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85864B1 -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864B1
KR100885864B1 KR1020077006434A KR20077006434A KR100885864B1 KR 100885864 B1 KR100885864 B1 KR 100885864B1 KR 1020077006434 A KR1020077006434 A KR 1020077006434A KR 20077006434 A KR20077006434 A KR 20077006434A KR 100885864 B1 KR100885864 B1 KR 10088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ar
construction machine
information
position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066A (ko
Inventor
사토시 하세가와
토요이치 오노
히로시 이누이
요우이치로우 쿠리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70044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8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20Monitoring the location of vehicles belonging to a group, e.g. fleet of vehicles, countable or determined number of vehicles
    • G08G1/202Dispatching vehicles on the basis of a location, e.g. taxi dispatc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 G08G1/1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the indicator being in the form of a map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건설기계 및 서비스카의 단말(18, 28)로부터 송신된 건설기계 및 서비스카의 현재위치정보를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 및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에 축적한다.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은, 유지보수가 필요한 건설기계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있는 서비스카를 검색한다.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이 대상으로 되는 건설기계에 대하여 근처에 위치하는 서비스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지도상에서 서비스카를 찾을 필요가 없어 용이하게 서비스카를 찾아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건설기계 및 서비스카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MOVING MACHINE}
본 발명은,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서비스카를 포함하는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으로서는, 건설기계에 설치된 단말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 건설기계의 정보를 입수하여, 건설기계를 관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이 관리시스템에서는, 건설기계의 단말로부터 서버에 송신된 건설기계의 현재위치나, 가동상황 등의 정보를 서버에 축적한다. 이용자가 이용자 단말을 사용해서, 통신회선을 통해 서버에 액세스하면, 서버에 축적된 건설기계나 서비스카의 정보가 이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에 표시된다. 이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에서는, 예를 들면 지도상에 건설기계 및 서비스카의 현재위치가 표시되거나, 특정의 건설기계의 소유자나 작업영역, 작업시간 등의 가동상황이나 엔진 회전수나 연료량 등의 건설기계의 요소가 표시된다. 이용자는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건설기계의 관리를 행하고, 건설기계의 고장이 보고된 경우에는, 그 건설기계의 현재위치 근처의 서비스카를 지도상에서 찾아낼 수 있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2-91547호 공보(제5~제7쪽, 도 1)
그러나, 이 관리시스템에서는 서비스카 및 건설기계의 현재위치를 이용자 단말에 표시할 수는 있지만, 유지보수가 필요한 건설기계의 근처에 있는 서비스카의 위치를 표시된 지도상에서 찾지 않으면 안되어, 시간이 걸린다라는 과제가 있다. 특히, 건설기계의 경우에서는, 종류에 따라 유지보수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필요한 유지보수를 제공가능한 서비스카를 지도상에서 찾아내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단말을 탑재하고 있지 않는 건설기계에 관해서는, 이 관리시스템으로는 현재위치나 가동상황을 파악할 수 없고, 따라서 이용자 단말의 표시 화면에도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관리시스템으로는 관리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건설기계 및 서비스카를 포함한 이동기계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고, 필요한 유지보수에 대응한 서비스카를 용이하게 찾아낼 수 있는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은, 이동기계에 설치되는 단말과, 이 단말에 통신회선을 통해 접속됨과 아울러 이동기계의 관리를 행하는 서버를 갖는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으로서, 이동기계는 건설기계 및 이 건설기계의 유지보수를 행하기 위한 서비스카를 포함하고, 서버는 건설기계의 단말로부터 건설기계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과, 건설기계의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과,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 서비스카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과,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으로 얻은 건설기계의 현재위치정보와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으로 얻은 서비스카의 현재위치정보에 기초해서,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를 검색하는 서비스카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상세정보 중 대상이 되는 상기 건설기계의 상세정보를 서비스카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서비스카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필요한 대상 건설기계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를 검색한다. 소정 범위를 미리 적당하게 설정해 두면, 서비스카 검색수단에 의해, 대상 건설기계의 현재위치에 가까운 서비스카가 즉시 검색되므로, 이용자가 표시 화면을 보고 대상 건설기계의 근처에 있는 서비스카를 찾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용자의 지도탐색의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서비스카의 검색이 용이하게 되고, 이동기계의 적절하고 또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 및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건설기계의 단말 및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 그들의 위치정보가 취득되므로, 건설기계 및 서비스카의 위치가 정확하게 파악된다. 따라서, 서비스카 검색수단의 검색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는 서비스카의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을 구비하고, 서비스카 검색수단은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세조건을 취득하는 조건취득수단과,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 중, 조건취득수단으로 취득된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를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된 상세정보에 기초해서 선택하는 한정수단(narrowing-down means)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한정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한정수단이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된 상세정보에 기초해서, 서비스카 검색수단으로 검색된 서비스카 중,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를 선택한다. 따라서, 단순히 대상 건설기계의 현재위치로부터 소정 범위내에 있는 서비스카가 검색되는 것은 아니고, 대상 건설기계에 필요한 유지보수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카가 검색된다. 따라서, 서비스카의 검색이 보다 적확하게 되고, 보다 신속한 유지보수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특히, 건설기계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고 필요한 유지보수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종류에 따라서는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카의 종류가 한정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히 유용하다.
