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5499B1 -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35499B1 KR101135499B1 KR1020100050491A KR20100050491A KR101135499B1 KR 101135499 B1 KR101135499 B1 KR 101135499B1 KR 1020100050491 A KR1020100050491 A KR 1020100050491A KR 20100050491 A KR20100050491 A KR 20100050491A KR 101135499 B1 KR101135499 B1 KR 101135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ser
- electrode tab
- laser beam
- cleaning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35—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 B08B7/004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by la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4—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means of optical elements, e.g. lenses, mirrors or pr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 B23K26/127—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in an enclos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5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for surface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전해액 주입 단계에서 전극 탭에 묻은 전해액을 제거하기 위한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을 제공한다. 레이저 세정 장치는, 전극군과 전해액 및 외측으로 노출된 전극 탭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내장하는 세정 하우징과,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소스 및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레이저 발생부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레이저 전송부와, 세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레이저 전송부로부터 전송받은 레이저 빔을 전극 탭에 조사하여 전극 탭에 묻은 액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레이저 출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용 전극 탭의 세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해액 주입 단계에서 전극 탭에 묻은 전해액을 제거하기 위한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로 분류된다. 이 중 저용량의 일차 전지 또는 이차 전지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대용량의 이차 전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지는 기본적으로 양극과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군과, 전해액과 함께 전극군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원통형 전지의 경우 양극은 캡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극은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극에 부착된 양극 탭이 캡 조립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음극에 부착된 음극 탭이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통상의 원통형 전지에는 전해액 주입구가 없으므로, 케이스에 전극군을 삽입하고, 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한 다음 케이스에 캡 조립체를 장착하여 케이스를 밀봉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음극 탭은 전해액 주입 전 케이스에 고정되고, 양극 탭은 전해액 주입 후 캡 조립체에 고정되며, 양극 탭이 고정된 캡 조립체는 개스킷과 함께 케이스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한 다음 캡 조립체를 장착하는 구조에서는 전극 탭, 예를 들어 양극 탭에 전해액이 묻어 있게 된다. 이 경우 전극 탭의 도전 특성과 조립 성능이 저하되므로 전극 탭에 묻은 전해액을 제거해야 한다. 그런데 전극 탭은 대략 0.1mm의 극히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며, 세정 과정에서 2차 이물질 발생의 위험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해액 주입 후 전극 탭에 묻은 전해액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설비 구성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ⅰ) 전극군과 전해액 및 외측으로 노출된 전극 탭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내장하는 세정 하우징과, ⅱ)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소스와,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와, ⅲ) 레이저 발생부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레이저 전송부와, ⅳ) 세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레이저 전송부로부터 전송받은 레이저 빔을 전극 탭에 조사하여 전극 탭에 묻은 액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레이저 출사부를 포함한다.
레이저 소스는 Nd:YAG 펄스 레이저를 생성하며, Nd:YAG 펄스 레이저의 펄스당 에너지는 14J 내지 34J일 수 있다. 레이저 전송부는 광섬유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출사부는 확대 광학부와 변형 광학부 및 집속 광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 광학부는 레이저 빔의 모양을 결정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레이저 흡수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집속 광학부는 볼록 렌즈와, 볼록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렌즈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출사부는 전극 탭 폭의 2배 내지 3배의 직경을 가지는 레이저 빔을 출사할 수 있다.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레이저 출사부에 결합되어 레이저 출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전극 탭에 연결되어 전극 탭을 세워 펼치는 직립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립 장치는 전극 탭을 가압하여 전극 탭을 고정시키는 홀더부와, 홀더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케이스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복수의 전지 케이스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받침대에 설치되어 정해진 궤도를 따라 복수의 전지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립 장치는 전지 케이스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복수의 직립 장치를 연결하여 제1 이송부와 같은 궤도를 따라 복수의 직립 장치를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세정 하우징의 내부에서 전극 탭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이저 빔의 잔류 에너지를 흡수하는 레이저 흡수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세정 하우징에 설치되는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유닛은 오염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장치와, 오염 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세정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는 전지 탭의 세정 과정을 관찰 및 기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지 탭의 세정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은, 세정 하우징의 내부에 전해액을 수용하며 전극 탭이 노출된 전지 케이스를 장착하는 단계와, 레이저 발생부를 이용하여 출력이 조절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단계와, 레이저 전송부를 이용하여 레이저 출사부로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단계와, 레이저 출사부의 광학 배율을 조정하여 레이저 빔의 모양과 크기를 설정한 후 전극 탭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지 케이스를 장착하는 단계에서, 직립 장치를 이용하여 전극 탭을 세워 펼칠 수 있다. 전극 탭은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에 대해 80° 내지 10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세워질 수 있다.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레이저 빔의 직경은 전극 탭 폭의 2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전극 탭의 후방에 레이저 흡수체를 설치하여 레이저 빔의 잔류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집진 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 세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 빔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극 탭에 묻은 전해액을 기화시켜 제거한다. 이러한 레이저 세정 기술은 전극 탭에 마찰을 가하지 않으므로 두께가 얇은 전극 탭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고, 전극 탭의 손상이나 2차 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설비 구성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레이저 출사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직립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전지 케이스와 받침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전극 탭과 레이저 흡수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직립 장치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1 단계에서의 전극 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레이저 출사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직립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전지 케이스와 받침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전극 탭과 레이저 흡수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직립 장치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1 단계에서의 전극 탭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레이저 세정 장치(100)는 세정 하우징(10), 레이저 발생부(20), 레이저 전송부(30), 및 레이저 출사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레이저 세정 장치(100)에 포함된 각 부재들의 동작은 통합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된다.
