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92398B1 -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398B1
KR100992398B1 KR1020090099596A KR20090099596A KR100992398B1 KR 100992398 B1 KR100992398 B1 KR 100992398B1 KR 1020090099596 A KR1020090099596 A KR 1020090099596A KR 20090099596 A KR20090099596 A KR 20090099596A KR 100992398 B1 KR100992398 B1 KR 100992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biodegradable
weight
nonwoven fabric
long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선
오유현
임정환
이재식
Original Assignee
동양메이저 주식회사
이재식
에콜바이오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메이저 주식회사, 이재식, 에콜바이오텍(주) filed Critical 동양메이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53Mixed yarn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9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3/011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15Natural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6Packings, gaskets, se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0Packaging, e.g.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교성과 상용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는, 타수지와 상용성이 없고, 작업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PLA수지에 중성계 및 약산성 나노사이즈 기공에 생분해성 수지를 Branch화 시킨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를 활용하여 가교성 및 상용성을 원활하도록 한 장점이 있고, 또 온도에 따른 용융지수(melt index)폭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생산성이 양호하고, 후가공시 작업성을 탁월하게 개선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비분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일회용품 시장인 마스크, 쇼핑백 산업자재외 다양한 제품군을 생분해성 합성수지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생분해성수지,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부직포장섬유, 퇴비화조건, 지방족고 분자수지.

Description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Filament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성 및 가교성이 취약하여 장섬유부직포 생산시 단사현상 및 융점의 차이(PLA융점: 155℃, PBS,PBSA,PBA융점: 90℃~110℃)로 박리되는 현상을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하여 극복한 가교성과 상용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섬유 부직포는 마스크, 꽃 포장지, 쇼핑백, 산업자재와 같이 대부분 일회용 상품에 많이 활용된다.
장섬유부직포 수지는 대부분 비분해성인 PP나 PET로 구성되는데, 이는 폐기시 100년이 넘어야 분해되므로 환경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원유의 고갈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수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개발된 식물유래 생분해성 지방족 수지인 PLA(Poly Lactic Acid), PBS, PBSA, PBA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는 저탄소 녹색제품으로 각광받고 있으나, 온도 및 습기에 분해되는 단점으로 인해 생산시 열분해와 가수분해가 급격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상용성이 없어 지금까지 사용해오고 있는 PP나 PET를 이용한 장섬유 부직포를 대체할 수 있는 수지 개발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PLA수지와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와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를 활용하여 상용성 및 가교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장섬유 부직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의 MI 폭을 일정한 온도에서 안정된 흐름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생분해성 장섬유 부직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100%지방족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로 제조된 장섬유 부직포로 폐기시 분해되고, 온실가스와 환경부하를 저감시켜 저탄소 녹색상품에 부합될 수 있는 미래 비분해성 대체 상품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는,
천연오일 중 팜유의 함량이 10중량%~15중량%, PLA함량이 12중량%~15중량%,백운모 65중량%~73중량%의 나노복합수지를 제조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0.5중량%~2중량%와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 98중량%~99.5중량%를 분산 및 확산을 위한 컴파운딩하는 제2단계;
PLA수지 90중량%~95중량%와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 4.8중량%~9.95중량%와 제2단계에서 과정을 통해 컴파운딩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0.2중량%~0.05중량%를 컴파운딩하는 제3단계;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에서 선택된 수지로 구성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를 제1번 스크류 200℃부터 다이스온도 220℃까지 설정하여 장섬유 압출연신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 의해 압출연신된 수지를 순간 온도 터치방식에 의한 압착 및 융착과 동시에 결정화하여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를 후가공하는 제6단계; 로 구성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는, 타수지와 상용성이 없고, 작업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PLA수지에 중성계 및 약산성 나노사이즈 기공에 생분해성 수지를 Branch화 시킨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를 활용하여 가교성 및 상용성을 원활하도록 한 장점이 있다. 즉, PLA수지와 상용성 및 가교성이 탁월한 중성계 또는 약산성계의 나노사이즈 무기광물(백운모 등) 기공에 생분해성 PLA수지가 기공속으로 흘러들어가 Branch가 되게 하여 PLA수지와 PBS,PBSA,PBA 수지의 상용성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생분해성 복합수지의 용융지수(MI : melt index)폭을 일정하게 유지시 켜 생산성이 양호하고, 후가공시 작업성을 탁월하게 개선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비분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일회용품 시장인 마스크, 쇼핑백 산업자재외 꽃 포장지, 방진복 등 다양한 제품군을 생분해성 합성수지로 대체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공정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수지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단계는 총 6단계로 구성한다.