여기에서, 상세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용접기 등, 서비스카가 탑재하고 있는 장치의 정보나, 서비스카가 적재하고 있는 보급부품, 교환부품의 정보, 서비스카에 승차하고 있는 서비스맨의 기술정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카 검색수단은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가 없는 경우에, 소정 범위를 확장해서 재검색하는 재검색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재검색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가 소정 범위내에 없는 경우에는, 다시 넓은 범위에서의 재검색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의 검색이 보다 확실하게 된다. 이것은 특히, 예를 들면 대상 건설기계의 고장에 의해 수리에 용접이 필요한 경우 등, 대상 건설기계가 필요로 하는 유지보수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 필요로 되는 유지보수에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카도 한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재검색수단이 소정 범위를 확장해서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의 재검색을 행하므로, 서비스카가 최초로 설정된 소정 범위내에 있는 것 보다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것이 우선해서 검색되게 되어, 보다 적확하고 또한 유연한 검색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은, 통신회선을 통해 이동기계의 관리를 행하는 서버를 갖는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으로서, 이동기계는 단말을 갖지 않는 건설기계와, 단말을 갖는 것과 아울러 건설기계의 유지보수를 행하기 위한 서비스카를 포함하고, 서버는 통신회선을 통해 또는 상기 서버가 갖는 입력조작수단을 통해 취득한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건설기계의 임시위치정보로서 축적하는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과, 통신회선을 통해 또는 입력조작수단을 통해 취득한 건설기계의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과,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 서비스카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과,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건설기계의 임시위치정보와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으로 얻은 서비스카의 현재위치정보에 기초해서,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의 임시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를 검색하는 서비스카 검색수단을 구비하고,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상세정보 중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의 상세정보를 서비스카 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말을 갖지 않는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임시위치정보로서 축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단말을 갖지 않는 건설기계이여도, 통신회선을 통한 관리가 가능해지고, 예를 들면 대상 건설기계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있는 서비스카의 검색을 행한다는 등의 관리가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임시위치정보의 취득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서비스카가 갖는 단말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 서버로 임시위치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이나, 서버가 갖는 키보드 등의 입력조작수단을 통해 직접 서버에 송신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서버는 임시위치정보를 취득하면,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의 정보를 상기 새로운 임시위치정보로 갱신하는 임시위치정보 갱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가 임시위치정보 갱신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대상 건설기계의 임시위치정보가 취득될 때마다,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의 정보가 갱신된다. 건설기계는 단말을 갖지 않으므로, 건설기계의 이동에 의해 현재위치가 바뀌면 서버에 축적된 위치정보와 현재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어 버리지만, 본 발명에서는 임시위치정보 갱신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설기계 임시위치정보가 항상 최신의 것이 된다. 따라서, 단말을 갖지 않는 건설기계이여도 보다 정확한 관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임시위치정보는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 취득되고, 서버는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의 서비스카의 현재위치를 건설기계의 임시위치정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카의 현재위치가 단말을 갖지 않는 건설기계의 임시위치정보로 되므로,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 건설기계의 임시위치정보를 송신하면, 서버에서는 서비스카의 현재위치를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로서 인식한다. 따라서, 서버측에서의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입력조작수단 등을 통해 입력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 및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비스카 및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비스카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8]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9]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비스카의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1]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건설기계의 표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관리시스템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4]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임시위치정보 취득수단의 정보입력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미장착차 DB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미장착차의 임시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서비스카의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건설기계(이동기계), 1A…미장착차(건설기계, 이동기계), 2…서비스카(이동기계), 7…네트워크(통신회선), 8…서버, 18, 28…단말, 85…서비스카 검색수단, 88…건설기계 검색수단, 100…관리시스템, 823…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 824…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 825…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 826…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 828…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 843…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 844…건설기계 상세정보 취득수단, 845…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 846…서비스카 상세정보 취득수단, 848…임시위치정보 취득수단(임시위치정보 갱신수단), 851…조건취득수단, 852…한정수단, 853…재검색수단.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후술하는 제2실시형태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제1실시형태에서의 구성과 같은 구성요소 및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간단하게 혹은 생략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관리시스템(100)은 건설기계(이동기계)(1) 및 건설기계(1)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서비스카(이동기계)(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위성(3), 통신위성(4), 위성지구국(5), 네트워크 관제국(6), 네트워크(통신회선)(7), 및 서버(8)를 구비하고,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로부터 출력되는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 가동정보 등을 서버(8)로 취득하고, 서버(8)로 관리하에 있는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의 이들의 정보를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서 고객에게 정보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건설기계(1)는 도로 등의 건설현장에 있어서, 굴착, 정지(整地) 등의 작업을 행하는 기계이며, 불도저, 유압셔블 등이 해당된다.
이 건설기계(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분을 전자제어하는 전자제어 컨트롤러(11)와, 이 전자제어 컨트롤러(11)에 접속되는 통신 컨트롤러(12)와, 이 통신 컨트롤러(12)에 접속되는 GPS센서(13) 및 통신단말(14)과, GPS센서(13)에 접속되는 GPS안테나(15)와, 통신단말(14)에 접속되는 위성통신 안테나(16)를 구비하고 있다.
전자제어 컨트롤러(11)는 엔진 회전수, 배터리 전압, 연료잔량, 냉각수온, 서비스 미터, 운전시간, 기타 건설기계(1)를 구동하기 위한 요소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받아, 이들 요소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통신 컨트롤러(12)는, 전자제어 컨트롤러(11)로 검출된 건설기계(1)의 각 구동부분의 상태로부터, 건설기계(1)의 기계정보를 취득하는 부분이며, 구체적으로는, 건설기계(1)의 연료잔량, 가동정보 등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 통신 컨트롤러(12)는 내부에 기억영역을 갖고, 이 기억영역에는 건설기계(1)의 소유자, 기계 자체의 호기번호, 통산 가동시간 등의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GPS센서(13)는 복수의 GPS위성(3)으로부터 출력되는 전파를 GPS안테나(15)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의 상태에 기초해서, 자기의 현재위치를 계측하는 부분이며, 이 GPS센서(13)로 취득된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는, 통신 컨트롤러(12)에 출력된다. 또한, GPS센서(13)로 취득된 현재위치정보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와 조합함으로써,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화상표시장치(17)상에 맵 표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통신 컨트롤러(12)로 취득된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 가동정보 등은 통신단말(14)을 통해 위성통신 안테나(16)로부터 출력되고, 통신위성(4), 위성지구국(5), 네트워크 관제국(6), 및 네트워크(7)를 통해 서버(8)에 출력된다.
또한, 통신 컨트롤러(12) 및 통신단말(14)을 구비하고, 건설기계(1)의 단말(18)이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카(2)는 건설기계(1)의 유지보수를 행하는 이동기계이며,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건설기계(1)와 동일한 구성의 통신 컨트롤러(22), GPS센서(23), 통신단말(24), GPS안테나(25), 및 위성통신 안테나(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GPS센서(23)로 취득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는, 지도 데이터베이스와 조합함으로써,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화상표시장치(27)상에 표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GPS센서(23)는 GPS안테나(25)를 통해 수신한 전파에 기초해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계측한다. GPS센서(23)로부터 출력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는, 통신 컨트롤러(22)로 취득되고, 통신단말(24)을 통해 위성통신 안테나(26)로부터 출력된다. 그리고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는 통신위성(4), 위성지구국(5), 네트워크 관제국(6), 및 네트워크(7)를 통해 서버(8)에 출력된다. 또한, 통신 컨트롤러(22) 및 통신단말(24)을 구비하고, 서비스카(2)의 단말(28)이 구성되어 있다.
네트워크(7)는 TCP/IP 등의 범용의 프로토콜에 기초하는 인터넷으로서 구성되고, 이 네트워크(7)에는 상기의 네트워크 관제국(6), 서버(8)가 접속되어 있다.
서버(8)는 네트워크(7)에 접속되는 WWW(World Wide Web)서버로서 구성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러가지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연산처리장치(81)와, 송수신된 정보를 기억하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82)를 구비한다. 연산처리장치(81)는 연산처리장치(81)에의 데이터의 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입출력 제어수단(83)과, 연산처리장치(81)상에서 동작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상에 전개되는 프로그램으로서의 데이터 취득·갱신수단(84), 서비스카 검색수단(85), 및 건설기계 검색수단(88)과, 연산처리장치(81)로 얻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수단(86)과, 연산처리장치(81)에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조작수단(87)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기억장치(82)내에는,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의 가동관리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고, 건설기계(1)의 정보를 축적하는 건설기계 DB(Database)(821)와, 서비스카(2)의 정보를 축적하는 서비스카 DB(822)를 구비하고 있다.
