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467B1 -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Google Patents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4467B1 KR101174467B1 KR20100017971A KR20100017971A KR101174467B1 KR 101174467 B1 KR101174467 B1 KR 101174467B1 KR 20100017971 A KR20100017971 A KR 20100017971A KR 20100017971 A KR20100017971 A KR 20100017971A KR 101174467 B1 KR101174467 B1 KR 101174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ing
- manual
- passage
- automatic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은, 작동유가 수용되는 탱크가 마련된 본체와, 경사회동을 승강동작으로 전환하여 전술한 작동유를 흡입 또는 토출하는 수동펌프와, 구동력에 의한 편심 회전으로 내부 공간의 일측과 타측의 확장 및 축소에 따라 전술한 작동유를 흡입 또는 토출하는 자동펌프와, 전술한 수동펌프 및 전술한 자동펌프와 한 지점으로 연결된 일측과 전술한 탱크와 연결된 타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전술한 작동유를 선택하여 흡입 또는 토출시키고 전술한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방향절환부를 포함하며, 전술한 수동펌프와 전술한 자동펌프 및 전술한 방향절환부는 전술한 본체에 일체로 장착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동유를 수용하는 탱크가 마련된 본체에 수동펌프와 자동펌프 및 방향절환부를 일체로 장착한 구조에 따라 제품의 모듈화 및 컴팩트화 구현을 통하여 작동 방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유압기기는 비압축성 유체인 작동유가 굴삭기의 암과, 크레인의 붐 등과 같은 작동체에 동작 변환의 구현을 위한 압력을 부여하는 부품이 마련된 장치이다.
여기서, 전술한 작동체의 동작 변환 및 원위치 복귀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면서 작동체에 유압을 부여해야 하므로, 유압을 부여하기 위한 오일펌프가 사용된다.
이때, 전술한 오일펌프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동유를 작동체에 공급하고 순환시킬 수 있으며, 통상 자동식 오일펌프를 채용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작업자가 작동체의 동작을 수동으로 조정하면서 고장 또는 점검 개소를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수동식 오일펌프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작동체의 동작 변환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절환하여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품의 모듈화 및 컴팩트화를 통한 설치 공간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과 관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동 또는 자동 절환이 가능한 구동 방식의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과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 설비에 장착하기 쉽고 교체 및 수리 또한 용이한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은, 작동유가 수용되는 탱크가 마련된 본체와, 반복하여 경사지게 회동하는 동작을 왕복 승강하는 동작으로 전환하면서 내부 공간의 확장에 따라 전술한 작동유를 흡입하고 전술한 내부 공간의 축소에 따라 상기 작동유를 토출하도록 전술한 본체에 장착되는 수동펌프와, 구동력으로 정, 역회전하면서 내부 공간의 일측이 확장하면 전술한 내부 공간의 타측이 축소함에 따라 전술한 작동유를 흡입하고 전술한 내부 공간의 일측이 축소하면 전술한 내부 공간의 타측이 확장함에 따라 전술한 작동유를 토출하도록 전술한 본체 내에서 방사상으로 출입하며 편심 회전하는 자동펌프와, 전술한 수동펌프 및 전술한 자동펌프와 한 지점으로 연결된 일측과 전술한 탱크와 연결된 타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전술한 작동유를 선택하여 흡입 또는 토출시키고 상기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방향절환부를 포함하며, 전술한 수동펌프와 전술한 자동펌프 및 전술한 방향절환부는 전술한 본체에 일체로 장착되는 구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우선, 작동유를 수용하는 탱크가 마련된 본체에 수동펌프와 자동펌프 및 방향절환부를 일체로 장착한 구조에 따라 제품의 모듈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하므로, 설치 공간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제품에 유압실린더측으로 향하는 배관 상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을 장착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모듈화된 제품의 구조적 특성상 고장 및 점검 개소의 파악이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를 수동펌프 또는 자동펌프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동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특히 가동에 충분한 전원 공급이 힘든 비상 상황에서는 수동펌프에 의한 동작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유압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전체적인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수동펌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수동펌프의 회동구 및 승강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도 4의 B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자동펌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저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방향절환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수동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자동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방향절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전체적인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수동펌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수동펌프의 회동구 및 승강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도 4의 B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자동펌프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저면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방향절환부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수동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자동펌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주요부인 방향절환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유압회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측면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전체적인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체(100)에 수동펌프(200)와 자동펌프(300) 및 방향절환부(400)가 일체로 장착되어 모듈화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수동펌프(200) 또는 자동펌프(300)는 방향절환부(400)에 의하여 유압 실린더(900)의 일측 포트(910) 또는 타측 포트(920)측으로 유압을 가할 수 있다.
본체(100)는 작동유가 수용되는 탱크(500)가 마련된 블럭 형상의 것으로, 후술할 수동펌프(200)와 자동펌프(300) 및 방향절환부(4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수동펌프(200)는 도 3과 같이 본체(100)에 장착되고, 반복하여 경사지게 회동하는 동작을 왕복 승강하는 동작으로 전환하면서 내부 공간의 확장에 따라 작동유를 흡입하고 내부 공간의 축소에 따라 작동유를 토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사용자에 의하여 실시함으로써 유압 실린더(900)에 유압을 부여한다.
자동펌프(300)는 도 3과 같이 본체(100) 내에서 방사상으로 출입하며 편심회전하되, 구동력을 부여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부 공간의 일측이 확장하면 내부 공간의 타측이 축소함에 따라 작동유를 흡입하고, 내부 공간의 일측이 축소하면 내부 공간의 타측이 확장함에 따라 작동유를 토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유압 실린더(900)에 유압을 부여한다.
방향절환부(400)는 도 3과 같이 수동펌프(200) 및 자동펌프(300)와 한 지점으로 연결된 일측과 탱크(500)와 연결된 타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작동유를 선택하여 흡입 또는 토출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실시하고, 작동유의 역류 또한 차단한다.
즉, 방향절환부(400)는 유압 실린더(900)의 일측 포트(910)측으로의 일방향으로만 또는 타측 포트(920)측으로의 타방향으로만 유압을 부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4 내지 도 15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주요부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하고자 한다.
참고로, 각 구성부의 전체적인 결합 및 연결 관계는 도 1 및 도 3을 참고한다.
