(111-114)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관(111-114)의 메쉬망(115)이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개폐부재(136a)를 가압함에 의해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는 세척수가 통과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연결포트(131-134)에 연결관(111-114)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체크밸브(136)의 개폐부재(136a)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가 폐쇄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36)는 스프링(136c)과 패킹(136b)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연결포트(131-134)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세척장치의 개폐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수단(160)은, 하우징(161), 디스크(163) 및 모터(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61)에는, 상기 연결관(111-114)들이 결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연결포트(131-134)와, 상기 각 연결포트(131-134)와 연통된 다수의 연결유로부(141)와, 상기 연결유로부와 연통되는 통합유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163)에는 상기 하우징(161)의 연결유로부(141)에 대응되도록 하나의 개구홀(16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165)는 상기 디스크(163)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개구홀(163a)이 해당 연결포트(131-134)의 연결유로부(141)에 대응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트(131-134)를 개방시킨다. 이러한 모터(165)로는 디스크를 소정 각도씩 회전시키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제시한다.
이러한 디스크 타입의 개폐수단(160)의 경우 하나의 모터(165)가 적용되므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조 단가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포트(131-134) 중 일부의 연결포트(133)에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체크밸브(136)의 개폐부재(136a)가 가압되지 않으므로, 상기 일부의 연결포트(133)의 유로가 폐쇄된다.
이때, 상기 체크밸브(136)는 스프링(136c)과 패킹(136b)의 작용에 의해 상기 연결포트(133)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3)를 통해 상기 개폐수단(16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60)의 디스크(163)는 상기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3)를 폐쇄시키므로, 상기 연결관(113)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3)는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2중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개폐수단(160) 내부의 세척수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 함으로써, 상기 순환 펌프(173)에서 세척수가 정상적으로 펌핑되도록 하고, 세척수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 펌프(173)에 의해 발생되는 세척수의 펌핑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수단(160)에서 세척수에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개폐밸브(160)의 토출측에 배치된 세척수 감지부(175)에서 세척수의 유압이나 유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173) 또는 순환관(117)의 세척수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에 따라 상기 순환관(117)의 세척수 유동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상기 개폐수단(160)은 각 연결포트(131-134)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솔레노이드 밸브는 순환모듈(120)에 의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 트(131-134)의 유로를 개폐시킨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타입의 개폐수단은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므로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 개폐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세척장치의 제어부와 수처리 기기의 제어부가 전원공급 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모듈(120)에는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전자식 밸브와 전원공급 케이블(18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18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모듈(120)의 접속단자(181)에 전원공급 케이블(185)의 일측 단자를 접속시키고,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접속단자(51)에 전원공급 케이블(185)의 타측 단자를 접속시키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코크(31,32)에는 전원공급 케이블(185)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코크(31,32)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장치(100)는 수처리 기기(1)의 코크(31,32)가 수동으로 개폐되는 타입과 전자기적으로 개폐되는 타입에 공용으로 사용가능 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는 수처리 기기에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세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전원 플러그(미도시)를 뽑아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온수 탱크(25)에 온수가 채워진 경우 상기 온수 코크(32)를 개방시켜 온수를 완전히 배수시킨다. 그 이유는, 상기 세척장 치(100)를 수처리 기기(1)에 연결할 때에 온수에 의해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냉/정수 코크(31), 온수 코크(32) 및 드레인관(33,34)들에 연결관(111-114)의 일측을 각각 결합시키고, 상기 순환모듈(120)의 연결포트(131-134)들에 연결관(111-114)의 타측을 각각 결합시킨다. 이때, 해당 연결관(111-114)의 메쉬망(115)이 해당 체크밸브(136)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131-134)의 유로는 개방된다(도 4 참조). 또한, 상기 연결관(111-114)이 결합되지 않은 연결포트(131-134)는 체크밸브(136)에 의해 폐쇄되어 상기 세척장치(100)의 내부 유로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순환관(117)의 일측은 상기 필터부(10)의 토출측 정수관(11) 또는 정수 저장부(20) 중에서 정수 탱크(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117)의 일측은 상기 정수 저장부(20)의 수위 조절부(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순환관(117)의 타측은 순환모듈(120)의 순환포트(137)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코크(31,32)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경우, 상기 코크(31,32)들의 레버를 가압하여 모든 코크(31,32)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 공급 케이블(185)은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코크(31,32)가 전자식 밸브로 개폐되는 경우, 상기 전원공급 케이블(185)의 양측 단자가 수처리 기기(1)의 접속단자(51)와 순환모듈(120)의 접속단자(181)에 접속된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전원 공급 케이블(185)을 통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접속단자(51)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수처리 기기의 접속단자(51)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수처리 기기의 모든 코크(31,32)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세척장치(100)에 세척제 투입부(121)와 중화제 투입부(122)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정수 탱크(21)를 개방시킨 후 수동으로 세척제나 중화제를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에 세척제 투입부(121)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세척제 투입부(121)를 통해서 자동으로 세척제가 투입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모듈(120)의 전원코드(147)를 외부 전원에 접속시키고, 상기 순환모듈(120)의 스위치(149)를 조작하여 상기 세척장치(100)에 전원이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및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세척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순환모듈(120)의 조작부(150)를 조작하여 상기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의 연결 개수를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장치(100)의 조작부(150)를 통해 순환 세척 버튼부(151b) 또는 일괄 세척 버튼부(151f)가 선택되면,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순환모듈(120)의 개폐수단(160), 순환 펌프(173), 세척수 감지부(175) 및 유로 전환부(171) 등이 가동된다. 이와 같이 세척 모드가 설정된다(S11).
