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685B1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4685B1 KR101154685B1 KR1020100057103A KR20100057103A KR101154685B1 KR 101154685 B1 KR101154685 B1 KR 101154685B1 KR 1020100057103 A KR1020100057103 A KR 1020100057103A KR 20100057103 A KR20100057103 A KR 20100057103A KR 101154685 B1 KR101154685 B1 KR 1011546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ttachment member
- attachment
- male
- fastener
- he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 F16B19/1027—Multi-part rivets
- F16B19/1036—Blind rivets
- F16B19/1081—Blind rivets fastened by a drive-p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8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the shank of the stud, pin or spigot having elevations, ribs, fins or prongs intended for deformation or tilting predominant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inse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요동이 없고 또한 빠지지 않게 부착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고정구는, 암부재(11)에 수부재(21)를 삽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11)에 형성된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부착부재(41)와 피부착부재(42)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암부재(11)는 적어도 삽입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12)와, 플랜지부(1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113)와,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114,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부재(21)는 적어도 머리부(211)와 축부(212)와 다리부(214,214')로 구성되어 있다. 수부재(21)에는 상기 머리부(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212)의 하단부는, 축부(212)가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었을 때에 통형상부(133)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릴 수 있는 원통형상의 원통부(213)로 할 수 있다. 다리부(214,214')에는 걸어맞춤부(217,217)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를 협지하였을 때에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고정구는, 암부재(11)에 수부재(21)를 삽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11)에 형성된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부착부재(41)와 피부착부재(42)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암부재(11)는 적어도 삽입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12)와, 플랜지부(1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113)와,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114,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부재(21)는 적어도 머리부(211)와 축부(212)와 다리부(214,214')로 구성되어 있다. 수부재(21)에는 상기 머리부(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212)의 하단부는, 축부(212)가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었을 때에 통형상부(133)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릴 수 있는 원통형상의 원통부(213)로 할 수 있다. 다리부(214,214')에는 걸어맞춤부(217,217)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를 협지하였을 때에 요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원터치로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에 관계없이 요동이 없고 또한 빠지지 않게 부착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해제시에 공구를 전혀 사용하는 일 없이 해제할 수 있는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6-40428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의 고정구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6(C)는 상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있어서, 푸시 리벳(고정구)은 리벳 본체(암부재)(61)와 핀(수부재)(6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벳 본체(61)는 플랜지(611)와 통형상부(612)와 슬릿(61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핀(62)은 머리부(621)와 축부(622)와 드라이버 홈(6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랜지(611)와 머리부(621)의 사이에 공구 삽입홈(6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 리벳은, 상기 핀(62)이 상기 리벳 본체(61)의 플랜지(611) 측에서 삽입됨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612)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또, 상기 리벳 본체(61)와 상기 핀(62)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경우에는, 드라이버(625)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공구 삽입홈(624)에 삽입하고서 상기 리벳 본체(61)에서 핀(62)을 끌어 올림에 의해서 해제하도록 하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푸시 리벳은 리벳 본체와 핀의 탄성에 의해서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부착하고 있었다. 상기 푸시 리벳은, 이것을 재차 이용할 때에 부재 자체가 헐거워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빠져 버리는 일이 있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푸시 리벳은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가 얇은 경우에 부착구멍에서 요동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푸시 리벳은 상기 리벳 본체와 상기 핀의 걸어맞춤을 해제할 경우에 공구를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해제하여야만 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가 얇다 하더라도 부착구멍에서 요동이 없고, 또한 수부재 및 암부재가 빠지는 일이 없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에서 요동이 없고, 또한 빠지는 일이 없음과 아울러, 상기 암부재에서 상기 수부재를 해제할 때에 특별한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발명》
본 발명의 고정구는,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는 암부재와: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짐과 아울러 상기 통형상부의 슬릿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된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는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는 수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의 삽입구멍에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려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다리부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슬릿의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선단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
제 3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가 상기 머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로 끼워져 들어감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떼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
제 4 발명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또는 플랜지부에는 적어도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암부재에 있어서의 탄성이 풍부한 통형상부의 외측으로의 벌어짐 및 수부재에 있어서의 다리부가 통형상부의 슬릿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요동이 없으며, 또 수부재 및 암부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수부재와 암부재가 반송 중에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일체로 하기 위한 임시고정 돌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를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수부재의 머리부를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조립을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머리부의 하부에 조작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부를 집듯이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구에 의하면, 조작부를 쐐기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플랜지부의 일부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간단하게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를 용이하게 떼어 놓을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상면도, 도 1(D)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제 1 실시형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상면도
도 3(A)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떨어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3(B)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일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3(C)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완전히 걸어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암부재와 수부재에 의해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제 2 실시형태)
도 6(A) 및 도 6(B)는 종래예에 관한 고정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6(C)는 상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상면도
도 3(A)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떨어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3(B)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일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3(C)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완전히 걸어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암부재와 수부재에 의해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제 2 실시형태)
도 6(A) 및 도 6(B)는 종래예에 관한 고정구의 일부 단면 정면도, 도 6(C)는 상면도
《제 1 발명》
제 1 발명의 고정구는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양자를 서로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는, 암부재에 수부재를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에 형성된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암부재는 적어도 삽입구멍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통형상부와, 상기 통형상부에 형성된 대략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은 후술하는 다리부 및 슬라이드 볼록부를 삽입할 수 있는 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 및 수부재는 예를 들면 금형을 이용하여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부재에 의해서 성형된다.
