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407B1 - Doughnut type concrete former, biaxi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concrete 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oughnut type concrete former, biaxi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concrete 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6407B1 KR101076407B1 KR1020090100700A KR20090100700A KR101076407B1 KR 101076407 B1 KR101076407 B1 KR 101076407B1 KR 1020090100700 A KR1020090100700 A KR 1020090100700A KR 20090100700 A KR20090100700 A KR 20090100700A KR 101076407 B1 KR101076407 B1 KR 1010764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reinforcing
- hollow
- donut
- horizont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04B5/32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the filling elements being spheric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형 2방향 중공슬래브와, 그 2방향 중공슬래브 시공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넛형 중공형성체, 그리고 그 2방향 중공슬래브의 바람직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two-way hollow slab, a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that can be advantageously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wo-way hollow slab, and a preferred method of constructing the two-way hollow slab.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중공형성체는, 입체형상의 몸체 중앙에 원형 단면의 중공부가 형성되고 모서리가 곡면으로 처리되어 전체적으로 도넛 형태의 외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three-dimensional body and the edge is treated with a curved surface to have an overall donut-shaped shell.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중공슬래브는, 다수열 다수행으로 띄엄띄엄 배치되는 상기한 도넛형 중공형성체; 상기 도넛형 중공형성체 아래에 배근되는 슬래브 하부철근; 상기 도넛형 중공형성체 위에 배근되는 슬래브 상부철근; 상기 슬래브 상·하부철근이 매입되는 두께로 타설 양생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도넛형 중공형성체가 철근케이지 내부에 구속되거나 철근스페이서에 결속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중공형성체가 슬래브 상·하부철근 사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wo-way hollow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nut-like hollow forming body is spacingly arranged in a number of rows multiple rows; A slab lower reinforcement beneath the donut-shaped hollow body; Slab upper reinforcement is placed on the donut-shaped hollow body; The slab concrete which is poured into the thickness of the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is embedded; comprising, the hollow-shaped body is installed to be constrained in the reinforcing cage or bound to the reinforcement spacer, the hollow forming body is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in the form of a matrix along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중공, 도넛, 중공슬래브, 2방향, 케이지 Hollow, Donut, Hollow Slab, 2 Way, Cage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공형성체가 슬래브 상·하부철근 사이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을 따라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입됨으로써 2방향 저항특성을 발휘하도록 완성되는 경량형 2방향 중공슬래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방향 중공슬래브에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그러한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이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 및 그 2방향 중공슬래브의 바람직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weight two-way hollow slab, in which a hollow body is disposed in a matrix form along a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reinforcing slabs and embedded in slab concrete to exhibit two-way resistance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nut-like hollow forming body which can be advantageously used in a two-way hollow slab, a two-way hollow slab using such a donut-like hollow forming body, and a preferred method of constructing the two-way hollow slab.
중공슬래브(hollow core slab)는 중앙에 중공(hollow core)을 구비한 슬래브로서, 자중에 비해 우수한 단면 성능을 발휘하고 층간소음 저감에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Hollow core slab (hollow core slab) is a slab having a hollow core (hollow core) in the center, exhibits excellent cross-sectional performance compared to its own weight and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interlayer noise.
슬래브 중량의 경량화라는 관점에서 현재 건물에 사용하는 슬래브 시스템의 하나로 1방향 중공슬래브(one-way hollow core slab)가 있다.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구조물의 슬래브는 대부분 2방향 거동을 보이므로, 1방향 중공슬래브를 설계 변경과 추가 비용 부담 없이 바로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네덜란드의 버블데크사(Bubble deck社)와 스위스의 코비악스사(Cobiax社)에 의해 구형 또는 타원구형 플라스틱 볼을 중공형성체로 사용한 2방향 중공슬래브가 개발된 바 있다.One of the slab systems currently used in buildings in terms of weight reduction of the slab weight is a one-way hollow core slab. Since most of the slabs of building structures such as apartment houses exhibit two-way behavior,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one-way hollow slabs without design changes and additional cost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wo-way hollow slab was developed by a bubble deck company in the Netherlands and a Cobiax company in Switzerland using a spherical or ellipsoidal plastic ball as a hollow body.
도 1은 종래 2방향 중공슬래브를 도시한다. 보는 바와 같이 2방향 중공슬래브는 볼형의 중공형성체가 다수열 다수행으로 띄엄띄엄 배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입됨에 따라 슬래브 구체가 2방향 저항특성을 나타낸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방향 중공슬래브는 슬래브 하부철근이 매입된 슬래브 하부와 슬래브 상부철근이 매입된 볼형의 중공형성체 사이에 채워진 콘크리트 부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면서 슬래브 구체가 2방향으로 완성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2방향 중공슬래브는 중공형성체의 위치를 고정하는 작업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1 shows a conventional two-way hollow slab. As can be seen in the two-way hollow slab, the slab spheres exhibit two-way resistance characteristics as the ball-shaped hollow bodies are arranged in a large number of rows and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As shown in FIG. 1, the two-way hollow slab is integrally connected by a concrete part filled between the slab bottom in which the slab bottom reinforcement is embedded and the ball-shaped hollow forming body in which the slab upper reinforcement is embedded, thereby completing the slab sphere in two directions. Structure. Such a two-way hollow slab needs special atten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hollow body.
