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149B1 -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7149B1 KR101117149B1 KR1020110062178A KR20110062178A KR101117149B1 KR 101117149 B1 KR101117149 B1 KR 101117149B1 KR 1020110062178 A KR1020110062178 A KR 1020110062178A KR 20110062178 A KR20110062178 A KR 20110062178A KR 101117149 B1 KR101117149 B1 KR 101117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wall structure
- anchor
- blocks
- wall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이러한 외피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홈과, 외피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를 포함하며, 경사면을 따라 다단식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과,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이 다단식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홈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경사면을 향해 일측이 돌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연결보강체와, 경사면에 고정되는 앵커와, 고리와 앵커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이러한 외피의 상,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홈과, 외피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를 포함하며, 경사면을 따라 다단식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과,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이 다단식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홈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경사면을 향해 일측이 돌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연결보강체와, 경사면에 고정되는 앵커와, 고리와 앵커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용 블록을 쌓을 때 H형상의 보강재를 사용하고, 그 보강재와 경사면에 고정되는 앵커를 이어주도록 시공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이 시공되는 건축현장은, 암반부 또는 대지를 절개함에 따라 형성되는 절토부의 절개면이나, 지반을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가 다른 영역 간에 발생되는 성토부의 경사면에 대한 보강이 고려되어야 한다.
절토부는 임의적인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사를 갖는 절개면에 대한 구조물이며, 성토부는 성토하는 과정에서 고도차로 형성되는 경사면에 대한 구조물이다.
여기에서 상기 절개면 및 경사면은 다양한 방법으로 보강을 위한 시공 방법이 제시될 수 있다. 이 중 절토부는 특히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시공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절토부의 경사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또는 산석을 이용한 돌벽, 블록을 조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이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은 설치대상 경사지 및 암반 등의 형태에 대응한 유연성 및 가변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유연성 및 가변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지기반이 필요한데, 이러한 지지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공간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블록이나 자연석을 쌓아 올리는 방식의 옹벽 구조물은 외관이 우수하고 유연성과 가변성이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옹벽 구조물의 일부 블록 또는 자연석이 유출되거나 손상될 경우 전체 구조물이 붕괴될 우려가 높다.
이에 따라,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의 안전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이 요구되는 바이다.
본 발명은 H형상의 연결보강체를 각각의 옹벽용 블록에 삽입 연결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에 고정되는 앵커와 연결보강체를 와이어로 이어줌에 따라 연쇄 붕괴의 우려가 없는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벽용 블록의 전면에 초목의 종자나 발아된 싹을 수용하고 양분을 공급하는 배양체를 구비하여, 초목이 자연적으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옹벽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사상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홈과, 상기 외피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를 포함하며, 경사면을 따라 다단식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 상기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이 다단식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홈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경사면을 향해 일측이 돌출 형성된 고리를 포함하는 연결보강체; 경사면에 고정되는 앵커; 및 상기 고리와 상기 앵커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연결보강체는, 수직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수직부와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수직부; 및 상기 제1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를 수평방향으로 이어주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리가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옹벽용 블록의 연결홈에 끼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커는, 어스 앵커(earth anchor) 또는 소일 네일(soil nail)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는 경사면에 타설되는 보강콘크리트층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피는 상,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면은 전방 일부만 개방되며, 나머지 개방되지 않은 상기 하면의 후방에는 밀폐된 