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43235B1 -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235B1
KR101143235B1 KR1020067007967A KR20067007967A KR101143235B1 KR 101143235 B1 KR101143235 B1 KR 101143235B1 KR 1020067007967 A KR1020067007967 A KR 1020067007967A KR 20067007967 A KR20067007967 A KR 20067007967A KR 101143235 B1 KR101143235 B1 KR 101143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cid
hair growth
unsubstitute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884A (ko
Inventor
스미 카네다
노부야스 사토
마사토시 하세가와
마사히로 모토노
Original Assignee
샨쇼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샨쇼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샨쇼세이야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23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를 지니는 동시에 우수한 저온에서의 우수한 안정화 효과를 지니며, 또한 끈적거림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은, (A)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상기 지방산의 유도체,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 및 상기 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B)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6-벤질아미노퓨린 및/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모발 성장촉진제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에탄올 또는 수성 에탄올 제제로서, (C)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 및 (D)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9049376013-pct00015
(식(I) 중,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2의 알킬기, 고리식 탄화수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2의 알케닐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아랄킬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스티릴기, 알킬아미노기, 고리식 탄화수소기를 지닌 아미노기, 알케닐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벤질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에틸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기, 피리딜아미노기, 피리딜메틸아미노기, 피롤릴메틸아미노기, 옥사졸릴메틸아미노기, 이미다졸릴메틸아미노기, 피리다졸릴메틸아미노기, 나프틸아미노기 또는 나프틸메틸아미노기이고, R2는 수소원자, 5탄당 또는 6탄당임).

Description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HAIR GROWTH PROMOTOR COMPOSITION}
본 발명은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의 용해제를 함유함으로써, 제제의 용해안정성을 향상시켜, 유효성분에 의한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유효하게 발휘시키는 모발 성장 촉진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피부의 노화방지 효과 및 두피에 외용하는 것에 의한 세포의 부활화를 목적으로 한 외용제로서 6-벤질아미노퓨린(6-벤질아데닌) 및 그의 유도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제 1993-320028호 공보(청구범위, 실시예 등) 참조). 또, 6-벤질아미노퓨린 및 그의 유도체와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를 병용함으로써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제 1995-233037호 공보(청구범위, 실시예 등) 참조).
또한,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및 그의 유도체를 용해시키는 데 HLB(hydrophilic-lipophilic balance)값이 10 이하인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효과적인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제 1990-37886호 공보(청구범위, 실시예 등) 참조).
한편, 6-벤질아미노퓨린의 용해제로서 다가 알코올이 효과적인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 제 1998-72321호 공보(청구범위, 실시예 등) 참조).
그러나, 6-벤질아미노퓨린 및 그 유도체에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공존하는 제제에서의 용해안정화는 곤란하고, 특히, 저온하에 있어서 제제 중의 유효성분의 석출 등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저온 안정성은 아직 실용상 만족스럽지 못하고, 또한 용해안정성이 더욱 우수한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이 여전히 요망되고 있는 것이 현상황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 및 현상황을 감안해서, 이들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두피에 외용함으로써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를 제공하는 동시에 특히 저온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감이 양호한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그 지방산의 유도체,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 및 이 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6-벤질아미노퓨린 및/또는 그 유도체와, 2종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할 경우, 상기 목적에 부합한 동시에 저온 안정성이 우수한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은, (A)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그 지방산의 유도체,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 및 이 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B)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6-벤질아미노퓨린 및/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모발 성장촉진제의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에탄올 또는 수성 에탄올 제제이고, 더욱 (C)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 및 (D)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1
(식(I) 중,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2의 알킬기, 고리식 탄화수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2의 알케닐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아랄킬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스티릴기, 알킬아미노기, 고리식 탄화수소기를 지닌 아미노기, 알케닐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벤질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에틸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기, 피리딜아미노기, 피리딜메틸아미노기, 피롤릴메틸아미노기, 옥사졸릴메틸아미노기, 이미다졸릴메틸아미노기, 피리다졸릴메틸아미노기, 나프틸아미노기 또는 나프틸메틸아미노기이고, R2는 수소원자, 5탄당 또는 6탄당임).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를 지니는 동시에 우수한 저온안정화 효과를 지니며, 또한 끈적거림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은, (A)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그 지방산의 유도체,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 및 이 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B)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6-벤질아미노퓨린 및/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모발 성장촉진제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에탄올 또는 수성 에탄올 제제이며, (C)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 및 (D)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2
(식(I) 중, R1은 탄소원자수 1 내지 22의 알킬기, 고리식 탄화수소기, 탄소원자수 1 내지 22의 알케닐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아랄킬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스티릴기, 알킬아미노기, 고리식 탄화수소기를 지닌 아미노기, 알케닐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벤질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에틸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아미노기,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닌 페닐아미노카보닐아미노기, 피리딜아미노기, 피리딜메틸아미노기, 피롤릴메틸아미노기, 옥사졸릴메틸아미노기, 이미다졸릴메틸아미노기, 피리다졸릴메틸아미노기, 나프틸아미노기 또는 나프틸메틸아미노기이고, R2는 수소원자, 5탄당 또는 6탄당임).
