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920B1 -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6920B1 KR100846920B1 KR1020060084674A KR20060084674A KR100846920B1 KR 100846920 B1 KR100846920 B1 KR 100846920B1 KR 1020060084674 A KR1020060084674 A KR 1020060084674A KR 20060084674 A KR20060084674 A KR 20060084674A KR 100846920 B1 KR100846920 B1 KR 100846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cell stack
- distribution mechanism
- cooling water
- common distribu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9—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comprising two or more groupings of fuel cells, e.g. modular assembl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적층된 단위전지와, 상기 단위전지의 양단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된 연료전지 스택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 일측이 상기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연통되며,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각각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라인; 및 일측이 상기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연통되며,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외부로 각각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라인이 구비된 공용 분배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이 상기 공용 분배 기구를 중심으로 단층의 방사상으로 체결되며, 상기 결합부는 블럭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한다. 이에 공용 분배 기구를 중심으로 연료전지 스택을 단층의 방사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많은 수의 단위 전지의 적층 시 발생할 수 있는 분리판 간의 오차 발생을 줄여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직렬 연결에 의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연료전지 스택, 공용 분배 기구, 다면체, 결합부, 체결부, 공급라인, 배출라인, 단층, 방사상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의 정면 투시도 및 측면 투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정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도 7에 따른 A-A 내지 F-F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정면도.
도 17 내지 도 22는 도 16에 따른 A-A 내지 F-F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a~21c : 연료전지 스택 22 : 공용 분배 기구
141a~141c : 충진 구조물 143 : 외부링
본 발명은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각형의 공용 분배 기구를 중심으로 다중으로 연료전지 스택을 배열하여 연료를 균등하게 분배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로, 수소이온(H+)이 전달되는 전해질막(elctrolyte membrane)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수소가 공급되는 연료극(anode) 및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극(cathode)이 구비된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분리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연료전지 스택을 형성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11)은 양측 단부를 지지하는 두 개의 엔드 플레이트(12)가 복수의 체결봉(13) 혹은 체결 밴드(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체결봉(13)이 체결너트(14)에 의해 엔드 플레이트(12)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렇게 체결된 연료전지 스택은 하단에 복수 개를 놓고 그 상부에 연료가스와 냉각수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공용 분배 기구를 결합한 후 다시 공용 분배 기구의 상부에 연료전지 스택을 복수 개 적층하는 복층 구조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연료전지의 단위 셀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약 1.2 볼트이기 때문에, 원하는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수십 내지 수백 개의 단위 셀을 적층 해야 한다. 그러나 단위 셀을 많이 적층 할수록 분리판 간의 정렬 오차가 발생하여 정밀도가 감소하며, 직렬 연결에 의한 내부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각 단위 셀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 차이가 커지게 되어 연료전지의 각 분리판 간의 성능이 불균일해 질 수 있다.
과도한 직렬 연결시 연료 가스를 모든 단위 셀에 균일하게 공급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연료전지의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과도한 스택의 적층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효율저하를 방지하고, 단층 구조로 연료 가스를 모든 연료전지 스택에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적층된 단위전지와, 상기 단위전지의 양단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된 연료전지 스택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로 형성되며, 상기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 일측이 상기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연통되며,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각각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라인; 및 일측이 상기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연통되며,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외부로 각각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라인이 구비된 공용 분배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이 상기 공용 분배 기구를 중심으로 단층의 방사상으로 체결되며, 상기 결합부는 블럭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제공한다.
