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832406B1 -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406B1
KR100832406B1 KR1020080008927A KR20080008927A KR100832406B1 KR 100832406 B1 KR100832406 B1 KR 100832406B1 KR 1020080008927 A KR1020080008927 A KR 1020080008927A KR 20080008927 A KR20080008927 A KR 20080008927A KR 100832406 B1 KR100832406 B1 KR 100832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tary arm
high pressure
customs
sewag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일
Original Assignee
태주종합철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주종합철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주종합철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40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9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having self-contained propelling means for moving the cleaning devices along the pipes, i.e. self-propelled
    • B08B9/0492Heavy-type cleaning devices, e.g. crawlers with plural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 세관장치는,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신장 및 압축을 조정하는 길이조정수단과,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회전분사하는 분사장치와, 상기 분사장치와 상,하수도관로 내면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길이조정수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로 내벽에 고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하수도관, 세관, 회전암, 길이조정수단, 분사장치, 임펠라

Description

상,하수도관 세관장치{Water supply steel pipe and Sewer pipe rehabilitation equipments}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세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 내벽에 고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수도관로(이하, '관로')는 부식 방지를 위하여 콜타르 에나멜 및 액상 에폭시수지 도료를 일정한 두께로 스프레이 코팅하여 자체적인 방식효과를 얻도록 하였다. 이러한 콜타르에나멜과 액상 에폭시수지 도료로 코팅된 관로는 매설 후 시간이 지날수록 관로 내외 압력 변동으로 인하여 관로의 도장이 탈리되어 방식성과 방청성이 떨어지고, 그로 인하여 부식이 진행되어 관로 내부에 스케일이 침적되면서 관로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핀홀(pinhole)에 의한 누수 발생 및 두꺼운 물때 층을 이루는 슬라임(slime)등으로 인하여 수질 저하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노후 관로에 대한 갱생은 통상 구간을 정하여 단수를 한 후, 관로의 내부 상태를 파악하게 된다. 그런 다음 관로 내부의 스케일 등을 제거하고 제거된 폐기물은 관로의 외부로 배출시킨 후, 관로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관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세관작업 후에는 건조작업을 거쳐 관로의 내벽에 도장을 입히는 라이닝 작업을 수행하여 노후 관로를 갱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세관작업시 사용되는 종래의 세관장치는 최대 압력 1000bar이내의 물과 압축공기 그리고 모래 또는 그리트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쇼트블라스팅 또는 샌드블라스팅 공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모래 또는 그리트를 사용함에 따라 분진이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770976호 '상수관로 갱생용 무인 세관차량이'(이하, '선행기술')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세관차량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관차량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세관차량의 가동분사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기술에 따른 세관차량은, 관로의 내부 벽에 고착된 스케일 등을 외부의 워터젯 장비로부터 세척수를 전달받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차량본체(1)의 전.후방측으로 관로의 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조명을 갖는 다수의 감시용 카메라(11,13)가 특정 부위에 설치된다.
또한, 양측 궤도부(2)에 의해서 차량본체(1)의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량본체(1)는 관로의 내벽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장치(4)가 탑 재되며, 상기 분사장치(4)는 승강구동부(6)와 위치조절수단에 의해서 상.하 위치이동과 좌.우 회동 및 직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장치(4)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분사노즐(41)은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신축기능을 갖는 가동 분사노즐(9)을 분사노즐(41)과 인접되게 별도 구비하여 노즐과 관로 내벽 간의 분사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가동 분사노즐(9)은 관로의 내벽을 따라 구름 접촉하는 구형롤러(92)를 가지며 상기 구형롤러(92)의 타측 단부측에 스토퍼(94)가 형성된 노즐몸체(9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즐몸체(90)는 노즐 고정구(91)에 의해서 분사노즐(41)과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노즐 고정구(91)와 구형롤러(92)의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93)에 의해서 상시 외측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기 설치된 분사노즐(41)의 단부측은 폐쇄되고, 상기 분사노즐(41)과 노즐몸체(90)는 관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따른 세관차량은 관로 내부로 깊이 들어갈 경우 워터젯 장비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호스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른 압력저하가 발생해 세관작업에 필요한 세척수의 압력을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게 된다. 즉, 압력이 떨어진 세척수로 관내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힘들게 된다.