우선, 본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유를 수용하고 수동펌프(200)와 자동펌프(300) 및 방향절환부(400)를 일체로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도 4와 같이 흡입 통로(600)와 토출 통로(700)가 형성된다.
흡입 통로(600)는 탱크(500)로부터 연결되어 수동펌프(200)의 흡입측과 자동펌프(300)의 흡입측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탱크(500)와는 제1 연결통로(601)에 의하여, 수동펌프(200)의 흡입측과는 제2 연결통로(602)에 의하여, 자동펌프(300)의 흡입측과는 제3 연결통로(603)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다.
토출 통로(700)는 흡입 통로(600)와 별도로 탱크(500)로부터 연통 통로(701)를 통하여 연결되어 수동펌프(200)의 토출측과 자동펌프(300)의 토출측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동펌프(200)의 토출측과는 제2 연결통로(602)와 연통하는 제4 연결통로(702)에 의하여, 자동펌프(300)의 토출측과는 제5 연결통로(703)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다.
여기서, 토출 통로(700), 더욱 상세히는 전술한 연통 통로(701)는 방향절환부(400)의 일측, 즉 입구(401)와 연결된다.
이때, 흡입 통로(600)와 토출 통로(700)에는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각각 제1 차단구(610)와, 제2 차단구(720)와, 제3 차단구(73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차단구(610)는 수동펌프(200)의 흡입측으로 향하는 제2 연결통로(602)와 연결된 흡입 통로(600)의 일측에 장착되어 탱크(500)로부터 수동펌프(200)의 흡입측으로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해제하는 것으로 왕복공간(612)과, 볼(614)과, 스프링(616)을 포함한다.
왕복공간(612)은 흡입 통로(600)의 일측에 마련된 공간부이며, 볼(614)은 왕복공간(612)에 내장되어 흡입 통로(6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작동유의 유동 방향에 따른 유압에 의하여 흡입 통로(600)를 개폐하고, 스프링(616)은 왕복공간(612)에 내장되어 볼(614)을 탄성 지지하면서 볼(614)의 원위치 복귀를 보조한다.
여기서, 제1 차단구(610)는 평소 스프링(616)에 의하여 수동펌프(600)측 및 제2 차단구(720)측으로 작동유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흡입 통로(600)의 일측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2 차단구(710)는 흡입 통로(600) 상의 제1 차단구(610)를 통하여 제4 연결통로(702)와 연통되는 토출 통로(7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수동펌프(200)의 흡입측으로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왕복공간(712)과, 볼(714)과, 스프링(716)을 포함한다.
왕복공간(712)은 토출 통로(700)의 일측에 마련된 공간부이며, 볼(714)은 왕복공간(712)에 내장되어 토출 통로(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작동유의 유동 방향에 따른 유압에 의하여 토출 통로(700)의 일측을 개폐하고, 스프링(716)은 왕복공간(712)에 내장되어 볼(714)을 탄성 지지하면서 볼(714)의 원위치 복귀를 보조한다.
여기서, 제2 차단구(710)는 제1 차단구(610)와 차단방향이 상호 반대 방향이다.
이때, 제2 차단구(710)는 평소 스프링(716)에 의하여 제1 차단구(610)측 및 수동펌프(200)측으로 작동유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토출 통로(700)의 일측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제3 차단구(720)는 토출 통로(700)의 타측에 장착되어 자동펌프(300)의 토출측으로부터 제5 연결통로(703)을 통해 방향절환부(400)측으로 향하는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왕복공간(722)과, 볼(724)과, 스프링(726)을 포함한다.
왕복공간(722)은 토출 통로(700)의 타측에 마련된 공간부이며, 볼(724)은 왕복공간(722)에 내장되어 토출 통로(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왕복하며 작동유의 유동 방향에 따른 유압에 의하여 토출 통로(700)의 타측을 개폐하고, 스프링(726)은 왕복공간(722)에 내장되어 볼(724)을 탄성 지지하면서 볼(724)의 원위치 복귀를 보조한다.
여기서, 제3 차단구(720)는 평소 스프링(726)에 의하여 자동펌프(300)의 도출측으로 작동유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토출 통로(700)의 타측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제1 차단구(610)는 수동펌프(200)로 작동유를 흡입할 때, 즉 작동유가 제1 연결통로(601)를 통하여 흡입 통로(600)로 유입되어 수동펌프(200)의 흡입측으로 향하면서 제1 차단구(610)측으로 압력을 가하면, 제1 차단구(610)가 유로를 개방하고, 작동유는 제2 연결통로(602)를 통하여 수동펌프(200)의 흡입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차단구(610)는 수동펌프(200)로 작동유를 방향절환부(400)측으로 토출할 때, 즉 작동유가 수동펌프(200)의 토출측으로부터 제2 연결통로(602)를 거쳐 제4 연결통로(702)측으로 이동하면 제1 차단구(610)는 흡입 통로(600)의 일측을 차단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제2 차단구(710)가 작동유의 압력을 받아 토출 통로(700)의 일측을 개방한다.
작동유는 토출 통로(700)를 지나 연통 통로(701)를 통하여 방향절환부(400)의 입구(401)측으로 토출된다.
또한, 자동펌프(300)로 작동유를 흡입할 때는 제1 차단구(610)측에 걸리는 작동유의 압력은 흡입 통로(600)를 통하여 자동펌프(300)의 흡입측으로 향하는 작동유의 압력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므로, 제1 차단구(610)의 차단이 유지되면서 작동유는 자동펌프(300)측으로 향한다.
그리고, 자동펌프(300)로 작동유를 토출할 때는 작동유가 제5 연결통로(703)로부터 제3 차단구(720)에 압력을 가하여 토출 통로(700)의 타측을 개방하고, 작동유는 토출 통로(700)를 지나 연통 통로(701)를 통하여 방향절환부(400)의 입구(401)측으로 토출된다.
이때, 작동유는 제2 차단구(710)의 스프링(714)이 토출 통로(700)의 일측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므로 입구(401)측으로의 토출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연통 통로(701)의 단부에는 수동펌프(200) 및 자동펌프(300)의 토출측으로부터 작동유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계속하여 가해지면 탱크(500)측으로 작동유의 일부를 환원시키는 릴리프밸브(80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동펌프(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 회동을 승강 동작으로 전환하면서 사용자의 반복적인 수동 동작에 의하여 작동유를 흡입 또는 토출하는 것으로, 회동구(210)와 승강구(220)를 포함한다.
