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159B1 - Fly ash contai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chinaware - Google Patents
Fly ash contai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chinawa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5159B1 KR101105159B1 KR1020090054451A KR20090054451A KR101105159B1 KR 101105159 B1 KR101105159 B1 KR 101105159B1 KR 1020090054451 A KR1020090054451 A KR 1020090054451A KR 20090054451 A KR20090054451 A KR 20090054451A KR 101105159 B1 KR101105159 B1 KR 1011051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l ash
- porcelain
- composition
- ash
- co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5—Combustion residues, e.g. fly ash, incineration waste
- C04B33/1352—Fuel ashes, e.g. fly ash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8—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porous substan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60—Production of ceramic materials or ceramic elements, e.g. substitution of clay or shale by alternative raw materials, e.g. ash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자기 소지 원료에 석탄회가 첨가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로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중량%의 석탄회가 첨가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wherein coal ash is added to a general porcelain base material, and 5 to 30% by weight of coal ash is added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석탄회 함유 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al ash contain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ceramics, and ceramics made from such compositions.
도자기(陶磁器)는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세라믹스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그 역사는 매우 길다. 고분 등에서 발견되는 옛날의 토기(土器)나, 현재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도자기는 모두 지구 표면에 있는 암석과 광물이 분쇄 및 분해된 점토와 그 밖의 것을 원료로 하고, 그것을 소고(燒固)하여 만든 것이다. Pottery is a representative product of ceramics used in daily life, and its history is very long. The old earthenware found in ancient tombs, and the ceramics we are currently using, are made from clay and other materials that have been crushed and decomposed of rocks and minerals on the earth's surface, will be.
도자기라고 하는 것은 세라믹스의 일부로 건축물을 조립하거나 장식하는데 사용하는 연와류와 타일류의 것으로부터 일상 생활의 식탁 용품인 자기까지 넓은 범위에 걸친 제품이나 재료를 말하고 있다.Pottery refers to a wide range of products and materials, from the edibles and tiles used to assemble or decorate buildings as part of ceramics, to porcelain, which is a tableware for everyday life.
이러한 도자기의 제조 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사항들은 원료의 특성, 성형성, 밀도와 기공률, 흡수율, 팽창 계수, 기계적 특성들과 그 외에도 여러 항목들이 있으나 그 중 원료의 선택은 가장 중요하며 원료의 물리, 화학적 특성으로부터 제품의 특성과 소성 조건 등을 유추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떤 물질을 원료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제조 공정과 제품의 물성을 좌우하게 된다.Among the items that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ceramics are the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formability, density and porosity, absorption rate, expansion coe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many other items. From the chemical properties, the product properties and firing conditions are inferred. Therefore, depending on which material is used as a raw material,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are determined.
도자기에 관한 많은 연구 보고서는 도자기 제조 전반에 걸친 제조 과정에서의 물성에 관한 자세한 연구 보고서는 없고 도자기의 특정 물성 변화에 관한 것이며, 연구의 대부분은 도자기의 치밀화와 강도에 집중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다. Many research reports on ceramics do not have detailed research reports on the properties of the ceramics throughout the manufacturing process, but on specific properties of ceramics. Most of the research focuses on the densification and strength of ceramics.
그러나 치밀화와 반대로 도자기를 다공질로 만들면 강도는 떨어지나 경량화, 단열성, 흡음성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게 될 것이나 그에 관한 연구는 별로 많지 않다. However, in contrast to densification, if porcelain is made porous, it will have excellent properties in lightness, insulation, sound absorption, etc.,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it.
도자기를 다공질로 만드는 방법에 관한 한 가지 연구논문으로는 세라믹스 중공체로 석탄회(fly ash)와 Shirasuballon 이라고 하는 미립 중공체를 도자기 원료에 첨가하여 소성된 물체의 물성등을 조사한 것이 있다. [참조: Y.Kolayashi, O.Ohira, Y.Okashi, E.Kato J.Ceramic Society JAPAN 99[6] 495-502 (1991); Okutani Nishikawa, T.Tanaka, KMiyatani, J.ceramic Soc Japan 110[7]688-692 (2002); 및 K.Sodeyama, Y.Sakka, Y.Kamino, K.Hamaishi, J.Ceram.Soc, Japan 106[3] 333-338 (1998)].One research paper on how to make porcelain porous i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fired objects by adding fly ash and fine hollow bodies called Shirasu ballon to ceramic raw materials. See Y. Koolayashi, O. Ohira, Y. Okashi, E. Kato J. Ceramic Society JAPAN 99 [6] 495-502 (1991); Okutani Nishikawa, T. Tanaka, KMiyatani, J. ceramic Soc Japan 110 [7] 688-692 (2002); And K. Sodeyama, Y. Sakka, Y. Kamino, K. Hamaishi, J. Ceram. Soc, Japan 106 [3] 333-338 (1998)].
이들은 재료의 경량화와 고강도를 동시에 실현할 목적으로 석탄회와 Shirasuballon 의 입자의 크기가 강도에 미치는 효과도 검토하였다. They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 size of the coal ash and Shirasu ballon on the strength in order to simultaneously realize the weight reduction and high strength of the material.
Kumar등은 도자기 원료에 기공이 많은 석탄회를 첨가하여 기계적 강도와 밀도 등의 물성에 관한 조사를 한 바 있다. [참조: S.Kumar, K.K.Singh, P.Rachandrarao,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6. 5917-5922 (2001); Jeong, Doo-young. Lee, Byung-Suk, Lee Kwang-Joon,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 17권 제2호 59~172 (2001); Y.Kolayashi, E.Kato, J.Ceramic Society. Japan 106[9]938-941 (1998); 및 K.Dana. S.Das, S,Kumar, J.European Ceramic Society 24.3169-3175 (2004)].Kumar et al.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mechanical strength and density by adding pore coal ash to porcelain raw materials. See S. Kumar, K. K. Singh, P. Rachandrarao,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36. 5917-5922 (2001); Jeong, Doo-young. Lee, Byung-Suk, Lee Kwang-Jo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7, No. 2, 59 ~ 172 (2001); Y. Kolayashi, E.Kato, J. Ceramic Society. Japan 106 [9] 938-941 (1998); And K. Dana. S. Das, S, Kumar, J. European Ceramic Society 24.3169-3175 (2004)].
Miyatani 등은 석탄회를 도자기 소지에 첨가하여 폐기공 도입을 시도하였다.[참조: E.Okutani, T.Tanaka, T.Nishikawa, K.Miyatani, Y.Sadaoka, J.Ceramic society. Japan III [5] 333-338 (2003)]. Miyatani et al. Attempted to introduce waste holes by adding coal ash to porcelain substrates. E. Okutani, T. Tanaka, T. Nishikawa, K. Miyatani, Y. Sadaoka, J. Ceramic society. Japan III [5] 333-338 (2003).
Kausik 등은 석탁회와 용광로 용제를 전통 자기 타일에 첨가하여 강도, 기공률, 밀도 등을 조사하여 경량화와 강도 변화를 검토하였다. [참조: K.Dana, S.Kumar DAS Bull.Mater.Sci., Vol.27 No.2. 183-188 April (2004); 및 K,Dana, J.Dey, S.Kumur DAS, Ceramics International 31. 147-152 (2005)].Kausik et al. Investigated the reduction in weight and strength by adding lime and blast furnace solvents to traditional ceramic tiles to investigate their strength, porosity and density. [K. Dana, S. Kumar DAS Bull. Mater. Sci., Vol. 27 No. 2. 183-188 April (2004); And K, Dana, J. Dey, S. Kumur DAS, Ceramics International 31. 147-152 (2005)].
Kobayashi 등은 가열 온도에 의한 기공 및 미세 조직의 변화에 의한 재료의 경량화를 검토하였다. [참조: Y.Kolayashi, E.Kato, J.Ceramic Society. Japan 106[9]938-941 (1998); 및 S.Bharim, S.S.Amritphale, N.Chandra, British Ceramic Transaction Vol.102. No.2 83 (2003)].Kobayashi et al. Examined the weight reduction of materials due to changes in pores and microstructures caused by heating temperatures. See Y. Koolayashi, E. Kato, J. Ceramic Society. Japan 106 [9] 938-941 (1998); And in S. Bharim, S. S. Amritphale, N. Chandra, British Ceramic Transaction Vol. 102. No. 2 83 (2003).
Kobayash 등은 알루미나를 자기 재료에 첨가하여 자기의 강도를 가능한 한 유지시키면서 도자기를 경량화 하기 위하여 소지 중에 미세한 독립 기공을 형성시키는 것을 검토 하였다. [참조: Okutani Nishikawa, T.Tanaka, KMiyatani, J.ceramic Soc Japan 110[7]688-692 (2002); 및 T.Kurita. M.Fujiwara, N.Otsuka,, K.Asaga, H.Fujimoto, J.Ceramic Soc Japan 106[12] 1206-1209 (1998)].Kobayash et al.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alumina to magnetic materials to form fine, independent pores in the substrate in order to lighten the ceramics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porcelain as much as possible. See Okutani Nishikawa, T. Tanaka, KMiyatani, J. ceramic Soc Japan 110 [7] 688-692 (2002); And T.Kurita. M. Fujiwara, N. Otsuka, K. Asaga, H. Fujimoto, J. Ceramic Soc Japan 106 [12] 1206-1209 (1998).
H.M.shah 등은 석탄회 첨가에 의한 도자기의 수축률, 흡수성 등의 도자기 물성 변화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참조: 문종수, 최태현, 도자기 공학(1), 斗暘私(2003)].H.M.shah et al. Investigated the change of porcelain properties such as shrinkage and absorbency of porcelain by addition of coal ash. [Reference: Moon Jong-soo, Choi Tae-hyun, Ceramic Engineering (1), Cheng (2003)].
이 경우 기공 형성제로는 친수성이며, 물에 녹고 연소 과정에서 연소되어 없어지는 전분을 사용하였다. In this case, as the pore-forming agent, starch, which is hydrophilic, is dissolved in water and burned out in the combustion process, is used.