경계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는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의 상부 일부면에 피트모스, 유기질비료,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코코피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압착 성형한 배양체를 구비하여, 식물 배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피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옹벽 구조물은, 상기 옹벽용 블록의 뒷면에 형성되는 뒷채움 잡석층; 및 상기 뒷채움 잡석층 뒷면을 채우는 보강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뒷채움 잡석층은, 기초지반의 지면 아래쪽까지 형성되고, 상기 지면 아래쪽의 뒷채움 잡석층에 유공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르면, 기초지반 상에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을 일단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에 콘크리트 충진재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가 주입된 각각의 옹벽용 블록에 일부가 돌출된 고리를 구비한 H형상의 연결보강체를 각각의 옹벽용 블록에 삽입한 후,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를 양생하는 단계; 상기 일단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 상에,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을 다시 배열하고, 상기 옹벽용 블록에 콘크리트 충진재를 주입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에 H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보강체를 삽입하며,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를 양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옹벽용 블록 다단 적층 단계; 경사면에 앵커를 고정하고,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옹벽용 블록을 고정하는 연결보강체의 고리와 상기 앵커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하는 와이어로프 시공 단계; 및 상기 옹벽용 블록의 뒷면에 뒷채움 잡석층을 형성하고, 상기 뒷채움 잡석층의 뒷면에 보강토층을 형상하는 뒷채움 잡석층 및 보강토층 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옹벽용 블록을 일단으로 배열하는 단계 이전에, 기초지반 상에 터를 마련하는 터파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경사면에 앵커를 고정하고, 고정된 앵커와 다단으로 적층된 옹벽용 블록을 고정하는 연결보강체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해져 붕괴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H형상의 보강재가 각각의 옹벽용 블록이 서로 연결되도록 삽입 고정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해져 붕괴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한 틀 안에 콘크리트와 같은 콘크리트 충진재를 주입하여 굳힌 구조로 이루어져, 보다 저렴한 제조 단가로 옹벽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옹벽용 블록의 전면에 초목의 종자나 발아된 싹을 수용하고 양분을 공급하는 배양체를 구비하여, 초목이 자연적으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 구조물의 외관을 친환경적으로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옹벽용 블록과 연결보강체가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연결보강체와 앵커가 결합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이 배양된 옹벽 구조물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옹벽용 블록과 연결보강체가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연결보강체와 앵커가 결합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이 배양된 옹벽 구조물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크게, 옹벽용 블록(110)과, 연결보강체(120)와, 앵커(130)와, 와이어로프(140)를 포함한다.
먼저, 옹벽용 블록(110)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옹벽용 블록(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호간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옹벽용 블록(110)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피(112)와, 상기 외피(112)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홈(114)과, 상기 외피(112)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1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피(112)는 상, 하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의 후방 일부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옹벽용 블록(110)이 상호간에 적층될 시 그 안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116)가 밑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외피(112)는 합성목재, 합성수지 재질 또는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 강화플라스틱 및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재활용 합성수지란, 재활용된 합성수지를 말한다. 여기서 합성수지란, 유기 화합물의 합성으로 만들어진 수지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을 통틀어 말한다. 이때, 이러한 합성수지에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따위의 열가소성 수지와, 페놀수지, 요소수지 따위의 열경화성 수지가 포함된다.
그리고 합성목재는, 목재부스러기(대패밥, 톱밥)와 발포제를 혼합한 플라스틱을 성형할 때 발포시켜서 천연목재와 비슷한 외관이나 성질을 갖게 한 재료를 말한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사출 또는 압출성형으로 만든다.
이에 따라 외피(112)는 재활용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연결홈(114)은, 연결보강체(120)와 끼움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홈(114)은 상기 연결보강체(120)와 체결되는 부위보다 조금 더 넓은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 충진재(116)는, 혼화된 흙과 모래 등을 압출하여 채울 수 있는 재료로써, 하나의 일예로 콘크리트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골재 따위를 적당히 섞고 물에 반죽한 혼합물로써 내구성이 좋아 토목 공사나 건축의 주요 재료로 많이 쓰인다.
