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50991B1 -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0991B1
KR100950991B1 KR1020090077059A KR20090077059A KR100950991B1 KR 100950991 B1 KR100950991 B1 KR 100950991B1 KR 1020090077059 A KR1020090077059 A KR 1020090077059A KR 20090077059 A KR20090077059 A KR 20090077059A KR 100950991 B1 KR100950991 B1 KR 10095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ge
flange
hoistway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화
Original Assignee
대성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0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빔과,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는 제 1롤러와, 상기 승강로를 상, 하 이동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로프를 포함하는 권상기와, 상부에는 제 2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가 연결되는 균형추를 포함하되,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의 단부는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 로프는 상기 제 1롤러와 상기 제 2롤러에 걸려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판 및 후판과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권상기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권상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어, 승강로 벽에 권상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승강로 벽을 뚫지 않아도 되고, 승강로 벽에 앵커 시공을 하지 않아도 되고, 가이드레일을 경량의 가이드레일로 대체 가능하여,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엘리베이터 설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체대 역할을 하는 하우징에 권상기를 설치하여 설치 과정을 간소화하고 자재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으며, 혹 늘어날 수도 있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권상기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Traction machine structure for an elevator and Cage Assembly}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09-28731호에 대한 개량발명이다.
한국특허출원 제10-2009-28731호는 2009.06.19일에 발송된 의견제출통지서에서 청구항 1내지 3의 특허성을 인정받았다.
본 발명은 한국특허출원 제10-2009-28731호에서 특허성을 인정받은 구성에 대한 개량발명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빔과, 상기 빔에 볼트로 고정설치되는 제 1롤러와, 상기 승강로를 상, 하 이동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로프를 포함하는 권상기와, 상부에는 제 2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가 연결되는 균형추를 포함하되,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의 단부는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 로프는 상기 제 1롤러와 상기 제 2롤러에 걸려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판 및 후판과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 함하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권상기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권상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 또는 사무실용 고층건물 등을 건축할 때, 건축물에는 필연적으로 상하 운송수단인 엘리베이터가 설치되고 엘리베이터가 상하 운행하는 승강로가 시공되는데, 이러한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건물의 각 층에는 상기 승강로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로(20)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Cage)(24)와, 균형추(26)가 있고 상기 케이지(24)를 움직이는 권상기(32)에 권취되는 로프(34)와, 케이지(24)나 평형추(26)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설치되는 한편, 케이지(24)와 제어반을 연결하는 제어케이블, 케이지(24)의 위치를 표시하는 인디게이터류 등이 설치되고, 또한 승강로(20) 각층 개구부(22)에는 도어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로 구조는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 제공여부에 따라 그 구조가 각각 상이하게 되는데, 이를 도 1a 내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일반적으로 기계실이 구비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은 승강로 구조 즉, 기계실(30)이 승강로(20)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종래에 많이 설치되는 대표적인 구조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승강로 상부에 기계실(30)을 별도로 설치하고, 그 기계실(30)에 권상기(32), 제어반, 조속기 등을 설치하는 구조는 기계실(30) 설치에 따른 건축비 상승 및 일조권, 고도제한, 건물 옥상의 효과적 이용과 건축물 시공시, 항상 기계실을 고려해야 하므로 공간적인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승강로의 상부에 권상기 등이 설치되는 별도의 기계실을 구성하지 않고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로상부에 권상기(32)가 승강로 벽에 설치되고, 지지빔(36)에 로프(Rope)를 매달게 됨에 따라 승강로 상부에 별도의 기계실이 요구되지 않는 엘리베이터를 MRL(Machine Room Less Elevator,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이라 하며, 이러한 MRL이 확산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기존의 로프식 및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공간점유를 비교시, 건물내 최상부 또는 승강로 근처에 축조한 기계실 내부에 설치했던 권상기(유압식인 경우는 파워 유닛트), 제어반, 조속기 등의 기계를 승강로 내부에 시공하여 별도의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특히 엘리베이터 부속기기를 일체화 및 소형화하여 엘리베이터 기계실의 기계실 장비를 승강로 내에 설치함으로써 기계실을 시공할 필요가 없어 건물 내 공간을 최대 활용할 수 있어, 획기적인 건물효용도를 도모할 수 있다.