입출력 제어수단(83)은, 네트워크(7)를 통해 입출력되는 정보의 제어를 행하는 부분이며, 구체적으로는, 단말(18, 28)로부터 통신위성(4), 위성지구국(5), 네트워크 관제국(6), 및 네트워크(7)에 의한 위성통신회선을 통해 입력하는 정보나, 서버(8)의 입력조작수단(87)으로부터 입력된 정보, 서버(8)의 표시수단(86)으로 출력하는 정보의 입출력 제어를 행한다.
데이터 취득·갱신수단(84)은, 단말(18, 28)이나 서버(8)의 입력조작수단(87)으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취득하고, 필요에 따라서 기억장치(82)내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부분이며, 건설기계(1)에 관한 정보를 취득, 갱신하는 건설기 계 정보 취득수단(841)과, 서비스카(2)에 관한 정보를 취득, 갱신하는 서비스카 정보 취득수단(842)을 구비하고 있다.
건설기계 정보 취득수단(841)은,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843)과, 기타 상세정보를 취득하는 건설기계 상세정보 취득수단(844)을 구비하고 있다.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843)은, 건설기계(1)의 단말(18)로부터 네트워크(7)를 통해 송신된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고, 기억장치(82)에 출력한다. 또한 건설기계 상세정보 취득수단(844)은, 통신 컨트롤러(12)의 기억영역에 기억된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 이외의 모든 정보를 네트워크(7)를 통해 취득하고, 기억장치(8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건설기계 상세정보 취득수단(844)이 취득하는 상세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건설기계(1)의 소유자, 건설기계(1)의 호기번호, 통산 가동시간 등의 정보나, 전자제어 컨트롤러(11)로 검출된 각 구동부분의 상태로부터 취득되는 건설기계(1)의 연료잔량, 가동정보 등의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건설기계 정보 취득수단(841)으로 취득된 정보는, 건설기계 DB(821)에 축적된다. 건설기계 DB(821)는,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를 축적하는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과, 건설기계(1)의 기타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을 구비하고 있다.
건설기계 DB(821)는,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과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을 포함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에는, 건설기계(1)의 단 말(18)의 단말 ID와, 각 단말 ID에 따른 호기번호, 및 현재위치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에는, 각 단말 ID에 따른 건설기계(1)의 소유자명(유저명), 건설기계 종류, 가동 이력, 유지보수 이력 등의 상세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건설기계(1)의 가동 이력 및 유지보수 이력은,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레코드내에는, 단말 ID에 따른 가동 이력 파일 및 유지보수 이력 파일의 링크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단말 ID에 따른 건설기계(1)의 가동 이력이나 유지보수 이력을 참조하는 경우, 단말 ID에 따른 가동 이력 파일 또는 유지보수 이력 파일을 참조해서,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카 정보 취득수단(842)은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과, 기타 상세정보를 취득하는 서비스카 상세정보 취득수단(846)을 구비하고 있다.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은,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 네트워크(7)를 통해 송신된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고, 기억장치(82)에 출력한다. 또한, 서비스카 상세정보 취득수단(846)은 통신 컨트롤러(22)의 기억영역에 기억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 이외의 모든 정보를 네트워크(7)를 통해 취득하고, 기억장치(82)에 출력한다.
여기에서, 서비스카 상세정보 취득수단(846)이 취득하는 상세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서비스카(2)가 탑재하고 있는 수리기구의 종류나, 교환부품의 명칭 및 개수, 탑승하고 있는 서비스맨의 성명, 서비스맨의 기술, 서비스카(2)의 순회경로 등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서비스카 정보 취득수단(842)으로 취득된 정보는, 서비스카 DB(822)에 축적된다. 서비스카 DB(822)는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축적하는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과, 서비스카(2)의 기타 정보를 축적하는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을 구비하고 있다.
서비스카 DB(822)는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과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을 포함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에는, 서비스카(2)의 단말(28)의 단말 ID와, 각 단말 ID에 따른 차량번호(기계번호), 및 현재위치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에는, 각 단말 ID에 따른 서비스카(2)가 탑재하고 있는 탑재기구, 탑재부품, 서비스맨 정보, 서비스카(2)의 순회계획 정보 등의 상세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맨 정보는 서비스카(2)에 탑승하는 서비스맨의 성명이나, 그 서비스맨이 보유하는 예를 들면 위험물 취급자격 등의 보유기술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카(2)의 순회계획 정보는, 서비스카(2)가 순회하는 순회경로나, 방문하는 유저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들 서비스맨 정보 및 순회계획 정보는, 건설기계(1)에 관한 가동 이력 및 유지보수 이력과 마찬가지로, 별개의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성되고, 각 레코드내에는 단말 ID에 따른 서비스맨 정보 파일 및 순회계획 파일의 링크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 및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에 축적되는 정보는, 네트워크(7)를 통해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로부 터 각각 송신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건설기계(1)의 소유자나 호기번호 등은 변경이 적으므로, 미리 서버(8)측에 기억시켜 두어도 좋다.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은 서비스카(2)에 의한 유지보수가 필요로 되는 대상의 건설기계(1)를 기준으로 해서, 그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로부터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2)를 검색하는 것이다.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은, 대상의 건설기계(1)로부터 소정 범위내에 있는 서비스카(2)에 관해서 더욱 상세한 검색조건을 취득하는 조건취득수단(851)과, 이 조건취득수단(851)으로 취득된 조건에 기초해서, 상세한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를 검색하는 한정수단(85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은, 대상의 건설기계(1)로부터 소정 범위내에 서비스카(2)가 없던 경우에, 소정 범위를 확장해서 재검색하는 재검색수단(853)을 구비하고 있다.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은,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으로부터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을 참조함으로써,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에 대하여 소정 반경내에 있는 서비스카(2)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소정 반경은 서비스카(2)가 단시간에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에 도착할 수 있어,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는 거리로 미리 설정되고, 예를 들면 소정 반경 20㎞로 설정할 수 있다.
조건취득수단(851)은 대상의 건설기계(1)가 필요한 유지보수에 관한 상세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며, 상세정보는 예를 들면 건설기계(1)로부터 네트워크(7)를 통해 송신되는 상세정보로부터 검출되거나, 서버(8)의 입력조작수단(87)으로부터 입 력됨으로써 취득된다. 또한 상세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용접기 등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기구나, 유지보수에 필요한 교환부품, 서비스맨의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한정수단(852)은 서비스카 검색수단(85)으로 검색되고, 조건에 합치한 서비스카(2) 중에서, 조건취득수단(851)으로 취득된 상세한 검색조건에 기초해서, 더욱 상세한 검색조건에도 합치하는 서비스카(2)를 검색한다.
재검색수단(853)은 미리 설정된 소정 반경내에 서비스카(2)가 없는 경우에, 검색하는 소정 반경을 확대하고,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을 참조해서 합치하는 서비스카(2)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확대되는 설정 소정 반경은 최초의 설정 소정 반경보다 10㎞ 크게 설정되고, 예를 들면 1회째의 재검색시의 소정 반경은 30㎞로 설정된다.
건설기계 검색수단(88)은 서비스카 검색수단(85)에 의해 검색된 서비스카(2)를 기준으로 해서, 그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로부터 소정 범위내에 있는 건설기계(1)를 검색함으로써, 대상의 건설기계(1)를 검색하는 것이다.