이를 순서에 따라 나열하면,
제 1단계: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제조단계;
제 2단계: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와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와 분산 및 확산을 위해 1차컴파운딩 단계;
제 3단계: PLA수지와 제2단계를 2차컴파운딩 하는 단계;
제 4단계: 장섬유 압출 연신단계;
제 5단계: 순간 온도 터치방식에 의한 압착 및 융착과 동시에 결정화 단계;
제 6단계: 후가공 단계;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총 6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수지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단계
제 1단계는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제조단계로써, 그 구성비는 천연오일 중 팜유의 함량이 10중량%~15중량%,PLA함량이 12중량%~15중량%,백운모 65중량%~73중량%이다.[특허등록 제10-0655914호]]
상기 중성계 및 약산성계 무기광물(백운모)을 사용하는 것은, 약산성(PH6)인 PLA수지가 강알칼리계인 Talc, CaCo₃ Tio₂와 같은 무기광물계와의 컴파운딩되면 서로간에 체인구조를 약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제 2단계
제 2단계는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와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와 분산 및 확산을 위한 1차컴파운딩 단계로, 이는 후술될 3단계를 진행하기 이전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의 분산 및 확산성 향상에 큰 영향을 주는 공정이다. 만일 이 공정을 거치지 않게 되면 장섬유 생산시 방사성 저하와 단사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제2단계를 진행하는 조성물 구성비는 제1단계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0.5중량%~2중량%와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 98중량%~99.5중량% 이다.
컴파운딩을 위한 압출조건은 155℃~170℃사이에서 실시한다. 이는 압출온도 조건중 스크류온도 및 다이스 온도가 155℃미만일때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중 Branch화된 PLA수지가 융점이 155℃로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와 가교시 융점 이하로 충분하게 분산이 안될 뿐만 아니라 가교성이 떨어지고 170℃이상 일때는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가 융점이 110℃미만으로 생분해성 수지가 충분하게 분산 및 가교화가 되기전에 열분해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중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의 함량이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총중량%에 0.2중량% 이상이면 배향 연신시 단사현상이 있을 수 있고 0.05%미만이면 PLA수지와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와 상용성 및 가교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중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중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의 함량이 총중량%중 9.8중량% 미만이면 PLA특성이 강하게 나타나 브리틀한 특성이 나타나고, 9.95% 이상이면 PLA수지와 가교화된 수지인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의 특성인 저융점의 특성으로 인해 내열온도가 100℃ 이하가되어 열변형으로인한 작업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 3단계
제 3단계는 PLA수지와 제2단계의 수지를 2차컴파운딩 하는 단계로써, 제2단계에서 컴파운딩된 수지와 PLA수지를 스크류 온도 및 압출다이스 온도를 155℃~170℃사이에서 일반 수지 작업공정과 동일하게 진행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컴파운딩된 수지의 수분함량이 50ppm 미만으로 제습건조 하는 것이다.
수지의 구성비는 PLA수지 90중량%~95중량%와,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 4.8중량%~9.95중량%와 제2단계에서 과정을 통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0.05중량%~0.2중량%의 비율로 실시한다.
상기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는 MI(melt index)가 15g~20g인 수지를 선 택하여 사용한다. 이는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의 MI가 15g미만이면 생분해성 복합수지의 MI(220℃)가 30g미만이 될 수 있고, MI가 20g이상의 수지를 사용하면 생분해성 복합수지의 MI(220℃)가 50g이상이 되어 장섬유 부직포 생산성을 어렵게하고 단사현상을 발생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본 발명중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를 거쳐 개발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가 함유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의 MI range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PLA단일수지나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단일수지로 장섬유 부직포를 생산할때 온도 상승에 따른 MI의 급상승으로 인한 MI변화폭이 심하여 방사에 어려움이 발생되거나 단사현상이 발생된다.
(실험예 1)
A. 온도변화에 따른 각 수지의 MI는 표 1과 같다.
여기서 MI 측정은, 일정온도(PLA, PBS, 복합수지 : 190℃∼230℃), 일정하중(2.16㎏)에서 용융체가 규정된 오리피스(내경2.09mm, 높이 8mm)를 이동하여 10분간 압출되는 수지의 중량(g)을 측정한 값이다.
