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104402B1 -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402B1
KR101104402B1 KR1020100041744A KR20100041744A KR101104402B1 KR 101104402 B1 KR101104402 B1 KR 101104402B1 KR 1020100041744 A KR1020100041744 A KR 1020100041744A KR 20100041744 A KR20100041744 A KR 20100041744A KR 101104402 B1 KR101104402 B1 KR 10110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square wave
value
difference value
phase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319A (ko
Inventor
이상석
이원철
원충연
이수원
조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팩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팩테크
Priority to KR1020100041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4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2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 레퍼런스 전압과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하는 제1구형파 발생부; 상기 제1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하는 제1반전파 발생부; 상기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상기 차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상기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위상천이 필터부; 및 상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하는 제2반전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hase-Shift DC/DC Full-Bridge Convert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진상레그 스위치 및 지상레그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회로를 단순화하고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산업현장에서는 높은 전력밀도와 변환효율을 가진 전력변환장치를 요구하는 분야가 많아졌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정부의 능동적인 정책으로 고속철도 산업의 중대성이 부각되었고 이에 따라서 우리나라도 선진국의 고속철도 기술을 받아들여 독자적인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현재 개발중인 차세대 고속철도는 목표속도가 400 km/h, 영업속도가 350 km/h인 초고속 열차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고효율 및 고성능, 고밀도의 전력변환장치가 필요하다. 차세대 고속철도의 보조 전원장치는 AC/DC 컨버터, DC/AC static 인버터 및 배터리 충전장치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배터리 충전장치는 직류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하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충전장치에 사용되는 위상천이 ZVS(영 전압 스위칭) 풀-브릿지 DC/DC 컨버터는 안정적인 ZVS 동작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고주파 변압기의 누설 인덕턴스를 증가시키거나 직렬로 인덕턴스를 삽입한다. 이러한 방법은 안정적인 ZVS 동작영역을 확보할 수는 있지만 유효듀티를 감소시키고 고주파 컨버터의 2차측 전압 이용률을 떨어뜨려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기 힘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컨버터에 보조회로를 추가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진상레그 스위치 및 지상레그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기존의 아날로그 전용칩과 주변 회로로 구성함에 따라 회로가 복잡해지고 컨버터의 동작조건이 변하는 경우 회로의 교체 및 튜닝 작업이 필요하므로 위상천이 필터 기능을 제어목적에 맞도록 변경가능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진상레그 스위치 및 지상레그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회로를 단순화하고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레퍼런스 전압과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하는 제1구형파 발생부; 상기 제1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하는 제1반전파 발생부; 상기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상기 차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상기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위상천이 필터부; 및 상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하는 제2반전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을 수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디지털 값과 상기 레퍼런스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차분값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입력파는 상기 제1구형파일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제1구형파 및 상기 제1반전파를 수신하여 데드타임이 형성된 진상 레그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 데드타임 발생부; 및 상기 제2구형파 및 상기 제2반전파를 수신하여 데드타임이 형성된 지상 레그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데드타임 발생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 필터부는 상기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하고 소정의 전역통과필터를 구현하는 전달함수에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를 변수로 적용하여 위상천이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위상천이 필터부는 적어도 한 주기 동안의 상기 필터입력파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하여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필터입력파, 상기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을 각각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의 함수에 따라 변환하고 각각의 상기 필터입력파, 상기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의 변환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2구형파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는 상기 차분값이 소정 하한치 이하이면 최저값을 갖고 상기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상기 차분값이 소정 상한치 이상이면 최대값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과 레퍼런스 전압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제1구형파로부터 상기 제1구형파의 반전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하는 단계; (d) 상기 스위칭 주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상기 차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상기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진상레그 스위치 및 지상레그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회로를 단순화하고 용이하게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상천이 필터를 회로로 구성하지 않고 수식으로 프로그램화하고 프로그램화된 수식을 제어하는 변수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동작기준주파수로 변환하여 제어함으로써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컨버터(200)의 동작 중에 동작조건이 변하는 경우, 회로의 교체 및 튜닝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용이하게 위상천이 필터 기능을 제어목적에 맞도록 변경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임의의 위상천이 값을 갖는 위상천이 필터의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기준 주기파로부터 위상천이 필터부(108)의 출력까지 입출력되는 파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진상레그 게이트 신호(S1 게이트 신호, S3 게이트 신호) 및 지상레그 게이트 신호(S2 게이트 신호, S4 게이트 신호)의 출력 파형과 컨버터(200)의 1차측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2차측의 캐패시터(Ch)에 걸리는 전압(Vch) 및 전류(Ich)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차분값에 따라 매핑되는 동작기준주파수의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비교부(102), 제1구형파 발생부(104), 제1반전파 발생부(106), 위상천이 필터부(108), 제2반전파 발생부(110)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A/D 변환부(112), 제1 데드타임 발생부(114), 제2 데드타임 발생부(116) 및 게이트 드라이브(11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102)는 레퍼런스 전압과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의 출력(Vo)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한다.