레이저 발생부(20)는 전극 탭(12)에 묻은 액상 오염 물질인 전해액을 제거하기 위한 레이저 빔(LB)을 생성한다. 레이저 발생부(20)는 레이저 빔(LB)을 생성하는 레이저 소스(21)와, 레이저 빔(LB)의 출력을 조절하는 출력 조절부(22)를 포함한다. 출력 조절부(22)는 통합 제어부(11)와 연결되어 통합 제어부(11)의 제어 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LB)의 출력을 조절한다.
레이저 빔(LB)으로는 펄스 폭이 1,064nm인 Nd:YAG 펄스 레이저가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빔(LB)은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극 탭(12)에 묻은 전해액을 기화시킴으로써 전극 탭(12)을 세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레이저 세정은 전극 탭(12)에 마찰을 가하지 않으므로 두께가 얇은 전극 탭(12)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레이저 빔(LB)의 펄스당 에너지는 14J 내지 34J일 수 있다. 레이저 빔(LB)의 펄스당 에너지가 14J보다 작으면 레이저 빔(LB)에 의한 세정이 불가능해지고, 레이저 빔(LB)의 펄스당 에너지가 34J보다 크면 세정 과정에서 전극 탭(12)이 손상될 수 있다.
레이저 발생부(20)는 세정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하고, 레이저 출사부(40)는 세정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한다. 레이저 전송부(30)는 레이저 발생부(20)와 레이저 출사부(40) 사이에 설치되어 레이저 발생부(20)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LB)을 레이저 출사부(40)로 전송한다. 레이저 전송부(30)는 광섬유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섬유 케이블은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광섬유와, 광섬유를 둘러싸는 피복재로 구성된다.
레이저 출사부(40)는 레이저 전송부(30)로부터 전송받은 레이저 빔(LB)을 전극 탭(12)으로 출사한다. 레이저 출사부(40)는 내부에 광학 장치를 구비하여 레이저 빔(LB)의 크기와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J/cm2) 및 레이저 빔(LB)의 모양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레이저 출사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레이저 출사부(40)는 케이싱(41) 내부에 확대 광학부(42), 변형 광학부(43), 및 집속 광학부(44)를 구비한다. 레이저 출사부(40)는 이 세 개의 광학부 모두를 이용하거나 용도에 따라 세 개의 광학부 중 일부만을 이용할 수 있다.
확대 광학부(42)는 오목 렌즈(421)와 볼록 렌즈(422)를 포함하며, 오목 렌즈(421)와 볼록 렌즈(422)의 광학 작용에 의해 레이저 빔(LB)을 원하는 배율로 확대시킨다. 변형 광학부(43)는 중앙에 개구부(431)가 형성된 레이저 흡수 마스크(432)를 포함한다. 레이저 흡수 마스크(432)에 제공된 레이저 빔(LB)은 가장자리가 레이저 흡수 마스크(432)에 흡수되면서 개구부(431)와 동일한 모양으로 출력된다. 레이저 빔(LB)은 원이나 타원 등 세정에 유리한 모양으로 변형될 수 있다.