구분 190℃ 200℃ 210℃ 220℃ 230℃ 비고
PLA 7g전후 10g전후 15g전후 30g전후 65g전후
PBS 8g전후 15g전후 22g전후 33g전후 45g전후
복합수지 6g 12g 20g 32g 39g
B. 온도변화에 따른 각 수지의 MI 변동폭은 표 2와 같다.
Figure 112009064068311-pat00001
(실험예 2)
A. PBS MI에 따른 복합수지의 온도(220℃, 230℃)별 MI변화는 표 3과 같다.
이때, MI 측정은 : 일정온도(PBS : 200℃, 생분해성 복합수지 : 220℃ 및 230℃), 일정하중(2.16㎏)에서 용융체가 규정된 오리피스(내경2.09mm, 높이 8mm)을 이동하여 10분간 압출되는 수지의 중량(g)을 측정한 값이다.
아래의 표 3은, MI가 10g, 15g, 및 30g일때의 PBS와 컴파운딩된 복합수지의 온도(220℃, 230℃)별 MI에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조건 복합수지 220℃일때 MI 230℃일때 MI
PBS MI 10g일때 사용시 19g 28g
PBS MI 15g일때 사용시 32g 45g
PBS MI 30g일때 사용시 48g 72g
상기 실험예1, 실험예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생분해성 장섬유 부직포 방사조건중 220℃근처에서 MI변동폭이 가장 작게 나타나므로 이때의 복합수지 방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단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생분해성 복합수지의 방사온도는 220℃전후에서 MI가 32g 인 것이 우수한 상품성을 나타냈고 실험예1과 같이 230℃일때 PLA의 MI는 65g PBS는 실시예1의 경우 45g 복합수지는 39g으로 나타났으므로 생분해성수지의 단점인 열분해를 방지하고 단사현상을 제어할 수 있었다.
제 4단계
제 4단계는 장섬유 압출 연신단계로써,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를 거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압출 연신하는 것이다. 이때 온도조건은, 열분해가 방지 될 수 있도록 제1번 스크류 200℃부터 다이스온도 220℃까지 설정하는 것이 좋으나 일부 기계조건 및 생산 시스템에 따른 변화는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생분해성 복합수지는 220℃에서의 MI가 30g전후인 것이 좋다. 물론 압출시 스크류압이나, 스크류 구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220℃ 일때와 230℃일때에 MI의 변동폭이 작으면 작을수록 방사성은 우수하고 열분해를 방지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1처럼 온도(220℃∼230℃)에 따른 MI변동폭은 아래와 같다.
구 분 변 동 폭(220℃∼230℃)
PLA 35g
PBS 12g
복합수지 7g
본 발명에 있어 생산조건 중 연신에 따른 온도 조건이 연신비 및 단사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중요한 조건중에 하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다이스를 통과한 생분해성 복합수지의 냉각온도는 수지의 직접온도가 55℃미만이 되어서는 안된다. 이는 생분해성 복합수지는 PLA특성으로 인해 냉각온도에 따라 수지온도가 55℃미만이면 유리전이온도 이하가 되어 배향연신시 단사현상이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다이스를 통과한 수지온도의 직접온도가 90℃~110℃인 것이 좋다. 이는 배향연신시 4배~6배까지 우수한 연신성을 나타낸다. 즉, 수지의 직접 온도가 110℃이상이면 결국 PLA수지의 융점인 155℃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 되므로 그 결과 배향 연신후 결정화 하는데 결정성을 약화시키거나 배향연신시 단사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생분해성 복합수지 장섬유 부직포는 모노 실의 굵기는 1.5데니아~ 3데니아까지 생산이 가능하며, 일반수지와 유사한 방법으로 생산하고, 또 생산속도 및 압출조건에 따라 '㎡당' 15g~200g까지의 부직포 생산이 가능하다.
연신 조건은 수지 직접온도 90℃~110℃사이에서 순간배향 연신으로 4배~6배까지 연신하는 것이 다단연신보다 연신에 따른 단사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다단연신은 PLA수지 특성상 55℃~110℃사이에서 연신이 가능하지만 단계별 배향연신을 할때 일부분이 결정성을 이루고 일부분은 비결정성으로 인해 단사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순간배향 연신결정으로 결정성을 동시에 이루는 것이 작업성 및 물성이 우수하다.
제 5단계
순간배향연신 결정성이 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는 두 개의 압착 포리씽롤을 통과시켜 엠보 및 결정화를 이루게 한다.