본 발명에 있어서, (A)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은, 탄소사슬을 구성하는 탄소원자의 수가 홀수이며 모발 성장 작용을 지니는 한 포화 지방산이어도 되고,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어도 된다.
불포화 지방산은 복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탄소사슬의 탄소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9 내지 29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5개이며, 탄소사슬은 직쇄 형상이어도 되고 또는 분기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노난산, 운데칸산, 트리데칸산, 펜타데칸산, 노나데칸산, 헨에이콘산, 트리코산산, 펜타코산산 및 헵타코산산을 들 수 있다.
이용가능한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의 유도체로서는,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지방산의 지방산 잔기를 함유하고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인 한, 상기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의 어느 유도체라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유도체로서는, 하기의 (a) 내지 (m)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a) 하기 일반식(II) 또는 (III)으로 표시되는 모노글리세라이드: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3
상기 일반식(II) 또는 (III)에 있어서, R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b) 하기 일반식(IV) 또는 (V)로 표시되는 디글리세라이드: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4
상기 일반식(IV) 또는 (V)에 있어서, R1 및 R2는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이들 중 적어도 한쪽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 및 R2의 어느 한쪽이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고, 다른 쪽은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어도 된다. 또한, R1 및 R2가 모두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 하기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5
상기 일반식(VI)에 있어서, R1, R2 및 R3는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이들 중 적어도 한쪽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또는 R1, R2 및 R3의 적어도 1개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고, 다른 쪽은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R1, R2 및 R3의 2개 이상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R1, R2 및 R3은 모두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다.
(d) 이하의 일반식(VII)로 표시되는 지방산 염:
( RCOO )nM (VII)
상기 일반식(VII)에 있어서, R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M은 금속 원자 또는 암모늄 이온을 나타내고, n은 M의 가수에 대응하는 정수를 나타낸다.
(e) 하기 일반식(VIII)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RCOOR' (VIII)
상기 일반식(VIII)에 있어서, R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는 짝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1가 또는 2가의 지방족 알코올 잔기, 폴리옥시에틸렌 잔기, 소르비탄 잔기 또는 자당 잔기를 나타낸다.
(f) 하기 일반식(IX)로 표시되는 제1 아마이드:
RCONR'R " (IX)
상기 일반식(IX)에 있어서, R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 및 R"는 수소,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g) 하기 일반식(X)로 표시되는 제 2아마이드:
Figure 112006030499690-pct00016
상기 일반식(X)에 있어서, R1 및 R2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이들 중 어느 한쪽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는 수소,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h) 하기 일반식(XI)로 표시되는 제 3아마이드: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7
상기 일반식(XI)에 있어서, R1, R2 및 R3은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i) 하기 일반식(XII)으로 표시되는 2염기산 또는 그의 염:
HOOCRCOOH (XII)
상기 일반식(XII)에 있어서, R은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j) 하기 일반식(XIII)으로 표시되는 스테롤 에스테르: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8
상기 일반식(XIII)에 있어서, R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k) 하기 일반식(XIV)로 표시되는 인지질:
Figure 112006028856021-pct00009
상기 일반식(XIV)에 있어서, R1 및 R2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이들 중 어느 한쪽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콜린 잔기, 에탄올아민 잔기, 세린 잔기 또는 이노시톨 잔기를 나타낸다.
(l) 하기 일반식(XV)로 표시되는 포스파티딘산:
Figure 112006028856021-pct00010
상기 일반식(XV)에 있어서, R1 및 R2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이고, 이들 중 어느 한쪽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m) 하기 일반식(XVI)으로 표시되는 스피고지질:
Figure 112006030499690-pct00017
상기 일반식(XVI)에 있어서, R은 짝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직쇄 또는 분기형상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X는 당 잔기, 인산 잔기 또는 아민염기 잔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발 성장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는 상기 성분(A)의 지방족 알코올은 탄소사슬을 구성하는 탄소 원자의 개수가 홀수인 한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 사슬을 지녀도 된다. 불포화인 경우, 복수의 2중 결합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알코올은 저급 알코올이어도 고급 알코올이어도 되고, 제 1급, 제 2급 및 제 3급 알코올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바람직한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n-프로필 알코올, n-아밀 알코올, n-헵틸 알코올, n-노닐 알코올, n-운데실 알코올, n-트리데실 알코올, n-펜타데실 알코올, n-헵타데실 알코올, n-노나데실 알코올, n-헨에이코실 알코올, n-트리코실 알코올 및 n-펜타코실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상기 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도 사용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유도체로서는,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 및 에테르화물이다.