이때,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모든 유로에 세척수가 동시에 공급될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유로 구조에 따라 부분적으로 세척수의 수압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일부 유로에는 세척수의 수압이 높은 반면, 다른 유로에는 세척수의 수압이 현저히 낮게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처리 기기의 모든 유로에 세척수가 동시에 공급되는 경우, 세척수의 수압이 현저히 낮음에 따라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세척 사영역(dead zone)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와 같이 세척 사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척수를 유동시킨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제어하여 상기 코크(31,32)와 드레인관(33,34) 중에서 1개씩 또는 일부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면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내부를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냉수 탱크(23){정수탱크(21) 및 코크(31) 포함}, 냉수 탱크(23)의 드레인관(33), 온수 탱크(25){코크(32) 포함}, 온수 탱크(25)의 드레인관(34) 순으로 세척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연결관(111)과 순환관(117)을 개방시킨다(S12). 즉, 상기 개폐수단(160)을 가동하여 냉/정수 코크(31)와 연결된 연결포트(131)의 유로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연결포트(132-134)의 유로는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173)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정수 탱크(21)와 냉수 탱크(23)의 세척수는 냉/정수 코크(31)를 통해 배출된다(S13).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유로 전환부(171)를 순환모드로 전환시킨다(S14). 이때,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유로 전환 부(171)에 의해 순환관(117)이 개방되고 세척수 배수관(148) 측이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냉/정수 코크(31)의 세척수는 순환 펌프(173), 세척수 감지부(175), 유로 전환부(171) 및 순환관(117)을 따라 수위 조절부(22)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 조절부(22)에 유입된 세척수는 정수 탱크(21)와 냉수 탱크(23)에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 동안에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되는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순환 펌프(173)를 정지시키고 상기 세척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3) 또는/및 부저(155) 통해 에러 메시지 또는/및 알람을 알려준다.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순환 펌프(173)의 가동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이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되는 동안에 상기 정수 탱크(21), 냉수 탱크(23), 일부 정수관, 냉/정수 코크(31) 및 수위 조절부(22)가 세척된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가동하여 온수 코크(32)와 연결된 연결포트(132)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연결포트(131, 133,134)는 폐쇄시킨다. 이때, 상기 순환 펌프(173)는 개폐수단(160)이 가동되는 동안에 일시적으로 정지하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온수 탱크(25)의 세척수는 온수 코크(3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온수 코크의 세척수는 순환 펌프(173), 세척수 감지부(175), 유로 전환부(171) 및 순환관(117)을 따라 수위 조절부(22)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 조절부(22)에 유입된 세척수는 정수 탱크(21)와 온수 탱크(25)에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정수 탱크(21), 온수 탱크(25)와 그 유로에 세척수가 순환됨에 따라 상기 온수 탱크(25)와 그 유로가 세척된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가동하여 상기 냉수 탱크(23)의 드레인관(33)과 연결된 연결포트(133)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연결포트(131,132,134)는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정수 탱크(21), 냉수 탱크(23), 냉수 탱크(23)의 드레인관(33)이 세척된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개폐수단(160)을 가동하여 상기 온수 탱크(25)의 드레인관(34)이 연결된 연결포트(134)를 개방시키고 나머지 연결포트(131-133)는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정수 탱크(21), 온수 탱크(25), 온수 탱크(25)의 드레인관(34)이 세척된다.