본 발명에 결정화 조건은 순간온도 터치 방법에 준하되 기특허(특허등록 제10-0833583호)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즉, 2개의 포리싱롤 또는 엠보싱롤의 온도를 100℃∼110℃로 하고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의 직접온도가 90℃~110℃가 되도록 하여 순간온도 터치 방식으로 0.5초∼0.1초 사이로 구개의 포리싱롤 또는 엠보싱롤을 통과 시켜 결정화한다. 물론, 결정화 온도 조건은 방사속도 및 포리씽롤에 회전속도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나,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의 직접온도가 90℃이하이면 부직포 장섬유가 박리의 우려가 있고 110℃이상이면 결정성이 약화 될 수 있다.
제 6단계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에 후가공시 열선이 직접 닫으면 생분해성 장섬유 부직포가 열선에 녹아 붙을 수 있으므로 실링 열선위에 실리콘과 같이 피복된 간접실링 방법에 의해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에 직접온도가 90℃~110℃사이에 실링한다.
생분해성 복합수지로된 장섬유 부직포는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가 연질성으로 인해 후가공작업이 원활하고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를 상승시켜 준다.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분해성 장섬유부직포를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수치를 일반 비분해성 소제인 PP와 PET 제품의 물성과 비교한 결과 를 표 5에 도시하였다.
TEST ITEM Unit 20 30 50 70 100 note



PP
Unit Weight g/㎡ 20.4 30.5 50.7 70.3 100.9
Tensile
Strength
MD ㎏/5㎝ 3.5 4.8 10.1 13.8 15.2
CD ㎏/5㎝ 1.6 2.7 6.8 9.8 11.3
Elongation MD % 22.1 18.3 29.1 30.5 27.2
CD % 28.3 25.5 35.1 38.5 30.4
tear
strength
MD ㎏.f 0.39 0.52 0.92 1.64 2.61
CD ㎏.f 0.22 0.29 0.58 1.04 1.45
Thickness mm 0.18 0.26 0.38 0.48 0.59



P
E
T
Unit Weight g/㎡ 20.3 30.4 50.7 69.9 100.9
Tensile
Strength
MD ㎏/5㎝ 7.1 10.2 14.6 22.2 30.1
CD ㎏/5㎝ 2.8 4.9 6.8 12.5 17.1
Elongation MD % 18.6 19.5 19.7 17.7 16.5
CD % 17.1 18.0 18.4 17.1 16.3
tear
strength
MD ㎏.f 0.31 0.49 0.86 0.92 1.75
CD ㎏.f 0.13 0.27 0.45 0.57 1.23
Thickness mm 0.08 0.12 0.19 0.2 0.27
생분해성
복합수지
Unit Weight g/㎡ 19.7 29.2 48.8 69.8 99.5
Tensile
Strength
MD ㎏/5㎝ 4.8 6.0 9.7 12.8 15.4
CD ㎏/5㎝ 2.7 3.2 6.0 7.6 8.9
Elongation MD % 29.8 31.0 41.5 42.1 38.9
CD % 31.0 35.0 38.7 39.5 36.7
tear
strength
MD ㎏.f 0.35 0.42 0.48 0.85 0.90
CD ㎏.f 0.16 0.21 0.31 0.39 0.51
Thickness mm 0.10 0.16 0.20 0.24 0.29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본 발명 생분해성 장섬유 부직포는 일반 비분해성 제품과 대등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공정도

Claims (10)

  1. 팜유의 함량 14중량%~15중량%, PLA함량 14중량%~15중량%, 백운모 65중량%~73중량%의 나노복합수지를 제조하는 제1단계;
    제1단계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0.5중량%~2중량%와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 98중량%~99.5중량%를 분산 및 확산을 위한 1차컴파운딩하는 제2단계;
    PLA수지 90중량%~95중량%와, PBS,PBSA,PBA수지중 택일된 수지 4.8중량%~9.95중량%와, 상기 1차컴파운딩한 수지 0.05중량%~0.2중량%를 2차 컴파운딩하는 제3단계;
    제3단계를 거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를 스크류 및 다이스온도를 200℃∼220℃로 설정하여 장섬유 압출연신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 의해 압출연신된 수지를 순간 온도 터치방식에 의한 압착 및 융착과 동시에 결정화하여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를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의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를 후가공하는 제6단계;
    로 구성되는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컴파운딩된 수지와 PLA수지를 스크류온도 및 압출다이스 온도를 155℃~170℃사이에서 일반 수지 작업공정과 동일하게 하되 컴파운딩된 수지의 수분함량은 50ppm 미만으로 제습건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PBS,PBSA,PBA중 택일된 수지중 MI(melt index)가 15~20g인 수지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다이스를 통과한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의 냉각온도는 수지의 직접온도가 55℃∼110℃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의 연신 조건은 수지 직접온도 90℃~110℃사이에서 순간배향 연신으로 4배~6배까지 연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실링 열선위에 실리콘과 같이 피복된 간접실링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며,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의 직접온도가 90℃~110℃에서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99596A 2009-10-20 2009-10-20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KR100992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96A KR100992398B1 (ko) 2009-10-20 2009-10-20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9596A KR100992398B1 (ko) 2009-10-20 2009-10-20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398B1 true KR100992398B1 (ko) 2010-11-05