바람직한 에스테르는 상기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과, 지방족 카르복실산(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카르복실산), 숙신산, 구연산, 푸마르산, 락트산, 피루브산, 말산 및 옥살로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 및 인산과 같은 무기산과의 에스테르화물을 포함한다.
또, 바람직한 에테르화물은, 상기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과 지방족 알코올(특히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4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알코올)과,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탄디올과 같은 다가 알코올, 과당, 리보오스, 갈락토오스, 아라비노스, 만노오스, 크실로오스, 소르비톨 및 만니톨과 같은 당류와의 에테르화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테르화물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의 홀수개의 탄소원자를 지닌 알코올의 디- 또는 트리- 알콕사이드의 경우와 같이, 1분자 내에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2개 이상의 지방족 알코올 잔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는, 인체에 악영향을 부여하지 않는 한 상기 설명한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알코올 잔기를 함유하는 것뿐이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에스테르화물에 있어서의 산 잔기 및 에테르화물에 있어서의 알코올 잔기 및 당 잔기는 각종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A)성분으로서는, 홀수개의 탄소 원자를 지닌 지방산의 글리세린 모노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펜타데칸산의 글리세라이드, 트리데칸산의 글리세라이드 및 헵타데칸산의 글리세라이드를 들 수 있고, 이들은 우수한 모발 성장효과를 제공한다.
또, 상기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또는 그의 유도체 및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 또는 그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서,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고, 그 함유량은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의 전체 양에 대해서, 0.001 내지 20질량%(이하 단지 "%"라 표기함),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이다.
상기 (A)성분의 상기 함유량이 0.001% 미만이면, 만족스러운 모발 성장 효과가 발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한편, 20%를 초과하면, 통상 그 이상의 효과는 발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B)성분을 나타내는 상기 일반식(I)에 있어서, R1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상기 각종 치환기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발휘하는 관점에서 무치환 또는 치환기를 지니는 벤질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벤질기, 2-메틸벤질기, 3-메틸벤질기, 4-에틸벤질기,
4-메틸벤질기, 3-클로로벤질기, 4-클로로벤질기, 2,4-디클로로벤질기,
2-하이드록시벤질기, 3-플루오로벤질기, 4-니트로벤질기, 4-브로모벤질기,
4-플루오로벤질기, 3-니트로벤질기, 4-프로필벤질기, 3,5-디플루오로벤질기,
2-시아노벤질기, 2-아세트아미노벤질기, 4-아세트아미노벤질기,
4-메톡시카보닐벤질기, 4-디메틸아미노벤질기, 4-메톡시벤질기,
3-트리메틸실릴옥시벤질기, 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기,
4-부틸디메틸실릴옥시벤질기, 2-메톡시벤질기, 4-트리메틸실릴옥시벤질기 및
4-메틸티오벤질기를 들 수 있다.
R2로 표시되는 기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발휘하는 관점에서, 수소원자, 5탄당(예를 들면, 1-리보퓨라노실기, 1-릭소퓨라노실기, 1-크실로퓨라노실기 및 1-아라보퓨라노실기를 들 수 있음) 및 6탄당(예를 들면, 1-글루코실기, 1-갈락토실기, 1-굴로스기, 1-만노실기 및 1-알로스기를 들 수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B)성분은,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물질이며, 상법에 따라 천연물을 정제함으로써 얻어진 물질과 합성에 의해 얻어진 물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용가능한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이하에 표시된 6-벤질아미노퓨린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06028856021-pct00012
Figure 112006028856021-pct00013
.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6-벤질아미노퓨린 및 그의 유도체는 1종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은 임의의 농도로 첨가시킬 수 있다.
상기 (B)성분으로서는, 우수한 모발 성장효과를 발휘시키는 점에서 6-벤질아미노퓨린 및 6-(4-메틸벤질아미노)퓨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은,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의 전체 양에 의거해서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이다.
