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2888B1 -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 Google Patents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2888B1 KR100782888B1 KR1020060086829A KR20060086829A KR100782888B1 KR 100782888 B1 KR100782888 B1 KR 100782888B1 KR 1020060086829 A KR1020060086829 A KR 1020060086829A KR 20060086829 A KR20060086829 A KR 20060086829A KR 100782888 B1 KR100782888 B1 KR 1007828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nitor
- gear
- installation frame
- main body
- vehic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41 ligame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1 lubr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는 차량의 인대시 패널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납되며, 상기 본체에서 출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본체에서 출입시키고, 상기 본체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를 수직하게 회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A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installed in the in-dash panel of the vehicle and a monitor housed in the main body and installed to be accessible from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moved in and out of the main body. It includes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monitor vertically in the pulled out stat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의 저면을 보인 내부 구성도.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a bottom surface of a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의 측단면도.And 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인출된 상태를 저면에서 보인 내부 구성도. Figure 3a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monitor from the bottom out stat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인출되어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pulled out vertically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수납장치 10: 본체100: storage device 10: main body
20: 모니터 30: 슬라이드부재20: monitor 30: slide member
40: 설치프레임 41: 지지축40: mounting frame 41: support shaft
50: 제1구동부 51: 제1구동모터50: first driving unit 51: first driving motor
52: 이송부재 53: 제1전달부재52: transfer member 53: first transfer member
60: 제2구동부 61: 제2구동모터60: second drive unit 61: second drive motor
62: 회동부재 63: 제2전달부재62: rotation member 63: second transfer member
64: 복원수단 70: 구동유닛64: restoring means 70: drive unit
본 발명은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니터를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도록 회동시키는 구동장치의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슬림화 시킨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m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while improving driving stability of a driving device that rotates to allow a monitor to be pulled in or pulled out. will be.
일반적으로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앞쪽에 마련된 인대시 패널에 설치되는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구비되는 것으로 카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에 설치된 모니터를 본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인출하거나 인입시키는 것이다. In general, the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is provided in a car audio / video system installed in an in-dash panel provided in the front of a vehicle. The monitor installed in the car audio / video system can be pulled out or drawn in from a main body by a slide method. will be.
이러한 모니터 수납장치는 모니터를 본체에서 인출하여 전개하기 위해 본체에 수납된 상태에서 본체에 마련된 인출버튼을 작동하여 인출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모터의 구동력에 따른 기어부들의 움직임에 의해 본체 내부에서 본체 외부로 슬라이딩으로 인출된 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다.Such a monitor receiving device operates a drawer button provided in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drawn out from the main body, and when a pullout signal is generated, the monitor accommodating device moves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by the movement of the gears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fter being drawn out by sliding, it is erected vertically towards the user for identification by the user.
그리고 모니터를 본체에 인출하기 위해서는 본체 외부로 인출되어 전개된 모니터가 모터의 구동력에 따른 기어부들의 움직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동한 후 본체 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어 본체내부로 수납된다.In order to take out the monitor to the main body, the monitor drawn out and developed outside the main body rot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gear parts according to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then slides the retracted inside the main body and is received inside the main body.
그러나 종래의 모니터 수납장치는 작은 동력의 모터를 이용하여 큰 동력이 발생되도록 하면서 소정의 속도로 감속될 수 있게 다수의 기어가 맞물리게 구성된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onitor receiving device is configured to engage a plurality of gears to be deceler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while generating a large power by using a small power motor.
이때, 모터가 수평으로 고정되고, 상기 모터에 맞물려 모니터가 슬라이딩 출입과 회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어는 본체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된다. 이때 기어를 수평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기어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수직으로 돌출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motor is fixed horizontally, the gear is horizontal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so that the monitor can perform the sliding in and out movement by engaging the motor. In this case, in order to install the gear horizontall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gear must protrude vertically.
그리고 모니터가 수납되는 본체 내부가 높지 않아 본체 내부의 높이 이상의 직경이 되는 기어는 설치할 수 없다. 이때 그리고 일정한 감속비를 얻기 위해서는 큰 직경의 기어와 작은 직경의 기어의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체 내부 높이 제한에 의해 작은 직경의 기어만을 적용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monitor is housed is not high, a gear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height inside the main body cannot be installed. In this case, in order to obtain a constant reduction ratio, it is preferable to engage a gear of a large diameter and a gear of a small diameter.