(2) 기존의 로프식 및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필요했던 기계실과 관련된 건축, 설비공사가 불필요하므로, 공사기간 단축과 비용절감뿐만 아니라 건축공사시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3) 고효율 영구자석식 동기전동기방식을 채택한 기어리스 권상기를 사용하여 전동기 용량을 최소화하여 엘리베이터용의 전력설비와 전력소모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4) 기계실이 없으므로, 건축물 높이 측면에서 제약이 적어 건물 외관의 디자인을 다양화할 수 있다.
특히 고도제한 등 각종 법규면에서 활용도가 클 뿐만 아니라, 도시의 디자인 측면에서도 시대조류에 부합된다.
권상기(Traction Machine)의 설치구조에 따라, 종래기술의 MRL(Machine Room Less Elevator,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 있다.
1. 승강로 상부 또는 하부의 승강로 벽에 권상기를 설치하는 구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승강로 벽에 구멍을 내어서 권상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권상기에 부담되는 하중이 건축물에 직접 전달되어, 건축물의 구조에 악영향을 준다.
2) 엘리베이터 설치시 벽에 구멍을 뚫고 앵커 시공을 하여야 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가 어렵고, 설치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3) 승강로 상부 또는 하부에 권상기를 설치하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엘리베이터 설치기간이 길어진다.
4) 엘리베이터의 작동시, 케이지(또는 카(Car))를 승강로 내부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승강로 벽을 따라 건축물에 전달됨으로써, 소음과 진동에 따른 입주민의 피해가 불가피하다.
2. 또 다른 방법은 별도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위에 권상기를 설치하는 구조가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1) 권상기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서 승강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별도의 가이드 레일을 승강로에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2) 권상기의 하중을 가이드 레일로 지탱하여야 하므로, 가이드 레일의 변형이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
3) 따라서, 권상기를 설치함으로 인해서 가이드 레일은 튼튼한 것을 사용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재료비와 추가 설치비가 발생한다.
4) 엘리베이터의 기동시, 권상기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가이드 레일을 통해 건축물에 전달됨에 따른 입주민들에게 소음과 진동 피해가 불가피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강로 벽에 권상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승강로 벽을 뚫지 않아도 되고, 가이드레일을 경량의 가이드레일로 대체 가능하여,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엘리베이터 설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체대 역할을 하는 하우징에 권상기를 설치하여 혹 늘어날수도 있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는,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빔과,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는 제 1롤러와, 상기 승강로를 상, 하 이동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로프를 포함하는 권상기와, 상부에는 제 2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가 연결되는 균형추를 포함하되,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의 단부는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 로프는 상기 제 1롤러와 상기 제 2롤러에 걸려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판 및 후판과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권상기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권상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빔과,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는 제 1롤러와, 상기 승강로를 상, 하 이동하는 케이지와,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상기 로프를 포함하는 권상기와, 상부에는 제 2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가 연결되는 균형추를 포함하되,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의 단부는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 로프는 상기 제 1롤러와 상기 제 2롤러에 걸려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판 및 후판과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권상기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권상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 승강로 벽에 권상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승강로 벽을 뚫지 않아도 되고, 가이드레일을 경량의 가이드레일로 대체 가능하여, 엘리베이터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엘리베이터 설치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체대 역할을 하는 하우징에 권상기를 설치하여 혹시 늘어날수도 있는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는, 승강로(20)와, 상기 승강로의 내벽(21)에 고정설치되는 빔(30)과, 상기 빔(30)에 고정설치되는 제 1롤러(35)와, 상기 승강로(20)를 상, 하 이동하는 케이지(45)와, 상기 케이지(45)의 상부외측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50)과, 상기 케이지(45)를 상,하 이동시키는 로프(75)를 포함하는 권상기(70)와, 상부에는 제 2롤러(85)가 구비되며 상기 권상기(70)의 상기 로프(75)가 연결되는 균형추(80)를 포함하되, 상기 권상기(70)의 상기 로프(75)의 단부는 상기 빔(3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70)의 로프(75)는 상기 제 1롤러(35)와 상기 제 2롤러(85)에 걸려있으며, 상기 하우징(50)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판(51) 및 후판(52)과 상기 전판(51) 및 상기 후판(5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53)을 포함하며, 상기 전판(51)과 상기 후판(5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권상기(70)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권상기(70)는 상기 하우징(50)에 고정설치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구성에 대해 도 3과 도 4를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케이지(45)는 승객 또는 화물이 탑승하는 역할을 하며, 카(Car)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46)에는 후술할 하우징(50)이 고정결합된다.