전분은 세라믹스의 성형시 결합제로 쓰면서 소성 과정에서 기포를 생성시켜 도자기를 경량화 시킬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Starch has been reported to be able to lighten porcelain by generating bubbles during the firing process as a binder in the molding of ceramics.
석탄회는 석탄 연소로의 연도에서 포집된 화력 발전소의 부산물이다. 그러한 석탄회의 주 성분인 SiO2와 Al2O3등은 도자기의 주성분과 동일하여 제조되는 도자기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지만, 석탄회에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미연 탄소분과 철분은 도자기에 나쁜 영향을 주는 성분들이므로 이들 성분 함량을 각각 1% 이하로 정제하면 도자기 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Fly ash is a by-product of coal-fired power plants captured during the year of coal fired furnaces. The main components of coal ash, such as SiO 2 and Al 2 O 3 , are the same as the main components of porcelain, but do not adversely affect ceramics produced. However, unburned carbon and iron contained in small amounts of coal ash adversely affect ceramics. It is expected that these components can be fully utilized as a raw material for porcelain by refining their content to less than 1%.
또한 석탄회의 진비중은 1.9 내지 2.3 정도로 입자가 다공성인 가벼운 재료이므로 도자기 원료에 첨가한 재료는 도자기의 경량화와 단열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것으로 판단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al ash has a specific gravity of 1.9 to 2.3, it is a light material with porous particles. Therefore, the material added to the porcelain raw material will greatly improve the weight and insulation of the porcelain.
미연소 탄소와 철분을 제거하면 석탄회의 색상은 회백색의 밝은 색상으로 되어 백색 도자기 원료로 사용도 가능하다. When unburned carbon and iron are removed, the color of coal ash becomes light grayish white and can be used as a white porcelain raw material.
석탄회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는 M·S Hermandez 등이 새로운 자기화 토기 재 료 제조에서 검토되었다. [참조: M.S. Hernandez-Crespo, J.Ma, Rincon, Ceramics International 27. 713-720 (2001)].The manufacture of pottery using coal ash was reviewed by M · S Hermandez et al in the manufacture of new magnetized earthenware materials. [M.S. Hernandez-Crespo, J. Ma, Rincon, Ceramics International 27. 713-720 (2001).
기존 생산 원료에 석탄회를 첨가한 새로운 도자기 제조에는 석탄회의 첨가량에 따른 성형강도, 수분 요구량, 색상, 소성 온도, 소성 시간, 굴곡 강도, 유약 선택, 마찰계수 등 외에 여러 가지 조사 검토 사항이 필요하나 Eiji Okutani 등은 기존 도자기 소지에 석탄회를 첨가하여 개기공과 폐기공의 기공을 도입하여 소지의 경량화만을 시도하였다. [참조: Okutani Nishikawa, T.Tanaka, KMiyatani, J.ceramic Soc Japan 110[7]688-692 (2002)].The manufacture of new ceramics with coal ash added to existing raw materials requires various investigations such as molding strength, moisture demand, color, firing temperature, firing time, flexural strength, glaze selection, and coefficient of friction depending on the amount of coal ash added. Okutani et al. Attempt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base by adding coal ash to the existing porcelain base and introducing pores of open and discarded holes. See Okutani Nishikawa, T. Tanaka, KMiyatani, J. ceramic Soc Japan 110 [7] 688-692 (2002).
Kausik Dana 은 일반적인 Kaolin-quartz-feldspar 을 기본으로 한 타일 재료에 석탄회를 첨가하여 수축율, 겉보기 밀도, 흡수율, 굴곡강도 등을 조사하여 새로운 재료의 경량화에 따른 물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조: K.Dana. S.Das, S,Kumar, J.European Ceramic Society 24.3169-3175 (2004)] Kausik Dana investigated the shrinkage, apparent density, water absorption and flexural strength by adding coal ash to tile materials based on Kaolin-quartz-feldspar. [K. Dana. S. Das, S, Kumar, J. European Ceramic Society 24.3169-3175 (2004)]
Kumam 등은 도자기 재료에 석탄회를 첨가하여 MOR 강도, 굴곡강도, 마모저항 등에 관한 변화를 조사하였다. [참조: Y.Kolayashi, E.Kato, J.Ceramic Society. Japan 106[9]938-941 (1998)]Kumam et al. Investigated the changes in MOR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wear resistance by adding coal ash to ceramic materials. See Y. Koolayashi, E. Kato, J. Ceramic Society. Japan 106 [9] 938-941 (1998)]
그 외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석탄회를 도자기에 첨가하여 경량화와 함께 굴곡강도, 수축률, 흡수율 등 도자기 물성에 관계된 기초 조사를 하였다. 그러나 기존 제품의 생산 원료에 석탄회를 첨가한 식탁 도자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는 아직 발표된 바 없다. In addition, many researchers added coal ash to porcelain to investigate the basics of porcelain properties such as flexural strength, shrinkage, and absorption, along with weight reduction. However, no comprehensive research has yet been published to manufacture tableware products in which coal ash is added to the production of existing products.
석탄회가 훌륭한 산업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산업 폐기물로 취급되고 있으며, 그 일부만이 값싼 산업 자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를 정제하면 고가의 산업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석탄회를 도자기 원료로 활용하면 원료비용을 크게 절감 시킬 수 있다. Although coal ash is an excellent industrial resource, it is treated as industrial waste, and only a part of it is used as an inexpensive industrial resource. However, refinement can be used as an expensive industrial resource. have.
본 발명에서는 정제한 석탄회를 현재생산, 시판되고 있는 도자기 제품 원료배합물에 첨가하여 성형강도, 소성온도, 흡습성, 수축률 등 도자기 물성에 미치는 여러 항목들을 조절함으로써 가볍고 보온성이 높은 새로운 도자기 개발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ined coal ash is added to the raw material blends of porcelain products currently produced and marketed to develop new porcelains having light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by controlling various items on the porcelain properties such as molding strength, firing temperature, hygroscopicity, and shrinkage rate.
본 발명은 도자기의 다른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볍고 보온성이 우수한 도자기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도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which is light and excellent in heat insulation without affecting other properties of porcelain and porcelain produced from such a composition.
본 발명에서는 석탄회를 정제하고 이러한 정제된 다공성 석탄회를 특정된 양으로 도자기의 주된 원료인 도자기 소지 원료에 첨가하고, 특정의 온도에서 소성시킴으로써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chieved by refining coal ash and adding the refined porous coal ash to a porcelain base material, which is the main raw material of porcelain, in a specified amount and firing at a specific temperature.
본 발명에 따르면, 도자기 제조를 위한 도자기 소지 원료에 특정된 양의 다공성 석탄회를 첨가하여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그로부터 제조되는 도자기의 다른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가볍고 보온성이 우수한 도자기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산업 폐기물로 취급되고 있는 석탄회를 정제하여 도자기 원료로 활용함으로써 도자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원료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by adding a specific amount of porous coal ash to the porcelain base material for producing porcelai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porcelain having excellent lightness and warmth without affecting other properties of the porcelain produced therefrom. It is possib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fining coal ash, which is treated as industrial waste, and used as a porcelain raw material,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raw material cost in producing porcelain.
본 발명에서는 도자기 소지 원료에,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중량% 내지 30중량%의 정제된 다공성 석탄회를 첨가하여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가볍고 보온성이 큰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 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 and large heat retention ceramics may be manufactured by adding 5 wt% to 30 wt% of refined porous coal ash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rcelain composition to the porcelain base material to prepare the porcelain manufacturing composition. Found.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자기 소지 원료에 석탄회가 첨가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로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중량%의 석탄회가 첨가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as a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wherein coal ash is added to a general porcelain base material, and 5 to 30% by weight of coal ash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일반적인 도자기 소지 원료인 S/S 배토 성분에 석탄회가 첨가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로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중량%의 석탄회가 첨가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서 배토라 함은 여러가지 원료가 조절된 도자기용 조합물을 의미하며, S/S 배토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본 배토를 의미한다.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in which coal ash is added to the S / S clay component, which is a general porcelain material, which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and contains 5 to 30% by weight of coal ash. To provide. Here, the clay means a combination for ceramics with various raw materials controlled, and the S / S clay refers to the basic cla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10 내지 12중량%의 일승도석, 20 내지 24중량%의 인도네시아규석, 10 내지 15중량%의 부여장석, 10 내지 26중량%의 국내 알루미나, 10 내지 20중량%의 영국점토, 1 내지 3중량%의 영국골회(bone ash), 1 내지 3중량%의 중국활석, 및 5 내지 30중량%의 국내석탄회를 함유하는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다.More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10 to 12% by weight monotonite, 20 to 24% by weight of Indonesian silica, 10 to 15% by weight feldspar, 10 to 26% by weight of domestic alumina, 10 to 20% by weight of There is provided a composition for producing ceramics containing British clay, 1-3% by weight of bone ash, 1-3% by weight of Chinese talcum, and 5-30% by weight of domestic coal.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중량비로 1:1의 비로 혼합 및 교반하고, 성형 및 건조시키고, 공기중에서 1210℃ 내지 1220℃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성시킴을 포함하여, 석탄회가 함유된 도자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mixing and stirring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ceram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ater in a ratio of 1: 1 by weight, forming and drying, calcining by heating to a temperature of 1210 ℃ to 1220 ℃ in air,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the contained ceramics.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그림1과 같은 공정으로 제조되어 다공성을 지니는 도자기를 제공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porcelain having a porosity produced by the process as shown in Figure 1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석탄회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서는 석탄 발전소로부터 얻은 석탄회를 상기된 방법중 연소법에 따라서 볼밀(ball mill)로 분쇄하고 연소시켜 미연탄소분이 0.5중량% 이하인 정제된 다공성 석탄회를 수득하여 이를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제된 다공성 석탄회는,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중량%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된다. Regarding the coal ash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ceram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l ash obtained from the coal power plant is pulverized and combusted by a ball mill according to the combustion method described above, and the unburned carbon powder is not more than 0.5% by weight. Porous coal ash was obtained and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ceramics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refined porous coal ash i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ttery in an amount of 5% by weight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ttery.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석탄회는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한데, 석탄회의 양이 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도자기에서 기공성이 너무 낮은 문제가 발생되고, 3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도자기의 강도가 너무 약하다는 문제가 발생된다.Coal ash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ceram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n the amount of coal ash is less than 5% by weight, the porosity is too high in the ceramics produced from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ceramics A low problem arises, and when it is more than 30% by weight,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trength of the porcelain produced from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a porcelain is too weak.
