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53709B1 - A gunny bag packing device - Google Patents

A gunny bag pack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709B1
KR100953709B1 KR1020100006637A KR20100006637A KR100953709B1 KR 100953709 B1 KR100953709 B1 KR 100953709B1 KR 1020100006637 A KR1020100006637 A KR 1020100006637A KR 20100006637 A KR20100006637 A KR 20100006637A KR 100953709 B1 KR100953709 B1 KR 10095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ck
frame
support
transfer
sto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6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장순
Original Assignee
이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순 filed Critical 이장순
Priority to KR102010000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7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70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roller-ways or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9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vertic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65B51/062Applying adhesive tape to the mouths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7Sewing or sti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B65B59/003Arrangements to enable adjustments related to the packag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이송 컨베이어로 일측에 개방공간이 형성된 마대를 안착한 후, 상기 마대의 개방공간 끝단 여러 곳을 간격과 폭을 두고 위치하는 마대 고정부에 고정한 다음, 개방된 마대의 내부에 작업자가 내용물을 수납한 후, 상기 마대 고정부에 고정된 마대의 끝단을 풀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과, 상기 마대지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의 개방공간을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과, 상기 마대이송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밴딩장치와 전·후 이송대를 이용하여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과, 상기 마대포장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포장처리된 마대를 외부로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대 포장장치를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과, 상기 마대지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의 개방공간을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과, 상기 마대이송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과, 상기 마대포장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으로 구성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마대의 내부로 내용물을 신속하게 수납하고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ck packing device, and after seating the stool having an open space formed on one side by a support transport conveyor, the end of the open space of the stool fixed to the stool fixing parts are located at intervals and widths, and then opened After storing the contents by the operator inside the stool, the stool support means for unwinding and transporting the end of the stool fixed to the stool fixing portion, and the open space of the stool transferred through the stool support means tape, heat adhesive device, Sack transport means for closing and transporting using any one of the sewing machine device, sack packing means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the sack transport means using a banding device and the front and rear transport table, and the sack pack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ck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packaged sack to be delivered through the means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ack support mean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contents inside the sack packing device, and a sack transport means for closing and transporting the open space of the stool transmitted through the sack support means, and the stool transport means It consists of a sack packing means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and a sack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the sack packing means so that the contents can be quickly stored and packaged inside the sack within a short time. While it is effective to discharge quickly to the outside.

Figure R1020100006637
Figure R1020100006637

Description

마대 포장장치{A gunny bag packing device}A gunny bag packing device

본 발명은 마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대 포장장치를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과, 상기 마대지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의 개방공간을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과, 상기 마대이송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과, 상기 마대포장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으로 구성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마대의 내부로 내용물을 신속하게 수납하고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마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g pack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he bag packing device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contents in the inside of the bag, and closing and transporting the open space of the bed delivered through the support means; The contents of the inside of the sack in a short time by consisting of a stool transporting means, a sack packing means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the sack transporting means, and a sack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the sack packing mea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e packing device which can be quickly stored and packaged so that it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사무실에서 마대(자루, 포대, 부대, 포대 등을 포함한 용어)에 내용물을 담아서 포장할 때에는 1명 또는 2명 이상의 작업자가 절개된 마대의 상부를 잡아 내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다른 한 사람이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packing contents by packing the contents of a sack (a term including bag, bag, bag, bag, etc.) in a factory or office, one or two or more workers grab the upper part of the cut stool and open the other one. The person will put the contents inside the stool.

즉, 종래에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담고자 할 경우에는 마대를 들고 있는 사람과 상기 마대에 내용물을 수납하는 사람 등이 2인 1조로 이루어져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if you want to put the contents in the inside of the rod in the prior art, the person holding the stool and the person holding the contents in the pod consists of a pair of two people to work on the excessive manpower and time there was.

그리고 상기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한 후에는 개방된 마대의 상부를 한 사람이 밀착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이 테이프, 재봉틀, 열 접착장치 등을 통해 고정하게 됨으로써 인력과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And after storing the contents in the inside of the rod, the other person is fixed by the tape, sewing machine, heat adhesive device, etc. in the state that one pers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open rod excessively takes manpower and time There was this.

이와 같이 마대의 내부에 물건을 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내용물을 마대의 내부에 수납하는 사람과, 마대의 개방된 상단을 잡는 사람과, 내용물이 수납된 마대를 이동하기 위한 여러 사람 등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wrap an object in a stool, there is a need for a person to store the contents in the stool, a person who grabs the open top of the stool, and several people to move the sack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there was.

또한, 단시간 내에 많은 물량을 포장하거나 부피가 있는 물건을 포장해야 하는 긴급한 경우에는 더 많은 인력이 일시에 투입되어야 함으로써 작업시간과 경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there is an urgent need to pack a large quantity of goods or package bulky items within a short time,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work time and expenses are increased because more manpower must be put at a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마대 포장장치를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과, 상기 마대지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의 개방공간을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과, 상기 마대이송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과, 상기 마대포장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으로 구성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마대의 내부로 내용물을 신속하게 수납하고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ack support mean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contents of the sack packaging device and the inside of the sack, and closing and transporting the open space of the stool transferred through the sack support means It consists of a stool transfer means, a sack packaging means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stool delivered through the sack transfer means, and a stool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tool delivered through the sack packaging means into the inside of the sack within a short time The purpose is to allow the contents to be quickly stored and packaged and to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마대에 내용물의 수납시 마대의 상부 여러 부분을 고정지지하면서 상부를 개방하여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contents can be quickly and easily stored in the interior of the stool by opening the upper portion while h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ol when the contents of the sack is fixed.

또한, 마대의 폭과 크기에 따라 마대 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마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d according to the width and size of the rod, the purpose is to be able to use for all rods regardless of siz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대 포장장치에 있어서 지지이송 컨베이어로 일측에 개방공간이 형성된 마대를 안착한 후, 상기 마대의 개방공간 끝단 여러 곳을 간격과 폭을 두고 위치하는 마대 고정부에 고정한 다음, 개방된 마대의 내부에 작업자가 내용물을 수납한 후, 상기 마대 고정부에 고정된 마대의 끝단을 풀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과, 상기 마대지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의 개방공간을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과, 상기 마대이송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밴딩장치와 전·후 이송대를 이용하여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과, 상기 마대포장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포장처리된 마대를 외부로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sack packing device seating the stool having an open space formed on one side by a support transport conveyor, the end of the open space of the stool is fixed to the stool fixing portion located at intervals and widths Next, after the worker receives the contents inside the open stool, the stool support means for releasing and transporting the end of the stool fixed to the stool fixing portion, and the open space of the stool transmitted through the stool support means, Sack transport means for closing and transporting using any one of a thermal bonding device, a sewing machine device, a sack packing means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the sack transport means using a banding device and a front and rear transport tabl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ck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packaged sack delivered through the sack packaging means to the outside It shall be.

본 발명에 따르면, 마대 포장장치를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과, 상기 마대지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의 개방공간을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과, 상기 마대이송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과, 상기 마대포장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를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으로 구성하여 짧은 시간 내에 마대의 내부로 내용물을 신속하게 수납하고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ack support mean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contents inside the sack packing device, and a sack transport means for closing and transporting the open space of the stool transmitted through the sack support means, and the stool transport means It consists of a sack packing means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and a sack discharge means for discharging the sack delivered through the sack packing means so that the contents can be quickly stored and packaged inside the sack within a short time. While it is effective to discharge quickly to the outside.