상기 각각의 공급라인 및 배출라인은 상기 공용 분배 기구 내부에서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단차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이웃한 연료전지 스택 간의 간극 발생시 상기 간극의 형상에 대응하는 충진 구조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 구조물은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충진 구조물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은 이들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외부링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용 분배 기구는 금속이나 폴리머,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따른 엔드 플레이트의 정면 투시도 및 측면 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3은 도 7에 따른 A-A 내지 F-F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은 정육면체 형상의 공용 분배 기구(22)를 중심으로 주변에 4개의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이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단층으로 체결됨으로써 구현된다.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므로 공용 분배 기구(22)를 중심으로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을 배치하면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 간의 간극 발생 없이 상호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은 공용 분배 기구(22)와 직렬로 연결되므로 연료 가스의 분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연료전지 스택(21)은 단위 셀과 분리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단위 셀 적층부(32)와, 단위 셀 적층부(32)의 양단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31, 33)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 플레이트(31)의 측면에는 공용 분배 기구() 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체결부(41a~41h)와, 공용 분배 기구(22)로부터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공급받는 수소 공급부(43a)와 공기 공급부(43b) 및 냉각수 공급부(43c)와,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공용 분배 기구(22)로 배출하기 위한 수소 배출부(43f)와 공기 배출부(43e) 및 냉각수 배출부(43d)가 형성된다.
체결부(41a~41h)는 엔드 플레이트(31)의 폭이 좁은 측면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요입된 형상을 갖는다.
단위 셀 적층부(32)가 접촉되는 엔드 플레이트(31)의 넓은 면에는 공용 분배 기구(22)로부터 공급되는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단위 셀 적층부(32)로 공급하는 스택 수소 공급부(44a)와 스택 공기 공급부(44b) 및 스택 냉각수 공급부(44c)와, 단위 셀 적층부(32)에서 사용되고 배출되는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공용 분배 기구(22)로 배출하기 위한 스택 수소 배출부(44f)와 스택 공기 배출부(44e) 및 스택 냉각수 배출부(44d)가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 공급부(43a)와 스택 수소 공급부(44a)는 수소 공급 통로(51a)에 의해 연결되며, 공기 공급부(43b)와 스택 공기 공급부(44b)는 공기 공급 통로(51b)에 의해 연결되고, 냉각수 공급부(43c)와 스택 냉각수 공급부(44c)는 냉각수 공급 통로(51c)에 의해 연결된다(편의상 체결부는 도시하지 않았음).
마찬가지로 수소 배출부(43f)와 스택 수소 배출부(44f)는 수소 배출 통로(51f)에 의해 연결되고, 공기 배출부(43e)와 스택 공기 배출부(44e)는 공기 배출 통로(51e)에 의해 연결되며, 냉각수 배출부(43d)와 스택 냉각수 배출부(44d)는 냉 각수 배출 통로(51d)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엔드 플레이트(31)의 내부에서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가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각각의 공급 및 배출 통로는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분배 기구(22)는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금속이나 폴리머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진다.
공용 분배 기구(22)의 4개의 측면(22b)에는 연료전지 스택(21)의 엔드 플레이트(31)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63a~63h)가 형성된다. 또한, 상면(22a)과 측면(22b)에는 공급라인(22c)과 배출라인(22d)이 형성되어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한다.
결합부(63a~63h)는 엔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체결부(41a~41h)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육면체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체결부(41a~41h)에 체결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부(63a~63h)의 외측과 체결부(41a~41h)의 내측에 상호 맞물림에 의해 걸림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추가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공급라인(22c)은 공용 분배 기구(2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결되며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공급하는 메인 수소 공급부(61a)와 메인 공기 공급부(61b) 및 메인 냉각수 공급부(61c)와,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수소 공급부(62a)와 서브 공기 공급부(62b) 및 서브 냉각수 공급부(62c)로 구성된다(도 8 내지 도 13 참조). 서브 수소 공급부(62a)와 서브 공기 공급부(62b) 및 서브 냉각수 공급부(62c)는 각각 메인 수소 공급부(61ㅁ)와 메인 공기 공급부(62b) 및 메인 냉각수 공급부(61c)에 각각 연결된다.
