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955772B1 -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772B1
KR100955772B1 KR1020030040394A KR20030040394A KR100955772B1 KR 100955772 B1 KR100955772 B1 KR 100955772B1 KR 1020030040394 A KR1020030040394 A KR 1020030040394A KR 20030040394 A KR20030040394 A KR 20030040394A KR 100955772 B1 KR100955772 B1 KR 10095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ontact hole
layer
gate electrode
dr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019A (ko
Inventor
이경묵
남승희
오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772B1/ko
Priority to US10/663,774 priority patent/US7471350B2/en
Publication of KR2004011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77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77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formed on a semiconductor substrate, e.g. of silic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탑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소스/드레인 전극 형성시나 화소 전극 형성시에 잉여 라인(redundancy line)을 생성, 적용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금속의 저항을 낮추어 대면적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가능하도록 하여 신호 지연을 방지하고 게이트 전극에 제 2의 금속막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금속의 저항을 낮춰 양질의 저저항 배선을 실현하고 액정 표시 장치의 반응응답속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드레인 전극 또는 화소 전극 형성시의 잉여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형성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30040394
게이트 전극, 리던던시, 화소 전극, 소스 및 드레인 전극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A array substrate and the fabrication method for LCD}
도 1은 일반적인 탑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회로부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탑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회로부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회로부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탑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서, 바텀 게이트(bottom-gate)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어레이 기판의 화소 영역 일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서 Ⅰ-Ⅰ',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 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로서, 바텀 게이트(bottom-gate)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어레이 기판의 화소 영역 일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에서 Ⅰ-Ⅰ',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로서, 게이트 콘택홀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0, 300, 400, 500 : 절연기판
214, 314, 414, 514 : 버퍼층
216, 316, 416, 516 : 반도체층
216a, 240a, 242a 316a, 340a, 342a : 활성화층
216b, 240b, 242b, 316b, 340b, 342b : LDD층
216c, 240c, 316c, 340c : n형 불순물층
218, 244a, 244b, 318, 344a, 344b, 418, 518 : 게이트 절연막
220, 246a, 246b, 320, 346a, 346b, 420, 520, 620 : 제 1 게이트 전극
222a, 222b, 322a, 322b, 422a, 422b, 522a, 522b : 반도체층 콘택홀
224, 324, 424, 524 : 층간절연막
239, 239a, 239b, 339, 339a, 339b, 439, 439, 539, 639 : 게이트 콘택홀
226, 250a, 250b, 326, 350a, 350b, 426, 526, 626 : 소스 전극
228, 252a, 252b, 328, 352a, 352b, 428, 528, 628 : 드레인 전극
229, 249a, 249b, 329, 349a, 349b, 429, 529, 629 : 제 2 게이트 전극
230, 330, 430, 530 : 드레인 콘택홀
232, 332, 432, 532 : 보호층
234, 334, 434, 534 : 화소전극 240, 340 : n형 반도체층
242, 342 : p형 반도체층 242c, 342c : p형 불순물층
247a, 247b, 247c,247d, 347a, 347b, 347c, 347d : 반도체층 콘택홀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사회로 시대가 급발전함에 따라 박형화, 경량화, 저 소비전력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는데, 그 중 색 재현성 등이 우수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일측에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두 기판을, 두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마주 대하도록 배치하고 두 기판 사이에 액정 물질을 주입한 다음, 두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생성되는 전기장에 의해 액정 분자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이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투과율에 의해 화상을 표현하는 장치이다.
액정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은 화소 전극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으로 박막을 형성하고 사진 식각하는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상부 기판은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기판으로 컬러 필터는 적(R), 녹(G), 청(B)의 세 가지 색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안료분산법이나 염색법, 전착법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일반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에 사용되는 액티브층은 비정질 실리콘(amorphous silicon ; a-Si:H)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대면적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높고, 350℃ 이하의 낮은 기판온도에서 증착이 가능하여 저가의 절연기판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은 원자 배열이 무질서하기 때문에 약한 결합(weak Si-Si bond) 및 댕글링 본드(dangling bond)가 존재하여 빛 조사나 전기장 인가시 준 안정상태로 변화되어 박막트랜지스터 소자로 활용시 안정성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상기 비정질 실리콘은 빛 조사에 의해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표시화소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낮은 전계효과 이동도 : 0.1∼1.0㎠/V·s)과 신뢰성 저하로 인해 구동회로에 쓰기 어렵다.
더욱이, 액정표시장치용 액정패널의 해상도가 높아지면, 박막트랜지스터 기판의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을 상기 TCP와 연결하는 기판 외부의 패드 피치(Pitch)가 짧아져 TCP 본딩 자체가 어려워진다.
그러나, 다결정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에 비하여 전계효과 이동도가 크기 때문에 기판 위에 구동회로를 만들 수 있어, 이 다결정 실리콘으로 기판에 직접 구동회로를 만들면 구동 IC 비용도 줄일 수 있고 실장도 간단해진다.