회동구(210)는 본체(100)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경사를 이루며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지지통(211)과, 작동블럭(212)과, 접촉롤러(213)와, 작동편(214)과, 스프링핀(216)을 포함한다.
지지통(211)은 탱크(50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흡입 통로(600) 및 토출 통로(700)와 각각 연통되는 중공인 통 형상의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흡입 통로(600)의 제2 연결통로(602) 및 토출 통로(700)의 제 4 연결통로(702)와 연통된다.
작동블럭(212)은 지지통(211)의 개방된 일측에 관통되어 정, 역회전하는 작동축(212')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하는 것으로, 작동편(214)은 작동블럭(212)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통(211) 내에서 회전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작동블럭(212)과 작동편(214)의 결합부위에는 작동편(214)과 일체로 회전하는 접촉롤러(213)가 장착되어 작동편(214)의 단부에 장착되는 후술할 승강구(220)가 하강할 때 접촉하면서 압력을 제2 연결통로(602)측으로 가하게 된다.
이때, 접촉롤러(21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작동블럭(212)측을 향하여 다소 편심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핀(216)은 전체적으로 양단 관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이 형성되는(도 5 및 도 6의 형상을 참고) 것으로 원심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구조이다.
스프링핀(216)은 작동유가 흡입되거나 후술할 방향절환부(400)측으로 토출되게 후술할 승강구(220)가 승강하도록 작동편(214)의 단부와 승강구(220)의 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스프링핀(216)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214)에는 구조적 특징상 밀착하여 고정되고, 스프링핀(216)이 관통되는 승강구(220), 즉 후술할 이동봉(222)의 작동블럭(212)측 단부에는 스프링핀(216)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지닌 유격공간(215)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프링핀(216)은 회동구(210)의 구조, 즉 작동블럭(21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으며 회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볼트 또는 너트의 결합이 힌든 작동편(214)과 작동블럭(212)의 결합부위와 같은 개소에 장착하기 적합하다.
작동블럭(212)의 단부에는 작동축(212')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회동하도록 레버(217)가 장착되며 본체(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작동축(212')을 정, 역회전시킬 수 있으며, 작동편(214)의 단부에 승강구(220)가 장착되어 작동유가 흡입되거나 방향절환부(400)측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승강구(220)는 회동구(210)의 타단부, 즉 작동편(21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탱크(500)의 작동유를 흡입하고,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유를 방향절환부(400)측으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이동통(221)과 이동봉(222)을 포함한다.
이동통(221)은 지지통(211)으로부터 흡입 통로(600) 및 토출 통로(700)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공의 공간이며, 이동봉(222)은 작동편(214)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통(221)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왕복 이동한다.
여기서, 작동편(214)의 단부가 도 5와 같이 탱크(500)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봉(222)이 작동블럭(212)측으로 상승하면서 작동유가 이동봉(222)의 단부와 이동통(221)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된다.
이때, 유격공간(215)은 도 5와 같이 작동블럭(212)측 내주면이 작동편(214)에 고정된 스프링핀(216)의 작동블럭(212)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이동봉(222)은 작동편(214)에 이끌려 상승하게 된다.
또한, 작동편(214)의 단부가 도 6과 같이 흡입 통로(600) 및 토출 통로(700)측으로 이동하면 이동봉(222)이 제2 연결통로(602)측으로 하강하면서 작동유가 이동봉(222)의 단부와 이동통(221)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방향절환부(400)측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유격공간(215)은 도 6과 같이 제2 연결통로(602)측 내주면이 스프링핀(216)의 제2 연결통로(602)측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작동편(214)과 연동하는 접촉롤러(213)는 이동봉(222)의 단부를 누르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이동봉(222)은 작동편(214)과 접촉롤러(213)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수동펌프(200)는 구조상 및 작동상의 특징을 근거로 하여 흡입측과 토출축은 일치하며 흡입 통로(600) 및 토출 통로(700)와 각각 연통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봉(222)의 단부측 외면에는 지지통(211)측으로 작동유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재(223)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링재(223)는 이동통(221)의 내면에 접촉하며 작동유의 누설을 방지하는 오링(225)과, 오링(225)을 받침 지지하는 백업링(227)을 포함한다.
이때, 실링재(223)는 이동봉(222)의 외주면과 이동통(221) 내주면과의 마찰 및 이동봉(222)의 승강 방향과 접촉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이동봉(222)의 제2 연결통로(602)측 단부로부터 오링(225)과 백업링(227)을 순차적으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동펌프(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심 회전에 따라 일측 및 타측의 내부 공간이 확장 또는 축소하면서 작동유를 흡입 또는 토출하는 것으로 도 4 및 도 7을 참고하면 회전구(310)와, 구동모터(320)와, 흡입토출변환구(3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회전구(310)는 본체(100)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편심 회전하는 것으로 지지통(311)과, 축받이 블럭(312)과, 편심축(314)을 포함한다.
구동모터(320)는 회전구(310)와 구동축(324)으로 상호 결합되어 회전구(31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흡입토출변환구(330)는 회전구(310)에 방사상으로 장착되고 회전구(310)의 편심 회전에 연동하여 탱크(500)로부터 흡입 통로(600)측으로 작동유를 흡입하거나 토출 통로(700)측으로 작동유를 토출하는 것으로 베어링(332)과, 피스톤(334)과, 걸림링(336)을 포함한다.
회전구(310)의 지지통(311)은 본체(100)의 일측에 마련되어 흡입 통로(600)의 제3 연결통로(603) 및 토출 통로(700)의 제5 연결통로(703)와 각각 연통되는 중공인 통 형상의 것으로, 후술할 축받이 블럭(312) 및 편심축(314)과 함께 흡입토출변환구(33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축받이 블럭(312)은 내부에 원통 형상의 회전 공간(312')이 마련되게 일측이 개방되어 흡입 통로(600) 및 토출 통로(700)측을 향하여 지지통(311)에 안착되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고, 외면을 따라 작동유가 유동하는 유동홈(3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축받이 블럭(312)은 구동모터(320)의 구동축(324)이 중앙에 관통하여 후술할 흡입토출변환구(330)와 결합되고, 유동홈(313)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더욱 상세히는 구동축(324)에 대하여 래디알 방향으로 복수개의 왕복로(312")가 마련되어 회전 공간(312')과 연통된다.