제1구형파 발생부(104)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구형파로 변환한다.
제1반전파 발생부(106)는 제1구형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한다.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비교부(102)로부터 차분값을 수신하여,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한다.
제2반전파 발생부(110)는 위상천이 필터부(108)로부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제2구형파에 대한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한다.
비교부(102)는 컨버터(200)의 출력(Vo)의 비교기준이 되는 레퍼런스 전압과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의 출력(Vo)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한다. 레퍼런스 전압은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의 출력의 비교기준이 되는 값으로서, 차분값이 (+)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하고, 차분값이 (-)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레퍼런스 전압이 아날로그 값인 경우에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의 출력을 직접 수신한다. 만일, 레퍼런스 전압이 디지털 값인 경우에는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의 출력을 수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1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비교부(102)는 A/D 변환부(112)의 디지털 출력값과 디지털 값을 갖는 레퍼런스 전압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한다.
제1구형파 발생부(104)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구형파로 변환한다. 여기서, 기준 주기파는 정현파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구형파 발생부(104)에 의해 기준 주기파는 기준 주기파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구형파로 변환될 수 있다.
제1반전파 발생부(106)는 제1구형파 발생부(104)로부터 제1구형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에 대하여 반전 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한다. 제1반전파 발생부(106)는 인버터(NOT 게이트) 논리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제1구형파(S1 제어신호) 및 제1반전파(S3 제어신호)의 데드타임을 발생하는 제1 데드타임 발생부(11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드타임 발생부(114)는 제1구형파와 제1반전파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칭소자(S1, S3) 간의 온/오프 동작이 토글(toggle)될 때 일정시간동안 데드타임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스위치소자간 온/오프 동작이 토글될 때 비록 게이트신호는 오프되었지만 반도체 스위치소자(예를 들어, S1)가 실제로 오프가 되어 하이임피던스 상태를 가지기 위해서는 다소의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다른 스위치소자(예를 들어, S3)도 S3 제어신호에 의해 온(On)되어 두 스위치소자가 모두 온 상태가 되므로 쇼트현상이 발생되어 스위치소자(S1, S3)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소자 간 온/오프 동작이 토글될 때 일정시간동안 두 스위치소자 모두가 오프 상태가 되는 데드타임이 발생되도록 하여 반도체 스위치 소자의 손상을 방지한다.
제1반전파 발생부(106)가 제1구형파 발생부(104)에서 발생한 제1구형파를 수신하여 제1반전파를 생성함으로써, 제1구형파(S1 제어신호) 및 제1반전파(S3 제어신호)를 합한 한 쌍의 진상 레그(Leading Leg) 스위치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스위칭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비교부(102)로부터 차분값을 수신한다. 여기서, 필터입력파는 제1구형파 발생부(104)에서 발생한 구형파일 수도 있고, 정현파 형태의 기준 주기파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구형파 발생부(104)에서 발생한 구형파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필터입력파 대비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한다.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하고, 필터입력파에 대하여 소정의 전역통과필터를 구현하는 전달함수에 매핑된 동작기준 주파수를 적용하여, 필터입력파 대비 차분값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획득할 수 있다.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임의의 위상천이 전역필터 기능을 가지는 전달함수를 구현하도록 프로그램화될 수 있다.
