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901B1 - 한쌍의 헤더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헤더 커넥터 - Google Patents
한쌍의 헤더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헤더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0901B1 KR101160901B1 KR1020040089590A KR20040089590A KR101160901B1 KR 101160901 B1 KR101160901 B1 KR 101160901B1 KR 1020040089590 A KR1020040089590 A KR 1020040089590A KR 20040089590 A KR20040089590 A KR 20040089590A KR 101160901 B1 KR101160901 B1 KR 1011609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er
- contact
- connector
- mounting object
- contac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는, 헤더 하우징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납땜부의 박리 등을 방지하여 신호 접속의 기능을 확보하고, 헤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헤더 콘택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체 패턴(FP,SP)을 갖는 실장 대상물(B)의 표면에 실장되는 헤더 커넥터(100)에 설치되는 헤더 콘택트(110)이다. 이 헤더 콘택트(110)는, 상대측의 소켓 커넥터(200)의 소켓 콘택트(220)에 접촉하는 접촉부(112)와,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FP,SP)에 납땜되는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도 1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를 높이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를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를 제조하기 위해서 소정 형상으로 성형된 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를 헤더 커넥터에 맞붙였을 때의 위치 관계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높이방향을 향한 면으로 절단해서 높이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안길이 방향을 향한 면으로 절단해서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에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폭방향을 향한 면으로 절단해서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실장 대상물에 실장한 제 1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실장 대상물에 실장한 제 2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에 접속하는 소켓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에 소켓 커넥터를 접속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에 소켓 커넥터를 접속하고, 폭방향을 향한 면으로 절단해서 폭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에 소켓 커넥터를 접속하고, 안길이 방향을 향한 면으로 절단해서 안길이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 2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2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 3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헤더 하우징의 일부를 절단해서 중간의 헤더 콘택트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서, 헤더 콘택트와, 이 헤더 콘택트를 구비하고, 도체 패턴을 갖는 실장 대상물의 표면에 실장되는 헤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개 평10-308265호 공보는, 커넥터 하우징과, 일단을 커넥터 접속용 단자로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돌출시키고, 타단을 프린트 기판 접속용 단자로서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コ자 형상의 복수의 핀을 갖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를 이용하면, 핀을 프린트 기판에 실장하는 것만으로 커넥터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프린트 기판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장착이 