이때, 왕복로(312")에는 후술할 흡입토출변환구(330)의 피스톤(334)이 왕복 이동한다.
편심축(314)은 흡입 통로(600) 및 상기 토출 통로(700)측을 향하여 축받이 블럭(312)의 중앙을 관통되는 구동모터(320)의 구동축(324)에 결합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토출변환구(330)는 편심축(314)에 장착된다.
편심축(314)은 원통 형상의 중실축(中實軸)으로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부에 대하여 구동축(324)과 결합하는 부분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마련되어 편심 회전한다.
구동모터(320)는 단부에 구동축(324)이 마련되어 편심축(314)과 결합되고, 지지통(311)에 장착된 축받이 블럭(312) 상부에 고정블럭(321)에 의하여 고정되고 지지된다.
흡입토출변환구(330)의 베어링(332)은 편심축(314)의 외주면을 따라 구름 접촉 가능하게 장착된다.
피스톤(334)은 편심축(31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일단부는 베어링(332)의 외주면에 접촉하며, 타단부는 왕복로(312")를 각각 왕복하는 복수의 것으로 로드(333)와 걸림체(333')를 포함한다.
왕복로(312")는 각각 작동유의 흡입구(301)를 통하여 흡입 통로(600)측의 제3 연결통로(603)와 연통한다.
지지통(311)에는 흡입구(301)에 대하여 유동홈(313)을 통하여 토출되는 작동유의 토출 통로로서 토출구(302)도 마련되며, 토출구(302)는 토출 통로(700)의 제5 연결통로(703)와 연통된다.
여기서, 로드(333)는 봉 형상의 것으로 왕복로(312")를 왕복하며, 걸림체(333')는 로드(333)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단면이 타원 형상인 곡면을 가지며 편심축(314)의 편심 회전에 따라 베어링(332)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달걀과 같은 형상의 입체이다.
걸림링(336)은 편심축(314)의 회전에 연동하여 외주면이 회전 공간(312')이 마련된 축받이 블럭(312)의 내주면과 접촉하면서 정, 역회전하도록 편심축(314)이 관통되고 피스톤(334)의 일단부, 즉 걸림체(333')와 결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링(335)과, 접촉링(335')을 포함한다.
본체링(335)은 편심축(314)이 통과되게 중앙이 관통되며, 접촉링(335')은 본체링(335)의 가장자리를 따라 흡입 통로(600) 및 토출 통로(700)측으로 연장되어 회전 공간(312')이 마련된 축받이 블럭(312)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걸림링(336)은 걸림체(333')를 수용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왕복로(3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흡입 통로(600)와 연통하고, 축받이 블럭(312)의 유동홈(313)은 복수의 왕복로(312") 사이에서 토출 통로(700)의 제5 연결통로(703)와 연통된다.
여기서, 축받이 블럭(312)은 회전 공간(312')이 마련된 내주면을 따라 걸림링(336)의 외주면, 즉 접촉링(335')과 접촉하는 부위에 오링(319)을 장착하여 편심축(314)의 회전에 연동하는 걸림링(336)이 축받이 블럭(312)의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마찰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방향절환부(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유가 유압실린더(900)의 일측 포트(910) 또는 타측 포트(920)측으로 유동하는 방향을 선택하여 흡입 또는 토출시키고 작동유의 역류 또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 8과 같이 제1 절환 유닛(410)과, 제2 절환 유닛(420)을 포함한다.
제1 절환 유닛(410)은 수동펌프(200) 또는 자동펌프(30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유입되는 입구(401)와 탱크(500)측으로 작동유가 귀환하는 출구(402) 사이의 절환유로(410')를 왕복하는 것으로 제1 절환공간(412)과, 절환관(414)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구(401)는 연통 통로(701)와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절환공간(412)은 원통 형상의 절환유로(410')가 마련된 것으로, 절환관(414)이 왕복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절환관(414)은 제1 절환공간(412)을 왕복하면서 제1 절환공간(412)에 연통된 일측 포트(910) 또는 타측 포트(920)로 향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양단 관통의 파이프이다.
제2 절환 유닛(420)은 절환유로(410') 상에서 분기되어 유압 실린더(900)의 일측 포트(910)와 타측 포트(92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유로(420', 420")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절환관(414)의 왕복에 연동하여 유압 실린더(900)의 작동방향을 변환하는 것으로 제2 절환공간(421)과, 피스톤봉(422)과, 체크밸브(424, 424')를 포함한다.
절환관(414)은 출구(402)와 상시 연통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입구(401)와 출구(402) 및 한 쌍의 분기유로(420', 420")와 전부 연통하는 고정관(413)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왕복하며, 고정관(413)의 단부는 후술할 스위칭 유닛(430)과 결합한다.
여기서, 절환관(414)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작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분기유로(420', 4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개폐용의 플랜지가 돌출되고, 타측의 분기유로(420")와 대응하는 외주면 상에 통공(414')이 관통된다.
이때, 통공(414')은 일측의 분기유로(420')가 전술한 플랜지에 의하여 차단되면 타측의 분기유로(420")측으로 작동유가 유동하도록 유로가 연통되게 한다.
따라서, 절환관(414)은 제1 절환공간(412)을 왕복함에 따라 일측의 분기유로(420') 또는 타측의 분기유로(42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이다.
우선, 제2 절환 유닛(420)의 제2 절환공간(421)은 한 쌍의 분기유로(420', 4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분기유로(420', 420")와 연통되는 원통 형상의 공간이며, 피스톤봉(422)은 입구(401)로부터 유입된 작동유의 압력 방향에 의하여 제2 절환공간(421)을 왕복한다.
피스톤봉(422)은 작동유가 일측 포트(910)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타측 포트(920)측으로부터 귀환하는 작동유의 통로를 개방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피스톤봉(4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절환공간(42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중앙부에 대하여 후술할 체크밸브(424, 424')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양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피스톤봉(422)은 양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 즉 피스톤봉(422) 양단부와 제2 절환공간(421)의 내주면 사이의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제작되어 작동유가 피스톤봉(422)의 양단부에서 각각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을 것이다.