도 2는 임의의 위상천이 값을 갖는 위상천이 필터의 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위상천이 필터부(108)의 위상천이 필터 기능은 단일이득을 가지는 전달함수의 일 예로서 수학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학식 1의 전달함수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1
(단, ω: 스위칭 주파수)
수학식 1은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2
(단,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3
)
수학식 2는 "A+jB"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분자각에서 분모각을 빼면 수학식 3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이득이 1로 ωc(동작기준 주파수)의 값만 바꿔주면 위상조정이 가능하다.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4
(단,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5
)
여기서, 동작기준 주파수는 차분값이 소정 하한치 이하이면 최저값을 갖고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동작기준 주파수가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차분값이 소정 상한치 이상이면 동작기준 주파수가 최대값을 갖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ω = 100 kHz, R = 100 kΩ, C = 0.1 μF이라 도 2의 회로 상의 조건을 가정하면, 차분값이 0이면 (ωc = 100 kHz)로 설정하고, 차분값이 +1 이상이면, (ωc = 200 kHz)로 설정하고, 차분값이 -1 이하이면 (ωc = 50 kHz)로 설정하고, 차분값이 +1과 -1 사이에서는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분값이 +1이면 위상천이값은 120°, 차분값이 0이면 위상천이값은 90°, 차분값이 -1이면 위상천이값은 60°가 되도록 한다.
위상천이 필터부(108)가 위상천이 필터 기능을 제어하여 제2구형파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1단계: 위상천이 필터의 전달함수를 수학식 4와 같이 아날로그 도메인에서 결정한다.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6
2단계: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7
(Tustin 변환)를 대입하여 수학식 5와 같이 Z 도메인에서 정리한다(단, T: 스위칭 주파수의 주기).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8
(단,
Figure 112010028765328-pat00009
,
Figure 112010028765328-pat00010
,
Figure 112010028765328-pat00011
이다.)
3단계:
Figure 112010028765328-pat00012
관계를 이용하여 수학식 6과 같이 시간 도메인으로 옮긴다.
Figure 112010028765328-pat00013
수학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ωc)한 후, 동작기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필터입력파(x(t)),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x(t-T)) 및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y(t-T))을 각각 동작기준 주파수의 함수에 따라 변환하고, 필터입력파의 변환값(-(ωcT-2)x(t)/(ωcT+2)),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의 변환값(여기서는 x(t-T))) 및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의 변환값(-(ωcT-2)y(t-T)/(ωcT+2))을 합산하여 수학식 6에서와 같은 제2구형파를 발생할 수 있다.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저장부(108a)를 구비하여 최소한 최근 한주기 동안의 필터입력파의 값과 최소한 최근 한주기 동안의 제2구형파의 값을 저장한다. 따라서,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x(t-T)) 및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y(t-T))을 저장부(108a)로부터 읽어들인다.
위상천이 필터부(108)는 입력되는 차분값이 0일 때 필터입력파와 소정의 위상차를 갖도록 제2구형파를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컨버터(200)의 영전압 영전류 스위칭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제2반전파 발생부(110)가 위상천이 필터부(108)에서 발생한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제2반전파를 생성함으로써, 제2구형파(S2 제어신호) 및 제2반전파(S4 제어신호)를 합한 한 쌍의 지상 레그(Lagging Leg) 스위치 제어신호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100)은 지상 레그 스위치 제어신호의 데드타임을 발생하는 제2 데드타임 발생부(1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데드타임 발생부(116)는 S2 제어신호와 S4 제어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는 스위칭소자(S2, S4) 간의 온/오프 동작이 토글(toggle)될 때 일정시간동안 데드타임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1 데드타임 발생부(114) 및 제2 데드타임 발생부(116)가 별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나의 회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게이트 드라이브(118)는 제1 데드타임 발생부(114) 및 제2 데드타임 발생부(116)로부터 발생한 진상레그 게이트신호(S1 게이트신호 및 S3 게이트신호), 지상레그 게이트신호(S2 게이트신호 및 S4 게이트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스위치 S1, S2, S3, S4의 데이트를 구동하는 진상레그 구동신호(G1 및 G3), 지상레그 구동신호(G2, G4)를 발생한다.