상기 (B)성분의 함유량이 0.0001% 미만이면, 모발 성장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한편, 10%를 초과하면 통상 그것 이상의 효과는 발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성분으로서 이용되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글리세린의 중합도, 글리세린의 중합 위치, 탄소사슬길이, 탄소사슬의 불포화의 유무, 탄소사슬의 직쇄 혹은 분기형상, 탄소사슬에 있어서의 작용기의 유무, 모노-, 디-, 트리- 혹은 폴리-에스테르 등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노라우르산 트리글리세린, 디라우르산 트리글리세린,
모노미리스트산 트리글리세린, 이소스테아르산 트리글리세린,
모노올레산 테트라글리세린, 모노카프르산 테트라글리세린,
모노미리스트산 펜타글리세린, 디팔미트산 펜타글리세린,
모노트리데칸산 펜타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르산 헥사글리세린,
모노축합 레시놀산 헥사글리세린, 트리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린,
테트라라우르산 헥사글리세린, 모노카프릴산 헵타글리세린,
트리라우르산 헵타글리세린, 디미리스트산 헵타글리세린,
트리스테아르산 헵타글리세린, 테트라올레산 헵타글리세린,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모노축합 레시놀산 데카글리세린,
디이소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테트라펜타데칸산 데카글리세린,
헥사올레산 데카글리세린, 헵타스테아르산 데카글리세린 및 모노레시놀산 데카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도, 글리세린의 중합도가 3 이상인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중합도 3 내지 10인 에스테르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 중합도가 2 이하인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는 반면, 중합도가 11 이상인 경우에는 원료가 범용이 아니므로 비경제적인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노미리스트산 펜타글리세린,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및 모노올레산 펜타글리세린이 적합하다.
이들 (C)성분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함유량은 상기 (A)성분과 (B)성분의 함유량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의 전체 양에 의거해서 0.0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이다.
상기 (C)성분의 함유량이 0.001%미만인 경우에는, 목적으로 하는 저온 안정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 한편, 10%를 초과하면 통상 그 이상의 효과는 발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D)성분으로서 이용되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는 탄소 사슬 길이, 탄소사슬의 불포화의 존재, 탄소사슬의 직선성 혹은 분기 및 모노-, 디-, 트리-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이소스테아르산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및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해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D)성분 중에서, 소르비탄의 지방산 모노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및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을 들 수 있다.
이들 (D)성분의 소르비탄의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함유량은,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의 전체 양에 의거해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이다.
이들 (D)성분의 함유량이 0.001% 미만인 경우에는 저온안정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 한편, 10%를 초과하면, 통상 그 이상의 효과는 발휘되지 않고, 사용감에 있어서 끈적거림과 같은 악영향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A)성분의 화합물과, (B)성분인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6-벤질아미노퓨린 및/또는 그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는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은, 상기 (C)성분의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및 상기 (D)성분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를 더욱 함유함으로써, 특히 우수한 모발 성장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장시간에 걸쳐서 유효성분이 안정하고 실용성이 높은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을 얻는 것이며, 필수 성분을 임의의 농도로 첨가시킬 수 있다.
또,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구성 물질의 상승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하는 함유비율에 관해서 탐구한 결과, 상기 (C)성분/(D)성분의 질량비가 10/1 내지 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10이다.
상기 (C)성분/(D)성분의 질량비를 10/1 내지 1/60으로 조정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저온 안정화 효과가 최대한으로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은 상기 (A)성분 내지 (D)성분 외에, 에탄올(발효 에탄올, 합성 에탄올, 변성 에탄올 등)과 물(정제수, 증류수, 이온교환수, 순수, 초순수 등)을 잔부(殘部: balance)로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각 성분 외에, 사용 목적에 따라 임의의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당질계 계면활성제 및 그외의 계면활성제, 셀룰로오스류, 유지류, 에스테르유, 고분자수지, 착색제, 향료, 자외선 흡수제나, 비타민류, 호르몬류, 혈관 확장제, 아미노산류, 항염증제, 피부기능 항진제, 각질 용해제 등의 약효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류로서는,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고;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고;
유지류로서는 다가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글리세린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등), 홍화유(safflower), 달맞이꽃 종자유(Evening Primrose Oil) 및 호호바 오일(jojoba oil) 등을 들 수 있고;
에스테르유로서는 불포화 지방산 알킬에스테르(올레산 에틸, 리놀레산 이소프로필 등), 미리스트산 메틸 및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을 들 수 있고;
아미노산류로서는, 메티오닌, 세린, 글리신 및 시스틴을 들 수 있고;
각질 용해제로서는 살리실산 및 레조르신을 들 수 있고;
고분자 수지로서는 양성,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폴리머를 들 수 있고;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메톡시신남산 옥틸(네오헬리오판 AV), 옥시벤존 및 우로칸산(urocanic acid)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은 균일 용액, 로션 및 겔의 형태로 외용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은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경우에는, 상기 성분 외에, n-프로필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 부탄, 프로판, 이소부탄, 액화 석유가스 및 디메틸에테르 등의 가연성 가스, 질소가스, 산소 가스, 이산화 탄소 가스 및 아산화 질소가스 등의 압축가스를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에 있어서는,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산, 상기 지방산의 유도체, 홀수개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지닌 지방족 알코올 및 상기 지방족 알코올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6-벤질아미노퓨린 및/또는 그의 유도체와의 병용에 의해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과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적어도 1종을 더욱 첨가시킴으로써 모발 성장 효과를 손상시키는 일없이 상기 병용에 의해 초래되는 저온 안정성 및 사용감의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에 1 내지 7
하기 표 1 및 표 2에 표시한 제형에 따라 각각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 배합 단위는 질량%이고, 전체 양은 100질량%이다(이것은 실시예 9 이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각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본 발명의 범위내(실시예)인 피시험 시료와 본 발명의 범위 밖(비교예)인 피시험 시료)에 대해서, 하기 각종 방법에 의해 모발 성장 효과, 사용감 및 저온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 및 표 2에 표시하였다.
