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14885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885B1
KR101114885B1 KR1020057010754A KR20057010754A KR101114885B1 KR 101114885 B1 KR101114885 B1 KR 101114885B1 KR 1020057010754 A KR1020057010754 A KR 1020057010754A KR 20057010754 A KR20057010754 A KR 20057010754A KR 101114885 B1 KR101114885 B1 KR 101114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mowing
harvesting
vehicle speed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732A (ko
Inventor
와타루 나카가와
토모히로 코야마
미츠테루 오오니시
Original Assignee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레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0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저속주행 수확작업을 행할 때에, 볏짚의 이삭끝이, 예취부의 볏짚 일으켜세우기 작업으로 훑어져서 탈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고속주행 수확작업을 행할 때에, 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콤바인을 제공한다. 예취부에 있어서의 구동속도를, 차속과 동조하고 또한 차속의 증대에 비례해서 증대하는 차속 동조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 또는 차속의 증감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대략 일정한 회전수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해서, 예취부를 구동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콤바인에 있어서,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와, 예취부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축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예취 입력센서와, 상기 예취부의 구동속도를, 저속 일정속도, 또는 차속 동조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를 장착해서 이동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주행 크롤러를 구동하는 미션 케이스와, 예취부와, 탈곡부를 설치한다.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상기 탈곡부 및 예취부 및 미션 케이스에 각각 전달한다. 상기 예취부를, 상기 미션 케이스로부터의 차속 동조속도 출력, 또는 엔진으로부터의 대략 일정속도 출력 중 어느하나로 구동하여, 수확작업을 행하는 기술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종래, 예를 들면 포장침지(圃場枕地)에서 선회(방향전환)할 경우 등에 있어서, 예취부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로부터 저속 일정속도로 바꾸고, 상기 예취부의 볏짚을 탈곡부에 반출하여, 상기 예취부에 있어서의 짚막힘 등을 방지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10-28601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10-127146호 공보
상기 저속 일정속도로 볏짚을 예취하는 경우, 차속(콤바인의 이동속도)에 대해서 예취부에 있어서의 볏짚 반송속도가 빠르게 되었을 때에는, 볏짚의 이삭끝이 예취부의 볏짚 일으켜세우기 작업으로 훑어져서 탈립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고속주행으로 수확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기 미션케이스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주행 크롤러 및 예취부의 각 구동부하가 커지므로, 상기 구동부하가 과부하로 되어 고속주행일 때의 수확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저속주행 수확작업을 행할 때에, 볏짚의 이삭끝이 예취부의 볏짚 일으켜세우기 작업으로 훑어져서 탈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고속주행 수확작업을 행할 때에, 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예취부에 있어서의 구동속도를, 차속과 동조하고 또한 차속의 증대에 비례해서 증대하는 차속 동조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 또는 차속의 증감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일정한 회전수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해서, 예취부를 구동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 기체에 탑재된 카운터 케이스 내의 예취 변속축에, 상기 차속 동조속도를 저속측으로 변속한 예취 변속 저속출력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저속기어와, 상기 차속 동조속도를 고속측으로 변속한 예취 변속 고속출력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고속기어와, 상기 각 기어를 선택적으로 상기 예취 변속축에 결합시키기 위한 예취 변속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고, 예취 변속 스위치의 전환조작에 따라서, 상기 예취 변속 슬라이더로 상기 각 기어의 어느 쪽을 상기 예취 변속축에 택일적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예취부를 상기 예취 변속 저속출력으로 구동시키든지, 또는 상기 예취 변속 고속출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차속 동조구간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의 속도를, 차속 동조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조작하기 위한 유입 페달을 구비하고, 상기 예취 변속축에는,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고속 일정속도로서 전달하기 위한 고속 컷 기어와, 상기 고속 컷 기어를 상기 예취 변속축에 결합시키기 위한 전환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 페달의 전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전환 슬라이더로 상기 고속 컷 기어를 상기 예취 변속축으로 결합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예취부를 상기 예취 변속 저속출력 혹은 상기 예취 변속 고속출력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속 일정속도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라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상기 예취부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 중 어느 하나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유입페달을 구비한 것이므로, 저속주행 수확작업에 있어서의 예취부의 볏짚 일으켜세우기 작업으로 볏짚의 이삭끝이 훑어져서 탈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속주행 수확작업에 있어서 과부하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속주행 수확작업 또는 고속주행 수확작업 중 어느 것일 때나, 상기 예취부를 상기 저속 일정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로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어, 저속주행 수확작업의 예취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고속주행 수확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동 평면도이다.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앞부분 기체의 정면설명도이다.
도 5는 기대(機臺)의 평면설명도이다.
도 6은 카운터 케이스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앞부분 기체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동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카운터 케이스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엔진의 출력 계통도이다.
도 11은 미션 케이스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12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13은 카운터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동 구동 계통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변형 설명도이다.
도 16은 앞 도면의 구동 계통도이다.
도 17은 토크 리미터부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동 토크 리미터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19는 동 토크 리미터부의 분해 확대도이다.
도 20은 동 부분확대도이다.
도 21은 제어회로도이다.
도 22는 예취부 속도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3은 예취부를 구동하기 위한 예취 전동축의 예취 회전수(KVx)와, 차속(SV)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24는 예취부의 변속이 고속과 저속일 때의 예취 전동축의 예취 회전수(KVx)와, 차속(SV)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25는 제어회로도이다.
도 26은 액정패널의 표시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7은 액정패널의 표시화면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고속 컷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29는 고속 컷 제어의 출력선도이다.
도 30은 예취 퀵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
도 31은 예취 퀵 제어의 출력선도이다.
도 32는 수확작업 제어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7 : 예취부 112 : 입력축
277 : 유입 페달(전환수단) 285, 286 : 차속센서
288 : 예취 입력센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의 좌측면도, 도 2는 동 평면도,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적용한 콤바인은, 좌우 한쌍의 주행 크롤러(2)를 장착하는 좌우 한쌍의 트랙 프레임(1)과, 상기 좌우 트랙 프레임(1)의 사이에 가설하는 기대와, 피드체인(5)을 좌측에 팽팽히 가설하고 또한 급동(扱胴)(6) 및 처리동(6a)을 내장하는 탈곡부(4)와, 일으켜세우는 기구(8) 및 베는 날(9) 및 볏짚 반송기구(10)를 배치하는 예취부(7)와, 예취부(7)를 승강하도록 예취 프레임(12)에 연결하는 유압 승강실린더(11)와, 짚배출 체인(14) 종단을 향하게 하는 짚배출 처리부(13)와, 탈곡부(4)로부터의 곡물입자를 양곡통(15a)을 통해서 반입하는 곡물탱크(15)와, 상기 곡물탱크(15) 내의 곡물을 기체 밖으로 반출하는 세로 및 가로배출 오거(16, 17)와, 운전조작 핸들(19) 및 운전석(20)을 내설하는 운전 캐빈(18)과, 운전 캐빈(18)의 하방에 설치하는 엔진(21)을 구비하고, 포장(圃場)의 볏짚을 연속적으로 베어내서 탈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콤바인의 기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미션 케이스(22)를 기대(3) 앞측에서 좌우의 주행 크롤러(2)의 사이에 설치한다. 미션 케이스(22)와 엔진(21)을 대략 직렬로 전후에 설치하여, 엔진(2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22)를 통해서 주행 크롤러(2)에 전하도록 구성한다.
탈곡부(4) 앞측의 기대(3) 상면에는, 좌우 지지대(23, 24)를 세워서 설치한다. 좌우 지지대(23, 24)에는, 예취 프레임(12)을 통해서, 승강가능 및 횡이동할 수 있게 예취부(7)를 설치한다. 좌우 지지대(23, 24)의 뒤측의 기대(3) 상면에는, 카운터 케이스(25)를 설치하고, 엔진(2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카운터 케이스(25) 를 통해서 탈곡부(4) 및 예취부(7)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도 10참조).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22)의 옆쪽의 기대(3)에 는, 캐빈 앞 프레임(26)을 세워서 설치한다. 캐빈 앞 프레임(26)의 상부를, 회동지점축(28)을 통해서 캐빈(18)의 스텝 프레임(27)의 앞부분에 설치한다. 캐빈(18)을, 회동지점축(28)을 통해서 캐빈 앞 프레임(26)의 상부에 연결한다.
우 지지대(24)에는, 좌캐빈 뒤 프레임(29)을 세워서 설치한다. 엔진(21)을 기대(3) 상면에 설치하고, 기대(3)에 세워서 설치하는 우캐빈 뒤 프레임(30)과, 좌캐빈 뒤 프레임(29) 사이에 엔진(21)을 배치한다. 엔진(21)을 덮는 엔진 룸 커버(31)를 설치한다(도 4참조).
또한 좌우 캐빈 뒤 프레임(29, 30)의 상부를 캐빈 옆 프레임(32)으로 연결하고, 캐빈 옆 프레임(32)을 엔진 룸 커버(31)의 상방에 배치한다. 스텝 프레임(27)의 뒷부분과 캐빈 옆 프레임(32)을, 다이 브래킷(33)을 통해서 걸거나 벗길수 있도록 연결한다(도 4참조).
수평연결 프레임(34)을, 우 지지대(24)와 캐빈 앞 프레임(26) 사이에 배치한다. 한편, 경사연결 프레임(35)을, 수평연결 프레임(34)과 캐빈 옆 프레임(32)에 연결하여 수평 및 경사연결 프레임(34, 35)으로 캐빈 앞 프레임(26)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도 5 참조).
또한 오거 지주(36)를 좌캐빈 뒤 프레임(29)에 연결하고, 승강 및 선회가능한 배출 오거(17)를 본기 수납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오거 레스트(37)를, 오거 지주(36)의 상측에 설치한다(도 7 참조).
또한,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엔진(21)의 구동력을 미션 케이스(22)에 전달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미션 케이스(22)는, 1쌍의 유압 주행펌프(38) 및 유 압 주행모터(39)로 이루어지는 주행 주변속용의 유압식 무단변속기구를 형성하는 주행변속부재(40)와, 1쌍의 유압 선회펌프(41) 및 유압 선회모터(42)로 이루어지는 선회용의 유압식 무단변속기구를 형성하는 선회부재(43)를 구비한다. 미션 케이스(22)의 입력축(45)을 엔진(21)의 출력축(44)에 연결한다. 상기 주행펌프(38) 및 선회펌프(41)를, 엔진(21)으로부터의 출력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차동기구(48)는 좌우 대칭의 1쌍의 유성기어기구(50)를 갖는다. 각 유성기어기구(50)는, 1개의 태양기어(51)와, 상기 태양기어(51)의 외주에서 맞물리는 3개의 유성기어(52; planetary gear)와, 이들 유성기어(52)에 맞물리는 링기어(53)로 이루어진다(도 11 참조).
유성기어(52)를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기 위한 좌우 캐리어(56)를, 태양기어(51)의 아이들링축(54)과 동축선상의 좌우 차축(55)에 설치한다. 좌우 캐리어(56)는 좌우 태양기어(51)를 끼우도록 대향해서 배치한다. 한편, 각 유성기어(52)에 맞물리는 내부톱니를 갖는 링기어(53)를, 차축(55)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한다. 구동륜(49)을 차축(55)에 축지지하고, 좌우 주행 크롤러(2)의 각 구동륜(49)을, 부변속 기구(47) 및 차동기구(48)를 통해서 주행모터(39)의 모터축(46)에 연결한다(도 11 참조).