게이트 드라이브(118)의 스위치 구동에 따라 진상 레그 스위치(S1, S3)와 지상레그 스위치(S2, S4)의 온(On) 타임 위상차가 조절되어 컨버터(200)의 출력(Vo)이 제어된다.
도 3은 기준 주기파로부터 위상천이 필터부(108)의 출력까지 입출력되는 파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와 같은 기준 주기파가 제1구형파 발생부(104)에 입력되면 제1구형파 발생부(104)에서는 도 3b와 같은 제1구형파가 발생한다. 도 3b와 같은 제1구형파와 비교부(102)로부터 차분값이 위상천이 필터부(108)에 입력되면 위상천이 필터부(108)에서는 수신되는 차분값의 크기에 따라 제1구형파(즉, 필터입력파)에 대하여 위상차를 갖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파형이 생성된다. 여기에 오피 앰프(op-amp)와 같은 구형파를 발생하는 장치를 위상천이 필터부(108)의 출력에 연결하면 도 3d와 같은 구형파 형태의 스위칭 파형이 생성된다. 일반적으로 위상천이 필터부(108) 내에는 오피 앰프(op-amp)와 같은 구형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도 3d와 같은 파형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위상천이 필터부(108) 및 제2반전파 발생부(110)에 의해 지상레그 스위치 제어신호(S2 제어신호 및 S4 제어신호)의 위상이 진상레그 스위치 제어신호(S1 제어신호 및 S3 제어신호) 대비 위상을 변화시켜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가 원하는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진상레그 게이트 신호(S1 게이트 신호, S3 게이트 신호) 및 지상레그 게이트 신호(S2 게이트 신호, S4 게이트 신호)의 출력 파형과 컨버터(200)의 1차측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각각 발생하는 한 쌍의 진상레그 게이트 신호(S1 게이트 신호, S3 게이트 신호)의 타이밍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나의 시간축 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하듯이 진상레그 게이트 신호(S1 게이트 신호, S3 게이트 신호)에는 제1 데드타임 발생부(114)에 의해 데드타임이 발생되어, S1 게이트 신호 및 S3 게이트 신호파형 사이에는 데드타임만큼 간격이 설정되어 스위치 S1, S3의 동시 도통을 방지한다.
또한, 도 4b는 각각 발생하는 한 쌍의 지상레그 게이트 신호(S2 게이트 신호, S4 게이트 신호)의 타이밍을 비교하기 위하여 하나의 시간축 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하듯이 지상레그 게이트 신호(S2 게이트 신호, S4 게이트 신호)에 대하여도 제2 데드타임 발생부(116)에 의해 데드타임이 발생되어 S2 게이트 신호 및 S4 게이트 신호파형 사이에는 데드타임만큼 간격이 설정되어 스위치 S2, S4의 동시 도통을 방지한다.
도 4c는 컨버터(200)의 1차측 출력전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d는 컨버터(200)의 1차측 출력전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하듯이, S1, S2가 동시에 온(On)이 되는 구간에서 (+)의 1차측 출력파형이 발생하고, S3, S4가 동시에 온(On)이 되는 구간에서 (-)의 1차측 출력파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진상레그 게이트 신호(S1 게이트 신호, S3 게이트 신호)와 지상레그 게이트 신호(S2 게이트 신호, S4 게이트 신호)의 위상차를 조절함으로써 S1, S2가 동시에 온(On)이 되는 구간 및 S3, S4가 동시에 온(On)이 되는 구간을 조절함으로써 1차측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따라서, 1차측 출력전압에 비례하여 2차측 출력전압 및 컨버터(200)의 출력(Vo)이 제어된다.
