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612815B1 -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815B1
KR101612815B1 KR1020110083664A KR20110083664A KR101612815B1 KR 101612815 B1 KR101612815 B1 KR 101612815B1 KR 1020110083664 A KR1020110083664 A KR 1020110083664A KR 20110083664 A KR20110083664 A KR 20110083664A KR 101612815 B1 KR101612815 B1 KR 10161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purifier
water purifier
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166A (ko
Inventor
신성용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13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8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용 위생키트의 일 실시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세척유로; 상기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세척유로에 구비되는 살균수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유입포트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살균수유출포트를 통해 정수기로 살균수를 공급하고, 정수기의 잔수 및 세척된 잔수를 상기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한 후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CLEANING APPARATUS FOR A WATER PURIFIER AND A WATER FURIFI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의 내부의 유로 및 저수조 등을 정수기의 외부에서 세척할 수 있는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정수기는 정수 방법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 다양하게 구분된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자연여과식과 직결여과식 정수기로 필터에 의해 정수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터를 사용한 정수기의 가장 일반적인 구성으로, 필터와 저수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구성인 히터와 냉매에 의한 냉각시스템을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저수조 등에 저장되는 정수가 이동하는 유로 및 정수가 외부로 취출될 수 있는 취수콕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유로 및 저수조 등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고착될 수 있어 이를 주기적으로 세척할 필요가 있었다.
종래에 이러한 정수기의 유로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소위 코디로 불리우는 전문 서비스 요원이 직접 방문하여 정수기의 본체를 개방한 후 세정제 등을 이용하여 내부를 세척하여 왔으나, 이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더러 정수기를 분해 및 재조립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정수기를 분해 및 재조립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정수기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세정장치를 구비하여 용이하게 정수기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세척유로; 상기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세척유로에 구비되는 살균수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유입포트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살균수유출포트를 통해 정수기로 살균수를 공급하고, 정수기의 잔수 및 세척된 잔수를 상기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한 후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유로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유출포트로 연결되는 살균수유로와,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로 연결되는 헹굼수유로로 분기된다.
상기 살균수유로의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의 상류에는 유량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유량밸브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로 진입하는 유량을 차단하거나, 일정한 유량만 통과시킨다.
상기 헹굼수유로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은 원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는 전해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포트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유로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수단은 유/무선 통신장치이고, 상기 통신수단은 세척대상인 정수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세정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수기와 통신을 통해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수기와 통신을 통해 정수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정장치는 상기 케이스 외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수기는 전술한 세정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정수기의 일 실시예로,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에 구비되는 정수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 본체는 상기 정수기용 세정장치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정수기 제어부는 상기 세정장치의 제어부룰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케이스; 정수기의 여과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한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공급유로;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수단; 살균수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정수조에 공급하는 살균수 공급유로; 상기 정수기의 정수조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살균수 인입유로; 살균수 인입유로와 연결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배수유로; 상기 각각의 유로에 설치되는 밸브; 및 상기 배수펌프와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정수기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세정과정에서 상기 제어부가 정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정수 공급유로와 상기 살균수 공급유로를 연결하는 헹굼수 공급유로; 및 상기 정수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 또는 상기 헹굼수 공급유로에 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기밸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원수를 정화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정수가 저장되는 저수조; 상기 필터부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정수를 유입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수단;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과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살균수 공급유로;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을 바이패스 하여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헹굼수 공급유로; 및 상기 헹굼수 공급유로 또는 상기 살규수 생성수단으로의 정수 공급을 제어하는 분기밸브;를 포함하는 세정장치를 갖는 정수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와 상기 정수기 외부를 연결하는 배수유로; 및 상기 배수유로에 설치되는 배수펌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은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에는 상기 필터부의 일부만을 통과한 정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정수기 외부에서 간단한 배관 연결에 의해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저수조 등을 세척할 수 있어서, 정수기의 분해 및 재조립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정수기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척액을 새로 주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조에서 염소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세척액을 생성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간편한 세척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정장치에 구비되는 배수펌프 등을 사용하여 강제로 급수 및 배수를 하고, 세척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정수기의 빠른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척대상이 되는 정수기를 세정장치를 통해 제어하거나, 정수기에 연결되는 세정장치를 정수기에서 제어하도록 하여, 하나의 기기를 제어하여 정수기 및 세정장치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세정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분기밸브를 통해서 전해조를 바이패스하는 헹굼수유로를 통해 정수기 내부를 헹구어 하나의 기기로 세정 및 헹굼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정수기를 세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외부 연결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와 도 3은 정수기의 세정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세척유로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배출유로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정수기의 세정장치와 정수기의 상호제어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유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정수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세정장치(100)가 정수기(200)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실시예(100)는 정수기의 외부에서 정수기에 연결되어 정수기의 내부 유로를 세척하게 된다. 정수기의 세정장치(100)는 호스(10) 등에 의해 정수기(200)의 유로측에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정수기(200)에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취출구가 별도로 구비된다. 이러한 정수기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와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세정장치(100)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원수 유입포트(121)와 살균수 유출포트(126),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131)와 배출포트(133) 및 살균수 생성모듈(140)을 포함한다.