승강로(20)는 승객 또는 화물이 탑승하는 케이지(45)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승강로(20)에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25)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25)은 상기 케이지(45)와 후술할 균형추(80)가 승강기 출입구(미도시)와 평면적 위치를 갖도록 하며, 비상정지장치가 작동할 경우 반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승강로(20)에 일직선상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궤도이다.
상기 승강로의 내벽(21)에는 빔(30)이 구비되며, 상기 빔(30)은 상기 승강로 공간의 상측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로의 내벽(21)에 상기 빔(30)을 고정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승강로(20)의 상호 마주보는 승강로의 내벽(21)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빔의 단부(30a, 30b)를 각각 위치시킨다.
상기 빔의 단부(30a, 30b)를 상기 승강로(20)의 벽에 구멍을 내어 설치하고, 로프소켓(40)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로의 내벽(21)에 고정시킨다.
상기 빔(30)에는 제 1롤러(35)가 구비되며, 상기 제 1롤러(35)는 상기 빔(30), 바람직하게는 상기 빔의 상부(31)에 볼트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 1롤러(35)에는 후술할 권상기(70)의 로프(75)가 걸리며, 상기 로프(75)가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제 1롤러(35)는 상기 빔(30)에서 고정설치된 위치에서 회전을 한다.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46)에는 하우징(50)이 고정결합되며, 상기 하우징(50)의 역할은 후술할 권상기(70)를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46)에 설치할 수 있도록 체대 역할을 한다.
이러한 하우징(50)은 양단부가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46)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하우징(50)과 상기 케이지(45)의 결합시,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측면에서 볼트로 고정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0)에 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권상기(70)는 권상기의 메인시브(76)와 상기 메인시브(76)에 권취된 로프(75)를 포함하며, 상기 권상기(70)는 상기 케이지(45)가 상기 승강로(20)에서 상,하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권상기(70)의 로프(75)가 상기 승강로(20)에 고정설치된 빔(30)에 설치되는 구조 및 상기 권상기(70)가 상기 하우징(50)에 고정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권상기의 로프(75)가 상기 승강로(20)에 고정설치된 빔(30)에 설치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권상기(70)에는 로프(75)가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권상기의 메인시브(76)에 상기 로프(75)가 권취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권상기의 메인시브(76)에 권취된 상기 로프의 일단부(75a)는 상기 승강로(20)에 고정설치된 상기 빔(30)에 로프소켓(40)로 고정설치된다.
이와 같이, 일단부(75a)가 상기 빔(30)에 고정설치된 상기 권상기의 로프(75)는 상기 빔의 상부(31)에 볼트로 고정설치되는 상기 제 1롤러(35)에 걸린다.
상기 제 1롤러(35)와 연결된 상기 권상기 로프(75)는 상기 균형추(80)의 상부에 형성된 제 2롤러(85)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균형추의 제 2롤러(85)에 연결된 상기 로프의 타단부(75b)는 상기 빔(30)에 로프소켓(40)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권상기(70)의 외주면에는 플랜지(71)가 형성된다.