상기 수부재는 적어도 머리부와 축부와 다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에는 상기 머리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는 상기 암부재의 상기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는 1쌍의 다리부와 1쌍의 슬라이드 볼록부와, 하단부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리는 원통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다리부는 축부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 근방에는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후술하는 조작부를 누름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암부재에서 수부재를 빠지기 쉽게 하는 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상기 다리부에서 완만하게 돌출된 돌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는 두꺼운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를 협지하였을 때에 요동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를 부착할 경우, 상기 수부재를 상기 암부재의 삽입구멍에 압입한다. 상기 복수의 슬릿을 구비한 통형상부는 상기 수부재의 삽입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된다. 또, 상기 다리부는 상기 통형상부의 슬릿을 통해서 그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부착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수부재의 다리부가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두께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요동이 없으며, 또 수부재 및 암부재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가 얇은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부 상에 걸어맞춰지고, 두꺼운 경우에는 상기 걸어맞춤부의 경사부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가 다르더라도 요동 없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등에 의해서 금형으로 성형한 후, 상기 수부재를 암부재에 삽입한다. 상기 수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슬라이드 볼록부에 형성된 임시고정 돌기를 상기 암부재의 플랜지부에 걸어맞춘 상태로 조립하여 공장에서 반송된다.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는 반송 중에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일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를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의 부착구멍에 삽입한 후, 상기 수부재의 머리부를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부착부재와 피부착부재가 서로 부착되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부재 및 암부재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리부와 슬라이드 볼록부를 슬릿 및 슬라이드 홈에 안정하게 또한 신속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 2 발명》
제 2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수부재에 형성된 상기 다리부의 선단에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의 선단은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머리부의 하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1쌍의 조작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내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춰져 있던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상기 조작부를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를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암부재의 통형상부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와의 걸어맞춤을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또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
제 3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조작부가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암부재의 플랜지부에 상기 조작부가 출입할 수 있는 조작부 삽입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를 집듯이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머리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사이에 형성된 조작부 삽입 오목부 내로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암부재와 수부재를 떼어 놓을 수 있다. 상기 고정구에서는 상기 조작부를 쐐기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부를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간단하게 상기 수부재와 암부재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제 4 발명》
제 4 발명의 고정구는, 상기 조작부 또는 플랜지부 중 적어도 일측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조작부의 하부 또는 플랜지부에 있어서의 조작부 삽입 오목부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경사부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서 수부재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끌어 올릴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정구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에 형성된 부착구멍(43)에 삽입되어 이들 부착부재(41)와 피부착부재(42)를 서로 부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는 자동차의 내장부 등에 사용되며, 그 외 항공기, 철도 혹은 주택 설비 등의 내장에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정구는 어패럴 분야의 버클, 배관 고정, 배송박스의 로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암부재(11)(도 1 참조)와 수부재(21)(도 2 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11) 및 수부재(21)는 예를 들면 금형을 이용하여 합성수지부재에 의해서 성형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시고정된 암부재(11)와 수부재(21)를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수부재(21)를 상기 암부재(11)의 삽입구멍(111) 내로 압입하면, 대략 십자형상으로 형성된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의 협동에 의해서 상기 수부재(21)의 축부(212)가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림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와 상기 피부착부재(42)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암부재의 상면도이고, 도 1(D)는 도 1(C)의 A-A선 단면도이다.