또한, 마대에 내용물의 수납시 마대의 상부 여러 부분을 고정지지하면서 상부를 개방하여 마대의 내부에 내용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ntents can be quickly and easily stored in the inside of the stool by opening the upper portion while hol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ol when the contents of the sack is fixed.

또한, 마대의 폭과 크기에 따라 마대 고정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마대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d according to the width and size of the ro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for all rods regardless of siz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대 포장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 및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대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마대지지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대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마대이송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대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마대이송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대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마대포장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및 평면도.
도 9 및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대 포장장치를 구성하는 마대배출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1 is a side view showing a pa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means for constituting the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carriage transport means constituting the sack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ack transport means constituting the sack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bag packing means constituting the bag pac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the sack discharge means constituting the sack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마대 포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packaging bag packaging device as follows.

본 발명인 마대 포장장치(10)는 마대(60)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20)과,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의 개방공간을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30)과,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를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40)과, 상기 마대포장수단(4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를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50) 등으로 구성된다. The inventors packaging device 10 is closed the open space of the support means 20 for receiving and transporting the contents in the inside of the sack 60 and the sack 60 that is transmitted through the sack support means 20 And the sack transport means 30 for transport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packing means 40 for wrapping and transporting the stool 60 delivered through the sack transport means 30 and the sack packing means 40. It consists of a stem discharge means 50 for discharging the stem 60.

그리고 마대(60)의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20)은 지지틀(21)과, 상기 지지틀(21)에 장착되는 지면고정장치(22)와, 상기 지지틀(2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간 수직프레임(23)과,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수단 이송부(24)와,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장착되는 상부 수직프레임(25)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5)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가이드 조절부(26)와, 상기 지지가이드 조절부(26)의 외측에는 장착되는 마대 고정부(27) 등으로 구성된다.And the stem support means 20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the contents in the interior of the stem 60 is a support frame 21, a ground fixing device 22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21, and the support frame 21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23, which is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upper side), the support means conveying unit 24 mounted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23, and the upper both sides of the middle vertical frame 23, respectively The upper vertical frame 25, the support guide adjusting portion 26 to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25, the fixed guide 27 to b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guide adjusting portion 26, etc. It consists of.

즉,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은 이송부(24)를 구성하는 지지이송 컨베이어에 안착되는 개방공간이 구비된 마대(60)의 상부 끝단 여러 곳을 폭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마대 고정부(27)에 고정한 후, 개방된 마대(60)의 내부에 작업자가 내용물을 수납한 다음, 상기 마대 고정부(27)에 고정된 마대(60)의 상부 끝단을 풀고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at is, the stem support means 20 is a stem fixed portion 27 positioned at a width and a space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pigot 60 is provided with an open space seated on the support transport conveyor constituting the transfer portion 24 After fixing to), the operator receives the contents inside the open sack 60, and then serves to unwind and transport the upper end of the stool 60 fixed to the stool fixing portion 27.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대지지수단(20)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지지틀(21)은 하부 끝단에 바퀴(212)가 장착된 수직프레임(21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213)들과, 상기 수평프레임(213)들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면서 수직프레임(2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보강프레임(214)들로 구성된다. Looking at the support means 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support frame 2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211 and the vertical frame 211, the wheel 212 is mounted on the lower end, Horizontal frames 213 and horizontal reinforcement frame 214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213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211 is connected to.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지지틀(2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213)을 연결결합하여 사각형 형상의 틀을 형성한 후, 상기 수평프레임(213)들로 이루어진 틀의 하부에 이동과 위치 조절을 위한 바퀴(212)가 장착된 수직프레임(211)을 장착한 다음, 상기 지지틀(21)의 강도보강과 타 구성품의 장착을 위해 수평보강프레임(214)들을 더 장착한 것이다. To further explain this, the support frame 2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21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he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consisting of the horizontal frames 213 After mounting the vertical frame 211 equipped with the wheels 212 for movement and position adjustment, and further mounting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214 for the strength of the support frame 21 and the mounting of other components will be.

상기 지지틀(21)에 장착되는 지면고정장치(22)는 본체(221)와, 상기 본체(221)의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수평보강프레임(214)들에 결합되는 상부 로드(222)와, 상기 본체(221)의 하부에 장착되어 본체(221)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223)나 높낮이 조절봉의 작동시 상·하 작동하고 끝단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지지판(225)이 결합되는 하부 로드(224)들로 구성된다. The ground fixing device 22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21 includes a main body 221, an upper rod 222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21,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s 214. The lower rod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21 and is operated up and down during operation of the cylinder 223 or the height adjusting rod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221, and a horizontal support plate 225 mounted on the ground is coupled to the end thereof. It is composed of 224.

즉, 상기 지면고정장치(22)는 상·하 작동하는 실린더(223)와 넓은 수평면적을 가지는 수평지지판(225)을 이용하여 마대지지수단(20)을 지면에 고정지지하면서 동시에 수평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ground fixing device 22 supports the support means 20 on the ground by using a horizontal support plate 225 having a wide horizontal area and a cylinder 223 which operates up and down, and at the same time plays a horizontal role. Will be.

상기 지지틀(2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간 수직프레임(23)은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금속판의 상·하를 내측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다.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23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support frame 21 is formed by bend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etal plate having the thickness and the height toward the inside.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수단 이송부(24)는 상기 수평보강프레임(214)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지구동모터(241)와 상기 지지구동모터(2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지지이송 컨베이어(242)로 구성된다. The support means transfer unit 24 mounted in the middle vertical frame 23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support driving motor 241 and the support driving motor 241 mounted 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214. It consists of a support conveying conveyor 242 which is operative and has fixing means by hydraulic, pneumatic or motor.

즉, 상기 이송부(24)는 지지구동모터(2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마대(60)가 안착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지지이송 컨베이어(242)를 작동시켜 마대(60)를 마대이송수단(3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transfer part 24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support drive motor 241, the seat 60 is seated and operates the support transport conveyor 242 having a fixing means by oil, pneumatic or motor, the seat 60 ) Will be delivered to the carriage transport means (30).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 수직프레임(25)은 수평으로 상·하에 각각 장착되는 사각 파이프(251)와 상기 사각 파이프(251)를 감싸면서 상·하부 끝단이 외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고정패널(252)로 구성된다. The upper vertical frame 25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middle vertical frame 23 has a square pipe 251 and horizontal end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iddle vertical frame 23,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outside. It consists of a fixed panel 252 is bent toward.

즉, 상기 고정패널(252)의 상, 하부에 사각 파이프(251)가 각각 장착되어 상부 수직프레임(25)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quare pipes 251 are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ing panel 252 to form the upper vertical frame 25.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5)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지지가이드 조절부(26)는 상부 수직프레임(25)을 구성하는 사각 파이프(251)의 외측면에는 장착되고 외면으로 레일(262)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가이드(261)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261)에 각각 장착되고 상·하작동하는 수직가이드(263)와, 상기 수직가이드(263)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외면에는 가이드 레일(265)이 형성되는 수평조절가이드(264)로 구성된다. The support guide adjusting part 26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25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quare pipe 251 constituting the upper vertical frame 25 and the rail 26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 height adjusting guide 261 and a vertical guide 263 mounted on the height adjusting guide 261 and operating up and down, respectively, and a horizontally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guide 263, and a guide rail on an outer surface thereof. 265 is formed of a horizontal adjustment guide 264 is formed.