상기 원수 유입포트(121)는 정수기로 유입되는 정수되기 전의 원수를 직접 세정장치로 받아들이는 입구가 된다. 또는 정수기에 유입된 후 필터 중 일부를 통과하여 정수된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되기 전에 세정장치로 배관을 통해 우회시켜 받아들이는 입구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정장치로 배관을 통해 우회시켜'의 배관을 다른 구성과 구분하기 위해 제1배관 또는 제1호스로 명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원수 유입포트(121)는 원수의 공급처에 직접 배관을 통해 연결되거나 정수기의 필터측 하류에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원수 유입포트(121)에는 원수를 여과하는 필터(16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원수를 직접 원수 공급처에서 받아들이는 경우, 정수를 위해 필터를 우선적으로 통과하도록 한 후 원수 유입포트(121)를 통해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는 일반적인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가 교체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세디먼트 필터는 부직포가 적용되어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과 부유물질을 여과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원수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사전에 걸러내서, 후술할 살균수 생성모듈인 전해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필터(160)는 외장형으로 상기 세정장치의 외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원수 유입포트(121)의 상류측에 연결된다. 다만, 상기 필터(160)가 내장형으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원수 유입포트(121)의 하류측에 연결된다.
상기 살균수 유출포트(126)는 상기 세정장치에서 정수기의 세척을 위해 생성하는 살균수를 세정장치에서 배출하는 출구가 된다. 이러한 살균수는 정수기의 저수조나 필터로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정수기의 내부 배관 및 저수조를 세척하게 된다. 상기 '저수조나 필터로 배관을 통해 연결되어'의 배관을 다른 구성과 구분하기 위해 제2배관 또는 제2호스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사이에 세척유로(120)가 형성된다. 즉, 세정장치로 유입된 원수가 살균수로 바뀌어 정수기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척유로는 도 2에 기구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세척유로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세척유로에는 살균수 생성모듈(140)이 구비된다.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40)은 세척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원수를 처리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살균수 생성모듈은 원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는 전해조로 구비된다.
도 2에서는 세척유로만 보여주기 위해 후술할 배출유로에 해당하는 기구적인 장치들을 제외하고 보여준다. 전해조는 도 2에서 세정장치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 전해조에서는 염소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세척액인 살균수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살균수는 차아염소산(HClO) 등이 포함되어 물속에 있는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다만 이러한 농도는 0.2~0.3ppm 정도로 미미하기 때문에 인체에 영향은 없이 살균만 하게 된다.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이 세정장치에 구비됨에 따라, 외부에서 세척액을 새로 주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조에서 염소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세척액을 생성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간편한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세척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정수기의 빠른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전해조의 세부적인 내부 기구적 구성은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세척유로(120)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유출포트로 연결되는 살균수유로(127)와,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로 연결되는 헹굼수유로(124)로 분기된다. 이러한 분기는 도 2와 도 4의 분기밸브(123)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살균수유로(127)는 살균수를 생성하는 유로로, 상류에는 유량밸브(125)가 구비되고, 상기 유량밸브(125)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140)로 진입하는 유량을 차단하거나, 일정한 유량만 통과시킨다.
