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715B1 - 빗물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빗물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9715B1 KR101179715B1 KR1020120012016A KR20120012016A KR101179715B1 KR 101179715 B1 KR101179715 B1 KR 101179715B1 KR 1020120012016 A KR1020120012016 A KR 1020120012016A KR 20120012016 A KR20120012016 A KR 20120012016A KR 101179715 B1 KR101179715 B1 KR 1011797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water
- storage tank
- filter
- pum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2011/005—Tanks with two or more separate compartments divided by, e.g. a flexible membr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래, 실리카겔, 포졸란 광석 및 황토를 사용한 정수필터 및 격벽을 구비한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하여 빗물의 정수 및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지붕 또는 외벽 등에서 빗물을 집수하는 제1 집수부; 상기 건축물 주변 대지의 빗물을 집수하는 제2 집수부;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 상기 전처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전처리 필터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1 펌프;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펌프에 의해 펌핑된 빗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정수필터에서 정수된 빗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 및 상기 제2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및 대지에서 집수된 빗물을 정수하여 생활용수(세탁, 세면, 설겆이등), 공업용수(보일러용수, 세정용수, 냉각용수 등), 소방용수, 기타 식생 등의 목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옥상, 지붕 또는 외벽 등에서 빗물을 집수하는 제1 집수부; 상기 건축물 주변 대지의 빗물을 집수하는 제2 집수부;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 상기 전처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전처리 필터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1 펌프;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펌프에 의해 펌핑된 빗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정수필터에서 정수된 빗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 및 상기 제2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및 대지에서 집수된 빗물을 정수하여 생활용수(세탁, 세면, 설겆이등), 공업용수(보일러용수, 세정용수, 냉각용수 등), 소방용수, 기타 식생 등의 목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모래, 실리카겔, 포졸란 광석 및 황토를 사용한 정수필터 및 격벽을 구비한 빗물 저장탱크를 이용하여 빗물의 정수 및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 도시지역은 강우시 대지 표면을 통한 빗물의 침투가 어려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덮혀 있다.
따라서, 강우시 빗물의 대부분은 지표면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우수관거나 하수관거(이하 배수시설이라 칭함)를 통하여 하천으로 또는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폭우, 집중호우로 인하여 배수시설을 통해 처리할 빗물의 양이 초과할 경우에는 빗물의 역류, 표면 침하 등은 물론 상기 빗물이 일시에 하천으로 유입되면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빗물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수시설을 확충하거나 하천을 개량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어 곤란하다.
이 때문에 각 건물을 신축할 때 건물 옥상이나 대지 등으로 유입된 빗물을 별도의 저장조에 저장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일시에 배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에 건물의 옥상이나 대지 등으로 유입된 초기 빗물에는 대기중의 각종 오염원이나 이물질을 특히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초기 빗물의 경우에 종래와 같이 자연 배수처리하고, 초기 빗물이 지난 후부터 별도의 저장탱크로 저장하여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초기 빗물에 의한 하천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 역시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빗물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정수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성이 여전히 남아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및 대지에서 집수된 빗물을 정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빗물의 정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제거하는 다양한 필터를 구비한 빗물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축물의 옥상, 지붕 또는 외벽 등에서 빗물을 집수하는 제1 집수부; 상기 건축물 주변 대지의 빗물을 집수하는 제2 집수부;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 상기 전처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전처리 필터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1 펌프;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펌프에 의해 펌핑된 빗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정수필터에서 정수된 빗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 및 상기 제2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필터는 내부에 관통형의 중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체망; 상기 상부체망 하부에 주입되는 제1 필터층; 상기 제1 필터층 하부에 주입되는 함수층; 상기 함수층 하부에 주입되는 제2 필터층; 상기 제2 필터층 하부에 주입되는 제3 필터층;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체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필터층은 모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수층은 실리카겔과 모래가 혼합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필터층은 포졸란 자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필터층은 황토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수층에 혼합된 상기 실리카겔과 상기 모래의 부피의 비는 1 : 2 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저장탱크는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격실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걸음판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음판의 내부는 섬유로 충전되어 있고, 상기 걸음판의 외부에는 상기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저장탱크는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격실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걸음판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음판의 내부는 섬유로 충전되어 있고, 상기 걸음판의 외부에는 상기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및 대지에서 집수된 빗물을 정수하여 생활용수(세탁, 세면, 설겆이등), 공업용수(보일러용수, 세정용수, 냉각용수 등), 소방용수, 기타 식생 등의 목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다.