또한, 이러한 다결정 실리콘은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전계효과 이동도가 100 내지 200 배 정도 더 크므로 응답 속도가 빠르고, 온도와 빛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구동회로를 동일 기판 상에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을 가지는 다결정 실리콘의 제조방법은 다양하게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하기 위해서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법(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이나 저압 화학 기상 증착법(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으로 비정질 실리콘을 증착한 후, 이를 다시 결정화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비정질 실리콘을 이용하여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비정질 실리콘 박막에 기판 온도를 250℃ 정도로 가열하면서 엑시머 레이저를 가해서 성장시키는 레이저 열처리(laser annealing) 방법과, 비정질 실리콘 상에 금속을 증착하여 금속을 씨드로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하는 금속유도 결정화(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 MIC) 방법, 비정질 실리콘을 고온에서 장시간 열처리하여 형성하는 고상 결정화(solid phase crystallization : SPC)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상기 다결정 실리콘에는 다수 개의 결정립 및 이 결정립간의 경계내에 결정립계가 존재하는데, 결정립계는 전류흐름의 장애요소로 작용하므로, 신뢰성 있 는 박막트랜지스터 소자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결정립계를 줄이고 결정립을 좀 더 조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리콘 결정립이 액상 실리콘과 고상 실리콘의 경계면에서, 그 경계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성장한다는 사실을 이용한 SLS 결정화 기술에 의해 단결정 실리콘을 형성하는 기술(Robert S. Sposilli, M. A. Crowder, and James S. Im, Mat. Res. Soc. Symp. Proc. Vol. 452, 956~957, 1997)이 제안되었다.
상기 SLS 결정화 기술에서는, 레이저 에너지 크기와 레이저 빔의 조사범위 및 그 이동거리(translation distance)를 적절하여 조절하여, 실리콘 결정립을 소정의 길이만큼 측면성장시킴으로써, 비정질 실리콘을 단결정 수준으로 결정화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결정 실리콘을 이용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회로부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화소부 및 구동회로부 모두 반도체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는 탑 게이트(top gate)형 박막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도 1a의 화소부 박막트랜지스터부(I)에는, 절연기판(100) 상부에 버퍼층(114)이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114) 상부에는 반도체층(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116) 상의 중앙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18), 게이트 전극(12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120) 상부에는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22a, 122b)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24 ; interlayer)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반도체층 콘택홀(122a, 122b)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게이트 전극(120)과 일정간격 오버랩되는 위치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6, 128)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6, 128)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130)을 포함하는 보호층(1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132)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130)을 통해 드레인 전극(128)과 연결되어 화소 전극(1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116)은 게이트 절연막(118)과 대응되는 영역은 활성화층(116a)을 이루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26, 128)과 접촉되는 부분은 n+ 도핑처리된 n형 불순물층(116c)을 이루며, 상기 활성화층(116a)과 n형 불순물층(116c) 사이의 드레인 전극(128)과 게이트 전극(120)간의 정션(junction)부분에는 LDD(Lightly Doped Drain)층(116b)이 위치한다.
상기 LDD층(116b)은 핫캐리어(hot carrier)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낮은 농도로 도핑처리하여 누설전류의 증가를 막고 온상태의 전류의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1b에서, 상기 구동회로부의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는 n형 이온도핑처리 에 의한 채널(channel)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II)와 p형 이온도핑처리에 의한 채널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Ⅲ)로 구성되며,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소자에 대해서는 II, Ⅲ 순서대로 부호를 함께 기재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114)이 형성된 투명기판(100) 상에는 n형 반도체층(140)과 p형 반도체층(142)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n형 및 p형 반도체층(140, 142) 상부에는 각각 게이트 절연막(144a, 144b) 및 게이트 전극(146a, 146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전극(146a, 146b) 상부에는 기판 전면에 걸쳐 반도체층 콘택홀(147a, 147b, 147c, 147d)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층간절연막(124) 상부에는 반도체층 콘택홀(1147a, 147b, 147c, 147d)을 통해 각각 n형 및 p형 반도체층(140, 142)과 연결되어 각각 소스 및 드레인 전극((150a, 152a),(150b, 15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50a, 152a),(150b, 152b)) 상부에는 기판 전면에 걸쳐 보호층(1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140)은 상기 도 2a의 반도체층(116)과 같이 게이트 절연막(144a)과 접촉하는 영역을 활성화층(140a)으로 하고, 이 소스 및 드레인 전극(150a, 152a)과 접촉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n형 불순물층(140c)으로 하며, 그 사이 영역을 LDD층(140b)으로 구성한다.
이하, 상기 화소부의 일반적인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회로부의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상기 도 1a 및 1b에 따른 탑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흐름도에 대한 것으로, 상기 제조 공정에서는 감광성 포토 레지스트(PR ; photo resist)을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이하, 마스크 공정으로 약칭함)이 수반된다.
먼저, 절연기판을 준비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투광 절연기판을 준비하고, 이 절연기판 상에 약 3000Å 두께의 버퍼층(buffer layer)을 형성한다(S100).
상기 버퍼층을 이루는 물질로는 실리콘 질화막(SiNX)나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절연막이 주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층 상에 활성화층(active layer)을 형성하는 단계이다(S110).
이 단계에서, 상기 버퍼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550Å 두께로 비정질 실리콘(a-Si)을 증착하고, 탈수소화(dehydrogenation) 과정을 거친 후 , 결정화 단계를 통해 다결정 또는 단결정 실리콘과 같은 결정질 실리콘을 형성하고, 이 결정질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 1 마스크 공정에 의해 활성화층으로 형성한다.
이후,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S120).