본 발명의 도자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과 물은 중량비로 1:1의 비로 혼합되며, 그러한 비율은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비율이다. In preparing the ceram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for preparing ceram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water are mixed in a ratio of 1: 1 by weight, and such a ratio is a typical ratio in the art.
본 발명의 도자기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소성온도는 1210℃ 내지 1220℃가 적합하다. 소성온도가 1210℃ 미만인 경우에는 도자기의 표면에 큰 기공이 남아있어서 소성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이며, 소성온도가 1220℃ 초과인 경우에는 다시 기공이 증가하여 과소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In producing the ceram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210 ° C to 1220 ° C. If the firing temperature is less than 1210 ℃ large pores remain on the surface of the porcelain shows that the firing is not complete, and if the firing temperature is more than 1220 ℃ pores increase again tends to be overfired.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일반적인 도자기 소지 원료의 성분 및 그 특성을 이하 기재한다. The component and its characteristic of the general ceramics raw material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ceramics manufacture of this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일반적으로, 도자기 소지 원료는 골격 재료인 규석 광물과 융제 또는 접착재료인 장석 광물과 가소성 재료인 점토 광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물레 성형을 위주로 하는 식기의 경우에는 성형에 필요한 적절한 가소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이 가소성은 주로 점토, 카올린, 세리사이트, 도석, 벤토나이트, 납석 등 점토 광물에서 얻을 수가 있다. In general, the porcelain base material is composed of silicate mineral as a skeletal material, feldspar mineral as a flux or adhesive material, and clay mineral as a plastic material.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ishware mainly for spinning wheels, it is required to have appropriate plasticity necessary for molding. . This plasticity can be obtained mainly from clay minerals such as clay, kaolin, sericite, pottery, bentonite, and feldspar.
원료 정제 처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식기의 소재로 사용하는 원료도 유색성분이 거의 없는 아주 순수한 것이 요구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raw material refining technology, it is required that the raw materials used for the tableware have very pure color with almost no colored components.
도자기의 모든 원료는 먼저 분쇄하여 사용하지만, 천연에서 분체의 상태로 산출되는 것과 괴상(塊狀)으로 채취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분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 있다. All raw materials of pottery are first used by grinding, but there are some that must be pulverized because they must be collected in the form of powder in nature and collected in bulk.
일반적으로 분체의 상태로 산출하는 원료를 가소성 원료라 부르고, 분쇄하지 않으면 안 되는 원료를 비가소성 원료라 부르고 있다. 도자기 소지를 만들 때에는 여러 가지 재료를 균질하게 혼합한다. 이때의 혼합비율은 조합 비율에 따라 정해진다. 최종적으로는 조합물, 즉 배토는 성형이 가능하게 되어야만 한다. 그래서 소성물이 희망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도 성형이 되지 않으면 이것은 배토라고 할 수 없다. Generally, the raw material computed in the state of powder is called a plastic raw material, and the raw material which should be grind | pulverized is called a non-plastic raw material. When making porcelain stocks, mix different ingredients homogeneously. The mixing ratio at this ti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ratio. Finally, the combination, namely clay, must be moldable. So even if the fired product has the desired properties, it cannot be called clay if it is not molded.
이와 같은 도자기 소지 원료를 구성하는 가소성 원료와 비가소성 원료의 각 성분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of the plastic raw material and the non-plastic raw material constituting such ceramic material are as follows.
<도자기 소지 원료><Pottery material>
1. 가소성 원료1.plastic raw materials
1) 점토질 원료1) clay material
(1) 점토(Clay)(1) Clay
점토(粘土, Clay)는 가소성이 우수한 원료이다. 카오리나이트 Al2O3·2SiO2·2H2O의 이론화학성분은 H2O 13,9%, SiO2 41.54%, Al2O3 39.3%이며, 열간변화는 300 내지 800℃에서 결정수를 방출하고 뮬라이트 3Al2O3·2SiO2를 생성하며, 950℃이상에서는 3Al2O3·2SiO2와 유리(遊離) 4SiO2로 전이한다. Clay is a raw material with excellent plasticity. The theoretical chemical composition of kaolinite Al 2 O 3 · 2SiO 2 · 2H 2 O is H 2 O 13,9%, SiO 2 41.54%, Al 2 O 3 39.3%, and the hot change is the crystallized water at 300 ~ 800 ℃. release and mullite 3Al 2 O 3 · 2SiO 2 and generates, in more than 950 ℃ transitions to the 2 O 3 · 2SiO 2 and 3Al glass (遊離) 4SiO 2.
점토를 식기용 소지에 과량 사용했을 때는 색상의 악화, 건조 시 균열이 심하게 발생하며, 투광도의 불량을 초래하며, 수축이 증대하는 결점을 가진다. 그래서 적당한 사용량은 10 내지 20% 정도이다. Excessive use of clay in tableware causes severe color deterioration and severe cracks during drying, resulting in poor light transmittance and increased shrinkage. Therefore, the suitable amount is about 10 to 20%.
(2) 가소성 점토(Plastic clay, Ball clay)(2) Plastic clay (Ball clay)
가소성 점토(可塑性粘土)는 가소성이 내우 큰 이차 점토로 건조 강도가 큰 미립자이며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소성색상은 보통 누른 빛을 띠며, 엷은 노란색에서 부터 흰색 까지의 색상을 나타낸다. Plastic clay is a secondary clay with high plasticity. It is a fine particle with a high dry strength and contains a lot of organic matter. Therefore, the calcined color is usually pressed and has a color from pale yellow to white.
(3) 벤토나이트(Bentonite)(3) Bentonite
화산재, 또는 응회암이 변성(變成)한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Al2O3·4SiO2·2H2O를 주성분 광물로 하는 점토 물질을 통틀어 벤토나이트라 하고 입자가 미세한 점토이다.It is a bentonite and a fine-grained clay through a clay material composed mainly of montmorillonite Al 2 O 3 · 4SiO 2 · 2H 2 O in which ash or tuff have been modified.
소지체의 가소성 및 강도 부여재로 사용하며 건조강도가 증가되며, 철분이 많고 콜로이드성이 크므로 도자기 원료에 2%이상 첨가가 불가능하다.It is used as a material to give plasticity and strength of the body, and the dry strength is increased, and it is impossible to add more than 2% to ceramic raw materials because it has a lot of iron and colloidal property.
2) 엽납석(獵蠟石, pyrophillite)2) Pyrophyllite
납석의 주 구성 광물을 이루는 광물로 이론식은 Al2O3·4SiO2·H2O(Al2Si4O10(OH)2)로 표시되며 백색, 담황색, 담록색, 담청색 등의 색을 띤 촉감이 치밀한 덩어리이다. A mineral that constitutes the main constituent mineral of feldspar, which is represented by Al 2 O 3 · 4SiO 2 · H 2 O (Al 2 Si 4 O 10 (OH) 2 ) and has a white, pale yellow, pale green, or light blue color This is a dense mass.
보통 미세한 인편상 결정(鱗片狀結晶)으로 이루어지고, 가소성은 작아도 가열했을 때 수축이 적고, 소결이 잘되며, 비틀림 및 수화팽창이 적고 가압 성형이 쉽다 Usually composed of fine scaly flakes, the plasticity is small, but shrinkage when heated, well sintered, less torsion and hydration expansion, easy to press molding
3) 견운모(絹雲母, Sericite)3) Sericite
미세한 백운모족의 광물로 표면이 명주와 같은 광택(光澤)을 가지고 있다. 백운모(白雲母, muscovite)의 이론식은 K2A14(Si6Al2)O20(OH)4이다.It is a fine mineral of the muscovite and its surface has a gloss like silk. The formula of muscovite is K 2 A 14 (Si 6 Al 2 ) O 20 (OH) 4 .
견운모의 도자기 원료로서의 성질은 가소성이 커서 건조강도가 크며, 장석의 역할을 겸비하고 있으며, 그리고 철분 특히 황화철을 포함하지 않고 입자가 미세 하다는 것이다. Cicada's qualities as a raw material for porcelain are large plasticity, high dry strength, feldspar function, and fine grains without iron, especially iron sulfide.
4) 활석(滑石, Talc)4) Talc
활석(3MgO·4SiO2·H2O)은 엽납석과 마찬가지로 수산기가 적으므로 흡착성이 작고 가소성도 모자란다. 수순한 것은 무색 또는 백색, 불순한 것은 담청색, 갈색, 녹색을 띠고 있다. 촉감은 연하고 매끄러운 느낌을 준다.Talc (3MgO · 4SiO 2 · H 2 O), like chloroplast, has less hydroxyl groups, so its adsorption is low and its plasticity is insufficient. Its color is colorless or white, and its impurity is light blue, brown and green. Feel feels soft and smooth.
매용제, 또는 활석 유약으로 사용되며 소성 수축이나 수화 팽창이 작은 것이 특징이다. It is used as a solvent or talc glaze and is characterized by small plastic shrinkage or hydration expansion.
2. 비가소성 원료2. Non-plasticized raw material
도자기의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비 가소성 원료에는 많은 종류가 있고, 이 비 가소성 원료의 이용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성질이 다른 제품이 얻어 지기도 한다. There are many kinds of non-plastic raw materials used as raw materials for ceramics, and products with different properties may be obtained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ing the non-plastic raw materials.