집속 광학부(44)는 볼록 렌즈(441)를 구비하며, 변형 광학부(43)를 통과한 레이저 빔(LB)을 집속하여 세정에 충분한 세기의 에너지 밀도를 구현한다. 집속 광학부(44)는 볼록 렌즈(441)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렌즈 이동부(442)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이동부(442)를 이용하여 볼록 렌즈(441)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전극 탭(12)에 도달하는 레이저 빔(LB)의 크기와 레이저 빔(LB)의 에너지 밀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레이저 세정 장치(100)는 레이저 출사부(40)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 빔(LB)의 출사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46)는 세정 하우징(10)의 내벽에 설치되며, 레이저 출사부(40)를 세정 하우징(10)의 내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레이저 빔(LB)의 출사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세정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지 케이스(13)를 지지하는 받침대(14)가 위치한다. 전지 케이스(13)는 그 내부에 전극군과 전해액을 담고 있다. 전극군은 양극과 음극 및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며, 전극 탭(12)의 일부가 전지 케이스(13)의 바깥으로 노출된다.
전극 탭(12)은 양극과 연결된 양극 탭이거나, 음극과 연결된 음극 탭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2개의 전극 탭(양극 탭과 음극 탭)이 전지 케이스(13)의 바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전극 탭(12)이 전지 케이스(13)의 바깥으로 노출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전해액 주입이 완료된 이후 전극 탭(12)은 어느 한 방향으로 쓰러지거나 기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극 탭(12)에 레이저 빔(LB)을 조사할 수 없으므로 전극 탭(12)에 묻은 전해액을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레이저 세정 장치(100)는 전극 탭(12)을 세워 펼쳐서 레이저 세정을 용이하게 하는 직립 장치(5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직립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직립 장치(50)는 전극 탭(12)을 가압하여 전극 탭(12)을 고정시키는 홀더부(51)와, 홀더부(51)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52)를 포함한다. 홀더부(51)는 집게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이동부(52)는 홀더부(51)에 연결된 리니어 모션 장치(53)와, 리니어 모션 장치(53)를 구동시키는 캠(5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이동부(52)는 도 3에 도시한 실시예 이외에 다른 기계 요소들의 조합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부(51)를 전극 탭(12)에 끼운 후 캠(54)을 구동시키면, 리니어 모션 장치(54)의 후진 작용으로 홀더부(51)에 고정된 전극 탭(12)이 세워지면서 평평하게 펼쳐진다. 따라서 레이저 빔(LB)을 조사받는 전극 탭(12)의 표면적이 확대되므로 레이저 빔(LB)에 의한 세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전극 탭(12)은 레이저 빔(LB)의 조사 방향에 대해 80° 내지 100°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세정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지 케이스(13)가 구비되고, 복수의 전지 케이스(13)는 정해진 궤도를 따라 이동하여 하나씩 세정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정 위치란 레이저 출사부(40)와 마주하여 레이저 빔(LB)을 제공받는 위치로 정의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전지 케이스와 받침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받침대(14)는 복수의 지지 홀더(141)를 구비하여 복수의 전지 케이스(13)를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받침대(14)의 하부에는 제1 이송부(15)가 구비되어 정해진 궤도를 따라 받침대(14)와 전지 케이스(13)를 이동시킨다. 제1 이송부(15)는 직선 방향으로 받침대(14)를 이동시키거나,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폐곡선 모양의 궤도를 따라 받침대(14)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직립 장치(50) 또한 전지 케이스(13)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며, 직립 장치들(50)의 상부에 제2 이송부(16)가 구비되어 제1 이송부(15)와 같은 궤도를 따라 복수의 직립 장치(50)를 이동시킨다. 제1 이송부(15)와 제2 이송부(16)는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모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거나, 기타 다른 기계 요소들의 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세정 위치에 놓여진 전지 케이스(13)의 전극 탭(12)은 레이저 빔(LB)을 조사받아 세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제1 이송부(15)와 제2 이송부(16)가 작동하여 다음 전지 케이스(13)의 전극 탭(12)을 세정 위치에 놓고 정지한다. 그러면 세정 위치에 놓여진 전지 케이스(13)의 전극 탭(12)이 레이저 빔(LB)을 조사받아 세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이송부(15)와 제2 이송부(16)가 작동하는 과정 중에는 레이저 소스(21)가 턴-오프되어 레이저 빔(LB)을 방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복수의 전극 탭(12)을 연속으로 세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레이저 세정 장치(100)는 세정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전극 탭(12)의 후방에 위치하는 레이저 흡수체(17)를 포함한다. 레이저 흡수체(17)는 전극 탭(12)을 사이에 두고 레이저 출사부(40)와 마주하도록 위치하며, 전극 탭(12)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다.