상기 유량밸브(125)에 의해 살균수 생성모듈(140)로 진입하는 유량이 차단되는 경우는 정수기의 세척이 완료되어 세척액인 살균수가 정수기 내부의 배관에 잔존하지 않도록 행굼수를 공급하는 때에 해당한다. 이는 후술할 행굼수유로(128)와 관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량밸브(125)는 살균수 생성모듈인 전해조의 처리능력에 맞추어 일정한 유량만 공급될 수 있도록 조절하게 된다.
상기 헹굼수유로(128)는 세척액인 살균수가 정수기 내부의 배관에 잔존하지 않도록 행굼수를 공급하는 때에 사용된다. 즉, 공급된 원수를 상기 살균수유로에서 우회시켜 정수기로 공급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상기 행굼수유로(128)에는 개폐밸브(124)가 구비된다. 즉, 살균수가 정수기에 공급될 때에는 상기 행굼수유로로 원수가 공급되지 않도록 유로를 폐쇄시키고, 행굼수를 공급할 때에는 상기 유량밸브(125)가 폐쇄되고 상기 개폐밸브가 개방된다.
상기 배출수 유입포트(131)는 정수기에 공급된 살균수가 세척에 사용되고 난 후 정수기로부터 배출될 때 세정장치를 통과해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정수기의 배출수를 세정장치로 유입하는 입구가 된다. 또한, 세척 전에 정수기에 잔존하던 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경로의 입구가 된다. 이러한 배출수 유입포트(131)는 정수기의 배출포트(미도시)등에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배출포트(133)는 상기 배출수 유입포트(131)로 유입된 배출수를 세정장치의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가 되며, 배수구 등에 배관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배출수 유입포트(131)와 배출포트(133) 사이에는 배출유로(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유로(130)는 도 3에 기구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배출유로의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는 배출유로만 보여주기 위해 전술한 세척유로에 해당하는 기구적인 장치들을 제외하고 보여준다.
도 3과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배출유로(130)에는 배수펌프(150)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펌프(150)는 배출유로의 배출수를 강제로 배수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정수기에서 배출되어야 하는 배출수가 세정장치를 통해 강제로 급수 및 배수되도록 하고, 세척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정수기의 빠른 세척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배출유로에서 상기 배수펌프(150)의 상류에는 밸브(132)가 구비되어 배출유로를 개폐하거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세척유로와 배출유로는 도면상으로는 별개로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유로들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즉, 정수기를 통해 상기 세척유로와 배출유로는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유로를 통해 정수기에 있는 물을 신속하게 강제로 배수시켜 주어야 세척유로를 통해 살균수의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기에 잔존하는 정수는 배출유로의 배수펌프에 의해 강제로 외부로 배출되며, 세정장치로 유입된 원수가 살균수 생성모듈에 의해 세척액을 포함하는 살균수로 되어 정수기로 유입된다. 이 경우, 행굼수유로는 폐쇄되어 있다.
정수기의 세척이 완료되면, 살균수 생성모듈이 정지되고, 유량밸브에 의해 살균수유로가 폐쇄되며, 행굼수유로가 개방되어 행굼수가 정수기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정수기에 잔존하는 세척에 사용된 살균수는 배출유로를 통해 세정장치를 통과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전술한 세정장치의 구성은 정수기 외부에서 간단한 배관 연결에 의해 정수기 내부의 유로 및 저수조 등을 세척할 수 있어서, 정수기 세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척액을 새로 주입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전해조에서 염소이온(Cl-)이 녹아있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세척액을 생성할 수 있어서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간편한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세정장치에 구비되는 배수펌프 등을 사용하여 강제로 급수 및 배수를 하고, 세척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정수기의 빠른 세척이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제어계통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세정장치(100)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통신수단(18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수단(180)은 유/무선 통신장치이고, 상기 통신수단은 세척대상인 정수기(200)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이는 정수기(200)에 통신수단(230)이 구비됨을 전제로 한다.