또한,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제거하는 다양한 필터를 구비하여 빗물을 정수함으로써 빗물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함수층에 의해 도로의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호우시 빗물 고임을 최소화하고 함수층 및 저장탱크에 저장된 수분의 지열흡수로 인하여 도시의 열섬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장탱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저장탱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음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음판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장탱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저장탱크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음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음판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 재할용 시스템은 제1 집수부(100), 제2 집수부(200), 전처리 필터(300), 제1 저장탱크(400), 제1 펌프(500), 정수필터(600), 제2 저장탱크(700) 및 제2 펌프(800)를 포함한다.
제1 집수부(100)는 우천시 건축물의 옥상, 지붕 및 외벽 등에 흐르는 빗물을 집수한다. 제1 집수부(100)는 건축물의 옥상 및 지붕에 존재하는 배수시설이나 외벽에 설치되어 있는 빗물받이 시설 등 건축물에 빗물을 집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 모든 시설물을 포함한다.
제1 집수부(100)는 전처리 필터(3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집수부(100)와 전처리 필터(300)의 연결은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제1 집수부(100)를 통해 집수된 빗물은 파이프를 통해 전처리 필터(300)로 이동한다.
제2 집수부(200)는 우천시 건축물 주변 대지 및 일반 대지에 존재하는 빗물을 집수한다. 제2 집수부(200)는 건축물에 직접 설치된 빗물 집수 시설물을 제외한 모든 빗물 집수 시설물을 포함한다.
제2 집수부(200)는 전처리 필터(300)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집수부(200)와 전처리 필터(300)의 연결은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제2 집수부(200)를 통해 집수된 빗물은 파이프를 통해 전처리 필터(300)로 이동한다.
전처리 필터(300)는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전처리 필터(300)의 내부에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큰 입자의 이물질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개구를 갖는 격자망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 필터(300)에 포함되어 있는 격자망의 격자의 크기는 0.1 cm * 0.1 c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처리 필터에서 큰 입자의 이물질을 미리 제거함으로써 정수필터(600)에서 제거되는 이물질 크기를 작게하고, 이물질의 양을 적게하여 정수필터(600)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정수필터(6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처리 필터(300)는 제1 저장탱크(400)와 연결되어 있다. 전처리 필터(300)와 제1 저장탱크의 연결은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전처리 필터(300)를 통과하여 큰 입자의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은 파이프를 통해 제1 저장탱크(400)로 이동한다.
제1 저장탱크(400)는 제1 펌프(5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저장탱크(400)와 제1 펌프(500)의 연결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제1 펌프(500)는 정수필터(6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펌프(500)와 정수필터(600)의 연결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제1 저장탱크(400)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은 제1 펌프(500)에 의해 펌핑되어 정수필터(600)로 이동한다.
정수필터(600)는 제1 펌프(500)에 의해 펌핑된 제1 저장탱크(400)에 저장되어 있던 빗물을 전달받아, 전달받은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다. 정수필터(600)에서 제거되는 이물질은 전처리 필터(300)에 포함된 격자망을 통과한 미세한 크기의 이물질이다.
정수필터(600)는 제2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있다. 정수필터(600)와 제2 저장탱크(700)의 연결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정수필터(600)에 의해 미세한 이물질이 제거된 빗물은 제2 저장탱크(700)로 이동한다.
제2 저장탱크(700)는 제2 펌프(800)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저장탱크(700)와 제2 펌프(800)의 연결은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어 질 수 있다.
제2 저장탱크(700)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은 제2 펌프(800)에 의해 펌핑되어 정수된 빗물을 재활용 하고자 하는 장소로 이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정수필터는 하우징(610), 상부체망(620), 제1 필터층(630), 함수층(640), 제2 필터층(650), 제3 필터층(660) 및 하부체망(670)을 포함한다.
하우징(610)은 내부에 관통형의 중공이 형성된 부재로, 정수필터(60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610)은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610)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각기둥 형상 또는 깔때기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상부체망(620)은 하우징(6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부재로, 정수필터(600)의 외관 중 상부면을 형성한다. 상부체망(620)은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체망(620)은 빗물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으나 하우징(610) 내부에 주입되는 제1 필터층(630), 함수층(640), 제2 필터층(650) 및 제3 필터층(660)의 구성입자들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의 개구를 갖는 격자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층(630)은 하우징(610)의 중공에 주입되며, 상부체망(62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1 필터층(630)은 빗물에 포함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제1 필터층(630)은 모래층일 수 있다. 모래는 지름 0.02~2㎜ 사이의 자갈(gravel)보다 작고 실트(silt)보다 큰 광물 입자의 총칭으로, 입자 사이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공극이 형성된다.