또한, 관로 내부와 최대한 인접해서 세척수를 분사해줘야 압력손실 없이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지만, 상기 분사노즐(41)은 관로의 내경에 따른 길이 조정이 어려운 문제점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41)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가동 분사노즐(9)이 제시되었지만, 이 또한, 베이스가 되는 상기 분사노즐(41)은 고정되고, 상기 분사노즐(41)을 상기 노즐 고정구(91)로 상기 분사노즐(41)을 슬라이딩함에 조정하지만, 상기 분사노즐(41)의 크기가 한정됨에 의해 가동 분사노즐(9)의 조정범위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관로에 모두 적용되기에는 힘든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내경이 작은 관로부터 내경이 큰 관로까지 다양한 크기에 모두 적용하는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한편, 관로의 내경에 맞춰 길이가 각기 다른 분사노즐(41) 및 가동 분사노즐(9)을 교체함에 관로의 내경에 근접하게 조정할 수 있지만, 이는 교체사용에 따른 시간과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게된다.
또한, 분사노즐(410 및 가동분사노즐(9)을 사용자가 직접 조정하여 사용하므로 사용에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아울러, 상기 분사노즐(41) 및 가동 분사노즐(9)은 그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작은 반경을 가지므로 관로의 세관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시공의 비효율성을 초래하여 경제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로 내벽에 고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로 내부로 깊이 들어가 세관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세척수의 압력저하가 발생하지 않아 스케일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관로의 내경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해 관로 내경과 최대한 인접해서 세척수를 분사해주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넓은 반경을 가지므로 관로의 세관작업시간이 단축됨을 물론 시공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 세관장치는,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의 신장 및 압축을 조정하는 길이조정수단과,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회전분사하는 분사장치와, 상기 분사장치와 상,하수도관로 내면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지를 판단 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길이조정수단을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암을 상기 상,하수도관로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암은, 회전암본체와, 상기 회전암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작동유를 공급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펌프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을 구비하는 모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장치는, 인입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입부와 연통되는 회전노즐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노즐 상단에는 임펠라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라는 상기 회전노즐과 축결합되어 상기 인입부를 통한 세척수에 의해 회전된다.
한편, 상기 회전노즐에는 노즐모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하수도관의 경사도와 상기 본체의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경사계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사장치에 연결되는 고압호스와, 상기 고압호스로 세척수를 주입하는 고압펌프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압호스는,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병렬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고압호스와, 상기 제1고압호스의 세척수가 합류하여 상기 분사장치로 연결하는 제2고압호스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고압펌프는 상,하수관로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압펌프는 상,하수관로 내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수도관 세관장치에 따르면, 관로 내벽에 고착된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관로 내부로 깊이 들어가 세관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세척수의 압력저하가 발생하지 않아 스케일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관로의 내경에 따른 길이조정이 가능해 관로 내경과 최대한 인접해서 세척수를 분사해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관로의 내경에 따라 길이조정이 자동으로 이뤄진다.