용이하게 되고, 접속 개소의 삭감에 의해 실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10-308265호 공보의 기판 실장용 커넥터의 경우, 핀의 납땜부가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과 신호의 접속이라는 2가지의 기능을 발휘해야만 하므로, 기판 실장용 커넥터에 대하여 상대측의 소켓 커넥터를 삽입 또는 이탈시킬 때에 생기는 부하가 핀에 걸리면, 커넥터 하우징의 고정 개소임과 아울러 신호 접속 개소이기도 하는 핀의 납땜부에 부하가 걸리게 되고, 납땜부가 프린트 기판으로부터 박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생겨,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헤더 커넥터에 설치되는 헤더 콘택트에, 프린트 배선판 그 외의 실장 대상물의 도체 패턴에 납땜되는 부분을 2개소에 형성하여, 이 2개의 부분의 납땜부에 헤더 하우징의 고정과 신호의 접속이라는 2가지의 기능을 분담시키거나, 혹은 이 2개의 부분의 납땜부에 2가지의 기능을 분산하여 맡게 하여, 이것에 의해 헤더 하우징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납땜부의 박리 등을 방지하여 신호 접속의 기능을 확보하여, 헤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체 패턴을 갖는 실장 대상물의 표면에 실장되는 헤더 커넥터에 설치되는 헤더 콘택트로서, 이 헤더 콘택트는, 상대측의 소켓 커넥터의 소켓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실장 대상물의 도체 패턴에 납땜되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더 콘택트를 헤더 하우징에 설치하여 헤더 커넥터로 하고, 헤더 콘택트의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실장 대상물의 도체 패턴에 납땜하면, 헤더 커넥터는 실장 대상물에 실장된다. 또한, 헤더 커넥터에 소켓 커넥터를 삽입하면 헤더 콘택트의 접촉부가 소켓 콘택트에 접촉하고, 헤더 커넥터로부터 소켓 커넥터를 이탈시키면 헤더 콘택트는 소켓 콘택트로부터 분리된다. 그 경우, 제 1 접속부의 납땜부 및 제 2 접속부의 납땜부 중 어느 한쪽에 헤더 하우징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고, 다른쪽에 신호의 접속 기능을 발휘시키면, 소켓 커넥터를 삽입 또는 이탈시킬 때에 생기는 부하는 주로 전자의 납땜부에 걸리고, 후자의 납땜부에는 거의 걸리지 않는다. 또한, 제 1 접속부의 납땜부 및 제 2 접속부의 납땜부 각각에 헤더 하우징의 고정 기능과 신호의 접속 기능의 양쪽을 발휘시키면, 소켓 커넥터를 삽입 또는 이탈시킬 때에 생기는 부하는 제 1 접속부의 납땜부 및 제 2 접속부의 납땜부에 각각 분산해서 걸린다. 그 결과, 신호 접속의 기능이 확실히 확보되어, 헤더 커 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헤더 하우징에 보강 부재 등과 같이 헤더 콘택트와는 다른 부재를 설치하여 납땜하는 것은 아니므로, 부품점수가 늘 일이 없고, 제조공정의 간략화, 관리 공정수의 저감이 도모된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실장 대상물의 도체 패턴에 납땜되는 부분을 2개소에 형성하고, 이 2개의 부분의 납땜부에 헤더 하우징의 고정과 신호의 접속이라는 2가지의 기능을 분담시키거나, 혹은 이 2개의 부분의 납땜부에 2가지의 기능을 분산하여 맡게 하였으므로, 헤더 하우징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납땜부의 박리 등을 방지하여 신호 접속의 기능을 확보하여, 헤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 중 어느 한쪽을 실장 대상물의 고정용 도체 패턴에 납땜하고, 다른쪽을 실장 대상물의 신호용 도체 패턴에 납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실장 대상물의 고정용 도체 패턴에 납땜된 접속부에 있어서의 납땜부가 헤더 하우징의 고정 기능을 발휘하고, 실장 대상물의 신호용 도체 패턴에 납땜된 접속부에 있어서의 납땜부가 신호의 접속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소켓 커넥터를 삽입 또는 이탈시킬 때에 생기는 부하는 주로 한쪽의 접속부의 고정용 도체 패턴과의 납땜부에 걸리고, 다른쪽의 접속부의 신호용 도체 패턴과의 납땜부에는 거의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2개의 접속부의 납땜부에 헤더 하우징의 고정과 신호의 접속이라는 2가지의 기능을 분담시켰으므로, 헤더 하우징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신호 접 속의 기능을 확보하여 헤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실장 대상물의 신호용 도체 패턴에 납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접속부의 납땜부 및 제 2 접속부의 납땜부가 각각 헤더 하우징의 고정 기능과 신호의 접속 기능의 양쪽을 발휘한다. 또한, 소켓 커넥터를 삽입 또는 이탈시킬 때에 생기는 부하는 제 1 접속부의 납땜부 및 제 2 접속부의 납땜부에 각각 분산해서 걸린다.