다음으로, 연결보강체(120)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110)이 다단식으로 적층되도록 연결홈(114)에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결보강체(120)는 H형상의 형강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보강체(120)는, 경사면(20)을 향해 일측이 돌출 형성된 고리(128)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보강체(120)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110)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매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앵커(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0)에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앵커(130)는 어스 앵커(earth anchor) 또는 소일 네일(soil nai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앵커(130)는 경사면(20)에 박아 넣거나, 경사면(20) 타설되는 보강콘크리트층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로프(140)는 고리(128)와 앵커(1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와이어로프(140)는 경사면(20)과 옹벽용 블록(110) 사이의 간격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변환이 가능하여 유효한 옹벽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고리(128)와 앵커(130)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옹벽 구조물(100)이 경사면(20)에 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일예로써, 턴버클(미도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옹벽용 블록(110)의 뒷면에 형성되는 뒷채움 잡석층과, 이러한 뒷채움 잡석층 뒷면을 채우는 보강토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뒷채움 잡석층은 옹벽 구조물(100)의 전면으로 우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잡석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보강토층(160)은 뒷채움 잡석층을 뒷면에서 보강해줌으로써 옹벽 구조물(100)이 보다 견고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내구성이 우수해져 외부의 요인(자연재해 등이 이에 해당됨)에 의한 붕괴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측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경사면(20)에 인접하여 시공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한 것으로, 경사면(20)을 추가로 굴토하지 않고 경사면(20)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견고한 옹벽 구조물(100)을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0)에 앵커(130)를 매립하고, 앵커(130)와 연결보강체(120)의 고리(128)를 와이어로프(140)로 연결한다.
여기서 고리(128) 하나에는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14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로프(140)들은 지반표면(10)과 일정한 각도를 가지게 형성된다.
경사면(20)과 옹벽용 블록(110)의 사이 공간은 뒷채움 잡석층(150)과 보강토층(160)으로 채워진다. 앵커(130)와 와이어로프(140)도 뒷채움 잡석층(150)과 보강토층(160)에 함께 매립된다.
뒷채움 잡석층(150)은 지반표면(10) 아래쪽까지 형성되며, 뒷채움 잡석층(150)의 가장 아래쪽에는 유공관(152)이 형성된다. 이때, 유공관(152)은 뒷채움 잡석층(150)에서 흘러 내려오는 우수(빗물)가 배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유공관(152)은 우수 배출관(미도시)과 연결되거나 하천으로 연결되어 옹벽 구조물(100)에서 배수되는 물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옹벽용 블록과 연결보강체가 결합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110)이 순차적으로 배열됨과 동시에 다단식으로 적층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연결보강체(120)는, 옹벽용 블록(110)이 상호간에 적층이 가능하도록 보강재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연결보강체(120)는, 수직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수직부(122)와, 상기 제1수직부(12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수직부(122)와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수직부(124)와, 상기 제1수직부(122) 및 상기 제2수직부(124)를 수평방향으로 이어주는 수평부(126)와, 상기 수평부(126)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리(128)를 포함한다. 이때, 수평부(126)는 옹벽용 블록(110)의 연결홈(114)에 끼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강체(120)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110)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매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옹벽용 블록(110)의 연결홈(114)에 수평부(126)가 끼워지고, 옹벽용 블록(110)의 외피(112) 내부공간에 제1수직부(122)와 제2수직부(124)가 삽입된다. 이때, 연결보강체(120)는 옹벽용 블록(1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116)를 통해 견고하게 양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보강체(120)는 옹벽용 블록(110) 상호간에 체결되는 하나의 수단으로써, 건축물 구조용 강재의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연결보강체와 앵커가 결합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동시에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다단식으로 적층된 옹벽용 블록(110)이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경사면(20)과 끈으로 연결하여 지탱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옹벽 구조물(100)은 옹벽용 블록(110)을 상호간에 고정 연결하는 연결보강체(120)에 일부 돌출된 고리(128)와 경사면(20)에 매립된 앵커(130)를 와이어로프(140)로 연결한다.
또한, 와이어로프(140)의 연결은 고리(128)마다 하나씩 연결할 수도 있고, 고리(128)마다 복수 개의 와이어로프(140)를 앵커(130)에 연결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옹벽 구조물(100)은 옹벽용 블록(110)이 상호간에 적층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보강체(120)와, 경사면(20)에 매립된 앵커(130)와 연결보강체(120)의 고리(128)를 연결함으로써, 다단식으로 쌓인 옹벽용 블록(110)이 받는 하중을 앵커(130)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옹벽 구조물(100)은 보다 견고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이 배양된 옹벽 구조물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별도의 배양체(30)를 구비함에 따라 초목이 자연적으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 구조물(100)의 외관을 친환경적으로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비탈진 경사면(20)에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110)이 상호간에 적층되며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110)은 연결보강체(120)를 통해 상호간에 고정 형성된다. 그리고 그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 충진재(116)로 채워질 수 있다.