체크밸브(424, 424')는 제2 절환공간(421)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피스톤봉(422)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면서 일측 포트(910)측을 향하는 일측의 분기유로(420') 또는 타측 포트(920)측을 향하는 타측의 분기유로(4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작동유가 일측 포트(910)에서 타측 포트(920)측으로 또는 타측 포트(920)에서 일측 포트(910)측으로 유동할 때 역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체크밸브(424, 424')는 평상시에는 내장된 스프링이 제2 절환공(421)의 양단부를 각각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면서 유압 실린더(900)의 일측 포트(910) 및 타측 포트(920)로 향하는 한 쌍의 분기유로(420', 420")를 전부 차단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피스톤봉(422)의 양단부가 제2 절환공간(421)의 일측 체크밸브(424) 또는 타측 체크밸브(424')측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체크밸브(424, 424')에 내장된 스프링에 압력을 가하면, 일측의 분기유로(420') 또는 타측의 분기유로(420")로 향하는 작동유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한편, 절환관(414)의 단부에는 절환유로(410')를 왕복하는 동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환하는 스위칭 유닛(430)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스위칭 유닛(430)은 스위칭 몸체(440)와, 자동절환구(450)와, 수동절환구(460)를 포함한다.
스위칭 몸체(440)는 절환유로(4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절환유로(410')를 마감하며 내부에 절환유로(41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스위칭 통로(441)가 형성되는 도전성의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술한 고정관(413)의 단부에 장착되는 측은 중공인 스위칭 통로(441)가 형성되며, 본체(100) 외측으로 노출된 부분은 중실인 원통 형상의 것이다.
자동절환구(450)는 스위칭 몸체(440)에 장착되고 외부 전원(이하 미도시)과 연결되어 절환관(414)을 왕복시키는 것으로 코일(452)과, 이동자(454)와, 제1 스프링(456)을 포함한다.
코일(452)은 스위칭 몸체(440)의 외면에 복수회 권취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술한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절환관(414)을 왕복 이동시키는 기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동자(454)는 절환관(414)의 단부와 결합되어 코일(452)로부터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하여 스위칭 몸체(440)의 내부에 형성된 스위칭 통로(441)를 따라 왕복한다.
제1 스프링(456)은 스위칭 통로(441)에 내장되어 이동자(454)를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이동자(454)가 입구(401)측을 지향하도록 지지하는 상태, 즉 절환관(414)이 일측의 분기유로(420')를 차단하고, 통공(414')과 타측의 분기유로(420")가 상호 연통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자동절환구(450)는 코일(45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면 기전력이 발생하면서 이동자(454)가 스위칭 통로(441)를 왕복하며, 이동자(454)에 연동하여 절환관(414)이 절환유로(410')를 왕복하면 일측의 분기유로(420')와 타측의 분기유로(420")로의 유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이다.
수동절환구(460)는 스위칭 몸체(440)에 장착, 더욱 상세히는 스위칭 몸체(440)의 형성 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결합되고 절환유로(410')의 형성방향을 따라 왕복하면서 절환관(414)을 연동하여 수동으로 왕복시키는 것으로 절환로드(462)와, 핸들(463)과, 수동절환공간(464)과, 걸림편(466)과, 제2 스프링(468)을 포함한다.
절환로드(462)는 스위칭 몸체(4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왕복하면서 절환관(414)의 단부에 접촉 또는 이격하며 절환관(414)을 왕복 이동시킨다.
핸들(463)은 절환로드(462)를 정, 역회전 및 왕복 가능하게 절환로드(462)의 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면적을 제공한다.
수동절환공간(464)은 핸들(463)측의 중실인 스위칭 몸체(440) 내부에 절환로드(4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절환관(414)이 이동된 최종적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수동절환공간(464)은 원통 형상의 공간부를 원통으로 가정하면 전술한 공간부의 일측 내주면의 일부가 절환로드(462)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게 연장된 제1 걸림공간(464')이 마련되고, 전술한 공간부의 타측 내주면의 일부가 절환로드(462)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게 제1 걸림공간(464')과 반대측으로 연장된 제2 걸림공간(464")이 제1 걸림공간(464')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된다.
걸림편(466)은 수동절환공간(464)을 왕복하며 절환로드(462)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장착되어 제1 걸림공간(464') 또는 제2 걸림공간(464")에 고정되는 것이다.
제2 스프링(468)은 절환로드(462)의 외주면을 따라 스위칭 통로(441)측을 향해 장착되어 걸림편(466)을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제1 걸림공간(464')은 핸들(463)측을 향하여 배치되고 제2 걸림공간(464")은 이동자(454)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걸림편(466)이 제1 걸림공간(464')에 고정되면 절환관(414)이 핸들(463)측으로 이동하면서 일측의 분기유로(420')가 개방되고, 걸림편(466)이 제2 걸림공간(464")에 고정되면 절환관(414)이 입구(401)측으로 이동하면서 타측의 분기유로(420")가 통공(414')을 통하여 개방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의 각 구성부별 작동 과정에 관하여 도 9 내지 도 15를 통하여 살펴보며, 참고로 도 9 및 도 10은 수동펌프(200)의 작동 과정을, 도 11 내지 도 13은 자동펌프(300)의 작동 과정 및 상태를, 도 14 및 도 15는 방향절환부(400)의 작동 과정을 각각 나타낸다.
참고로, 도면상에서 흰 화살표는 작동유가 흡입되는 방향을, 검은 화살표는 작동유가 토출되는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우선, 수동펌프(2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는 도 9와 같이 작동축(212')을 기준으로 레버(217)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봉(222)을 이동통(221)의 형성 방향을 따라 상승시키면 탱크(500)로부터 작동유가 제1 연결통로(601)를 통하여 흡입 통로(600)의 일측으로 흡입되면서 제1 차단구(610)에 압력을 가한다.
계속하여, 작동유는 제1 차단구(610)에 압력을 가하면 왕복공간(612)이 개방되고, 작동유는 왕복공간(612)과 이동통(221)을 연결하는 제2 연결통로(6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는 도 10과 같이 작동축(212')을 기준으로 레버(217)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봉(222)을 이동통(221)의 형성 방향을 따라 하강시키면 이동통(221)에 수용되었던 작동유는 제1 차단구(610)의 왕복공간(612)을 거쳐 제2 차단구(710)의 왕복공간(712)에 도달하여 제2 차단구(710)에 압력을 가한다.