상기 활성화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1000Å의 실리콘 질화막, 2000Å의 몰리브덴(Mo)을 연속해서 증착한 후, 제 2 마스크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절연막 및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n형 반도체층을 완성하는데, 상기 게이트 전극 및 게이트 절연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n- 도핑처리를 하여 LDD층을 형성한 후, 제 3 마스크 공정을 통해 n+ 도핑을 처리된 n형 불순물층을 형성한다(S130).
이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4 마스크 공정을 통해 p+ 도핑처리된 p형 불순물층을 형성한다(S140).
이후,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데, 상기 p형 불순물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7000Å의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을 증착한 후, 제 5 마스크 공정에 의해 반도체층 콘택홀을 가지는 층간절연막을 형성한다(S150).
이어서, 상기 층간절연막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500Å의 몰리브덴과, 약 3000Å의 알루미늄 네오듐(AlNd)을 차례대로 증착한 후, 제 6 마스크 공정에 의해 일괄 에칭하여,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불순물층과 연결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다(S160).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4000Å의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고, 이 실리콘 질화막의 수소화 열처리과정을 거친 후, 제 7 마스크 공정에 의해 드레인 콘택홀을 가지는 보호층을 형성한다(170).
상기 수소화 열처리 과정은 어닐링 단계를 포함하여 실리콘 질화막에 포함된 수소를 저면을 몰아주기 위한 공정으로서, 일반적으로 380℃에서 질소(N2)가스를 이용하여 1회 실시된다.
최종적으로, 상기 보호층 상에 화소 전극을 형성한다(S180).
이 단계에서는, 상기 보호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400Å두께의 ITO(indium Tin Oxide)를 증착한 후, 제 8 마스크 공정에 의해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을 형성한다.
한편, 최근에는 액정 표시 장치가 대형화 및 고정세화됨에 따라, 배선의 길이는 길어지고 그 폭은 작아져 신호 지연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배선의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저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배선을 형성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이나 구리(Cu)의 비저항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이러한 금속 물질이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의 재료로 이용된다.
통상, 화소 전극은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 : ITO)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로 사용되는데, 이러한 ITO는 알루미늄과 접촉시 접촉 저항이 크며, 구리는 ITO 식각액에 의해 쉽게 손상(damage)이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이나 구리로 배선을 형성할 경우 ITO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단선이 발생하거나, 신호가 왜곡되는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저항 배선이 라인저항을 증가시켜 주사선이 많은 대면적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반응응답속도의 저하가 발생하고, 이는 잔상이나 얼룩으로 표현되어 화질이 떨어뜨리게 되어 대면적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소스/드레인 전극 형성시나 화소 전극 형성 시에 잉여 라인(redundancy line)을 생성, 적용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금속의 저항을 낮추어 대면적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가능하도록 하여 신호 지연을 방지하는 양질의 저저항 배선을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버퍼층과,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과, 게이트 절연막,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액티브층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 일부를 드러내는 반도체층 콘택홀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 상부에서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액티브층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덮고 있으며, 상기 드레인 전극 상부에 드레인 콘택홀 및 게이트 콘택홀을 가지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형성되고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콘택홀에 의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부와 상기 보호층 상부까지 연장된 제 2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부에 버퍼층,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 게이트 절연막, 제 1 게이트 전극 및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에 반도체층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덮고 있으며, 드레인 콘택홀 및 게이트 콘택홀을 가지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콘택홀을 통해서 제 1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고, 상기 보호층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제 1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로서, 박막트랜지스터 및 구동회로부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화소부 및 구동회로부 모두 반도체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는 탑 게이트(top gate)형 박막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부 박막트랜지스터부(Ⅳ)에는, 절연기판(200) 상부에 버퍼층(214)이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214) 상부에는 반도체층(2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반도체층(216) 상의 중앙부에는 게이트 절연막(218), 제 1 게이트 전극(22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20)을 덮고 있으며, 상부에는 반도체층 콘택홀(222a, 222b) 및 게이트 콘택홀(239)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224 ; interlayer)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222a, 222b)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20)과 일정간격 오버랩되는 위치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6, 228)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층간절연막(224)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콘택홀(239)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20)과 접촉하는 제 2 게이트 전극(2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229)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6, 228)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redundancy line)으로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226, 228) 및 제 2 게이트 전극(229)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230)을 포함하는 보호층(2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232)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230)을 통해 드레인 전극(228)과 연결되어 화소 전극(2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216)은 게이트 절연막(218)과 대응되는 영역은 활성화층(216a)을 이루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6, 228)과 접촉되는 부분은 n+ 도핑처리된 n형 불순물층(216c)을 이루며, 상기 활성화층(216a)과 n형 불순물층(216c) 사이의 드레인 전극(228)과 게이트 전극(220)간의 정션(junction)부분에는 LDD(Lightly Doped Drain)층(216b)이 위치한다.