도시된 옹벽용 블록(110)의 상부 전면부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116)의 상부 일부면에 피트모스, 유기질비료,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코코피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압착 성형한 배양체를 구비하여, 식물 배양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옹벽용 블록(110)에 초목이 자연적으로 성장하여, 옹벽 구조물(100)의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다.
여기서 배양체(30)는, 피트모스(peat moss), 유기질비료, 펄라이트(perlite), 제오라이트(zeolite), 코코피트(cocopeat)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압착 성형하여 고체스프와 같은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피트모스는 3,000년 이전의 수태종류가 지하수위가 높아져 혐기상태로 퇴적된 유기물로, pH는 3.5~5.5 정도의 강산성이다.
그리고, 피트모스는 크게 화이트 피트와 블랙피트로 구분하며, 화이트 피트는 피트층 상부에서 부분 부숙상태로 건조된 소재로 가볍고 기상공극이 풍부하나 보수력, 완충력, 물퍼짐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고, 화이트 피트는 다시 스패그넘 피트모스와 피트모스로 구분된다.
다음으로, 블랙피트는 하층부에서 보다 오래 부숙된 피트층으로, 보통 초겨울에 채굴하여 채취상태로 얼려 어는 동안 서릿발이 피트 조직을 섬세히 복원하도록 하여 미세한 섬유조직까지 활성화된 소재이다. 이에 보수력 및 완충력, 물퍼짐이 우수하나 기상공극이 비교적 적다는 특성이 있다.
다음으로,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급격히 가열하여 공극을 많이 한 경석으로 통기성과 보수성이 양호하여 작물의 조기 활착을 촉진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인조토양을 말한다. 반면, 염기치환용량은 거의 없어 보비력은 없으며, 토양공극을 증가시키는 토양개량제로 사용되고, 원예용 상토에는 보조 재료로도 활용된다.
다음으로, 제오라이트는 장석류의 미세한 다공 광물질로서 보수력, 보비력 및 배수력이 우수하며 유해가스 및 유해물질 흡착력이 높은 특징이 있다. 아울러 토양 산성화를 방지하고 k, Mg, Ca 등의 양분을 공급하므로 토양개량제, 비료혼합제, 중량제 등으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코코피트는 열대지방 야자수의 섬유물질로 리그닌의 함량이 높아 화학적으로 불활성 물질이다. 미생물 침투에 저항성이 있고 산화조건이 안정적이며, 상당한 유기 양분과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는 무독, 무취의 소재이다. 퇴비와는 달리 장기간 분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토 내에서 가스발생의 우려가 없다.
이렇듯, 배양체(30)는 상기와 같은 재질을 혼합하고 성형하여, 고체 스프와 같은 덩어리 상태로 형성되기는 하지만, 수분이나 미생물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부스러질 우려가 있으므로, 외피(112)로 감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에 있어서, 뒷채움 잡석층(150)은 옹벽용 블록(110)의 뒷면에 형성되고, 이러한 뒷채움 잡석층(150) 뒷면에는 보강토층(160)이 형성된다.
여기서 뒷채움 잡석층(150)은 옹벽 구조물(100)의 전면으로 우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잡석은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보강토층(160)은, 뒷채움 잡석층(150)을 뒷면에서 보강해줌으로써 옹벽 구조물(100)이 보다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100)은, 내구성이 우수해져 외부의 요인(자연재해 등이 이에 해당됨)에 의한 붕괴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크게, 터파기 단계(S100)와, 옹벽용 블록 일단 배열 단계(S200)와, 콘크리트 충진재 주입 단계(S300)와, 연결보강체 삽입 후 콘크리트 충진재 양생 단계(S400)와, 옹벽용 블록 다단 적층 단계(S500)와, 와이어로프 시공 단계(S600)와, 뒷채움 잡석층 및 보강토층 시공 단계(S700)를 포함한다.