다음에, 관리시스템(10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는,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를 취득해서 기억장치(82)에 축적하는 경우의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어져 있다.
우선, 스텝(S1)에 있어서, 건설기계(1)의 단말(18) 및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 및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가 송신된다. 또한, 건설기계(1)의 가동상황 등의 상세정보, 및 서비스카(2)의 탑재기구 등의 상세정보도 동시에 송신된다. 다음에 스텝(S2)에 있어서, 서버(8)의 건설기계 정보 취득수단(841)은,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843)에 의해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를, 또한 건설기계 상세정보 취득수단(844)에 의해 상세정보를, 네트워크(7)를 통해 취득한다. 한편, 서버(8)의 서비스카 정보 취득수단(842)은,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에 의해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또한 서비스카 상세정보 취득수단(846)에 의해 서비스카(2)의 상세정보를, 네트워크(7)를 통해 취득한다.
스텝(S3)에 있어서,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843)으로 취득한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를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에, 건설기계 상세정보 취득수단(844)으로 취득한 상세정보를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에 각각 축적한다. 또한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으로 취득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에, 서비스카 상세정보 취득수단(846)으로 취득한 상세정보를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에 각각 축적한다.
스텝(S4)에 있어서, 서버(8)에서는 건설기계 정보 취득수단(841) 및 서비스카 정보 취득수단(842)은 내장된 타이머에 의해 전회의 정보의 취득시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카운트하고, 감시한다. 그리고 경과시간이 예를 들면 20분 등의 소정 시간을 경과하면, 스텝(S5)에 있어서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에 각각 정보의 문의를 행한다. 따라서, 이 정보의 문의는 소정 시간마다, 예를 들면 20분마다 행해진다.
스텝(S6)에서는, 건설기계(1)의 단말(18) 및 서비스카(2)의 단말(28)은 각각 서버(8)로부터의 문의에 따라, 각각 새롭게 건설기계 위치정보, 건설기계 상세정 보, 서비스카 위치정보, 및 서비스카 상세정보에 의한 갱신정보를 서버(8)에 송신한다.
스텝(S7)에서는, 서버(8)는 단말(18, 28)로부터 취득한 갱신정보를 각각 건설기계 DB(821) 및 서비스카 DB(822)에 갱신시켜, 새로운 정보를 축적한다.
그 후, 스텝(S8)에 있어서 건설기계 정보 취득수단(841) 및 서비스카 정보 취득수단(842)의 경과시간의 카운트를 리셋하고, 스텝(S4)으로 되돌아와서 경과시간의 감시를 행한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해,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로부터 네트워크(7)를 통해 송신되는 정보가 서버(8)의 기억장치(82)에 축적되고, 소정 시간마다 갱신된다.
다음에,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는, 유지보수가 필요한 건설기계(1)를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검색조건에 적합한 서비스카(2)를 검색하는 경우의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 8에 있어서, 스텝(S11)에서는, 예를 들면 고객으로부터의 전화 등에 따라, 조작자가 서버(8)의 입력조작수단(87)으로 단말 ID나 호기번호 등을 입력함으로써, 서버(8)는 검색의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1)의 건설기계 정보를 취득하여, 건설기계(1)를 특정한다.
다음에 스텝(S12)에서는, 서버(8)는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으로부터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스텝(S13)에 있어서,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이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에 축적된 서비스카(2) 의 현재위치정보에 기초해서, 대상의 건설기계(1)와의 거리를 연산하여,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있는 서비스카(2)를 선출한다.
스텝(S14)에 있어서, 서버(8)의 입력조작수단(87)으로부터 보다 나은 상세조건이 입력된다는 등에 의해, 조건취득수단(851)으로 상세조건이 취득된 경우에는, 스텝(S15)에 있어서 한정수단(852)이 한정검색을 행한다. 예를 들면 유지보수에 필요한 수리기구를 탑재하고 있는 것이 상세조건으로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정수단(852)이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을 참조함으로써, 스텝(S13)에서 검색해서 조건에 합치한 서비스카(2) 중에서, 대상의 수리기구를 탑재하고 있는 서비스카(2)를 검색한다.
스텝(S16)에 있어서, 서버(8)는 서비스카 검색수단(85) 또는 한정수단(852)에 의해 검색된 결과,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합치하는 서비스카(2)가 있던 경우에는, 스텝(S18)에 있어서, 서버(8)의 표시수단(86)에 검색된 서비스카(2)의 단말 ID나 현재위치, 상세정보 등을 표시한다. 검색조건에 해당되는 서비스카(2)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표시수단(86)에는 복수의 서비스카(2)의 정보가 표시된다. 또한, 검색조건에 해당되는 서비스카(2)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대상의 건설기계(1)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서비스카(2)의 정보를 표시수단(86)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수단(86)에 표시되는 형태로서는,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도상에 대상의 건설기계(1)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의 서비스카(2) 또는 소정 반경내이며 또한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표시수단(86)에 표시되는 다른 형태로서는,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의 주소, 상세정보 등을 테이블의 형태로 표시해도 좋다.
또한, 스텝(S14)에 있어서, 조건취득수단(851)으로 상세조건이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한정검색은 행해지지 않고, 스텝(S16)으로 진행된다.
조작자는 표시수단(86)에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근처의 서비스카(2) 등 적당하게 서비스카(2)를 선택하면, 서버(8)의 입출력 제어수단(83)은 스텝(S19)에 있어서, 그 서비스카(2)에 유지보수의 요청신호를 출력한다. 서비스카(2)는 서버(8)로부터 유지보수의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스텝(S20)에 있어서, 카내비게이션 등의 화상표시장치(27)에 유지보수의 요청정보를 표시한다. 이 표시에 따라, 서비스카(2)는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로 가서, 필요한 유지보수를 행한다.
스텝(S16)에 있어서, 소정 범위내에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S17)으로 진행되고, 재검색수단(853)이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의 소정 반경을 확대하여, 재차 서비스카(2)의 검색을 행한다. 그리고 스텝(S14)으로 되돌아와서, 상술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서비스카(2)의 화상표시장치(27)에 유지보수 요청이 표시된 경우의 서비스카(2)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서비스카(2)의 화상표시장치(27)에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경우의 관리시스템(100)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상술의 도 8의 스텝(S20)에서, 서비스카(2)의 화상표시장치(27)에 유지보수 요청이 표시된 경우에, 서비스카(2)의 화상표시장치(27)에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서비스카(2)는 도 10의 스텝(S31)에 있어서, 네트워크(7)를 통해 서버(8)에 서비스카(2)의 단말 ID나 기계번호 등의 서비스카(2)를 특정하기 위한 서비스카 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도록 건설기계 표시 요청을 행한다.