플랜지(71)에는 복수개의 홀(hole)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홀을 통해 권상기(70)가 하우징(50)에 볼트로 고정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46)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5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50)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판(51) 및 후판(52)과 상기 전판(51) 및 상기 후판(52)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53)을 포함한다.
상기 전판(51)과 상기 후판(5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권상기(70)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판(51)과 후판(52)에 모두 관통공이 형성된다.
나아가, 전판(51)과 후판(52)에는 관통공이 하나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공으로 인해, 메인시브(76)와 로프(75) 사이에 슬립이 발생할 경우 상기 관통공에 추가적으로 롤러를 설치하여 마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판(51)에는 상기 관통공 주위에 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다.
전판(51)과 후판(52)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상기 전판(51)과 후판(52)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웹(Web:5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는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끝단에는 하부 및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59)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0)은 전판(51)과 후판(52)의 양단 및 케이지(45)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빔(65, 66)을 통해 케이지(45)의 상부외측(4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권상기(70)가 설치되는 하우징(50)이 케이지(45)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권상기(70)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 등이 케이지(45)에 바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빔(65,66)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상기 수직빔(65, 66)은 제1 플랜지와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빔(65, 66)의 제1플랜지 및 제2플랜지와 전판(51)과 후판(52)의 웹(57)의 양단에는 홀이 형성되어 수직빔(65, 66)과 전판(51) 및 후판(52)은 볼팅체결된다.
또한, 전판(51) 및 후판(52)의 상부 양측에는 상판(53)이 각각 설치된다.
전판(51) 및 후판(52)의 상부 플랜지와 상판(53)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전판(51) 및 후판(52)과 상판(53)은 볼팅체결된다.
이하에서는 권상기(70)가 하우징(50)에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권상기(70)의 플랜지(71)가 전판(51)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하고, 권상기의 메인시브(76)가 전판(51)과 후판(52)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며, 권상기(70)의 후방에 형성된 돌출부가 후판(52)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권상기(70)를 전판(51)의 관통공에 삽입한다.
이어서, 플랜지(71)와 전판(51)에 형성된 홀을 통해 권상기(70)과 전판(51)을 볼팅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권상기의 메인시브(76)에 로프(75)가 걸린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조립체(1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승강로(20)를 상,하 이동하는 케이지(45)와,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46)에 고정결합하는 하우징(50)과, 상기 하우징(50)에 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권상기(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지 조립체(10)는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46)에 하우 징(50)이 고정결합된다.
상기 하우징(50)에는 상기 케이지(45)를 상기 승강로(20)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기(70)가 설치되며, 특히 상기 하우징(50)과 상기 권상기는 볼트로 고정설치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보수측면에서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가 기존에 설치되지 않은 건물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도 1a와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계실 있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개략 사시도와 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개략 사시도와 단면도.
도 3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개략도.
도 4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사시도.
도 5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부분 확대사시도.
도 6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정면도.