이하, 각각의 단계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터파기 단계(S100)는 지반 상에 터를 마련한다. 이때, 터파기 단계(S100)는 기초공사가 끝나면 되메우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옹벽용 블록 일단 배열 단계(S200)는 터파기 된 지반 상에 옹벽용 블록을 일단으로 배열한다. 이때, 옹벽용 블록은 상부에 연결홈을 구비하여 각각의 옹벽용 블록이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해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연결수단이란,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을 연결하는 수단을 말하며, 본 발명에서는 연결보강체가 이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콘크리트 충진재 주입 단계(S300)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 충진재를 주입한다. 여기서 콘크리트 충진재는, 혼화된 흙과 모래 등을 압출하여 채울 수 있는 재료로, 하나의 일예로서 콘크리트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콘크리트는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골재 따위를 적당히 섞고 물에 반죽한 혼합물로써, 내구성이 커서 토목 공사나 건축의 주요 재료로 많이 쓰인다.
다음으로, 연결보강체 삽입 및 콘크리트 충진재 양생 단계(S400)는 콘크리트 충진재가 주입된 각각의 옹벽용 블록에 H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보강체를 삽입한다. 그 후에 옹벽용 블록의 내부공간에 주입된 콘크리트 충진재를 양생한다.
다음으로, 옹벽용 블록 다단 적층 단계(S500)는 일단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 상에, 또 다른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을 다시 배열한다. 그 후에 상기 옹벽용 블록에 콘크리트 충진재를 삽입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에 H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보강체를 삽입한다. 그 후에 콘크리트 충진재를 양생한다. 즉, 옹벽용 블록 다단 적층 단계(S500)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함에 따라 옹벽용 블록을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와이어로프 시공 단계(S600)는 우선, 경사면에 앵커를 고정한다. 그 후에, 연결보강체의 고리와 경사면에 고정된 앵커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한다. 이때, 앵커는 어스 앵커 또는 소일 네일을 사용하여 경사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앵커는 경사면에 박아 넣거나, 경사면에 타설되는 보강콘크리트층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로프는 경사면과 옹벽용 블록 사이의 간격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변환이 가능하여 유효한 옹벽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고리와 앵커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옹벽 구조물이 경사면에 고정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일예로써, 턴버클(미도시)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다음으로, 뒷채움 잡석층 및 보강토층 시공 단계(S700)를 수행한다.
뒷채움 잡석층은 우수의 배수를 위한 것으로, 우천시에 수분이 옹벽의 외벽을 향해서 흐르게 되면 강도 저하 및 붕괴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외벽의 뒤쪽에는 배수가 잘될 수 있도록 잡석층을 형성한다.
잡석층의 하부에는 유공관이 배치될 수 있다. 유공관은 잡석층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원활하게 수용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잡석층에서 흘러내려오는 물을 수용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유공관은 기준지면 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우수 배출관과 연결되거나 하천으로 연결되어 옹벽 구조물에서 배수되는 물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공관을 배치한 후, 옹벽의 외벽 뒤쪽으로는 잡석을 포설하고, 잡석의 뒤쪽으로는 보강토를 포설하여 옹벽 구조물을 완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경사면에 앵커를 고정하고, 고정된 앵커와 다단으로 적층된 옹벽용 블록을 고정하는 연결보강체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옹벽 구조물의 내구성이 우수해져 붕괴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H형상의 보강재가 각각의 옹벽용 블록이 서로 연결되도록 삽입 고정됨에 따라, 내구성이 우수해져 붕괴의 위험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한 틀 안에 콘크리트와 같은 콘크리트 충진재를 주입하여 굳힌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보다 저렴한 제조 단가로 옹벽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옹벽 구조물은 옹벽용 블록의 전면에 초목의 종자나 발아된 싹을 수용하고 양분을 공급하는 배양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렇게 구비된 배양체를 통해, 초목이 자연적으로 성장하도록 함으로써 옹벽 구조물의 외관을 친환경적으로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지반표면