모발 성장 효과의 평가방법:
64명의 성인 남성 지원자를, 1군을 8명으로 해서 피시험군 및 대조군으로 전체 8개의 군으로 랜덤하게 나누었다.
시험은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씩 전두부(frontal region)로부터 두정부(parietal region)에 걸쳐 상기 조성물의 적정량을 가해서 행하였다. 투여 기간은 4개월이었다.
시험 종료시(4개월)의 모발의 개선도를 시험 전의 것과 비교하여 사진 소견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5단계 평가(현저히 개선, 중간 정도의 개선, 경미한 개선, 불변 및 악화)에 따라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현저히 개선: 연모(혹은 솜털: vellus hair)가 거의 확인되지 않고 정상화됨
중간 정도의 개선: 연모가 상당히 경모(혹은 종말털: terminal hair)화됨
경미한 개선: 연모가 약간 경모화됨
불변: 모발의 질에 전혀 변화가 관찰되지 않음
악화: 모발이 연모화됨
표 1 및 표 2에 표시한 모발 성장효과의 평가결과는 각각 8명이 사용 후 현저한 개선 내지 경미한 개선의 효과를 지닌 사람수의 비율(%, 개선률)로 나타내었다.
사용감의 평가방법:
상기 모발 성장촉진 효과의 평가시, 즉, 아침?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 전두부로부터 두정부에 걸쳐 적절량을 가한 때의 사용감(평균)을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모발이 버석거리지 않고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짐
△: 모발이 약간 버석거리지만 사용감이 불만족스럽지는 않음
×: 모발이 버석거리고 사용감이 불만족스러움.
저온 안정성의 평가방법:
얻어진 각 시료 약 50㎖를 마개 달린 투명유리병에 충전한 후 -10℃에서 보존해서 4주 후 결정의 석출 및 침전의 유무를 육안으로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결정의 석출과 침전이 관찰되지 않음
△: 결정의 석출과 침전이 미량 관찰됨
×: 결정의 석출이나 침전이 관찰됨.


배합량(%)
실시예
1 2 3 4 5 6 7 8
(A)성분 트리데칸산 글리세린 2.0 2.0 2.0 2.0
펜타데칸산 글리세린 2.0 2.0 2.0 2.0
(B)성분 6-벤질아미노퓨린 0.5 0.5 0.5 0.5
6-(4-메틸벤질아미노)퓨린 0.5 0.5 0.5 0.5
(C)성분 모노미리스트산
펜타글리세린
0.5 1.0 0.05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5 2.0 0.05
모노올레산 펜타글리세린 1.0 2.0
(D)성분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3.0 3.0 3.0 3.0 3.0 3.0 3.0 3.0
99% 에탄올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모발성장효과의 평가 75 75 63 75 75 75 63 63
사용감의 평가
저온안정성 평가


배합량(%)
비교예
1 2 3 4 5 6 7
(A)성분 트리데칸산 글리세린 2.0 2.0 2.0
펜타데칸산 글리세린 2.0 2.0 2.0 2.0
(B)성분 6-벤질아미노퓨린 0.5 0.5 0.5
6-(4-메틸벤질아미노)퓨린 0.5 0.5 0.5 0.5
(C)성분 모노미리스트산
펜타글리세린
2.0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2.0
모노올레산 펜타글리세린 2.0
(D)성분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3.0 1.0
99% 에탄올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모발성장효과의 평가 75 75 63 75 75 75 63
사용감의 평가 × ×
저온안정성 평가 × × × × × × ×
상기 표 1 및 표 2에 표시된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내인 유효 성분((A)성분 내지 (D)성분)을 소정량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8은 모두 모발성장효과, 사용감 및 저온안정성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데 반해서, 본 발명의 범위 밖인 비교예 1 내지 7은 모두 사용감 및 저온안정성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비교예 1 및 5는 (A)성분과 (B)성분은 함유하지만 (C)성분과 (D)성분은 함유하지 않는 경우이고, 비교예 2 내지 4, 6 및 7은 (A)성분 및 (B)성분은 함유하지만 (C)성분과 (D)성분 중 어느 한쪽을 함유하는 경우이지만, 이들 경우는 본 발명의 효과가 발휘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9 내지 20
다음에, 본 발명의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을 시판품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하기의 각 실시예의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은 각각의 조성에 따라서 각 제형 제조용의 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하기 실시예 9 내지 20에서 제조한 각 제형의 모발성장촉진제 조성물(모발성장촉진제, 모발성장 스프레이, 모발성장용 토닉(hair growth tonic) 및 모발성장 로션)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 1 내지 8과 마찬가지로 모발성장효과, 사용감 및 저온안정성을 평가한 바, 이들 실시예는 모두 실시예 1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시예 9(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6-벤질아미노퓨린 0.5
아세트산 DL-α-토코페릴 0.1