따라서, 2개의 접속부의 납땜부에 헤더 하우징의 고정과 신호의 접속이라는 2가지의 기능을 분산해서 맡게 하였으므로, 헤더 하우징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신호 접속의 기능을 확보하여 헤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접촉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는, 이들의 선단이 실장 대상물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의 표면과 직교하게 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삼각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예컨대 2개의 헤더 콘택트를 헤더 하우징에, 실장 대상물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의 표면과 직교하게 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접촉부끼리가 접근하고 또한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가 헤더 하우징의 거의 네 구석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면, 헤더 콘택트에 의한 헤더 하우징의 고정 기능이 균형 좋게 발휘되어, 헤더 하우징의 실장 대상물에의 접속 강도가 더욱 안정된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소정 형상의 1장의 판을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고, 이 판의 직선형의 1개의 끝 가장자리의 끝면에 의해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에 있어서의 실장 대상물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에 있어서의 실장 대상물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이 공통의 평면 상에 위치하고, 소위 공평면도(共平面度) 혹은 평탄도가 향상하므로, 납땜부가 안정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헤더 커넥터는 헤더 하우징과, 이 헤더 하우징에 설치된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헤더 커넥터는 헤더 하우징과, 이 헤더 하우징에, 실장 대상물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설치된 3이상의 헤더 콘택트를 구비하고, 헤더 콘택트 중 양끝의 헤더 콘택트가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이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양끝의 헤더 콘택트에 의해 헤더 하우징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납땜부의 박리 등을 방지하여 신호 접속의 기능을 확보하여, 헤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양끝의 헤더 콘택트 사이의 헤더 콘택트의 접속부를 단일하게 함으로써 헤더 콘택트간의 피치를 좁게 할 수 있어, 헤더 커넥터가 콤팩트화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헤더 콘택트(110)를 나타낸다. 또한, 도 6 내지 도 10은, 이 헤더 콘택트(110)를 구비하여 도체 패턴을 갖는 실장 대상물(B)의 표면에 실장되는 헤더 커넥터(10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서로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상정하고, 이들의 방향 정하기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 2로 설명하면, 도면의 상하 방향이 안길이 방향이며, 도면의 상방이 안길이 방향의 안쪽, 하방이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이다. 또한, 도면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이 높이방향이며, 도면의 좌우 방향이 폭방향이다. 실장 대상물(B)은, 높이방향을 향한 면상의 표면을 가짐과 아울러 헤더 콘택트(110)의 접속 상대가 되는 도체 패턴을 갖는 물품이다. 이 실장 대상물(B)에는, 예컨대 프린트 배선판、 FFC(Flexible Fl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평형 유연 케이블, 전자기기의 하우징 등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프린트 배선판은, 회로 설계에 기초하여, 부품간을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도체 패턴을 절연 기판의 표면 또는 표면과 그 내부에 프린트에 의해 형성한 판을 말한다. 전자기기의 하우징의 경우, 예컨대 절연체의 표면에 도전성의 도금층을 형성하는 MID(Molded Interconnection Device)의 기술에 의해 도체가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이 실시예의 경우, 실장 대상물(B)은 프린트 배선판이며, 멀티 접속형 헤더 커넥터(100)는, 이 프린트 배선판인 실장 대상물(B)의 표면에 실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체 패턴 중 콘택트의 고정에 이용되는 것을 고정용 도체 패턴(FP)이라 하고, 신호 전송에 이용되는 것을 신호용 도체 패턴(SP)이라 한다.
헤더 콘택트(110)는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111)와, 이 본체(111)로부터 연장되어 상대측의 소켓 커넥터의 소켓 콘택트에 접촉하는 접촉부(112)와, 상기 본체(111)로부터 연장되어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 납땜되는 제 1 접속부(113)와, 이 본체(111)로부터 연장되어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 납땜되는 제 2 접속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헤더 콘택트(110)는 블레이드형이라 불리고, 접촉부(112)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켓 콘택트가 이 접촉부(112)의 두께방향의 한쪽 또는 양쪽의 끝면에 접촉압력에 의해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접촉부(112)는 판두께방향을 폭방향을 향해서 본체(111)의 폭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 1 접속부(113)는 본체(111)의 폭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의 높이방향의 일단에는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113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속부(114)는 본체(111)의 폭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의 높이방향의 일단에는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114a)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는 실장 대상물(B)의 표면의 도체 패턴에 납땜해도 좋고, 실장 대상물(B)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여 도체 패턴에 납땜해도 좋다. 이 구멍은 실장 대상물(B)을 관통할지의 여부에 상관없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부(112),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는, 이들의 선단이 실장 대상물(B)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B)의 표면과 직교하게 되는 방향(여기서는 높이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삼각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헤더 콘택트(1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 형상의 1장의 판을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고, 이 판에 의해 본체(111), 접촉부(112),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판의 직선형의 1개의 끝 가장자리의 끝면에 의해 제 1 접속부(113)에 있어서의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의 대 향면(113a)과, 제 2 접속부(114)에 있어서의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11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더 커넥터(100)는 헤더 하우징(120)과, 이 헤더 하우징(120)에 설치된 상기 헤더 콘택트(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더 하우징(120)은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헤더 콘택트(110)의 헤더 하우징(120)에의 설치는 일체적인 성형, 압입 그 외의 방법에 의해서 행해진다.