배출라인(22d)은 공용 분배 기구(2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수소 배출부(61d)와 메인 공기 배출부(61e) 및 메인 냉각수 배출부(61f)와,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수소 배출부(62f)와 서브 공기 배출부(62e) 및 서브 냉각수 배출부(62d)로 구성된다(도 8 내지 도 13 참조). 서브 수소 배출부(62f)와 서브 공기 배출부(62e) 및 서브 냉각수 배출부(62d)는 각각 메인 수소 배출부()와 메인 공기 배출부() 및 메인 냉각수 배출부()에 각각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급라인(22c) 및 배출라인(22d)은 공용 분배 기구(22)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되어 겹치지 않도록 단차를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소 공급부(61a)는 외부와 연결되어 수소를 공용 분배 기구(22)의 내부로 공급한다. 서브 수소 공급부(62a)는 일측이 메인 수소 공급부(61a)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수소 공급부(43a)와 연통되어 메인 수소 공급부(61a)로부터 공급된 수소를 연료전지 스택(21)으로 분배한다. 따라서 공용 분배 기구(21)의 측면(22b)에 형성되는 서브 수소 공급부(62a)와 엔드 플레이트(31)의 측면에 형성되는 수소 공급부(43a)는 같은 높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공급부(61b)는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용 분배 기구(22)의 내부로 공급한다. 서브 공기 공급부(62b)는 일측이 메인 공기 공급부(61b)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결합되는 엔 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공기 공급부(43b)와 연통되어 메인 공기 공급부(61b)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연료전지 스택(21)으로 분배한다. 따라서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형성되는 서브 공기 공급부(62b)와 엔드 플레이트(3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기 공급부(43b)는 같은 높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냉각수 공급부(61c)는 외부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용 분배 기구(22)의 내부로 공급한다. 서브 냉각수 공급부(62c)는 일측이 메인 냉각수 공급부(61c)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냉각수 공급부(43c)와 연통되어 메인 냉각수 공급부(61c)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연료전지 스택(21)으로 분배한다. 따라서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형성되는 서브 냉각수 공급부(62c)와 엔드 플레이트(31)의 측면에 형성되는 냉각수 공급부(43c)는 같은 높이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냉각수 배출부(61d)는 외부와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용 분배 기구(22)의 외부로 배출한다. 서브 냉각수 배출부(62d)는 일측이 메인 냉각수 배출부(61d)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냉각수 배출부(43d)와 연통되어 연료전지 스택(21)으로부터 배출된 냉각수가 공용 분배 기구(22)를 통과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공기 배출부(61e)는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를 공용 분배 기구(22)의 외부로 배출한다. 서브 공기 배출부(62e)는 일측이 메인 공기 배출부(61e)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공기 배출부(43e)와 연통되어 연료전지 스택(21)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공용 분배 기구(22)를 통과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수소 배출부(61f)는 외부와 연결되어 수소를 공용 분배 기구(22)의 외부로 배출한다. 서브 수소 배출부(62f)는 일측이 메인 수소 배출부(61f)에 연결되고 타측이 공용 분배 기구(22)의 측면(22b)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수소 배출부(43f)와 연통되어 연료전지 스택(21)으로부터 배출된 수소가 공용 분배 기구(22)를 통과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공용 분배 기구를 중심으로 연료전지 스택을 단층으로 배열하되 방사상으로 배치하게 되면 연료전지 스택이 공용 분배 기구와 직접 연결되므로 많은 수의 단위 전지의 적층시 발생할 수 있는 분리판 간의 오차 발생을 줄여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연료 가스를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으며, 각종 반응물의 교환이 원활해진다. 또한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직렬 연결 방식이 아니므로 내부 저항을 줄일 수 있고, 내부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차가 작아져 연료전지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공용 분배 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17 내지 도 22는 도 16에 따른 A-A 내지 F-F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은 상면 및 하면이 정삼각형인 정오면체 형상의 공용 분배 기구(142)를 중심으로 각각의 측면에 하나씩의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이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단층으로 체결되어 구현된다.