도 5는 2차측의 캐패시터(Ch)에 걸리는 전압(Vch) 및 전류(Ich)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전압(Vch)는 S1, S2가 동시에 온(On)이 되는 구간 및 S3, S4가 동시에 온(On)이 되는 구간에서 전압이 발생하고 이 전압(Vch)이 출력부하로 전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상천이 제어 방법은 차분값 출력단계(S602), 제1구형파 발생단계(S604), 제1반전파 발생단계(S606), 필터입력파 및 차분값 수신단계(S608), 동작기준주파수 매핑단계(S610), 제2구형파 발생단계(S612), 제2반전파 발생단계(S614), 데드타임 발생단계(S616) 및 스위치 게이트 드라이브단계(618)를 포함한다.
차분값 출력단계(S602)에서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Vo)과 레퍼런스 전압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한다. 이때,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Vo)이 아날로그 값을 갖는 경우 곧바로 레퍼런스 전압과 비교될 수도 있으나(이 경우에는 레퍼런스 전압도 아날로그 값일 수 있음.), 컨버터의 출력(Vo)을 A/D변환한 후 레퍼런스 전압과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할 수도 있다(이 경우엔 레퍼런스 전압도 디지털 값일 수 있음).
제1구형파 발생단계(S604)에서는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200)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한다.
제1반전파 발생단계(S606)에서는 제1구형파로부터 제1구형파의 반전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한다.
필터입력파 및 차분값 수신단계(S608)에서는 컨버터(200)의 스위칭 주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차분값 출력단계(S602)에서 발생한 차분값을 수신한다. 여기서, 필터입력파는 제1구형파일 수 있다.
동작기준주파수 매핑단계(S610)에서는 수신된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한다. 여기서 매핑되는 동작기준 주파수는 차분값이 소정 하한치 이하이면 최저 동작기준주파수 값을 갖고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차분값이 소정 상한치 이상이면 최대 동작기준주파수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차분값에 따라 매핑되는 동작기준주파수의 변화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동작기준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구간의 경우 차분값에 비례하여 동작기준주파수가 증가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반드시 선형적으로 증가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제2구형파 발생단계(S612)에서는 필터입력파에 대하여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한다.
제2구형파 발생단계(S612)에서는 동작기준주파수 매핑단계(S610)에서 발생된 동작기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필터입력파,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을 각각 동작기준 주파수의 함수에 따라 변환하고 각각의 필터입력파,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의 변환값을 합산하여 제2구형파를 발생한다.
제2반전파 발생단계(S614)에서는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한다.
데드타임 발생단계(S616)에서는 제1구형파(S1 제어신호) 및 제1반전파(S3 제어신호) 사이의 데드타임 및 제2구형파(S2 제어신호) 및 제2반전파(S4 제어신호) 사이의 데드타임을 발생한다.
스위치 게이트 드라이브단계(618)에서는 제1 데드타임 발생부(114) 및 제2 데드타임 발생부(116)로부터 발생한 진상레그 게이트신호(S1 게이트신호 및 S3 게이트신호), 지상레그 게이트신호(S2 게이트신호 및 S4 게이트신호)를 수신하여 각각 스위치 S1, S2, S3, S4의 데이트를 구동하는 진상레그 구동신호(G1 및 G3), 지상레그 구동신호(G2, G4)를 발생한다.