한편, 2방향 중공슬래브에서 중공형성체의 형상 및 부피에 의한 중공률은 한편으로 슬래브의 콘크리트 물량 및 자중 감소량을 결정하고 다른 한편으로 슬래브 구체의 구조성능을 결정한다. 다시 말해 중공률이 클수록 슬래브 콘크리트의 물량은 줄지만 그만큼 슬래브의 구조적인 내력도 떨어진다. 특히 2방향 중공슬래브의 경우 중공형성체를 사이에 두고 상부와 하부로 분리하여 거동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low ratio by the shape and volume of the hollow body in the two-way hollow slab on the one hand determines the amount of concrete and self-weight reduction of the slab and on the other hand determines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slab sphere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hollow ratio, the smaller the amount of slab concrete, but the lower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slab.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wo-way hollow slab, there is a concern that the hollow body is separated into a top and a bottom with a hollow body formed therebetween.
본 발명은 종래 2방향 중공슬래브에서 중공률 증대에 따른 구조성능 저하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시공성을 개선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lowering the structural performance due to the increase of the hollow ratio in the conventional two-way hollow slab and to improve the workability as follows.
첫째, 중공률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2방향 중공슬래브를 구축할 수 있는 중공형성체를 제공하고자 한다.First,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ollow body that can construct a two-way hollow slab structurally stable while ensuring maximum hollow ratio.
둘째, 중공형성체를 슬래브 상·하부철근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켜 구조설계에 따른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2방향 중공슬래브를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to provide a two-way hollow slab that can secure the construction quality according to the structural design by stably positioning the hollow forming body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
셋째,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에서 슬래브 철근의 배근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ird,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simplify the reinforcement of the slab reinforcem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two-way hollow slab.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2방향 중공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nut-shaped hollow body, a two-way hollow slab,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중공형성체는, 경량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 내부에 매입되는 부재로서,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도넛 형태의 외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ber embedded in the concret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light weight concret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having a donut-shaped shell as a whole.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중공슬래브는, 제1,2측면벤트근과 상부벤트근 및 제1,2단부틸트근으로 구성된 철근케이지; 마주보는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에 의해 상기 철근케이지 내부에 구속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열 다수행으로 띄엄띄 엄 배치되는 상기한 도넛형 중공형성체; 상기 철근케이지 아래에 배근되는 슬래브 하부철근; 상기 슬래브 상·하부철근이 매입되는 두께로 타설 양생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wo-way hollow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cage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side vent roots, the upper vent roots and the first and second stage butyl root;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which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restrained inside the reinforcing cage by fitting grooves formed in each of the opposite sides facing each other and is arranged sparsely in a plurality of rows; A slab lower reinforcing bar under the reinforcing c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slab concrete to be cur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is embedded.
본 발명에 따른 다른 2방향 중공슬래브는, 제1,2상·하부수평근과 제1,2측면틸트근과 상부수평근 및 제1,2단부틸트근으로 구성된 철근케이지; 마주보는 양 측면 각각에 형성된 끼움홈에 의해 상기 철근케이지 내부에 구속된 상태로 설치되며, 다수열 다수행으로 띄엄띄엄 배치되는 상기한 도넛형 중공형성체; 상기 철근케이지 아래에 배근되는 슬래브 하부철근; 상기 슬래브 상·하부철근이 매입되는 두께로 타설 양생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two-way hollow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inforcing cage consisting of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horizontal muscles, first and second side tilt muscles, upper horizontal muscles, and first and second stage butt roots;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which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restrained inside the reinforcing cage by fitting grooves formed on each of the opposite sides, and is spaced apart in a plurality of rows; A slab lower reinforcing bar under the reinforcing cag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slab concrete to be cur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is embedded.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2방향 중공슬래브는, 다수열 다수행으로 띄엄띄엄 배치되는 도넛형 중공형성체; 상기 도넛형 중공형성체 아래에 주근과 배력근으로 배근되는 슬래브 하부철근; 상기 도넛형 중공형성체 위에 주근과 배력근으로 배근되는 슬래브 상부철근; 상기 도넛형 중공형성체와 슬래브 상·하부철근 사이에 배치되어 결속 설치되는 철근스페이서; 상기 슬래브 상·하부철근이 매입되는 두께로 타설 양생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two-way hollow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spacingly arranged in a number of rows; A slab lower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under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with a main bar and a reinforcement bar; A slab upper reinforcing bar reinforcement on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to the main and reinforcement; A reinforcing bar spacer disposed between the donut-shaped hollow former and the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to be install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slab concrete to be cured in the thickness of the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is embedded.
본 발명에 따른 2방향 중공슬래브의 시공방법은, 슬래브 하부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내부에 도넛형 중공형성체가 구속된 상태의 철근케이지를 슬래브 하부철근 위에 배치하는 단계; 철근케이지 위에 슬래브 상부철근을 배근하는 단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nstruction method of a two-way hollow sl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inforcing slab lower reinforcement; Disposing the reinforcing cage in the state where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is restrained on the slab lower reinforcing bars; Reinforcing the slab upper rebar on the reinforcing c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of curing the slab concre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2방향 저항특성을 나타내는 중공슬래브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구축할 수 있다. 특히 중앙의 중공부가 마련된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이용하여 중공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채우기 때문에 중공형성체를 사이에 두고 구분되는 슬래브 구체의 상·하부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조적으로 강화된 중공슬래브를 구축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tructurally stable hollow slab exhibiting two-way resistanc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since the slab concrete is filled in the hollow part by using a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having a hollow part in the center, the unity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slab spheres separated by the hollow forming part can be improved. Reinforced hollow slabs can be constructed.