이때, 상기 지지가이드 조절부(26)는 상부 수직프레임(25)에 다수 개가 장착되되 그 위치는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5)의 동일선상에 대칭장착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support guide adjusting portion 26 is mounted to the plurality of upper vertical frame 25, the position is to be symmetrically mounted on the same lin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25).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가이드(261)에는 "ㄴ"자 형상의 이송브라켓(282)과 상기 이송브라켓(282)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실린더(281), 모터, 수동식 이송장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상·하 높이조절부(28)들이 장착될 수 있다. And the height adjustment guide 261 is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b" shaped transfer bracket 282 and the adjustment cylinder 281 for moving the transfer bracket 282 up and down, a motor, a manual transfer device Up and down height adjustment unit 28 may be mounted.

즉, 상기 상·하 높이조절부(28)는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조절실린더(281)가 동시에 작동되어 이송브라켓(282)을 상·하조절함으로써 상기 이송브라켓(282)과 연결되는 마대 고정부(27)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upper and lower height adjusting unit 28 is a fixed cylinder connected to the transfer bracket 282 by operating the adjustment cylinder 281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t the same time to adjust the transfer bracket 282 up and down The height of 27 can be adjusted.

상기 지지가이드 조절부(26)의 외측에 장착되는 마대 고정부(27)는 다단 절곡형성되는 금속브라켓(271)과, 상기 금속브라켓(271)의 하부 내측에 장착되는 레일(272)과, 상기 금속브라켓(271)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는 클램프(273) 및 실린더(274)로 구성된다. The stopper fixing part 27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guide adjusting part 26 includes a metal bracket 271 which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 rail 272 mount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etal bracket 271, and It consists of a clamp 273 and a cylinder 274 mounted at the upper end of the metal bracket 271.

즉, 다단 절곡형성된 금속브라켓(271)의 하부 내측에 상기 수평조절가이드(264)의 가이드 레일(265)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작동하는 레일(272)을 장착하고 상부 끝단에는 상기 마대(60)를 고정하는 클램프(273) 및 실린더(274)를 각각 장착한 것이다. That is, a rail 272 that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265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guide 264 and slides is mounted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ulti-stage bent metal bracket 271, and the stem 60 is fixed to the upper end. The clamp 273 and the cylinder 274 are mounted respectively.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의 개방공간을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30)은 지지틀(31)과, 상기 지지틀(31)에 장착되는 지면고정장치(32)와, 상기 지지틀(3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간 수직프레임(33)과,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수단 이송부(34)와,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33)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장착되는 상부 수직프레임(35)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35)의 외측에는 장착되는 거취대(36) 등으로 구성된다.The stem transport means 30 for closing and transferring the open space of the stem 60 transmitted through the stem support means 20 includes a support frame 31 and a ground fixing device mounted to the support frame 31 ( 32, an intermediate vertical frame 33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support frame 31, a support means transfer unit 34 mounted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33, and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 33, the upper vertical frame 35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the mounting frame 36, etc. ar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35.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대이송수단(30)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지지틀(31)은 하부 끝단에 바퀴(312)가 장착된 수직프레임(31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3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313)들과, 상기 수평프레임(313)들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면서 수직프레임(3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보강프레임(314)들로 구성된다. Looking in detail with the transfer means 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31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311 and the vertical frame 311, the wheel 312 is mounted on the lower end, Horizontal frames 313 and horizontal reinforcement frame 314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313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311 is coupled.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지지틀(3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수평프레임(313)을 연결결합하여 사각형 형상의 틀을 형성한 후, 상기 수평프레임(313)들로 이루어진 틀의 하부에 이동과 위치 조절을 위한 바퀴(312)가 장착된 수직프레임(311)을 장착한 다음, 상기 지지틀(31)의 강도보강과 타 구성품의 장착을 위해 수평보강프레임(314)들을 더 장착한 것이다. To further explain this, the support frame 3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31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rectangular frame, then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consisting of the horizontal frames 313 After mounting the vertical frame 311 is equipped with wheels 312 for movement and position adjustment to the horizontal frame, and further mounting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frame 314 for the strength of the support frame 31 and the mounting of other components will be.

상기 지지틀(31)에 장착되는 지면고정장치(32)는 본체(321)와, 상기 본체(321)의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수평보강프레임(314)들에 결합되는 상부 로드(322)와, 상기 본체(321)의 하부에 장착되어 본체(321)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323)나 높낮이 조절봉의 작동시 상·하 작동하고 끝단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지지판(325)이 결합되는 하부 로드(324)들로 구성된다. The ground fixing device 32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31 includes a main body 321, an upper rod 322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321,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s 314. The lower rod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321 and is operated up and down when the cylinder 323 or the height adjusting rod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321 is operated,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25 is mounted on the end thereof. 324.

즉, 상기 지면고정장치(32)는 상·하 작동하는 실린더(323)와 넓은 수평면적을 가지는 수평지지판(325)을 이용하여 마대이송수단(30)을 지면에 고정지지하면서 동시에 수평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ground fixing device 32 is to support the fulcrum transfer means 30 to the ground by using the cylinder 323 to operate up and down and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25 having a large horizontal area to play a horizontal role at the same time. Will be.

상기 지지틀(3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간 수직프레임(33)은 두께와 높이를 가지는 금속판의 상·하를 내측을 향해 절곡하여 형성된다.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33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support frame 31 is formed by bend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metal plate having a thickness and a height toward the inside.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 장착되는 지지수단 이송부(34)는 상기 수평보강프레임(314)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지구동모터(341)와 상기 지지구동모터(3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지지이송 컨베이어(342)로 구성된다. The support means transfer unit 34 mounted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33 receives a driving force from the support driving motor 341 and the support driving motor 341 mounted 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314. It consists of a working feed conveyor 342.

즉, 상기 이송부(34)는 지지구동모터(3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마대(60)가 안착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지지이송 컨베이어(342)를 작동시켜 마대(60)를 마대포장수단(4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transfer part 34 receives the driving force from the support drive motor 341, the seat 60 is seated, and operates the support transport conveyor 342 provided with a fixing means by oil, pneumatic or motor seat 60 (60). ) Will be delivered to the packing means 40.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33)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상부 수직프레임(35)은 수평으로 상·하에 각각 장착되는 사각 파이프(351)와 상기 사각 파이프(351)를 감싸면서 상·하부 끝단이 외측을 향해 절곡형성되는 고정패널(352)로 구성된다. The upper vertical frame 35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middle vertical frame 33 has a square pipe 351 and the square pipe 351, respectively, mounted horizontal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outside. It consists of a fixed panel 352 that is bent toward.

즉, 상기 고정패널(352)의 상, 하부에 사각 파이프(351)가 각각 장착되어 상부 수직프레임(35)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square pipes 351 are mounted on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xed panel 352 to form an upper vertical frame 35.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35)의 외측에 장착되는 거취대(36)는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내용물이 수납된 마대(60)의 개방공간을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Mounting stand 36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35 is any one of the tape, heat adhesive device, sewing machine device for the open space of the stem 60, the contents received through the support means 20 is received It is to be used to close and transfer using one.