게이트 드라이브(118)의 스위치 구동에 따라 진상 레그 스위치(S1, S3)와 지상레그 스위치(S2, S4)의 온(On) 타임 위상차가 조절되어 컨버터(200)의 출력(Vo)이 제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진상레그 스위치 및 지상레그 스위치의 제어신호를 생성함에 있어서 회로를 단순화하고 용이하게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상천이 필터를 회로로 구성하지 않고 수식으로 프로그램화하고 프로그램화된 수식을 제어하는 변수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동작기준주파수로 변환하여 제어함으로써 제어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컨버터(200)의 동작 중에 동작조건이 변하는 경우, 회로의 교체 및 튜닝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용이하게 위상천이 필터 기능을 제어목적에 맞도록 변경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이와 명시적으로 상반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위상천이 제어 시스템
102: 비교부
104: 제1구형파 발생부
106: 제1반전파 발생부
108: 위상천이 필터부
108a: 저장부
110: 제2반전파 발생부
112: A/D 변환부
114: 제1데드타임 발생부
116: 제2데드타임 발생부
118: 게이트 드라이브
200: 컨버터

Claims (13)

  1.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
    레퍼런스 전압과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하는 제1구형파 발생부;
    상기 제1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하는 제1반전파 발생부;
    상기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상기 차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상기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위상천이 필터부; 및
    상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하는 제2반전파 발생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위상천이 필터부는 적어도 한 주기 동안의 상기 필터입력파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값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하여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필터입력파, 상기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을 각각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의 함수에 따라 변환하고 각각의 상기 필터입력파, 상기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의 변환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천이 제어 장치는,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을 수신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 변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디지털 값과 상기 레퍼런스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차분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입력파는 상기 제1구형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천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구형파 및 상기 제1반전파를 수신하여 데드타임이 형성된 진상 레그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 데드타임 발생부; 및
    상기 제2구형파 및 상기 제2반전파를 수신하여 데드타임이 형성된 지상 레그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데드타임 발생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5.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
    레퍼런스 전압과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하는 비교부;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하는 제1구형파 발생부;
    상기 제1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1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하는 제1반전파 발생부;
    상기 기준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상기 차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상기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위상천이 필터부; 및
    상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하는 제2반전파 발생부
    를 포함하되,
    상기 위상천이 필터부는 상기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하고 소정의 전역통과필터를 구현하는 전달함수에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를 변수로 적용하여 위상천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는 상기 차분값이 소정 하한치 이하이면 최저값을 갖고 상기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상기 차분값이 소정 상한치 이상이면 최대값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는 상기 차분값이 소정 하한치 이하이면 최저값을 갖고 상기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상기 차분값이 소정 상한치 이상이면 최대값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8.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과 레퍼런스 전압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제1구형파로부터 상기 제1구형파의 반전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하는 단계;
    (d) 상기 스위칭 주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상기 차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상기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하고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상기 필터입력파, 상기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을 각각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의 함수에 따라 변환하고 각각의 상기 필터입력파, 상기 필터입력파의 한주기 전의 값 및 상기 제2구형파의 한주기 전의 값의 변환값을 합산하여 상기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을 A/D변환한 후 상기 레퍼런스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차분값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입력파는 상기 제1구형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
  11.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의 출력과 레퍼런스 전압을 비교하여 차분값을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스위칭하는 기준 주파수의 기준 주기파를 수신하여 제1구형파를 발생하는 단계;
    (c) 상기 제1구형파로부터 상기 제1구형파의 반전위상을 갖는 제1반전파를 발생하는 단계;
    (d) 상기 스위칭 주기와 동일한 주파수의 필터입력파 및 상기 차분값을 수신하여 상기 필터입력파에 대비하여 상기 차분값의 크기에 따른 위상천이값을 갖는 제2구형파를 발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구형파를 수신하여 상기 제2구형파의 반전 위상을 갖는 제2반전파를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차분값을 동작기준 주파수로 매핑하고 소정의 전역통과필터를 구현하는 전달함수에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를 변수로 적용하여 위상천이값을 획득하고,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는 상기 차분값이 소정 하한치 이하이면 최저값을 갖고 상기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상기 차분값이 소정 상한치 이상이면 최대값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
  12. 삭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기준 주파수는 상기 차분값이 소정 하한치 이하이면 최저값을 갖고 상기 차분값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상기 차분값이 소정 상한치 이상이면 최대값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천이 제어 방법.