둘째, 중공형성체를 철근케이지에 구속시키거나 철근스페이서에 결속시킨 상태로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입시키기 때문에 중공형성체를 슬래브 상·하부철근 사이 중앙에 위치시키면서 시공품질을 확보하는 중공슬래브로 시공할 수 있다. 특히 철근케이지는 중공형성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슬래브 콘크리트에 구속되어 전단철근으로 역할도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유리한 중공슬래브로 시공할 수 있다.Second, since the hollow body is embedded in the slab concrete while the hollow body is bound to the reinforcing cage or bound to the reinforcing bar spacer, the hollow body can be constructed as a hollow slab that ensures the construction quality while placing the hollow body in the cent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bars of the slab. have. In particular, the reinforcing cage can be constructed as a structurally advantageous hollow slab because it acts to fix the position of the hollow forming body, but also acts as a shear reinforcing bar restrained by the slab concrete.
셋째, 중공형성체 위치 고정을 위한 철근케이지 내지 철근스페이서에 슬래브 상·하부철근 중 배력근을 미리 결속할 수 있기 때문에 중공슬래브 시공함에 있어 슬래브 철근의 배근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Third, the reinforcement of the slab reinforcem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 hollow slab can be simplified because the reinforcing bar of the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ement to the reinforcing cage to the reinforcement spac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llow forming body in advance.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를 도시한다. 중공형 성체(100)는 콘크리트 내부에 묻혀 그 설치공간에 콘크리트가 채워지지 않게 함으로써 경량 콘크리트 부재로 완성하는 부재이다. 즉 중공형성체(100) 자체가 중공(hollow core)으로 역할하여 콘크리트 부재에 경량성을 부여하는 것이다.2 and 3 show a donut-shaped
특히 본 발명에서는 중앙에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도넛 형태의 외피를 가지는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입체형상의 몸체 중앙에 원형 단면의 중공부(110)가 형성되고 모서리가 곡면으로 처리되어 전체적으로 도넛 형태의 외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onut-shaped
또한 본 발명에서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도넛 형태의 외피 속이 텅 빈 공동부(120)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둘 이상의 구성각편(100a, 100b)이 조립되는 구조로도 마련될 수 있다. 공동부(120)는 도넛형 중공형성체(100)의 경량성을 더욱 부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구성각편(100a, 100b)에 의한 조립구조는 구성각편(100a, 100b) 각각을 서로 겹쳐 적층시킬 수 있게 하므로 운반시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공동부(120)에는 발포 스티로폼 등의 단열재 내지 고무 등의 방음/방진재가 채워질 수도 있는데, 단열재 내지 방음/방진재가 채워진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단열성 내지 방진성이 요구되는 장소에 유리하게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nut-shaped
도 2와 도 3에서는 두 개의 구성각편(100a, 100b)이 조립되는 구조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도 2는 두 개의 구성각편(100a, 100b)이 서로 대응되는 단턱(131a, 131b)에 의해 턱맞춤하여 조립되는 구조이고, 도 3은 두 개의 구성각편(100a, 100b)이 서로 대응되는 돌출편(132a)과 걸림구(132b)에 의해 걸림맞춤하여 조립되는 구조이다.In FIG. 2 and FIG. 3, a donut-shaped
한편 도 2와 도 3에서는 도넛형 중공형성체(100)의 외피에 끼움홈(140a, 140b, 140c)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끼움홈(140a, 140b, 140c)은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를 철근케이지(200)에 구속시키거나 철근스페이서(300)에 결속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특히 도 3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에서는 측면에 X자형의 끼움홈(140a)이 형성되고 상·하부면에 일자형의 끼움홈(140b) 및 사다리꼴형의 끼움홈(140c)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철근케이지(200)와 철근스페이서(300)의 종류에 무관하게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를 범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Meanwhile, in FIGS. 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동일한 체적 대비 콘크리트보다 가볍게 제작할 수 있으면 되며, 중공형성체가 콘크리트를 대체하여 설치된다는 관점에서 고려하면 재활용이 어려운 콘크리트를 대신하여 친환경 소재의 중공형성체가 바람직하다. 가령 생분해성 플라스틱 또는 바이오매스 플라스틱과 같은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다.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은 재생 가능한 유기자원(PLA, 천연섬유)을 원료로 하여 화석자원의 사용량 저감을 유도하는 폴리머로서, 바이오매스 치환량만큼 CO2 저감을 인정받을 수 있다. 또한, 중공형성체는 플라스틱(PP, PE 등)으로 제작할 수 있는데, 특히 유리섬유(Glass Fiber, GF)를 약 40%까지 추가한 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하면 중공형성체의 강도(인장 및 압축)를 약 2~3배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The donut-shaped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2방향 중공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중공형성체로, 몸체의 높이(H)가 120~150㎜이고, 몸체의 길이(L1, L2)가 90~270㎜이고, 중 공부의 직경이 15~45㎜인 것을 제안한다. 몸체의 높이는 중공슬래브의 두께와 슬래브 상·하부철근의 피복두께를 고려한 것이고, 몸체의 길이는 중공슬래브의 중공률(30% 이상)을 고려한 것이고, 중공부의 직경은 슬래브 콘크리트의 충진성과 중공슬래브의 중공률을 고려한 것이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hollow body for constructing a two-way hollow slab, the height (H) of the body is 120 ~ 150mm, the length (L1, L2) of the body is 90 ~ 270mm, the diameter of the study We suggest that it is 15-45mm. The height of the body considers the thickness of the hollow slab and the covering thickness of the slab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ars, and the length of the body considers the hollow ratio of the slab (more than 30%), and the diameter of the hollow part is the filling of the slab concrete and the The hollow factor is taken into account.