전극 탭(12)에 도달하는 레이저 빔(LB)의 직경은 전극 탭(12)의 원활한 세정을 위해 전극 탭(12)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로써 레이저 빔(LB)의 일부는 전극 탭(12)에 도달하여 전극 탭(12)에 묻은 전해액을 기화시키지만, 나머지 일부는 세정 하우징(10)의 내부로 발산된다. 이때 레이저 흡수체(17)가 전극 탭(12)에 닿지 못한 레이저 빔(LB)을 제공받아 레이저 빔(LB)의 잔류 에너지를 흡수한다.
레이저 흡수체(17)가 없는 경우를 가정하면, 레이저 출사부(40)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LB) 중 전극 탭(12)에 닿지 못한 레이저 빔(LB)은 세정 하우징(10) 내부의 다른 부재들에 도달하여 이를 손상시키거나, 세정 하우징(10) 내부에서 여러 방향으로 발산되어 다른 부재들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레이저 세정 장치(100)는 레이저 흡수체(17)를 구비함에 따라 전술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레이저 세정 장치(100)는 세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하는 배기 유닛(60)을 포함한다. 배기 유닛(60)은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빨아들이는 블로어(61)와, 오염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장치(62)와, 오염 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세정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덕트(63)를 포함한다. 배기 유닛(60)은 오염 물질의 신속한 제거를 위하여 전지 케이스(13)와 직립 장치(50)의 바로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배기 유닛(60)을 이용하여 유해한 오염 물질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세정 장치(100)는 전극 탭(12)의 세정 과정을 관찰 및 기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극 탭(12)의 세정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71)와, 촬영부(71)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72)를 포함한다. 촬영부(71)는 세정 하우징(10)의 내부, 예를 들어 레이저 출사부(40)의 케이싱(41)에 고정될 수 있으며, 표시부(72)는 세정 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레이저 세정 장치 중 전극 탭과 레이저 흡수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에서는 편의상 직립 장치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를 참고하면, 전극 탭(12)은 소정의 폭(W)과 길이(L)를 가지며, 대략 1mm의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전극 탭(12)의 폭(W)은 대략 3mm이고, 전지 케이스(13)의 바깥으로 노출된 전극 탭(12)의 길이(L)는 대략 6mm일 수 있다.
레이저 빔(LB)은 원형일 수 있으며, 전극 탭(12)에 도달하는 레이저 빔(LB)의 직경(D)은 전극 탭(12) 폭(W)의 2배 내지 3배일 수 있다. 레이저 빔(LB)은 레이저 출사부(40)를 향한 전극 탭(12)의 한쪽 면을 조사하지만 전극 탭(12)의 열 전달에 의해 전극 탭(12)의 반대쪽 면에 묻은 전해액도 함께 기화되어 제거된다.
레이저 빔(LB)의 직경이 전극 탭(12) 폭(W)의 2배보다 작으면, 레이저 빔(LB)의 위치와 전극 탭(12)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매우 정밀하게 조정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추가 공정이 요구된다. 한편, 레이저 빔(LB)의 직경이 전극 탭(12) 폭(W)의 3배를 초과하면, 레이저 빔(LB)의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므로 세정 효과가 저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은, 세정 하우징 내부에 전극 탭이 노출된 전지 케이스를 장착하는 제1 단계(S10)와, 레이저 발생부를 이용하여 출력이 조절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제2 단계(S20)와, 레이저 전송부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을 세정 하우징 내부의 레이저 출사부로 전송하는 제3 단계(S30)와, 레이저 출사부의 광학 배율을 조절하여 최적화된 레이저 빔을 전극 탭으로 출사하는 제4 단계(S40)를 포함한다.
제1 단계(S10)에서, 세정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직립 장치(50)를 이용하여 전극 탭(12)을 곧게 세워 펼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제1 단계에서의 전극 탭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전극 탭(12)은 레이저 빔(LB)의 조사 방향에 대해 80° 내지 100°의 각도(θ)를 유지할 수 있다. 전극 탭(12)의 각도(θ)가 80°보다 작거나 100°를 초과하면 레이저 빔(LB)의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지므로 세정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세정 하우징(10) 내부에 복수의 전지 케이스(13)를 설치하고, 전술한 제1 이송부(15)와 제2 이송부(16)를 이용하여 세정 위치에 복수의 전지 케이스를 하나씩 순서대로 위치시킬 수 있다.