상기 LDD층(16b)은 핫캐리어(hot carrier)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낮은 농도로 도핑처리하여 누설전류의 증가를 막고 온상태의 전류의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 어레이 기판에서, 상기 구동회로부의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는 n형 이온도핑처리에 의한 채널(channel)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Ⅴ)와 p형 이온도핑처리에 의한 채널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Ⅵ)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214)이 형성된 투명기판(200) 상에는 n형 반도체층(240)과 p형 반도체층(242)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n형 및 p형 반도체층(240, 242) 상부에는 각각 게이트 절연막(244a, 244b) 및 게이트 전극(246a, 24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게이트 전극(246a, 246b) 상부에는 기판 전면에 걸쳐 반도체층 콘택홀(247a, 247b, 247c, 247d) 및 게이트 콘택홀(239a, 239b)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2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층간절연막(224) 상부에는 반도체층 콘택홀(247a, 247b, 247c, 247d)을 통해 각각 n형 및 p형 반도체층(240, 242)과 연결되어 각각 소스 및 드레인 전극((250a, 252a),(250b, 25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게이트 콘택홀(239a, 239b)을 통해 제 1 게이트 전극(246a, 246b)과 접촉하는 제 2 게이트 전극(249a, 24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50a, 252a),(250b, 252b))과 제 2 게이트 전극(249a, 249b) 상부에는 기판 전면에 걸쳐 보호층(2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n형 반도체층(240)은 상기 반도체층(216)과 같이 게이트 절연막(244a)과 접촉하는 영역을 활성화층(240a)으로 하고, 이 소스 및 드레인 전극(250a, 252a)과 접촉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n형 불순물층(240c)으로 하며, 그 사이 영역을 LDD층(240b)으로 구성하며, 상기 p형 반도체층(242)은 양전기로 충전된 캐리어를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n형 박막트랜지스터보다 캐리어의 열화 및 누설전류의 영향이 크지 않다. 따라서, 별도의 LDD층을 구성하지 않고,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244b)과 접촉하는 영역을 활성화층(242a)으로 하고, 이 활성화층(242a)의 외곽영역을 p형 불순물층(242b)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서, 대표적으로 화소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탑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조 공정에서는 감광성 포토 레지스트(PR ; photo resist)을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이하, 마스크 공정으로 약칭함)이 수반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200)을 준비하고, 이 절연기판(200) 상에 약 3000Å 두께의 버퍼층(214, buffer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214)을 이루는 물질로는 실리콘 질화막(SiNX)나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절연막이 주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층(214) 상에 활성화층(216a, active layer)을 형성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버퍼층(214)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550Å 두께로 비정질 실리콘(a-Si)을 증착하고, 탈수소화(dehydrogenation) 과정을 거친 후 , 결정화 단계를 통해 다결정 또는 단결정 실리콘과 같은 결정질 실리콘을 형성하고, 이 결정질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 1 마스크 공정에 의해 활성화층(216a)으로 형성한다.
이후, 게이트 절연막(218) 및 제 1 게이트 전극(220)을 형성한다.
상기 활성화층(216a)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1000Å의 실리콘 질화막, 2000Å의 몰리브덴(Mo)을 연속해서 증착한 후, 제 2 마스크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절연막(218) 및 제 1 게이트 전극(2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n형 반도체층을 완성하는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220) 및 게이트 절연막(218)이 형성된 기판 상에 n- 도핑처리를 하여 LDD층(216b)을 형성한 후, 제 3 마스크 공정을 통해 n+ 도핑을 처리된 n형 불순물층(216c)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216c)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4 마스크 공정을 통해 p+ 도핑처리된 p형 불순물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후, 층간절연막(224)을 형성하는데, 상기 기판 상에, 약 7000Å의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을 증착한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마스크 공정에 의해 반도체층 콘택홀(222a, 222b) 및 게이트 콘택홀(239)을 가지는 층간절연막(224)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222a, 222b) 및 게이트 콘택홀(239)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224)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500Å의 몰리브덴과, 약 3000Å의 알루미늄 네오듐(AlNd)을 차례대로 증착한 후, 제 6 마스크 공정에 의해 일괄 에칭하여,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222a, 222b)을 통해 불순물층과 연결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6, 228)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6, 228) 형성시의 리던던시 라인(redundancy line)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콘택홀(239)을 통해 제 1 게이트 전극(220)과 접촉하는 제 2 게이트 전극(229)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226, 228)과 제 2 게이트 전극(229)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4000Å의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고, 이 실리콘 질화막의 수소화 열처리과정을 거친 후, 제 7 마스크 공정에 의해 드레인 콘택홀(230)을 가지는 보호층(232)을 형성한다.
상기 수소화 열처리 과정은 어닐링 단계를 포함하여 실리콘 질화막에 포함된 수소를 저면을 몰아주기 위한 공정으로서, 일반적으로 380℃에서 질소(N2)가스를 이용하여 1회 실시된다.
최종적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232) 상에 화소 전극(234)을 형성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보호층(232)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400Å두께의 ITO(indium Tin Oxide)를 증착한 후, 제 8 마스크 공정에 의해 상기 드레인 콘택홀(230)을 통해 드레인 전극(228)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234)을 형성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화소부 박막트랜지스터(Ⅶ) 및 구동회로부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Ⅷ, Ⅸ)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화소부 및 구동회로부 모두 반도체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는 탑 게이트(top gate)형 박막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소부 박막트랜지스터부(Ⅶ)에는, 절연기판(300) 상부에 버퍼층(314)이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314) 상부에는 반도체층(31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반도체층(316) 상의 중앙부에는 게이트 절연막(318), 제 1 게이트 전극(320)이 차례대로 적층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320) 상부에는, 반도체층 콘택홀(322a, 322b)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324 ; interlayer)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 콘택홀(322a, 322b)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20)과 일정간격 오버랩되는 위치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326, 328)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326, 328) 및 제 1 게이트 전극(320) 상부에 는 드레인 콘택홀(330) 및 게이트 콘택홀(339)을 포함하는 보호층(33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보호층(332)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330)을 통해 드레인 전극(328)과 연결되어 화소 전극(3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콘택홀(339)은 상기 보호층(332) 및 제 1 게이트 전극(32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층간절연막(324)을 통과하여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보호층(332) 상에 화소 전극(334) 형성시 리던던시 라인을 적용하여 화소 전극(334)과 함께 제 2 게이트 전극(329)을 동시에 형성하며,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329)은 상기 게이트 콘택홀(339)을 통해서 제 1 게이트 전극(320)과 접촉된다.