도 4는 도 2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를 이용하여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를 도시한다. 2방향 중공슬래브는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 상·하부철근(411, 412, 413, 414) 사이에 도넛형 중공형성체(100)가 다수열 다수행으로 띄엄띄엄 배치되어 슬래브 콘크리트(420)에 매입되는 형태로 완성된다.4 illustrates a two-way hollow slab completed using the toroidal
특히 도넛형 중공형성체의 중공부(110)에도 콘크리트가 채워짐에 따라 도넛형 중공형성체(100)의 크기에 상관없이 콘크리트 부분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2방향 중공슬래브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구축할 수 있다. 즉, 슬래브 하부철근(411, 412)이 매입된 슬래브 하부와 슬래브 상부철근(413, 414)이 매입된 슬래브 상부가 도넛형 중공형성체(100) 상호 간 사이는 물론 도넛형 중공형성체의 중공부(110)에 채워진 콘크리트 부분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기 때문에 전체 중공슬래브의 안정성이 강화되는 것이다. 해석결과 중공부(110)에 콘크리트가 채워짐에 따라 중공슬래브의 강성이 증대되고 처짐이 저감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모서리의 곡면처리에 의해 콘크리트의 균열이 분산되면서 파괴가 지연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In particular, as the
한편, 2방향 중공슬래브 시공에서 중공형성체(100)의 위치 고정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철근케이지(200)에 의한 위치 고정방식과 철근스페이서(300)에 의한 위치 고정방식을 제안한다. 도 5 내지 도 13은 철근케이지(200)에 의한 위치 고정방식을 보여주고, 도 14와 도 15는 철근스페이서(300)에 의한 위치 고정방식을 보여준다. 철근케이지(200)와 철근스페이서(300)는 중공형성체(100)의 이동성을 제어하여 슬래브 상·하부철근(411, 412, 413, 414)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구조로 제안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two-way hollow slab construction, the position fixing of the
도 5 내지 도 13에서 중공형성체(100)의 위치고정을 위한 철근케이지(200)는 철근(내지 철선 등 철근에 상당하는 자재)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내부에 중공형성체(100)가 구속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철근케이지(200)는 슬래브 콘크리트(420)에 매입된 후에는 슬래브 콘크리트(420)에 구속되어 중공형성체(100)에 의한 단면손실로 인한 전단성능 저감문제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5 to 13, the reinforcing
도 5 내지 도 7은 벤트근을 적절히 활용한 철근케이지(200)의 예이다. 도 5의 철근케이지(200)는 내부에 1개의 중공형성체(100)를 구속 설치하기 위해 제안된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고, 도 6의 철근케이지(200)는 내부에 2개의 중공형성체(100)를 구속 설치하기 위해 도 5의 철근케이지가 2배 길이로 확장된 형태이고, 도 7의 철근케이지(200)는 내부에 4개의 중공형성체(100)를 구속 설치하기 위해 도 5의 철근케이지(200)가 4배 길이로 확장된 형태이다. 도 5의 철근케이지(200)를 기준으로 다양한 길이로 확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5 to 7 are examples of the reinforcing
도 5의 철근케이지(200)는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2측면벤트근(210, 220), 상부벤트근(230) 및 제1,2단부틸트근(241, 242)의 용접 조립으로 구성된다. 제1측면벤트근(210)은 철근이 절곡되어 제1경사부(211)와 제1경사부 양측에서 이어진 제1수평부(212)로 구분되는 것으로, 기울어지게 세워져 제1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된다. 제2측면벤트근(220)은 철근이 절곡되어 제2경사부(221)와 제2경사부 양측에서 이어진 제2수평부(222)로 구분되는 것인데, 제1측면벤트근(210)을 마주보면서 제1측면벤트근(210)을 향해 기울어지게 세워져 제2측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제2경사부(221)가 제1측면벤트근의 제1경사부(211)와 엇갈리는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부벤트근(230) 또한 철근이 절곡되어 제3경사부(231)와 제3경사부 양측에서 이어진 제3수평부(232)로 구분되며, 이러한 상부벤트근(23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1,2측면벤트근(210, 220) 사이 상부에 수평으로 가로놓여 상부면을 구성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양측의 제3수평부(232) 각각이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수평부(212, 222)와 긴결하게 설치된다. 제1단부틸트근(241)은 제1측면벤트근(210) 일단부의 제1수평부(212)와 상기 제2측면벤트근(220) 일단부의 제2수평부(222)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2단부틸트근(242)은 제1측면벤트근(210) 타단부의 제1수평부(212)와 제2측면벤트근(220) 타단부의 제2수평부(222)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5, the reinforcing
도 6과 도 7의 철근케이지(200)는 도 5의 철근케이지가 길이 확장된 형태인데, 이는 제1,2측면벤트근(210, 220)과 상부벤트근(230)으로 철근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연속 절곡된 것을 이용함에 따라 실현된다. 다시 말해 도 6의 철근케이지는 제1,2,3경사부(211, 221, 231)가 각각 2개 마련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제1,2,3수평 부(212, 222, 232)로 끝나도록 마련된 제1,2측면벤트근(210, 220)과 상부벤트근(230)을 이용하면 완성되며, 도 7의 철근케이지는 제1,2,3경사부(211, 221, 231)가 각각 4개 마련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제1,2,3수평부(212, 222, 232)로 끝나도록 마련된 제1,2측면벤트근(210, 220)과 상부벤트근을 이용하면 완성된다. 운반과 현장작업 등 제반여건을 고려하면 도 7의 철근케이지(200) 규격이 현장에 적용하기에 적당하다.Reinforcing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벤트근을 활용한 철근케이지(200)는 그 전체적인 외형이 육면체의 입체구조를 가지면서 그 자체가 자립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2측면벤트근(210, 220)이 육면체의 양 측면을 구성하고, 상부벤트근(230)이 육면체의 상부면을 구성하고, 제1,2단부틸트근(241, 242)이 각각 육면체의 정면과 배면을 구성하게 되는 한편,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수평부(212, 222)가 지지점이 되어 자립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제1,2측면벤트근(210, 220)은 서로를 향해 서로 기울어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철근케이지(200)의 정면과 배면은 사다리꼴 형태가 된다(도 5(b),6(b),7(b) 참조).As shown in FIGS. 5 to 7, the reinforcing