따라서 많은 수량의 기어가 설치되어야 하고, 기어와 인접하는 기어 사이가 쉽게 벌어질 수 있어 맞물림 상태가 불량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a large number of gears should be install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eshing state may be poor because the gears and the adjacent gears may be easily opened.
또한, 많은 수량의 기어를 설치하지 않고 직경이 큰 직경을 사용할 경우 모니터를 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장치의 부피가 커져 다른 DMB 및 네비게이션 CD 데크 등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large diameter is used without installing a large number of gears, a volume of a driving device that allows the monitor to enter and exit is increased,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other DMB and navigation CD decks cannot be installed.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모니터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장치의 구동 안정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 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which has been created in view of the above necessity and has improved the driving stability of a driving device for drawing in or taking out a monitor.
또한, 여유 공간을 형성하여 DMB 및 네비게이션 또는 CD 데크 등이 설치될 수 있게 구동장치를 슬림화한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that has a slimmer driving device to form a free space so that a DMB and a navigation or CD deck can be install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는 차량의 인대시 패널에 설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수납되며, 상기 본체에서 출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를 본체에서 출입시키고, 상기 본체에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를 수직하게 회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The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ain body installed in the in-dash panel of the vehicle and a monitor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installed to enter and exit from the main body, and the monitor And a drive unit which moves in and out of the main body and vertically rotates the monitor in a withdrawn state from the main body.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은 모니터에 힌지 결합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프레임을 상기 본체에서 출입시키는 제1구동부와, 상기 힌지측에 마련되며, 상기 모니터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회동시키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rive unit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frame hinged to the monitor, the installation frame, the first drive unit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stallation frame from the main body, provided on the hinge side, the monitor in the pulled out state Preferably, the monitor includes a second driving unit that rotates to face the user.
그리고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조작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설치프레임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재 및, 상기 제1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에서 상기 이송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driving motor which is powered by an operation signal of the main body and is driven to rotate, a transfer member which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driving motor to transfer the installation frame, and the first driving unit. It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motor and the transfer member, and comprises a first transfer membe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drive motor to the transfer member.
이때, 상기 이송부재는 상기 설치프레임 양측에 마련된 기어이며, 상기 기어 에 의해 상기 설치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는 상기 기어가 맞물리는 랙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ransfer member is a gea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stallation fra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rack meshing the gear to move the installation frame by the gear.
그리고 상기 제1전달부재는 다수의 제1전달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제1전달기어는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면에 수직하게 마련된 다수의 지지축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transfer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irst transfer gears, and the first transfer gear may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frame.
이때, 상기 제1전달기어는 상기 지지축에 결합하되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면에 3mm이하의 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transmission gear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but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frame at intervals of 3mm or less.
또한, 상기 제1전달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웜기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fer member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worm gear.
한편,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조작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 구동하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설치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상기 모니터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재 및, 상기 제2구동모터와 상기 이송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에서 상기 회동부재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riving unit is a rotation to rotate the second drive motor to be rotated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operation signal of the main body and the monitor hinged to the installation frame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e motor. A member and a second transfer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drive motor and the transfer member,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second drive motor to the rotation member.
여기서 상기 회동부재는 상기 모니터에 고정되는 고정기어와, 상기 설치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기어에 맞물려 제2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힌지 결합된 상기 모니터를 회동시키는 회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ting member may include a fixed gear fixed to the monitor, and a rotating gear fixed to the installation frame to rotate the monitor which is engaged with the fixed gear and hing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driving motor.
그리고 상기 제2전달부재는 다수의 제2전달기어로 마련되며, 상기 제2전달기어는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면에 수직하게 마련된 다수의 지지축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transfer memb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transfer gears, and the second transfer gear is preferably coupled to a plurality of support shafts provided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frame.
또한, 상기 제2전달기어는 상기 지지축에 결합하되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면에 3mm이하의 간격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gear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but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frame at intervals of 3mm or less.
또한, 상기 제2전달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웜기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member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worm gear.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에는 상기 설치프레임이 출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설치프레임에는 상기 설치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 될 경우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모니터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guide rail for guiding the installation frame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he installation frame is further included a slide member to be slid when coupled to the installation frame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the slide member Is prefer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onitor.