제2 단계(S20)에서, 레이저 빔은 Nd:YAG 펄스 레이저일 수 있으며, 레이저 빔(LB)의 펄스당 에너지는 14J 내지 34J일 수 있다.
제4 단계에서, 레이저 출사부(40)는 전술한 확대 광학부(42)와 변형 광학부(43) 및 집속 광학부(44)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레이저 빔(LB)의 모양과 크기 및 단위 면적당 에너지 밀도를 조정하고, 조정된 레이저 빔(LB)을 전극 탭(12)으로 출사한다.
이때 레이저 빔(LB)의 크기는 전지 케이스(13)의 바깥으로 노출된 전극 탭(12)의 면적보다 크며, 레이저 빔(LB)의 직경은 전극 탭(12) 폭의 2배 내지 3배로 설정된다. 레이저 빔(LB)을 조사받은 전극 탭(12)은 레이저 빔(LB)의 열 에너지에 의해 그 표면에 묻은 전해액이 기화되면서 세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극 탭(12)의 후방에는 레이저 흡수체(17)가 위치하여 레이저 빔(LB)의 잔류 에너지를 흡수한다.
레이저 세정 과정에서 발생된 퓸(fume)과 같은 오염 물질은 세정 하우징(10)에 설치된 집진 장치(62)에 포집되어 안전하게 제거된다. 전술한 레이저 세정 기술은 전극 탭(12)에 마찰을 가하지 않으므로 두께가 얇은 전극 탭(12) 세정에 효과적이고, 전극 탭(12)의 손상이나 2차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레이저 세정 장치 10: 세정 하우징
11: 통합 제어부 12: 전극 탭
13: 전지 케이스 17: 레이저 흡수체
20: 레이저 발생부 21: 레이저 소스
22: 출력 조절부 30: 레이저 전송부
40: 레이저 출사부 42: 확대 광학부
43: 변형 광학부 44: 집속 광학부
50: 직립 장치 60: 배기 유닛
11: 통합 제어부 12: 전극 탭
13: 전지 케이스 17: 레이저 흡수체
20: 레이저 발생부 21: 레이저 소스
22: 출력 조절부 30: 레이저 전송부
40: 레이저 출사부 42: 확대 광학부
43: 변형 광학부 44: 집속 광학부
50: 직립 장치 60: 배기 유닛
Claims (21)
- 전극군과 전해액 및 외측으로 노출된 전극 탭을 수용하는 전지 케이스를 내장하는 세정 하우징;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레이저 소스와, 레이저 빔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레이저 발생부;
상기 레이저 발생부에서 생성된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레이저 전송부;
상기 세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 탭에 연결되어 상기 전극 탭을 세워 펼치는 직립 장치; 및
상기 세정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레이저 전송부로부터 전송받은 레이저 빔을 상기 전극 탭에 조사하여 상기 전극 탭에 묻은 액상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레이저 출사부
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소스는 Nd:YAG 펄스 레이저를 생성하며, Nd:YAG 펄스 레이저의 펄스당 에너지는 14J 내지 34J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전송부는 광섬유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출사부는 확대 광학부와 변형 광학부 및 집속 광학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광학부는 레이저 빔의 모양을 결정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레이저 흡수 마스크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속 광학부는 볼록 렌즈와, 상기 볼록 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렌즈 이동부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출사부는 상기 전극 탭 폭의 2배 내지 3배의 직경을 가지는 레이저 빔을 출사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출사부에 결합되어 상기 레이저 출사부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장치는 상기 전극 탭을 가압하여 상기 전극 탭을 고정시키는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케이스는 서로간 거리를 두고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전지 케이스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어 정해진 궤도를 따라 상기 복수의 전지 케이스를 이동시키는 제1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 장치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직립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제1 이송부와 같은 궤도를 따라 상기 복수의 직립 장치를 이동시키는 제2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전극 탭의 후방에 위치하여 레이저 빔의 잔류 에너지를 흡수하는 레이저 흡수체를 더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하우징에 설치되는 배기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유닛은 오염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집진 장치와, 오염 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상기 세정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 탭의 세정 과정을 관찰 및 기록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전지 탭의 세정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촬영부에서 획득한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 세정 하우징의 내부에 전해액을 수용하며 전극 탭이 노출된 전지 케이스를 장착하는 단계;