도 5(c),6(c),7(c)에서는 철근케이지(200) 내부에 도 2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가 구속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공형성체(100)가 철근케이지 내부에 구속 설치되기 위해서는 중공형성체(100)는 마주보는 양 측면 각각에 끼움홈(140a)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그래야 철근케이지(200) 내부에 중공형성체(100)를 삽입시킬 때 끼움홈(140a)에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경사부(211, 221)가 끼워지면서 중공형성체(100)가 철근케이지(200)에 구속된다. 일단 중공형성 체(100)가 철근케이지(200)에 구속되면 슬래브 콘크리트(420) 타설과정에서 중공형성체(100)에 부력이 작용하더라도 중공형성체(100)는 서로를 향해 기울어지게 배치된 제1,2측면벤트근(210, 220)에 걸리면서 부상(浮上)이 억제되며, 이로써 중공형성체(100)는 일정한 위치의 슬래브 콘크리트(420)에 안정적으로 매입된다. 이와 같은 중공형성체(100)의 시공상태를 감안하면, 도 6(c) 및 도 7과 같이 하나의 철근케이지(200)에 복수개의 중공형성체(100)가 구속 설치되는 경우에는 철근케이지의 제1,2측면벤트근(210, 220)과 상부벤트근(230)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제1,2,3수평부(212, 222, 232)의 길이로서 도넛형 중공형성체(100)의 배치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5 (c), 6 (c) and 7 (c), it can be seen that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한편, 도 2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양 측면의 끼움홈(140a)이 각각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경사부(211, 221)와 동일하게 마련된 예이고, 도 3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양 측면의 끼움홈(140a)이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경사부(211, 221)의 배치상태와 일치하는 X자형으로 마련된 예인데, 도 3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가 설치방향에 제약이 없어 유리하다. 다시 말해 도 2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끼움홈(140a)의 방향을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경사부(211, 221)의 방향에 일치시키면서 설치해야 하지만, 도 3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는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경사부(211, 221)의 모양이 양쪽의 끼움홈(140a) 모두에 나타나 있기 때문에 설치방향에 제약이 없다.Meanwhile, the donut-shaped
도 8과 도 9는 각각 도 7의 철근케이지를 이용하여 2방향 중공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과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의 단면을 보여주는데, 도 5와 도 6의 철근케 이지(200)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된다. 2방향 중공슬래브는, 먼저 슬래브 하부철근으로 주근(411)과 배력근(412)을 교차 배근하고, 이어 내부에 도넛형 중공형성체(100)가 구속된 상태의 철근케이지(200)를 슬래브 하부철근(411, 412) 위에 배치하고, 다음으로 철근케이지(200) 위에 슬래브 상부철근으로 배력근(413)과 주근(414)을 교차 배근한 후 슬래브 콘크리트(420)를 타설 양생하는 과정으로 시공한다. 이때 철근케이지(200)는 결속선으로 묶어 슬래브 하부철근(411, 412)에 위치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철근케이지(200)는 슬래브 상부철근(413, 414)의 배근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스페이서로서 역할하기도 한다.8 and 9 show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wo-way hollow slab and the completed two-way hollow slab using the reinforcing cage of FIG. 7, respectively. The method of the reinforcing
도 10과 도 11은 수평근을 적절히 활용한 철근케이지(200)의 예로서, 슬래브 상·하부철근의 배력근을 포함시켜 완성한 예이다. 10 and 11 are examples of the reinforced
도 10의 철근케이지(200)는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 제1,2측면틸트근(261, 262), 상부틸트근(263) 및 제1,2단부틸트근(241, 242)의 용접 조립으로 구성된다. 제1,2하부수평근(251, 252)는 서로 이격하게 평행 배치되고, 제1,2상부수평근(253, 254)는 제1,2하부수평근(251, 252) 위로 제1,2하부수평근(251, 252)보다 좁은 폭으로 서로 이격하게 평행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은 사다리꼴 배치구조를 이룬다. 제1측면틸트근(261)은 제1상·하부수평근(251, 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상·하부수평근(251, 253) 상호 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이웃하는 부재끼리 경사방향이 반대로 바뀌면서 띄엄띄엄 배치된다. 제2측면틸트근(262)은 제2상 ·하부수평근(252, 25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상·하부수평근(252, 254) 상호 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제1측면틸트근(261)의 경사방향과 반대로 배치되어 마주보는 위치의 제1측면틸트근(261)과 엇갈리게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부틸트근(263)은 제1,2상부수평근의(253, 254) 길이방향을 따라 제1,2상부수평근(253, 254) 상호 간을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제1,2측면틸트근(261, 262)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1단부틸트근(241)은 제1상부수평근(253)의 일단부와 상기 제2하부수평근(252)의 일단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제2단부틸트근(242)은 제1상부수평근(253)의 타단부와 상기 제2하부수평근(252)의 타단부를 경사지게 연결하거나 제2상부수평근(254)의 타단부와 상기 제1하부수평근(251) 타단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도 10의 철근케이지(200)에서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은 슬래브 상·하부철근의 배력근(412, 413)으로 이용된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도 10의 철근케이지(200)는 그 전체적인 외형이 앞서 살펴본 도 5 내지 도 7의 철근케이지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은 제1,2측면벤트근과 상부벤트근의 제1,2,3수평부(212, 222, 232)에 대응하고, 제1,2측면틸트근(261, 263)은 제1,2측면벤트근의 제1,2경사부(211, 221)에 대응하고, 상부틸트근(263)은 상부벤트근의 제3경사부(231)와 동일한 배치상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도 10의 철근케이지(200) 내부에는 도 5 내지 도 7의 철근케이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중공형성체(100)가 구속 설치된다.Reinforcing