20 : 경사면
30 : 배양체
100 : 옹벽 구조물
110 : 옹벽용 블록
112 : 외피
112a : 경계면
114 : 연결홈
116 : 콘크리트 충진재
120 : 연결보강체
122 : 제1수직부
124 : 제2수직부
126 : 수평부
128 : 고리
130 : 앵커
140 : 와이어로프
150 : 뒷채움 잡석층
152 : 유공관
160 : 보강토층
20 : 경사면
30 : 배양체
100 : 옹벽 구조물
110 : 옹벽용 블록
112 : 외피
112a : 경계면
114 : 연결홈
116 : 콘크리트 충진재
120 : 연결보강체
122 : 제1수직부
124 : 제2수직부
126 : 수평부
128 : 고리
130 : 앵커
140 : 와이어로프
150 : 뒷채움 잡석층
152 : 유공관
160 : 보강토층
Claims (12)
- 외관을 형성하며 상,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면은 전방 일부만 개방되며, 나머지 개방되지 않은 상기 하면의 후방에는 밀폐된 경계면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 또는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피와,
상기 외피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홈과,
상기 외피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 충진재를 포함하며, 경사면을 따라 다단식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
수직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수직부와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 및 상기 제2수직부를 수평방향으로 이어주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측면으로 고리가 돌출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이 다단식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연결홈에 체결되며, 체결시 경사면을 향해 상기 고리 돌출되는 연결보강체;
경사면에 타설되는 보강콘크리트층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앵커; 및
상기 고리와 상기 앵커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옹벽 구조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상기 옹벽용 블록의 연결홈에 끼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어스 앵커(earth anchor) 또는 소일 네일(soil na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내부에 채워지는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의 상부 일부면에 피트모스, 유기질비료,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코코피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압착 성형한 배양체를 구비하여, 식물 배양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 구조물은,
상기 옹벽용 블록의 뒷면에 형성되는 뒷채움 잡석층; 및
상기 뒷채움 잡석층 뒷면을 채우는 보강토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뒷채움 잡석층은,
기초지반의 지면 아래쪽까지 형성되고, 상기 지면 아래쪽의 뒷채움 잡석층에 유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 외관을 형성하며 상,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하면은 전방 일부만 개방되며, 나머지 개방되지 않은 상기 하면의 후방에는 밀폐된 경계면이 형성되고, 합성수지 재질 또는 재활용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옹벽용 블럭 외피를 기초지반 상에 일단으로 배열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 외피에 콘크리트 충진재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가 주입된 각각의 옹벽용 블록에 일부가 돌출된 고리를 구비한 H형상의 연결보강체를 각각의 옹벽용 블록에 삽입한 후,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를 양생하는 단계;
상기 일단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 상에, 복수 개의 옹벽용 블록을 다시 배열하고, 상기 옹벽용 블록에 콘크리트 충진재를 주입하여 상기 옹벽용 블록에 H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보강체를 삽입하며, 상기 콘크리트 충진재를 양생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옹벽용 블록 다단 적층 단계;
경사면에 앵커를 고정하고, 상기 다단으로 적층된 옹벽용 블록을 고정하는 연결보강체의 고리와 상기 앵커를 와이어로프로 연결하는 와이어로프 시공 단계; 및
상기 옹벽용 블록의 뒷면에 뒷채움 잡석층을 형성하고, 상기 뒷채움 잡석층의 뒷면에 보강토층을 형상하는 뒷채움 잡석층 및 보강토층 시공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시공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용 블록을 일단으로 배열하는 단계 이전에,