레이저 발생부를 이용하여 출력이 조절되는 레이저 빔을 생성하는 단계;
레이저 전송부를 이용하여 레이저 출사부로 상기 레이저 빔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출사부의 광학 배율을 조정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모양과 크기를 설정한 후 상기 전극 탭으로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전지 케이스를 장착하는 단계에서, 직립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 탭을 세워 펼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탭은 상기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에 대해 80° 내지 100°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세워지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레이저 빔의 직경은 상기 전극 탭 폭의 2배 내지 3배인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극 탭의 후방에 레이저 흡수체를 설치하여 상기 레이저 빔의 잔류 에너지를 흡수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단계에서, 집진 장치를 이용하여 레이저 세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는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0491A KR101135499B1 (ko) | 2010-05-28 | 2010-05-28 |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
US12/883,867 US8834634B2 (en) | 2010-05-28 | 2010-09-16 | Laser cleaning device for electrode tab of battery and laser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
CN201010559449.3A CN102259103B (zh) | 2010-05-28 | 2010-11-23 | 一种激光清洁装置及使用其的激光清洁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0491A KR101135499B1 (ko) | 2010-05-28 | 2010-05-28 |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0927A KR20110130927A (ko) | 2011-12-06 |
KR101135499B1 true KR101135499B1 (ko) | 2012-04-13 |
Family
ID=4500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0491A KR101135499B1 (ko) | 2010-05-28 | 2010-05-28 |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834634B2 (ko) |
KR (1) | KR101135499B1 (ko) |
CN (1) | CN102259103B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6071A (ko) | 2020-03-17 | 2021-09-27 | 주식회사 아이엠티 |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세정 장치 |
KR102444804B1 (ko) * | 2022-05-31 | 2022-09-19 | 디에이치 주식회사 |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024233B2 (en) * | 2011-11-30 | 2015-05-05 | First Solar, Inc. | Side edge clean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thin film photovoltaic devices |
US8859935B2 (en) | 2012-05-22 | 2014-10-14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 of preparing material for welding |
HU229953B1 (hu) * | 2012-07-05 | 2015-03-02 | Sld Enhanced Recovery, Inc | Eljárás és berendezés elsősorban kitermelőcsövek alkáliföldfém-só lerakódásainak eltávolítására |
CN103008292B (zh) * | 2012-12-24 | 2016-07-06 | 沈阳飞捷激光科技有限公司 | 蓄电池极板极耳激光清洁系统及其控制方法 |
CN103658140B (zh) * | 2013-12-04 | 2015-09-23 | 北京航天时代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手持式激光清洗机的光学整型装置 |
CN103736693B (zh) * | 2014-01-10 | 2016-08-17 |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用于核电站放射性污染去污的激光清洁系统 |
CN104128332A (zh) * | 2014-08-04 | 2014-11-05 | 武汉和骏激光技术有限公司 | 一种焦点跟踪激光清洗机 |
EP3190645A4 (en) * | 2014-09-12 | 2018-02-07 | Dongguan Amperex Technology Limited | Electrode plate coating removal apparatus |
US20160236296A1 (en) * | 2015-02-13 | 2016-08-18 | Gold Nanotech Inc | Nanoparticle Manufacturing System |
CN105215007A (zh) * | 2015-09-28 | 2016-01-06 | 中国科学院半导体研究所 | 物体表面污染物清洗用的光路系统 |
CN106994453A (zh) * | 2016-01-22 | 2017-08-01 | 台湾神户电池股份有限公司 | 电池极板板头清洁方法 |
CN105689331A (zh) * | 2016-04-15 | 2016-06-22 | 南京国轩电池有限公司 | 一种锂电池注液孔残液的清洗方法 |
JP6829053B2 (ja) * | 2016-11-09 | 2021-02-10 | コマツ産機株式会社 | マシンルーム |