한편, 상기 온수 탱크(25)와 각 드레인관(33,34)의 세척 과정 동안에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순환 펌프(173)를 정지시키고 에러 메시지나 알람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100)는 정수 탱크(21), 냉수 탱크(23), 온수 탱크(25), 냉수 탱크(23)의 드레인관(33) 및 온수 탱크(25)의 드레인관(34)에 순차적 으로 세척수가 유동되도록 하므로, 상기 세척수가 유동되는 유로상에서는 세척수의 수압 편차가 거의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유로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는 사람의 손이나 세척 도구가 닿을 수 있는 탱크(21,23,25) 뿐만 아니라 사람의 손이나 세척 도구가 거의 닿을 수 없는 정수관과 냉/정수 코크(31), 드레인관(33,34) 및 수위 조절부(22)까지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 순환 세척 시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S15), 상기 순환 펌프(173)가 정지될 수 있다(S16). 또한, 상기 조작부(150)에는 세척 완료에 관한 메시지 또는/및 알람을 디스플레이부(153) 또는/및 부저(155)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정수 탱크(21) 또는 세척장치(100)의 내부에 중화제 투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7).
중화제 투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순환 펌프(173)를 가동한다(S18). 이때, 상기 유로 전환부(171)는 순환관(117)을 개방하고 세척수 배수관(148)을 폐쇄하여 상기 순환 펌프(173)의 세척수가 순환관(117)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세척수를 중화시킬 경우에는 상기 세척 모드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필터부 토출측의 다수의 유로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중화제가 포함된 세척수는 냉수 탱크(23), 온수 탱크(25), 냉수 탱크(23)의 드레인관(33) 및 온수 탱크(25)의 드레인관(34)에 순차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를 중화시킬 경우,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발생되는 수압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수처리 기기의 탱크나 유로상에 부착된 세척제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중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의 중화 모드에서도 수처리 기기의 일부 구간에 세척수가 정체되는 구간을 원천적으로 없앨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중화 과정 동안에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을 측정하여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세척수의 수압 또는 유량이 기 설정된 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순환 펌프(173)를 정지시키고 에러 메시지 또는/및 알람을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기 설정된 중화시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S19), 상기 유로 전환부(171)를 배수모드로 전환시킨다(S20). 이때, 상기 유로 전환부(171)는 순환관(117)을 폐쇄하고 세척수 배수관(148)을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수처리 기기(1)의 세척수는 중화제에 의해 충분히 중화된 후 상기 세척수 배수관(14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순환 펌프(173)는 계속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중화 모드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디스플레이 또는/및 알람을 통해 알릴 수 있다.
이어,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상기 배수 모드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 이때,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유로 전환 부(171)가 배수모드로 전환된 시간을 적산하거나 또는 상기 세척수 감지부(175)에서 감지된 수압 및 유량을 측정하여 배수 모드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모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에서는 디스플레이 또는/및 알람을 통해 배수 모드 완료를 알린다. 또한, 상기 순환 펌프(173)는 정지된다(S22).
이어, 상기 수처리 기기(1)에 신선한 물을 공급한다(S23). 즉, 사용자 또는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수도관 등을 통해 정수 탱크(21)에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정수 탱크(21)에 신선한 물을 만수시킨다. 상기 정수 탱크(21)가 만수되면 상기 수처리 기기(1)에 물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 탱크(21)가 만수된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배수를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정수 탱크(21)에 잔류된 중화제나 세척제가 충분히 세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정수 탱크(21)가 만수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 정수 탱크(21)의 물을 배수시킨다. 상기 세척장치(100)에서는 정수 탱크(21)에서 물이 완전히 배수되었는지 판단하여 세정 모드 완료를 판단한다.