콜레우스?포르스콜리 근추출액 0.5
(Coleus?forskohlii root extract)
글리세린 0.5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1.0
자당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0.5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1.0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0.3
양성 폴리머* 0.2
올레산 에틸 2.0
숙신산 0.1
향료# 0.5
정제수 0.3
99.5% 에탄올 잔부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A조성
실시예 10(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2.0
6-벤질아미노퓨린 0.1
β-글리시르레틴산 0.1
(β-glycyrrhetic acid)
양성 폴리머* 0.2
올레산 에틸 1.0
숙신산 0.3
자당 라우르산 에스테르 0.5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0.5
글리세린 0.8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5
L-멘톨 0.1
아세트산 DL-α-토코페릴 0.1
정제수 0.3
향료# 0.5
99.5% 에탄올 잔부
조제된 유체(prepared fluid)
상기 원액 80%
LPG 20%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B조성
실시예 11(모발성장용 토닉)
배합성분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2.0
6-벤질아미노퓨린 0.05
POE(8몰) 올레일에테르 1.5
모노미리스트산 소르비탄 3.0
모노라우르산 펜타글리세린 0.3
L-멘톨 0.1
히노키티올 0.3
메틸파라벤 0.1
향료# 0.3
정제수 0.3
99.5% 에탄올 잔부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C조성
실시예 12(모발성장용 로션)
배합성분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1.0
6-(4-메틸벤질아미노)퓨린 0.5
천연비타민 E 0.5
자당 미리스트산 에스테르 0.5
POE(40)경화 피마자유 0.5
모노올레산 펜타글리세린 0.5
모노미리스트산 소르비탄 0.8
시트르산 0.1
L-멘톨 0.1
향료# 0.5
정제수 0.3
99.5% 에탄올 잔부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D조성
실시예 13(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6-벤질아미노퓨린 0.4
D-판토테닐알코올 0.4
β-글리시르레틴산 0.1
피록톤 올라민 0.1
(pyrocton olamin)
갈산 3,5-디글루코사이드 0.1
모노올레산 펜타글리세린 0.8
콜레우스 추출액 1.2
(coleus extract)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8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 0.5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0.3
양성 폴리머* 0.2
올레산 에틸 2.0
숙신산 0.1
향료# 0.5
정제수 0.3
99.5% 에탄올 잔부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A조성
실시예 14(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6-벤질아미노퓨린 0.4
니코틴아마이드 0.4
β-글리시르레틴산 0.1
피록톤 올라민 0.1
갈산-3,5-디글루코사이드 0.1
살리실산 메틸 0.5
모노올레산 소르비탄 3.0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5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4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0.5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 베타인 0.3
양성 폴리머* 0.2
폴리에틸렌글리콜 2.0
L-멘톨 0.1
향료# 0.2
숙신산 0.1
에탄올 잔부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C조성
실시예 15(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6-벤질아미노퓨린 0.4
니코틴아마이드 0.4
아세트산 토코페릴 0.1
피록톤 올라민 0.1
갈산-3,5-디글루코사이드 0.05
프로필렌글리콜 6.0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6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5
모로라우르산 소르비탄 5.0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 0.5
폴리에틸렌글리콜 2.0
L-멘톨 0.2
나일론 파우더*1 1.5
향료# 0.2
에탄올 잔부
*1: 나일론 12, 평균입자직경: 약 10㎛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B조성
실시예 16(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6-벤질아미노퓨린 0.5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갈산-3,5-디글루코사이드 0.3
아세트산 토코페릴 0.1
팔미트산 소르비탄 2.0
β-글리시르레틴산 0.5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0.5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3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3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6
양성 폴리머* 0.02