CN110198794B (zh) * | 2017-06-01 | 2022-02-18 |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 激光清洗镜头 |
CN107309222A (zh) * | 2017-08-25 | 2017-11-03 | 济南高能清扬激光清洗有限公司 | 一种长焦深激光清洗头装置及清洗方法 |
CN107919457A (zh) * | 2017-10-19 | 2018-04-17 | 江西恒动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动力锂离子电池注液口清洁方法 |
WO2019109302A1 (zh) * | 2017-12-07 | 2019-06-13 | 惠州市成泰自动化科技有限公司 | 一种电芯极耳自动清洗装备 |
CN108672413A (zh) * | 2018-08-01 | 2018-10-19 | 中山普宏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准分子激光智能清洗设备 |
KR102186957B1 (ko) * | 2019-01-03 | 2020-12-04 | (주) 엠에이케이 | 원통형 이차전지 전극탭 세정방법 |
CN109848082B (zh) * | 2019-03-05 | 2024-05-07 | 无锡先导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 擦拭装置及电池正极激光焊接装置 |
CN110323305A (zh) * | 2019-05-31 | 2019-10-11 | 北京铂阳顶荣光伏科技有限公司 | 电池组件生产系统及其制造方法 |
KR102054147B1 (ko) * | 2019-10-21 | 2019-12-12 | 주식회사 아이엠티 | 테스트 장치 |
CN110977192B (zh) * | 2019-11-29 | 2020-07-28 | 南京上美冠丰塑胶有限公司 | 一种汽车内饰激光切割收集机构及其切割方法 |
CN113798264A (zh) * | 2020-06-12 | 2021-12-17 | 东莞市雅康精密机械有限公司 | 多工位电池极片的清洗结构 |
US11819887B2 (en) * | 2020-10-20 | 2023-11-21 | Innovaneer, Inc. | Laser system for non-contact and selective removal of corrosion from tubes internal surfaces |
DE102020216323A1 (de) * | 2020-12-18 | 2022-06-23 |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Kontaktierung von Zellen einer Batterie |
CN113663986A (zh) * | 2021-02-03 | 2021-11-19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珠海供电局 | 一种复合绝缘子材质外绝缘设备激光带电清洗方法 |
CN113305106B (zh) * | 2021-06-03 | 2022-08-02 | 四川大学 | 一种激光清洗微纳颗粒污染物的方法和应用 |
CN113771051A (zh) * | 2021-08-25 | 2021-12-10 | 耘创九州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轨道智能激光清洗机器人 |
CN113751432B (zh) * | 2021-09-17 | 2023-05-26 | 宁波翔明激光科技有限公司 | 一种集成镜片洁净度检测装置的激光清洗头 |
CN114453296B (zh) * | 2022-02-09 | 2022-12-09 | 广东日信高精密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电池电极片材清洁装置 |
CN114570711B (zh) * | 2022-03-10 | 2023-03-28 | 武汉昊诚锂电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清粉方法及清粉装置 |
WO2024082098A1 (zh) * | 2022-10-17 | 2024-04-25 |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 清洁装置、生产系统和清洁方法 |
CN118060277B (zh) * | 2024-04-18 | 2024-06-21 | 山东中能节能科技有限公司 | 一种大型钢管管道内部清洗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54721A (ko) * | 1995-12-27 | 1997-07-31 | 배순훈 | 리튬이온전지의 전해액 세척방법 및 자동세척장치 |
KR20060034988A (ko) * | 2004-10-20 | 2006-04-26 | 전원섭 | 레이저를 이용한 세정장치 |
KR20060063130A (ko) * | 2004-12-07 | 2006-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웨이퍼 척을 레이저 빔으로 세정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060126267A (ko) * | 2005-06-03 | 2006-12-07 | 주식회사 아이엠티 |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세정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41718B1 (fr) | 1989-01-17 | 1992-03-20 | Ardt | Procede de nettoyage de la surface de matieres solides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tilisant un laser impulsionnel de puissance, a impulsions courtes, dont on focalise le faisceau sur la surface a nettoyer |
AU673519B2 (en) | 1992-03-31 | 1996-11-14 | Cauldron Limited Partnership | Removal of surface contaminants by irradiation |
US6573702B2 (en) | 1997-09-12 | 2003-06-03 | New Wave Research |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electronic test contacts |
KR100421038B1 (ko) * | 2001-03-28 | 2004-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세정 장비 및 이를이용한 세정 방법 |