또한, 세척수의 분사범위가 넓은 반경을 가지므로 관로의 세관작업시간이 단축됨을 물론 시공의 효율성이 향상되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내경이 작은 관로부터 내경이 큰 관로까지 다양한 크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범용성이 높아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관장치는(A)는, 캐터필러(101)가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회전암(200)과, 상기 회전암(200)의 신장 및 압축을 조정하는 길이조정수단(300)과, 상기 회전암(200)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회전분사하는 분사장치(400)와, 상기 분사장치(400)와 상,하수도관로(이하, '관로') 내면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센서(500) 및 상기 위치센서(500)의 측정값에 의해 길이조정수단(300)을 조정하는 제어부(600)로 구분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캐터필러(101)는 다양한 크기의 관로의 직경에 따라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캐터필러(101)의 폭을 자유로이 조절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관로의 직경이 변경됨에 따라 본 발명의 세관장치(A)가 미끄러짐에 의한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에는 지지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0)에는 모터(111)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암(200)을 상기 관로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 성된다. 상기 모터(111)에 의한 상기 회전암(200)의 회전은 내부 기어의 치합에 의해 구현되므로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에는 관로의 경사도와 상기 본체(100)의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경사계(미도시)가 설치되며, 상기 경사계의 측정값은 제어부(600)로 전달되어 상기 캐터필러(101)를 조정하여 본 발명의 세관장치(A)가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암(200)의 고정은 상기 지지부(110)의 전면에 설치된 홀더(112)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암(200)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회전암(200)은 회전암본체(210)와, 상기 회전암본체(210)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220)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220)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230)로 구성되며, 상기 제1슬라이딩부(220)와 제2슬라이딩부(230)의 끝단에는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암(200)은 상기 회전암본체(210)에 대해 제1슬라이딩부(220)가 압축 및 신장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220)에 대해 제2슬라이딩부(230)가 압축 및 신장되어 상기 회전암(200)은 길이가 조정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암(200)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장 및 압축되도록 구동원이 설치되며, 상기 구동원은 길이조정수단(30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위치센서(500)의 측정값에 의해 길이조정수단(300)을 컨트롤하여 관로와 분사장치(400)의 최적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하, 길이조정수단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수단이 적용된 회전암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수단이 적용된 회전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수단(300)으로, 상기 회전암본체(210)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10)와, 상기 유압실린더(310)에 유압작동유를 공급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펌프(미도시)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압작동유가 채워진 유압탱크 내부의 펌프를 펌핑하여 상기 유압실린더가 신장 및 압축하여 상기 회전암(200)은 길이방향으로 조정된다.
한편, 유압탱크 및 유압탱크 내부에 실장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펌프는 상기 유압실린더(310)를 구동하는 일반적인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수단(300')으로, 상기 회전암본체(210)에 일단은 삽입되고, 타단은 제2슬라이딩부(230)에 결합되는 랙기어(310')와, 상기 랙기어(310')와 치합되는 피니언(321')을 구비하는 모터(320')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기어(310')는 제2슬라이딩부(230)를 슬라이딩 구동하여 상기 회전암(200)의 길이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랙기어(310') 및 상기 모터(320')의 결합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암(200)을 신장 및 압축시켜 길이를 조정시킬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도 부착가능함을 밝혀둔다.
아울러,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회전암(200)의 길이조정을 위해 리니어 모 터(linear motor)가 사용된다. 상기 리니어 모터는 회전운동이 아닌 선단운동을 하는 구성으로 이동자(移動子)와 고정자 사이에서 추력(推力:미는 힘)을 발생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암(2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저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장치(400)는, 인입부(411)가 형성되는 하우징(410)과, 상기 하우징(4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입부(411)와 연통되는 회전노즐(4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0)은 상술한 회전암(200)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410)의 인입부(411)에는 세척수가 입수되도록 후술될 고압호스(미도시)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노즐(420)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421)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421)은 작업 환경과 작업 효율에 따라 사용 개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421)에서 분출되는 세척수의 반력은 하기 표1에 나타나 있으며, 세척수의 반력은 회전암(200)의 강도와 관로의 인장 및 압축강도를 고려하여 분사노즐(421)의 직경과 유량 및 압력에 따라 결정된다.
Figure 112008007353437-pat00001
<세척수의 압력과 유량에 따른 반력>
한편, 상기 회전노즐(420)은 보통 3000rpm으로 회전되어 넓은 범위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노즐(420)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회전노즐(420) 상단에는 임펠라(430)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라(430)는 상기 회전노즐(420)과 축결합되어 상기 인입부(411)를 통한 세척수에 의해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입부(411)를 통과한 세척수는 상기 임펠라(430)에 형성된 각각의 날개를 통과하며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상기 임펠라(4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노즐(420) 또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임펠라(430)를 통과한 세척수는 상기 회전노즐(420)의 축에 형성된 유로(422)를 거쳐 상기 분사노즐(421)로 분출된다.