또한, 상기 제2전달부재는 상기 모니터가 회동된 상태에서 회전력이 제거될 경우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복원수단이 더 포함되며, 여기서 상기 복원수단은 제2전달부재에 맞물리는 복원기어와, 상기 복원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복원기어가 탄성력을 갖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second transfer member further includes a restoring means for restoring the original state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removed when the monitor is rotated, wherein the restoring means includes a restoring gear engaged with the second transfer member, and the restoring gea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pring coupled to the resilient gear to have an elastic for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defined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a meaning of limiting the technica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의 저면을 보인 내부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의 측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bottom of the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100)는 카 오디오/비디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도시한 회로 및 부품이 실장된 PCB 등이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본체(10)에서 출입하는 모니터(20) 및 모니터(20)를 본체(10)에서 출입시키는 구동유닛(7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vehicle in-dash monitor tilt
여기서 본체(10)는 차량의 인대시 패널에 설치되며, 모니터(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되는 수용부(11)가 마련된다. 그리고 모니터(20)를 출입시키기 위한 버튼 이외에 모니터 조작을 위한 다수의 버튼으로 되는 미도시한 조작부가 포함된다.In this case, the
상기 모니터(20)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LCD패널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 본체(10)의 수용부(11)에 설치되며, 수용부(11)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따라서 수용부(11)의 양측에는 상기 모니터(20)의 출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12)이 마련되고, 모니터(2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는 레일 홈(21)이 마련된다.Accordingly,
그리고 구동유닛(70)은 상기 모니터(20)의 후방에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모니터(20)를 필요에 따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면서 모니터(20)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게 회동시킨다. In addition, the
이때 구동유닛(70)은 모니터(20)와 결합됨으로서 본체(10)에서 모니터(20)와 함께 출입되며, 인출된 상태에서 모니터(20)를 회동시킬 수 있게 모니터(20)와 힌 지 결합된다. 여기서 모니터(20)와 동일 두께이거나 얇게 마련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구동유닛(70)은 설치프레임(40)과 제1구동부(50), 제2구동부(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구동부(50)와 제2구동부(60)는 설치프레임(40)에 설치되며, 일면이 개방되는 형태로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The
그리고 제1구동부(50)는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하는 제1구동모터(51)와 제1구동모터(51)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설치프레임(40)에 설치된 모니터(20)를 출입시키는 이송부재(52) 및, 제1구동모터(51)의 회전력을 이송부재(52)에 전달하되,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시키는 제1전달부재(53)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제1구동모터(51)는 차량용 모터이며, 제1구동기어(51a)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구성으로 설치프레임(40)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본체(10)에 마련되는 미도시한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본체(10)에서 모니터(20)가 출입될 수 있게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제1구동기어(51a)는 역부하가 방지되는 웜기어이다. Here, the
그리고 이송부재(52)는 설치프레임(40) 양측으로 돌출된 이송축(52a)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축(52a)의 양측에 설치된 이송기어(52b)로 마련된다. And the conveying
또한, 이송축(52a)의 중앙에 설치되어 이송축(52a)으로 제1전달부재(53)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는 제1피동기어(52c)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송부재(52)의 이송기어(52b)와 맞물려 제1구동모터(51)의 정, 역회전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11)에는 랙이 마련된다.In addition, a first driven
따라서 제1구동모터(51)의 회전력이 제1전달부재(53)를 통해 이송부재(52)로 전달되면, 이송기어(52b)가 랙(52d)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서 설치프레임(40)이 모니터(20)에 결합된 상태로 수용부(11)에서 출입한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이때, 모니터(20)와 설치프레임(40)의 출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12)이 수용부(11)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12)과 설치프레임(40) 사이에는 슬라이드 될 경우 윤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30)가 마련된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슬라이드부재(30)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마련되며, 설치프레임(40)의 양측에 일측이 각각 고정된다, 그리고 타측에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31)이 마련된다.Here, the