여기서, 상기 거취대(36)는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가이드 레일(3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Here, the holder 36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horizontal guide rail 37 mounted horizontally.

그리고 도시된 도 6은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은 이송틀(31a)과, 상기 이송틀(31a)의 상부에 장착되는 이송부(32a)와, 상기 이송틀(31a)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이송측판(33a)으로 구성된다. 6 is show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carriage transfer means 30, the carriage transfer means 30 is a transfer frame (31a) and the transfer portion 32a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frame (31a) ) And a transfer side plate 33a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transfer frame 31a,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이송틀(31a)은 높이를 가지는 수직프레임(311a)들과 길이를 가지며 상기 수직프레임(311a)들에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312a)들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transfer frame 31a includes vertical frames 311a having a height and horizontal frames 312a having a length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s 311a.

또한, 상기 이송틀(31a)의 상부에 장착되는 이송부(32a)는 다수개의 롤러나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되,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부(32a)는 다수개의 롤러들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veying part 32a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veying frame 31a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llers or conveying conveyor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ing part 32a is described with an exampl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llers. do.

그리고 상기 이송틀(31a)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이송측판(33a)은 이송되는 마대(60)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일측에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 등을 거취할 수 있는 거취대(331a)가 장착된다. And the transport side plate (33a)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both sides of the transfer frame (31a) is a macro stand 331a that can take the tape, heat adhesive device, sewing machine device, etc. on one side while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stage 60 ) Is mounted.

즉,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은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내용물이 수납된 마대(60)의 개방공간을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stem conveying means 30 closes and transfers the open space of the stem 60 containing the contents delivered through the stem supporting means 20 by using any one of a tape, a thermal adhesive apparatus, and a sewing machine apparatus. It is to play a role.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를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40)은 마대(60)를 밴딩끈으로 포장하는 밴딩장치(41)와 상기 마대(60)를 이송시키는 전·후 이송대(42)로 구성된다. Sack packing means 40 for wrapp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60 delivered through the sack transfer means 30 is a banding device 41 for wrapping the sack 60 with a banding band and transfer the sack 60 It is composed of a front and rear transfer table 42.

여기서, 상기 밴딩장치(41)는 마감처리된 마대(60)를 밴딩끈이 감기는 귄취부(411)와, 상기 귄취부(411)에 감긴 밴딩끈을 전달공급하는 공급부(412)와, 상기 공급부(412)에 통해 전달되는 밴딩끈을 이용하여 마대(60)를 포장하는 작업대(413)로 구성된다. Here, the banding device 41 is a gusset portion 411, the banding cord is wound around the finished sack 60, the supply unit 412 for delivering and supplying the banding cord wound around the gusset portion 411, and Consists of a workbench 413 for wrapping the sack 60 by using a banding string transmitted through the supply unit 412.

그리고 상기 밴딩장치(41)의 전·후에 각각 장착되는 전·후 이송대(42)는 이송본체(421)와, 상기 이송본체(421)의 상부에 전·후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422)와, 상기 이송본체(421)의 하부에 장착되는 이송바퀴(423) 및 이송지지대(424)들로 구성된다.And the front and rear transfer table 42, which is mount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evice 41, respectively, the transfer body 421, and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respectively mounted before and after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421 ( 422 and a transfer wheel 423 and a transfer support 424 mounted below the transfer body 421.

상기 마대포장수단(4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를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50)은 하부 배출틀(51)과, 상기 하부 배출틀(51)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배출틀(52)과, 상기 하부 배출틀(51)과 상부 배출틀(52)에 연결결합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승강 리프트(53)와, 상기 상부 배출틀(52)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부(54)로 구성된다. The stool discharge means 50 for discharging the stool 60 delivered through the sack packing means 40 has a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an upper discharge frame 52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a lift lift 53 connected to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and having a fixing means by oil, pneumatic or motor, and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It is composed of a discharge portion 54 is located.

그리고 상기 하부 배출틀(51)은 다수개의 프레임(51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하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바(512)들이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평가이드 봉(514)이 구비된 하부배출슬라이드 부(513)가 장착된다. And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511, the lower height adjustment bar 512 is mounted on the bottom, the lower side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guide rod 514 The discharge slide unit 513 is mounted.

또한, 상기 상부 배출틀(52)은 다수개의 프레임(52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출틀(51)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수평가이드 봉(523)이 구비된 상부배출슬라이드 부(522)가 장착된다. In addition,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is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frames 52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upper discharge slide unit having a horizontal guide rod 523 therein ( 522 is mounted.

상기 하부 배출틀(51)과 상부 배출틀(52)에 연결결합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승강 리프트(53)는 일측이 하부 배출틀(51)의 내측에 위치하고 반대 측이 상부 배출틀(52)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 1 리프트(531)와, 일측이 하부 배출틀(51)의 외측에 위치하고 반대 측이 상부 배출틀(52)의 내측에 장착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제 2 리프트(532)와, 상기 제 1 리프트(531)와 제 2 리프트(532)의 중심을 연결결합하는 고정축(533)과, 일측이 상기 제 1 리프트(531)에 반대 측이 제 2 리프트(532)에 결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승 하강 실린더(534)로 구성된다. The lifting lift 53,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and has a fixing means by oil, pneumatic or motor, has one side located inside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opposite side. The first lift 531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one side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opposite side is mounted inside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and A second lift 532 having a fixing means by a motor, a fixed shaft 533 for coupling the center of the first lift 531 and the second lift 532, and one side of the first lift ( Opposite side to 531 is composed of a lifting lowering cylinder 534 coupled to the second lift 532 and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즉, 상기 승강 리프트(53)는 마대(60)가 배출되는 높이에 따라 상기 상부배출슬라이드 부(52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That is, the lifting lift 53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upper discharge slide portion 522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stem 60 is discharged.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마대(60)가 배출되는 상부배출슬라이드 부(522)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제 1 리프트(531) 및 제 2 리프트(532)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수평가이드 봉(514, 523)을 따라 슬라이드 작동하여 하부배출슬라이드 부(513, 522)의 외곽 끝단에 위치하게 되고, 반면 상기 마대(60)가 배출되는 상부배출슬라이드 부(522)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제 1 리프트(531) 및 제 2 리프트(532)의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승·하강 실린더(534)의 작동에 따라 상기 수평가이드 봉(514, 523)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부배출슬라이드 부(522)를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To further explain this,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discharge slide portion 522 from which the spigot 60 is discharged is low, portion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lift 531 and the second lift 532 are horizontal guide rods. 514 and 523 are slide-operated to be positioned at the outer ends of the lower discharge slide sections 513 and 522, while the height of the upper discharge slide section 522 from which the stem 60 is discharged is high. The upper discharge slide portion is moved by moving the portions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irst lift 531 and the second lift 532 inward along the horizontal guide rods 514 and 523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 534. 522 is raised to the top.