KR100432854B1 (ko) | 2001-07-31 | 2004-05-24 | 주식회사 한택 | 레이저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세정 방법 |
KR100348701B1 (ko) | 2001-12-07 | 2002-08-13 | 주식회사 아이엠티 | 건식 표면 클리닝 장치 |
US6635844B2 (en) | 2002-01-03 | 2003-10-21 |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 Apparatus for on-line cleaning a wafer chuck with laser |
GB2414954B (en) * | 2004-06-11 | 2008-02-06 | Exitech Ltd | Process and apparatus for ablation |
KR20080095420A (ko) | 2007-04-24 | 2008-10-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레이저 충격파가 인가된 화학액을 이용한 기판 세정 장치및 방법 |
JP5098019B2 (ja) * | 2007-04-27 | 2012-12-12 | ギガフォトン株式会社 | 極端紫外光源装置 |
KR20080105862A (ko) | 2007-06-01 | 2008-12-04 | 주식회사 아이엠티 | 레이저 세정 장치 |
KR100884253B1 (ko) | 2007-07-04 | 2009-02-17 | 주식회사 아이엠티 | 건식세정장치 및 방법 |
KR20090005837A (ko) | 2007-07-10 | 2009-01-14 | 세메스 주식회사 | 레이저 세정장치 |
KR101138502B1 (ko) * | 2010-08-27 | 2012-04-25 | 삼성전기주식회사 | 리튬 이온 커패시터의 제조 방법 |
-
2010
- 2010-05-28 KR KR1020100050491A patent/KR1011354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9-16 US US12/883,867 patent/US8834634B2/en active Active
- 2010-11-23 CN CN201010559449.3A patent/CN10225910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54721A (ko) * | 1995-12-27 | 1997-07-31 | 배순훈 | 리튬이온전지의 전해액 세척방법 및 자동세척장치 |
KR20060034988A (ko) * | 2004-10-20 | 2006-04-26 | 전원섭 | 레이저를 이용한 세정장치 |
KR20060063130A (ko) * | 2004-12-07 | 2006-06-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웨이퍼 척을 레이저 빔으로 세정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060126267A (ko) * | 2005-06-03 | 2006-12-07 | 주식회사 아이엠티 |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세정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16071A (ko) | 2020-03-17 | 2021-09-27 | 주식회사 아이엠티 |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세정 장치 |
KR20210116362A (ko) | 2020-03-17 | 2021-09-27 | 주식회사 아이엠티 |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세정 장치 |
KR102444804B1 (ko) * | 2022-05-31 | 2022-09-19 | 디에이치 주식회사 | 캔형 이차전지의 전해액 주입구 레이저 클리닝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0927A (ko) | 2011-12-06 |
CN102259103A (zh) | 2011-11-30 |
US20110290276A1 (en) | 2011-12-01 |
CN102259103B (zh) | 2014-06-11 |
US8834634B2 (en) | 2014-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5499B1 (ko) | 전지용 전극 탭의 레이저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세정 방법 | |
KR100797787B1 (ko) | 레이저를 이용한 건식세정시스템 | |
CN101770930B (zh) | 光源装置 | |
JP5610356B2 (ja) | レーザー除染装置 | |
JP2010524203A (ja) | 太陽電池をレーザーアブレーションするための方法 | |
JP2020524380A (ja) | スポット溶接用ジグ | |
JP5687001B2 (ja) | X線発生装置 | |
KR20210116071A (ko) | 원통형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의 레이저 세정 장치 | |
CN1061316A (zh) | 超导加速管及其制造方法 | |
CN104380079A (zh) | 粒子检测装置 | |
JP6214880B2 (ja) | レーザイオン源及び重粒子線治療装置 | |
CN1494819A (zh) | 远紫外光发生器、采用该发生器的曝光设备和半导体制造方法 | |
US5730924A (en) | Micromachining of polytetrafluoroethylene using radiation | |
CN108817700B (zh) | 保护膜及激光切割方法 | |
CN114226359B (zh) | 一种用于去除电池测试探针污染物的清理系统和清理方法 | |
JP2004340761A (ja) | 極端紫外光発生装置 | |
WO2012064003A1 (ko) | 이차전지 전극의 용접 장치 및 방법 | |
KR20130047506A (ko) | 이차전지용 레이저 용접장치 | |
CN113916624B (zh) | 一种组织切割收集装置及收集方法 | |
US20060213615A1 (en) | Laser nozzle cleaning tool | |
CN108051954A (zh) | 膜版清洗装置 | |
TW589714B (en) | Wafer scribing method and wafer scribing device | |
JP6670781B2 (ja) | 液体除去装置 | |
JP6935314B2 (ja) | レーザー加工方法 | |
JP2001217450A (ja) | 太陽光発電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