헤더 하우징(120)에는, 높이방향의 한쪽의 끝면인 표면(121)으로부터 다른쪽의 끝면인 이면(122)까지 관통하거나 또는 표면(121)으로부터 이면(122)을 향해 오목함과 아울러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측의 끝면까지 이르는 수용실(123)이 형성되어 있다. 헤더 하우징(120)은, 수용실(123)의 안길이 방향의 안쪽측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쪽벽(124)과, 안쪽벽(124)의 폭방향의 양끝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 연장되어 수용실(123)의 폭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12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헤더 하우징(120)은, 그 이면(122)이 실장 대상물(B)의 표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헤더 커넥터(100)에는 2개의 헤더 콘택트(110)가, 실장 대상물(B)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B)의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되는 방향(여기서는 폭방향)으로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헤더 콘택트(110)는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에 대해서 폭방향과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소위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헤더 콘택트(110)는, 실장 대상물(B)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B)의 표면과 직교하게 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접촉부(112)끼리가 접근하고 또한 2개의 제 1 접속부(113) 및 2개의 제 2 접속부(114)가 헤더 하우징(120)의 대략 네 구석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헤더 콘택트(110)는, 본체(111)가 헤더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촉부(112)가 헤더 하우징(120)의 수용실(123)에 노출됨과 아울러,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가 헤더 하우징(120)의 이면(122) 또는 그 둘레 가장자리에 노출되도록 헤더 하우징(12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본체(111)가 안쪽벽(124)의 내부에 설치되고, 접촉부(112)가 헤더 하우징(120)의 안쪽벽(124)으로부터 수용실(123)에 노출되고, 제 1 접속부(113)가 안쪽벽(124)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이 측벽(125)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2 접속부(114)가 안쪽벽(124)을 폭방향으로 관통하고나서 측벽(125)을 관통하고, 선단이 측벽(125)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는 납땜에 의해 실장 대상물(B)에 고정된다.
이 헤더 커넥터(100)를 실장 대상물(B)에 실장하는 형태에는 2종류가 있다. 하나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 중 어느 한쪽을 실장 대상물(B)의 고정용 도체 패턴(FP)에 납땜하고, 다른쪽을 실장 대상물(B)의 신호용 도체 패턴(SP)에 납땜하는 형태이다. 다른 하나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를 실장 대상물(B)의 신호용 도체 패턴(SP)에 납땜하는 형태이다. 