Family

ID=43409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596A KR100992398B1 (ko) 2009-10-20 2009-10-20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17B1 (ko) 2011-07-19 2013-01-24 김병구 폴리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복합소재를 활용한 하천 블럭형 강화 식생매트 제조방법
KR102138634B1 (ko) * 2020-06-02 2020-07-28 에콜그린텍(주) 발수 특성을 가지는 비말 차단 마스크용 생분해성 pla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2045A (ko) 2019-04-17 2020-10-27 에콜그린텍(주) 이행 효과가 우수한 건식 생분해성 pla 마스크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462A (ja) 1996-07-29 1998-02-17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複合長繊維不織布
KR100655914B1 (ko) 2006-01-27 2006-12-11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조성물
KR100833583B1 (ko) 2008-02-19 2008-05-30 에콜그린 주식회사 친환경 생분해성 시트지 및 그 조성물과 제조방법
KR100847932B1 (ko) 2000-12-28 2008-07-2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6462A (ja) 1996-07-29 1998-02-17 Oji Paper Co Ltd 生分解性複合長繊維不織布
KR100847932B1 (ko) 2000-12-28 2008-07-22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통기성의 생분해 및 퇴비화 가능한 라미네이트
KR100655914B1 (ko) 2006-01-27 2006-12-11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생분해성 나노복합수지 조성물
KR100833583B1 (ko) 2008-02-19 2008-05-30 에콜그린 주식회사 친환경 생분해성 시트지 및 그 조성물과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617B1 (ko) 2011-07-19 2013-01-24 김병구 폴리유산을 포함하는 생분해성 복합소재를 활용한 하천 블럭형 강화 식생매트 제조방법
KR20200122045A (ko) 2019-04-17 2020-10-27 에콜그린텍(주) 이행 효과가 우수한 건식 생분해성 pla 마스크팩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2138634B1 (ko) * 2020-06-02 2020-07-28 에콜그린텍(주) 발수 특성을 가지는 비말 차단 마스크용 생분해성 pla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83281B (zh) 一种pe纺粘无纺布及其制造方法
CN103739962A (zh) 聚烯烃微孔透气膜及其制备方法
CN103724791A (zh) 超高性能塑料薄膜及其制备方法和复合材料
CN110965208B (zh) 一种纺熔法制造聚丙烯无纺布的制备方法及其无纺布产品
KR101884227B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사용한 농업용 직조필름
KR101431765B1 (ko)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
JP6641953B2 (ja) 透湿性積層体
KR100992398B1 (ko)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CN105926079A (zh) 聚丙烯膜裂纤维及制备方法以及由其制备的空气过滤材料
TWI675135B (zh) 複合型纖維及其製造方法
CN104831402A (zh) 一种黑色阻燃涤纶fdy长丝及其生产方法
KR100439560B1 (ko) 고강도 피이 타포린의 제조방법
KR101370501B1 (ko) 푸른색 및 형광색을 갖는 열접착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TWI705164B (zh) 熱塑性聚氨酯纖維及其製作方法
CN102560731A (zh) 一种抗紫外和导湿型涤纶纤维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03749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0456B1 (ko) 고권축성 나일론 6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155454B1 (ko) 고신축성 나일론 6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CN106917158A (zh) 一种高强度聚丙烯纤维及其制造方法
CN108978048A (zh) 低伸长率无纺布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12698B1 (ko) 열융착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단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부직포
KR101690837B1 (ko) 소프트성이 우수하고 보풀 발생이 적은 부직 웹 및 그 제조방법
CN109249663B (zh) 一种防尘复合无纺布及其制备方法
JPH07103490B2 (ja) 複合系熱融着性繊維
KR101097377B1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