1) 실리카 원료 1) silica raw material
실리카는 화학적으로는 SiO2로 지각을 구성하는 산화물 중 약 60%를 차지하며, 공업적으로 덩어리 상태인 것을 규석, 또는 석영이라 한다. 규석의 화학조성(화학조성)은 SiO2가 99.60% 이상이며, (Na2O+K2O)등이 미량으로 들어있다. 실리카 원료로는 규사, 규암, 석영 플린트(flint)가 있으며, 석영을 하소하여 분쇄한 것을 플린트라고 한다. 석영을 하소했을 때의 효과로는 도자기 소지의 조직이나 상태가 양호하게 되고, 유약으로 사용하면 광택이 좋아지나 핀 홀(pin hole)의 발생이 자주 보이므로 사용하지 않고, 소지에만 사용하고 있다. Silica is chemically composed of about 60% of the oxide constituting the crust with SiO 2 , and industrially agglomerated is called silica or quartz.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ilica (chemical composition) is a SiO 2 more than 99.60%, the example in trace amounts, such as (Na 2 O + K 2 O ). Silica raw materials include silica sand, quartzite, and quartz flint, and pulverized quartz is called flint. The effect of calcining quartz is that the structure and state of porcelain bases are good, and when it is used as a glaze, the gloss is improved, but the occurrence of pin holes is often seen.
석영은 제품의 백색도를 좋게하고 투광도 및 강도가 높아지며, 첨가량에 따라서는 팽창률(係數)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Quartz improves the whiteness of the product, increases the light transmittance and strength, and can easily change the expansion ratio depending on the amount added.
2) 장석( Feldspar)질 원료2) Feldspar quality raw material
도자기 공업에서 소성 중에 액상이 생성되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소지에 용제를 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 액체가 냉각되면 유리(glass)로 되어 소지내의 입자를 결합한다. 용제가 있기 때문에 도기나 자기는 1100 내지 1300℃에서 소성하여 도 단단히 강고하게 되어 불 투과성으로 될 수 있다.In the ceramic industry, solvents are often added to the substrate to lower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liquid phase is produced during firing. When this liquid cools, it becomes glass and binds the particles in the body. Because of the presence of solvents, pottery or porcelain may be firmly rigid even when fired at 1100 to 1300 ° C., thereby making them impermeable.
장석류는 모두 비슷한 화학식을 가지는 광물로 도자기 공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칼륨 장석, 나트륨 장석, 회장석, 휘석, 백운모, 흑운모, 인운모 등이 있다.The feldspars are minerals with similar chemical formulas, and the most important ones in the ceramic industry include potassium feldspar, sodium feldspar, feldspar, fluorite, dolomite, biotite, and mica.
보통 자기 제조의 3가지 주원료는 점토, 규석 그리고 장석이라 할 수 있는데, 점토는 성형에 필요한 가소성을 주어 건조 강도를 내고 고온에서 뮬라이트를 생성하고, 규석은 백색도를 높이고 강도를 증가시켜 소지의 골격을 이루는 역할을 하며, 장석은 용제로 소지의 조직 구조를 양호하게 한다. Usually, the three main ingredients of porcelain manufacturing are clay, silica and feldspar, which give plasticity for molding, give dry strength and produce mullite at high temperature, and silica increase whiteness and increase strength to improve the skeleton of the body. The feldspar is a solvent to improve the tissue structure of the body.
3) 석회석 원료3) limestone raw material
순수한 석회석의 화학조성은 CaO 56%, CO2 44%이며 또한 가열분해에 의하여 900℃정도에서 이하와 같이 분해된다: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ure limestone is 56% of CaO and 44% of CO 2 , and is decomposed at about 900 ° C. by thermal decomposition as follows:
CaCO3 -> CaO + CO2 (핀 홀 형성)CaCO 3- > CaO + CO 2 (Fin Hole Formation)
도자기 제조에서 3% 이하의 석회석을 도자기의 소지에 사용하면, 수축 및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키며, 기공률을 저하시키거나 투광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In the manufacture of ceramics, less than 3% of limestone is used in the possession of ceramics, which increases shrinkage and mechanical strength, and serves to reduce porosity or increase light transmittance.
4) 도석(陶石, Pottrey stone)4) Pottrey stone
광물명이 아니고 단미(單味)소성에 의하여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원료를 말하며, 즉 자연이 만든 조합석(調合石)을 의미한다.It is not a mineral name but refers to a raw material from which ceramics can be made by sweet firing, that is, a combination stone made by nature.
일반적으로 석영 70%이고, 점토광물은 주로 견운모이며, 카올린을 30% 함유한 백색의 치밀한 암석으로 조성, 조직, 화학성분, 내화물 등 물리적 성질이 주 함유 광물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Generally 70% quartz, clay mineral is mainly mica, white dense rock containing 30% kaolin, and its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mposition, structure, chemical composition, and refractory depends on the kind of the main mineral.
5) 골회(骨灰, Bone ash)5) Bone ash
골회자기(bone china)의 중요한 원료이며, 소뼈를 하소시켜 만든 것이다. 원료 뼈로는 여러가지 동물의 뼈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산화철이 적고 백색으로 소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소뼈(牛骨)가 사용되고 있다.It is an important raw material for bone china and is made by calcining bovine bone. As raw material bones, bones of various animals were used, but nowadays, bovine bones are used because they have less iron oxide and can be baked in white.
골회는 골회자기의 원료로서 대부분 사용되지만, 융제로서 작용하여 소지의 백색도와 투광성을 증가시킨다. Bone ash is mostly used as a raw material of bone ash magnetic, but acts as a flux to increase the whiteness and light transmittance of the base.
또한, 도자기의 제조에서 알루미나가 사용될 수 있다. 알루미나를 첨가하는 경우, 도자가는 내화성이 크고 어느 온도에서나 화학작용에 저항성이 강하고 기계적 강도가 크며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경도가 높으며, 열 충격에 대한 저항이 매우 우수하다. 도자기가 상기된 바와 같은 성질을 지니게 하는데 요구되는 알루미나의 적합한 양은 전체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6중량%이다. In addition, alumina may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ceramics. When alumina is added, the ceramics have a high fire resistance, strong chemical resistance at any temperature, high mechanical strength, high abrasion resistance, high hardness, and excellent thermal shock resistance. Suitable amounts of alumina required for the porcelain to have the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are 10 to 26%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porcelain manufacturing composition.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도자기 소지 원료는 그외 보조재료로서 해교제, 응고제, 윤활제, 건조촉진제 등이 배합원료의 특성과 공정에 따라 약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The porcelain hold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a porcela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eptizing agent, a coagulant, a lubricant, a drying accelerator, and the like, as other auxiliary material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and processes of the blended raw material.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정제된 다공성 석탄회는 석탄 발전소에서 에너지를 얻고자 사용하고 남는 물질을 정제함으로써 생성되는 정제된 다공성 석탄회이다. The refined porous coal ash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fined porous coal ash produced by purifying the remaining material used to obtain energy in a coal power plant.
이와 같은 석탄회의 특성 및 그 정제 방법은 이하와 같다:Such characteristics of coal ash and its purification method are as follows:
<석탄회의 특성 및 그 정제 방법><Characteristics of Coal Ash and its Purification Method>
1. 석탄회의 특성1. Characteristics of Fly Ash
1) 석탄회 발생과정1) Coal Ash Generation Process
석탄 발전소에서는 석탄을 미분기로 분쇄(200Mesh체 70 내지 80%통과)하여 뜨거운 공기와 함께 고속으로 노내로 주입하면 석탄에 함유된 대부분 광물질의 용융점 이상인 1,500±200℃ 온도 범위에서 부유(浮游)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연소하게 된다. 이때 연소하고 난 후 남는 물질을 석탄회(Ash)라고 하며, 무연탄의 경우는 26 내지 50%, 역청탄은 8 내지 15% 정도가 발생되고 연소 후 모이는 장소에 따라 bottom ash, fly ash 등으로 구분한다.In coal-fired power plants, coal is pulverized (passed 200 to 70% of 200Mesh sieve) and injected into the furnace at high speed with hot air in a floating state at a temperature range of 1,500 ± 200 ℃, which is above the melting point of most minerals contained in coal. It burns instantly. At this time, the material remaining after burning is called ash (ash), and anthracite coal is 26 to 50%, bituminous coal is generated about 8 to 15% and divided into bottom ash, fly ash, etc. according to the location after the combustion.
바닥회(Bottom Ash)는 노벽, 과열기, 재열기 등에 부착되어 있다가 자중(自重)에 의해 보일러 바닥으로 떨어지며 입경(粒經)은 1 내지 25㎜ 정도로 발전소별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보통 회 발생량의 15 내지 20% 정도가 된다. Bottom ash is attached to the furnace wall, superheater, reheater, etc. and falls to the boiler floor due to its own weight. The particle size varies from 1 to 25 mm depending on the power plant. 15 to 20% or so.
석탄회는 절탄기나 공기 예열기 아래 호퍼(Hopper)에 모이는 것과 집진기 하부 호퍼에 모이는 회(ash)를 말하며, 절탄기나 공기예열기 아래에 있는 호퍼에 모이는 회의 입경은 0.3 내지 10㎜로 발생회의 약 5% 정도이다. 전기집진기에 의해서 집진되어 집진기 하부 호퍼에 모이는 회의 입경은 탄종이나 연소 조건에 따라 다르나 보통 10 내지 30㎛이며 발생회의 75 내지 80% 정도로서 대부분 이 석탄회가 재활용되고 있으며, 재활용을 위해서 공기 이송설비(Pneumatic system)에 의해 석탄회저장고(fly ash silo)로 이송된다.Coal ash refers to ashes gathered in the hopper under the coal mill or air preheater and ash collected in the hopper under the dust collector. The particle size of the coal gathered in the hopper under the coal mill or air preheater is 0.3 to 10mm, which is about 5% of the ash generated. to be. The particle size of the dust collected by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collected in the lower hopper of the dust collector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al or combustion conditions, but it is usually 10 to 30㎛ and 75 to 80% of the ash generated is mostly recycled to coal ash. system to the fly ash silo.