기초지반 상에 터를 마련하는 터파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구조물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178A KR101117149B1 (ko) | 2011-06-27 | 2011-06-27 |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2178A KR101117149B1 (ko) | 2011-06-27 | 2011-06-27 |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7149B1 true KR101117149B1 (ko) | 2012-03-07 |
Family
ID=4614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2178A KR101117149B1 (ko) | 2011-06-27 | 2011-06-27 |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7149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268641A (zh) * | 2017-02-28 | 2017-10-20 | 衡阳市金泓建筑装饰设计有限公司 | 一种生态斜孔砌块、用其建造的生态护墙及其建造方法 |
EP3259406A4 (en) * | 2015-02-21 | 2018-07-25 | Ladkat, Rajendra Vithal |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
KR102159398B1 (ko) | 2020-05-18 | 2020-09-24 | 심석래 | 소일네일링공법을 적용한 옹벽 구조물 고정장치 |
KR102455507B1 (ko) * | 2021-12-13 | 2022-10-17 | 한국구조안전 주식회사 | 사태 방지용 옹벽 구조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0284B1 (ko) | 2003-12-17 | 2004-12-04 | 김갑중 |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
KR20050116056A (ko) * | 2004-06-04 | 2005-12-09 | 정정길 | 석축구조 및 시공방법 |
KR20060082487A (ko) * | 2005-01-12 | 2006-07-18 | 정재천 | 블록 |
KR100918902B1 (ko) | 2008-04-24 | 2009-09-23 | 최영곤 | 배양체를 구비하는 식생 블럭 |
-
2011
- 2011-06-27 KR KR1020110062178A patent/KR1011171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60284B1 (ko) | 2003-12-17 | 2004-12-04 | 김갑중 | 생태 블록들의 결합체 |
KR20050116056A (ko) * | 2004-06-04 | 2005-12-09 | 정정길 | 석축구조 및 시공방법 |
KR20060082487A (ko) * | 2005-01-12 | 2006-07-18 | 정재천 | 블록 |
KR100918902B1 (ko) | 2008-04-24 | 2009-09-23 | 최영곤 | 배양체를 구비하는 식생 블럭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59406A4 (en) * | 2015-02-21 | 2018-07-25 | Ladkat, Rajendra Vithal | A retaining wall method of precast block to prevent landslide |
CN107268641A (zh) * | 2017-02-28 | 2017-10-20 | 衡阳市金泓建筑装饰设计有限公司 | 一种生态斜孔砌块、用其建造的生态护墙及其建造方法 |
KR102159398B1 (ko) | 2020-05-18 | 2020-09-24 | 심석래 | 소일네일링공법을 적용한 옹벽 구조물 고정장치 |
KR102455507B1 (ko) * | 2021-12-13 | 2022-10-17 | 한국구조안전 주식회사 | 사태 방지용 옹벽 구조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9017B1 (ko) | 블록이 일체화되는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117149B1 (ko) | 경사면에 적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 |
CN201826318U (zh) | 道路疏松土质边坡简易生态护坡结构 | |
CN210031857U (zh) | 一种生态路堤边坡构造 | |
CN111543233A (zh) | 沿海岛屿地区淤泥质盐碱地苗木种植的施工方法 | |
US20230157219A1 (en) | Vegetation Maintenance System | |
CN111173006B (zh) | 联合透水挡墙和触探式植筋带加固坡积土的生态护坡方法 | |
CN111593748A (zh) | 一种破碎岩石陡坡的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 |
KR101114877B1 (ko) | 흡음 성능이 우수한 옹벽용 블록 및 그 제조방법 | |
CN105155576A (zh) | 一种挡土墙及其砌砖 | |
KR100935176B1 (ko) |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KR100945473B1 (ko) |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 구조물 및 이 식생블록 구조물의 현장 타설 방법 | |
KR100960601B1 (ko) | 사면 보호용 생태블록 | |
KR101104691B1 (ko) | 식생 csg를 이용한 댐 제방의 보강 시공 방법 | |
CN216194816U (zh) | 一种土质坡面加固支护结构 | |
CN101046096B (zh) | 袋体堆叠结构 | |
CN205012366U (zh) | 一种挡土墙及其砌砖 | |
CN214301792U (zh) | 一种基于废弃物再利用的软岩边坡生态护坡结构 | |
JP5270748B2 (ja) | 植栽用基盤の構造 | |
CN111501667B (zh) | 一种水利工程用生态护坡结构 | |
CN211498880U (zh) | 一种三维生态柔性护坡 | |
CN113216224A (zh) | 一种绿色矿山露天开采碎石土边坡复绿技术 | |
JP3645229B2 (ja) | スピードプレハブ緑化工法およびその擁壁ブロック | |
CN215759084U (zh) | 装配式鳞片生态骨架 | |
CN110710420A (zh) | 一种岩石边坡tbs的支护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