상기 반도체층(316)은 게이트 절연막(318)과 대응되는 영역은 활성화층(316a)을 이루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326, 328)과 접촉되는 부분은 n+ 도핑처리된 n형 불순물층(316c)을 이루며, 상기 활성화층(316a)과 n형 불순물층(316c) 사이의 드레인 전극(328)과 게이트 전극(320)간의 정션(junction)부분에는 LDD(Lightly Doped Drain)층(316b)이 위치한다.
상기 LDD층(316b)은 핫캐리어(hot carrier)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낮은 농도로 도핑처리하여 누설전류의 증가를 막고 온상태의 전류의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회로부의 CMOS구조 박막트랜지스터는 n형 이온도핑처리에 의한 채널(channel)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Ⅷ)와 p형 이온도핑처리에 의 한 채널을 갖는 박막트랜지스터(Ⅸ)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버퍼층(314)이 형성된 투명기판(300) 상에는 n형 반도체층(340)과 p형 반도체층(342)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n형 및 p형 반도체층(340, 342) 상부에는 각각 게이트 절연막(344a, 344b) 및 게이트 전극(346a, 34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게이트 전극(346a, 346b) 상부에는 기판 전면에 걸쳐 반도체층 콘택홀(347a, 347b, 347c, 347d)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3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층간절연막(324) 상부에는 반도체층 콘택홀(347a, 347b, 347c, 347d)을 통해 각각 n형 및 p형 반도체층(340, 342)과 연결되어 각각 소스 및 드레인 전극((350a, 352a),(350b, 352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350a, 352a),(350b, 352b)) 상부에는 기판 전면에 걸쳐 보호층(33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332) 및 층간절연막(324)을 통과하는 게이트 콘택홀(339a, 339b)이 화소부의 박막트랜지스터에서 드레인 콘택홀(330) 형성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화소부의 박막트랜지스터에서 화소 전극(334)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을 적용하여 제 2 게이트 전극(349a, 349b)을 동시에 형성한다.
상기 n형 반도체층(340)은 상기 반도체층(316)과 같이 게이트 절연막(344a)과 접촉하는 영역을 활성화층(340a)으로 하고, 이 소스 및 드레인 전극(350a, 352a)과 접촉하는 영역을 포함하여 n형 불순물층(340c)으로 하며, 그 사이 영역을 LDD층(340b)으로 구성하며, 상기 p형 반도체층(342)은 양전기로 충전된 캐리어를 이용하는 방식이므로, n형 박막트랜지스터보다 캐리어의 열화 및 누설전류의 영향이 크지 않다. 따라서, 별도의 LDD층을 구성하지 않고,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344b)과 접촉하는 영역을 활성화층(342a)으로 하고, 이 활성화층(342a)의 외곽영역을 p형 불순물층(342b)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서 화소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탑 게이트형 화소부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조 공정에서는 감광성 포토 레지스트(PR ; photo resist)을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이하, 마스크 공정으로 약칭함)이 수반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기판(300)을 준비하고, 이 절연기판(300) 상에 약 3000Å 두께의 버퍼층(314, buffer layer)을 형성한다.
상기 버퍼층(314)을 이루는 물질로는 실리콘 질화막(SiNX)나 실리콘 산화막(SiOX)와 같은 무기절연막이 주로 이용된다.
그리고, 상기 버퍼층(314) 상에 활성화층(316a, active layer)을 형성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버퍼층(314)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550Å 두께로 비정질 실리콘(a-Si)을 증착하고, 탈수소화(dehydrogenation) 과정을 거친 후 , 결정화 단 계를 통해 다결정 또는 단결정 실리콘과 같은 결정질 실리콘을 형성하고, 이 결정질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 1 마스크 공정에 의해 활성화층(316a)으로 형성한다.
이후, 게이트 절연막(318) 및 제 1 게이트 전극(320)을 형성한다.