2) 석탄회의 화학적 특성2)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y Ash
미정제 석탄회 시료 중 미연탄소분 함량을 알아보고자 제공된 석탄회의 화학 적 특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coal ash provided to find the unburned carbon content in the crude coal ash sample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 서천 화력 발전소로부터 구입한 석탄회 샘플의 화학적 조성(중량%)Table 1. Chemical composition (wt%) of coal ash samples purchased from Seocheon thermal power plant
3) 석탄회의 광물학적 특성3)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Fly Ash
일반적으로 석탄을 연소 전에 광물학적으로 분석하여 보면, 단소분외에 주로 석영, 장석, 고령토, 운모, 산화철, 유화철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석탄을 강한 열로 연소 시킨 후에는 대부분 뮬라이트화 상태이고, 그 밖에 석영 및 자철석으로 되여 있다.In general, the coal is analyzed mineralogically before combustion, and it is mainly composed of quartz, feldspar, kaolin, mica, iron oxide, iron oxide, etc. in addition to danso, but after coal is burned with strong heat, it is mostly mulliteized. Outside is made of quartz and magnetite.
4) 석탄회의 입도분포4)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coal ash
석탄회의 입도구성은 주로 1 내지 100㎛ 범위로 나타나 있으나, 제공된 석탄회 시료의 입도분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용 타일러표준체(Tyler standard sieves)중 170mesh(90㎛), 325mesh(43㎛) 체와 회전체 쉐이커(Rotary Sieve Shaker)를 사용하여 제공된 시료를 일정량 취하여 사분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Although the granularity of coal ash is mainly in the range of 1 to 100 μ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ovided coal ash samples, 170 mesh (90 μm) and 325 mesh (43 μm) sieves are included in the Tyler standard sieves. Using a rotary sieve shaker (Rotary Sieve Shaker) taking a given amount of a sample to perform a four-minute experimen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 2. 석탄회 샘플의 입자 크기 분포Table 2.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Fly Ash Samples
(wt.%)Unburned LOI Carbon
(wt.%)
(wt.% of LOI)Distribution of Unburned Carbon
(wt.% of LOI)
5) 색상5) Color
회백색의 것이 많으나 담황색에서 암갈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탄소, 철 분, 습분의 함량에 따라 다르다. Many are greyish white but vary from pale yellow to dark brown, depending on the content of carbon, iron and moisture.
6) 비중 및 밀도6) Specific gravity and density
석탄회의 진비중은 1.9 내지 2.3 로서 아역청탄의 경우 1.9정도, 철분이 많은 역청탄은 2.96까지 되는 것도 있으며, 시멘트 비중의 약 2/3 정도에 해당된다.Coal ash has a specific gravity of 1.9 to 2.3, about 1.9 for sub-bituminous coal and up to 2.96 for iron-rich bituminous coal, which is about 2/3 of the specific gravity of cement.
2. 석탄회 중 미연탄소의 정제2. Purification of Unburned Carbon in Fly Ash
석탄회 중 미연탄소의 정제기술은 매우 광범위하게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나눌 수 있다. 습식법의 경우 부유선별법이 대표적이며, 건식법으로는 공기분급법, 연소법 및 정전분리법이 있다.The refining technology of unburned carbon in coal ash is very extensively studied and can be classified into wet and dry methods. In the case of the wet method, the flotation screening method is typical, and the dry method includes the air classification method, the combustion method, and the electrostatic separation method.
1)부유 선별법1) Floating Screening
부유 선별법은 소수성(Hydrophobic)을 갖는 미연 탄소와 친수성(Hydrophilic)을 갖는 석탄회의 가용성(Wettability) 차이를 이용한다. 부선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불용성 오일이나 계면 활성제와 같은 포수제(Collector)와 기포제(Frother)를 이용하는데, 이들은 미연 탄소 입자의 소수성을 증가시키고 미립 기포의 생성을 원활하게 된다. 이때 생성된 미립의 기포는 소수성을 띤 미연 탄소 입자에만 선택적으로 부착하여, 미연 탄소 입자는 수중에서 공기층으로 이동되어 Over flow시켜 회수하며, 석탄회들은 수중에 분산된 상태로 남게 되어 하부로 배출, 분리한다. 이러한 부유 선별법은 오래된 기술로 광물처리 및 폐기물처리 분야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 석탄회 중 미연 탄소 제거 방법으로 이용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Suspension screening takes advantage of the difference in wettability of unburned carbon with hydrophobicity and coal ash with hydrophilicity. In order to increase barge efficiency, insoluble oils such as surfactants and collectors (Frother) are used, which increase the hydrophobicity of the unburned carbon particles and facilitate the generation of fine bubbles. At this time, the bubbles of fine particles are selectively attached only to the hydrophobic unburned carbon particles, and the unburned carbon particles are moved from the water to the air layer and recovered by overflow, and the coal ash remains dispersed in the water and discharged and separated downward. do. This flotation screening method is an old technology, which is widely used in the mineral treatment and waste treatment fields, and recently, interest in the use of unburned carbon in coal ash has been amplified.
2) 공기 분급법2) Air classification method
공기 분급법은 공기 혹은 기계 장치 등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석탄회와 미연 탄소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분체들의 입도, 형태, 밀도 등의 차이가 큰 경우와 분리하고자 하는 가는 분체들이 화합물이 아니라 별도의 물질로 존재할 때 유리하다. 석탄회 중 미연 탄소 분리의 경우, 큰 입자들이 미연 탄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분체 입도분리 방법으로 가장 오랫동안 추진되어 왔으며, 다른 방법과는 달리 분리된 분체의 입도가 균일하여 진다는 2차적인 장점이 있다.The air classification method is a method of separating coal ash and unburned carbon by using centrifugal force generated by rotation of air or a mechanical device, and this method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 shape and density is large. It is advantageous when the powders are present as a separate substance rather than as a compound. In the case of unburned carbon separation in coal ash, since the large particles contain a large amount of unburned carbon, it has been promoted for the longest time as a particle size separation method to remove it, and unlike other methods, the secondary particles have a uniform particle size. There is an advantage.
3) 연소법3) combustion method
연소법은 먼저 석탄회를 분쇄한 후, 석탄회 중에 잔존하는 미연탄소를 가열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낮은 열량, 낮은 운동성 그리고 휘발성이 없기 때문에 보충연료 없이 석탄회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긴 체류시간과 과잉의 공기량이 요구된다.Combustion is a method of first grinding coal ash and then heating and removing unburned carbon remaining in coal ash. Since low calories, low mobility and volatility do not exist, long residence time and excess air amount are required to burn coal ash without supplementary fuel. do.
4) 정전 분리법4) Electrostatic Separation Method
정전 분리 기술은 정제 효율이 건식 분리기술 중 가장 우수한 편이나, 대부분 석탄정제 분야의 이론적 연구를 위한 실험실적 소량 처리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The electrostatic separation technology is the best among the dry separation technologies, but most of them are being studied as a laboratory small amount of processing technology for theoretical research in the coal refining field.
본 발명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은 조성 및 특성을 지니는 도자기 소지 원료에 상기된 바와 같은 석탄회를 첨가하여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the coal ash as described above to the porcelain holding material having the composition and properties as described above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Production of Composition for Pottery Manufacturing>
1. 도자기 소지 원료1. Porcelain holding raw material
도자기 소지 원료로 사용된 S/S 배토의 성분은 점토류, 카올린류, 도석류, 장석, 규석류 등의 여러 원료를 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며, 화학적 성분은 하기 표 3과 같다. The components of the S / S clay used as a raw material for porcelain is made by mixing various raw materials such as clays, kaolins, pottery, feldspar, and silica, and chemical componen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표 3. S/S 배토의 화학적 조성Table 3. Chemical Composition of S / S Topsoil
이들 입자의 분포 곡선은 도 2와 같다. 도 2의 분포 곡선으로부터 50%에서의 직경은 4.88 mu이며, 평균 입도가 8.03mu 로서 도자기 배토로 적절한 입도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포 곡선으로부터 보여주는 바는 입자의 분포가 평균입자 크기에 집합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주원료 S/S 배토에 첨가될 석탄회의 입자의 분포 및 평균 입자 크기도 주원료 S/S 배토와 유사한 값을 가져야 할 기준값을 알려준다.The distribution curve of these particles is shown in FIG. From the distribution curve of FIG. 2, the diameter at 50% was 4.88 mu, and the average particle size was 8.03 mu,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ain size was appropriate as porcelain clay. The distribution curves also show that the particle distribution is aggregated in the average particle size. Therefore, the distribution and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coal ash to be added to the main raw material S / S cover also indicate the reference value which should have similar value as the main raw material S / S cover.
2. 정제된 다공성 석탄회의 준비2. Preparation of Refined Porous Fly Ash
본 실험에서 사용한 석탄회는 충남 서천 화력 발전소에서 국내 무연탄을 연소하여 얻은 석탄회를 석탄회 공급업체에서 연소법에 의한 1차 정제한 석탄회를 실험에 사용하였다.Coal ash used in this experiment was the first refined coal ash from the coal ash supplier, which was obtained by burning domestic anthracite coal at Seocheon thermal power plant in Chungnam.