주행변속부재(40)는, 주행펌프(38)의 경사판 각도의 변경에 의해 주행모터(39)의 정역회전과 회전수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주행모터(39)의 회전을, 모터축(46)과 부변속기구(47)의 저속 및 고속 기어(57?58)와, 브레이크축(59)과, 분기축(60)을 통해서 좌우 링기어(53)에 전달하고, 좌우 캐리어(56)를 회전하도록 구성하 고 있다(도 11 참조). 또, 주차 브레이크(61)를 브레이크축(59)에 배치한다.
한편, 예취부(7)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예취 구동풀리(62)를 상기 모터축(46)에 설치한다. 예취부(7)를, 예취 구동풀리(62)를 통해서 차속 동조속도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도 11 참조).
상기와 같이, 주행모터(39)의 구동력을 상기 분기축(60)을 통해서 링기어(53)에 전달하고, 좌우의 유성기어기구(50)를 통해서 좌우 캐리어(56)에 전달하고, 좌우 캐리어(56)를 통해서 좌우 구동륜(49)에 각각 전달하여, 좌우 주행 크롤러(2)를, 동일한 방향으로 동일속도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도 11 참조).
조향 출력 브레이크(63)를 모터축(64)에 배치하고, 조향 출력 클러치(65)를 클러치축(66)에 배치하고, 좌우 입력기어(67, 68)를 좌우 태양기어(51)에 항상 맞물린다. 한편, 클러치축(66)을, 선회모터(42)의 출력용의 상기 모터축(64) 및 조향 출력 클러치(65)를 통해서, 좌우 입력기어(67, 68)에 연결한다. 좌우의 입력기어(67, 68)를, 정회전기어(69) 및 역회전기어(70)를 통해서 클러치축(66)에 연결한다(도 11 참조).
모터(42)의 회전력을 정회전기어(69)를 통해서 우 태양기어(51)에 전달하는 한편, 모터(42)의 회전력을 역회전기어(70)를 통해서 좌 태양기어(51)에 전달하고, 선회모터(42)를 정전(역전)했을 때에, 좌우 동일 회전수로, 좌 태양기어(51)를 역전(정전)하는 한편, 우 태양기어(51)를 정전(역전)하여, 좌우 주행 크롤러(2)를 역방향으로 동일 속도로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선회용의 유압식 무단변속기구를 형성하는 선회부재(43)는, 선회펌프(41)의 경사판 각도의 변경에 의해 선회모터 (42)의 정역회전과 회전수의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한다(도 11 참조).
따라서, 선회모터(42)를 정지해서 좌우 태양기어(51)를 정지했을 경우, 주행모터(39)를 구동했을 때에, 주행모터(39)의 회전은, 좌우 링기어(53)에 동일 회전수로 전달된다. 그 때문에 좌우의 주행 크롤러(2)에는, 캐리어(56)를 통해서 좌우 동일 회전방향이며 동일 회전수의 구동력이 전해지기 때문에, 좌우 주행 크롤러(2)의 구동으로 기체가 전후 방향으로 직진 이동하게 된다(도 11 참조).
한편, 주행모터(39)를 정지해서 좌우 링기어(53)를 정지했을 경우, 선회모터(42)를 정회전(또는 역회전)의 방향으로 구동했을 때에, 좌측의 유성기어기구(50)가 정전(또는 역회전)하는 한편, 우측의 유성기어기구(50)가 역전(또는 정회전)하여, 좌우 주행 크롤러(2)를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좌우 주행 크롤러(2)의 구동으로 기체가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이동하게 된다(도 11 참조).
다른 한편, 주행모터(39)와 선회모터(42)의 양쪽을 동시에 구동했을 경우, 기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좌우로 선회이동하기 때문에, 기체의 진로를 수정할 수 있다. 기체의 선회반경은, 선회모터(42)의 출력 회전수로 결정되도록 구성한다.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21)의 수냉용 라디에이터의 냉각팬(72)을 구비하고, 냉각팬(72)을 팬축(71)에 배치하고, 팬축(71)을 입력축(45)에 연결한다. 주행 및 선회펌프(38, 41)의 각 펌프축(73, 74)에는, 기어군(75)을 통해서 상기 팬축(71)을 연결한다. 입력축(45)을 각 펌프(38, 41)에 연결한다. 주행펌 프(38)의 펌프축(73)과, 주행모터(39)의 모터축(46)을, 차속 정속 클러치(76)를 통해서 정속축(77)에 연결한다. 펌프축(73)과 모터축(46)을, 차속 정속 클러치(76)의 연결시에, 정속축(77)을 통해서 기어 연결한다.
입력축(45)의 회전을, 주행변속부재(40)를 개재하는 일없이, 부변속기구(47)에 전하고, 엔진(21)의 정속회전으로 좌우 주행 크롤러(2)를 구동하여, 대략 일정한 차속으로 주행해서 수확작업 등을 행하게 하도록 구성한다(도 11 참조). 또, 챠지펌프(78)를 선회펌프 축(74)에 연결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여, 주행모터(39)를 구동하는 유압회로를 설명한다. 주행펌프(38)의 경사판(79) 각도를 변경해서 출력 조정하는 주변속 실린더(80)와, 주변속 레버(81) 및 조향핸들(19)로 전환되는 변속밸브(82)와, 주행펌프(38) 출력을 일정량 감속하는 밸브(83)를 설치한다. 상기 챠지펌프(78)는, 각 밸브(82, 83)를 통해서 주변속 실린더(80)에 유압 접속하도록 형성한다.
주변속 레버(81)로 변속밸브(82)를 바꾸면, 주변속 실린더(80)가 작동해서 주행펌프(38)의 경사판(79) 각도를 변경하고, 주행모터(39)의 모터축(46)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거나, 역전시키는 주행변속 동작을 행하게 하는 한편, 변속밸브(82)가 상기 경사판(79)의 각도조절 동작으로 중립 복귀하도록 피드백 동작을 행하게 하고, 상기 경사판(79) 각도가 주변속 레버(81)의 조작량에 비례해서 변화되고, 주행모터(39)의 회전수가 변화되어서 차속을 변경하도록 구성한다(도 12 참조).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모터(39)의 경사판(84) 각도를 변경 해서 출력 조정하기 위한 부변속 실린더(85)를 설치하고, 부변속 실린더(85)를 상기 챠지펌프(78)에 전자 부변속 밸브(86)를 통해서 유압 접속하도록 형성한다. 부변속 밸브(86)가 중립일 때에 부변속 실린더(85)를 기름탱크인 미션 케이스(22)에 단락하고, 주행모터(39)의 경사판(84) 각도를 주회로 유압으로 변화시키는 한편, 경사판(84) 각도를 부변속 밸브(86)의 전환으로 강제적으로 변화시켜서, 주행모터(39)의 출력을 고속 또는 저속으로 변경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펌프(41)의 경사판(87) 각도를 변경해서 출력 조정하기 위한 선회 실린더(88)와, 조향핸들(19) 및 주변속 레버(81)에 연결시켜서 이들의 조작으로 전환되는 선회밸브(89) 및 전자 자동 조향밸브(90)를 설치한다. 챠지펌프(78)를, 선회밸브(89) 및 전자 자동 조향밸브(90)를 통해서 선회 실린더(88)에 유압 접속하도록 형성한다.
조향핸들(19)로 선회밸브(89)를 바꾸면, 선회 실린더(88)가 작동해서 선회펌프(41)의 경사판(87) 각도가 변경되어서, 선회모터(42)의 모터축(64)의 회전수를 무단계로 변화시키거나, 역전시키는 좌우 선회동작을 행하게 하는 한편, 상기 경사판(87)의 각도조절 동작으로 선회밸브(89)가 중립 복귀하도록 피드백 동작을 행하게 함으로써, 상기 경사판(87) 각도가 조향핸들(19)의 조작량에 비례해서 변화되고, 선회모터(42)의 회전수가 변화되어서 좌우 선회각도를 변경하도록 구성한다(도 12 참조).
또한 주변속 레버(81)가 중립 이외의 위치로 조작되고, 또한 조향핸들(19)이 직진 이외로 조작됨으로써, 주행펌프(38)의 유압출력이 주변속 레버(81)의 조작방 향과 조작량에 비례해서 증감하고, 유압모터(39)를 정역전 또는 증감속해서 전후진 속도(차속)를 변경하면, 선회펌프(41) 출력이 주변속 레버(81)의 조작량에 비례해서 변화되도록 구성한다(도 12 참조).
주변속 레버(81)를 조작했을 때에, 고속측 주행변속으로 선회반경을 자동적으로 작게 하고, 또한 저속측 주행변속으로 선회반경을 자동적으로 크게 하는 한편, 조향핸들(19)을 조작했을 때에, 좌우 주행 크롤러(2)의 선회반경이 주행속도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어서, 작업 주행속도의 변경 및 잘리지 않은 볏짚열 등에 기체를 따르게 하는 진로수정 등이 행해지게 된다.
한편, 각 밸브(82, 89)를 제어했을 때에, 선회펌프(41)의 출력과 주행펌프(38)의 출력이, 조향핸들(19)의 조작량에 비례해서 변화되고, 선회반경(조타각)을 작게(크게) 하면, 주행속도(차속)가 비례해서 감속되어서, 좌우 주행 크롤러(2)의 속도차가 커지고, 좌우로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좌우 주행 크롤러(2)의 구동속도를 변경해서 조맞춤 진로수정 및 포장침지에서의 스핀턴에 의한 방향전환을 행하고, 연속적으로 볏짚을 베어내어 탈곡하는 수확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 주변속 레버(81)가 중립일 때는, 조향핸들(19)의 조작에 관계없이, 선회밸브(89)가 중립 유지되어서, 선회펌프(41)의 유압출력을 대략 0으로 유지하고, 선회모터(42)를 정지하도록 구성한다.
다음에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카운터 케이스(25)의 전동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엔진(21)의 출력축(44)을, 카운터 케이스(25) 앞측 및 뒤측에 돌출설치한다. 출력축(44) 앞측을 상기 입력축(45)에 연결한다. 출력축(44)의 뒤측에는 작 업 출력풀리(91)를 배치한다. 엔진(21)의 좌측에서 탈곡부(4) 앞측의 기대(3) 상에 카운터 케이스(25)를 설치한다. 카운터 케이스(25)는, 입력풀리(92), 차속 동조 풀리(93), 탈곡풀리(94), 예취풀리(95), 선별풀리(96)를 구비한다. 카운터 케이스(25)의 뒤측의 입력풀리(92)를 작업 출력풀리(91)에 텐션 탈곡 클러치(97)를 통해서 벨트(98) 연결하고, 엔진(2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입력풀리(92)를 통해서 카운터 케이스(25)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카운터 케이스(25) 우측의 차속 동조 풀리(93)를, 우 지지대(24) 앞측의 아이들풀리(99)를 통해서, 미션 케이스(22)의 예취 구동풀리(62)에 벨트(100) 연결한다. 예취 입력풀리(103)를 예취 입력축(102)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101)의 좌측에 축지지하고, 또한 상기 카운터 케이스(25) 좌측의 예취풀리(95)를 예취 입력풀리(103)에 벨트(104) 연결하여, 예취부(7)의 각 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도 10 참조). 또, 예취입력 케이스(101)를 지지대(23, 24)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상기 케이스(101)에 예취 프레임(12)을 연결하고, 예취부(7)를 케이스(101) 주위에 회전시켜서 승강시키도록 구성한다.