계속하여, 작동유는 제2 차단구(710)에 압력을 가하면 왕복공간(712)이 개방되고, 작동유는 토출 통로(700)를 거쳐 연통 통로(701)를 통하여 방향절환구(400)의 입구(401)측으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자동펌프(3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11 및 도 12에서 도면의 좌측을 일측, 도면의 우측을 타측이라 정의한다.
사용자는 도 13과 같이 구동모터(320)를 가동시키면 편심축(314)과 연동하는 걸림링(336)이 편심축(314)에 방사상으로 장착된 피스톤(334)의 걸림체(333')를 이끌고 편심 회전한다.
여기서, 피스톤(334)의 로드(333)는 축받이 블럭(312)에 방사상으로 관통되어 회전공간(312)과 연통하는 왕복로(312") 상을 왕복하되, 걸림링(336)이 도 11과 같이 토출구(302)측으로 편심 회전하면, 제3 연결통로(603)와 각각 연결되어 왕복로(312")에 연결되는 흡입구(301)로부터 작동유가 화살표 방향으로 흡입되어 이동홈(313)을 따라 유동하며 토출구(302)측으로 향한다.
계속하여, 편심축(314)이 도 12와 같이 편심 회전하여 걸림링(336)이 토출구(302)로부터 멀리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축받이 블럭(312)의 타측 공간, 즉 왕복로(312")와 연통된 흡입구(301)로부터 작동유가 화살표 방향으로 흡입되어 이동홈(313)을 따라 유동하며 토출구(302)측으로 향한다.
즉, 축받이 블럭(312)은 왕복로(312")가 각각 형성하는 내부의 일측 공간이 확장되면, 타측은 축소하는 방식으로 작동유를 흡입 또는 토출시킨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는 흡입과 토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작동유의 전체적인 흡입 방향은 도 13을 참고하면 탱크(500)로부터 제1 연결통로(601)와 흡입 통로(600) 및 제3 연결통로(603)를 거쳐 왕복로(312")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작동유의 전체적인 토출 방향은 제5 연결통로(703)로부터 제2 차단구(720)의 왕복공간(722) 및 토출 통로(700)와 연통 통로(701)를 거쳐 방향절환부(400)의 입구(401)로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방향절환부(4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 14 및 도 15에서 도면의 좌측을 좌측, 우측을 우측이라 정의한다.
참고로, 자동절환구(450)에 의한 작동 과정은 단순히 코일(45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것으로 절환관(414)을 이동시키면 되므로, 편의상 생략하기로 하며, 도 14 및 도 15에는 수동절환구(460)에 의한 작동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작동유가 유압 실린더(900)의 일측 포트(910)에서 타측 포트(920)로 작동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사용자는 도 14와 같이 핸들(463)을 파지하여 절환로드(462)를 우측으로 당겨 이동자(454)를 지지하는 제1 스프링(456)을 스위칭 몸체(440)의 단부측으로 수축시키고, 절환로드(462)에 장착된 걸림편(466)이 제1 걸림공간(464')에 걸리도록 한다.
여기서, 절환관(414)은 이동자(454)와 연동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일측의 분기유로(420')를 개방하고, 타측의 분기유로(420")는 차단된다.
이때, 작동유는 연통 통로(701)로부터 입구(401)를 통하여 일측의 분기유로(420')를 유동하면서 제2 절환공간(421)의 피스톤봉(422)을 우측으로 밀어내며 제2 절환공간(421) 일측의 체크밸브(424)에 압력을 가하여 일측 포트(910)로 작동압력을 부여한다.
계속하여, 작동유는 유압 실린더(900)의 일측 포트(910)를 거쳐 타측 포트(920)로 환원되고, 환원되는 작동유는 제2 절환공간(421)을 통하여 타측의 분기유로(420")를 거쳐 방향절환구(400)의 출구(402)와 상시 연통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절환유로(410')와 절환관(414)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출구(402)로부터 탱크(500)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작동유가 유압 실린더(900)의 타측 포트(920)에서 일측 포트(910)로 작동 압력을 가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사용자는 도 15와 같이 핸들(463)을 파지하여 절환로드(462)를 좌측으로 당겨 이동자(454)를 지지하는 제1 스프링(456)을 절환관(414)측으로 신장시키고, 걸림편(466)이 제2 걸림공간(464")에 걸리도록 한다.
여기서, 절환관(414)은 이동자(454)와 연동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타측의 분기유로(420')를 통공(414')을 통하여 개방하고, 일측의 분기유로(420')는 절환관(414) 외주면의 플랜지에 의하여 차단된다.
이때, 작동유는 연통 통로(701)로부터 입구(401)를 통하여 통공(414')을 거쳐 타측의 분기유로(420")로 이동하면서 제2 절환공간(421)의 피스톤봉(422)을 좌측으로 밀어내며 제2 절환공간(421) 타측의 체크밸브(424')에 압력을 가하여 타측 포트(920)로 작동압력을 부여한다.