상기 세정 모드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S24), 상기 세척장치(100)의 제어부에서는 조작부(150)의 디스플레이 또는/및 알람을 통해 세정 모드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세척장치는 수처리 기기를 일부 유로씩 세척하고, 세척수를 중화시키며, 잔류한 세척제나 중화제를 깨끗하게 세정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척장치의 세척후 깨끗한 정수를 마실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수처리 기기의 내부에 손이나 세척 도구가 닿지 않는 부분까지 세척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 기기와 세척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세척장치를 구성하는 연결관과 연결포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세척장치의 개폐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2의 세척장치의 제어부와 수처리 기기의 제어부가 전원공급 케이블에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장치의 세척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필터부 11: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
20: 정수 저장부 21: 정수 탱크
22: 수위 조절부 23: 냉수 탱크
25: 온수 탱크 30: 배수부
31,32: 코크 33,34: 드레인관
100: 세척장치 111-114: 연결관
117: 순환관 120: 순환모듈
121: 세척제 투입부 122: 중화제 투입부
131-134: 연결포트 137: 순환포트
144: 배수포트 150: 조작부
160: 개폐수단 163: 디스크
165: 모터 171: 유로 전환부
173: 순환 펌프 175: 세척수 감지부
180: 제어부 181: 접속단자
Claims (30)
-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되는 순환부재; 및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순환부재에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며,상기 순환부재는, 상기 수처리 기기의 배수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된 순환관을 구비하고,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세척수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관은 상기 수처리 기기의 필터부 토출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부를 구성하는 코크와 드레인관 중 적어도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상기 순환관은 상기 필터부의 토출측 정수관 또는 정수 저장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관이 정수 저장부에 결합되는 경우,상기 순환관은 상기 정수 저장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조절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연결관 또는 순환관에는 세척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메쉬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연결관과 연통되는 유로들 중 일부 유로씩 순차적으로 개방시키는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수단은:상기 연결관이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다수의 연결포트가 형성된 하우징;상기 연결포트들에 대응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된 디스크; 및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개구홀이 해당 연결포트에 대응됨에 따라 해당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각 연결포트에는 상기 연결관이 연결될 때에는 연결포트를 개방시키는 반면 상기 연결관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연결포트를 폐쇄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수단의 하우징에는,상기 각 연결포트에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유로부와,상기 연결유로부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상기 순환관측에 연결되는 통합유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수단은 연결관이 결합되는 연결포트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7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은 상기 수처리 기기의 코크와 드레인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연결포트들의 개폐 개수를 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의 상면에는 연결관이 결합되도록 연결포트가 형성되고,상기 순환모듈의 측면에는 순환관이 결합되도록 순환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세척수를 순환시키도록 수처리 기기의 유로에 연결되는 순환부재; 및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와 순환부재에 세척수를 순환시킴에 의해 상기 수처리 기기의 유로를 세척하는 순환모듈;을 포함하며,상기 순환모듈은:상기 순환부재에 연결되는 배수관;상기 순환부재와 배수관의 연결 부분에 결합되어 세척수의 유로를 전환시키는 유로 전환부; 및상기 유로 전환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처리 기기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수처리 기기의 유로 또는 배수관으로 선택적으로 유동시키는 순환 펌프;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순환모듈은 세척수의 유동을 측정하여 오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순환 펌프의 세척수 토출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세척수 감지부는 유압센서 또는 유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47174A KR101173395B1 (ko) | 2009-05-28 | 2009-05-28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EP09845294.9A EP2435157B1 (en) | 2009-05-28 | 2009-12-31 |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
CN200980159572.1A CN102448574B (zh) | 2009-05-28 | 2009-12-31 | 用于水处理设备的清洗装置及其清洗方法 |
US13/322,794 US9139451B2 (en) | 2009-05-28 | 2009-12-31 |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
JP2012512940A JP5721081B2 (ja) | 2009-05-28 | 2009-12-31 | 水処理機器用洗浄装置及びその洗浄方法 |