빗물에 함유된 중금속 등의 이물질은 제1 필터층(630)을 통과하면서 모래 입자에 흡착되거나, 모래 입자 사이의 공극에 갖히게 되어 걸러질 수 있다.
함수층(640)은 하우징(610)의 중공에 주입되며, 제1 필터층(630)의 하부에 위치한다. 함수층(640)은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함수층(640)은 실리카겔(silica gel)과 모래가 혼합된 층일 수 있으며, 혼합되는 실리카겔과 모래의 부피는 1:2 비율일 수 있다.
실리카겔은 SiO2·nH2O의 화학식을 가지며 작은 구멍들이 서로 연결되어 튼튼한 그물 조직을 이루고 그 사이에 용매인 물 등이 들어가 굳어버린 비결정형의 입자로, 표면적이 매우 넓어 물이나 알코올등을 흡수하는 능력이 매우 뛰어난 물질이다.
이와 같은 실리카겔과 모래의 특성을 이용하여 함수층(640)은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고, 특히 혼합되는 실리카겔과 모래의 부피가 1:2 비율일 때 수분의 흡수 및 저장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제2 필터층(650) 하우징(610)의 중공에 주입되며, 함수층(640)의 하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2 필터층(650)은 포졸란(pozzolan) 자갈층일 수 있다.
포졸란은 화산회 및 화산암의 풍화물로, 가용성 규산을 많이 포함하여 좋은 정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2 필터층(650)은 포졸란 광물 중 지름 5mm 이상의 자갈층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정수 기능을 갖는 것과 동시에 유입되는 물이 원활하게 통과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필터층(660)은 하우징(610)의 중공에 주입되며, 제2 필터층(650)의 하부에 위치한다. 제3 필터층(660)은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 및 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필터층(660)은 황토층일 수 있다. 황토는 함수 산화철과 무수 산화철을 함유한 규토와 흙으로 이루어진 자연 상태의 흙으로, 주로 실트 크기의 지름 0.002~0.005mm인 입자로 이루어진 퇴적물을 일컫는다. 이러한 황토는 입자 사이에 많은 공극을 갖고 있어, 효과적으로 수분을 흡수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하부체망(670)은 하우징(6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부재로, 정수필터(600)의 외관 중 하부면을 형성한다. 하부체망(670)은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체망(670)은 빗물이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으나 하우징(610) 내부에 주입되는 제1 필터층(630), 함수층(640), 제2 필터층(650) 및 제3 필터층(660)의 구성입자들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정도의 개구를 갖는 격자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저장탱크(4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 저장탱크(400)는 격벽(410) 및 걸음판(9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탱크(4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4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격실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410)은 빗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방수성 재질일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저장탱크 내부에 격벽(410)에 의해 구획된 각 격실은, 격벽에 형성된 걸음판(900)에 의해 연결된다.
걸음판(900)의 양면 외부에는 걸음판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일면의 홀을 통해 외부에서 걸음판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타면의 홀을 통해 걸음판 외부로 배출된다.
걸음판(900) 부분을 제외한 격벽(410)의 모든 부분은 빗물이 통과할 수 없는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빗물이 각 격실을 이동하는 유일한 통로는 격벽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판(900)이다.
제1 저장탱크(400)에 유입된 빗물은 걸음판(900)을 통해 각 격실을 통과하여 제1 저장탱크(400)와 제1 펌프(500)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통해 제1 저장탱크(4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저장탱크(7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제2 저장탱크(700)는 격벽(710) 및 걸음판(9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저장탱크(70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7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개의 격실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710)은 빗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방수성 재질일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내구성 및 내부식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저장탱크 내부에 격벽(710)에 의해 구획된 각 격실은, 격벽에 형성된 걸음판(900)에 의해 연결된다.
걸음판(900)의 양면 외부에는 걸음판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어, 일면의 홀을 통해 외부에서 걸음판 내부로 유입된 빗물은 타면의 홀을 통해 걸음판 외부로 배출된다.
걸음판(900) 부분을 제외한 격벽(710)의 모든 부분은 빗물이 통과할 수 없는 방수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빗물이 각 격실을 이동하는 유일한 통로는 격벽에 형성되어 있는 걸음판(900)이다.
제2 저장탱크(700)에 유입된 빗물은 걸음판(900)을 통해 각 격실을 통과하여 제2 저장탱크(700)와 제2 펌프(800)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통해 제2 저장탱크(7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음판(90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음판(900)의 외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6을 참고하면, 걸음판(900)은 걸음판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섬유(920) 및 걸음판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홀(910)을 포함할 수 있다.