도 11의 철근케이지(200)는 도 7의 철근케이지에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을 더 용접 조립한 예이다. 제1하부수평근(251)으로 제1측면벤트근(210)의 하부에 위치한 제1수평부(212)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하고, 제2하부수평근(252)으로 제2측면벤트근(220)의 하부에 위치한 제2수평부(222) 상호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하고, 제1상부수평근(253)으로 제1측면벤트근(210)의 상부에 위치한 제1수평부(212)와 상부벤트근(230)의 일측면에 위치한 제3수평부(232)가 긴결된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하고, 제2상부수평근(254)으로 제2측면벤트근(220)의 상부에 위치한 제2수평부(222)와 상부벤트근(230)의 타측면에 위치한 제3수평부(232)가 긴결된 부분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한다.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은 슬래브 상·하부철근의 배력근(412, 413)으로 이용되므로, 도 11의 철근케이지(200)는 도 7의 철근케이지(200)에 슬래브 상·하부철근의 배력근(412, 413)을 미리 접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1 i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수평근을 활용한 철근케이지(200)는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의 양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 연장되는 한편 연장된 일단부가 절곡되는 형태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철근케이지(200)를 직렬로 연속 배치할 때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의 겹침이음을 고려한 것이다.As shown in FIGS. 10 to 11,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도 12와 도 13은 도 11의 철근케이지(200)를 이용하여 2방향 중공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과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의 단면을 보여주는데, 도 10의 철근케이지(200)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된다. 도 11의 철근케이지(200)는 도 7의 철근케이지(200)에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이 더 마련된 형태이기 때문 에, 도 11의 철근케이지(200)를 이용하면 슬래브 상·하부철근 배근과정에서 배력근(412, 413)을 배근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12 and 13 illustrate a process of constructing a two-way hollow slab using the reinforcing
도 14 내지 도 15에서 중공형성체의 위치고정을 위한 철근스페이서(200)는 중공형성체(100)와 슬래브 상·하부철근의 배력근(412, 413) 사이에서 중공형성체(100)와 배력근(412, 413) 각각에 결속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철근스페이서는, 배력근(412, 413)과 용접 또는 끼움 결속하도록 마련된 철근결속편(310);과, 중공형성체(100)와 끼움 결속하도록 마련된 돌출돌기(320);로 구성된다.14 to 15, the
도 14는 철근을 활용한 철근스페이서(300)의 예이다. 도 14의 철근스페이서(300)는 철근을 연속 절곡하여 중앙에 ∩자형 돌출돌기(320)를 마련하고 양단에 수평의 철근결속편(310)을 마련함으로써 철근결속편(310)을 배력근(412, 413)에 용접 접합하여 결속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14 shows an example of
도 15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철근스페이서(300)의 예이다. 도 15의 철근스페이서(300)는 종래 통상적으로 이용해오던 것인데, 탄성에 의해 벌어지는 형태로 철근결속편(310)을 마련하고 그 아래에 사다리꼴 형태로 탄성 돌출돌기(320)를 마련함으로써 철근결속편(310)에 배력근(412, 413)을 끼워 결속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15 is an example of a
도 14(b),15(b)에서는 철근스페이서(300)에 도 3의 도넛형 중공형성체(100)가 결속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중공형성체(100)가 철근스페이서(300)에 결 속 설치되기 위해서 중공형성체(100)는 마주보는 상·하부면 각각에 끼움홈(140b, 140c)이 형성되도록 마련되어야 하며, 이때 끼움홈(140b, 140c)은 철근스페이서의 돌출돌기(320)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져야 한다. 그래야 철근스페이서(300)에 중공형성체(100)를 결속시킬 때 끼움홈(140b, 140c)에 돌출돌기(320)가 끼워지면서 중공형성체(100)가 철근스페이서(300)에 결속된다. 일단 중공형성체(100)가 철근스페이서(300)에 결속되면 슬래브 콘크리트(420) 타설과정에서 중공형성체(100)에 부력이 작용하더라도 중공형성체(100)는 철근스페이서의 철근결속편(310)에 결속된 상부 배력근(413)의 자중에 의해 부상(浮上)이 억제되며, 이로써 중공형성체(100)는 일정한 위치의 슬래브 콘크리트(420)에 안정적으로 매입된다. 이와 같이 철근스페이서(300)를 이용하여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는 도 16과 같다.14 (b) and 15 (b), it can be seen that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embodiments substituted, add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present. It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종래 2방향 중공슬래브를 도시한다.1 shows a conventional two-way hollow slab.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도시한다.2 and 3 illustrate a toroidal hollow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의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이용하여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를 도시한다.4 shows a two-way hollow slab completed using the toroidal hollow body of FIG. 2.
도 5 내지 도 7은 벤트근을 활용한 철근케이지와 그 철근케이지에 도 2의 도넛형 중공형성체가 구속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5 to 7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of FIG. 2 is restrained and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cage using the vent muscle and the reinforcing cage thereof.