어떠한 형태에서도, 제 1 접속부(113)와 도체 패턴 사이에는 땜납에 의해 납땜부(115)가 형성되고, 제 2 접속부(114)와 도체 패턴 사이에는 땜납에 의해 납땜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헤더 커넥터(100)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켓 커넥터(200)가 접속된다(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 이 소켓 커넥터(200)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된 소켓 하우징(210)과,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어 소켓 하우징(210)에 설치된 소켓 콘택트(220)를 구비하고 있다. 소켓 하우징(210)은, 높이방향의 일단에 헤더 하우징(120)의 수용실(123)에 높이방향을 따라 끼워맞춰지는 돌출부(211)를 갖고 있다. 소켓 콘택트(220)는 전선(W)에 접속되어 있고, 소켓 콘택트(220)는 헤더 콘택트(110)의 접촉부(112)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소켓 커넥터(200)의 경우, 돌출부(211)에는 수용실(123)에의 끼워맞춤시에 헤더 콘택트(110)의 접촉부(112)를 받아들이기 위한 삽입 끼워맞춤홈(212)이 형성되고, 이 삽입 끼워맞춤홈(212)에 소켓 콘택트(220)의 접촉부(221)가 설치되어 있다. 접촉부(221)는, 높이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선단이 헤더 콘택트(110)의 접촉부(112)의 판두께방향의 양 끝면에 접촉하도록 두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헤더 하우징(120)의 수용실(123)의 구성 벽과 소켓 하우징(210)의 돌출부(211)에는, 돌출부(211)가 수용실(123)에 끼워맞춰졌을 때에 끼워맞춤력을 높이는 록 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즉, 수용실(123)의 구성 벽에는 록부(126)로서 오목부가 형성되고, 돌출부(211)에는 록부(213)로서 돌기부가 형성되고, 돌출부(211)가 수용실(123)에 끼워맞춰졌을 때에 록부끼리가 가요성을 이용하여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돌출부(211)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수용실(123)의 구성 벽에 돌기부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 및 헤더 커넥터(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더 커넥터(100)를 실장 대상물(B)에 실장하고, 헤더 커넥터(100)에 소켓 커넥터(200)의 돌출부(211)를 삽입하면 헤더 콘택트(110)의 접촉부(112)가 소켓 콘택트(220)의 접촉부(221)에 접촉하고, 헤더 커넥터(100)로부터 소켓 커넥터(200)를 이탈시키면 헤더 콘택트(110)는 소켓 콘택트(220)로부터 분리된다. 그 경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 중 어느 한쪽을 실장 대상물(B)의 고정용 도체 패턴(FP)에 납땜하고, 다른쪽을 실장 대상물(B)의 신호용 도체 패턴(SP)에 납땜하면, 실장 대상물(B)의 고정용 도체 패턴(FP)에 납땜된 접속부에 있어서의 납땜부가 헤더 하우징(120)의 고정 기능을 발휘하고, 실장 대상물(B)의 신호용 도체 패턴(SP)에 납땜된 접속부에 있어서의 납땜부가 신호의 접속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소켓 커넥터(200)를 삽입 또는 이탈시킬 때에 생기는 부하는 주로 한쪽의 접속부의 고정용 도체 패턴(FP)과의 납땜부에 걸리고, 다른쪽의 접속부의 신호용 도체 패턴(SP)과의 납땜부에는 거의 걸리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를 실장 대상물(B)의 신호용 도체 패턴(SP)에 납땜하면, 제 1 접속부(113)의 납땜부(115) 및 제 2 접속부(114)의 납땜부(116)가 각각 헤더 하우징(120)의 고정 기능과 신호의 접속 기능의 양쪽을 발휘한다. 또한, 소켓 커넥터(200)를 삽입 또는 이탈시킬 때에 생기는 부하는 제 1 접속부(113)의 납땜부(115) 및 제 2 접속부(114)의 납땜부(116)에 각각 분산해서 걸린다. 그 결과, 납땜부(115,116)의 박리 등이 방지되어 신호 접속의 기능이 확보되어, 헤더 커넥터(100)의 전기적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헤더 하우징(120)에 보강 부재 등과 같이 헤더 콘택트(110)와는 다른 부재를 설치하여 납땜하 는 것은 아니므로, 부품점수가 늘 일이 없고, 제조공정의 간략화, 관리 공정수의 저감이 도모된다.