다음에 카운터 케이스(25) 앞측의 탈곡풀리(94)를, 상기 급동(6)의 구동 입력풀리(105)에 벨트(106) 연결하고, 선별풀리(96)로부터의 구동력을 급동(6) 하측의 선별풍구 및 요동선별기구에 전달하여, 탈곡부(6)의 각 부를 구동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피드체인 입력축(107)을 상기 카운터 케이스(25)의 좌측면에 설치하고, 상기 피드체인(5)의 구동 스프로킷(108)을 피드체인 입력축(107)에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치하여, 입력축(107)으로부터의 동력을 구동 스프로킷(108)에 전달하 도록 구성한다(도 10 참조).
다른 한편, 배출 구동풀리(109)를 상기 곡물탱크(15) 앞측에 설치한다. 상기 풀리(109)를 상기 작업 출력풀리(91)에 배출 클러치(110)를 통해서 벨트 연결하고, 엔진(21)으로부터의 출력을 배출 오거(17)에 전달하여, 탱크(15)의 곡물을 배출하도록 구성한다(도 10 참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동 입력축(111)을 카운터 케이스(25)에 축지지하고, 상기 축(111)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전후방향으로 이어설치한다. 탈곡풀리(94)를, 카운터 케이스(25)의 전면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상기 축(111)의 전단부에 설치하는 한편, 입력풀리(92)를, 카운터 케이스(25)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기 축(111)의 후단부에 설치하고, 엔진(21)으로부터의 일정 회전 이동력을 급동 입력축(111)에 입력해서 이 입력축(111)을 정속회전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동조 입력축(112)을 상기 카운터 케이스(25)의 우측에 축지지하고, 동조 입력축(112)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우측 외측으로 돌출하며, 차속 동조 풀리(93)를 상기 축(112)의 우측 단부에 배치하고, 벨트(100)를 아이들풀리(99)를 통해서 풀리(62, 93) 사이에 긴장시켜서, 차속동조 동력을 미션 케이스(22)로부터 카운터 케이스(25)에 입력하도록 구성한다(도 10 참조).
또한, 상기 급동 입력축(111)에 베벨기어(113)를 통해서 연결하는 카운터축 또는 선별 입력축인 정속축(114)과, 상기 축(114) 앞측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는 차속 동조축(115)을, 카운터 케이스(25)에 축지지하는 한편, 동조 입력축(112)의 차속동조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일방향 클러치(120)를, 동조 입력축(112) 상에 설치하고, 차속 동조 풀리(93)로부터의 동력을 일방향 클러치(120)에서 기어(117)에 전해주면, 기어(117) 및 예취 클러치(118)를 통해서 차속 동조축(115)이 회전하도록 구성한다(도 14 참조).
또한, 예취 정속기구(121)를 형성하기 위한 예취 정속 클러치(122)와, 고속 컷 기어(123)를, 상기 각 축(114, 115)에 설치하고, 각 축(114, 115)을 클러치(122) 및 기어(123)를 통해서 연결하고, 전환 슬라이더(124)에서 상기 각 기어 클러치(118, 122)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결합하면, 예취부(7)를 차속과 동조한 구동속도로 구동하는 한편, 예취부(7)를 차속 동조속도보다 빠른 고속 일정속도(고속 컷 구동속도)로 구동해서 쓰러진 볏짚을 베어내게 된다(도 14 참조).
또한 정속축(114)의 좌측단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좌측의 하부 후측으로 돌출하고, 선별풀리(96)를 정속축(114)의 좌측 단부에 축지지한다. 한편, 예취 전동축(125)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좌측의 하부 앞측에 축지지하고, 상기 예취 전동축(125)의 우측을 토크 리미터(126)를 통해서 차속 동조축(115)에 연결한다. 상기 예취 전동축(125)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좌측으로 돌출하고, 예취풀리(95)를 예취 전동축(125)의 좌측 단부에 축지지한다. 상기 예취 입력축(102)에 예취 구동축(127)을 기어(128) 연결하고, 예취 입력풀리(103)를 예취 구동축(127)에 축지지한다(도 14 참조).
따라서, 토크 리미터(126)에 전달하는 차속동조 입력의 온/오프와, 정속구동 입력의 온/오프를, 동일한 슬라이더(124)에서 행함으로써, 토크 리미터(126)에 전해주는 차속동조 입력과 정속구동 입력이 동시에 온으로 되는 문제를 없애고, 차속 동조 입력과 정속구동 입력이 슬라이더(124)에서 택일 선택되어서 전해지고, 전동전환의 제어가 불필요하게 되어, 취급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어(128)의 케이스를 좌 지지대(23)에 지점축(199)을 통해서 세로축주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예취 입력 케이스(101)의 좌측을 기어(128)의 케이스에 고정하고, 상기 기어(128)를 각 케이스(101)에 내설함으로써, 예취 전동축(130)을, 상기 케이스(101) 우단측의 예취 프레임(12)에 안쪽으로 삽입할 수 있고, 예취 동력을 예취 입력축(102)의 좌단측에서 입력하여, 예취부(7)의 구동을 예취 전동축(130)을 통해서 행할 수 있는 한편, 예취부(7)를, 지점축(129) 주위에 기체 좌측에 대략 수평으로 회전 이동하여, 기체 내측의 각 케이스(22?25) 부근의 유지보수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체인 입력축(107)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좌측 상부에 축지지한다. 상기 입력축(107)을, 피드체인 클러치(131)를 통해서 피드체인 구동축(132)에 체인(133) 연결하고, 정속축(114)의 회전을 차속 동조축(115)의 회전수 변화로 변속해서 전하도록 한 피드체인 변속기구(134)를 설치한다.
피드체인기구(134)는 태양기어(135)와, 유성기어(136)와, 링기어(137)를 구비하는 유성기어기구(138)로 무단변속 가능하게 형성한다. 태양기어(135)를 정속축(114)에 결합 축지지하고, 링기어(137)를 정속축(114)에 아이들링 지지하고, 링기어(137)를 차속 동조축(115)에 기어(139)를 통해서 연결한다(도 14 참조).
한편, 유성기어(136)를 축받이체(140)에 아이들링 지지하고, 축받이체(140) 를 정속축(114)에 아이들링 지지하고, 축받이체(140)를, 상기 피드체인 클러치(131) 및 기어(141)를 통해서 상기 피드체인 구동축(132)에 연결함으로써, 볏짚의 반송에 필요한 최저 회전을 확보하고, 또한 낮은 일정 회전으로부터 고속 회전으로 피드체인(5)의 속도를 차속과 동조시켜서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도 14 참조).
또한 전환 슬라이더(1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예취 정속 실린더(143)와, 탈곡 클러치(97)를 연결하기 위한 유압 탈곡 실린더(144)를, 상기 카운터 케이스(25)의 상면 덮개인 유로(油路) 베이스(145)에 고정한다. 한편, 상기 차속 정속 클러치(76)를 연결하는 차속 정속 실린더(146)를 구비하고, 차속 정속 실린더(146)를 작동시키는 차속 정속 밸브(147)와, 예취 정속 실린더(143)를 작동시키는 예취 정속 밸브(149)와, 탈곡 실린더(144)를 작동시키는 탈곡 밸브(150)를, 상기 챠지펌프(78)에 병렬로 유압 접속하도록 구성한다(도 12 참조).
다음에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바꾸는 예취 변속기구(151)를 카운터 케이스(25)에 설치한 구성을 설명한다.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지 않는 사양의 도 13의 카운터 케이스(25)와 동일 형상의 카운터 케이스(25)를 사용하여,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는 사양을 구성한다. 예취 변속기구(151)를 형성하는 저속기어(152) 및 고속기어(153)는, 상기 동조 입력축(112)과 예취 변속축(154)의 사이에 배치한다. 저속 및 중립 및 고속의 각 예취 변속을 행하는 예취 변속 슬라이더(155)를 구비하고, 상기 각 기어(152, 153)중 어느 하나를 예취 변속 슬라이더(155)를 통해서 예취 변속축(154)에 택일적으로 결합하면, 예취 변속축(154)을 동일 축심상에서 연결시키는 차속 동조축(115)에 예취 변속 출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고속 컷 기어(156)를 구비하고, 예취 정속기구(121)를 형성하기 위한 유입기어(123) 및 고속 컷 기어(156)를, 상기 각 축(114, 115)의 사이에 설치한다. 예취부(7)를 저속 일정속도(유입 구동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고속 컷 구동속도)로 구동하는 전환 슬라이더(124)를 구비하고, 상기 각 기어(123, 156)를 전환 슬라이더(124)에서 상기 각 축(114, 115)에 택일적으로 결합하면, 예취부(7)를 저속 일정(유입)구동하고, 예취부(7)의 볏짚을, 차속에 관계없이 일정 회전속도로, 피드체인(5)측에 반송하게 된다. 한편, 예취부(7)를 고속 일정(고속 컷) 구동하고, 차속 동조속도보다 빠른 일정 회전속도로, 예취부(7)를 구동해서 쓰러진 볏짚을 베어내게 된다(도 16 참조).
다음에 도 13, 도 14,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 예취 전동축(125)에 설치하는 토크 리미터(126)의 부착 구성을 설명한다. 토크 리미터 부착구멍(157)을, 상기 카운터 케이스(25)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분리 케이스(25a)에 개설한다. 축받이 덮개(158)를 상기 부착구멍(157)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추고, 축받이 덮개(158)를 분리 케이스(25a)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159)로 체결한다. 예취 전동축(125)의 중간을, 베어링 축받이(160)를 통해서, 카운터 케이스(25)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착탈가능한 축받이 덮개(158)에 회전 및 슬라이딩 가능하게 축지지한다.
한편, 상기 예취 전동축(125)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외측에 돌출시키고, 예 취풀리(95)를 예취 전동축(125)의 일단측에 키 끼워맞춤으로 고정한다. 예취 전동축(125)을 카운터 케이스(25)의 내측에 삽입하고, 평기어형의 리미터 전동기어(161)를, 베어링 축받이(162)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25)의 타단측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한다. 또, 상기 풀리(95)의 외경을 축받이 덮개(158)의 외형보다 크게 형성하면, 풀리(95)를 축(125)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축받이 덮개(158) 및 볼트(159)의 착탈을 행할 수 있게 된다(도 18 참조).
한편, 상기 기어(161)의 외경을 부착구멍(157)보다 작게 형성하면, 기어(161)를 축(125)에 설치한 상태에서, 축(125)과 축받이 덮개(158)의 끼워맞춤부를 부착구멍(157)에 출입할 수 있게 된다(도 18 참조). 또, 상기 기어(161)를 맞물리기 위한 평기어(163)를, 상기 차속 동조축(115)에 결합 축지지하고, 리미터 전동기어(161)를 차속 동조축(115)에 연결한다(도 16 참조).