올레산 에틸 1.5
판토테닐에틸에테르 1.0
D-판토테닐알코올 1.0
콜레우스?포르스콜리 근추출액 2.0
진한 글리세린 1.0
이소도니스 자포니쿠스 추출액 1.0
(Isodonis Japonicus extract)
숙신산 0.1
염화 벤잘코늄 0.02
L-멘톨 0.1
에탄올 잔부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실시예 17(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6-벤질아미노퓨린 0.5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아세트산 토코페릴 0.1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2.0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3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6
양성 폴리머* 0.5
올레산 에틸 1.5
콜레우스?포르스콜리 근추출액 1.5
글리세린 1.0
모노미리스트산 글리세린 0.05
펜타데칸산 0.01
미리스트산 0.01
디펜타데칸산 글리세린 0.05
숙신산 0.1
L-멘톨 0.1
향료# 0.2
에탄올 잔부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C조성
실시예 18(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6-벤질아미노퓨린 0.5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2.0
아세트산 토코페릴 0.1
β-글리시르레틴산 0.1
팔미트산 소르비탄 2.0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0.5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3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6
양성 폴리머* 0.02
올레산 에틸 1.5
판토테닐 에틸 에테르 1.0
콜레우스?포르스콜리 근추출액 2.0
펜타데칸산 0.05
팔미트산 0.01
모노팔미트산 글리세린 0.02
디펜타데칸산 글리세린 0.05
글리세린 0.03
이소도니스 자포니쿠스 추출액 1.0
숙신산 0.1
L-멘톨 0.2
향료# 0.2
에탄올 잔부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D조성
실시예 19(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6-벤질아미노퓨린 0.5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아세트산 토코페릴 0.1
갈산-3,5-디글루코사이드 0.3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2.0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3
올레산 에틸 1.5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6
양성 폴리머* 0.5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3
콜레우스?포르스콜리 근추출액 1.5
글리세린 1.0
펜타데칸산 0.01
미리스트산 0.01
모노미리스트산 글리세린 0.05
숙신산 0.1
L-멘톨 0.1
향료# 0.2
에탄올 잔부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E조성
실시예 20(모발성장촉진제)
배합성분
6-벤질아미노퓨린 0.5
모노펜타데칸산 글리세린 3.0
아세트산 토코페릴 0.1
갈산-3,5-디글루코사이드 0.3
소르비탄 야자유 지방산 에스테르 2.0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0.3
올레산 에틸 1.5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0.6
양성 폴리머* 0.5
염화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0.3
콜레우스?포르스콜리 근추출액 1.5
글리세린 1.0
펜타데칸산 0.01
미리스트산 0.01
모노미리스트산 글리세린 0.05
디펜타데칸산 글리세린 0.05
숙신산 0.1
L-멘톨 0.1
향료# 0.2
에탄올 잔부
조제된 유체(prepared fluid)
상기 원액 80%
LPG 20%
*: N-메타크릴로일에틸-N,N-디메틸암모늄-α-N-메틸카복시베타인?알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 일본 공개특허 제2003-113019호 공보에 개시된 표 2의 E조성.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에서는, 두피에 외용함으로써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저온 안정성도 우수하고, 또한 끈적거림이 없는 양호한 사용감을 제공하므로, 지금까지는 볼 수 없었던 우수한 효과를 지닌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이 제공되게 된다.

Claims (3)

  1. 삭제
  2. (A) 트리데칸산글리세라이드, 펜타데칸산글리세라이드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 (B) 6-벤질아미노퓨린, 6-(4-메틸벤질아미노)퓨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양육모제의 유효성분으로 하는 에탄올 또는 수성에탄올제제에 있어서, 또한 (C) 모노미리스트산 펜타글리세린, 모노미리스트산 데카글리세린, 모노올레산 펜타글리세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과, (D) 모노라우르산 소르비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육모제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양육모제조성물중의 성분(C)와 성분(D)와의 배합비 C/D가 1/1~1/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육모제조성물.