상기 암부재(11)는 도 1(A) 내지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삽입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플랜지부(112)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통형상부(113)와, 상기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부(113)는 그 하부가 상기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의해서 복수 부분(본 실시형태에서는 4부분)으로 분리되고, 그 상부가 플랜지부(112)의 하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12)에는 그 상부에 후술하는 수부재(21)의 머리부(211)가 끼워맞춰지는 머리부 삽입 오목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랜지부(112)에는 후술하는 조작부(215)가 끼워맞춰지는, 상기 머리부 삽입 오목부(115)보다도 깊이가 깊은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수부재의 상면도이다.
상기 수부재(21)는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머리부(211)와 축부(212)와 다리부(214,214')와 슬라이드 볼록부(219,2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부(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축부(212)는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며, 상기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린다. 상기 슬라이드 볼록부(219,219')는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18)에 안내되어 삽입되며, 제 1 임시고정 돌기(220,220') 및 제 2 임시고정 돌기(221,221')에 의해서 후술하는 걸어맞춤부(217,217')와 함께 암부재(11)와 수부재(21)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축부(212)의 하단부에는, 상기 축부(212)가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통형상부(133)의 하부를 외측으로 벌릴 수 있는 대략 원통형상의 원통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213)는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를 상기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의해서 확실하게 벌릴 수 있다. 또, 상기 다리부(214,214') 및 상기 슬라이드 볼록부(219,219')는 그 단면이 십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암부재(11)의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에 곧게 삽입된다.
또, 상기 축부(212)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지는 1쌍의 다리부(214,214')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다리부(214,214')의 중간부 근방에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과 아울러 조작부(215,215')를 집는 듯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상기 암부재(11)에서 수부재(21)를 빠지기 쉽게 하는 걸어맞춤부(217,21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다리부(214,214')는 상기 걸어맞춤부(217,217')가 탄성을 갖도록 하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부(217,217')는 상기 다리부(214,214')에서 완만하게 돌출된 돌기로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14,214')에 형성된 걸어맞춤부(217,217')는 비교적 두꺼운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를 협지하였을 때에 요동이 없도록 경사를 가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214,214')에 있어서의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에 위치하는 선단에는 1쌍의 조작부(215,2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214,214')의 선단은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머리부(211)의 하면을 따라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된 1쌍의 조작부(215,215')가 일체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21)에 있어서는,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15,215')를 집듯이 내부 방향으로 누름조작함으로써 걸어맞춤부(217,217')와 걸어맞춰져 있던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이 완화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부(217,217')의 경사가 찌부러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이 용이하게 해제된다. 상기 조작부(215,215')를 집듯이 내부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다리부(214,214')를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외측으로 벌어진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을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또 상기 수부재(21)와 암부재(11)와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구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부(215,215')의 형상이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로 향해서 경사져 있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암부재(11)의 플랜지부(112)에는 상기 조작부(215,215')가 출입할 수 있는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가 머리부 삽입 오목부(11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215,215')가 이것을 집듯이 누르는 누름조작만에 의해서 상기 머리부(211)와 상기 플랜지부(112)의 사이에 형성된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 내로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상기 암부재(11)와 수부재(21)를 떼어 놓을 수 있다.
상기 고정구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부(215,215') 또는 플랜지부(112) 중 적어도 일측에 경사부(117){도 1(B)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117)는 상기 조작부(215,215')의 하부 또는 플랜지부(112)에 있어서의 조작부 삽입 오목부(116)의 선단부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15,215')는 상기 경사부(117)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서 수부재(21)를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끌어 올릴 수 있다.