본 발명은 접촉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를, 이들의 선단이 실장 대상물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의 표면과 직교하게 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거의 직선 상에 배치한 헤더 콘택트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의 경우, 접촉부(112),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는, 이들의 선단이 실장 대상물(B)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B)의 표면과 직교하게 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삼각형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2개의 헤더 콘택트(110)를 헤더 하우징(120)에, 실장 대상물(B)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B)의 표면과 직교하게 되는 방향으로부터 바라봐서 접촉부(112)끼리가 접근하고 또한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가 헤더 하우징(120)의 대략 네 구석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면, 헤더 콘택트(110)에 의한 헤더 하우징(120)의 고정 기능이 균형 좋게 발휘되어, 헤더 하우징(120)의 실장 대상물(B)에의 접속 강도가 더욱 안정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 헤더 콘택트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의 경우, 소정 형상의 1장의 판을 구부려 형성되어 있고, 이 판의 직선형의 1개의 끝 가장자리의 끝면에 의해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에 있어서의 실장 대상물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113a,114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에 있어서의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113a,114a)이 공통의 평면 상에 위치하여, 소위 공평면도 혹은 평탄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납땜부(115,116)가 안정되게 형성된다.
다음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 헤더 커넥터(100)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헤더 콘택트(110)를 나타낸다. 또한, 도 18 및 도 19는, 이 헤더 콘택트(110)를 구비하여 실장 대상물(B)에 실장되는 헤더 커넥터(100)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의 경우, 제 1 접속부(113)는 본체(111)의 폭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었다. 또한, 이 제 1 접속부(113)는 헤더 하우징(120)의 안쪽벽(124)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선단이 측벽(125)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제 2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의 경우, 제 1 접속부(113)는 본체(111)의 폭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안쪽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접속부(113)는 헤더 하우징(120)의 안쪽벽(124)의 안길이 방향 안쪽측의 끝면으로부터 밖으로 나와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 1 접속부(113)의 선단의 높이방향의 일단에는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에의 대향면(113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 및 헤더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 및 헤더 커넥터(1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고, 작용 및 효과도 마찬가지이다. 제 1 접속부(113)의 돌출방향이 다르므로,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 및 헤더 커넥터(100)는 폭방향보다 안길이 방향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개소에 이용하는 것에 바람직하고, 제 2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 및 헤더 커넥터(100)는 안길이 방향보다 폭방향의 실장 면적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개소에 이용하는 것에 바람직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헤더 커넥터(100)를 나타낸다. 이 헤더 커넥터(100)에는 3이상의 헤더 콘택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 20은 헤더 콘택트가 6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헤더 커넥터의 극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중 양끝의 헤더 콘택트가 제 1 실시예의 헤더 커넥터(100)에 설치된 한쌍의 헤더 콘택트(110)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이 헤더 콘택트(110)는 본체(111), 접촉부(112),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를 구비하고 있지만, 그 이외의 중간의 헤더 콘택트(130)는 접속부가 단일이다. 즉, 중간의 헤더 콘택트(130)는, 본체(131)가 헤더 하우징(120)의 안쪽벽(124)의 내부에 설치되고, 본체(131)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 연장되는 접촉부(132)가 헤더 하우징(120)의 안쪽벽(124)으로부터 수용실(123)로 노출되고, 본체(131)로부터 연장되는 접속부(133)는 헤더 하우징(120)의 이면(122) 또는 그 둘레 가장자리에 노출되어 있다. 제 3 실시예의 양끝의 헤더 콘택트(110) 및 헤더 커넥터(100)에 있어서의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 및 헤더 커넥터(100)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고, 작용 및 효과도 마찬가지이다. 