또한, 이웃한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 간의 간극을 채우기 위해 충진 구조물(141a, 141b, 141c)이 삽입되며, 충진 구조물(141a, 141b, 141c)과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이 밀착 결합되도록 외부링(143)이 이들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한다(연료전지 스택과 엔드 플레이트에 관한 설명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충진 구조물(141a, 141b, 141c)은 고무 재질로 만들어지며,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 간의 간극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 및 하면이 삼각형인 오면체의 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링(143)은 일종의 고정 막으로서,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과 충진 구조물(141a, 141b, 141c)의 외주면을 감싸며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과 충진 구조물(141a, 141b, 141c)이 유동되지 않도록 서로 밀착 결합시킨다. 외부링(143)은 연료전지 스택(21a, 21b, 21c)과 충진 구조물(141a, 141b, 141c)이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면 그 재질에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분배 기구(142)는 정오면체 형상을 가지며, 금속이나 폴리머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진다.
공용 분배 기구(142)의 각각의 측면(142b)에는 연료전지 스택(21)의 엔드 플레이트(31)와 결합되기 위한 복수의 결합부(153a~153h)가 형성된다. 또한, 공용 분배 기구(142)의 상면과 측면에는 공급라인(142c)과 배출라인(142d)이 형성되어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결합부(153a~153h) 역시 엔드 플레이트(31)에 형성된 체결부(41a~41h)에 체결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부(153a~153h)의 외측과 체결부(41a~41h)의 내측에 상호 맞물림에 의해 걸림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추가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공급라인(142c)은 공용 분배 기구(14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공급하는 메인 수소 공급부(151a)와 메인 공기 공급부(151b) 및 메인 냉각수 공급부(151c)와, 공용 분배 기구(142)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수소 공급부(152a)와 서브 공기 공급부(152b) 및 서브 냉각수 공급부(152c)로 구성된다. 서브 수소 공급부(152a)와 서브 공기 공급부(152b) 및 서브 냉각수 공급부(152c)는 메인 수소 공급부(151a)와 메인 공기 공급부(151b) 및 메인 냉각수 공급부(151c)에 각각 연결된다(도 17 내지 도 22 참조).
배출라인(142d)은 공용 분배 기구(142)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결되어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메인 수소 배출부(151f)와 메인 공기 배출부(151e) 및 메인 냉각수 배출부(151d와, 공용 분배 기구(142)의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서브 수소 배출부(152f)와 서브 공기 배출부(152e) 및 서브 냉각수 배출부(152d)로 구성된다. 서브 수소 배출부(152f)와 서브 공기 배출부(152e) 및 서브 냉각수 배출부(152d)는 메인 수소 배출부(151f)와 메인 공기 배출부(151e) 및 메인 냉각수 배출부(151d)에 각각 연결된다(도 17 내지 도 22 참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급라인(142c) 및 배출라인(142d)은 공용 분배 기구(142)의 내부에서 서로 교차되어 겹치지 않도록 단차를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각각의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에 관한 세부적인 설명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 공용 분배 기구가 정육면체 또는 정오면체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공용 분배 기구는 정칠면체나 정팔면체 등 다면체라면 제한없이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충진 구조물의 형태 역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은 공용 분배 기구를 중심으로 연료전지 스택을 단층의 방사상으로 배열함으로써 많은 수의 단위 전지의 적층 시 발생할 수 있는 분리판 간의 오차 발생을 줄여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직렬 연결에 의한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과도한 직렬 연결 구조를 탈피함으로써 각 연료전지 스택 내부의 단위 전지를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차가 작아지며, 연료전지 스택에 연료 가스를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연료전지 스택의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 다수의 적층된 단위전지와, 상기 단위전지의 양단을 지지하는 엔드 플레이트가 구비된 연료전지 스택에 있어서,상면 및 하면과 복수의 측면으로 이루어진 다면체로 형성되며,상기 측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일측이 상기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연통되며,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각각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급라인; 및일측이 상기 다면체의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을 통해 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연통되며,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소와 공기 및 냉각수를 외부로 각각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라인이 구비된 공용 분배 기구를 포함하며,상기 엔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이 