상기 세정장치는 세척시 사용되는 장치들의 제어를 위하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세정장치 내부의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통신수단(180)으로 정수기와 통신을 통해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통신수단(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수기와 통신을 통해 정수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정수기의 제어부(210)에 의해 세정장치의 제어부(170)가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제어를 위하여, 상기 정수기(200)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구비되는 정수기 제어부(2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정수기 제어부(210)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각종 센서들(220), 밸브들(240)과 냉각 및 가열장치들(250)을 포함한다. 상기 냉각 및 가열장치들은 예를 들어 냉매압축사이클과 히터 등의 장치를 말한다. 정수기 본체는 상기 정수기의 세정장치(100)에 배관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세정장치의 제어부(170)는 유량센서(1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세척유로를 통과하는 원수의 양을 감지하여 세척수의 생성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살균수 생성모듈(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해조의 작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세정장치에 구비되는 각종 밸브들(124,125,132)과 배수펌프(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량센서(122)를 통해 감지되는 유량을 참고하여 세척유로와 배출유로의 유량을 제어하게 된다. 이는 정수기의 세척시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세척시간의 단축 및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정수기 제어부(210)는 상기 세정장치의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정수기 제어부(210)는 상기 세정장치의 제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정수기와 세정장치는 일체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세정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정수기의 각종 밸브 등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정수기의 제어부에 의해 세정장치의 밸브들과 살균수 생성 모듈이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체 제어는 단순히 정수기 또는 세정장치의 세척 버튼을 누름에 의해 정수기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게 된다.
나아가 상기 세정장치의 케이스(110) 외측에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의 전 과정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제어부(170)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그에 따라, 전술하였듯이 정수기와 세정장치의 일체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입력수단을 통해 세척 명령이 상기 제어부(170)로 입력되면, 일체로 정수기가 제어되어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정수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사용된다.
세정장치에 원수 공급처와 정수기를 배관을 통해 연결한다. 원수 공급처의 예로 수도수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원수 유입 포트에 수도수를 연결하고, 정수기의 일부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사용하는 경우 정수기와 연결한다.
또한, 살균수 및 헹굼수가 세척대상인 정수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정수기와 살균수 유출포트를 배관으로 연결하고, 배출수가 강제배출 될 수 있도록 정수기와 배출수 유입포트를 연결하고, 배출포트를 배수구측으로 연결시킨다.
세정장치에 있는 통신수단(180)을 정수기의 통신수단(230)에 연결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이 경우, 세정장치의 제어부(170)에 의해 일체로 제어되거나 정수기의 제어부(210)에 의해 일체로 제어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그에 따라, 세정장치 또는 정수기에 구비되는 입력 수단을 통해 단순히 세척 명령을 입력함에 의해 정수기의 세척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필요한 경우 제어부(170,210)의 제어를 통해 수동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세척의 전 과정은 디스플레이에 의해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된다.
세척 및 헹굼이 완료되면, 완료 표시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정수기와 세정장치의 연결 배관을 제거하여 세척을 완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제2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실시예와 정수기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세정장치(300)로부터 생성된 세정액이 정수기에 구비된 필터 연결부를 통해서 유입되고 배수되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기(400)는 전면에 조작패널(402)을 구비하고 있고, 그 내부에는 필터 체결부(404, 40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필터 체결부(404, 406)는 필터 체결부 커버(410)에 의해서 보호되는 한편, 복수 개의 필터(420)가 상기 필터 체결부에 각각 체결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필터가 체결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중 두 개의 필터는 제거되어 있고 원수 유입측과 가장 가까운, 즉 유입된 원수가 최초로 통과하게 되는 세디먼트 필터(420)만이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정수기(400)의 전면에는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정수가 토출되는 취출구(404)가 구비되어 있고, 전면부 하단에는 온수 탱크와 연결되는 드레인 포트(4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 패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세정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면 패널을 개방한 후 두 개의 필터를 분리한 후에 세정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상기 세정장치(300)는 내부에 전해조(140) 및 배수펌프(150)를 구비하고 있고, 분기밸브(123) 및 헹굼수유로(128)를 구비하고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원수는 상기 정수기(400)에 구비되는 원수유로(430)를 통해서 정수기(400)로 유입된 후, 상기 세디먼트 필터(420)를 통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상기 필터 체결부(412)에 연결되는 정수 공급유로(302)를 통해서 상기 세정장치(300)로 정수가 유입된다.