도 7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엘리베이터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지 조립체 20 : 승강로
21 : 승강로의 내벽 25 : 가이드 레일
30 : 빔 30a,30b : 빔의 단부
31 : 빔의 상부 35 : 제 1롤러
40 : 로프소켓
45 : 케이지 46 : 케이지의 상부외측
50 : 프레임 65,66 : 수직빔
70 : 권상기 75 : 로프
75a, 75b : 로프의 단부 76 : 권상기의 메인시브
80 : 균형추 85 : 제 2롤러

Claims (1)

  1. 승강로;
    상기 승강로의 내벽에 고정설치되는 빔;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는 제 1롤러;
    상기 승강로를 상, 하 이동하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케이지를 상,하 이동시키는 로프를 포함하는 권상기;
    상부에는 제 2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가 연결되는 균형추를 포함하되, 상기 권상기의 상기 로프의 단부는 상기 빔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권상기 로프는 상기 제 1롤러와 상기 제 2롤러에 걸려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전판 및 후판과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권상기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권상기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권상기의 외주면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복수개의 홀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권상기가 상기 하우징에 볼트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은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의 끝단에는 하부 및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의 양단 및 상기 케이지의 양측에 설치되는 수직빔을 통해 상기 케이지의 상부외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직빔은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상기 수직빔은 제1 플랜지와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웹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빔의 상기 제1플랜지 및 상기 제2플랜지와 상기 전판과 상기 후판의 웹의 양단에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빔과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은 볼팅체결되며,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의 상부 플랜지와 상기 상판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전판 및 상기 후판과 상기 상판은 볼팅체결되는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KR1020090077059A 2009-08-20 2009-08-20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KR10095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059A KR100950991B1 (ko) 2009-08-20 2009-08-20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059A KR100950991B1 (ko) 2009-08-20 2009-08-20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0991B1 true KR100950991B1 (ko) 2010-04-02

Family

ID=4221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059A KR100950991B1 (ko) 2009-08-20 2009-08-20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09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7745A (zh) * 2015-09-17 2015-12-30 苏州润吉驱动技术有限公司 一种交替式节能电梯曳引机
KR20190050630A (ko) * 2017-11-03 2019-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선박
KR102204157B1 (ko)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자체 구동식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
CN114135106A (zh) * 2021-12-09 2022-03-04 上海原数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一体化绿色建筑体系
CN114634079A (zh) * 2022-02-28 2022-06-17 浙江埃克森电梯有限公司 一种超薄型无机房乘客电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1020A1 (en) 1995-09-21 1997-03-27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WO2002010048A2 (de) * 2000-07-29 2002-02-07 Alpha Getriebebau Gmbh Aufzugskabine mit einer in diese integrierten treibscheiben-antriebsmaschine
KR20050116317A (ko) * 2004-06-07 2005-12-1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688362B1 (ko) * 2005-11-23 2007-03-02 한진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1020A1 (en) 1995-09-21 1997-03-27 Kone Oy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WO2002010048A2 (de) * 2000-07-29 2002-02-07 Alpha Getriebebau Gmbh Aufzugskabine mit einer in diese integrierten treibscheiben-antriebsmaschine
KR20050116317A (ko) * 2004-06-07 2005-12-12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0688362B1 (ko) * 2005-11-23 2007-03-02 한진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의 구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7745A (zh) * 2015-09-17 2015-12-30 苏州润吉驱动技术有限公司 一种交替式节能电梯曳引机
KR20190050630A (ko) * 2017-11-03 2019-05-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선박
KR101984908B1 (ko) * 2017-11-03 2019-05-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장치를 갖는 선박
KR102204157B1 (ko) * 2020-07-27 2021-01-18 주식회사 송산특수엘리베이터 자체 구동식 4방향 출입구 관통형 엘리베이터
CN114135106A (zh) * 2021-12-09 2022-03-04 上海原数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装配一体化绿色建筑体系
CN114634079A (zh) * 2022-02-28 2022-06-17 浙江埃克森电梯有限公司 一种超薄型无机房乘客电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0618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CA2385569C (en) Rope elevator
KR100950991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JP2000034072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据付装置
KR20080039285A (ko) 승강로에서 두 개의 승강실이 상하로 위치하는 승강기
KR100941955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CN102363486A (zh) 一种下置式无机房电梯
CN107555289B (zh) 无机房电梯的改装方法及无机房电梯
CN202321877U (zh) 一种下置式无机房电梯
JP2001063935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020139619A1 (en) Hoistwayless elevator system
KR100964722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KR101998869B1 (ko) 기계실이 없는 고하중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23274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CN212799229U (zh) 一种载货电梯的曳引系统
CN101774502A (zh) 一种可节省空间的家用电梯
JP2000086126A (ja) トラクションエレベーター
KR20100110704A (ko)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와 케이지 조립체
CN102887415B (zh) 电梯
WO2013170439A1 (en) Elevator system
JP4195063B2 (ja) エレベーター
JP566566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335255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工法及びエレベーターの据付用ユニット
JP2000226169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