1차 정제한 석탄회에는 미연 탄소분이 6.55%나 함유되어 있어 도자기 원료로 그대로 사용될 경우 검은색의 미연탄소분에 의하여 제품 표면에 검은 반점이 나타나 제품의 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도자기 원료들이 무기 화합물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소성에 의하여 결합을 이루는데 유기물인 미연 탄소분(unburned carbon)이 도자기 원료 가운데 많이 포함되어 있으면 무기물인 도자기 원료들과 유기물인 미연 탄소분과는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미연탄소분이 있는 곳의 결합력이 약하게 되여 강도가 떨어지게 되며 도자기 제품이 사용 중에 받게 되는 충격, 마찰, 열 또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크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The first refined coal ash contains 6.55% of unburned carbon powder, and if used as a raw material for porcelain, black spots may appear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by black unburned carbon powder, which may cause product defects. In addition, porcelain raw materials are composed of inorganic compounds, and these are formed by firing. If unburned carbon, which is an organic material, is included in the porcelain raw material, the porcelain, which is an inorganic material, and an unburned carbon powder, which is organic, cannot be combined. Therefore, the bond strength of the unburned carbon powder is weakened and the strength is decreased, and cracks are likely to occur due to the impact, friction, heat or other causes that the ceramic products receive during use.
그러므로 미연탄소분의 함량을 대략 0.5% 정도까지 정제되지 않으면 석탄회를 도자기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적당치 못 할 것으로 본다. Therefore, it is not suitable to use coal ash as a raw material for porcelain unless the unburned carbon content is refined to about 0.5%.
본 실험에서는 연소법으로 일부 정제된 것을 구입하였으며 이를 더 정제하기 위하여 먼저 미분쇄한 후, 석탄회 중에 잔존하는 미연 탄소분을 연소시켜 미연탄소분을 크게 감소시킨 석탄회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비용이 적게 들면서 정제정도가 높은 석탄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이 방법에 의하여 석탄회를 정제하였다. In this experiment, some refined products were purchased by the combustion method, and in order to further refine the coal ash, which was first pulverized and burned the unburned carbon powder remaining in the coal ash, greatly reducing the unburned carbon powder was used in the experiment.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able to obtain high-refining coal ash with low cost, and refined coal ash by this method.
국내 무연탄 연소시 발생되는 석탄회 내의 미연 탄소분은 수입 연탄인 역청탄의 연소에서 생성된 석탄회의 미연 탄소분에 비하여 3 내지 4배 정도 높게 포함되어있다. 국내 무연탄을 사용하는 서천 화력 발전소의 석탄회를 업체에서 일차로 정제하여 레미콘 혼화제로 공급되는 석탄회를 KSL 4007-2001에 따라 원소분석기(model : CS2000)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상기 표 1과 같다. Unburned carbon powder in coal ash generated during domestic anthracite combustion is contained 3 to 4 times higher than unburned carbon powder produced from combustion of bituminous coal which is imported briquettes. Coal ash from Seocheon thermal power plant using domestic anthracite coal was first purified by the company,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using the element analyzer (model: CS2000) according to KSL 4007-2001 were analyzed. same.
또한 기체비중병(Gas pycnometer:모델 Accupyc 1330, Micrometer)를 이용하 여 KSM 004에 의하여 비중과 미연탄소분은 표 4와 같다.The specific gravity and unburned carbon content by KSM 004 using a gas pycnometer (Model Accupyc 1330, Micrometer) are shown in Table 4.
표 4. 서천 화력 발전소에서 구입한 석탄회의 미연 탄소 함량 및 비중Table 4. Unburned Carbon Content and Specific Gravity of Coal Ash Purchased from Seocheon Thermal Power Plant
연소법에 의하여 1차로 정제된 석탄회에는 아직도 약 6 내지 7%정도로 많은 미연 탄소분을 함유하고 있다. 석탄회를 도자기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석탄회에 포함되어 있는 미연탄소분이 0.5% 이하 이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연 탄소분을 0.5% 이하로 정제하기 위하여 석탄회를 먼저 미분쇄하여 석탄회 입자 내부에 들어있는 미연 탄소분을 밖으로 노출시켜 이것을 연소로에서 연소하면 미연 탄소분은 연소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석탄회를 S/S 배토에 첨가시켜 가볍고 보온성 기능을 갖는 도자기를 만들기 위하여 석탄회는 S/S 배토의 입도분포와 유사한 값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석탄회는 첫째로는 미연 탄소분을 제거하기 위하고, 둘째로는 주원료 S/S 배토와 유사한 입도 분포를 갖는 미립자로 분쇄하여야 한다. 도자기 원료로 사용되는 입자의 분포도는 소성 강도, 성형 강도, 충격 강도, 소성 온도 등 도자기 여러 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석탄회 분체의 입도 분포는 중요하다. 석탄회를 일차로 연소법에 의한 대략적 정제된 것의 분포는 표 5와 같으며 10% 평균입도는 7.38mu, 50%의 평균입도는 32.43mu, 90%의 평균입도는 77.71mu이고 전체 평균은 38.28mu로서 1차연소법에 의하여 정제된 석탄회의 입도분포는 S/S 배토의 평균입도 8.03mu보다 너무 크고 미연소탄소분의 함량도 너무 많이 들어있으므로, 1차 정제한 석탄회는 그대로 도자기 원료로 사용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Coal ash, first purified by the combustion method, still contains a large amount of unburned carbon, about 6-7%. In order to use coal ash as a raw material for porcelain, unburned carbon powder contained in coal ash must be 0.5% or less. Therefore, in order to purify the unburned carbon powder to less than 0.5%, the coal ash is first pulverized, and the unburned carbon powder contained in the coal ash particles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burned in a combustion furnace, so that the unburned carbon powder can be burned and removed. In addition, coal ash should be similar to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 / S soil in order to add light ash to S / S soil to make light and warmth ceramics. Therefore, coal ash should be first pulverized into fin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similar to that of the main raw material S / S soil, in order to remove unburned carbon dus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coal ash is important because the distribution of particles used as porcelain raw materials greatly affects various properties of ceramics such as plastic strength, molding strength, impact strength, and firing temperature. The distribution of roughly refined coal ash by combustion method is shown in Table 5. The 10% average particle size is 7.38mu, the 50% average particle size is 32.43mu, the 90% average particle size is 77.71mu and the total average is 38.28mu.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coal ash refined by the primary combustion method is too large than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8.03mu of S / S clay and contains too much unburned carbon powder, so the primary refined coal ash cannot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ceramics. It was.
도자기와 같은 세라믹 소결물에서 원료 입자가 크면 성형 강도, 소성 강도, 충격 강도 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므로 1차 정제 석탄회는 2차 정제 공정에서 S/S 배토와 비슷한 입도 분포 값을 갖도록 분쇄하였다. In the ceramic sintered material such as ceramics, large raw material particles adversely affect molding strength, plastic strength, impact strength, etc., and thus, the first refined coal ash was pulverized to have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value similar to that of S / S clay in the secondary refining process.
표 5. 1차 정제한 석탄회의 직경 대 누적값(하위치 부피안에서의 표준범위 )Table 5. Diameter vs. cumulative value of primary refined coal ash (standard range in bottom position volume)
X: 직경/mu, Q3: 누적값/%, q3: 밀도/% X: diameter / mu, Q3: cumulative value /%, q3: density /%
<도자기의 제조><Manufacture of Pottery>
상기된 바와 같은 기본 배토인 S/S 배토 9.5kg에 정제된 석탄회 0.5kg을 첨가하고 혼련하여 성형, 건조 과정을 거친 후에 성형물을 다양한 소성온도(1140 내지 1250℃: 표 7 참조)에서 소성하여 도자기를 제조하였다. 0.5 kg of refined coal ash is added to 9.5 kg of S / S clay, which is the basic clay as described above, and then kneaded to form and dry the molded product. Was prepared.
S/S 배토 각각 9, 8, 및 7kg에 정제된 석탄회 1, 2, 및 3kg을 첨가함을 제외하고는 상기된 바와 동일한 과정으로 도자기를 제조하였다. The porcelai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1, 2, and 3 kg of refined coal ash was added to 9, 8, and 7 kg of S / S clay respectively.
<제조한 도자기에 대한 물성 시험><Physical Properties Test on Manufactured Ceramics>
1. 열전도도1. Thermal conductivity
도자기의 열전도도 측정은 시료를 직경 35mm, 두께 3mm 로 만들어 열전도도 측정장치(Thermal conductivity measuring apparatus 세원기연 TD-TCA40)에서 k=kR*(TR/△t)*(L/LR) 식에 의하여 열전도도 K 값을 측정하였다. The measuremen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ceramics was made by measuring the sample into 35mm diameter and 3mm thick, and k = k R * (T R / △ t) * (L / L R ) in the thermal conductivity measuring apparatus (Thermal conductivity measuring apparatus TD-TCA40). The thermal conductivity K value was measured by the formula.
K : 시편의 열전도도( cal/cm·sec·℃ )K: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pecimen (cal / cm · sec · ℃)
L : 시편의 두께 (mm)L: thickness of specimen (mm)
KR : 표준 열전도체서의 열전도율 (구리:320 Kcal/m·h·℃)K R : Thermal conductivity of standard thermal conductor (copper: 320 Kcal / m · h ℃)
LR :표준 열전도체서의 길이 (30mm)L R Length of standard thermal conductor (30mm)
△TR :표준 열전도체서 평균 온도차 △ T R :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of standard thermal conductor
△T : 시편 접촉에서 온도차 (△t ℃) ΔT : Temperature difference at specimen contact (△ t ℃)
배토에 석탄회의 첨가량에 따른 도자기 기재의 열전도도는 표 6과 같이 석탄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열 전도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나 그 변화의 정도는 놀라운 정도로 작아지지는 아니하였다. 그러나 석탄회를 30% 첨가 시에는 열전도 값이 배토에 비하여 15% 정도의 감소를 보여주는 바는 석탄회 첨가가 도자기의 보온성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려 주고 있다. The thermal conductivity of porcelain substrat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al ash added to the clay showed a tendency of de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oal ash as shown in Table 6, but the degree of change was not small. However, when 30% of coal ash is added,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s by about 15% compared to that of clay, indicating that the addition of coal ash helps the warmth of ceramics.