도 8과 도 9는 도 7의 철근케이지를 이용하여 2방향 중공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과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의 단면을 도시한다.8 and 9 illustrate a process of constructing a two-way hollow slab using the reinforced cage of FIG. 7 and a cross section of the completed two-way hollow slab.
도 10과 도 11은 수평근을 활용한 철근케이지와 그 철근케이지에 도 2의 도넛형 중공형성체가 구속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10 and 11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of FIG. 2 is restrained and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cage using the horizontal bar and the reinforcing cage thereof.
도 12와 도 13은 도 11의 철근케이지를 이용하여 2방향 중공슬래브를 시공하는 과정과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의 단면을 도시한다.12 and 13 illustrate a cross-section of a completed two-way hollow slab and a process of constructing a two-way hollow slab using the reinforcing cage of FIG. 11.
도 14와 도 15는 철근스페이서와 그 철근스페이서를 이용하여 도 3의 도넛형 중공형성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14 and 15 illustrate a state where the donut-shaped hollow forming body of FIG. 3 is installed using a reinforcing spacer and the reinforcing spacer.
도 16은 도 14의 철근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완성된 2방향 중공슬래브의 단면을 도시한다.FIG. 16 shows a cross section of a two-way hollow slab completed using the reinforcing bar spacer of FIG. 1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도넛형) 중공형성체100: (donut type) hollow body
100a, 100b: 구성각편100a, 100b: Each piece
110: 중공부110: hollow part
120: 공동부120: common part
140a, 140b, 140c: 끼움홈140a, 140b, 140c: fitting groove
200: 철근케이지200: reinforced cage
210, 220: 제1,2측면벤트근210, 220: first and second side vent roots
230: 상부벤트근230: Upper vent root
241, 242: 제1,2단부틸트근241 and 242: first and second stage butyl roots
251, 252, 253, 254: 제1,2상·하부수평근251, 252, 253, 254: First and second upper and lower horizontal muscles
261, 262: 제1,2측면틸트근261, 262: first and second side tilt roots
263: 상부틸트근263: upper butyl root
300: 철근스페이서300: rebar spacer
310: 철근결속편310: Reinforcing Bar
320: 돌출돌기320: protrusion
411, 412, 413, 414: 슬래브 철근411, 412, 413, 414: slab rebar
420: 슬래브 콘크리트420: slab concrete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0700A KR101076407B1 (en) | 2009-10-22 | 2009-10-22 | Doughnut type concrete former, biaxi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concrete 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G2012061750A SG185352A1 (en) | 2009-10-22 | 2010-10-21 | Doughnut-shaped hollow core body, bidirection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CT/KR2010/007237 WO2011049387A2 (en) | 2009-10-22 | 2010-10-21 | Doughnut-shaped hollow core body, bidirection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US13/581,597 US20130036693A1 (en) | 2009-10-22 | 2010-10-21 | Doughtnut-shaped hollow core body, bidirection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0700A KR101076407B1 (en) | 2009-10-22 | 2009-10-22 | Doughnut type concrete former, biaxi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concrete 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3943A KR20110043943A (en) | 2011-04-28 |
KR101076407B1 true KR101076407B1 (en) | 2011-10-25 |
Family
ID=4390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0700A KR101076407B1 (en) | 2009-10-22 | 2009-10-22 | Doughnut type concrete former, biaxi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concrete 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036693A1 (en) |
KR (1) | KR101076407B1 (en) |
SG (1) | SG185352A1 (en) |
WO (1) | WO2011049387A2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8949A (en) * | 2014-05-30 | 2015-12-1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Panel unit for two-way hollow core slab that hollow former is pre-assemb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two-way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
KR101715746B1 (en) * | 2016-06-01 | 2017-03-15 | 조상규 | Spacer assembly for slab structure integrated a plurality of the spacers |
KR101909679B1 (en) * | 2016-11-24 | 2018-10-25 | 조상규 | Spacer assembly for slab structure integrated a plurality of the spacer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00510B (en) * | 2011-10-28 | 2014-06-11 | 王本淼 | Hollow floor system made of steel bar and foam combined filled member |
CN103899023A (en) * | 2012-12-26 | 2014-07-02 | 湖南邱则有专利战略策划有限公司 | Injection molded base plate |
WO2015154132A1 (en) * | 2014-04-07 | 2015-10-15 | Nxt Enterprise Ltd | Building system |
CN103912088B (en) * | 2014-04-23 | 2017-02-15 | 徐焱 | Aerating tank with hard base and deformable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erating tank |
CN104631680B (en) * | 2015-02-13 | 2018-05-22 |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thin-walled square chest superstructure |
KR101753805B1 (en) * | 2015-09-25 | 2017-07-05 | 삼성물산(주) | Form Unit with Drawing-out Type Coupler Bar for Hollow Core Slab, System Form Us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ollow Core Slab |
DE102016118298B8 (en) | 2016-09-28 | 2018-01-18 | Heinze Gruppe Verwaltungs Gmbh | Concrete pavement, kit for the construction of a concrete pav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ncrete pavement |
CN106401037A (en) * | 2016-10-26 | 2017-02-15 | 中国二十二冶集团有限公司 | Premanufactured superimposed rib floor for assembly-type steel structure house |
WO2018170084A1 (en) | 2017-03-16 | 2018-09-20 | Guerrilla Industries LLC |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
CN107956265A (en) * | 2017-12-28 | 2018-04-24 |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 Formwork control of horizontal displacement device and method in a kind of cassette ceiling |
KR102119005B1 (en) | 2017-12-28 | 2020-06-04 |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Concrete sla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slab |
AU2018206763B2 (en) * | 2018-04-08 | 2020-06-25 | Aus Chairs Pty Ltd | Reinforcing Spacer |