걸음판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섬유(920)는 걸음판 내부로 유입된 빗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흡착하거나, 이물질이 충전된 섬유(920)에 존재하는 공극에 갖히도록 한다.
걸음판 외부에는 빗물이 걸음판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910)이 형성되어 있다. 홀(910)은 걸음판(900)의 외부 양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걸음판(900) 양면에 홀(910)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됨으로써 걸음판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이동 경로를 늘려 정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 집수부
200 : 제2 집수부
300 : 전처리 필터
400 : 제1 저장탱크
500 : 제1 펌프
600 : 정수필터
700 : 제2 저장탱크
800 : 제2 펌프
900 : 걸음판
200 : 제2 집수부
300 : 전처리 필터
400 : 제1 저장탱크
500 : 제1 펌프
600 : 정수필터
700 : 제2 저장탱크
800 : 제2 펌프
900 : 걸음판
Claims (11)
- 건축물의 옥상, 지붕 또는 외벽 등에서 빗물을 집수하는 제1 집수부;
상기 건축물 주변 대지의 빗물을 집수하는 제2 집수부;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집수부 및 상기 제2 집수부를 통해 집수된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큰 입자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필터;
상기 전처리 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전처리 필터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제1 저장탱크;
상기 제1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1 펌프
상기 제1 펌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펌프에 의해 펌핑된 빗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
상기 정수필터와 연결되고 상기 정수필터에서 정수된 빗물을 저장하는 제2 저장탱크; 및
상기 제2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저장탱크에 저장된 빗물을 펌핑하는 제2 펌프;
를 포함하되,
상기 정수필터는
내부에 관통형의 중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체망;
상기 상부체망 하부에 주입되며 모래층으로 이루어진 제1 필터층;
상기 제1 필터층 하부에 주입되며 실리카겔과 모래가 혼합된 층으로 이루어진 함수층;
상기 함수층 하부에 주입되며 포졸란 자갈층으로 이루어진 제2 필터층;
상기 제2 필터층 하부에 주입되며 황토층으로 이루어진 제3 필터층;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체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층에 혼합된 상기 실리카겔과 상기 모래의 부피의 비는 1 : 2 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탱크는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격실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걸음판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판의 내부는 섬유로 충전되어 있고,
상기 걸음판의 외부에는 상기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저장탱크는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복수개의 격실이 존재하고, 상기 복수개의 격실은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걸음판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음판의 내부는 섬유로 충전되어 있고,
상기 걸음판의 외부에는 상기 내부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재활용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2016A KR101179715B1 (ko) | 2012-02-06 | 2012-02-06 | 빗물 재활용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2016A KR101179715B1 (ko) | 2012-02-06 | 2012-02-06 | 빗물 재활용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9715B1 true KR101179715B1 (ko) | 2012-09-04 |
Family
ID=47073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2016A KR101179715B1 (ko) | 2012-02-06 | 2012-02-06 | 빗물 재활용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9715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6227B1 (ko) | 2013-04-01 | 2013-11-11 | 주식회사 한배엔지니어링 | 빗물여과시스템 |
KR101366083B1 (ko) * | 2013-07-02 | 2014-02-21 | 녹스 코리아(주) | 빗물 이용 장치 |
CN103953094A (zh) * | 2014-04-11 | 2014-07-30 | 兰州交通大学 | 一种适用于农村地区的自净式集雨水窖系统 |
KR20150020015A (ko) | 2014-02-28 | 2015-02-2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축물의 옥상 빗물을 다목적으로 활용하는 장치 |
KR101635513B1 (ko) * | 2015-09-04 | 2016-07-01 | 에코리더 주식회사 | 빗물 재이용 시설 |
CN105804152A (zh) * | 2016-04-09 | 2016-07-27 | 林加雄 | 一种节能雨水回收利用系统 |
CN109138050A (zh) * | 2018-09-25 | 2019-01-04 | 湖北大学 | 一种屋面雨水回收利用装置 |
CN109168731A (zh) * | 2018-07-23 | 2019-01-11 | 温州大学苍南研究院 | 一种具备雨水和污水处理及绿化墙体装置 |
CN109610557A (zh) * | 2018-11-12 | 2019-04-12 | 太原理工大学 | 一种基于现有建筑的雨水收集系统 |