PCT/KR2009/008011 WO2010137787A1 (en) | 2009-05-28 | 2009-12-31 |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
US14/817,975 US9908159B2 (en) | 2009-05-28 | 2015-08-04 |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
US14/817,943 US9604264B2 (en) | 2009-05-28 | 2015-08-04 |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47174A KR101173395B1 (ko) | 2009-05-28 | 2009-05-28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3783A Division KR20110081137A (ko) | 2011-06-29 | 2011-06-29 |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659A KR20100128659A (ko) | 2010-12-08 |
KR101173395B1 true KR101173395B1 (ko) | 2012-08-10 |
Family
ID=4322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47174A KR101173395B1 (ko) | 2009-05-28 | 2009-05-28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3) | US9139451B2 (ko) |
EP (1) | EP2435157B1 (ko) |
JP (1) | JP5721081B2 (ko) |
KR (1) | KR101173395B1 (ko) |
CN (1) | CN102448574B (ko) |
WO (1) | WO20101377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77812B1 (en) * | 2014-04-22 | 2017-06-13 | Jimmy Joyner | Clothes dryer vent airflow system |
SE538171C2 (sv) * | 2014-05-23 | 2016-03-29 | Tts Marine Ab | Förfarande för rörtvättning av hydraulsystem samt anläggninghärför |
KR102697181B1 (ko) * | 2016-11-15 | 2024-08-22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장치 |
KR102586117B1 (ko) * | 2017-03-30 | 2023-10-06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처리장치 |
KR101936125B1 (ko) * | 2017-08-28 | 2019-01-29 | 주식회사 카즈 | Dpf를 포함하는 자동차 부품으로부터 카본 및 애쉬(ash)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
CN108579186A (zh) * | 2018-05-16 | 2018-09-28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清洗装置及其应用和清洗方法 |
CN108671596B (zh) * | 2018-07-26 | 2024-07-30 | 创源优品(湖南)水处理设备有限公司 | 一种单体水处理设备 |
CN110026379A (zh) * | 2019-03-18 | 2019-07-19 | 深圳信息职业技术学院 | 一种热液循环清洗装置 |
CN111618054B (zh) * | 2020-05-25 | 2022-03-08 | 湖北三江航天万峰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运水罐自动清洁系统及方法 |
CN115382807A (zh) * | 2022-08-23 | 2022-11-25 | 塔尔圣谷(新疆)农业科技有限公司 | 一种黄岑用循环水洗药机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283Y1 (ko) * | 2005-01-17 | 2005-03-29 | 이용희 |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소독을 위한 소독 장치 |
KR100843313B1 (ko) | 2007-11-13 | 2008-07-03 |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 순환식 정수기 |
Family Cites Families (2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3695B2 (ja) * | 1986-08-20 | 1995-07-12 | 岡崎 ▲龍▼夫 | 電解水処理装置の給排水、洗浄回路 |
JP2685240B2 (ja) | 1988-08-29 | 1997-12-03 | 株式会社クボタ | 濾過膜の洗浄方法 |
DE69130687T2 (de) * | 1990-05-28 | 1999-09-0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 Sprachsignalverarbeitungsvorrichtung zum Herausschneiden von einem Sprachsignal aus einem verrauschten Sprachsignal |
US5310488A (en) | 1991-03-01 | 1994-05-10 | Kinetico Incorporated | Water treatment method |
JPH07121388B2 (ja) * | 1991-06-26 | 1995-12-25 | 株式会社荏原製作所 | 酸・アルカリによる活性炭の殺菌中和方法 |
GB9114729D0 (en) | 1991-07-09 | 1991-08-28 | Cmb Foodcan Plc | Valve |
KR950013553A (ko) | 1993-11-04 | 1995-06-15 | 김주용 | 실험 기구류 자동 세척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
JPH08299923A (ja) * | 1995-05-11 | 1996-11-19 | Hitachi Ltd | 洗浄方法及び装置 |
KR100199339B1 (ko) * | 1995-09-06 | 1999-06-15 | 송 재 식 | 역삼투 정수기 |
KR970069080A (ko) * | 1996-04-19 | 1997-11-07 | 정중석 | 정수기용 세척필터장치 |
US6120688A (en) | 1997-02-25 | 2000-09-19 | Zenon Environmental, Inc. | Portable reverse osmosis unit for producing drinking water |
US5800629A (en) | 1997-03-06 | 1998-09-01 | H.E.R.C. Products Incorporated | Pipe system cleaning and in-line treatment of spent cleaning solution |
KR100325096B1 (ko) | 1997-12-27 | 2002-04-17 | 신현준 | 알칼리 세정액 재처리용 한외 여과막 연속 운전 자동 제어 방법 |
JP4204672B2 (ja) * | 1998-09-10 | 2009-01-07 | 株式会社サムソン | 調理殺菌装置の洗浄および洗浄水中和装置 |
JP3514187B2 (ja) | 1999-09-16 | 2004-03-31 | 栗田工業株式会社 | 濾過装置 |
KR100407180B1 (ko) | 2001-03-21 | 2003-11-28 | 주식회사 알고에스앤엠 | 나선형 분리막의 세정방법 및 장치 |
JP4050488B2 (ja) * | 2001-09-26 | 2008-02-20 | 岩井機械工業株式会社 | 流体製品製造装置等被洗浄機器を洗浄する洗浄方法および当該機器の自動洗浄装置 |
US20050082224A1 (en) | 2002-01-18 | 2005-04-21 | Glynn Donald R. | System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
JP2003251290A (ja) * | 2002-03-05 | 2003-09-09 | Dainippon Screen Mfg Co Ltd | 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処理装置 |