다음에 토크 리미터(126)는, 상기 리미터 전동기어(161)의 측면에 일체 형성하는 원통형의 외측 케이스(164)와, 예취 전동축(125) 상에서 대향시키는 도넛판형의 받침판(165) 및 누름판(166)과, 동일 원주 상에 복수의 토크롤러(167)를 대략 등간격으로 배열시키기 위한 도넛판형의 토크판(168)과, 토크판(168)의 토크롤러(167)를 예취 전동축(125)의 축심방향의 대향하는 양측방으로부터 끼워지지시키기 위한 도넛 평판형의 내판(169) 및 외판(170)과, 상기 전동축(125)에 나사부착시켜서 누름판(166)에 압접시키기 위한 착탈가능한 너트(171) 및 와셔(172; washer)를 구비한다(도 19 참조). 또, 토크 리미터(126) 본체측의 외측 케이스(164) 등을, 카운터 케이스(25) 내부에 설치하고, 외측 케이스(164) 등을 유욕(油浴)시키도록 구 성한다.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취 전동축(125)을 축받이 덮개(158)에 축지지하고, 리미터 전동기어(161)를 예취 전동축(125)에 빼어낼 수 있게 축지지하고, 받침판(165)을 외측 케이스(164)의 안구멍(173)에 안으로 삽입하고, 복수조의 내판(169)과 토크판(168)과 외판(170)를 외측 케이스(164)에 안으로 삽입하고, 내판(169)의 안구멍을 예취 전동축(125)의 스플라인에 결합 축지지한다.
한편, 외판(170) 외주의 돌기형 키(175)를, 대략 120도 간격으로 형성하는 외측 케이스(164)의 키 홈(174)에 결합시킨다. 또한 토크 스프링(176)을 시트판(177)에 지지하고, 시트판(177)을, 예취 전동축(125)의 기체 외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고, 토크 너트(178)를 상기 축(125)에 나사부착하면, 토크 리미터(126)를 축받이 덮개(158) 및 예취 전동축(125)과 유닛 구조로 조립하게 된다. 토크 너트(178)를 체결하여 토크 스프링(176)력을 조절하고, 토크롤러(167)의 전달 토크를 설정하도록 형성한다(도 18 참조).
한편, 상기 예취풀리(95)와, 이 풀리 보스(179)를 각각 따로 형성하고, 풀리(95)와 풀리 보스(179)를 볼트(180)로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고, 풀리 보스(179)를 예취 전동축(125)에 키 끼워맞춤하여, 풀리 보스(179)의 기체 외측면에 토크 스프링(176)을 압접하도록, 토크 너트(178) 및 스프링(176)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외측에 배치한다(도 18 참조).
L형의 기름구멍(181)을 예취 전동축(125)의 축심부에 형성하고, 기름구멍(181)의 일단측을, 카운터 케이스(25) 내의 축(125)의 끝면에 개구하고, 기름구멍 (181)의 타단측을 예취 전동축(125)의 둘레면에 개구하면, 예취 전동축(125)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카운터 케이스(25) 내의 기름이 기름구멍(181)으로부터 토크롤러(167)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기름을 원심력으로 토크롤러(167)에 강제적으로 보내서 강제 윤활하게 된다(도 17 참조).
다른 한편, 상기 토크롤러(167)의 원기둥형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에 서로 닮은 장방형의 지지구멍(182)을, 토크판(168)에 형성한다. 토크롤러(167)를 지지구멍(182)에 회전가능하게 안으로 삽입한다. 지지구멍(182)의 대향하는 긴변측의 개구 가장자리에는 한쌍의 설편(183)을 대향시켜서 형성하고, 설편(183)을 토크롤러(167)의 외주에 미끄럼 접촉시키도록 형성한다(도 19 참조).
또, 절곡 가장자리(184)를 토크판(168)의 외주에 형성하고, 설편(183)을 절곡 가장자리(184)와 동일방향으로 돌출하고, 토크판(168)의 두께(축심방향의 폭)를, 토크롤러(167)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하면, 토크롤러(167)의 외주측이 토크판(168)의 양측면에 돌출하여, 토크롤러(167)가 내판(169)과 외판(170)에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도 19 참조). 홀더를 형성하기 위한 한쌍의 설편(183)의 선단측을, 토크롤러(167)의 원주방향으로 접어 구부리면, 토크롤러(167)의 외주를 한쌍의 설편(183)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지하게 된다(도 20 참조).
또, 토크롤러(167)의 축심선이, 토크판(168)의 회전중심을 통과하는 방사선에 대하여, 토크판(168)의 회전 아래쪽에 일정한 경사 각도로 경사지도록 토크롤러(167)를 토크판(168)에 설치한다. 토크롤러(167)의 전동축 심선이, 토크판(168)의 회전중심을 포함하는 평면(방사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도록, 토크롤러 (167)를 토크판(168)에 배치하고, 차속 동조축(115)의 평기어(163)를 통해서 외측 케이스(164)가 회전 구동되면, 각 토크롤러(167)가 내판(169)과 외판(170)에 접하면서 구름이동해서 토크판(168)도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각 토크롤러(167)는, 외판(170)의 회전궤도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구름이동하고자 하는 것을, 토크판(168)으로 규제되면서 외판(170)의 회전궤도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토크 스프링(176)압에 비례한 마찰저항이 발생하게 된다.
게다가, 각 토크롤러(167)는 구름이동하면서 미끄럼마찰을 발생시키므로, 정마찰은 발생하지 않고, 항상 동마찰에 의한 안정된 마찰저항력이 얻어지게 된다. 한편, 예취 전동축(125)측의 예취 구동부하가 증가하였을 때에, 또는 평기어(163)측의 입력속도의 변경으로, 외측 케이스(164)의 회전속도가 고속측으로 급변했을 때에는, 내판(169)과 외판(170)의 각 회전토크 차가 증대하고, 각 회전토크 차가 토크롤러(167)의 마찰저항력보다 커진다. 이 때에, 내판(169)과 외판(170)이 토크롤러(167)에 대하여 슬라이딩해서 전달동력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압 변속기구(40)와 정속기구(121) 중 어느 한쪽에서 작업부인 예취부(7)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토크 리미터(126)를, 예취부(7)를 회전시키기 위한 예취 전동축(125)에 배치한다. 유압 변속기구(40) 및 정속기구(121)를 전환할 때에 구동토크 차로 쇼크가 생겨도, 이 쇼크를 토크 리미터(126)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토크 리미터(126)를 내설시키기 위한 카운터 케이스(25) 내의 작동유면을, 토크 리미터(126)의 축(125)의 설치위치보다 높게 함으로 써, 작동유가 토크 리미터(126)에 대하여 충분히 공급되어서 윤활 가능하게 된다.
한편, 토크 너트(178) 및 토크 스프링(176)을, 풀리 보스(179)의 외측에 설치했을 경우, 토크 리미터(126)의 토크 셋트를 기체 밖에서 행할 수 있고, 유지보수 등 취급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예취풀리(95)와 풀리 보스(179)를 별체로 형성하고, 예취풀리(95)와 풀리 보스(179)를 볼트(180)로 체결했을 경우, 풀리 보스(179)를 설치한 상태에서 예취풀리(95)를 분리할 수 있고, 토크 리미터(126)의 셋트 토크를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예취풀리(95)를 분리하여 벨트 교환작업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9,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125) 상에서 받침판(165)과 누름판(166)을 대향시킨다. 복수조의 내판(169)과 토크판(168)과 외판(170)을, 상기 받침판(165)과 누름판(166) 사이에 설치한다. 내판(169)을 회전축(125)에 결합하고, 외판(170)을 외측 케이스(164)에 결합하고, 토크롤러(167)를 토크판(168)에 배치한다. 한편, 토크 너트(178)를 회전축(125)에 나사부착하고, 스프링 시트판(177)을 토크 너트(178)에 걸고, 스프링 시트판(177)과 누름판(166) 사이에 스프링(176)을 배치한다. 받침판(165) 또는 누름판(166)은, 이 수압면(185, 186)이 토크판(168)에 대향하도록 형성한다. 받침판(165) 또는 누름판(166)의 수압면(185, 186)이, 세트 토크를 발생시키는 압압력에 의해 휘어서 평면으로 되도록, 상기 수압면(185, 186)을 대략 오목면 형으로 형성한다.
받침판(165) 및 누름판(166)의 각 수압면(185, 186)을, 경사각(A1, A2)을 이루는 테이퍼 구조로 한다. 각 수압면(185, 186)을, 받침판(165) 및 누름판(166)의 외주측이 내판(169)에 먼저 닿도록, 경사각(A1, A2)을 이루는 테이퍼로서 형성한다(도 20 참조).
따라서, 받침판(165) 또는 누름판(166)이 셋트 토크를 발생할 때의 압압력으로 휘고, 수압면(185?186)이 대략 평면으로 되기 때문에, 평활화 된 면압이 토크롤러(167)면에 걸리고, 토크롤러(167)의 편마모를 저감해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셋트 토크의 전달 정밀도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받침판(165) 또는 누름판(166)의 두께를, 셋트 토크로 삐뚤어지지 않을 정도로 두껍게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압면(185?186)의 면압의 평활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절약이고 콤팩트한 유닛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7,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받침판(165)에 단차부(187)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187)를 베어링 축받이(162)의 이너부(188)에 접촉시켜서 셋트 토크를 수압시키도록 형성한다. 또한 누름판(166)에 단차부(189)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189)를 와셔(172)에 접촉했을 경우, 너트(171)로 고정하는 와셔(172)와 누름판(166) 사이에서, 누름판(166)의 원주측에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너트(171)의 체결력이 와셔(172)를 통해서 단차부(189)로부터 누름판(166)에 직선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축 커버(191)를 풀리 보스(179)에 비스(190) 멈춤 고정하고, 토크 스프링(176) 및 토크 너트(178) 등을 상기 축 커버(191)에 내설했을 경우, 축 커버(191)를 뗀 상태에서 카운터 케이스(25)의 외측으로부터 토크 너트(178)를 조작할 수 있고, 토크 리미터(126)의 셋트 토크를 조 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내판(169)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여, 회전축(125)의 외주의 복수 개소에, 기름구멍(181)을 각각 개구하였을 경우, 기름이, 각 기름구멍(181)으로부터, 외측 케이스(164)의 키 홈(174)을 통해서, 외측 케이스(164)의 외부에 원심력으로 이동하여, 토크롤러(167)를 강제적으로 윤활할 수 있게 된다.