유입된 정수는 상기 분기밸브(123)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전해조(140)로 유입되거나 상기 헹굼수유로(128)로 유입된다. 전해조(140)로 유입된 정수는 전해조(140)를 거치면서 살균수가 되고,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 공급유로(304)를 통해서 상기 필터 체결부(414)로 유입된 후, 수조로 유입된다. 수조는 정수조(405), 냉수조(406) 및 온수조(407)를 포함한다. 이렇게 유입된 살균수는 상기 정수조(405), 냉수조(406) 및 온수조(407) 내에 소정 시간 동안 머물면서 세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수조(405) 및 냉수조(406)는 상기 정수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저면이 상기 취출구(404)와 연결되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서 별도의 펌프없이도 상기 취출구를 통해서 배수될 수 있지만, 온수조의 경우 상단부가 취출구와 연결되기 때문에 자중을 이용한 배수가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드레인 포트(416)를 상기 세정장치(300)에 구비되는 배수펌프(150)와 살균수 인입유로(306)를 통해 연결하여 온수조 내의 살균수 또는 헹굼수가 상기 배수펌프(150)에 의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펌프(150)의 토출측은 배수유로(308)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100 : 위생키트 110 : 케이스
120 : 세척유로 121 : 원수 유입 포트
122 : 유량센서 123 : 분기밸브
124 : 개폐밸브 125 : 유량밸브
126 : 살균수 유출 포트 127 : 살균수유로
128 : 헹굼수유로 130 : 배출유로
131 : 배출수 유입 포트 132 : 밸브
133 : 배출포트 140 : 살균수 생성 모듈
150 : 배수펌프 160 : 필터
170 : 컨트롤러 180 : 통신수단
200 : 정수기 210 : 정수기 컨트롤러
220 : 센서 230 : 정수기 통신수단
240 : 밸브 250 : 냉각 및 가열장치

Claims (2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여 정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기의 여과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한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공급유로;
    상기 정수 공급유로에 연결되며, 공급된 정수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수단;
    상기 정수기의 정수조에 연결되고, 살균수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정수조에 공급하는 살균수 공급유로;
    상기 정수기의 수조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살균수 인입유로;
    상기 살균수 인입유로와 연결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배수유로; 및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와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수단을 상기 케이스 내부에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세정과정에서 상기 제어부가 정수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은 공급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을 바이패스하여 상기 정수 공급유로와 상기 살균수 공급유로를 연결하는 헹굼수 공급유로; 및
    상기 정수 공급유로에 설치되어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 또는 상기 헹굼수 공급유로에 정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분기밸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외측에 구비되어 세정과정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6. 정수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통과하여 정수기에 연결되고, 상기 정수기의 필터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한 정수가 유입되는 정수 공급유로;
    상기 정수 공급유로에 연결되며, 상기 정수기의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유입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수단;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과 상기 정수기의 수조를 연결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를 상기 수조에 공급하는 살균수 공급유로;
    상기 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상기 수조에 헹굼수로 공급하도록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을 바이패스 하여 상기 정수기의 수조에 연결되는 헹굼수 공급유로;
    상기 헹굼수 공급유로 또는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으로의 정수 공급을 제어하는 분기밸브;
    상기 정수기의 수조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살균수 인입유로;
    상기 살균수 인입유로와 연결되는 배수펌프;
    상기 배수펌프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배수유로; 및
    상기 배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은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수단에는 상기 필터부의 일부만을 통과한 정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0.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세척유로;
    상기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와 배출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세척유로에 구비되는 살균수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 유입포트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에서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살균수 유출포트를 통해 정수기로 살균수를 공급하고,
    정수기의 잔수 및 세척된 잔수를 상기 정수기 배출수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한 후 상기 배출포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로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을 통과하여 상기 유출포트로 연결되는 살균수유로와,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로 연결되는 헹굼수유로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유로의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의 상류에는 유량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유량밸브는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로 진입하는 유량을 차단하거나, 일정한 유량만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은 공급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포트에는 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에는 배수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통신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유/무선 통신장치이고,
    상기 통신수단은 세척대상인 정수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수기와 통신을 통해 정수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외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장치.