표 6 . 열전도도(cal/cmㆍsecㆍ℃)Table 6. Thermal conductivity (cal / cm · sec · ℃)
B :석탄회
C :S/S배토 95%+석탄회 5%
D :S/S배토 90%+석탄회 10%
E :S/S배토 80%+석탄회 20%
F :S/S배토 70%+석탄회 30%
T : 온도 측정점A: S / S
B: coal ash
C: S / S clay 95% +
D: S / S top cover 90% +
E: S / S topdressing 80% +
F: 70% of S / S clay + 30% of coal ash
T: Temperature measuring point
2. 겉보기 기공율2. apparent porosity
도자기는 소지 자체와 공극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양적 비율을 알면 도자기 제품의 물성을 대략 추측 할 수 있다. Since porcelain consists of the body itself and voids, it is possible to estimate roughly the properties of porcelain products by knowing its quantitative ratio.
겉보기 기공율 = 개공부분의 부피/(물질부분+폐기공부분+개기공부분)의 부피 X 100 Apparent porosity = volume of opening part / volume of (material part + waste part + open pore part)
이며 측정을 포수중량, 건조중량, 수중중량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The measurement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atcher weight, the dry weight, and the weight in water.
겉보기기공률 = (포수중량-건조중량)/(포수중량-수중중량) X 100 Apparent porosity = (catcher weight-dry weight) / (catcher weight-water weight)
표 7. 첨가된 석탄회의 비율에 따른 겉보기 기공율 변화Table 7. Apparent Porosity Variation with Proportion of Coal Ash Added
도 3과 표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본배토의 겉보기 기공률은 소성온도를 1140℃부터 조금씩 높여갈 때 1210℃부근에서 거의 0의 값을 가지기 시작한다. 이들 온도에서부터 흡수율은 거의 0에 이르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모두 0의 값을 가지므로 겉보기 기공률(Ap) 값으로 볼 때 0에 값이 시작하는 온도 1210℃ 부근이 최적 소성 온도로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nd Table 7, the apparent porosity of the basic clay starts to have a value of almost 0 at around 1210 ° C. when the firing temperatur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1140 ° C. From these temperatures, the rate of absorption reaches almost zero, and at higher temperatures, all have a value of zero. Therefore, when the apparent porosity (A p ) is determined, the optimum firing temperature is near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value starts at 0 at 1210 ° C.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기본 배토에 석탄회를 5, 10, 20, 30% 첨가 시 겉보기 기공률을 나타낸 것이다. 겉보기 기공률 (AP)값이 0이 시작하는 온도는 5% 첨가 시에는 기본 배토보다 5℃ 정도 올라가고 10% 증가 시는 10℃씩 높아진 온도에서 Ap 값이 0시 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석탄회를 30% 첨가 시는 겉보기 기공률이 0이 되는 온도는 실험 온도 1240℃에서 겉보기 기공률이 0이 되고 있다. 즉, 석탄회의 첨가는 적정 소성온도의 상승과 함께 기공률이 높아짐을 알려준다. 이 같은 소성온도 상승 현상의 원인은 첨가된 석탄회가 다공성 입자이 므로 이들의 첨가로 배합된 소지는 기공을 더 많이 갖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어진 유리질이 이들 기공들을 폐쇄하여 겉보기 기공율(AP) 값을 0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더 높은 소성온도가 필요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4, 5, 6, and 7 shows the apparent porosity when 5, 10, 20, 30% of coal ash is added to the basic soil.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apparent porosity (A P ) starts at 0 rises about 5 ° C. above the basic soil when 5% is added, and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by 10 ° C., the A p value starts to occur at 0 °. However, when 30% of the coal ash is added, the apparent porosity becomes zero at the experimental temperature of 1240 ° C. That is, the addition of coal ash indicates that the porosity in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appropriate firing temperature. Source of firing temperature rises This phenomenon because the added coal ash has a porous ipjayi possessing combined with those of the addition is to have more of the pores are glassy been produced in the process is the apparent porosity (A P) value to close these pores To make it zero, a higher firing temperature is required.
3. 폐기공율 시험3. Disposal Power Test
표 8은 기본 배토인 S/S 배토에 석탄회 첨가량에 따른 폐 기공률(Cp) 변화에 관한 실험 결과이며 도 8은 S/S 배토이고,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2는 S/S 배토에 석탄회를 5, 10, 20, 30% 첨가시의 온도에 따른 폐 기공률(Cp) 값의 변화이다. Table 8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change in waste porosity (C p )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al ash added to S / S soil, which is the basic soil, and FIG. 8 is S / S soil, and FIG. 9, FIG. 10, FIG. 11 and FIG. The change in the value of waste porosity (C p ) with the temperature of 5, 10, 20, 30% coal ash in S soils.
소성온도가 낮은 1140℃ 부근에서 배토의 폐기공률(Cp) 값은 11.59의 작은 값을 가지나 소성온도가 올라가 겉보기 기공률(Ap) 값이 0이 되는 온도인 1210℃ 부근에서 폐 기공률(Cp) 값은 14.71로 되고 그 이상의 온도에서도 이 값에 근접한 값을 계속 유지한다. 기본 배토에 석탄회를 첨가하면 첨가량에 따라 조금씩 더 높은 소성 온도에서도 14.7 정도의 일정한 값을 가진다. 석탄회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폐기공률(Cp)가 커지며, 첨가량의의 증가에 따라 더 낮은 온도에서부터 폐기공률(Cp)값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석탄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기공률이 큰 석탄회 첨가로 기공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더 낮은 온도로 부터 폐기공이 커지는 현상은 겉보기 기공률(Ap)은 점점 작아지고 대신 이들 기공에 작은 입자 의 이동과 소성과정에서 생성된 유리질에 의하여 개기공들이 폐기공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The waste porosity (Cp) of the clay at the low firing temperature of 1140 ℃ has a small value of 11.59, but the waste porosity (C p ) near 1210 ℃,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firing temperature rises and the apparent porosity (A p ) becomes zero. The value will be 14.71 and will remain close to this value even at higher temperatures. The addition of coal ash to the basic soil has a constant value of about 14.7, even at slightly higher firing temperatures, depending on the amount added. As the amount of added coal ash increases, the waste porosity Cp increases, and as the amount of added ash increases, the waste porosity Cp increases from a lower temperature. This phenomenon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amount of coal ash, the higher the porosity due to the addition of coal porosity, and the larger the pore size at lower temperatures, the smaller the apparent porosity (Ap) and the smaller particles in these pores. It is estimated that the open pores are turned into discarded pores due to the glass generated during the migration and firing process.
석탄회의 첨가량과 폐기공률(Cp) 값의 관계에서 첨가량이 20%까지는 배토의 폐기공률(Cp) 값과 거의 같은 값을 가지며, 석탄회 첨가량을 30%까지도 폐기공률(Cp) 값이 배토의 값과 비슷한 값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폐기공률(Cp) 값 하나의 물성 값으로 보면 석탄회 첨가량을 30%까지 넣어도 될 것으로 보이나 도자기의 중요한 물성인 흡수율이 높아짐으로 석탄회의 30% 첨가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The coal ash content and disposed of porosity (C p) between the added amount is discarded porosity of the green body up to 20% from the value (C p) value and substantially have the same value, even the ash amount of 30% disposed of porosity (C p) value of clay The value of waste porosity (C p ) can be as high as 30% of coal ash. However, it is difficult to add 30% of coal ash as the absorption rate, which is an important property of ceramics, is high. do.
표 8. 석탄회의 비율에 따른 폐기공율 변화Table 8. Changes in Waste Rates with Coal Ash Rate
4. 소성온도와 기공형태의 변화4. Change in firing temperature and pore shape
석탄회를 첨가한 소성체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으로 조사하여 소성온도와 석탄회 첨가량에 따른 기공의 크기와 분포상태를 조사하여 기공률이 높은 석탄회가 참가된 도자기 표면의 기공 형태의 특이성이 발생 됐는지를 확인하고 이 를 토대로 적정 소성온도의 대략적인 값을 추정하는 도구로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Investigate the surface of the fired body with coal ash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 investigate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pores according to the firing temperature and the amount of coal ash added. The possibility of use as a tool for estimating the approximate value of the appropriate firing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confirmation of the occurrence.
도 13은 기본 배토인 S/S배토 소성체를 1220℃ 부근의 온도에서 기공의 분포와 크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500배로 확대한 사진이며, 도 14, 도 15 및 도 16은 배토에 석탄회를 각각 10%, 20%, 30% 첨가한 소성체를 기본 배토인 S/S배토의 적정온도인 1220℃ 부근의 온도에서 기공의 분포와 크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500배로 확대한 사진이다.FIG. 13 is a photograph enlarged 500 time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pores at a temperature of about 1220 ° C for S / S clay firing, which is the basic clay, and FIGS. It is a 500 times magnified photograph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pores at the temperature of 1220 ℃ which is the proper temperature of S / S clay, the basic clay.
도 13의 기본배토는 1200℃에는 많은 기공이 있으며 1210℃에서는 기포가 적어졌고, 1220℃에서 기포가 없는 평활한 면이 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토대로 S/S배토의 적정 소성온도는 1210 내지 1220℃인 것으로 볼 수 있다. 1240℃에서는 많은 기포가 다시 생긴 것으로 보아 과소성 된 것으로 추정된다.13 is a lot of pores at 1200 ℃ and less bubbles at 1210 ℃, since the smooth surface without bubbles at 1220 ℃ based on this the appropriate firing temperature of S / S clay is 1210 to 1220 ℃ can see. At 1240 ° C, many bubbles reappear, suggesting that they are underfiring.
석탄회가 10% 첨가된 도 14에서도 1200℃에서 큰 기공이 있는 것으로 보아 소성이 덜 된 미소성 상태이고, 1210℃에서는 작은 기공이 아직 남아 있고, 1220℃에서는 거의 평활하게 되어 이 온도가 적정소성온도 부근이라 추정되며 1240℃에서는 많은 기공이 생겨 과소성이 시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In FIG. 14 with 10% added coal ash,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arge pores at 1200 ° C., resulting in less unbaked state, small pores still remaining at 1210 ° C., and almost smooth at 1220 ° C. It is estimated to be near, and at 1240 ℃, many pores are generat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nderfiring starts.