상기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름구멍(181)을, 내판(169)으로 칸막이된 복수의 폐쇄부에 각각 개구하여 급유 가능하게 형성했을 경우, 내판(169) 및 외판(170) 및 토크판(168)을 다층형상으로 설치해도, 토크롤러(167)에 대하여 윤활유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고, 전달 토크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토크 리미터(126)의 기능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폐쇄부의 기름을, 외판(170)을 결합시키는 외측 케이스(164)의 키 홈(174)으로부터 배출했을 경우, 토크롤러(167) 주변의 기름을 원심력으로 키 홈(174)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고, 토크롤러(167)에 대한 기름의 공급을 촉진할 수 있고, 토크롤러(167)의 윤활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와셔(172)와 누름판(166) 사이에서 누름판(166)의 원주측에 공간을 형성했을 경우, 너트(171)의 체결력을 와셔(172)를 통해서 누름판(166)에 직접적으로 작용시켜, 누름판(166)의 수압면(186)을 평활화해서 토크롤러(167)의 편하중을 막게 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4,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석(20)의 뒤측의 캐빈(18) 내에 설치하는 컬럼 컨트롤러(192)와, 좌우 지지대(23, 24)의 전면판(193)에 설치하는 주행 컨트롤러(194)와, 엔진 룸 커버(31)의 외측의 캐빈 프레임(30)에 설치하는 엔진 컨트롤러(195)와, 곡물탱크(15) 뒤측의 탈곡부(4) 기체 프레임에 설 치하는 탈곡 컨트롤러(196)를 구비한다. 각 컨트롤러(192?194?195?196)는 캔 통신으로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예취부(7)의 승강, 기체의 수평제어, 및 배출 오거(17)의 이동을 행하기 위한 유압 밸브 셋트(197)를, 곡물탱크(15) 하측의 기대(3) 상면에 설치한다(도 5 참조). 엔진 룸 커버(31)의 기체 외측에 배치하는 외기 도입커버(198)와, 세로배출 오거(16) 주위에 수평 회전시키는 곡물탱크(15)를 구비한다. 곡물탱크(15) 및 외기 도입커버(198)를, 기체 옆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다(도 3 참조). 기어(128)의 일부를 내설하기 위한 수납 케이스(200)를, 좌 지지대(23)의 상부에 지점축(199)을 통해서 세로축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도 4 참조). 수납 케이스(200)를, 예취 프레임(12)을 지지하기 위한 예취 입력 케이스(101)의 좌측에 배치한다. 상기 기어(128)의 일부를 예취 입력 케이스(101)에 내설한다(도 10 참조). 예취부(7)의 구동력을 예취 입력축(102)의 좌단측에서 입력하고, 예취 프레임(12)에 안쪽으로 삽입한 예취 전동축(130)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예취부(7)를, 지점축(199) 주위에 기체 좌측을 향해서 대략 수평으로, 측방 회전했을 경우, 기체 내측의 각 케이스(22, 25) 부근의 유지보수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21)으로부터의 동력을, 주행 크롤러(2)를 구동하기 위한 미션 케이스(22)와, 예취부(7) 및 탈곡부(4)에, 카운터 케이스(25)를 통해서 전달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변경하기 위한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한 도 15의 사양과, 예취 변속기구(150)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도 13의 사양을, 동일형상의 카운터 케이스(25)를 이용하여 구성했을 경우, 다른 복수의 사양에 카운터 케이스(25)를 겸용할 수 있고,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로부터 일정 구동속도(유입 속도)로 바꾸어서 예취부(7)를 구동했을 경우,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는 도 15의 사양을 채용했을 때의 예취부(7)의 일정 구동속도에 비하여,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도 13의 사양을 채용했을 때의 예취부(7)의 일정 구동속도(유입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예취부를 빠른 차속에 대응해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변경하는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는 도 15의 사양에 있어서, 유입 기구인 유입기어(123)와, 고속 컷 기구인 고속 컷 기어(156)를 카운터 케이스(25)에 설치한다. 한편,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지 않는 도 13의 사양에 있어서, 고속 컷 기어(156)를 분리함으로써, 유입기어(123)와 축(154)을 교환하는 것만으로,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는 도 15의 사양과, 예취 변속기구(150)를 설치하지 않는 도 13의 사양을 구성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주행 컨트롤러(194)의 설치위치가, 예취부(7)의 측방 회동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주행 컨트롤러(194)를, 엔진(21)으로부터 떨어진 기체 내측에서, 또한 보수작업을 행하기 쉬운 위치에서, 또한 카운터 케이스(25)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주행 컨트롤러(194)와 카운터 케이스(25) 사이에 팽팽히 설치하기 위한 하네스는, 이 연설 거리를 단축할 수 있고, 조립성 및 취급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제조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 도 6,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체결시트(201)를 카운터 케이스(25)에 일체형으로 하고, 받침대(202, 203)를 기대(3) 상면 및 지지대(23)에 배치한다. 체결시트(201)를 받침대(202, 203)에 볼트(204) 고정한다. 카운터 케이스(25)를 기대(3) 및 지지대(23)에 고정한다. 한편, 배터리(206)를 지지대(23)의 측면의 개구(205)로부터 지지대(23) 내에 출입 가능하게 형성한다. 예를 들면 탈곡부(4) 앞측의 기대(3)를 전방으로 확장해서 배터리(206)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기대(3)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유지보수 작업을 간략화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압 밸브 셋트(197)를, 측방회동 가능한 곡물탱크(15) 하면의 기대(3) 상에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곡물탱크(15)를 옆쪽으로 회전했을 때에, 상기 유압 밸브 셋트(197)를 유지보수하기 쉽게 된다. 한편, 엔진(21)의 배기관(208)을 기대(3) 앞측의 카운터 케이스(25)와, 기대(3) 뒤측의 연료탱크(207) 사이에서, 탈곡부(4)의 하측에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터리(206) 및 유압 밸브 셋트(197) 등에 대하여 배기관(208)을 이간시켜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운터 케이스(25)를 좌우 지지대(23, 24)와 탈곡부(4) 사이에 설치한다. 좌우 지지대(23, 24)를 연결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209)을 카운터 케이스(25)의 상방에 횡가설한다. 좌우 지지대(23, 24)를 지지 프레임(209)으로 연결하는 것이기 때문에, 하네스(210)의 부착부재 또는 지지대(23)의 보강부재로서, 지지 프레임(209)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속밸브(211)의 하네스(210)를 지지 프레임(209)에 지지했을 경우, 지 지대(23)의 보강부재로서 지지 프레임(209)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지지 프레임(209)을 이용해서 하네스(210)를 간단하게 부설할 수 있게 된다. 변속밸브(211)의 컨트롤러(194)를 좌우 지지대(23, 24)의 사이에 설치하는 한편, 예취부(7)의 측방 회동지점(199)을 한쪽의 지지대(23)에 설치했을 경우, 상기 컨트롤러(194)를 예취부(7)의 측방 회동으로 개방하는 지지대(23, 24)의 전면부를 이용하여, 유지보수 하기 쉽도록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카운터 케이스(25)와 컨트롤러(194)를 근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래킷(212)을 미션 케이스(22) 앞측에 설치하고, 브래킷(212)을 연결 프레임(34) 중간에 고정했을 경우, 미션 케이스(22)에 대한 연결 프레임(34)의 설치높이, 또는 미션 케이스(22)의 상면에 설치하는 부설부품의 높이 등의 제한을 완화할 수 있고, 미션 케이스(22) 구조 및 기체구성의 간략화 및 강성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22)의 상면에 드레인구(213)를 형성하고, 상기 드레인구(213)에 에어배출 파이프(214)를 연결했을 경우, 미션 케이스(22)의 상면에서 대략 최고 위치에 드레인구(213)를 형성할 수 있고, 에어배출 파이프(214)의 연결에 의해 미션 케이스(22)의 드레인 구조의 간략화 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작업 컨트롤러(282)의 입력측에는, 탈곡부(4)를 구동하기 위한 작업 레버(271)의 조작을 검출하는 탈곡 스위치(272)와, 예취부(7)를 구동하기 위한 작업 레버(271)의 조작을 검출하는 예취 스위치(273)와, 예취 변속 슬라이더(155)를 저속측 또는 고속측으로 바꾸는 예취 변속 스위치(274)와, 주변속 레버(81)의 고속전진 전환동작을 검출하는 고속운전 스위치(275)와, 주변속 레버(81)의 후진 전환동작을 검출하는 후진 스위치(276)와, 유입 페달(277)의 밟음 조작을 검출하는 수동 유입 스위치(278)와, 부변속 전환(저속 또는 고속)을 행하는 부변속 스위치(279)와, 예취부(7)를 자동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오토리프트 스위치(280)와, 배출 오거(17)를 이 수납위치로부터 곡물 배출위치로 자동적으로 선회시키는 오토셋 스위치(281)와, 좌우 주행 크롤러(2)의 차속을 검출하는 좌우 차속센서(285, 286)와, 예취부(7)의 반송볏짚의 유무를 검출하는 볏짚센서(287)와, 예취부(7)에 차속동조 구동력을 입력하기 위한 동조 입력축(112)의 입력 회전수를 저속기어(152)를 통해서 검출하는 예취 입력센서(288)를 접속한다.
또한 도 2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작업 컨트롤러(282)의 출력측에는, 예취 변속 실린더를 저속측으로 바꾸는 예취저속 솔레노이드(289)와, 예취 변속 실린더를 고속측으로 바꾸는 예취고속 솔레노이드(290)와, 피드체인 클러치 실린더를 작동해서 피드체인 클러치(131)를 차단하는 피드체인 솔레노이드(291)와, 일정 회전 실린더를 작동해서 전환 슬라이더(124)를 유입기어(123)에 결합하는 유입 솔레노이드(292)와, 일정 회전 실린더를 작동해서 전환 슬라이더(124)를 고속 컷 기어(156)에 결합하는 고속 컷 솔레노이드(293)를 접속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조 입력축(112)에는, 예취 입력 회전수를 연산하기 위한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센서(301)를 설치하고, 회전센서(301)가 검출하는 동조 입력축(112)의 회전수와 기어 톱니수에서 예취 입력 회전수가 연산되도록 형성한다. 또, 예취 입력 회전수를 연산하기 위한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센서(302)를 예취 전동축(125)에 설치하여, 예취 입력 회전수가 연산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2는 예취부(7)의 속도제어의 플로우챠트, 도 23은 예취부(7)를 구동하기 위한 예취 전동축(125)의 예취 회전수(KVx)(예취부(7)의 구동속도)와, 차속(SV)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여,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바꾸는 제어를 설명한다. 예취 스위치(273)를 온으로 하고(S1 yes), 오토리프트 스위치(280)를 온으로 해서 예취부(7)를 볏짚 예취높이로 하강하면(S2 yes), 예취 전동축(125)의 예취 회전수(KVx)를 저속 일정속도 회전(Vq)로 하는 저속 일정속도 제어가 이루어진다(S3). 이 저속 일정속도 제어에서는, 예취 정속 실린더(143)가 유입 솔레노이드(292)의 여자(勵磁)로 작동한다. 전환 슬라이더(124)를 예취 정속 실린더(143)로 전환 동작한다. 전환 슬라이더(124)를 유입기어(123)에 연결한다. 예취 전동축(125)을 구동하기 위한 저속 일정속도 회전력을 유입기어(123)로부터 예취 전동축(125)에 전달한다. 예취부(7)가 저속 일정속도 회전(Vq)으로 구동되게 된다.