그리고 상기 상부 배출틀(52)의 상부에 위치하는 배출부(54)는 다수개의 롤러나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배출부(54)로 구성되되, 여기서 상기 배출부(54)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541)와, 상기 모터(5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 컨베이어(542)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And the discharge portion 54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is composed of a discharge portion 54 consisting of a discharge conveyor having a plurality of rollers or fixed means by a hydraulic, pneumatic or motor, where The discharge part 54 is an example consisting of a motor 541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the discharge conveyor 542 is operated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motor 541 and has a fixing means by the hydraulic, pneumatic or motor Let's explain with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대 포장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bale packag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마대(60)를 개방하면서 고정하는 마대지지수단(20)을 설치하되,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구성된다. First, while installing the support means 20 for fixing while opening the stem 60, the support means 20 is configur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하부 끝단에 바퀴(212)가 장착된 수직프레임(21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213)들과, 상기 수평프레임(213)들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면서 수직프레임(2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보강프레임(214)들로 이루어진 지지틀(21)이 구성한 후 상기 지지틀(21)에 본체(221)와, 상기 본체(221)의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수평보강프레임(214)들에 결합되는 상부 로드(222)와, 상기 본체(221)의 하부에 장착되어 본체(221)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223)나 높낮이 조절봉의 작동시 상·하 작동하고 끝단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지지판(225)이 결합되는 하부 로드(224)들로 구성되는 지면고정장치(22)를 장착한다. Vertical frames 211 on which wheels 212 are mounted at the lower ends, horizontal frames 213 connected and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s 211, and spaced below the horizontal frames 213. While the support frame 21 is composed of a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214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211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1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21 on the support frame 21 When the upper rod 222 is formed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214 and the cylinder 223 or the height-adjusting rod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221 and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221, The bottom is mounted and the ground fixing device 22 is composed of a lower rod 224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225 is seated on the ground.

그리고 상기 지지틀(21)의 상부 양측에 중간 수직프레임(23)이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내부에 상기 수평보강프레임(214)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지구동모터(2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고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지지이송 컨베이어(242)로 구성되는 지지수단 이송부(24)를 장착한 다음,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 수직프레임(25)을 각각 장착한다. And after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23 is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support frame 21, respectively, the support driving motor 241 mounted on the upper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214 in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23 And a support means conveying part 24 composed of a support conveying conveyor 242 which is oper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and is provided with hydraulic, pneumatic or motor fixing means, and then the upper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23. The upper vertical frame 25 is mounted resp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5)의 외측면에는 외면으로 레일(262)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가이드(261)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261)에 각각 장착되어 상·하작동하는 수직가이드(263)와, 상기 수직가이드(263)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외면에는 가이드 레일(265)이 형성되는 수평조절가이드(264)로 구성되는 지지가이드 조절부(26)를 두 개 이상장착한 후 상기 지지가이드 조절부(26)의 외측에는 다단 절곡형성된 금속브라켓(271)의 하부 내측에 상기 수평조절가이드(264)의 가이드 레일(265)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레일(272)과, 상기 금속브라켓(271)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어 마대(60)를 고정하는 클램프(273) 및 실린더(274)로 이루어진 마대 고정부(27)를 장착하면 마대지지수단(2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Next, the outer sid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25, the height adjusting guide 261, which is formed with a rail 262 to the outer surface, and the vertical guide which is mounted on the height adjusting guide 261, respectively, to operate up and down ( 263 and two or more support guide adjusters 26 mounted horizont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guide 263 and having horizontal guides 264 on which the guide rails 265 are formed. After the support guide adjusting part 26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265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guide 264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metal bracket (271) is formed in a multi-stage bending rail (sli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272, and a clamp 273 for mounting the upper end of the metal bracket 271 to fix the stem 60 and a stem fixing portion 27 formed of a cylinder 274, Assembly is complete.

이때, 상기 높이조절가이드(261)에는 "ㄴ"자 형상의 이송브라켓(282)과 상기 이송브라켓(282)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실린더(281), 모터, 수동식 이송장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상·하 높이조절부(28)가 장착된다. At this time, the height adjustment guide 261 is composed of any one selected from the "b" shaped transfer bracket 282 and the adjustment cylinder 281 for moving the transfer bracket 282 up and down, a motor, a manual transfer device. Up and down height adjustment unit 28 is mounted.

다음으로,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의 일측으로 수직프레임(31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311)들에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312)들로 이루어진 이송틀(31)과, 상기 이송틀(31)의 상부에 장착되는 롤러들 또는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이송부(32)와, 상기 이송틀(31)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취대(331)가 구비되는 이송측판(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마대이송수단(30)을 장착한다.Next, a transfer frame 31 made of vertical frames 311 and horizontal frames 312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s 311 to one side of the support means 20, and the transfer frame ( 31, a conveying part 32 composed of rollers mounted on the upper part or a conveying conveyor having fixing means by hydraulic / pneumatic or motor, an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conveying frame 31, respectively, Equipped with a transfer means 30 made of a transfer side plate 33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tand 331 so as to mount the device, a sewing machine device.

그리고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의 일측으로 마감처리된 마대(60)를 밴딩끈이 감기는 귄취부(411)와, 상기 귄취부(411)에 감긴 밴딩끈을 전달공급하는 공급부(412)와, 상기 공급부(412)에 통해 전달되는 밴딩끈을 이용하여 마대(60)를 포장하는 작업대(413)로 구성된 밴딩장치(41)와, 상기 밴딩장치(41)의 전·후에 각각 장착되고 상부에 이송롤러(421)들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이송바퀴(422)들과 이송지지대(423)들이 구비되는 전·후 이송대(42)를 이용하여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40)을 장착한다. And the gusset portion 411, the banding winding wound around the sack 60, the finishing treatment to one side of the sack transfer means 30, and the supply unit 412 for delivering and supplying the banding cord wound around the gusset 411 And a banding device 41 including a worktable 413 for wrapping the bed 60 using a banding string transmitted through the supply part 412, and mount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nding device 41, respectively. The feed rollers 421 are provided and the lower packing means 40 for packing and conveying using the front and rear transfer trays 42 provided with transfer wheels 422 and transfer supports 423 are mounted thereon.

다음으로 상기 마대포장수단(40)의 일측으로 포장처리된 마대(60)를 외부로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60)을 장착하면 마대 포장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Next, when the sack discharging means 60 for discharging the sack 60 packaged to the outside of the sack packing means 40 is mounted, the assembly of the sack packing device 10 is completed.

이때, 상기 마대배출수단(60)은 다수개의 프레임(51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하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바(512)들이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평가이드 봉(514)이 구비된 하부배출슬라이드 부(513)가 장착되는 하부 배출틀(51)과, 다수개의 프레임(52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출틀(51)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수평가이드 봉(523)이 구비된 상부배출슬라이드 부(522)가 장착되는 상부 배출틀(52)와, 일측이 하부 배출틀(51)의 내측에 위치하고 반대 측이 상부 배출틀(52)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 1 리프트(531)와, 일측이 하부 배출틀(51)의 외측에 위치하고 반대 측이 상부 배출틀(52)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 2 리프트(532)와, 상기 제 1 리프트(531)와 제 2 리프트(532)의 중심을 연결결합하는 고정축(533)과, 일측이 상기 제 1 리프트(531)에 반대 측이 제 2 리프트(532)에 결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승 하강 실린더(534)로 이루어진 승강 리프트(53)와, 상기 상부 배출틀(52)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롤러나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배출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배출부(54)으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stem discharge means 60 is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frames 511, the height adjustment bar 512 is mounted on the bottom is adjustable, the horizontal guide rod 514 is provided inside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on which the lower discharge slide part 513 is mounted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521 to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a horizontal guide rod 523 is disposed therein.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to which the upper discharge slide unit 522 is provided, and a first lift on which one side is located inside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opposite side is moun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531, a second lift 532 on which one side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an opposite side is mounted inside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and the first lift 531 and the second lift. A fixed shaft 533 for connecting and coupling the center of the (532), and one side is opposite to the first lift (531) An elevating lift 53 comprising an elevating cylinder 534 coupled to the second lift 532 and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and positioned above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to a plurality of rollers, oil, pneumatic or motors. It consists of a discharge part 54 consisting of a discharge conveyor having a fixing means.