상기 제1전달부재(53)는 다수의 제1전달기어(53a)로 마련되며, 다수의 제1전달기어(53a)는 설치프레임(40)에 수직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설치프레임(40)에는 상기 제1전달기어(53a)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축(41)이 마련된다.The
이때 제1전달기어(53a)는 상기 설치프레임(40)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축(41)에 결합된다. 이때 설치프레임(40)의 내부면과 제1전달기어(53a) 사이에 이격거리는 3mm 이하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가 되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the
또한, 제1전달부재(53)는 수직축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수평하는 이송축(52a)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1베벨기어(53b)가 더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종래에 수평축일 경우에 설치공간(높이)의 제약으로 직경이 작은 기어만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이 한계를 넘어 제1전달기어(53a)에 보다 큰 직경을 적용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horizontal axis in the past,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using only a gear having a small diamet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height), but it is possible to apply a larger diameter to the
또한, 설치프레임(40)에 밀착되므로서 전달기어와 인접하는 전달기어가 이격되는 것이 지지되므로 보다 견고한 맞물림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lose contact with the
한편, 제2구동부(60)는 전원공급에 의해 구공하는 제2구동모터(61)와 제2구동모터(61)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하며, 설치프레임(40)에 설치된 모니터(20)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재(62) 및, 제2구동모터(61)의 회전력을 회동부재(62)에 전달하되,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시키는 제2전달부재(63)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제2구동모터(61)는 차량용 모터이며, 제2구동기어(61a)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구성으로 설치프레임(40)에 회전축이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본체(10)에 마련되는 미도시한 조작부의 조작신호에 본체(10)에서 인출된 모니터(20)가 회전될 수 있게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제2구동기어(61a)는 역부하가 방지되는 웜기어이다.Here, the
그리고 회동부재(62)는 프레임 양측으로 돌출된 회동축(62a)과, 상기 회동축(62a)의 양측에 설치된 회동기어(62b)로 마련된다. 여기서 회동기어(62b)는 제2전달부재와 맞물려 제2구동모터(61)의 회전력이 전달된다.The rotation member 62 is provided with a
따라서 제2구동모터(61)의 회전력이 제2전달부재(63)를 통해 회동부재(62)로 전달되면, 회동기어(62b)가 모니터(20)의 일측에 맞물려 회전함으로서 설치프레임(40)에 힌지 결합된 모니터(20)를 회동시킨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이때 모니터(20)의 일측에는 회동부재(62)의 회동기어(62b)에 맞물리는 고정 기어(62c)가 고정되고, 상기 회동기어(62b)가 회동함에 따라 맞물려 모니터(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고정기어(62c)는 회동이 방지되는 상태로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xed
그리고 제2전달부재(63)는 다수의 제2전달기어(63a)로 마련되며, 다수의 제2전달기어(63a)는 설치프레임(40)에 수직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프레임(40)의 지지축(41)에 결합된다. And the
이때 제2전달기어(63a)는 상기 설치프레임(40)의 내부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상기 지지축(41)에 결합되며, 설치프레임(40)의 내부면과 제2전달기어(63a) 사이에 이격거리는 3mm 이하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가 되는 것이 좋다. At this time, the
또한, 제2전달부재(63)는 수직하는 지지축(41)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수평하는 회동축(62a)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베벨기어(63b)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종래에 수평축일 경우에 설치공간(높이)의 제약으로 직경이 작은 기어만 사용할 수 있었으나, 이 한계를 넘어 제2전달기어(63a)는 보다 큰 직경을 적용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axis, only a small diameter gear could be us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height), but beyond this limit, the
또한, 전달기어와 인접하는 전달기어가 이격되는 것이 지지되므로 보다 견고한 맞물림 상태로 회전력을 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동력전달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mission gear and the adjacent transmission gear is supported to be spaced apart,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in a more solid engagement state. Therefore, accurate power transmission is possible.