서버(8)가 스텝(S32)에 있어서, 서비스카(2)로부터 송신된 서비스카 정보를 취득하면, 스텝(S33)에 있어서, 건설기계 검색수단(88)이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으로부터의 서비스카 위치정보 및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823)으로부터의 건설기계 위치정보에 기초해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로부터 소정 범위내의 건설기계(1)를 검색한다. 여기에서, 검색의 소정 범위내는, 서비스카 검색수단(85)으로 설정된 소정 반경이 초기 설정으로서 설정되고, 재검색수단(853)으로 소정 반경을 확대한 경우에는, 확대한 소정 반경(소정 범위)이 건설기계 검색수단(88)의 소정 반경으로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버(8)는 건설기계 검색수단(88)으로 검색된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 기계번호 등의 건설기계 정보를 서비스카(2)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스텝(S34)에 있어서, 서비스카(2)의 화상표시장치(27)에는,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서비스카(2)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있는 건설기계(1)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유지보수가 필요한 대상의 건설기계(1)는 다른 건설기계(1)와는 다른 표시(예를 들면 건설기계(1)의 아이콘의 색이 다르다는 등)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서비스카(2)의 탑승자는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파악한다.
또한, 서버(8)는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으로부터 대상의 건설기계(1)의 상세정보를 서비스카(2)에 송신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화상표시장치(27)상에서 대상의 건설기계(1)를 선택하는 등의 조작을 행하면, 서버(8)로부터 대상의 건설기계(1)의 상세정보가 송신되어,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대상의 건설기계(1)의 고장개소, 가동상태 등이 화상표시장치(27)에 표시된다.
또한, 도 8의 스텝(S20)에 있어서, 서비스카(2)에 유지보수 요청을 표시할 때에, 서버(8)가 서비스카(2)에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를 동시에 송신함으로써, 유지보수 요청과 동시에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 상세정보 및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화상표시장치(27)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로부터 소정 범위내에 있는 건설기계(1) 전부를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와, 적어도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이러한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1)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1)를 중심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2)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건설기계 근처에 위치하는 서비스카를 지도상에서 찾을 필요가 없고, 서비스카(2)를 신속하게 건설기계(1)로 가게할 수 있어,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2) 조건취득수단(851)과 한정수단(85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비스카 검색수단(85)으로 선정한 서비스카(2) 중, 조건취득수단(851)으로 취득된 상세조건에 더욱 합치하는 것을 한정해서 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기계(1)가 필요한 유지보수의 종류에 따라, 보다 적확하게 서비스카(2)를 배차할 수 있다. 건설기계(1)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종류의 차량이 있고, 따라서 필요로 하는 유지보수도 다방면에 걸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종류에 따라서는 특정의 서비스카가 아니면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한정수단(852)에 의해 필요한 유지보수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카(2)를 검색할 수 있으므로, 건설기계(1)의 관리에 특히 유용하다.
(3) 재검색수단(85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비스카 검색수단(85)으로 검색한 결과, 소정 범위내에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가 없는 경우에는, 검색하는 소정 반경을 확대해서 재검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지보수에 특정의 기구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서는, 소정 범위 밖이여도 그 특정의 기구를 탑재하고 있는 서비스카(2)인 쪽이 우선순위가 높다. 따라서, 재검색수단(853)에 의해 우선순위를 붙여서 검색을 할 수 있으므로, 대응할 수 있는 서비스카(2)가 한정되는 경우가 있는 건설기계(1)의 관리에 특히 유용하다.
(4)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GPS위성(3)을 이용하여 검출하므로, 현재위치를 정확하고 또한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소정시간마다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자동적으로 갱신하므로, 현재위치정보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유자나 서비스맨이 현재위치를 갱신하는 시간도 불필요하게 되므로, 건설기계(1) 및 서비스카(2)를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다.
(5) 건설기계 검색수단(88)이 검색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해 서 소정 범위내의 건설기계(1)를 검색하므로, 서비스카(2)에서는,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서비스카(2)가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에 도착하기 위해서 최단의 경로를 바로 판단할 수 있어, 신속한 서비스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표시장치(27)에 대상의 건설기계(1)의 상세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카(2)가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로 향하기 전에 건설기계(1)의 고장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카(2)가 대상의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에 도착할 때까지 부품이나 장치의 준비 등을 행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행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는 제1실시형태의 건설기계(1)가 단말(18)을 장착하고 있지 않는 미장착차였던 경우에 있어서도, 건설기계(1)의 관리를 행하는 관리시스템(100)인 점이 제1실시형태와 다르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서버(8)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 12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서버(8)의 데이터 취득·갱신수단(84)은 단말을 장착하고 있지 않는 미장착차(1A)(도 16 참조)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는 미장착차 정보 취득수단(84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억장치(82)는 미장착차(1A)에 관한 정보를 축적하는 미장착차 DB(827)를 구비하고 있다.
미장착차 정보 취득수단(847)은 미장착차(1A)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임시위치정보 취득수단(848)과, 미장착차(1A)에 관한 기타 정보를 취득하는 미장착차 상세정보 취득수단(849)을 구비하고 있다.
임시위치정보 취득수단(848)은,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 송신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고, 이 현재위치정보를 미장착차(1A)의 현재위치로서 인식한다. 그리고 이 현재위치정보를 미장착차(1A)의 임시위치로서, 미장착차 DB(827)에 축적한다.
미장착차 상세정보 취득수단(849)은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 송신되거나, 또는 서버(8)의 입력조작수단(87)으로부터 입력된 미장착차(1A)에 관한 상세정보를 취득하여, 미장착차 DB(827)에 축적한다. 여기에서, 미장착차(1A)에 관한 상세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미장착차(1A)의 소유자나, 미장착차(1A)의 건설기계의 종류 등을 들 수 있다.
미장착차 DB(827)는, 임시위치정보 취득수단(848)으로 취득된 미장착차(1A)의 임시위치정보를 축적하는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과, 미장착차 상세정보 취득수단(849)으로 취득된 미장착차(1A)의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관리시스템(100)에서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13에는, 제2실시형태의 관리시스템(100)의 작용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가 나타내어져 있다. 우선, 서비스카(2)가 순회중에 미장착차(1A)를 발견한 경우나, 고객의 요구 등에 따라 미장착차(1A)로 가는 경우에, 서비스카(2)가 미장착차(1A)의 현재위치에 도착한 후, 도 13의 스텝(S21)에 있어서,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 네트워크(7)를 통해 서버(8)에 임시위치 등록화면의 요구신호를 출력 한다.
서버(8)는 이 요구신호를 입출력 제어수단(83)으로 받고, 스텝(S22)에 있어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미장착차(1A)의 정보입력화면(90)을 단말(28)에 송신한다. 이 정보입력화면(90)에는, 미장착차(1A)의 건설기계 종류에 따른 아이콘을 선택하는 아이콘 선택란(91)이나, 미장착차(1A)의 분류 입력란(92), 명칭 입력란(93), 호기번호 입력란(94) 등의 상세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미장착차(1A)의 현재위치를 입력하는 임시위치 입력란(95)이 표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미장착차(1A)의 현재위치로 하므로, 스텝(S23)에 있어서, 서버(8)는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한다. 따라서, 임시위치 입력란(95)에는, 단말(28)로부터 취득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가 미리 입력되어 있다.
스텝(S24)에 있어서, 임시위치 등록화면에 필요사항을 입력하고, 이들 임시위치정보 및 기타의 상세정보를 단말(28)로부터 서버(8)에 출력한다.