제 3 실시예와 같이 하면, 양끝의 헤더 콘택트(110)에 의해, 헤더 하우징(120)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납땜부(115,116)의 박리 등을 방지하여 신호 접속의 기능을 확보하여, 헤더 커넥터(100)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양끝의 헤더 콘택트(110)의 사이의 헤더 콘택트(130)의 접속부(133)를 단일하게 함으로써 헤더 콘택트간의 피치를 좁게 할 수 있어, 헤더 콘택트(100)를 콤팩트화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의 헤더 콘택트(110)는 본체(111)를 구비하고, 이 본체(111)로부터 접촉부(112),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가 연장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본체에 상당하는 부분을 가지지 않고, 접촉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헤더 콘택트의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접촉부, 제 1 접속부 및 제 2 접속부 중 어느 하나의 부분으로부터 다른 부분이 분기되어 있는 실시예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실장 대상물에 설치되는 헤더 커넥터에 설치되는 헤더 콘택트이면 좋고,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헤더 콘택트(110)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는 블레이드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헤더 하우징(120)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헤더 커넥터가 구비하는 헤더 하우징의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헤더 커넥터에 설치되는 헤더 콘택트의 수는, 이상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단극의 헤더 커넥터의 실시예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의 특징을 조합시킨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헤더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헤더 커넥터에 의하면 헤더 하우징의 고정을 확실하게 행하면서, 납땜부의 박리 등을 방지하여 신호 접속의 기능을 확보하여, 헤더 커넥터의 전기적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14)
- 도체 패턴(FP,SP)을 갖는 실장 대상물(B)의 표면에 실장되는 헤더 커넥터(100)에 설치되는 한쌍의 헤더 콘택트(110)로서,서로 직교하는 안길이 방향, 폭방향, 및 높이방향을 상정할 때, 이들 헤더 콘택트(110)는 안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에 대해 폭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각 헤더 콘택트(110)는,본체(111)와,본체(111)로부터 연장되어 상대측의 소켓 커넥터(200)의 소켓 콘택트(220)에 접촉하는 접촉부(112)와,본체(111)로부터 연장되어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FP,SP)에 납땜되는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를 구비하고,접촉부(112)는 판두께방향을 폭방향으로 향하게 해서 본체(111)의 폭방향의 일단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 향해 연장되어 있고,제 1 접속부(113)는 본체(111)의 폭방향의 타단으로부터 폭방향으로 또는 안길이 방향의 안쪽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의 높이방향의 일단에는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FP,SP)에의 대향면(113a)이 형성되어 있고,제 2 접속부(114)는 본체(111)의 폭방향의 타단으로부터 안길이 방향의 바로앞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의 높이방향의 일단에는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FP,SP)에의 대향면(114a)이 형성되어 있고,이것에 의해 제 1 접속부(113)의 대향면(113a)의 전면(全面) 및 제 2 접속부(114)의 대향면(114a)의 전면(全面)과 접촉부(112)가 폭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제 1 접속부(113)의 대향면(113a)의 전면(全面)과 제 2 접속부(114)의 대향면(114a)의 전면(全面)이 안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접촉부(112),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는, 이들의 선단이 높이방향으로부터 보아 삼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헤더 콘택트.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헤더 콘택트에 있어서,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 중 어느 한쪽을 실장 대상물(B)의 고정용 도체 패턴(FP)에 납땜하고, 다른쪽을 실장 대상물(B)의 신호용 도체 패턴(SP)에 납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헤더 콘택트.
-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헤더 콘택트에 있어서,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를 실장 대상물(B)의 신호용 도체 패턴(SP)에 납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헤더 콘택트.
- 삭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헤더 콘택트는 소정 형상의 1장의 판을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고,이 판의 직선형의 한쪽의 끝 가장자리의 단면에 의해 제 1 접속부(113) 및 제 2 접속부(114)에 있어서의 실장 대상물(B)의 도체 패턴(FP,SP)에의 대향면(113a,114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쌍의 헤더 콘택트.
- 삭제
- 헤더 하우징(120)과, 이 헤더 하우징(120)에 설치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한쌍의 헤더 콘택트(1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커넥터.
- 삭제
- 헤더 하우징(120)과, 이 헤더 하우징(120)에 설치된 제5항에 기재된 한쌍의 헤더 콘택트(1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커넥터.
- 삭제
- 헤더 하우징(120)과, 이 헤더 하우징(120)에, 실장 대상물(B)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B)의 표면과 평행하게 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설치된 3이상의 헤더 콘택트(110)를 구비하고, 헤더 콘택트(110) 중 양끝의 헤더 콘택트(110)가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한쌍의 헤더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커넥터.