도 3(A)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떨어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3(B)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일부 걸어맞춰져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3(C)는 암부재와 수부재가 완전히 걸어맞춰진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3(A)에 있어서, 암부재(11)와 수부재(21)는 각각 다른 금형에 의해서 성형되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B)에 있어서, 상기 암부재(11)는 상기 수부재(21)가 일부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수부재(21)의 걸어맞춤부(217,217')가 암부재(11)의 플랜지부(112)의 하부에 걸어맞춰져 있다. 상기 암부재(11) 및 수부재(21)는 상기 플랜지부(112)에 대한 걸어맞춤부(217,217')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2개의 부품이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항상 1쌍의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3(C)에 있어서, 상기 수부재(21)는 그 머리부(211)를 하부로 눌러 내림으로써 암부재(11)의 삽입구멍(111)에 압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암부재와 수부재에 의해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를 부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에 암부재(11)와 수부재(21)가 임시고정된 고정구를 삽입한 후,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 내로 수부재(21)의 축부(212)를 압입한다. 상기 암부재(11)에 있어서의 복수의 슬릿(114) 및 슬라이드 홈(118)을 구비한 통형상부(113)는 상기 수부재(21)의 축부(212)의 삽입에 의해서 외측으로 벌어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된다. 또, 상기 다리부(214)는 상기 통형상부(113)의 슬릿(114)을 통해서 그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와 피부착부재(42)가 부착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수부재(21)의 다리부(214)가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두께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요동이 없으며, 또 수부재(21) 및 암부재(11)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고정구는 암부재(51)와 수부재(52)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등에 의해서 금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암부재(51) 및 수부재(52)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거의 같은 형상의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수부재(52)는 다리부(523)에 조작부가 없는 점에서 상기한 실시형태와 다르다. 상기 고정구는 떼어낼 필요가 없는 경우이며, 조작부의 부분이 없다. 상기 다리부(523)는 걸어맞춤부(524)에 의해서 부착부재 및 피부착부재가 부착되는 형상이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의 설계변경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정구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의해서 각부의 형상 및 치수를 일부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본 발명의 고정구는 사용 장소에 따라서 다른 공지 또는 주지의 재료를 이용하여 탄성 등을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11 - 암부재 111 - 삽입구멍
112 - 플랜지부 113 - 통형상부
114 - 슬릿 115 - 머리부 삽입 오목부
116 - 조작부 삽입 오목부 117 - 경사부
21 - 수부재 211 - 머리부
212 - 축부 213 - 원통부
214,214' - 다리부 15,215' - 조작부
217,217' - 걸어맞춤부 41 - 부착부재
42 - 피부착부재 43 - 부착구멍
112 - 플랜지부 113 - 통형상부
114 - 슬릿 115 - 머리부 삽입 오목부
116 - 조작부 삽입 오목부 117 - 경사부
21 - 수부재 211 - 머리부
212 - 축부 213 - 원통부
214,214' - 다리부 15,215' - 조작부
217,217' - 걸어맞춤부 41 - 부착부재
42 - 피부착부재 43 - 부착구멍
Claims (4)
- 삽입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112)와, 상기 플랜지부(11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113)와, 상기 통형상부(113)에 형성된 복수의 슬릿(114,114)으로 구성되어 있는 암부재(11)와:
머리부(211)와, 상기 머리부(21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암부재(11)의 통형상부(113)에 삽입되어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리는 축부(212)와, 상기 축부(212)의 하부에서 상부로 향해서 형성되되 외측으로 벌어짐과 아울러 상기 통형상부(113)의 슬릿(114,114)을 통해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부(217,217')를 구비하고 있는 다리부(214,214')로 구성되어 있는 수부재(21);를 구비하며,
상기 수부재(21)를 상기 암부재(11)의 삽입구멍(111)에 압입함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부(113)를 외측으로 벌려서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맞닿게 하여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다리부(214,214')의 걸어맞춤부(217,217')를 상기 슬릿(114,114)의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의 부착구멍(43)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14,214')의 선단은 상기 머리부(211)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향해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부착부재(41) 및 피부착부재(42)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215,2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15,215')는 쐐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215,215')가 상기 머리부(211)와 상기 플랜지부(112)의 사이로 끼워져 들어감에 의해서 상기 암부재(11)와 수부재(21)를 떼어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215,215') 또는 플랜지부(112)에는 적어도 일측에 경사부(1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47576 | 2009-06-22 | ||