KR1020067007967A 2003-09-30 2004-09-29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 Expired - Lifetime KR101143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0304 2003-09-30
JP2003340304 2003-09-30
PCT/JP2004/014269 WO2005030152A1 (ja) 2003-09-30 2004-09-29 養育毛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884A KR20060069884A (ko) 2006-06-22
KR101143235B1 true KR101143235B1 (ko) 2012-05-18

Family

ID=34386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967A Expired - Lifetime KR101143235B1 (ko) 2003-09-30 2004-09-29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2604B2 (ko)
EP (1) EP1671616B1 (ko)
JP (1) JP4767014B2 (ko)
KR (1) KR101143235B1 (ko)
AT (1) ATE547150T1 (ko)
WO (1) WO2005030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621A1 (ja) 2004-10-20 2006-04-27 Kao Corporation 液体口腔用組成物
JPWO2006064829A1 (ja) * 2004-12-16 2008-06-12 ライオン株式会社 毛髪化粧料
DE102006050984A1 (de) * 2006-10-26 2008-04-30 Henkel Kgaa Leistungsgesteigerte kosmetische Mittel mit Purin und/oder Purinderivaten
CN104470492A (zh) * 2012-07-05 2015-03-25 狮王株式会社 生发剂组合物
US9861645B2 (en) 2012-12-28 2018-01-09 Rak Holdings Llc Anti-itch scalp treatment compositions and combinations
CZ308881B6 (cs) * 2014-12-09 2021-08-04 Univerzita Palackého v Olomouci 6-aryl-9-glykosylpuriny a jejich použití
WO2016209749A1 (en) 2015-06-25 2016-12-29 Merck Sharp & Dohme Corp. Substituted pyrazolo/imidazolo bicyclic compounds as pde2 inhibito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28A (ja) * 1991-09-10 1993-12-03 Sansho Seiyaku Co Ltd 育毛剤
JP2001026520A (ja) 1999-07-13 2001-01-30 Lion Corp 養毛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815A (ja) 1984-06-29 1986-01-23 Lion Corp 毛髪用化粧料
JPH0237886A (ja) 1988-07-28 1990-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型液晶テレビ受信装置
JPH03261708A (ja) 1990-03-08 1991-11-21 Lion Corp 養育毛料
JPH07233037A (ja) 1993-12-29 1995-09-05 Sansho Seiyaku Co Ltd 皮膚化粧料
JPH1072321A (ja) 1996-08-29 1998-03-17 Sansho Seiyaku Co Ltd 育毛剤
JPH11322545A (ja) 1998-05-08 1999-11-24 Shiseido Co Ltd 頭皮頭髪用化粧料
JP2001089331A (ja) * 1999-09-17 2001-04-03 Lion Corp 養育毛剤
JP2002053436A (ja) * 2000-08-11 2002-02-19 Lion Corp 外用組成物
JP2003155218A (ja) 2001-09-10 2003-05-27 Lion Corp 養育毛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0028A (ja) * 1991-09-10 1993-12-03 Sansho Seiyaku Co Ltd 育毛剤
JP2001026520A (ja) 1999-07-13 2001-01-30 Lion Corp 養毛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884A (ko) 2006-06-22
WO2005030152A1 (ja) 2005-04-07
JPWO2005030152A1 (ja) 2006-12-07
JP4767014B2 (ja) 2011-09-07
EP1671616A1 (en) 2006-06-21
US7462604B2 (en) 2008-12-09
EP1671616A4 (en) 2007-11-28
ATE547150T1 (de) 2012-03-15
EP1671616B1 (en) 2012-02-29
US20070116657A1 (en) 2007-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3595B1 (en) Clear aqueous ceramide composition
JP534273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68288A (ko) 양육모제 조성물
KR960005459B1 (ko) 보습 화장품
KR101143235B1 (ko) 모발 성장촉진제 조성물
JPS6322515A (ja) 皮膚日焼け剤
CN114617778B (zh) 一种液晶结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10050547A (ko) 다가알코올중유형 온열기제
EP1486202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mposition comprising a sphingosine and a fatty acid
JPS635006B2 (ko)
JP4778256B2 (ja) 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EP1449519B1 (en) Liquid composition containing a guanidine amide group derivative and/or a salt thereof
JP5566099B2 (ja) 皮膚用化粧料
DE102015205759A1 (de) Mittel für keratinhaltige Fasern, enthaltend mindestens ein Copolymer auf Basis von Vinylpyrrolidon und mindestens ein Copolymer aus Basis von Acrylaten
JP7686393B2 (ja) 口腔用組成物
JP2594553B2 (ja) 毛髪化粧料
KR102752826B1 (ko) 멘톨계 및 비멘톨계 냉감제를 고함량 포함하는 투명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JP4133639B2 (ja) 養育毛剤組成物
JPS6111137A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H02129110A (ja) 透明な液状の油性化粧料
JP3472402B2 (ja) 毛髪化粧料
JP7226957B2 (ja) 外用医薬組成物
JP2001288051A (ja) 育毛組成物
JP2022151456A (ja) 皮膚用組成物
JPH09175956A (ja) 液状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503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