한편, 세척수는 상기 분사노즐(421)을 통한 분출 및 상기 임펠라(430)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상기 하우징(410) 내부로 격벽(412)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412)은 상기 임펠라(430)를 회전시킨 세척수를 분사노즐(421)로 안내하여 상기 회전노즐(420)은 회전하며 세척수를 분출한다.
또한, 상기 회전노즐(420)의 회전을 위한 구성으로 상기 임펠라(430) 외에도 도 4에 도시된 노즐모터(430')에 의해서 상기 회전노즐(420)은 회전되며, 상기 노즐모터(430')는 회전력을 상기 회전노즐(4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전노즐(420)과 노즐모터(430')의 결합은 일반적인 펌프의 모터와 임펠라의 결합구조와 유사하므로 구성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센서(500)는, 상기 회전암(200)의 끝단에 연결되며, 관로의 내면을 구름하는 롤러(510)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510)의 구름에 의해 관로의 내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위치센서(500)는 관로의 표면과 분사장치(40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관로의 표면을 따라 회전운동과 병진운동을 하며 관로의 표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상술한 위치센서(500)에 의해 관로의 정보를 판단하는 이유는, 지하에 설치된 관로는 오랜 세월동안 상부의 토지에 의한 하중으로 관로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변형이 일어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위치센서(500)는 본 발명의 세관장치(A)의 안전성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관로의 표면이 원형인지 아닌지를 감지해야하며, 관로의 표면이 원형으로부터 어느 정도 변형이 일어났는지 제어부(600)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스케일 제거에 필요한 충분한 반력을 얻기 위해 관로 표면과 상기 분사장치(400)에 부착된 회전노즐(420)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며 충분한 반력을 얻는 기준은 상술한 표1과 같다.
이하, 본 발명의 세관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함에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번호를 기재하여 설명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관장치(A)는, 관로의 크기를 위치센서(500)가 판단하여 정보를 제어부(600)로 보내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상기 길이조정수단(300)은 상기 회전암(200)을 조정하여 상기 분사장치(400)와 관로의 내면과 최적의 거리를 유지한다. 따라서, 다양한 내경을 가지는 관로의 크기에 맞춰 분사장치(400)와 관로 내면의 거리를 조정하여 범용성이 높아진다.
한편, 관로의 내경에 따라 캐터필러(101)의 폭도 조정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대략 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대략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세관장치(A)의 분출압력은 최소 2500bar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2500bar이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 외측에 고압펌프(700)를 설치한다. 한편, 관로 외측에 3000bar의 배출압력을 가지는 고압펌프(700)를 설치한 경우 본 발명의 세관장치(A)가 관로 깊숙이 들어갈 경우에 고압호스(710)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2500bar 분출압력을 유지하기 힘들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압펌프(700)에는 하나 이상의 제1고압호스(711)를 병렬로 설치하되, 상기 제1고압호스(711)는 3000bar이상을 유지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고압호스(711)는 하나의 제2고압호스(712)로 합류하여 일정압력을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관장치(A)의 분출압력을 2500bar 이상을 유지시켜 준다.