- 삭제
- 헤더 하우징(120)과, 이 헤더 하우징(120)에, 실장 대상물(B)에의 실장시에 실장 대상물(B)의 표면과 평행하게 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설치된 3이상의 헤더 콘택트(110)를 구비하고, 헤더 콘택트(110) 중 양끝의 헤더 콘택트(110)가 제5항에 기재된 한쌍의 헤더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커넥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79197 | 2003-11-07 | ||
JPJP-P-2003-00379197 | 2003-11-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4268A KR20050044268A (ko) | 2005-05-12 |
KR101160901B1 true KR101160901B1 (ko) | 2012-07-20 |
Family
ID=3443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9590A KR101160901B1 (ko) | 2003-11-07 | 2004-11-05 | 한쌍의 헤더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헤더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1530261A3 (ko) |
KR (1) | KR101160901B1 (ko) |
CN (1) | CN1614823B (ko) |
TW (1) | TW20052775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68332B2 (ja) * | 2010-02-22 | 2014-08-06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98167A (en) * | 1994-04-13 | 1996-03-12 | Molex Incorporated | Board to board electrical connectors |
DE19600966C2 (de) * | 1996-01-12 | 2000-09-07 | Siemens Ag | Kontaktfeder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s Bauteils |
JPH09283194A (ja) * | 1996-04-09 | 1997-10-31 |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 基板接続用コネクタ |
FR2752097B1 (fr) * | 1996-08-02 | 1998-08-28 | Framatome Connectors Int | Ensemble de connecteur et element de contact de puissance |
FR2766630B1 (fr) * | 1997-07-25 | 2002-11-29 | Proner Comatel Sa | Connecteur electrique |
DE29912210U1 (de) * | 1999-07-13 | 1999-09-16 | Leopold Kostal GmbH & Co KG, 58507 Lüdenscheid | Elektrische Steckverbinderanordnung |
AUPR215300A0 (en) * | 2000-12-18 | 2001-01-25 | Mayer, Alexander | Angle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
-
2004
- 2004-10-21 TW TW093131998A patent/TW200527758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1-05 EP EP04256883A patent/EP1530261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11-05 KR KR1020040089590A patent/KR10116090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1-05 CN CN2004100886292A patent/CN161482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614823B (zh) | 2010-12-29 |
EP1530261A3 (en) | 2006-02-08 |
TW200527758A (en) | 2005-08-16 |
KR20050044268A (ko) | 2005-05-12 |
EP1530261A2 (en) | 2005-05-11 |
TWI339921B (ko) | 2011-04-01 |
CN1614823A (zh) | 2005-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90060B2 (ja) | コネクタ | |
EP1505695B1 (en) | Electrical connector improving both functions of magnetic shielding and ground connection | |
KR20080034853A (ko) | 전기 상호 연결 시스템 | |
WO2009082490A1 (en) | Cable connector | |
CN111146630B (zh) | 连接器和连接器组件 | |
JP2006236657A (ja) | コネクタ装置 | |
US11233345B2 (en) | Safe, robust, compact connector | |
KR101042120B1 (ko) | 전기 커넥터 | |
JP4675200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4707610B2 (ja)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US7985080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uxiliary hold-down arrangement | |
JP2023001183A (ja) | 金具、金具付き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JP4022354B2 (ja) | 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嵌合検知構造 | |
JP4498890B2 (ja) | 一対のヘッダー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ダーコネクタ | |
KR101160901B1 (ko) | 한쌍의 헤더 콘택트 및 이것을 이용한 헤더 커넥터 | |
US11462851B2 (en) | Machine case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 |
US6475031B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retention devices | |
JP3128568B2 (ja) | 電気コネクタの実装構造及びその実装に用いる治具 | |
KR100387532B1 (ko) | 소켓 커넥터 | |
JP7562768B2 (ja) | コネクタ | |
JP2981829B2 (ja) | 可撓導通部材用コネクタ | |
JPH08203624A (ja) | 電気コネクタ | |
JP2842814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2003036907A (ja) | 基板実装コネクタ | |
WO2014002889A1 (ja) | フレキシブル集約配線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