여기서, 상기 마대 포장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order of assembling the packaging device reveals that it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마대 포장장치(10)를 이용하여 마대(60)를 포장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In the case as described above to pack the sack 60 using the sack packaging device 10 as follows.

먼저, 상부가 개방된 마대(60)를 마대지지수단(20)의 지지이송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한 후 상기 마대(60)의 상부 끝단 여러 곳을 간격과 폭을 두고 위치하는 마대 고정부(27)에 고정한다. First, the stool fixing part 27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stool 60, the top of the stool support means 20, and then placed at various intervals and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tool 60. Secure in.

이때, 상기 마대(60)는 실린더(274)의 작동에 따라 연동작동하는 클램프(273)의 조작을 통해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tem 60 is fix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mp (273) that works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74.

그리고 개방된 마대(60)의 내부에 작업자가 내용물을 수납한 후 상기 마대 고정부(27)에 고정된 마대(60)의 상부 끝단을 풀고 이송시킨다. 즉, 상기 마대(60)의 상부 끝단을 고정하고 있는 클램프(273)가 실린더(274)의 작동에 따라 후퇴하면서 마대(60)의 상부 끝단을 놓게 되는 것이다. Then, after the operator receives the contents inside the open sack 60, the upper end of the sack 60 fixed to the stool fixing part 27 is unwound and transferred. That is, the clamp 273 holding the upper end of the spigot 60 retreat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274 to place the upper end of the spigot 60.

다음으로 내용물이 수납된 마대(60)를 이송부(24)의 지지이송 컨베이어(242)를 이용하여 마대이송수단(30)으로 이송시킨 후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의 거취대(36)에 안착되어 있는 재봉틀장치를 이용하여 개방된 마대(60)의 상부를 폐쇄한 다음, 상기 마대포장수단(40)으로 이송시킨다.Next, the sack 60 containing the contents is transferred to the sack transfer means 30 using the support transfer conveyor 242 of the transfer part 24, and then seated on the mounting base 36 of the stool transfer means 30. The upper portion of the open sack 60 is closed by using the sewing machine, which is then transferred to the sack packing means 40.

그리고 상기 마대포장수단(40)에 이송된 마대(60)는 밴딩장치(41)와 전·후 이송대(42)를 거쳐 포장된 후 상기 마대배출수단(50)으로 이송된다. And the sack 60 transferred to the sack packing means 40 is packaged through the banding device 41 and the front and rear transfer table 42 and then transferred to the stool discharge means 50.

즉, 상기 마대(60)는 전·후 이송대(42)에 장착되는 이송롤러(422)들을 통해 밴딩장치(41)의 작업대(413)에 전달되어 포장을 마친 후 전·후 이송대(42)의 이송롤러(422)를 통해 상기 마대배출수단(50)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That is, the rod 60 is transferred to the work bench 413 of the bending device 41 through the feed rollers 422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conveyance table 42, and then finish the packaging before and after 42 It is to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means (50) through the feed roller 422 of the).

다음으로 상기 마대배출수단(50)에 전달된 마대(60)는 유·공압 또는 모터에 의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승강 리프트(53)의 작동에 따라 높낮이 조절되는 배출부(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Next, the stool 60 transmitted to the stool discharge means 50 is mov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54, the height of whic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lift 53 having a fixing means by oil, pneumatic or motor. It is discharge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마대 포장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according to a specific shape and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10 : 마대 포장장치, 20 : 마대지지수단,
21 : 지지틀, 22 : 지면고정장치,
23 : 중간 수직프레임, 24 : 지지수단 이송부,
25 : 상부 수직프레임, 26 : 지지가이드 조절부,
27 : 마대 고정부, 30 : 마대이송수단,
31 : 지지틀, 32 : 지면고정장치,
33 : 중간 수직프레임, 34 : 지지수단 이송부,
35 : 상부 수직프레임, 36 : 거취대,
40 : 마대포장수단, 41 : 밴딩장치,
42 : 전·후 이송대, 50 : 마대배출수단,
51 : 하부 배출틀, 52 : 상부 배출틀,
53 : 승강 리프트, 54 : 배출부,
60 : 마대.
10: sack packing device, 20: sack support means,
21: support frame, 22: ground fixing device,
23: middle vertical frame, 24: support means transfer portion,
25: upper vertical frame, 26: support guide adjustment unit,
27: stool fixing portion, 30: stool transport means,
31: support frame, 32: ground fixing device,
33: middle vertical frame, 34: support means transfer portion,
35: upper vertical frame, 36: macro stand,
40: bag packing means, 41: banding device,
42: before and after transfer table, 50: sack discharge means,
51: lower discharge frame, 52: upper discharge frame,
53: lift lift, 54: discharge section,
60: hemp.

Claims (7)