상기 공용 분배 기구를 중심으로 단층의 방사상으로 체결되며, 상기 결합부는 블럭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각각의 공급라인 및 배출라인은 상기 공용 분배 기구 내부에서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단차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연료전지 스택과 이웃한 연료전지 스택 간의 간극 발생시 상기 간극의 형상에 대응하는 충진 구조물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충진 구조물은 고무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충진 구조물과 상기 연료전지 스택은 이들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외부링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용 분배 기구는 금속이나 폴리머,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674A KR100846920B1 (ko) | 2006-09-04 | 2006-09-04 |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4674A KR100846920B1 (ko) | 2006-09-04 | 2006-09-04 |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1351A KR20080021351A (ko) | 2008-03-07 |
KR100846920B1 true KR100846920B1 (ko) | 2008-07-17 |
Family
ID=39395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4674A KR100846920B1 (ko) | 2006-09-04 | 2006-09-04 |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692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2795B1 (ko) * | 2019-04-10 | 2020-02-28 |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 연료전지 스택의 분산형 체결 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1239A (ja) * | 1991-06-18 | 1993-02-19 | Nkk Corp | 高温型燃料電池モジユ−ル |
JP2001110439A (ja) * | 1999-10-08 | 2001-04-20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 |
KR20040106582A (ko) * | 2002-12-25 | 2004-12-17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연료 전지 |
KR20070018152A (ko) * | 2005-08-09 | 2007-02-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 구조 |
-
2006
- 2006-09-04 KR KR1020060084674A patent/KR10084692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41239A (ja) * | 1991-06-18 | 1993-02-19 | Nkk Corp | 高温型燃料電池モジユ−ル |
JP2001110439A (ja) * | 1999-10-08 | 2001-04-20 | Toyota Motor Corp | 燃料電池 |
KR20040106582A (ko) * | 2002-12-25 | 2004-12-17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연료 전지 |
KR20070018152A (ko) * | 2005-08-09 | 2007-02-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연료전지 스택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1351A (ko) | 2008-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8229B2 (en) | Cell-module cartridge, cell-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cartridg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cell-module | |
US9356307B2 (en) | Multiple stack fuel cell system | |
US8859131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EP2732498B1 (en) | Sofc stack with temperature adapted compression force means | |
US8956751B2 (en) |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 |
US7713649B2 (en) | Fuel cell stack with internal fuel manifold configuration | |
WO2010087651A4 (ko) | 셀 상호간 복합연결망으로 구성된 셀 카트리지 | |
JP7240793B2 (ja) | コンパクトな高温電気化学セルスタックアーキテクチャ | |
US9112219B2 (en) | Multiple stack fuel cell system with shared plenum | |
KR20120119405A (ko) | 배터리 모듈 | |
WO2013080338A1 (ja) | 電池ブロック及びそれを有する電池モジュール | |
KR20050013166A (ko) | 연료전지 및 연료전지스택 | |
KR100846920B1 (ko) | 다중 모듈 체결 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스택 | |
JP2007280652A (ja) | 平板型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及びその燃料欠乏回避方法 | |
US20220166113A1 (en) | Battery cell assembly having gas exhaust and heat emission function | |
WO2008050598B1 (en) | Fuel cell | |
US11335919B2 (en) | Selectively rotated flow field for thermal management in a fuel cell stack | |
US20190363320A1 (en) | Cell cartridge | |
JP7202107B2 (ja) | 電気化学セルスタック、燃料電池および水素製造装置 | |
EP4432408A1 (en) | Stress relief structure | |
JPH0143819Y2 (ko) | ||
CN220086307U (zh) | 一种高功率大电芯及二次电池 | |
KR20220167679A (ko) | 레독스 흐름전지 스택 조립 용이성 구조 | |
CA1308776C (en) | Fuel cell and method of ameliorating temperature distribution thereof | |
CN116093555A (zh) | 电芯结构以及电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