상기 활성화층(316a)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1000Å의 실리콘 질화막, 2000Å의 몰리브덴(Mo)을 연속해서 증착한 후, 제 2 마스크 공정을 통해 게이트 절연막(318) 및 제 1 게이트 전극(3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n형 반도체층(316)을 완성하는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320) 및 게이트 절연막(318)이 형성된 기판 상에 n- 도핑처리를 하여 LDD층(316b)을 형성한 후, 제 3 마스크 공정을 통해 n+ 도핑을 처리된 n형 불순물층(316c)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316c)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제 4 마스크 공정을 통해 p+ 도핑처리된 p형 불순물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이후, 층간절연막(324)을 형성하는데, 상기 p형 불순물층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7000Å의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과 같은 무기절연막을 증착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마스크 공정에 의해 반도체층 콘택홀(322a, 322b)을 가지는 층간절연막(324)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322a, 322b)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324)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500Å의 몰리브덴과, 약 3000Å의 알루미늄 네오듐(AlNd)을 차례대로 증착한 후, 제 6 마스크 공정에 의해 일괄 에칭하여, 도 6c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322a, 322b)을 통해 불순물층(316c)과 연결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326, 32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326, 328)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4000Å의 실리콘 질화막을 증착하고, 이 실리콘 질화막의 수소화 열처리과정을 거친 후, 제 7 마스크 공정에 의해 드레인 콘택홀(330) 및 게이트 콘택홀(339)을 가지는 보호층(332)을 형성한다.
상기 수소화 열처리 과정은 어닐링 단계를 포함하여 실리콘 질화막에 포함된 수소를 저면을 몰아주기 위한 공정으로서, 일반적으로 380℃에서 질소(N2)가스를 이용하여 1회 실시된다.
상기 드레인 콘택홀(330)과 게이트 콘택홀(339)을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콘택홀(339)은 상기 보호층(332) 및 층간절연막(324)을 통과하여 제 1 게이트 전극(320)을 드러낸다.
최종적으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층(332) 상에 화소 전극(334)을 형성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보호층(332)이 형성된 기판 상에 약 400Å두께의 ITO(indium Tin Oxide)를 증착한 후, 제 8 마스크 공정에 의해 상기 드레인 콘택홀(330)을 통해 드레인 전극(328)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334)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화소부의 박막트랜지스터에서 화소 전극(334) 형성시에 리던던 시 라인을 적용하여 제 2 게이트 전극(329)을 동시에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탑 게이트(top-gate)형 액정 표시 장치뿐만 아니라, 바텀 게이트(bottom-gate)형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결정 실리콘을 이용한 탑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바텀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어레이 기판의 화소 영역 일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투명한 기판 상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게이트배선(411) 및 이와 직교하는 다수의 평행한 데이터배선(412)이 매트릭스 형태를 이루며 화소영역을 정의하고 있고, 상기 두 배선의 교차지점에 반도체층(416), 제 1 게이트 전극(420), 소스/드레인 전극(426, 428)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434)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반도체층(416)에는 반도체층 콘택홀(422a, 422b)에 의해서 소스/드레인 전극(426, 4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 콘택홀(430)에 의해서 드레인 전극(428)과 화소 전극(43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420) 및 게이트 배선(411) 상의 게이트 콘택홀(439)에 의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420) 및 게이트 배선(411)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429)이 소스/드레인 전극(426, 428) 형성시의 리던던시 라인(redundancy line)으로 형성된다.
도 8은 도 7에서 Ⅰ-Ⅰ',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텀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어레이 기판의 화소 영역 일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의 Ⅰ-Ⅰ'선을 따라서 단면하면, 절연기판(400) 상부에 버퍼층(414)이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414) 상부에는 제 1 게이트 전극(4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420)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418)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418) 상에 반도체층(4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416)을 덮고 있으며, 상부에는 반도체층 콘택홀(422a, 422b)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424 ; interlayer)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422a, 422b)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426, 428)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422a, 422b)형성시에 게이트 콘택홀(도시되지 않음)을 층간절연막(424)에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426, 428)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430)을 포함하는 보호층(4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432)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430)을 통해 드레인 전극(428)과 연결되어 화소 전극(434)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에서 Ⅱ-Ⅱ'선을 따라 단면하면, 절연기 판(400) 상부에 버퍼층(414)이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414) 상부에는 제 1 게이트 전극(4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420)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418)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418) 상에 반도체층(도시되지 않음) 형성 공정이 끝나면 층간절연막(424)이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층간절연막(424)과 게이트 절연막(418)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콘택홀(439)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420)과 접촉하는 제 2 게이트 전극(4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429)은 소스 및 드레인 전극(도시되지 않음)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redundancy line)으로 동시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429)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보호층(432)이 형성되어 있고, 도 8의 (b)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호층(432)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도 8의 (a)에서 430)을 통해 드레인 전극(도 8의 (a)에서 428)과 연결되어 화소 전극(도 8의 (a)에서 43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 8의 (a)와 (b)에서 사용한 동일한 부호는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 것이다.
(제 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바텀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어레이 기판의 화소 영역 일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이다.
투명한 기판 상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게이트배선(511) 및 이와 직교하는 다수의 평행한 데이터배선(512)이 매트릭스 형태를 이루며 화소영역을 정의하고 있고, 상기 두 배선의 교차지점에 반도체층(516), 제 1 게이트 전극(520), 소스/드레인 전극(526, 528)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534)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반도체층(516)에는 반도체층 콘택홀(522a, 522b)에 의해서 소스/드레인 전극(526, 5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레인 콘택홀(530)에 의해서 드레인 전극(528)과 화소 전극(534)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520) 및 게이트 배선(511) 상의 게이트 콘택홀(539)에 의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520)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529)이 화소 전극(534) 형성시의 ITO의 리던던시 라인으로 형성된다.