JP2009147576A JP5360480B2 (ja) | 2009-06-22 | 2009-06-22 | 留め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7371A KR20100137371A (ko) | 2010-12-30 |
KR101154685B1 true KR101154685B1 (ko) | 2012-06-08 |
Family
ID=43386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7103A KR101154685B1 (ko) | 2009-06-22 | 2010-06-16 | 고정구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360480B2 (ko) |
KR (1) | KR101154685B1 (ko) |
CN (1) | CN102459931B (ko) |
WO (1) | WO201015063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36566B2 (ja) * | 2011-05-16 | 2014-12-10 | トヨタ車体株式会社 | 車両のインレット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
CN102815316A (zh) * | 2012-08-22 | 2012-12-12 | 北京二七轨道交通装备有限责任公司 | 磨耗板及转向架 |
JP5968935B2 (ja) * | 2014-03-17 | 2016-08-10 | 中国電力株式会社 | 電線用クランプカバー |
WO2016171110A1 (ja) * | 2015-04-20 | 2016-10-27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部品取付具 |
CN106015218A (zh) * | 2016-06-22 | 2016-10-12 | 柳州市瑞日信息科技有限公司 | 主板安装钉 |
WO2019038990A1 (ja) * | 2017-08-24 | 2019-02-28 | 株式会社ニフコ | クリップ |
KR102022993B1 (ko) * | 2019-05-02 | 2019-09-19 | 최광수 | 초음파 접합장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9131A (ja) | 2000-07-21 | 2002-02-06 | Nifco Inc | 部品の取付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8944B (zh) * | 1985-08-14 | 1992-11-04 | 柯特·诺德斯特龙 | 自钻孔空心铆钉 |
JP2727454B2 (ja) * | 1988-06-28 | 1998-03-11 | 株式会社ニフコ | 板の結合クリップ |
JPH0222409U (ko) * | 1988-07-29 | 1990-02-14 | ||
JP2509814Y2 (ja) * | 1991-02-06 | 1996-09-04 | 株式会社ニフコ | 留め具 |
JPH0581516U (ja) * | 1992-04-03 | 1993-11-05 |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 クリップ |
JP2599725Y2 (ja) * | 1993-03-10 | 1999-09-20 |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 クリップ |
CN2285846Y (zh) * | 1995-12-10 | 1998-07-08 | 许越男 | 膨胀钉 |
JP3768295B2 (ja) * | 1996-07-16 | 2006-04-19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ファスナ |
CN2447555Y (zh) * | 2000-09-11 | 2001-09-12 | 赖五长 | 铆钉 |
-
2009
- 2009-06-22 JP JP2009147576A patent/JP536048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6-03 WO PCT/JP2010/059413 patent/WO2010150631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6-03 CN CN201080027750.8A patent/CN10245993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6-16 KR KR1020100057103A patent/KR1011546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9131A (ja) | 2000-07-21 | 2002-02-06 | Nifco Inc | 部品の取付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7371A (ko) | 2010-12-30 |
JP2011002076A (ja) | 2011-01-06 |
CN102459931B (zh) | 2013-12-25 |
WO2010150631A1 (ja) | 2010-12-29 |
CN102459931A (zh) | 2012-05-16 |
JP5360480B2 (ja) | 2013-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4685B1 (ko) | 고정구 | |
JP6502929B2 (ja) | 押込み締結具 | |
US20050152765A1 (en) | Fastener for panels or the like | |
WO2010038308A1 (ja) | バックル | |
KR20120099427A (ko) | 푸시인 패스너 조립체 | |
SE530254C2 (sv) | Zlide On | |
JPH0629428U (ja) | 係止具 | |
JP2004156722A (ja) | 本留め用の雄パーツを有する連結具 | |
JP2008281169A (ja) | 保持具 | |
JP6764883B2 (ja) | バックル | |
JP5324443B2 (ja) | ブラインドマウント用留め具 | |
JP5976844B2 (ja) | 連結具 | |
US20100158632A1 (en) | Fastener | |
JP2010112508A (ja) | 押込みタイプの固定具 | |
EP2489887B1 (en) | Attachment structure and attachment tool | |
WO2019186966A1 (ja) |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開き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スライドファスナー | |
US20050152764A1 (en) | Fastener | |
CN111150180B (zh) | 拉链用连结件 | |
JPH06237805A (ja) | バックル | |
JP5147792B2 (ja) | 留め具 | |
EP2282067A1 (en) | Connecting fitting | |
JPH10274222A (ja) | 軸体操作用ハンドル | |
CN103620238B (zh) | 卡夹 | |
JP4021549B2 (ja) | 雄留め具 | |
JPS6318815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