KR1020100041744A 2010-05-04 2010-05-04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10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44A KR101104402B1 (ko) 2010-05-04 2010-05-04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744A KR101104402B1 (ko) 2010-05-04 2010-05-04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19A KR20110122319A (ko) 2011-11-10
KR101104402B1 true KR101104402B1 (ko) 2012-01-16

Family

ID=4539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744A KR101104402B1 (ko) 2010-05-04 2010-05-04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938B1 (ko) * 2021-10-29 2022-01-14 이화전기공업 주식회사 무정전 전원장치의 위상 동기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3775A (en) 1994-06-16 1996-10-08 Reliance Comm/Tech Corporation Full bridge phase displaced resonant transition circuit for obtaining constant resonant transition current from 0° phase angle to 180° phase angle
KR100278699B1 (ko) * 1998-04-24 2001-01-15 우성희 풀-브릿지 직류/직류 변환기의 디지털 구동제어회로
US6687136B2 (en) 2002-02-19 2004-02-03 Daihen Corporation Arc-machining power supply with switching loss reducing element
US6992902B2 (en) 2003-08-21 2006-01-31 Delta Electronics, Inc. Full bridge converter with ZVS via AC feedb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3775A (en) 1994-06-16 1996-10-08 Reliance Comm/Tech Corporation Full bridge phase displaced resonant transition circuit for obtaining constant resonant transition current from 0° phase angle to 180° phase angle
KR100278699B1 (ko) * 1998-04-24 2001-01-15 우성희 풀-브릿지 직류/직류 변환기의 디지털 구동제어회로
US6687136B2 (en) 2002-02-19 2004-02-03 Daihen Corporation Arc-machining power supply with switching loss reducing element
US6992902B2 (en) 2003-08-21 2006-01-31 Delta Electronics, Inc. Full bridge converter with ZVS via AC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319A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852B2 (ja) 広出力電圧範囲用の絶縁型dc/dcコンバータ及びその制御方法
US10581334B2 (en) DC-DC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Prasanna et al. Novel bidirectional single-phase single-stage isolated AC–DC converter with PFC for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Qin et al. A dual active bridge converter with an extended high-efficiency range by DC blocking capacitor voltage control
Zhao et al. Analysis, design, and experimentation of an isolated ZVT boost converter with coupled inductors
US9197135B2 (e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ith frequency control change-over
US11025174B2 (en) Converter with soft switching function
US11641164B2 (en)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with same
US8937817B2 (en) Lossless commutation during operation of a power converter
KR101520257B1 (ko) 양방향 dc-dc 컨버터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방법
US11594972B2 (en) Resonant power converter
CN103580493A (zh) 新式高功率变换器架构
US20170005592A1 (en) Control method of inverter circuit
JP6132887B2 (ja) 電力変換装置
US20200366198A1 (en) Converter
KR102211454B1 (ko) 절연형 dc-dc 컨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101104402B1 (ko) 직류-직류 풀-브릿지 컨버터를 제어하는 위상천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075055B2 (en) Zero-voltage-switching scheme for phase shift converters
Dung et al. A DSP based digital control strategy for ZVS bidirectional Buck+ Boost converter
Vishnu et al. A phase shift control strategy for bidirectional power flow in capaci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using LCLC compensation
Yerra et al. Cascaded switching capacitor based multi-phase three-level buck converter for communication envelope tracking
WO2018185962A1 (ja) 電力変換装置
CN114825975A (zh) 电源供应器及驱动方法
Malan et al. Novel modulation strategy for a CLC resonant dual active bridge
Bagawade et al. Novel high-gain hybrid current-driven DC-DC converter top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