이는, 3000bar 이상을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제1고압호스(711)가 길이가 길어져 낮아진 압력을 서로 보충 유지하여 하나의 제2고압호스(712)로 합류하여 분출압력을 2500bar 이상 유지시켜 준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호스(710')의 연장에 의한 압력저하를 방지하도록 관로에 고압펌프(700)를 투입한다. 이와 같이 고압펌프(700)를 관로에 투입하여 세관장치(A)와 압력저하가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며 상기 세관장치(A)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관장치(A)는 분출압력을 2500bar로 유지하여 관로의 내부면을 SSPC-SP10 등급이상을 유지하며, 관로 내면 조도는 50㎛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압펌프(700)는 디젤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관차량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관차량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세관차량의 가동분사노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관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암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수단이 적용된 회전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정수단이 적용된 회전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세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대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대략 구성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상,하수관 세관장치 100 - 본체
200 - 회전암 300 - 길이조정수단
400 - 분사장치 500 - 위치센서
600 - 제어부

Claims (14)

  1.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회전암;
    상기 회전암의 신장 및 압축을 조정하는 길이조정수단;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회전분사하는 분사장치;
    상기 분사장치와 상,하수도관로 내면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센서; 및
    상기 위치센서의 측정값에 의해 길이조정수단을 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에는 모터가 설치되어 상기 회전암을 상기 상,하수도관로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은,
    회전암본체와, 상기 회전암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유압작동유를 공급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을 구비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정수단은,
    상기 회전암에 설치되는 리니어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는,
    인입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인입부와 연통되는 회전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즐 상단에는 임펠라가 구비되며, 상기 임펠라는 상기 회전노즐과 축결합되어 상기 인입부를 통한 세척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노즐에는 노즐모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하수도관의 경사도와 상기 본체의 기울어짐을 측정하는 경사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장치에 연결되는 고압호스와, 상기 고압호스로 세척수를 주입하는 고압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세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호스는,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병렬로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고압호스와, 상기 제1고압호스의 세척수가 합류하여 상기 분사장치로 연결하는 제2고압호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세관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는 상,하수관로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세관장치.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펌프는 상,하수관로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관 세관장치.
KR1020080008927A 2008-01-29 2008-01-29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27A KR100832406B1 (ko) 2008-01-29 2008-01-29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927A KR100832406B1 (ko) 2008-01-29 2008-01-29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406B1 true KR100832406B1 (ko) 2008-05-26

Family

ID=3966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9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2406B1 (ko) 2008-01-29 2008-01-29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55B1 (ko) * 2013-11-15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관체 내부 도장장치
CN107774633A (zh) * 2016-08-26 2018-03-09 天津海天方圆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管道冲洗设备
CN111346853A (zh) * 2020-03-22 2020-06-30 成都理工大学 一种核电站引水隧洞海生物清理机器人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특허공보 4,988,042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255B1 (ko) * 2013-11-15 2015-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관체 내부 도장장치
CN107774633A (zh) * 2016-08-26 2018-03-09 天津海天方圆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管道冲洗设备
CN111346853A (zh) * 2020-03-22 2020-06-30 成都理工大学 一种核电站引水隧洞海生物清理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289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도장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0971666B1 (ko) 배관의 내부 탐사 및 작업용 로봇
KR102259539B1 (ko) 고압에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장치
KR100934806B1 (ko) 주행성능과 중심일체성이 향상된 배관 작업 로봇
KR101236932B1 (ko) 관로 내벽 스케일 및 라이닝 제거장치
KR100770976B1 (ko) 상수관로 갱생용 무인 세관차량
KR100848177B1 (ko) 세관 및 도장 겸용 센터링 디바이스
CN108515057B (zh) 一种丝杆楔块调节式工程管道内壁清洗装置
CN108393313B (zh) 一种丝杆滑块调节式工程管道内壁清洗装置
KR20130000088A (ko) 향상된 주행성능과 통합 조정되는 중심 일체성의 배관 작업 로봇
KR100815834B1 (ko) 무동력 자전을 이용한 센터링 디바이스
KR100832406B1 (ko) 상,하수도관 세관장치
KR20170116317A (ko) 노후 관로의 도막 제거에 사용되는 로터리 커터 장치
US202200570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erting a lining material
KR100935966B1 (ko) 관내 점검구를 이용한 상수관의 점검보수 및 관리시스템
KR20140146524A (ko) 배관세척시스템
KR100807803B1 (ko) 노후된 비정원 관로 세관용 자주차
CN114029297A (zh) 一种移动式多角度喷射器
KR101193801B1 (ko) 중대형 노후 상수 관로 내면의 세척장치
KR101129163B1 (ko) 노후관로의 도장장치
KR102406859B1 (ko) 양방향 세척수 고압 압입 및 진공 흡입 방식 관로 세척 시스템
JPH11325380A (ja) 管内壁面処理装置
KR20110045472A (ko) 관로 세척기
KR20090098264A (ko) 강관내부작업용 이동로봇
CN215586905U (zh) 一种钢管内部喷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