CN114411876A (zh) * | 2022-02-12 | 2022-04-29 | 江苏元贞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旋转式自动弃流型雨水收集利用系统及其安装方法 |
KR20220089781A (ko) * | 2020-12-21 | 2022-06-29 | 조명우 | 작물 재배용 양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
CN114855929A (zh) * | 2022-04-26 | 2022-08-05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雨水可持续循环回收分级利用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5999Y1 (ko) * | 2002-08-29 | 2002-11-29 | 한무영 |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
KR100894022B1 (ko) * | 2008-09-09 | 2009-04-17 |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KR100985170B1 (ko) * | 2009-10-26 | 2010-10-05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2012
- 2012-02-06 KR KR1020120012016A patent/KR1011797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5999Y1 (ko) * | 2002-08-29 | 2002-11-29 | 한무영 |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의 저장 및 이용장치 |
KR100894022B1 (ko) * | 2008-09-09 | 2009-04-17 | 주식회사 한솔환경산업 |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KR100985170B1 (ko) * | 2009-10-26 | 2010-10-05 |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 초기우수 처리장치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6227B1 (ko) | 2013-04-01 | 2013-11-11 | 주식회사 한배엔지니어링 | 빗물여과시스템 |
KR101366083B1 (ko) * | 2013-07-02 | 2014-02-21 | 녹스 코리아(주) | 빗물 이용 장치 |
KR20150020015A (ko) | 2014-02-28 | 2015-02-25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건축물의 옥상 빗물을 다목적으로 활용하는 장치 |
CN103953094A (zh) * | 2014-04-11 | 2014-07-30 | 兰州交通大学 | 一种适用于农村地区的自净式集雨水窖系统 |
CN103953094B (zh) * | 2014-04-11 | 2015-09-09 | 兰州交通大学 | 一种适用于农村地区的自净式集雨水窖系统 |
KR101635513B1 (ko) * | 2015-09-04 | 2016-07-01 | 에코리더 주식회사 | 빗물 재이용 시설 |
CN105804152A (zh) * | 2016-04-09 | 2016-07-27 | 林加雄 | 一种节能雨水回收利用系统 |
CN109168731A (zh) * | 2018-07-23 | 2019-01-11 | 温州大学苍南研究院 | 一种具备雨水和污水处理及绿化墙体装置 |
CN109138050A (zh) * | 2018-09-25 | 2019-01-04 | 湖北大学 | 一种屋面雨水回收利用装置 |
CN109610557A (zh) * | 2018-11-12 | 2019-04-12 | 太原理工大学 | 一种基于现有建筑的雨水收集系统 |
KR20220089781A (ko) * | 2020-12-21 | 2022-06-29 | 조명우 | 작물 재배용 양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
KR102490782B1 (ko) * | 2020-12-21 | 2023-01-20 | 조명우 | 작물 재배용 양액 혼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작물 재배 시스템 |
CN114411876A (zh) * | 2022-02-12 | 2022-04-29 | 江苏元贞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旋转式自动弃流型雨水收集利用系统及其安装方法 |
CN114855929A (zh) * | 2022-04-26 | 2022-08-05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雨水可持续循环回收分级利用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9715B1 (ko) | 빗물 재활용 시스템 | |
CN106400648B (zh) | 海绵城市集水净水生态路 | |
KR101362254B1 (ko) |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 |
KR101319073B1 (ko) |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 |
CN205444302U (zh) | 一种城市道路雨水控制管网系统 | |
CN106835972A (zh) | 一种海绵型生态桥梁的雨水蓄用系统 | |
WO2009028893A2 (en) | A waterspou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
CN103408156A (zh) | 立交桥雨水净化与收集利用综合方法与系统 | |
CN106758675A (zh) | 带有滤水净水路缘石的雨水收集生态路面 | |
CN106638917A (zh) | 一种分体式雨水回收蓄调系统及其施工方法 | |
CN104532942B (zh) | 一种雨水净化树箱系统 | |
KR101252242B1 (ko) |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 | |
CN101624839B (zh) | 过滤渗透池综合排除下穿道路积水的方法 | |
CN205857343U (zh) | 一种海绵城市雨水收集利用装置 | |
KR101328223B1 (ko) | 초기우수 배제 및 침투 시스템 | |
CN207892008U (zh) | 一种用于市政水利的排水装置 | |
CN203977495U (zh) | 用于居民小区道路的花园式抗雨水冲击系统 | |
CN101619590A (zh) | 过滤渗透井浅层排除下穿道路积水的方法 | |
KR101380776B1 (ko) |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 |
KR20110056600A (ko) | 빗물 정수 시스템 | |
KR100766517B1 (ko) | 도로용 저류 시스템 | |
KR100846029B1 (ko) | 건물 홈통 연결용 빗물처리시스템 | |
CN204475501U (zh) | 一种雨水综合利用系统 | |
CN209227730U (zh) | 一种二次沉泥渗透型道路雨水口 | |
CN103669232B (zh) | 压力渗水式道路排水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