한편, 저속 일정속도 제어(S3)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주변속 레버(81)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차속(SV)을 빨리하도록 조작되어서, 수확작업이 개시되면, 차속센서(285, 286)로부터 입력된 차속(SV)이 하위 복귀점(Dt2)에 대응한 차속(qH)으로 증속된 경우(S4 yes), 차속 동조속도 제어가 이루어진다(S5). 이 차속 동조속도 제어에서는, 전환 슬라이더(124)를 중립으로 되돌리도록 예취 정속 실린더(143)가 작동한다. 미션 케이스(22)의 주행 모터(42)로부터 출력된 차속동조 구동력을, 저속기어(152) 또는 고속기어(153)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25)에 전달한다. 예취부(7)에 있어서의 구동속도를, 차속(SV)과 동조하고 또한 차속(SV)의 증대에 비례해서 증대하는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바꾸게 된다.
상기 차속 동조속도 제어(S5)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주변속 레버(81)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차속(SV)을 느르게 하도록 조작되어서, 차속센서(285, 286)로부터 입력된 차속(SV)이 하위 전위점(Dt)에 대응한 차속(tH)으로 감속되었을 경우(S6 yes), 예취 전동축(125)의 회전수(KVx)를 저속 일정속도 회전(Vq)으로 하는 저속 일정속도 제어가 이루어진다(S7). 하위 전위점(Dt)에 대응한 차속(tH)이, 차속동조 구간(D)에 있어서의 차속(SV)의 하한이 된다. 하위 전위점(Dt)에 대응한 예취 전동축(125)의 회전수(Vt)를, 하위 복귀점(Dt2)과 대략 동일한 하위 정속점(Dt1)에 대응한 저속 일정속도 회전(Vq)으로 바꾸게 된다.
상기 저속 일정속도 제어(S7)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예취부(7)에서 베어낸 볏짚이 탈곡부(4)에 반출되어서, 볏짚센서(287)가 검출하는 볏짚이 예취부(7)로부터 없어지면(S8 no), 예취부(7)를 정지하는 정지제어가 이루어진다(S9). 예취 저속 솔레노이드(289) 및 예취 고속 솔레노이드(290)의 양쪽을 오프로 하고, 저속기어(152) 또는 고속기어(153)를 중립에 위치시켜, 예취부(7)를 정지하게 된다.
상기 차속 동조속도 제어(S5)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주변속 레버(81)가 오 퍼레이터에 의해 차속(SV)을 빨리하도록 조작되어서, 차속센서(285, 286)로부터 입력된 차속(SV)이 상위 전위점(Dr)에 대응한 차속(rH)으로 증속된 경우(S10 yes), 예취 전동축(125)의 예취 회전수(KVx)를 고속 일정속도 회전(Vrx)으로 하는 고속 일정속도 제어가 이루어진다(S11). 이 고속 일정속도 제어에서는, 예취 정속 실린더(143)가 고속 컷 솔레노이드(293)의 여자로 작동한다. 전환 슬라이더(124)를 예취 정속 실린더(143)로 전환 동작한다. 전환 슬라이더(124)를 고속 컷 기어(156)에 연결한다. 예취 전동축(125)을 구동하기 위한 고속 일정속도 회전력을 고속 컷 기어(156)로부터 예취 전동축(125)에 전달한다. 상위 전위점(Dr)에 대응한 예취부(7)의 속도회전(Vr)이, 제1상위 정속점(Dr1)에 대응한 고속 일정속도 회전(Vrx)으로 전환되고, 예취부(7)가 고속 일정속도 회전(Vrx)으로 구동되게 된다. 상위 전위점(Dr)에 대응한 차속(rH)이 차속동조 구간(D)에 있어서의 차속(SV)의 상한이 된다.
한편, 고속 일정속도 제어(S11)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 주변속 레버(81)가 오퍼레이터에 의해 차속(SV)을 느리게 하도록 조작되어서, 차속센서(285, 286)로부터 입력된 차속(SV)이 상위 복귀점(Dr3)에 대응한 차속(pH)으로 감속되었을 경우 (S12 yes), 차속 동조속도 제어가 이루어진다(S5). 이 차속 동조속도 제어에서는, 전환 슬라이더(124)를 중립으로 되돌리도록 예취 정속 실린더(143)가 작동한다. 미션 케이스(22)의 주행 모터(42)로부터 출력된 차속동조 구동력을, 저속기어(152) 또는 고속기어(153)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25)에 전달한다. 예취부(7)에 있어서의 구동속도를, 제2상위 정속점(Dr2)에 대응한 고속 일정속도 회전(Vrx)으로부터 상위 복귀점(Dr3)에 대응한 차속 동조속도회전(Vry)으로 바꾸고, 차속(SV)과 동조하고 또한 차속(SV)의 증대에 비례해서 증대하는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바꾸게 된다.
또,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고속기어(153)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25)에 전달하는 차속동조 구간(D)을 형성한다. 저속기어(152)를 통해서 예취 전동축(125)에 전달하는 차속동조 구간(E)을 형성한다. 각 차속동조 구간(D, E)에 있어서의 차속 동조속도는, 차속(SV)의 상한 및 하한이 상위하다. 한편, 각 차속동조 구간(D, E)에 있어서의 차속(SV)에 대응한 차속 동조속도의 범위(Vr~Vt),및 예취부(7)의 저속 일정속도(Vq), 및 예취부(7)의 고속 일정속도(Vrx)는, 같은 값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예취부(7)에 있어서의 구동속도(KVx)를, 차속(SV)과 동조하고 또한 차속(SV)의 증대에 비례해서 증대하는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 또는 차속(SV)의 증감에 관계없이 미리 설정된 대략 일정한 회전수(Vq, Vrx) 중 어느 하나로 바꾸고, 예취부(7)를 구동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콤바인에 있어서, 차속(SV)을 검출하는 차속센서(285, 286)와, 예취부(7)를 구동하기 위한 입력축(112)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예취 입력센서(288)와,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저속 일정속도(Vq), 또는 차속 동조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Vrx)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인 작업 컨트롤러(282)를 구비하고, 차속동조 구간(D)에 있어서의 차속(SV)이 하위 전위점(Dt)까지 감속했을 때,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저속 일정속도(Vq)로 바꾸는 한편, 상기 차속(SV)이 상위 전위점(Dr)까지 증속했을 때,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고속 일정속 도(Vrx)로 바꾸도록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차속동조 구간(D)에 있어서의 차속(SV)이 하위 전위점(Dt)까지 감속했을 때,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저속 일정속도(Vq)로 전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예취부(7)를 저속 일정속도(Vq)보다 느린 차속 동조속도에서 구동 가능하게, 상기 하위 전위점(Dt)의 차속(tH)을 결정함으로써, 저속주행 수확작업에 있어서의 예취부(7)의 볏짚 일으키기 작업에서 볏짚의 이삭끝이 훑어져서 알맹이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속(SV)이 상위 전위점(Dr)까지 증속했을 때,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고속 일정속도(VrX)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예취부(7)를 차속 동조속도보다 빠른 고속 일정속도(Vrx)로 구동할 수 있게, 상기 상위 전위점(Dr)의 차속(rH)을 결정함으로써, 상기 고속주행 수확작업에 있어서 과부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속주행 수확작업 또는 고속주행 수확작업 중 어느 때에나, 상기 예취부(7)를 상기 저속 일정속도(Vq) 또는 고속 일정속도(Vrx)로 적정하게 구동할 수 있고, 저속주행 수확작업의 예취 작업성을 향상하고, 또한 고속주행 수확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저속 일정속도(Vq)는, 상기 차속(SV)이 상기 하위 전위점(Dt)일 때에 대응하는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예취부(7)를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구동하고 있을 경우,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가 상기 저속 일정속도(Vq)보다 낮아지도록, 차속 동조 구간의 차속이 하위 전위점(Dt)의 부근까지 일시적으로 감속되어도,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가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유지되어, 볏짚의 이삭끝이, 예취부의 일으키기 작업에서 훑어져서 알맹이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속(SV)이 상기 하위 전위점(Dt)보다 적당한 값만큼 증속했을 때, 일단 상기 저속 일정속도(Vq)로 된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가, 상기 차속 동조 패턴 상의 하위 복귀점(Dt2)에 복귀한 후에는, 상기 제어수단(282)은 상기 구동속도(KVx)로서 차속 동조 패턴 상의 차속 동조속도를 채용하도록 전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하위 복귀점(Dt2)의 차속(qH)을, 상기 하위 전위점(Dt)의 차속(tH)보다 빨리함으로써,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상기 저속 일정속도(Vq)로부터 상기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고속 일정속도(Vrx)는, 차속동조 구간(D)에 있어서의 상기 차속(SV)이 상기 상위 전위점(Dr)일 때에 대응하는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엔진(21)의 출력에 여유를 갖게 하고,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상기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부터 상기 고속 일정속도(Vrx)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예취부(7)를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구동하고 있을 경우, 상기 예취부(7)를 상기 고속 일정속도(Vrx)로 구동하는 고속주행 수확작업에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고, 고속주행 수확작업에 있어서의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차속(SV)이 상기 상위 전위점(Dr)보다 적당한 값만큼 감속했을 때, 일 단 상기 고속 일정속도(Vrx)로 된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가, 상기 차속 동조 패턴 상의 상위 복귀점(Dr3)에 복귀한 후에는, 상기 제어수단(282)은 상기 구동속도(KVx)로서 차속 동조 패턴 상의 차속 동조속도를 채용하도록 전환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상위 복귀점(Dr3)의 차속(pH)을, 상기 상위 전위점(Dr)의 차속(rH)보다 느리게 함으로써,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상기 차속 동조 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부터 상기 고속 일정속도로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282)은, 후진할 때에,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KVx)를, 차속 동조속도로부터 저속 일정속도(Vq)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후진의 때에는, 상기 예취부(7)는 정지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예취부(7)를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구동해도, 상기 예취부(7)의 구동이 저속 일정속도(Vq)에서 개시됨으로써, 상기 예취부(7)의 구동을 개시할 때의 충격하중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캔(CAN)통신에 의한 정보표시 및 제어 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21에 있어서의 작업 컨트롤러(282)는 컬럼 컨트롤러(350)와 주행 컨트롤러(351)로 이루어진다. 엔진(21)을 제어하는 엔진 컨트롤러(352)와, 컬럼 컨트롤러(350)와, 주행 컨트롤러(351)를, CAN 케이블(353)로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또, 예취부(7)의 승강위치를 검출하는 예취 포지션 센서(354)를 주행 컨트롤러(351)의 입력측에 배치한다.
한편, 컬럼 컨트롤러(350)의 출력측에는, 운전조작 핸들(19)부에 배치하는 종합표시용 액정패널(355)을 접속한다. 컬럼 컨트롤러(350)의 입력측에는, 액정패널(355)의 표시내용을 바꾸기 위한 제1선택스위치(356) 및 제2선택스위치(357)와, 제1선택스위치(356) 및 제2선택스위치(357)를 선택하기 위한 설정스위치(358)와, 액정패널(355)의 표시내용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스위치(359)를, 각각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도 2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선택스위치(356) 및 제2선택스위치(357) 및 설정스위치(358)를 조작하여, 액정패널(355)의 표시내용을 에러 표시로 바꾸면, 에러코드(예를 들면 CO-320)와, 에러 장소(예를 들면 엔진오일 온도센서, 엔진 룸, 엔진 컨트롤러)가, 액정패널(355)에 표시된다.