석탄회를 20% 첨가됨 도 15에서는 1210℃ 내지 1220℃에서 소성이 되어 면이 평활하고 기공이 별로 없다. 그러나 1240℃에서는 면이 1210℃ 내지 1220℃ 보다 약간 덜 평활하고 기공도 일부 발생하고 있다. 도 16의 석탄회 30% 첨가된 것도 석탄회를 10%, 20% 첨가된 것과 비슷하나 낮은 온도 1200℃와 높은 온도 인 1240℃이상에서는 석탄회를 적게 넣은 것들에 비하여 기공이 큰 기공을 여럿 보여줌으로 소 성의 적정온도 범위가 좁아진 것으로 보여진다. Coal ash is added 20% In Figure 15 is baked at 1210 ℃ to 1220 ℃ to smooth the surface and not much porosity. However, at 1240 ° C, cotton is slightly less smooth than 1210 ° C to 1220 ° C and some pores are generated. The addition of 30% of coal ash in FIG. 16 is similar to that of 10% and 20% addition of coal ash, but at a low temperature of 1200 ° C. and a high temperature of 1240 ° C. or more, pores are shown to have larger pores compared to those containing less coal ash.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appears to be narrower.
또한 표면에 나타난 기공의 형태는 석탄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이나 첨가된 것이나 비슷하여 특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Also, the form of pores on the surface was similar to that of added or no coal ash, so no singularity could be found.
SEM 사진만으로 적정 소성온도를 판정하기는 어려우나 대략적인 소성온도 범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Althoug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firing temperature by SEM image,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tool to help determine the approximate firing temperature range.
상기 시험 및 그 결과로부터 입증되는 바와 같이, 주성분이 도자기 원료와 동일한 석탄회는 다공성의 미립자이므로, 가볍고 보온성이 높은 도자기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석탄회는 도자기 소지 원료에,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경우에, 열전도도가 현저히 저하되고 보온성이 향상됨이 입증되고 있다. As evidenced from the above tests and the results, the coal ash whose main component is the same as the raw material of porcelain is porous fine particles, and thus it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light and high insulation porcelain. In addition, when the coal ash is added to the porcelain base material in an amount of 5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rcelain manufacturing material, it has been proved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is significantly lowered and the heat retention is improved.
실시예Example 2 2
시중에서 구입이 가능한 재료로서, 1.1kg의 일승도석, 2.2kg의 인도네시아규석, 1.3kg의 부여장석, 1.8kg의 국내 알루미나, 1.5kg의 영국점토, 0.2kg의 영국골회(bone ash) 및 0.2kg의 중국활석의 혼합물에 1.7kg의 국내석탄회를 첨가하고 혼련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성형, 건조 과정을 거친 후에 성형물을 다양한 소성온도에서 소성하여 도자기를 제조하였다. Commercially available materials include 1.1 kg of monolithic stone, 2.2 kg of Indonesian quartz, 1.3 kg of feldspar, 1.8 kg of domestic alumina, 1.5 kg of British clay, 0.2 kg of bone ash and 0.2 kg 1.7 kg of domestic coal was added to the mixture of the Chinese talcum and kneaded to form a porcelain by firing the molded product at various firing temperatures after molding and drying in a similar manner to Example 1.
상기된 바와 같이 제조된 도자기에 대해서 열전도도, 겉보기 기공율, 폐기공율, 및 소성 온도와 기공형태의 변화에 대해서 상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시험한 결과 S/S 배토를 사용한 실시예 1에서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The heat conductivity, apparent porosity, waste porosity, and changes in firing temperature and pore shape of the porcelai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were tested as in Example 1 above.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 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도 1은 석탄회가 첨가된 S/S 배토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의 제조 흐름도이다. 1 is a manufacturing flowchart of a composition for producing a ceram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S / S clay to which coal ash is added.
도 2는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S/S 배토의 입자 분포 곡선이다. 2 is a particle distribution curve of S / S clay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석탄회가 첨가되지 않은 조성물에 의해서 제조된 도자기의 소성 온도에 따른 겉보기 기공율을 나타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의해서 제조된 도자기의 온도에 따른 겉보기 기공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3 shows the apparent porosity according to the firing temperature of the porcelain produced by the composition is not added to the ash, Figures 4 to 7 shows the apparent poros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porcelain produced by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도 8은 석탄회가 첨가되지 않은 조성물에 의해서 제조된 도자기의 소성 온도에 따른 폐기공율을 나타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도자기 제조용 조성물에 의해서 제조된 도자기의 온도에 따른 폐기공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8 shows the waste porosity according to the firing temperature of the porcelain produced by the composition is not added to the coal ash, Figures 9 to 12 shows the discarded porosity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porcelain produced by the composition for producing porcelain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ing.
도 13은 기본 배토인 S/S배토의 소성체를 1220℃ 부근의 온도에서 기공의 분포와 크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500배로 확대한 사진이며, 도 14, 도 15 및 도 16은 배토에 석탄회를 각각 10%, 20%, 30% 첨가한 소성체를 기본 배토인 S/S배토의 적정온도인 1220℃ 부근의 온도에서 기공의 분포와 크기를 조사하기 위하여 500배로 확대한 사진이다.FIG. 13 is a photograph enlarged 500 time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pores at a temperature of about 1220 ° C. of S / S soil, which is the basic soil, and FIGS. 14, 15, and 16 show coal ash on the soil, respectively. It is a 500 times magnified photograph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pores at the temperature of 1220 ℃ which is the proper temperature of S / S clay, which is the basic soil.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4451A KR101105159B1 (en) | 2009-06-18 | 2009-06-18 | Fly ash contai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chinawa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4451A KR101105159B1 (en) | 2009-06-18 | 2009-06-18 | Fly ash contai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chinawa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6209A KR20100136209A (en) | 2010-12-28 |
KR101105159B1 true KR101105159B1 (en) | 2012-01-17 |
Family
ID=43510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4451A KR101105159B1 (en) | 2009-06-18 | 2009-06-18 | Fly ash contai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chinawa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515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82967A (en) * | 2013-08-13 | 2014-01-01 | 应县盛福瓷业有限公司 | Processing craft of new bone china blank and glaz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2277B1 (en) * | 2015-11-10 | 2016-07-25 | 류선영 | White ceramic composition for middle temperature sinte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4485A (en) * | 1998-11-16 | 1999-02-25 | 오세종 | Material composition for moisture control material |
KR19990054934A (en) * | 1997-12-26 | 1999-07-15 | 김성수 |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using zeolite |
KR20010079979A (en) * | 1998-10-15 | 2001-08-22 | 이기강 | Ceramic composition made from waste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20020069703A (en) * | 2001-02-27 | 2002-09-05 | 한국도자기주식회사 | Manufacturing process of Low temperature firing Bone China |
-
2009
- 2009-06-18 KR KR1020090054451A patent/KR1011051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54934A (en) * | 1997-12-26 | 1999-07-15 | 김성수 | Method of manufacturing porcelain using zeolite |
KR20010079979A (en) * | 1998-10-15 | 2001-08-22 | 이기강 | Ceramic composition made from waste materia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9990014485A (en) * | 1998-11-16 | 1999-02-25 | 오세종 | Material composition for moisture control material |
KR20020069703A (en) * | 2001-02-27 | 2002-09-05 | 한국도자기주식회사 | Manufacturing process of Low temperature firing Bone China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482967A (en) * | 2013-08-13 | 2014-01-01 | 应县盛福瓷业有限公司 | Processing craft of new bone china blank and glaz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6209A (en) | 2010-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yan | Properties of ceramic raw materials | |
Njindam et al. | Effect of glass powder on the technolog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clay mixture for porcelain stoneware tiles manufacture | |
Benavidez et al. | Densification of ashes from a thermal power plant | |
Phonphuak et al. | Using charcoal to increase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fired test briquettes | |
Phonphuak et al. | Effects of charcoal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fired test briquettes | |
Phonphuak et al. | Utilization of sugarcane bagasse ash to improve properties of fired clay brick | |
Ochen et al. |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rcelain tiles made from raw materials in Uganda | |
Ogunro et al. | Recycling of waste glass as aggregate for clay used in ceramic tile production | |
US7744691B2 (en) | Energy conserving pozzolan compositions and cements incorporating same | |
KR101105159B1 (en) | Fly ash containing composition for preparing chinaware | |
Iyasara et al. | Influence of grog size on the performance of NSU clay-based dense refractory bricks | |
Aydin et al. | The effect of cement raw mix waste dust on porcelain tile properties | |
RU2332386C2 (en) | Furnace burden for firebrick production | |
Boulaiche et al. | Valorisation of Industrial Soda-Lime Glass Waste and Its Effect on the Rheological Behavior, Physical-Mechan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Sanitary Ceramic Vitreous Bodies | |
Kummoonin et al. | Fabrication of ceramic floor tiles from industrial wastes | |
Görhan et al. | The utilization of silica sand beneficiation cake as a fluxing agent in production of clay brick | |
Alabi et al. |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Ijapo clay and its additives towards production of refractory bricks | |
Chemani et al. | Utilization of paper sludge in clay bricks industry to obtain lightweight material: Evidence from partial replacement of feldspar by paper sludge | |
KR20030083497A (en) |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ow temperature sintering bricks for construction | |
Zainudin et al. | Potential of Palm Oil Fuel Ash (POFA) Layers as Secondary Raw Material in Porcelain Stoneware Application | |
Yang et al. | Surface modification study of CaO-Al2O3-SiO2-Fe2O3 base system high temperature phase reconstruction | |
Yu | Refractory clay raw materials of republic of belarus for production of the porcelain tile | |
Kara et al. | Utilization of coal combustion fly ash in terracotta bodies | |
RU2167125C2 (en) | Raw meal for manufacturing ceramic wall parts | |
KR101200849B1 (en) | Manufacturing methods of kaolin brick and the kaolin brick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