AU2019277210B2 (en) * | 2018-06-01 | 2023-07-20 | Matter Up Pty Ltd | Void former |
US11566423B2 (en) * | 2021-03-08 | 2023-01-31 | Plascon Plastics Corporation | Lattice of hollow bodies with reinforcement member supports |
WO2022192355A1 (en) | 2021-03-09 | 2022-09-15 | Guerrilla Industries LLC |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composite structure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15023A (en) | 2007-03-07 | 2008-09-18 | Kumagai Gumi Co Ltd | Floor slab structure and block used for the floor slab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792164A (en) * | 1951-08-10 | 1957-05-14 | Cauffiel John | Preformed structural units |
US4193241A (en) * | 1977-12-05 | 1980-03-18 | Cooper Ralph F | Masonry block insulating device |
US5103616A (en) * | 1991-03-28 | 1992-04-14 | Nordberg Henry T | Method and container for encapsulating tires |
JP2001003506A (en) * | 1999-06-23 | 2001-01-09 | Sanwa Kensetsu:Kk | Construction method for void slab and embedded member for void formation |
PT102332B (en) * | 1999-07-12 | 2012-07-09 | Antonio Francisco Febra | LOST MOLD ELEMENT FOR FUNGIFORM LAX CONSTRUCTION |
JP3723876B2 (en) * | 1999-10-19 | 2005-12-07 | 有限会社Omni house.et | Slab embedding fixture |
KR20070030748A (en) * | 2004-02-25 | 2007-03-16 | 코비악스 테크놀로지즈 에이지 | Method and auxiliary agent for producing concrete elements, especially concrete semi-finished products and/or concrete surfaces, and auxiliary agent for producing concrete surfaces |
US7654053B1 (en) * | 2005-04-01 | 2010-02-02 | Michael Bauer | Concrete vapor barrier integrity system |
KR100779900B1 (en) * | 2006-12-06 | 2007-11-28 | 노영곤 | Hollow member for the deck plate using the same a hollow form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
PT2075387E (en) * | 2007-12-28 | 2014-12-02 | Cobiax Technologies Ag | Module for manufacturing concrete components |
KR100875697B1 (en) * | 2008-08-13 | 2008-12-23 | 주식회사 반석티비에스 | A light weight body for holllow concrete slab |
-
2009
- 2009-10-22 KR KR1020090100700A patent/KR10107640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10-21 US US13/581,597 patent/US2013003669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10-21 SG SG2012061750A patent/SG185352A1/en unknown
- 2010-10-21 WO PCT/KR2010/007237 patent/WO2011049387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15023A (en) | 2007-03-07 | 2008-09-18 | Kumagai Gumi Co Ltd | Floor slab structure and block used for the floor slab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38949A (en) * | 2014-05-30 | 2015-12-11 | 삼성물산 주식회사 | Panel unit for two-way hollow core slab that hollow former is pre-assemb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two-way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
KR101589622B1 (en) * | 2014-05-30 | 2016-01-29 | 삼성물산(주) | Panel unit that plural doughnut type hollow former which is pre-assemb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two-way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
KR101715746B1 (en) * | 2016-06-01 | 2017-03-15 | 조상규 | Spacer assembly for slab structure integrated a plurality of the spacers |
KR101909679B1 (en) * | 2016-11-24 | 2018-10-25 | 조상규 | Spacer assembly for slab structure integrated a plurality of the space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49387A2 (en) | 2011-04-28 |
US20130036693A1 (en) | 2013-02-14 |
WO2011049387A3 (en) | 2011-09-22 |
KR20110043943A (en) | 2011-04-28 |
SG185352A1 (en) | 2012-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6407B1 (en) | Doughnut type concrete former, biaxial hollow core slab using the concrete form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67677B1 (en) | Compisite column structure for steel and concrete | |
KR101204084B1 (en) | Composite wall using frp connectors and making method therefor | |
CN102926469A (en) | Cast-in-situ heat-insulating beam, column and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533576B1 (en) |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a concrete | |
KR20120053219A (en) | Hollow core slab structure using air ball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06820B1 (en) | Two-way hollow cor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CN102635177A (en) | Un-bonded concealed bracing type shear wall for reinforced concrete fr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00065245A (en) | 2-way light weight materials for constructing hollow core slab | |
CN202706255U (en) | Non-binder concealed support reinforced concrete frame shear wall | |
KR100899339B1 (en) | Open type spacer inserted in slab | |
KR100646363B1 (en) | A reinforcement deck structure for a long spa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62166B1 (en) | Structure for precast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10104341A (en) | Composite wall using frp connectors and making method therefor | |
KR20080099754A (en) | Formed steel beam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and slab | |
KR101589622B1 (en) | Panel unit that plural doughnut type hollow former which is pre-assemble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struction method of two-way hollow core slab using the same | |
CN100353016C (en) | Square section concrete short pillar hiden with 'slant strength nucleocenter beam' and mfg. method thereof | |
KR100757960B1 (en) | Two-way hollow core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186222Y1 (en) | Deck plate | |
KR101029252B1 (en) | Lightweight biaxial hollow slab using papercrete and Constructing method of the same | |
JP4607952B2 (en) | Hose joint | |
KR101120360B1 (en) | Light weight assembly for hollow and light slab using the same | |
KR101067845B1 (en) | Beam having the weight reduction unit for reducing weight | |
KR102467631B1 (en) | PC double pannel using hoop shaped member | |
KR100887706B1 (en) | Spacer inserted in slab and slab using 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