따라서 제1구동부(50)와 제2구동부(60)를 얇게 구성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동유닛(70)을 얇게 슬림화 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본체(10)의 수용부(11)는 여유공간을 갖게 됨으로 남은 여유공간에 DMB 및 네비게이션 또는 CD 데크 등을 더 설치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이때 제2전달부재(63)의 제2전달기어(63a) 사이에는 모니터(20)가 회동된 상태에서 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수평하는 상태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여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도록 복원수단(64)이 마련된다. At this time, between the second transfer gear (63a) of the second transfer member (63) restoring means to be able to return to the horizontal state when the power supply is cut off when the
여기서 복원수단은 복원기어(64a)와, 스프링(64b)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스프링(64b)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며, 제2전달기어(63a)에 맞물리거나 제2베벨기어(63b)에 맞물려 모니터(20)가 수직하게 회동될 경우에는 스프링(64b)의 탄성이 극복되는 상태이고, 이때 전원이 차단되면 스프링(64b) 복원력에 의해 수평하게 복귀된다. 따라서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Here, the restoring means is provided with a restoring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의 작용을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B.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인출된 상태를 저면에서 보인 내부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가 인출되어 수직으로 회동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nitor drawn out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nitor is drawn out and rotated vertical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시한 바와 같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인대시 패널에 설치된 본체(10)에 모니터(20)가 수납된 상태에서, 모니터(20)가 본체(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본체(10)에 마련되는 미도시한 조작부를 조작하게 되면, A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1, the
조작부의 조작신호는 미도시한 제어부를 거쳐 제1구동부(50)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구동부(50)의 제1구동모터(51)가 정회전하며, 제1구동모터(51)의 정회전과 함께 제1구동기어(51a)는 연동되어 회전한다.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drives the
이후 제1구동기어(51a)에 맞물린 다수의 제1전달부재(53)의 제1전달기 어(53a)가 맞물려 감속되면서 제1베벨기어(53b)를 거쳐 제1피동기어(52c)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Thereafter, the first transmission gears 53a of the plurality of
이후 제1피동기어(52c)와 함께 제1피동기어(52c)와 맞물린 이송축(52a) 및 이송기어(52b)가 연동되며, 이송기어(52b)는 랙(52d)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모니터(20)는 수평방향으로 전진하게 되어 본체(10)외부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부재(30)에 의해 가이드레일(12)에서 가이드 되면서 모니터(20)는 인출되어 도3a와 같은 상태가 된다. Then, the
이후, 제1구동부(50)의 구동으로 모니터(20)의 인출이 완료되면, 제2구동부(6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2구동부(60)의 제2구동모터(61)가 정회전하며, 제1구동모터(51)의 정회전과 함께 제2구동기어(61a)가 함께 회전한다.Thereafter, when drawing out of the
이후 제2구동기어(61a)에 맞물린 다수의 제2전달부재(63)의 제2전달기어(63a)가 맞물려 감속되며서 제2베벨기어(63b)를 거쳐 맞물린 회동축(62a) 및 회동기어(62b)가 연동되며, 회동기어(62b)는 모니터(20)에 고정된 고정기어(62c)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모니터(20)를 수직하도록 회동시켜 도 3b와 같은 상태가 된다.Thereafter, the
이후 모니터(20)를 본체(10)에 수납시키기 위해 조작부를 조작하면, 제2구동부(6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제2구동부(60)의 제2구동모터(61)가 역회전하며, 제1구동모터(51)의 역회전과 함께 제2구동기어(61a)가 함께 회전한다.Thereafter, when the operation unit is manipulated to accommodate the
이후 제2구동기어(61a)에 맞물린 다수의 제2전달부재(63)의 제2전달기어(63a)가 맞물려 감속되며서 제2베벨기어(63b)를 거쳐 맞물린 회동축(62a) 및 회 동기어(62b)가 연동되며, 회동기어(62b)는 모니터(20)에 고정된 고정기어(62c)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어 도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20)를 수평하도록 회동시킨다.Thereafter, the second transmission gears 63a of the plurality of
이후, 제1구동부(50)를 구동시킨다. 이때 제1구동부(50)의 제1구동모터(51)가 역회전하며, 제1구동모터(51)의 역회전과 함께 제1구동기어(51a)는 연동되어 회전한다.Thereafter, the
이후 제1구동기어(51a)에 맞물린 다수의 제1전달부재(53)의 제1전달기어(53a)가 맞물려 감속되면서 제1베벨기어(53b)를 거쳐 제1피동기어(52c)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Thereafter, the first transmission gears 53a of the plurality of
이후 제1피동기어(52c)와 함께 제1피동기어(52c)와 맞물린 이송축(52a) 및 이송기어(52b)가 연동되며, 이송기어(52b)는 랙(52d)에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모니터(20)는 수평방향으로 후진하게 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Then, the
이때 슬라이드부재(30)에 의해 가이드레일(12)에서 가이드 되면서 모니터(20)는 인입된다. At this tim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by way of example and not by way of limitation.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 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Therefore, it is obvious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such as dimensions, shapes, structures, etc.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인대시 모니터 틸트 메카니즘 구동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기어를 설치프레임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서 모니터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면서, 모니터가 사용자를 향하도록 회동시키는 구동유닛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that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frame, so that the monitor is directed toward the user while drawing or pulling the monitor.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drive unit to rotate.
