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720B1 - 포집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포집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22720B1 KR101122720B1 KR1020100042580A KR20100042580A KR101122720B1 KR 101122720 B1 KR101122720 B1 KR 101122720B1 KR 1020100042580 A KR1020100042580 A KR 1020100042580A KR 20100042580 A KR20100042580 A KR 20100042580A KR 101122720 B1 KR101122720 B1 KR 1011227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collecting
- powder forming
- temperature
- raw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48—Temperature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펌프에 반응물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서와 같이 포집공간에서 증착온도로 가열된 고온의 반응물이 그대로 저온의 펌프로 유입됨으로써 점도가 높은 상태로 변형되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펌프의 동작을 방해하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집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집장치를 나타낸 입체 도면
도 4는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포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포집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포집공간과 파우더 형성 공간의 온도 제어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
513: 파우더 형성 공간 560: 포집부
561: 제 1 발열체 562: 제 2 발열체
570: 제 1 전원 공급부 580: 제 2 전원 공급부
Claims (18)
- 공정챔버와 연결되어 상기 공정챔버 내에서 반응하지 않은 미반응 원료를 포집하는 포집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포집공간 및 파우더 형성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포집공간 및 파우더 형성 공간에 배치되어 포집공간 및 파우더 형성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는 발열체와 상기 포집공간에 배치된 발열체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 1 포집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포집부;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포집공간과 파우더 형성 공간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분할판을 포함하고,
상기 포집공간 및 복수의 제 1 포집 플레이트는 증착 온도로 가열되고, 파우더 형성 공간은 파우더 형성 온도로 가열되는 포집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판 각각은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포집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할판은 포집공간에서 파우더 형성 공간이 배치된 방향으로 내리막 경사가 지도록 배치되는 포집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공간으로 상기 미반응 원료와 반응하는 반응가스를 공급하는 반응가스 공급관을 포함하는 포집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공간과 연통되도록 하우징에 연결되어 미반응 원료를 주입하는 미반응 원료 입력단을 포함하는 포집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형성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우징에 연결되는 출력단 및 상기 출력단과 연통되도록 펌프가 연결되는 포집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포집공간에 배치되어 온도를 제어하는 제 1 발열체 및 상기 파우더 형성 공간에 배치되어 온도를 제어하는 제 2 발열체를 포함하는 포집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형성 공간에 배치된 제 2 발열체 상에 일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의 제 2 포집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포집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열체의 적어도 일단과 접속되는 제 1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 2 발열체의 적어도 일단과 접속되는 제 2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포집장치. - 내부에 포집공간 및 파우더 형성 공간이 마련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포집공간 및 파우더 형성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포집공간 및 파우더 형성 공간의 온도를 제어하는 발열체 포집공간의 발열체 상에 설치된 복수의 포집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내의 포집공간과 파우더 형성 공간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분할판을 구비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포집공간 및 복수의 포집 플레이트는 증착 온도로 가열하고, 파우더 형성 공간은 파우더 형성 온도로 가열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포집공간에 미반응 원료와 반응하는 반응가스를 주입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포집공간 및 복수의 포집 플레이트는 상기 미반응 원료와 반응가스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물이 증착되는 증착 온도로 가열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파우더 형성 공간은 상기 미반응 원료와 반응가스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물이 파우더화 되는 파우더 형성 온도로 가열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미반응 원료는 티엠에이(TMA: Trimethylaluminum)를 포함하고, 상기 미반응 원료가 상기 포집공간으로 주입될 때, 상기 포집공간으로 주입되는 반응가스로 오존(O3)를 사용하고, 상기 포집공간의 온도는 상기 미반응 원료 티엠에이(TMA: Trimethylaluminum)와 반응가스 오존(O3)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물이 증착되는 증착 온도로 가열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포집공간의 온도가 300℃ 내지 400℃가 되도록 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미반응 원료는 티엠에이(TMA: Trimethylaluminum)를 포함하고, 상기 미반응 원료가 상기 포집공간으로 주입될 때, 상기 포집공간으로 주입되는 반응가스로 오존(O3)를 사용하고, 상기 파우더 형성 공간의 온도는 상기 미반응 원료 티엠에이(TMA: Trimethylaluminum)와 반응가스 오존(O3)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물이 파우더화 되는 파우더 형성 온도로 가열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 청구항 17에 있어서,
파우더 형성 공간의 온도가 100℃ 내지 200℃가 되도록 하는 포집장치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2580A KR101122720B1 (ko) | 2010-05-06 | 2010-05-06 | 포집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2580A KR101122720B1 (ko) | 2010-05-06 | 2010-05-06 | 포집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3109A KR20110123109A (ko) | 2011-11-14 |
KR101122720B1 true KR101122720B1 (ko) | 2012-03-23 |
Family
ID=4539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2580A Active KR101122720B1 (ko) | 2010-05-06 | 2010-05-06 | 포집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227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1930B1 (ko) * | 2021-04-28 | 2021-10-13 | 주식회사 미래보 | 반도체 공정용 반응부산물 다중 포집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0906A (ko) * | 2004-12-01 | 2006-06-07 | 주성엔지니어링(주) | 포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
KR20090039018A (ko) * | 2007-10-17 | 2009-04-22 | 홍정의 | 배기가스 데포지션 장치 및 방법 |
-
2010
- 2010-05-06 KR KR1020100042580A patent/KR10112272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0906A (ko) * | 2004-12-01 | 2006-06-07 | 주성엔지니어링(주) | 포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 제조 장치 |
KR20090039018A (ko) * | 2007-10-17 | 2009-04-22 | 홍정의 | 배기가스 데포지션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3109A (ko) | 2011-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4346B1 (ko) | 리모트 플라즈마를 이용한 원자층 증착 시스템 | |
EP1747302B1 (en) | Bubbler for constant vapor delivery of a solid chemical | |
CN104620354A (zh) | 基板加热装置及处理腔室 | |
WO201116000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ursor delivery | |
CN103261478A (zh) | 用于在表面上进行原子层沉积的装置和方法 | |
CN109689929A (zh) | 通过原子层沉积(ald)进行颗粒涂覆 | |
Shin et al. | Atomic layer deposition: overview and applications | |
KR20140107843A (ko) | 다방향 순차적 소스 공급을 통한 파우더 상 균일 ald 공정 장치 | |
KR101122720B1 (ko) | 포집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CN102534556A (zh) | 一种常压多腔原子层沉积设备 | |
JP6477044B2 (ja) | 原料ガス供給装置、原料ガス供給方法及び成膜装置 | |
KR101036569B1 (ko) | 포집장치 | |
KR20140090187A (ko) | B₂f₄ 제조 방법 | |
KR101366385B1 (ko) | 원자층 박막 증착 장치 | |
US20160138157A1 (en) |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 |
CN102011105B (zh) | 低压淀积氧化硅工艺方法 | |
KR101614853B1 (ko) | 멀티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기 시스템 | |
KR20150128260A (ko) | 원자층 증착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하는 원자층 증착 장치 | |
KR101916289B1 (ko) | 탄화규소 증착 방법 | |
KR101764959B1 (ko) | 고속 원자층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 방법 | |
JP2009001899A (ja) | 金属酸化物薄膜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US20120071001A1 (en) | Vaporizing and feed apparatus and vaporizing and feed method | |
KR102125509B1 (ko) | 가스 밸브 조립체 및 기판 처리 장치 | |
US12215423B2 (en) | Gas manifold for simultaneous gas property control in deposition systems | |
TWI720499B (zh) | 用於原子層沉積的隔離沉積區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