마대 포장장치(10)에 있어서,
지지이송 컨베이어로 일측에 개방공간이 형성된 마대(60)를 안착한 후, 상기 마대(60)의 개방공간 끝단 여러 곳을 간격과 폭을 두고 위치하는 마대 고정부에 고정한 다음, 개방된 마대(60)의 내부에 작업자가 내용물을 수납한 후, 상기 마대 고정부에 고정된 마대(60)의 끝단을 풀고 이송시키는 마대지지수단(20)과,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의 개방공간을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폐쇄하고 이송시키는 마대이송수단(30)과,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을 통해 전달되는 마대(60)를 밴딩장치(41)와 전·후 이송대(42)를 이용하여 포장하고 이송시키는 마대포장수단(40)과,
상기 마대포장수단(40)을 거쳐 전달되는 포장처리된 마대(60)를 외부로 배출하는 마대배출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포장장치.
In the bale packing apparatus 10,
After seating the spigot 60 having an open space formed on one side by a support transfer conveyor, the end of the open space of the spigot 60 is fixed to the fulcrum fixed to be positioned at intervals and width, and then open spigot 60 After receiving the contents of the inside of the worker in the stool support means 20 for releasing and transporting the end of the stool 60 fixed to the stool fixing portion,
The carriage transfer means 30 for closing and transporting the open space of the carriage 60 transmitted through the carriage support means 20 using any one of a tape, a heat bonding device, and a sewing machine device;
Sack packing means 40 for packing and transporting the sack 60 transmitted through the sack transfer means 30 using the banding device 41 and the front and rear transfer table 42,
Sack pa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ack discharge means 50 for discharging the packaged sack 60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ack packaging means (4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대지지수단(20)은,
하부 끝단에 바퀴(212)가 장착된 수직프레임(21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2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213)들과, 상기 수평프레임(213)들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면서 수직프레임(2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보강프레임(214)들로 이루어진 지지틀(21)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틀(21)에는 본체(221)와, 상기 본체(221)의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수평보강프레임(214)들에 결합되는 상부 로드(222)와, 상기 본체(221)의 하부에 장착되어 본체(221)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223)나 높낮이 조절봉의 작동시 상·하 작동하고 끝단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지지판(225)이 결합되는 하부 로드(224)들로 구성되는 지면고정장치(22)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틀(21)의 상부 양측에는 중간 수직프레임(23)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보강프레임(214)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지구동모터(2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지지이송 컨베이어(242)로 구성되는 지지수단 이송부(24)가 장착되며,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23)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 수직프레임(25)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25)의 외측면에는 외면으로 레일(262)이 형성되는 높이조절가이드(261)와, 상기 높이조절가이드(261)에 각각 장착되어 상·하작동하는 수직가이드(263)와, 상기 수직가이드(263)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고 외면에는 가이드 레일(265)이 형성되는 수평조절가이드(264)로 구성되는 지지가이드 조절부(26)가 두 개 이상 장착되며,
상기 지지가이드 조절부(26)의 외측에는 다단 절곡형성된 금속브라켓(271)의 하부 내측에 상기 수평조절가이드(264)의 가이드 레일(265)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하는 레일(272)과, 상기 금속브라켓(271)의 상부 끝단에 장착되어 마대(60)를 고정하는 클램프(273) 및 실린더(274)로 이루어진 마대 고정부(27)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포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means 20,
Vertical frames 211 on which wheels 212 are mounted at the lower ends, horizontal frames 213 connected and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s 211, and spaced below the horizontal frames 213. While the support frame 21 is composed of a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214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211,
The support frame 21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221, an upper rod 222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221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s 214, and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21. Ground fixed by consisting of the lower rod 224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225 is mounted up and down during operation of the cylinder 223 or the height adjustment ro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21 is mounted on the end Device 22 is mounted,
Intermediate vertical frames 23 are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support frame 21, respectively.
The support means conveying part 24 is composed of a support conveying conveyor 242 which is oper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support driving motor 241 mounted on the upper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214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23. Is fitted,
Upper vertical frames 25 are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middle vertical frame 23, respective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25, a height adjusting guide 261, which is formed with a rail 262 to the outer surface, and a vertical guide 263 mounted on the height adjusting guide 261, respectively, to operate up and down; At least two support guide adjusting units 26 ar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guide 263 and the horizontal guide 264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rail 265.
A rail 272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rail 265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guide 264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etal bracket 271 which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guide adjusting unit 26 and slides forward and backward. And, it is mounted to the upper end of the metal bracket (27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 273 for fixing the stem 60 and the stem fixing portion 27 consisting of a cylinder 274 is mounted Hemp packing devi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가이드(261)에는 "ㄴ"자 형상의 이송브라켓(282)과 상기 이송브라켓(282)을 상·하 이동시키는 조절실린더(281), 모터, 수동식 이송장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상·하 높이조절부(28)가 장착되어 마대 고정부(27)의 높낮이를 조절하되,
상기 마대 고정부(27)의 높낮이 조절은 조절실린더(281), 모터, 수동식 이송장치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동일선상에 각각 장착되면서 동시에 작동되어 이송브라켓(282)의 승·하강 시킴으로써 높낮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포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height adjustment guide 261 includes an image formed of any one selected from a “b” shaped transfer bracket 282 and an adjustment cylinder 281 for moving the transfer bracket 282 up and down, a motor, and a manual transfer device. Lower height adjusting part (28) is moun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tem fixing part (27),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stem fixed portion 27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while the one selected from the control cylinder 281, the motor, the manual transfer device is mounted on the same line, respectively,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transfer bracket 282. Sack pack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은,
하부 끝단에 바퀴(312)가 장착된 수직프레임(311)들과, 상기 수직프레임(3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313)들과, 상기 수평프레임(313)들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면서 수직프레임(311)들과 연결결합되는 수평보강프레임(314)들로 이루어진 지지틀(31)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틀(31)에는 본체(321)와, 상기 본체(321)의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수평보강프레임(314)들에 결합되는 상부 로드(322)와, 상기 본체(321)의 하부에 장착되어 본체(321)의 내부에 장착되는 실린더(323)나 높낮이 조절봉의 작동시 상·하 작동하고 끝단에는 지면에 안착되는 수평지지판(325)이 결합되는 하부 로드(324)들로 구성되는 지면고정장치(32)가 장착되며,
상기 지지틀(31)의 상부 양측에는 중간 수직프레임(33)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33)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보강프레임(314)들의 상부에 장착되는 지지구동모터(341)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지지이송 컨베이어(342)로 구성되는 지지수단 이송부(34)가 장착되며,
상기 중간 수직프레임(33)의 상부 양측에는 상부 수직프레임(35)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35)의 외측에는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취대(36)가 장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rriage transport means 30,
Vertical frames 311 equipped with wheels 312 at the lower ends, horizontal frames 313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s 311,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s of the horizontal frames 313. While supporting frame 31 is composed of a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314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311,
The support frame 31 is mounted to the main body 321, the upper rod 322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21 and coupled to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31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321 Ground fixed by consisting of the lower rod 324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325 is mounted up and down at the end of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323 or the height adjustment rod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21 is mounted on the end Device 32 is mounted,
Intermediate vertical frames 33 are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support frame 31, respectively.
The support means conveying part 34 is composed of a support conveying conveyor 342 which is oper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from the support driving motor 341 mounted on the horizontal reinforcing frame 314 inside the intermediate vertical frame 33. Is fitted,
Upper vertical frames 35 are mounted on both upper sides of the middle vertical frame 33, respectively.
The outside of the upper vertical frame 35, hemp pa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table 36 is mounted to mount the tape, heat adhesive device, sewing machin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대이송수단(30)은,
수직프레임(311a)들과 상기 수직프레임(311a)들에 연결결합되는 수평프레임(312a)들로 이루어진 이송틀(31a)과,
상기 이송틀(31a)의 상부에 장착되는 롤러들 또는 벨트에 의한 이송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이송부(32a)와,
상기 이송틀(31a)의 상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테이프, 열 접착장치, 재봉틀장치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취대(331a)가 구비되는 이송측판(3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포장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rriage transport means 30,
A transfer frame 31a consisting of vertical frames 311a and horizontal frames 312a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s 311a,
A conveying unit 32a composed of a conveying conveyor by rollers or belt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veying frame 31a,
The pa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fer side plate (33a) which is mounted on each of the upper sides of the transfer frame (31a) and provided with a mounting table (331a) to mount the tape, heat adhesive device, sewing machine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대포장수단(40)을 구성하는 밴딩장치(41)는 밴딩끈이 감기는 귄취부(411)와, 상기 귄취부(411)에 감긴 밴딩끈을 전달공급하는 공급부(412)와, 상기 공급부(412)에 통해 전달되는 밴딩끈을 이용하여 마대(60)를 포장하는 작업대(413)로 구성되고,
상기 밴딩장치(41)의 전·후에 각각 장착되는 전·후 이송대(42)는 이송본체(421)와, 상기 이송본체(421)의 상부에 전·후에 각각 장착되는 다수개의 이송롤러(422)와, 상기 이송본체(421)의 하부에 장착되는 이송바퀴(423) 및 이송지지대(424)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포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nding device 41 constituting the sack packing means 40 has a guiding section 411 to which a banding band is wound, a supply section 412 for delivering and supplying a banding cord wound around the guiding section 411, and the supply section. Consists of a workbench 413 for wrapping the sack 60 using a banding strap that is passed through 412,
The front and rear transfer trays 42, which are mounted before and after the bending device 41, respectively, have a transfer body 421 and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422 mounted before and after the transfer body 421, respectively. ), And a pack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nsfer wheel 423 and a transfer support 424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body (4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대배출수단(50)은,
다수개의 프레임(51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고, 하부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바(512)들이 장착되며, 내부에는 수평가이드 봉(514)이 구비된 하부배출슬라이드 부(513)가 장착되는 하부 배출틀(51)과,
다수개의 프레임(521)을 연결결합하여 형성되어 상기 하부 배출틀(51)의 상부에 장착되고 내부에는 수평가이드 봉(523)이 구비된 상부배출슬라이드 부(522)가 장착되는 상부 배출틀(52)와,
일측이 하부 배출틀(51)의 내측에 위치하고 반대 측이 상부 배출틀(52)의 외측에 장착되는 제 1 리프트(531)와, 일측이 하부 배출틀(51)의 외측에 위치하고 반대 측이 상부 배출틀(52)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 2 리프트(532)와, 상기 제 1 리프트(531)와 제 2 리프트(532)의 중심을 연결결합하는 고정축(533)과, 일측이 상기 제 1 리프트(531)에 반대 측이 제 2 리프트(532)에 결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승 하강 실린더(534)로 이루어진 승강 리프트(53)와,
상기 상부 배출틀(52)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롤러나 배출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배출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대 포장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outlet means 50,
It is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frames 511, the lower height adjustment bar 512 is mounted on the bottom, the lower discharge slide unit 513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guide rod 514 therein Lower discharge frame 51,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s 521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upper discharge slide unit 522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guide rod 523 therein. )Wow,
The first lift 531, one side is located inside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opposite side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and one side is located outside the lower discharge frame 51, and the opposite side is upper A second lift 532 mounted inside the discharge frame 52, a fixed shaft 533 for coupling the centers of the first lift 531 and the second lift 532, and one side of the first lift 532; A lift lift 53 composed of a lift cylinder 534 coupled to the second lift 532 opposite to the lift 531 and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Sack pack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portion 54 located on the upper discharge frame 52 a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llers or discharge conveyors.
KR1020100006637A 2010-01-25 2010-01-25 A gunny bag packing device Expired - Fee Related KR1009537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37A KR100953709B1 (en) 2010-01-25 2010-01-25 A gunny bag pac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37A KR100953709B1 (en) 2010-01-25 2010-01-25 A gunny bag pack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709B1 true KR100953709B1 (en) 2010-04-19