계속하여, 작동유는 유압 실린더(900)의 타측 포트(920)를 거쳐 일측 포트(910)로 환원되고, 환원되는 작동유는 제2 절환공간(421)을 통하여 일측의 분기유로(420')를 거쳐 방향절환구(400)의 출구(402)와 상시 연통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절환유로(410')와 절환관(414)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출구(402)로부터 탱크(500)측으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품의 모듈화 및 컴팩트화를 통한 설치 공간의 효율성을 높이고, 수동 또는 자동 절환이 가능한 구동 방식의 범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기존 설비에 장착하기 쉽고 교체 및 수리 또한 용이한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본체 200...수동펌프
210...회동구 211...지지통
212...작동블럭 212'...작동축
213...접촉롤러 214...작동편
215...유격공간 216...스프링핀
217...레버 220...승강구
221...이동통 222...이동봉
223...실링재 225...오링
227...백업링 300...자동펌프
301...흡입포트 302...토출포트
310...회전구 311...지지통
312...축받이 블럭 312'...회전 공간
312"...왕복로 313...유동홈
314...편심축 319...오링
320...구동모터 321...고정블럭
322...축받이베어링 323...축받이와셔
324...구동축 330...흡입토출변환구
332...베어링 333...로드
333'...걸림체 334...피스톤
335...본체링 335'...접촉링
336...걸림링 400...방향절환부
401...입구 402...출구
410...제1 절환 유닛 410'...절환유로
412...제1 절환공간 414...절환관
420...제1 절환 유닛 420', 420"...분기유로
421...제2 절환공간 422...피스톤봉
424, 424'...체크밸브 430...스위칭 유닛
440...스위칭 몸체 441...스위칭 통로
450...자동절환구 452...코일
454...이동자 456...제1 스프링
460...수동절환구 462...절환로드
463...핸들 464...수동절환공간
464'...제1 걸림공간 464"...제2 걸림공간
466...걸림편 468...제2 스프링
500...탱크 600...흡입 통로
601...제1 연결통로 602...제2 연결통로
603...제3 연결통로 610...제1 차단구
612...왕복공간 614...볼
616...스프링 700...토출 통로
701...연통 통로 702...제4 연결통로
703...제5 연결통로 710...제2 차단구
712...왕복공간 714...볼
716...스프링 720...제3 차단구
722...왕복공간 724...볼
726...스프링 800...릴리프밸브
900...유압 실린더 910...일측 포트
920...타측 포트
210...회동구 211...지지통
212...작동블럭 212'...작동축
213...접촉롤러 214...작동편
215...유격공간 216...스프링핀
217...레버 220...승강구
221...이동통 222...이동봉
223...실링재 225...오링
227...백업링 300...자동펌프
301...흡입포트 302...토출포트
310...회전구 311...지지통
312...축받이 블럭 312'...회전 공간
312"...왕복로 313...유동홈
314...편심축 319...오링
320...구동모터 321...고정블럭
322...축받이베어링 323...축받이와셔
324...구동축 330...흡입토출변환구
332...베어링 333...로드
333'...걸림체 334...피스톤
335...본체링 335'...접촉링
336...걸림링 400...방향절환부
401...입구 402...출구
410...제1 절환 유닛 410'...절환유로
412...제1 절환공간 414...절환관
420...제1 절환 유닛 420', 420"...분기유로
421...제2 절환공간 422...피스톤봉
424, 424'...체크밸브 430...스위칭 유닛
440...스위칭 몸체 441...스위칭 통로
450...자동절환구 452...코일
454...이동자 456...제1 스프링
460...수동절환구 462...절환로드
463...핸들 464...수동절환공간
464'...제1 걸림공간 464"...제2 걸림공간
466...걸림편 468...제2 스프링
500...탱크 600...흡입 통로
601...제1 연결통로 602...제2 연결통로
603...제3 연결통로 610...제1 차단구
612...왕복공간 614...볼
616...스프링 700...토출 통로
701...연통 통로 702...제4 연결통로
703...제5 연결통로 710...제2 차단구
712...왕복공간 714...볼
716...스프링 720...제3 차단구
722...왕복공간 724...볼
726...스프링 800...릴리프밸브
900...유압 실린더 910...일측 포트
920...타측 포트
Claims (15)
- 작동유가 수용되는 탱크가 마련된 본체;
반복하여 경사지게 회동하는 동작을 왕복 승강하는 동작으로 전환하면서 내부 공간의 확장에 따라 상기 작동유를 흡입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축소에 따라 상기 작동유를 토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수동펌프;
구동력으로 정, 역회전하면서 내부 공간의 일측이 확장하면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이 축소함에 따라 상기 작동유를 흡입하고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이 축소하면 상기 내부 공간의 타측이 확장함에 따라 상기 작동유를 토출하도록 상기 본체 내에서 방사상으로 출입하며 편심 회전하는 자동펌프; 및
상기 수동펌프 및 상기 자동펌프와 한 지점으로 연결된 일측과 상기 탱크와 연결된 타측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상기 작동유를 선택하여 흡입 또는 토출시키고 역류를 차단하는 방향절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펌프와 상기 자동펌프 및 상기 방향절환부는 상기 본체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작동유가 수용되는 상기 탱크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수동펌프의 흡입측과 상기 자동펌프의 흡입측을 상호 연결하는 흡입 통로와,
상기 흡입 통로와 별도로 상기 탱크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수동펌프의 토출측과 상기 자동펌프의 토출측을 상호 연결하는 토출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 통로는 상기 방향절환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것이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수동펌프의 흡입측으로 향하는 상기 흡입 통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수동펌프의 흡입측으로 향하는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1 차단구와,
상기 흡입 통로 상의 상기 제1 차단구를 통하여 연통되는 상기 토출 통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동펌프의 흡입측으로 향하는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 차단구와,
상기 토출 통로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펌프의 토출측으로부터 상기 방향절환부측으로 향하는 상기 작동유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3 차단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차단구와 상기 제2 차단구의 차단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인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펌프는,
상기 본체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일단부에 대하여 타단부가 경사를 이루며 왕복 이동하는 회동구와,
상기 회동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탱크의 작동유를 흡입하고, 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작동유를 상기 방향절환부측으로 토출시키는 승강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펌프의 흡입측과 토출축은 일치하며 상기 흡입 통로와 상기 토출 통로와 각각 연통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펌프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축결합되어 편심 회전하는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와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에 방사상으로 장착되고 상기 회전구의 편심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탱크로부터 상기 흡입 통로측으로 상기 작동유를 흡입하거나 상기 토출 통로측으로 상기 작동유를 토출하는 흡입토출변환구를 포함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절환부는,
상기 수동펌프 또는 상기 자동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작동유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탱크측으로 상기 작동유가 귀환하는 출구 사이의 절환유로를 왕복하는 제1 절환 유닛과,
상기 절환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유압 실린더의 일측 포트와 타측 포트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분기유로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상기 제1 절환 유닛의 왕복에 연동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의 작동방향을 변환하며 상기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제2 절환 유닛을 포함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토출 통로와 상기 탱크를 상호 연통하며 상기 방향절환부와 연결되는 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수동펌프 및 상기 자동펌프의 토출측으로부터 상기 작동유의 압력이 설정압 이상으로 가해지면 상기 탱크측으로 상기 작동유의 일부를 환원시키는 릴리프밸브가 더 포함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구는,