도 10은 도 9에서 Ⅲ-Ⅲ', Ⅳ-Ⅳ'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텀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지는 어레이 기판의 화소 영역 일부분을 간략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9의 Ⅲ-Ⅲ'선을 따라서 단면하면, 절연기판(500) 상부에 버퍼층(514)이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514) 상부에는 제 1 게이트 전극(5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518)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518) 상에 반도체층(5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층(516)을 덮고 있으며, 상부에는 반도체층 콘택홀(522a, 522b)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524 ; interlayer)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 콘택홀(522a, 522b)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526, 528)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526, 528) 상부에는 드레인 콘택홀(530)을 포함하는 보호층(53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532)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530)을 통해 드레인 전극(528)과 연결되어 화소 전극(53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콘택홀(530)과 게이트 콘택홀(도시되지 않음)을 하나의 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한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서 Ⅳ-Ⅳ'선을 따라 단면하면, 절연기판(500) 상부에 버퍼층(514)이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퍼층(514) 상부에는 제 1 게이트 전극(5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520) 상에는 게이트 절연막(518)이 형성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518) 상에 반도체층(도시되지 않음) 형성 공정이 끝나면 층간절연막(524)이 적층된다.
상기 층간절연막(524)에는 반도체층 콘택홀(도시되지 않음)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층간절연막(524) 상에는 보호층(532)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532)에는 드레인 콘택홀(5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호층(532) 상부에는 상기 드레인 콘택홀(530)을 통해 드레인 전극(528)과 연결되어 화소 전극(5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층(532)과 층간절연막(524)과 게이트 절연막(518)을 통과하며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콘택홀(539)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520)과 접촉하는 제 2 게이트 전극(5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529)은 화소 전극(도시되지 않음)인 ITO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redundancy line)으로 동시에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도 10의 (a)와 (b)에서 사용한 동일한 부호는 같은 공정으로 형성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을 이용하여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거나, 화소 전극인 ITO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을 이용하여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을 이용하여 제 1 게이트 전극 상에 제 2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ITO 형성시에 리던던시 라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 상에 제 3 게이트 전극을 중복하여 더블 리던던시(double redundancy)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1의 (a) 내지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에서는, 게이트 콘택홀(639)이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 콘택홀(639)이 형성되는 위치 및 형태에 따라서 제 2 게이트 전극(또는 제 3 게이트 전극, 629)이 제 1 게이트 전극(620) 상에만 형성될 수 있고(도 11의 (a)), 게이트 배선(611) 상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도 11의 (b)), 제 1 게이트 전극(620)과 게이트 배선(611)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탑 게이트형 액정 표시 장치와 바텀 게이트형 액정 표시 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게이트 전극(620)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콘택홀(639)은 탑게이트형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에 소스 및 드레인 전극(626, 629) 사이의 제 1 게이트 전극(620)까지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는 상기 게이트 콘택홀(639) 및 제 2 게이트 전극(또는 제 3 게이트 전극, 629)은 상기 데이터 배선(612)과 게이트 배선(611)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형성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은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소스/드레인 전극 형성시나 화소 전극 형성시에 잉여 라인(redundancy line)을 생성, 적용하여 게이트 전극 상에 제 2의 금속막을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금속의 저항을 낮추어줌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의 반응응답속도를 개선하고 양호한 화질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스/드레인 전극 또는 화소 전극 형성시의 잉여 라인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형성할 수 있어 제조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기판과;
    상기 기판 상부에 형성된 버퍼층과,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과, 게이트 절연막, 제 1 게이트 전극과;
    상기 액티브층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의 상부를 드러내는 반도체층 콘택홀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 상부에서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액티브층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덮고 있으며, 상기 드레인 전극 상부에 드레인 콘택홀 및 게이트 콘택홀을 가지는 보호층과;
    상기 보호층 상부에 형성되고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화소 전극; 및
    상기 게이트 콘택홀에 의해 상기 제 1 게이트 전극 상부와 상기 보호층 상부까지 연장된 제 2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게이트 전극은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에 게이트 콘택홀을 형성하여 화소전극의 리던던시(redundancy)를 이용하여 제 3 게이트 전극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콘택홀 및 제 2 게이트 전극은 제 1 게이트 전극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콘택홀 및 제 2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콘택홀 및 제 2 게이트 전극은 제 1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배선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절연막에 콘택홀이 형성되어 제 1 게이트 전극 및 제 2 게이트 전극 사이에서 접촉되는 제 3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콘택홀과 게이트 콘택홀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또는 TCO(Transparent Conducting 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기판 상부에 버퍼층,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액티브층, 게이트 절연막, 제 1 게이트 전극 및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절연막에 반도체층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액티브층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하는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덮고 있으며, 드레인 콘택홀 및 게이트 콘택홀을 가지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드레인 콘택홀을 통해서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콘택홀을 통해서 제 1 게이트 전극과 접촉하고, 상기 보호층의 상부까지 연장되는 제 2 게이트 전극을 동시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에 드레인 콘택홀과 게이트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포토 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콘택홀과 게이트 콘택홀은 식각 장비를 이용하여 동시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제조 방법.