DE10230738A1 (de) | 2002-07-09 | 2004-01-22 | Hartmut Rebscher |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Reinigung einer Reaktorkammer in einer Wasseraufbereitungsanlage |
KR100517408B1 (ko) * | 2003-07-03 | 2005-09-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염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장치의공조시스템 |
CN2636783Y (zh) * | 2003-07-18 | 2004-09-01 | 张英利 | 内置反冲洗装置的多功能直饮水机 |
KR100676684B1 (ko) | 2005-06-13 | 2007-02-01 | 주식회사 에코웰 |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스케일의 제거방법 |
CN100556819C (zh) * | 2006-12-15 | 2009-11-04 | 武汉理工大学 | 家庭用水净水器 |
KR20080101588A (ko) * | 2007-05-18 | 2008-11-21 | (주)대우건설 | 막여과 정수처리장치의 운영 및 설계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
KR101320719B1 (ko) | 2007-08-16 | 2013-10-29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중공사막 모듈의 세정 장치 및 그 방법 |
JP5047744B2 (ja) * | 2007-09-25 | 2012-10-10 | アサヒビール株式会社 | 液体処理設備におけるすすぎ手順の決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CN201244531Y (zh) | 2008-08-13 | 2009-05-27 | 江苏冶建防腐材料有限公司 | 一种水喷淋清洗装置 |
KR100893565B1 (ko) * | 2009-01-20 | 2009-04-17 | 한국농어촌공사 | 기수의 농도별 염분제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염분제거 방법 |
-
2009
- 2009-05-28 KR KR20090047174A patent/KR1011733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12-31 WO PCT/KR2009/008011 patent/WO201013778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12-31 CN CN200980159572.1A patent/CN102448574B/zh active Active
- 2009-12-31 US US13/322,794 patent/US9139451B2/en active Active
- 2009-12-31 EP EP09845294.9A patent/EP2435157B1/en active Active
- 2009-12-31 JP JP2012512940A patent/JP5721081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8-04 US US14/817,975 patent/US9908159B2/en active Active
- 2015-08-04 US US14/817,943 patent/US960426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0283Y1 (ko) * | 2005-01-17 | 2005-03-29 | 이용희 | 냉온수기 및 정수기의 소독을 위한 소독 장치 |
KR100843313B1 (ko) | 2007-11-13 | 2008-07-03 | 주식회사 동양일렉트로닉스 | 순환식 정수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067377A1 (en) | 2012-03-22 |
US9908159B2 (en) | 2018-03-06 |
US20160030986A1 (en) | 2016-02-04 |
CN102448574B (zh) | 2015-03-04 |
US9604264B2 (en) | 2017-03-28 |
JP2012528000A (ja) | 2012-11-12 |
CN102448574A (zh) | 2012-05-09 |
WO2010137787A1 (en) | 2010-12-02 |
EP2435157B1 (en) | 2020-02-05 |
EP2435157A1 (en) | 2012-04-04 |
JP5721081B2 (ja) | 2015-05-20 |
US9139451B2 (en) | 2015-09-22 |
KR20100128659A (ko) | 2010-12-08 |
EP2435157A4 (en) | 2013-07-24 |
US20160030985A1 (en) | 2016-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3395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JP2012528000A5 (ko) | ||
KR100758179B1 (ko) | 필터 세척 및 오염제거 시스템 | |
US20110290706A1 (en) |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 |
KR101164160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KR101164161B1 (ko) |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 |
KR101576832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 |
KR20100131241A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KR101647646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KR101164162B1 (ko) |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 |
KR20110081137A (ko) |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 |
KR101510629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 |
KR101510630B1 (ko) |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 |
KR20120075791A (ko) | 수처리기기용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기기 세척방법 | |
KR101612815B1 (ko) |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 |
KR101707427B1 (ko) | 수처리기기, 수처리기기용 세척장치 및 수처리기기 세척방법 | |
KR20120002302A (ko) | 용액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기기용 세척장치 및 그 세척방법 | |
KR101335813B1 (ko) |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 |
KR20160041877A (ko) | 수처리 기기 세척방법 | |
KR20100132706A (ko) | 수처리 기기 및 그 세척방법 | |
KR20130080111A (ko) |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 |
KR101364024B1 (ko) | 세정시스템이 구비된 정수기 | |
CN108125585A (zh) | 物料清洗组件及烹饪器具 | |
KR101304818B1 (ko) | 정수기 살균장치 | |
KR20130096521A (ko) |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처리 기기 및 세척키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