  20. 수조 및 필터를 구비하는 정수기; 및
    상기 정수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세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는 원수 유입포트와 살균수 유출포트;
    상기 원수 유입포트와 상기 살균수 유출 포트 사이에 형성되는 살균수유로; 및
    상기 살균수유로에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의 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를 공급받아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수 생성모듈은, 상기 원수 유입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제1호스를 통해 정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살균수 유출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수조에 연결되는 제2호스를 통해 상기 정수기로 살균수를 공급하고,
    상기 정수기는 상기 정수기의 수조 및 유로를 세척한 살균수를 상기 정수기에 구비되는 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취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시스템은 상기 정수기의 수조 및 유로를 세척한 살균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취출구와 연결되는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시스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정수기에 형성되는 드레인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시스템은 상기 정수기의 수조 및 유로를 세척한 살균수를 배출하도록 상기 드레인 포트를 통과하여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연장되는 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정수조, 냉수조 및 온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기의 외부로 연장되는 호스는 상기 온수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시스템.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정수기는, 세정 작업 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필터와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복수의 필터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호스와 상기 제2호스는, 상기 복수의 필터 체결부 중 상기 필터와 분리된 것을 통해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세정시스템.
KR1020110083664A 2011-04-04 2011-08-22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Active KR101612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45 2011-04-04
KR1020110030845 2011-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66A KR20120113166A (ko) 2012-10-12
KR101612815B1 true KR101612815B1 (ko) 2016-04-18

Family

ID=4728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664A Active KR101612815B1 (ko) 2011-04-04 2011-08-22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371317B2 (en) * 2016-12-09 2020-10-22 Lg Electronics Inc. Drinking-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059B1 (ko) 2016-06-07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형 정수 필터 케이스, 그 설치 구조 및 이를 활용한 살균 방법
CN109199623B (zh) * 2018-10-29 2024-12-10 上海万籁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牙科治疗仪及清洗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667B1 (ko) * 2005-05-31 2005-11-29 이근섭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667B1 (ko) * 2005-05-31 2005-11-29 이근섭 저수조를 자동으로 살균할 수있는 정수기 및 그 정수기의살균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371317B2 (en) * 2016-12-09 2020-10-22 Lg Electronics Inc. Drinking-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894727B2 (en) 2016-12-09 2021-01-19 Lg Electronics Inc. Drinking-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66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529B1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612815B1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KR101444786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30104089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CN105776685B (zh) 净水器
KR101521937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296549B1 (ko)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446127B1 (ko) 수처리장치
KR102058059B1 (ko) 휴대용 정수기 살균 키트를 이용한 정수기의 살균 방법
US20140096799A1 (en) Method for sterilizing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anks
KR101335813B1 (ko) 정수기의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102462653B1 (ko) 탄산수를 이용한 살균 정수기
KR101459001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20140081431A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207917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982804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907736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803674B1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476323B1 (ko) 수처리장치 및 수처리방법
KR101447963B1 (ko) 수처리방법
KR101304818B1 (ko) 정수기 살균장치
KR20130003538A (ko) 정수기 살균 장치
KR101897573B1 (ko) 정수기 및 그 세정방법
KR101446128B1 (ko) 수처리방법
KR101447519B1 (ko) 수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8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8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