Family

ID=4222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6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3709B1 (en) 2010-01-25 2010-01-25 A gunny bag pa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709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21B1 (en) * 2013-12-16 2014-07-15 이래용 Vinyl bag packing apparatus using air inhalation way
KR101667371B1 (en) 2016-04-12 2016-10-18 진동수 Packing bag automatic packing apparatus with continuous weight measuring function of ice
CN112373834A (en) * 2020-10-16 2021-02-19 无锡市箱博士包装材料有限公司 Logistics carton intelligent packaging system
KR20210023574A (en) 2019-08-23 2021-03-04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Burlap bag automatic packing machine
KR102246150B1 (en) * 2020-03-02 2021-04-29 신라포장기계(주) Pack packing machine
KR20220151816A (en) * 2021-05-07 2022-11-15 김미애 Processing equipment for pipe material
KR102520508B1 (en) 2022-12-27 2023-04-10 양기현 A gunny bag packing device
KR102693984B1 (en) 2024-02-29 2024-08-09 (주)빅타이거 The packaging device for gunny and paper packag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522A (en) * 1996-08-13 1998-05-25 오상수 Vehicle generator
KR0182730B1 (en) * 1996-07-19 1999-04-15 김광호 Box packing apparatus and packing method
JP2001149908A (en) 1999-11-25 2001-06-05 Kubota Corp Wrapping apparatus of refuse or the like
KR100865949B1 (en) 2007-03-09 2008-10-30 박정식 Bag pack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730B1 (en) * 1996-07-19 1999-04-15 김광호 Box packing apparatus and packing method
KR19980014522A (en) * 1996-08-13 1998-05-25 오상수 Vehicle generator
JP2001149908A (en) 1999-11-25 2001-06-05 Kubota Corp Wrapping apparatus of refuse or the like
KR100865949B1 (en) 2007-03-09 2008-10-30 박정식 Bag packing machin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521B1 (en) * 2013-12-16 2014-07-15 이래용 Vinyl bag packing apparatus using air inhalation way
KR101667371B1 (en) 2016-04-12 2016-10-18 진동수 Packing bag automatic packing apparatus with continuous weight measuring function of ice
KR20210023574A (en) 2019-08-23 2021-03-04 (재)대구기계부품연구원 Burlap bag automatic packing machine
KR102246150B1 (en) * 2020-03-02 2021-04-29 신라포장기계(주) Pack packing machine
CN112373834A (en) * 2020-10-16 2021-02-19 无锡市箱博士包装材料有限公司 Logistics carton intelligent packaging system
KR20220151816A (en) * 2021-05-07 2022-11-15 김미애 Processing equipment for pipe material
KR102647072B1 (en) 2021-05-07 2024-03-14 김미애 Processing equipment for pipe material
KR102520508B1 (en) 2022-12-27 2023-04-10 양기현 A gunny bag packing device
KR102693984B1 (en) 2024-02-29 2024-08-09 (주)빅타이거 The packaging device for gunny and paper packag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709B1 (en) A gunny bag packing device
EP2910475B1 (en) Wrapping machine for covering palletized loads
JPH0542913A (en) Packing apparatus
CN110466818B (en) Tubular product bagging system
CN110077639B (en) Automatic coil packaging device and method
ITBO20080696A1 (en)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A TABLE WITH A RESPECTIVE LOADING
CN210592591U (en) Pipe bagging system
KR102131782B1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container of cargo
CN205675308U (en) Pipeline packed automatically by a kind of door-plate
US20150210409A1 (en) Double stacker system and method
CN110077654B (en) Device and method for sleeving inner bag of coil
ITMO20070106A1 (en) APPARATUS FOR PLACING A COVER SHEET ON THE SUMMARY OF A PRODUCT
KR20090101586A (en) Roadmaster
CN210417169U (en) Bag opening mechanism for gypsum line bagging
CN116812285A (en) Vertical and horizontal collinear packing method and vertical and horizontal collinear packing line
CN212290516U (en) A rapid packaging device for toys
KR102360149B1 (en) Transfer and lift device for sling cutting
ITMI20121689A1 (en) PACKAGING PACKING MACHINE PERFECTED, WITH AUTOMATIC CHANGE OF COILS.
CN210592781U (en) Detecting, stacking, bundling and conveying all-in-one machine for objects
CN207985270U (en) Small dimension aluminium coil packing device
CN114408293A (en) Closing device is used to rice packing
CN209064452U (en) A kind of paper wrapping mechanism of printing product baling press
JPH09295611A (en) Device and method for packing long items
CN109941506B (en) Wire rod coiled corrugated paper protective layer winding device and method
JP2813874B2 (en) Ban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