다음에 도 2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선택스위치(356) 및 제2선택스위치(357) 및 설정스위치(358)를 조작하여, 액정패널(355)의 표시내용을 고장 체크로 바꾸면, 에러 이력으로서, 에러코드(예를 들면 CO-320)와, 에러 장소(예를 들면 랙 위치센서, 엔진 룸, 엔진 컨트롤러)와, 에러 발생시간(예를 들면 1234h)이, 액정패널(355)에 표시된다.
다른 한편, 도 28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취부(7)를 저속 일정(유입)속도, 또는 고속 일정(고속 컷)속도, 또는 차속 동조속도로 작동시킴과 동시에, 카운터 케이스(25)로부터 유압주행 변속부재(40)의 주행모터(39)의 모터축(46)에 일정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모터(39) 출력보다 고회전으로 주행 크롤러(2)를 직접 구동시킨다.
또한 자동 스위치(284)가 온의 상태하에서, 고속운전 스위치(275)가 온이 되었을 때에, 바이패스 클러치를 연결하기 위한 고속운전 솔레노이드(295)와, 부변속 스위치(279)의 전환으로 부변속 실린더를 구동해서 주행모터(39)를 저속 또는 고속 출력으로 하기 위한 부변속 솔레노이드(296)와, 상기 탈곡 스위치(272)의 온으로 탈곡 클러치(97)를 연결하기 위한 탈곡 클러치 솔레노이드(297)와, 상기 오토리프트 스위치(280)의 온으로 승강 실린더(11)를 상승 또는 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예취 승강 솔레노이드(298)와, 상기 오토셋 스위치(281)의 온에서 배출 오거(17)를 곡물입자 배출위치 또는 본기 수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배출모터(299)를, 작업 컨트롤러(282)에 접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예취부(7)의 볏짚을 탈곡부(4)에 반출시키는 유입 동작을 행하는 유입 조작부재인 유입 페달(277)을 설치하고, 차속과 동조해서 작동시키는 예취부(7)를 동조 회전수와 다른 유입 동작의 회전수로 구동시키는 콤바인에 있어서, 유입 페달(277)을 조작했을 때의 예취부(7)의 차속동조의 구동입력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예취부(7)를 유입 동작시키는 유입기어(123) 및 고속 컷 기어(156)를 선택하고, 예취부(7)의 구동입력의 회전수를 선택시킨다. 그리고, 유입기어(123)를 이용하여 유입 동작을 개시할 때의 예취부(7)의 구동속도가 크게 변화되는 문제를 없애고, 또한 작업자에게 위화감을 느끼는 일없이 고속 컷 기어(156)를 이용하여 유입 동작을 행하게 된다.
또한 예취부(7)의 차속동조의 구동입력의 회전수를 검출시키는 예취 입력센서(288)를 설치하고, 유입 페달(277)을 조작했을 때, 예취부(7)의 차속동조의 입력 회전수가 유입기어(123)에 의한 유입 회전수 이하(유입 회전수보다 소정 일정 회전이 낮은 회전수 이하)일 때는, 유입 솔레노이드(292)를 온으로 해서 유입기어(123)를 통해서 유입 회전동력을 계속시키게 된다.
한편, 예취부(7)의 회전수가 유입기어(123)에 의한 유입 회전수이상(유입 회전수보다 소정 일정 회전이 높은 회전수 이상)일 때는, 고속 컷 솔레노이드(293)를 온으로 해서 고속 컷 기어(156)를 통해서 고속 회전동력을 계속시켜, 유입기어(123)에 의한 유입 회전동력을 저속측으로 설정함으로써, 유입기어(123) 동작을 종래보다 작은 속도차로 원활하게 개시시키고, 또한 고속 예취 상태하에서도, 고속 컷 기어(156)에 의한 유입 동작에 의해 예취부(7)를 최고속 회전으로 동작시켜, 예취 속도가 감속되는 종래의 위화감을 없애게 된다.
또한 차속동조용의 구동계로인 동조 입력축(112)과, 유입용의 구동계로인 유입기어(123)와, 고속측 일정 회전용의 고속측 정속회전 구동계로인 고속 컷 기어(15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예취부(7)를 구동시켜, 예취부(7)를 정속회전시켜서 예취작업을 행하는 고속 컷 기어(156)를 겸용해서 최고속 회전으로 유입 동작을 행하게 하여, 예취 구동구조의 간략화 및 예취 구동성능의 향상 등을 도모한다.
한편, 예취부(7)를 구동하는 동조 입력축(112)의 입력계로에 예취 변속기구(151)를 설치하고, 예취 변속기구(151)를 중립으로 유지해서 동력전달을 중지시키고, 예취부(7)를 상기 각 기어(123?156) 중 어느 한쪽을 통해서 유입 동작시켜, 예취 변속기구(151)를 예취 클러치로서 겸용해서 차속동조의 구동력을 단속시켜서, 유입 동작을 행할 때, 주행모터(39)의 모터축(46)에 의한 주행 크롤러(2)의 구동력 손실을 저감시켜, 예취 구동구조의 간략화 및 주행 크롤러(2)의 구동 효율의 향상 등을 꾀한다.
도 28의 플로우챠트와, 도 29의 출력선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취부(7)를 차속 동조속도보다 고속도로 일정 회전시키는 고속 컷 제어를 설명한다. 예취 변속이 고속일 때에, 차속동조 제어 중인 경우, 차속(SV)이 차속(a) 이상일 때는, 예취부(7)를 차속 동조속도보다 고속도로 일정 회전시키는 고속 일정 회전제어를 행한다. 한편, 차속(SV)이 차속(a)이상이 아닐 때는 차속동조 제어하게 된다.
다른 한편, 예취 변속이 고속일 때에, 차속동조 제어 중이지 않은 경우, 차속(SV)이 차속(b) 미만일 때는 차속동조 제어를 행한다. 한편, 차속(SV)이 차속(b) 미만이 아닐 때는, 예취부(7)를 차속 동조속도보다 고속도로 일정 회전시키는 고속 일정 회전제어하게 된다.
예취 변속이 고속이 아닐 때에 차속동조 제어 중인 경우, 차속(SV)이 차속(c)이상일 때는, 예취부(7)를 차속 동조속도보다 고속도로 일정 회전시키는 고속 일정 회전제어하게 된다. 한편, 차속(SV)이 차속(c) 이상이 아닐 때는, 차속동조 제어하게 된다.
다른 한편, 예취 변속이 고속이 아닐 때에, 차속동조 제어 중이지 않을 경우, 차속(SV)이 차속(d) 미만일 때는 차속동조 제어를 행한다. 한편, 차속(SV)이 차속(d) 미만이 아닐 때는,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보다 고속도로 일정 회전시키는 고속 일정 회전제어하게 된다.
도 30의 플로우챠트와, 도 31의 출력선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에 대응한 예취부(7)를 일정 회전시키는 예취 퀵 제어를 설명한다. 예취 퀵 페달인 유입 페달(277)의 밟음 조작이 행하여져서 유입 스위치(278)가 온이 되면, 전진하고 있고, 예취 변속이 고속이며, 차속(SV)이 차속(a) 이상일 때에는,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의 고속측이나 그 이상의 고속도로 일정 회전구동하는 예취 퀵 「고」제어하게 된다. 한편, 차속(SV)이 차속(a) 이상이 아닐 때에는,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의 저속측이나 그 이하의 저속도로 일정 회전구동하는 예취 퀵 「저」 제어하게 된다.
다른 한편, 전진하고 있고, 예취 변속이 고속이 아닐 때에는, 차속(SV)이 차속(b)이상인 경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의 고속측이나 그 이상의 고속도로 일정 회전구동하는 예취 퀵 「고」 제어하게 된다. 한편, 차속(SV)이 차속(b)이상이 아닐 때에는,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의 저속측이나 그 이하의 저속도로 일정 회전구동하는 예취 퀵 「저」 제어하게 된다.
또, 전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예취부(7)를 차속 동조속도의 저속측이나 그 이하의 저속도로 일정 회전구동하는 예취 퀵 「저」 제어하게 된다.
또한, 예취 퀵 페달인 유입 페달(277)의 밟음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고, 유입 스위치(278)가 오프인 경우, 예취 변속이 고속일 때에는,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예취 변속 「고」에서 차속동조 제어하게 된다. 한편, 예취 변속이 저속일 때에는,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예취 변속 「저」에서 차속동조 제어하게 된다.
상기로부터 알 수 있듯이,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285, 286)와,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저속 일정속도, 또는 차속 동조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인 유입 페달(277)을 구비한 것이므로, 저속주행 수확작업에 있어서의 예취부의 볏짚 일으켜세우기 작업으로 볏짚의 이삭끝이 훑어 져서 탈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속주행 수확작업에 있어서 과부하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저속주행 수확작업 또는 고속주행 수확작업 중 어느 것일 때에나, 상기 예취부(7)를 상기 저속 일정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로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어, 저속주행 수확작업의 예취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고속주행 수확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저속 일정속도는, 차속 동조구간에 있어서의 상기 차속이,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저속 일정속도로 전환하는 하위 전위점일 때에 대응하는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예취부(7)를 차속 동조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가 상기 저속 일정속도보다 낮게 되도록, 차속 동조구간의 차속이 하위 전위점의 부근까지 일시적으로 감속되어도,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가 차속 동조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유지되어, 볏짚의 이삭끝이 예취부(7)의 일으켜세우기 작업으로 훑어져서 탈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고속 일정속도는, 차속 동조구간에 있어서의 상기 차속이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고속 일정속도로 전환하는 상위 전위점일 때에 대응하는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엔진(21)의 출력에 여유를 갖게 해서,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상기 차속 동조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부터 상기 고속 일정속도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예취부(7)를 차속 동조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예취부(7)를 상기 고속 일정속도로 구동하는 고속주행 수확작업으로 원활하게 이행할 수 있어, 고속주 행 수확작업에 있어서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전환수단(277)은, 후진할 때에, 상기 전환수단(277)이 전환조작되면, 상기 예취부(7)의 구동속도를, 차속 동조속도로부터 저속 일정속도로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후진일 때에는, 상기 예취부(7)는 정지상태이므로, 상기 예취부(7)를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구동해도, 상기 예취부(7)의 구동이 저속 일정속도로 개시됨으로써, 상기 예취부(7)의 구동을 개시할 때의 충격하중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차속과 동조시켜서 예취속도를 변화시키는 차속 동조구동 또는 예취속도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는 일정속도의 유입 구동속도로 예취부(7)를 구동하는 한편, 상기 일정속도의 유입 구동속도와 저속으로 2단으로 전환해서, 예취부(7)를 고속 또는 저속의 상기 일정속도의 유입 구동속도로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저속주행 수확작업 또는 고속주행 수확작업 중 어느 것일 때에나, 상기 예취부(7)를, 상기 저속 일정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로 적절하게 구동할 수 있어, 저속주행 수확작업의 예취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고속주행 수확작업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차속 동조구동으로부터 고속측의 일정속도의 유입 구동속도로 전환하는 예취부(7)의 차속 동조속도를, 저속측의 일정속도의 유입 구동속도보다 낮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예취부(7)의 차속 동조속도의 전역에 있어서, 조작자의 전환조작으로 예취부(7)의 구동속도가 빨라져서, 조작자가 위화감없이 운전조작할 수 있다.