스텝(S25)에서는, 서버(8)의 임시위치정보 취득수단(848)이 단말(28)로부터의 임시위치정보를 취득하고, 미장착차 DB(827)를 참조함으로써, 임시위치등록에 따른 미장착차(1A)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미장착차(1A)가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26)에 있어서,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에 임시위치정보를 신규 등록하고, 축적한다. 한편, 스텝(S25)에 있어서, 미장착차(1A)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7)에 있어서,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에 이미 등록된 임시위치정보를 갱신한다.
또한, 임시위치정보 이외의 상세정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스텝(S25)에 있어서, 미장착차 상세정보 취득수단(849)이 미장착차 DB(827)를 참조함으로써, 상세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등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S26)에서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에 신규 등록, 축적하고,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S27)에서 상세정보를 갱신한다. 따라서, 임시위치정보 취득수단(848)은 그 미장착차(1A)에 관한 임시위치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임시위치정보를 갱신하는 임시위치정보 갱신수단이기도 하다.
이상과 같은 작용에 의해 축적된 임시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는 각각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 및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에 축적된다. 미장착차 DB(827)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과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을 포함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성되어 있다.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에는, 정보입력화면(90)에서 입력한 명칭, 그 명칭에 대응한 호기번호 및 임시위치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또한,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에는, 각 명칭에 따른 소유자 이름이나 건설기계 종류 등의 상세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이렇게 임시위치정보가 축적된 미장착차(1A)에 관해서는, 도 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서비스카(2)의 화상표시장치(27)나, 서버(8)의 표시수단(86)에는, 지도상의 임시위치에 미장착차(1A)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 때, 미장착차(1A)인 것을 판별할 수 있도록, 미장착차(1A)의 아이콘의 색이나 형상은, 도 9와 비교해도 알 수 있듯이, 단말(18)을 갖는 건설기계(1)와는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미장착차(1A)를 기준으로 해서 서비스카(2)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이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 및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825)을 참조해서, 대상의 미장착차(1A)를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의 서비스카(2)를 선정한다. 또한, 상세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정수단(852)이 한정검색을 행하고, 또한 소정 반경내에 서비스카(2)가 없는 경우에는, 재검색수단(853)이 소정 반경을 확대해서 재검색을 행한다. 검색결과는,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서버(8)의 표시수단(86) 등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건설기계(1)와는 다른(본 실시형태에서는 색차이) 미장착차(1A)의 아이콘과, 미장착차(1A)의 아이콘을 중심으로 소정 반경내에 있는 서비스카(2)의 아이콘이 표시된다.
이러한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의 (1)~(5)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 외,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6) 미장착차 정보 취득수단(84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말을 갖지 않는 건설기계에 대해서도, 임시위치를 등록함으로써, 미장착차(1A)의 위치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18)을 갖는 건설기계(1)와 마찬가지로, 서비스카 검색수단(85)으로 미장착차(1A)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내의 서비스카(2)를 검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미장착차(1A)에 대해서도, 단말(18)을 갖는 건설기계(1)와 동일한 관리시스템(100)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건설기계(1)의 관리를 보다 충실하게 할 수 있다.
(7)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임시위치로서 등록하므로, 임시위치정보의 입 력화면에 있어서, 임시위치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는 GPS센서(23)로 계측된 것이므로,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미장착차(1A)의 임시위치를 정확하게 등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관리시스템(1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8) 서버(8)가 미장착차(1A)의 정보를 수신하면, 그 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을 행하여,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오래된 정보를 새로운 정보로 갱신한다. 따라서,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의 정보의 송신이 있을 때마다 임시위치정보 및 검사정보의 갱신이 행해지므로,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 및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에는, 항상 최신의 정보가 축적된다. 이것에 의해, 관리시스템(100)의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이동기계와 서버의 통신방식은, 위성통신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지상파를 사용한 통신방식 등, 데이터를 원격지로 송수신할 수 있는 방식이면 임의로 채용할 수 있다.
서버의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에 건설기계의 현재위치정보를 축적해 두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서비스카 검색수단이 서비스카의 검색을 행할 때에,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서버의 입력조작수단으로부터 대상의 건설기계를 특정하고, 서버의 표시수단에 검색결과를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의 단말을 접속시키고, 이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입력조작수단이나 표시수단으로 입력조작, 및 검색결과의 표시를 행해도 좋다. 또한, 입력조작 및 검색결과의 표시는, 대상이 되는 건설기계에 설치된 입력조작수단이나 표시수단으로 행해도 좋다.
조건취득수단 및 한정수단은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관리시스템은, 서비스카 검색수단에 의해 소정 범위내의 서비스카를 검색할 뿐이여도 좋다.
또한, 재검색수단은 한정수단에 의한 한정검색 후에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먼저 소정 범위를 확대해서 재검색을 행하고, 확대된 소정 범위내에 서비스카가 있는 경우에, 그 서비스카에 대하여 상세조건에 관한 한정검색을 행해도 좋다. 또한, 재검색수단은 반드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예를 들면 서비스카 검색수단에 있어서 소정 범위를 충분히 넓게 설정하고 있으면, 재검색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를 선정할 수 있다.
서버는 복수 설치되고, 각각의 서버가 소정의 지역내 또는 소정의 서비스카의 관리를 행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서비스카 검색수단은 서버의 건설기계 위치정보 축적수단 및 서비스카 위치정보 축적수단에 축적된 위치정보로부터 서비스카의 검색을 행하지만, 서버에 기억되어 있는 범위내에 검색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가 없는 경우에는, 서버가 다른 서버, 예를 들면 인접하는 지역을 관리하는 서버에 문의를 행하여, 상기 다른 서버와 통신회선을 통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서버의 서비스카 검색수단으로 검색을 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보다 광범위한 검색이 가능해진다.
단말을 갖지 않는 미장착차에 관한 임시위치정보 및 상세정보는, 새로운 정보가 송신될 때마다 갱신되지만, 미갱신 기간이 장기간에 걸치면, 임시위치정보나 상세정보의 신뢰성이 저하되므로, 예를 들면 소정 시간 경과해도 임시위치정보 및 / 또는 상세정보가 갱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삭제하는 삭제기능을 형성해도 좋다.
미장착차의 임시위치정보의 송신은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서비스카에 탑승한 서비스맨이 휴대전화 등의 통신기기를 이용해서 행하는 것이여도 좋다. 또한, 임시위치정보는 서비스카의 단말로부터 통신회선을 통해 입력해도 좋지만, 서버의 입력조작수단으로부터 직접 입력해도 좋다. 또한, 임시위치정보는 서비스카의 현재위치를 미장착차의 현재위치라고 해서, 자동적으로 현재위치(임시위치)를 검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서비스카의 화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지도상에서 직접 장소를 선택하거나, 서비스카의 단말에 주소를 입력함으로써 임시위치를 특정해도 좋다.
서비스카 검색수단이 한정수단이나 재검색수단을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특정의 기구를 탑재하고 있다는 조건을 서비스카가 소정 범위내에 있다는 조건보다 우선시키는 등, 복수의 검색조건 중 우선해서 검색하는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우선순위 설정기능을 형성해도 좋다.