KR1020030040394A 2003-06-20 2003-06-20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5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394A KR100955772B1 (ko) 2003-06-20 2003-06-20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10/663,774 US7471350B2 (en) 2003-06-20 2003-09-17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394A KR100955772B1 (ko) 2003-06-20 2003-06-20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019A KR20040110019A (ko) 2004-12-29
KR100955772B1 true KR100955772B1 (ko) 2010-04-30

Family

ID=3351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3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55772B1 (ko) 2003-06-20 2003-06-20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71350B2 (ko)
KR (1) KR100955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061B1 (ko) * 2004-03-09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59759B1 (ko) * 2004-10-06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바텀 게이트형 박막트랜지스터, 그를 구비하는평판표시장치 및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US7911568B2 (en) 2005-05-13 2011-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ed thin films,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panel
US8497494B2 (en) * 2006-11-24 2013-07-30 Lg Display Co., Ltd. Thin film transistor and array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organic insulating material
KR101287968B1 (ko) * 2008-11-25 2013-07-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3033B1 (ko) 2011-07-11 2018-04-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 제조 방법
TWI471643B (zh) * 2011-07-12 2015-02-01 Innolux Corp 影像顯示系統及其製造方法
KR101899477B1 (ko) * 2011-11-18 2018-09-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TWI463628B (zh) 2012-02-03 2014-12-01 E Ink Holdings Inc 顯示器面板電路結構
CN103207482A (zh) * 2012-12-20 2013-07-17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可修补数据线之画素电极结构及其制作方法
CN104122684B (zh) * 2013-05-30 2017-07-28 深超光电(深圳)有限公司 显示面板及制造该显示面板的方法
KR102456436B1 (ko) 2015-02-17 2022-10-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7799537A (zh) * 2017-09-26 2018-03-13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以及显示装置
US11374035B2 (en) * 2019-07-25 2022-06-2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CN114023765B (zh) * 2021-10-21 2023-07-2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
JP2024138730A (ja) * 2023-03-27 2024-10-09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407A (ja) * 1992-06-24 1994-01-21 Seiko Epson Corp 薄膜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29890A (ja) * 1995-10-31 1997-05-16 A G Technol Kk 多結晶半導体tft、その製造方法、及びtft基板
JPH1197698A (ja) * 1997-09-24 1999-04-09 Toshiba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
KR20020002516A (ko) * 2000-06-30 2002-01-1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 표시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3074A (en) * 1991-04-29 1994-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Embedded repair lines for thin film electronic display or imager devices
US5666139A (en) * 1992-10-15 1997-09-09 Advanced Pen Technologies, Inc. Pen-based computer copy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scripts
US5449334A (en) * 1994-03-22 1995-09-12 Kingsbury; Doug Rotatable exercise apparatus
JP3688738B2 (ja) * 1994-10-28 2005-08-31 富士通株式会社 対話ボックスを持つデータ処理装置
US6204847B1 (en) * 1995-07-17 2001-03-20 Daniel W. Wright Shared virtual desktop collaborative application system
KR100198543B1 (ko) * 1995-12-27 1999-06-15 구자홍 액정표시장치
US5721849A (en) * 1996-03-29 1998-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memory and apparatus for postponing transference of focus to a newly opened window
US5872567A (en) * 1996-03-29 1999-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memory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izing a window in response to a loss or gain in focus
US5649561A (en) * 1996-05-03 1997-07-22 Parr Manufacturing, Inc. Fuel filter and pressure regulator system
US6215541B1 (en) * 1997-11-20 2001-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US6365917B1 (en) * 1998-11-25 2002-04-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0321925B1 (ko) * 1998-11-26 200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4장의마스크를이용한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의제조방법및액정표시장치용박막트랜지스터기판
JP3654490B2 (ja) * 1998-12-25 2005-06-02 富士通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マトリクスとその製造方法
KR100318539B1 (ko) * 1999-03-24 2001-12-22 윤종용 액정 표시 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US6461899B1 (en) * 1999-04-30 2002-10-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xynitride laminate “blocking layer” for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s
US6606106B1 (en) * 2000-06-02 2003-08-12 Sun Microsystems, Inc. Hierarchical model for expressing focus traversal
JP2003202589A (ja) * 2001-12-28 2003-07-18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9112B1 (ko) * 2002-01-14 2008-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407A (ja) * 1992-06-24 1994-01-21 Seiko Epson Corp 薄膜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29890A (ja) * 1995-10-31 1997-05-16 A G Technol Kk 多結晶半導体tft、その製造方法、及びtft基板
JPH1197698A (ja) * 1997-09-24 1999-04-09 Toshiba Corp 薄膜トランジスタ
KR20020002516A (ko) * 2000-06-30 2002-01-10 주식회사 현대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액정 표시 소자의 게이트 전극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019A (ko) 2004-12-29
US20040257487A1 (en) 2004-12-23
US7471350B2 (en) 2008-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772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6166397A (en) Display device with inverted type transistors in the peripheral and pixel portions
US761237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H0744278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KR100566612B1 (ko)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6288413B1 (en) Thin film transist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0946560B1 (ko)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조방법
KR20110058356A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87256B1 (ko) 폴리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20110053721A (ko)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25436B1 (ko) 다결정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20050031249A (ko) 다결정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JPH0119217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039471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989200B1 (ko) 다결정 실리콘 박막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1087750B1 (ko) 두가지 타입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어레이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H11284191A (ja) 縦型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29395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2569B1 (ko) 박막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7996B1 (ko) 구동회로 일체형 액정표시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JPH0697193A (ja)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CN100536117C (zh) 薄膜晶体管面板的制造方法
KR101040490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0709282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제조 방법
KR10095693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6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4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