상기 탱크의 내부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흡입 통로 및 상기 토출 통로와 각각 연통되는 중공의 지지통과,
상기 지지통의 개방된 일측에 관통되어 정, 역회전하는 작동축에 결합되어 연동하는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블럭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통 내에서 회전 동작하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편의 결합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작동편과 일체로 회전하는 접촉롤러와,
상기 작동유가 흡입되거나 상기 방향절환부측으로 토출되게 상기 승강구가 승강하도록 상기 작동편의 단부와 상기 승강구의 단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릿이 형성되는 양단 관통의 중공인 스프링핀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핀이 관통되는 상기 승강구의 단부에는 상기 스프링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지닌 유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구가 하강할 때 상기 접촉롤러의 외주면이 상기 승강구의 단부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는,
상기 지지통으로부터 상기 흡입 통로 및 상기 토출 통로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공의 이동통과,
상기 작동편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이동통의 내면에 접촉하면서 왕복 이동하는 이동봉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편의 단부가 상기 탱크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유가 상기 이동봉의 단부와 상기 이동통 사이의 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작동편의 단부가 상기 흡입 통로 및 상기 토출 통로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작동유가 상기 이동봉의 단부와 상기 이동통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상기 방향절환부측으로 토출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환 유닛은,
상기 절환유로가 마련된 제1 절환공간과,
상기 제1 절환공간을 왕복하면서 상기 제1 절환공간에 연통된 상기 한 쌍의 분기유로 중 일측 또는 타측의 분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양단 관통의 절환관을 포함하며,
상기 절환관은 상기 출구와 상시 연통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절환관의 왕복에 따라 상기 일측의 분기유로 또는 상기 타측의 분기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환 유닛은,
상기 한 쌍의 분기유로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분기유로와 연통되는 제2 절환공간과,
상기 제2 절환공간을 왕복하는 피스톤봉과,
상기 제2 절환공간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봉의 양단을 탄성 지지하면서 상기 일측 포트와 상기 타측 포트측을 향하는 상기 일측 또는 타측의 분기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며 상기 작동유의 역류를 차단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관의 단부에는 상기 절환유로를 왕복하는 동작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환하는 스위칭 유닛이 장착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유닛은,
상기 절환유로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절환유로를 마감하며 내부에 상기 절환유로의 형성 방향을 따라 스위칭 통로가 형성되는 도전성의 스위칭 몸체와,
상기 스위칭 몸체에 장착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절환관을 왕복시키는 자동절환구와,
상기 스위칭 몸체에 장착되고 상기 절환유로의 형성방향을 따라 왕복하면서 상기 절환관을 연동하여 왕복시키는 수동절환구를 포함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환구는,
상기 스위칭 몸체의 외면에 복수회 권취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과,
상기 스위칭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위칭 통로를 따라 상기 코일의 기전력에 의하여 왕복하며 상기 절환관의 단부와 결합되는 이동자와,
상기 스위칭 통로에 내장되어 상기 이동자를 탄성 지지하는 제1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절환구는,
상기 스위칭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왕복하면서 상기 절환관의 단부에 접촉 또는 이격하는 절환로드와,
상기 절환로드를 정, 역회전 및 왕복 가능하게 상기 절환로드의 단부에 장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측의 상기 스위칭 몸체 내부에 상기 절환로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일측 내주면의 일부가 상기 절환로드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게 연장된 제1 걸림공간과, 타측 내주면의 일부가 상기 절환로드의 길이 방향에 직교되게 상기 제1 걸림공간과 반대측으로 연장된 제2 걸림공간이 이격된 수동절환공간과,
상기 수동절환공간을 왕복하며 상기 절환로드의 외주면에 편심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걸림공간 또는 상기 제2 걸림공간에 고정되는 걸림편과,
상기 절환로드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스위칭 통로측을 향해 장착되어 상기 걸림편을 탄성 지지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17971A KR101174467B1 (ko) | 2010-02-26 | 2010-02-26 |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17971A KR101174467B1 (ko) | 2010-02-26 | 2010-02-26 |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8383A KR20110098383A (ko) | 2011-09-01 |
KR101174467B1 true KR101174467B1 (ko) | 2012-08-24 |
Family
ID=44951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17971A KR101174467B1 (ko) | 2010-02-26 | 2010-02-26 |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44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488468B (zh) * | 2018-03-27 | 2024-06-28 |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集成化手动液压驱动装置 |
CN109764008B (zh) * | 2018-07-25 | 2024-07-19 | 谢彬 | 一种手自一体液压控制式液压扳手泵站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75764A (ja) * | 2008-05-13 | 2009-11-26 | Daiden Co Ltd | 方向切換弁装置 |
-
2010
- 2010-02-26 KR KR20100017971A patent/KR101174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75764A (ja) * | 2008-05-13 | 2009-11-26 | Daiden Co Ltd | 方向切換弁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8383A (ko) | 2011-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228092C (en) | Reciprocating machine | |
US20120111185A1 (en) | Compact Eccentric Radial Piston Hydraulic Machine | |
KR101174467B1 (ko) | 수동 및 자동겸용 오일펌프 모듈 | |
CN101270766B (zh) | 在重型设备行进过程中防止铲斗从铲斗支座分离的液压回路 | |
CN109416060B (zh) | 缸驱动装置 | |
JP4786638B2 (ja) | インナースコーピング油圧装置 | |
JP6894655B2 (ja) | グリースポンピング装置 | |
JP2021195926A (ja) | 斜板制御機構 | |
JPH05248349A (ja) | 可変容積式軸方向ピストン流体並進運動装置 | |
KR101155594B1 (ko) | 자동 오일펌프 모듈 | |
CN207421742U (zh) | 一种油脂泵 | |
JP5292200B2 (ja) | 油圧ポンプ装置 | |
JP4640357B2 (ja) | スラストピストンポンプ装置 | |
WO2019080698A1 (zh) | 油脂泵 | |
US6499968B2 (en) | Integral pump and control valve | |
JP6560992B2 (ja) | ピストン装置及び油圧機械 | |
JP4156771B2 (ja) | 流体圧駆動機構及び流体圧ポンプ | |
US10914326B2 (en) | Engine-driven oil pump | |
KR20000064677A (ko) | 유압시스템에서제1이동기의속도제어용제어밸브 | |
KR101691061B1 (ko) |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가변오일펌프 시스템 | |
KR20090056656A (ko) | 타이머가 구비된 밸브 | |
NO20200709A1 (no) | Sylinder, hydraulisk system, anleggsmaskin og fremgangsmåte | |
JP7429359B2 (ja) | 油圧ポンプ装置 | |
JP2020026815A (ja) | ポンプユニット | |
KR101462400B1 (ko) | 양방향 유압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