서비스카가 현재이동중 혹은 건설기계를 유지보수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이동·정지 판단기능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동·정지 판단기능은 예를 들면 소정시간 이상 현재위치정보가 변경되지 않으면 정지로 판단하고, 서비스카가 현재 유지보수중이라고 판단해도 좋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구성, 방법 등은 이상의 기재에서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특정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특별히 도시되고, 또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원하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이상 서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형상, 재질, 수량, 기타 상세한 구성에 있어서, 당업자가 여러가지 변형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개시한 형상, 재질 등을 한정한 기재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들 형상, 재질 등의 한정의 일부 혹은 전부의 한정을 제외한 부재의 명칭에서의 기재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건설기계의 각각에 따른 유지보수를 제공하는 서비스카의 관리시스템이나, 복수의 건설기계를 갖는 경우의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7)

  1. 이동기계(1, 2)에 설치되는 단말(18, 28)과, 이 단말(18, 28)에 통신회선(7)을 통해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이동기계(1, 2)의 관리를 행하는 서버(8)를 갖는 이동기계(1, 2)의 관리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이동기계(1, 2)는 건설기계(1) 및 이 건설기계(1)의 유지보수를 행하기 위한 서비스카(2)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8)는 상기 건설기계(1)의 상기 단말(18)로부터 상기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843);
    상기 건설기계(1)의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
    상기 서비스카(2)의 상기 단말(28)로부터 상기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
    상기 서비스카(2)의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 및
    상기 건설기계 위치정보 취득수단(843)으로 얻은 상기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정보와 상기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으로 얻은 상기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에 기초해서, 대상이 되는 상기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2)를 검색하는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을 구비하고,
    상기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은 대상이 되는 상기 건설기계(1)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상세조건을 취득하는 조건취득수단(851); 및
    대상이 되는 상기 건설기계(1)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2) 중, 상기 조건취득수단(851)으로 취득된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를 상기 서비스카 상세정보 축적수단(826)에 축적된 상기 상세정보에 기초해서 선택하는 한정수단(852)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8)는, 상기 건설기계 상세정보 축적수단(824)에 축적되어 있는 상세정보 중 대상이 되는 상기 건설기계(1)의 상세정보를, 상기 서비스카 검색수단(85)에 의해 검색된 상기 서비스카(2)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기계(1, 2)의 관리시스템(100).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은 상기 상세조건에 합치하는 서비스카(2)가 없는 경우에, 상기 소정 범위를 확장해서 재검색하는 재검색수단(85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기계(1, 2)의 관리시스템(100).
  4. 통신회선(7)을 통해 이동기계(1A, 2)의 관리를 행하는 서버(8)를 갖는 이동기계(1A, 2)의 관리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이동기계(1A, 2)는 단말을 갖지 않는 건설기계(1A)와, 단말(28)을 갖는 것과 아울러 상기 건설기계(1A)의 유지보수를 행하기 위한 서비스카(2)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8)는 상기 통신회선(7)을 통해 또는 상기 서버(8)가 갖는 입력조작수단(87)을 통해 취득한 상기 건설기계(1A)의 위치정보를 상기 건설기계(1A)의 임시위치정보로서 축적하는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
    상기 통신회선(7)을 통해 또는 상기 입력조작수단(87)을 통해 취득한 상기 건설기계(1A)의 상세정보를 축적하는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
    상기 서비스카(2)의 상기 단말(28)로부터 상기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
    상기 임시위치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의 정보를 새로운 상기 임시위치정보로 갱신하는 임시위치정보 갱신수단(848); 및
    상기 임시위치정보 축적수단(828)에 축적되어 있는 상기 건설기계(1A)의 임시위치정보와 상기 서비스카 위치정보 취득수단(845)으로 얻은 상기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정보에 기초해서, 대상이 되는 상기 건설기계(1A)의 임시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소정 범위내에 위치하는 서비스카(2)를 검색하는 서비스카 검색수단(8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기계(1A, 2)의 관리시스템(100).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위치정보는 상기 서비스카(2)의 단말(28)로부터 취득되고, 상기 서버(8)는 상기 서비스카(2)의 상기 단말(28)로부터의 상기 서비스카(2)의 현재위치를 상기 건설기계(1A)의 임시위치정보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기계(1A, 2)의 관리시스템(10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8)는 상기 미장착차 상세정보 축적수단(829)에 축적되어 있는 상세정보 중 대상이 되는 상기 건설기계(1A)의 상세정보를 상기 서비스카 검색수단(85)에 의해 검색된 상기 서비스카(2)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기계(1A, 2)의 관리시스템(100).
KR1020077006434A 2004-09-21 2005-09-16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858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73863 2004-09-21
JP2004273863A JP4262180B2 (ja) 2004-09-21 2004-09-21 移動機械の管理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066A KR20070044066A (ko) 2007-04-26
KR100885864B1 true KR100885864B1 (ko) 2009-02-26

Family

ID=3609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43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85864B1 (ko) 2004-09-21 2005-09-16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06937B2 (ko)
EP (2) EP1855262B1 (ko)
JP (1) JP4262180B2 (ko)
KR (1) KR100885864B1 (ko)
CN (1) CN100489916C (ko)
AU (1) AU2005285950B2 (ko)
TW (1) TW200614028A (ko)
WO (1) WO2006033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7353A (ja) * 2006-10-12 2008-04-2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遠隔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管理センタ側管理装置
JP2008146292A (ja) * 2006-12-08 2008-06-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訪問計画作成方法
JP5144076B2 (ja) * 2007-01-24 2013-02-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移動体管理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サービス支援方法
JP4893440B2 (ja) * 2007-04-13 2012-03-07 船井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893439B2 (ja) * 2007-04-13 2012-03-07 船井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1819414A (zh) * 2008-12-21 2010-09-01 卡特彼勒公司 具有自动执行控制系统的机器和用于操作该机器的方法
KR20100073209A (ko) * 2008-12-23 2010-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에 장착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건설장비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332106B2 (en) * 2009-10-21 2012-12-11 Caterpillar Inc. Tether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machine
KR20110073086A (ko) * 2009-12-23 2011-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간 통신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459177B1 (ko) * 2011-03-02 2014-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격장비 지도데이터 운영시스템
KR101601339B1 (ko) * 2011-04-07 2016-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격장비 전송데이터 운영시스템
KR101656893B1 (ko) * 2011-04-07 2016-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격장비 아이콘 운영유닛
KR101658249B1 (ko) * 2011-04-07 2016-09-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원격장비 경고아이콘 운영유닛
JP2013054682A (ja) * 2011-09-06 2013-03-21 Ohbayashi Corp 建設現場で使用される機器の管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96661B2 (ja) * 2011-11-11 2014-09-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鉱山機械の管理システム及び鉱山機械の管理システムの管理方法
CN102708682B (zh) * 2012-06-20 2014-07-02 深圳市京泰基科技有限公司 乘车与行车方向相匹配的出租车调配系统及方法
JP6078737B2 (ja) * 2012-08-29 2017-02-15 株式会社 聖亘トランスネットワーク 情報選択支援システム、情報選択支援サーバ、情報選択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032112A (zh) * 2013-01-30 2018-12-18 住友重机械工业株式会社 挖土机的异常判定方法、管理装置及挖土机
DE112013000248B4 (de) 2013-11-19 2023-10-19 Komatsu Ltd. Arbeitsmaschinenverwaltungssystem