또한, 다수의 기어를 수직하는 수평하는 회전축이 아닌 수직하는 지지축에 설치됨으로서 보다 큰 직경의 기어를 적용할 수 있어 감속에 따른 기어의 수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gears are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shaft instead of the horizontal rotation shaft, a larger diameter gear can be appli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gears due to deceleration.
또한, 구동장치를 슬림화하여 본체에 설치됨으로서 본체 내부에 여유공간의 확보로 DMB 및 네비게이션 또는 CD 데크 등이 설치될 수 있는 등의 다기능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e device is slimmed and installed in the main body, DMB and navigation or a CD deck may be installed to secure the free space inside the main body, thereby making it multifunctional.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6829A KR100782888B1 (en) | 2006-09-08 | 2006-09-08 |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6829A KR100782888B1 (en) | 2006-09-08 | 2006-09-08 |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2888B1 true KR100782888B1 (en) | 2007-12-06 |
Family
ID=39139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6829A Active KR100782888B1 (en) | 2006-09-08 | 2006-09-08 |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288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3873A (en) * | 2018-04-25 | 2019-11-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WO2025100590A1 (en) * | 2023-11-08 | 2025-05-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9880U (en) * | 1999-04-22 | 2000-11-25 | 윤장진 | Apparatus for accepting a monitor in a car audio-video system |
KR20010011288A (en) * | 1999-07-27 | 2001-02-15 | 윤장진 |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a monitor in vehicles |
KR20060070271A (en) * | 2004-12-20 | 2006-06-2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Display take-out device of in-dash type car TV |
-
2006
- 2006-09-08 KR KR1020060086829A patent/KR1007828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9880U (en) * | 1999-04-22 | 2000-11-25 | 윤장진 | Apparatus for accepting a monitor in a car audio-video system |
KR20010011288A (en) * | 1999-07-27 | 2001-02-15 | 윤장진 |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a monitor in vehicles |
KR20060070271A (en) * | 2004-12-20 | 2006-06-23 |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 Display take-out device of in-dash type car TV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2000-0019880호 U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1-0011288호 A |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6-0070271호 A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23873A (en) * | 2018-04-25 | 2019-11-04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KR102483574B1 (en) | 2018-04-25 | 2023-01-0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WO2025100590A1 (en) * | 2023-11-08 | 2025-05-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51576B1 (en) | Pop-up monitor with double rack gear structure | |
US5847685A (en) | Vehicle-mounted display mechanism | |
EP2551575B1 (en) | Pop-up monitor with obstacle sensing function | |
US20080072497A1 (en) | Belt-Driven Rack Gear Power Sliding Door | |
DE10125063A1 (en) | Holder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 |
KR980004919A (en) | Front panel loading device for car audio | |
EP3890346A1 (en) | Sound box extending and retracting structure for flat display device and flat display device | |
CN113090155B (en) | Transmission mechanism and mirror cabinet thereof | |
KR100782888B1 (en) | Vehicle In-Dash Monitor Tilt Mechanism Drive | |
US7463253B2 (en) | O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display panel, and panel mounting base | |
CN216520431U (en) | Adjusting device of vehicle-mounted screen | |
CN102897107B (en) | There is the Pop-up display screen of resistance to movement function | |
US11168500B2 (en) | Drive unit | |
EP4559756A1 (en) | Sliding mechanism of vehicle-mounted central control screen, and vehicle | |
KR100477246B1 (en) | outstretching structure of monitor for auto- mobile | |
KR101194606B1 (en) | Audio-visual system for vehicle | |
KR200354807Y1 (en) | Apparatus for accepting a monitor in a car audio-video system | |
KR100283966B1 (en) | Automotive Audio / Video System Driver | |
KR200320213Y1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eving monitor for vehicles | |
KR100452729B1 (en) | Driving structure for automotive audio/visual system | |
KR100531473B1 (en) | Device for locking display unit in car multimedia apparatus | |
JP2007331527A (en) | Sunshade panel device | |
KR100512652B1 (en) | Monitor loading apparatus | |
CN221921867U (en) | A spring bolt structure for inhaling top screen | |
KR200142684Y1 (en) | Front loading device for automotive audio / video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