도 32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수확작업 제어를 설명한다. 작업 레버(271)의 조작에 의해 탈곡 스위치(272)가 온이 되면, 피드체인 솔레노이드(291)를 오프로 하고 피드체인 클러치(131)를 연결하여, 피드체인(5)의 구동을 개시하고, 또한 탈곡 클러치 솔레노이드(297)를 작동시켜서 탈곡 클러치(97)를 연결하여, 탈곡부(4)와 피드체인(5)을 구동하게 된다.
또한 작업 레버(271)의 조작에 의해 예취 스위치(273)가 온이 되면, 차속 동조 풀리(93)를 통해서 주변속 구동력이 예취부(7)에 전달된다. 이 때, 유입 페달(277)의 밟음 조작이 행하여져서 유입 스위치(278)가 온이 되면, 예취 입력센서(288)가 검출하는 예취부(7)의 차속동조의 입력 회전수가 유입기어(123)에 의한 회전설정 이하일 때, 예취 변속 슬라이더(155)를 중립 위치로 이동시키고, 예취 변속기구(151)의 예취 변속 출력을 중립으로 해서, 차속동조 입력축(112)의 전동을 오프로 하며, 또한 유입 솔레노이드(292)를 작동시켜서, 유입기어(123) 를 통해서 예취부(7)를 고속 컷 기어(156)보다 저속으로 정속구동하게 된다.
한편, 유입 스위치(278)가 온으로 되었을 때, 예취부(7)의 차속동조의 입력 회전수가 유입기어(123)에 의한 회전설정 이상일 경우, 예취 변속기구(151)의 예취 변속 출력을 중립으로 해서, 동조 입력축(112)의 전동을 오프로 하고, 또한 고속 컷 솔레노이드(293)의 동작에서, 고속 컷 기어(156)를 통해서, 예취부(7)를 유입기어(123)보다 고속의 최고속 회전으로 정속 구동하게 된다.
또한, 유입 스위치(278)가 오프일 때, 오토리프트 스위치(280)가 온 조작되면, 예취 변속기구(151)의 예취 변속 출력을 중립으로 하고, 예취부(7)의 대지(對 地) 높이가 설정이하일 때, 승강 실린더(11)를 작동시켜 예취부(7)를 설정높이로 자동적으로 상승시키고, 또한 피드체인 클러치(131)를 차단한다. 한편, 예취부(7)의 대지높이가 설정이상일 때, 승강 실린더(11) 제어에 의해, 예취부(7)를 예취작업 높이로 자동적으로 하강시키고, 또한 피드체인 클러치(131)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오토리프트(280)가 오프일 때, 후진 스위치(276)가 온이 되면, 예취 변속기구(151)의 예취 변속 출력을 중립으로 하고, 상기 각 솔레노이드(292?293)를 오프로 하여, 전환 슬라이더(124)를 중립으로 하게 된다.
또한 후진 스위치(276)가 오프일 때에, 차속센서(285?286)에 의해 검출되는 차축(55)이 정지하고 있을 때, 예취 변속기구(151)를 중립으로 해서 예취부(7)의 차속동조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한편, 차축(55)이 구동되어 있으면, 변속모터(39)의 부변속 출력이 저속일 때에, 예취 입력센서(288)가 검출하는 예취부(7)의 차속동조의 입력 회전이, 고속 컷 기어(156)에 의한 회전설정 이상일 때, 고속 컷 솔레노이드(293)를 작동시켜, 예취 변속기구(151)를 중립으로 하고, 예취부(7)를 고속 컷 기어(156)를 통해서 최고속으로 정속 구동하기 위한 고속 컷 동작을 행하게 하게 된다.
또한 변속모터(39)의 부변속 출력이 저속이고, 또한 예취부(7)의 입력 회전이 설정이하이며, 또한 자동 스위치(284)가 온일 때, 고속운전 스위치(275)가 온 조작되면, 예취부(7)의 입력 회전이 설정이상의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고속 컷 기어(156)를 통해서 예취부(7)를 최고속으로 정속 회전시켜서 고속 컷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고속운전 솔레노이드(295)를 작동시켜서 바이패스 클러치를 온으로 하고, 주행 변속부재(40)를 개재하지 않고, 엔진(21)의 구동력을 바이패스 클러치로부터 부변속기구(47)에 직접 전달시켜, 고속운전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고속운전 스위치(275)가 오프일 때, 예취 변속 스위치(274)의 조작에 의해, 예취 변속기구(151)의 예취 변속 출력을 저속 또는 고속으로 바꾼다. 각 기어(152?153)의 한쪽을 통해서 차속동조 입력에 의해 예취부(7)를 저속 또는 고속구동한다. 기립하고 있는 볏짚을 저속으로, 또는 쓰러져 있는 볏짚을 고속으로 베어내게 된다.
도 2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통상의 차속에 동조한 예취작업 중의 유입 페달(277)의 예취 퀵 조작에서, 유입기어(123) 또는 고속 컷 기어(156)를 통해서, 예취부(7)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정속 구동할 경우, 고속으로 정속 구동하는 고속 컷으로 바꿀 때의 작업속도와, 이 전환을 해제할 때의 작업속도를 다르게 한다. 상기 예취 변속기구(151)의 저속기어(152)(또는 고속기어(153))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예취변속(고속 또는 저속) 상태에서, 작업속도(동조 입력축(112)의 회전수)가 차속(a)(또는 차속(b))이상의 고속으로 되었을 경우, 예취부(7)의 구동을 고속 컷(고속에서 정속구동)으로 바꾸게 된다.
또한 예취 퀵 조작의 해제 때에는, 예취 구동속도의 고속 컷보다 일정값 작은 고속 컷 해제값의 작업속도가, 차속(c)(또는 차속(d))이 될 때까지 작업속도를 감속시킬 경우, 고속 컷을 유지한다. 작업 속도가, 차속(c)(또는 차속(d))이 되었을 경우, 예취부(7)의 구동을 통상 변속으로 복귀시키게 된다.

Claims (6)

  1. 예취부에 있어서의 구동속도를, 차속과 동조하고 또한 차속의 증대에 비례해서 증대하는 차속 동조패턴을 따르는 차속 동조속도, 또는 차속의 증감에 상관없이 미리 설정된 일정한 회전수 중 어느 하나로 전환해서, 예취부를 구동하도록 구성해서 이루어지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 기체에 탑재된 카운터 케이스 내의 예취 변속축에, 상기 차속 동조속도를 저속측으로 변속한 예취 변속 저속출력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저속기어와, 상기 차속 동조속도를 고속측으로 변속한 예취 변속 고속출력으로서 전달하기 위한 고속기어와, 상기 각 기어를 선택적으로 상기 예취 변속축에 결합시키기 위한 예취 변속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고,
    예취 변속 스위치의 전환조작에 따라서, 상기 예취 변속 슬라이더로 상기 각 기어의 어느 쪽을 상기 예취 변속축에 택일적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예취부를 상기 예취 변속 저속출력으로 구동시키든지, 또는 상기 예취 변속 고속출력으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한편,
    차속 동조구간에 있어서 상기 예취부의 속도를, 차속 동조속도, 또는 고속 일정속도의 어느 하나로 전환하여 조작하기 위한 유입 페달을 구비하고, 상기 예취 변속축에는, 엔진으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고속 일정속도로서 전달하기 위한 고속 컷 기어와, 상기 고속 컷 기어를 상기 예취 변속축에 결합시키기 위한 전환 슬라이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 페달의 전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전환 슬라이더로 상기 고속 컷 기어를 상기 예취 변속축으로 결합해제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예취부를 상기 예취 변속 저속출력 혹은 상기 예취 변속 고속출력으로 구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고속 일정속도로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7010754A 2003-12-19 2004-12-17 콤바인 KR101114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2359 2003-12-19
JP2003422359 2003-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732A KR20060110732A (ko) 2006-10-25
KR101114885B1 true KR101114885B1 (ko) 2012-03-08

Family

ID=3469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754A KR101114885B1 (ko) 2003-12-19 2004-12-17 콤바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41971B2 (ko)
KR (1) KR101114885B1 (ko)
CN (1) CN100493330C (ko)
WO (1) WO2005058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8681B (zh) * 2009-04-28 2012-08-29 南京英达公路养护车制造有限公司 车辆无级变速慢速行走装置
JP5035328B2 (ja) * 2009-11-30 2012-09-26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CN101889494B (zh) * 2010-05-25 2014-07-16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新型半喂入联合收割机
KR102639473B1 (ko) * 2015-09-01 2024-02-23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작업차의 크롤러 주행 장치
CN109315130A (zh) * 2018-08-20 2019-02-12 江苏大学 一种液力驱动履带式联合收割机负荷监测及行走控制方法
CN110915404B (zh) * 2019-11-27 2022-09-13 江苏沃得植保机械有限公司 割草机及其控制系统
KR20210067923A (ko) * 2019-11-29 2021-06-0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수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9728U (ko) * 1986-12-30 1988-07-14
JPH0630640A (ja) * 1992-07-14 1994-02-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H06217628A (ja) * 1993-01-29 1994-08-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駆動構造
JP2003265022A (ja) * 2002-03-13 2003-09-2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3440B2 (ja) * 2002-02-12 2006-12-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9728U (ko) * 1986-12-30 1988-07-14
JPH0630640A (ja) * 1992-07-14 1994-02-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H06217628A (ja) * 1993-01-29 1994-08-09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駆動構造
JP2003265022A (ja) * 2002-03-13 2003-09-2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64369A (zh) 2006-04-26
JP4341971B2 (ja) 2009-10-14
JPWO2005058010A1 (ja) 2007-07-12
WO2005058010A1 (ja) 2005-06-30
KR20060110732A (ko) 2006-10-25
CN100493330C (zh)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885B1 (ko) 콤바인
KR101147010B1 (ko) 콤바인
KR101525757B1 (ko) 작업차
JP4109604B2 (ja) コンバイン
JP2007174972A (ja) 作業車輌
JP3730638B2 (ja) トルクミリッタ
WO2004023862A1 (ja) コンバイン
JP4218829B2 (ja) トルクリミッタ
JP2005125830A (ja) コンバイン
JP4109603B2 (ja) コンバイン
JP4216689B2 (ja) トルクリミッタ
JP3690349B2 (ja) コンバイン
JP4182207B2 (ja) トルクミリッタ
JP2005124416A (ja) コンバイン
JP4471192B2 (ja) 作業車
JP2005124417A (ja) コンバイン
JP2005124415A (ja) コンバイン
JP2004217071A (ja) 走行車等の旋回制御装置
JP2007029105A (ja) コンバイン
JP2005176710A (ja) コンバイン
JP2003274707A (ja) コンバイン等の方向制御装置
JP2005127155A (ja) コンバイン
WO2004023861A1 (ja) 作業車
JP2004024163A (ja) コンバイン
JPH09294453A (ja) コンバインの車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