US9374723B2 (en) 2013-11-19 2016-06-21 Komatsu Lt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US9513136B2 (en) * 2015-03-04 2016-12-06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Viewing, modifying, and/or creating routes
WO2017047584A1 (ja) * 2015-09-18 2017-03-23 株式会社 東芝 街頭情報処理システム、街頭情報処理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クライアントおよびサーバ、ならびにこれら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071015B (zh) 2016-04-29 2021-11-30 美国联合包裹服务公司 无人机拾取及递送系统
US10730626B2 (en) 2016-04-29 2020-08-04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s of photo matching and photo confirmation for parcel pickup and delivery
JP7004131B2 (ja) * 2017-01-19 2022-01-21 株式会社大林組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6805883B2 (ja) * 2017-02-28 2020-12-2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10775792B2 (en) 2017-06-13 2020-09-1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Autonomously delivering items to corresponding delivery locations proximate a delivery route
JP6814714B2 (ja) * 2017-09-20 2021-01-20 日立建機株式会社 施工管理システム
JP6730244B2 (ja) * 2017-11-14 2020-07-29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
JP7246132B2 (ja) 2017-12-27 2023-03-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現場の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現場の管理方法
JP7080686B2 (ja) * 2018-03-19 2022-06-0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の支援装置、支援方法、支援プログラム
EP3770334B1 (en) * 2018-03-23 2024-03-13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Shovel
JP2023155041A (ja) * 2022-04-08 2023-10-20 マ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1547A (ja) * 2000-09-13 2002-03-29 Komatsu Ltd 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02133588A (ja) * 2000-10-18 2002-05-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クシー配車運用システムおよび配車方法、ならびに配車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30790A (ja) * 2001-07-18 2003-01-31 Casio Comput Co Ltd 配車手配システムおよび配車手配方法
JP2003288680A (ja) * 2002-03-28 2003-10-10 Casio Comput Co Ltd 交通情報通報/表示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交通情報通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051A (ja) 1993-12-28 1995-08-04 Amada Metrecs Co Ltd 端末情報監視システム
US5945919A (en) * 1996-05-30 1999-08-31 Trimble Navigation Limited Dispatcher free vehicle allocation system
DE19938454A1 (de) * 1999-08-13 2001-02-22 Tenovis Gmbh & Co Kg Verfahren und Kommunikationssystem zur optimierten Steuerung einer Vielzahl von mobilen Stationen zu Zielorten
JP2001084492A (ja) * 1999-09-09 2001-03-30 Hitachi Cable Ltd 車両運転支援装置
US6292724B1 (en) * 1999-10-12 2001-09-18 Micrologic, Inc. Method of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remotely monitoring the location, status, utilization and condition of widely geographically dispresed fleets of vehicular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like and providing and displaying such information
US6339736B1 (en) * 2000-03-31 2002-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tribution of automotive services
JP4493192B2 (ja) 2000-09-13 2010-06-3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バッチ式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6408243B1 (en) * 2000-10-26 2002-06-1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ervice delivery system
JP3533646B2 (ja) * 2000-11-14 2004-05-31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配車システム
US20020116107A1 (en) * 2001-02-07 2002-08-22 Deere & Company Method of monitoring equipment of an agricultural machine
MXPA03008540A (es) * 2001-03-19 2005-03-07 Micrologic Inc Sistema para rastreo remoto de vehiculos.
JP4703917B2 (ja) * 2001-09-10 2011-06-15 コマツレンタル株式会社 レンタルシステム及びレンタル業務支援方法
US6651001B2 (en) * 2002-03-18 2003-11-18 Micrologics, Inc. Method of and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maintenance vehicle and service personnel tracking information with the remote monitoring of the location, status, utilization and condition of widely geographically dispersed fleets of vehicular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like to be maintained, and providing and displaying together both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vehicle information
US7278567B2 (en) * 2004-08-25 2007-10-09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service dispa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1547A (ja) * 2000-09-13 2002-03-29 Komatsu Ltd 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JP2002133588A (ja) * 2000-10-18 2002-05-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クシー配車運用システムおよび配車方法、ならびに配車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30790A (ja) * 2001-07-18 2003-01-31 Casio Comput Co Ltd 配車手配システムおよび配車手配方法
JP2003288680A (ja) * 2002-03-28 2003-10-10 Casio Comput Co Ltd 交通情報通報/表示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交通情報通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33293A1 (ja) 2006-03-30
JP4262180B2 (ja) 2009-05-13
KR20070044066A (ko) 2007-04-26
JP2006092017A (ja) 2006-04-06
EP2533225A1 (en) 2012-12-12
AU2005285950B2 (en) 2009-03-12
EP1855262B1 (en) 2013-04-17
EP2533225B1 (en) 2014-04-16
EP1855262A4 (en) 2010-06-09
AU2005285950A1 (en) 2006-03-30
CN100489916C (zh) 2009-05-20
US7706937B2 (en) 2010-04-27
US20080071470A1 (en) 2008-03-20
TW200614028A (en) 2006-05-01
EP1855262A1 (en) 2007-11-14
CN101023458A (zh)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864B1 (ko) 이동기계의 관리시스템
US8108242B2 (en) Working machine failure information centralized managing system
US10370827B2 (en) Excavator managing device and support device
KR100785749B1 (ko) 휴대전화 대응형 건설기계
EP1617391A2 (en) Apparatus for presenting information on mobile bodies
CN109426869B (zh) 工程机械的消耗品维护日程信息调整服务器及方法
SE525290C2 (sv) Geodetiskt system för mätning/utsättning och metod för användning av detsamma
EP1403837B1 (en) Map distribution system and terminal device
KR20040034116A (ko) 차량 장착 단말기 및 차량 종합 관리 서버와, 이 차량장착 단말기를 사용한 차량 종합 관리 시스템
US9131286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EP3690764B1 (en) Construction machine inspection assistance system, management server, and inspection report creation system
US7360124B2 (en) Autonomous network fault de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US200200338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peration status of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therefor
US20050192860A1 (en) Supplemental parts production forecasting system, supplemental parts production forecasting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JP2014038437A (ja) 対地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対地作業機
JP2003034953A (ja) 機械の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3119831A (ja) メンテナンス計画作成システム、メンテナンス計画作成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20050033510A1 (en) Vehicle-mounted information apparatus
JP2019194822A (ja) 燃料配送管理システム、配送車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65492A (ja) 走行情報管理方法、走行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U2009101263B4 (en) A system and method of remote diagnostics
JP2007164578A (ja) 車載無線通信装置および車載端末装置
KR20100073194A (ko) 위치별 수신감도 데이터 수집/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72617A (ko) 측량 작업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