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2128B1 - Speed limit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Speed limit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72128B1 KR100772128B1 KR1020070019852A KR20070019852A KR100772128B1 KR 100772128 B1 KR100772128 B1 KR 100772128B1 KR 1020070019852 A KR1020070019852 A KR 1020070019852A KR 20070019852 A KR20070019852 A KR 20070019852A KR 100772128 B1 KR100772128 B1 KR 100772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device
- speed
- slp
- speed limit
- t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2 self-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1/00—Control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궤도별로 열차운행속도 값을 출력하는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를 비상사태에는 속도제한판넬에서 수동으로 조절할 수밖에 없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 that the train automatic control grounding device outputting the train speed value for each track has to be manually adjusted in the speed limit panel in an emergency,
보수자의 수동취급에 의해 열차운행속도를 제한하는 종래의 속도제한판넬 및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와; 상기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에 직접연결되어 원격지로부터 전송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속도제한판넬의 동작정보를 수집하는 현장 제어장치와; 상기 현장 제어장치와 통신하면서 철도 전 구간의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의 속도를 제한하는 원격 제어장치를 구성함으로서 특정 궤도 구간의 열차운행속도를 제한해야 하는 위급한 상황에 원격지에서도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하고 아울러 열차의 안전하고 신속한 운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conventional speed limit panel and a train automatic control ground apparatus for limiting the train speed by manual handling of a repairman; A field control device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utomatic train control ground apparatus and controls the automatic train control ground apparatu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a remote site and collects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speed limit panel; By construct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limiting the speed of the automatic control ground device for all sections of the railway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field control device, the automatic control ground device for remote control of trains in remote areas should be controlled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venient to control and to ensure the safe and quick operation of the trai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의 수동조작을 위한 시스템 블럭도.1 is a system block diagram for the manual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train ground control device.
도 2는 종래의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와 속도제한판넬간의 결선도 2 is a connection diagram between a conventional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and a speed limit panel;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제어시스템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와 속도제한판넬 및 현장 제어장치 간의 결선도.Figure 4 is a connection diagram between the automatic train ground control device and the speed limit panel and field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장치의 구성도.5 is a block diagram of a remot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제어장치의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 fiel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사령 제어장치의 모니터 화면.7 is a monitor screen of the comman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역 제어장치의 모니터 화면.8 is a monitor screen of the revers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속도제한판넬(Speed Limit Panel, 이하 SLP라 함)10: Speed Limit Panel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P)
20: 열차자동제어(Automatic Train Control, 이하 ATC라 함) 지상장치20: Automatic train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TC) ground apparatus
300: 원격 제어장치 310: 사령 제어장치300: remote control device 310: command control device
320: 역 제어장치 311, 321: 모뎀320: station control device 311, 321: modem
312, 322: 모니터 313, 323: 단말장치312, 322: Monitors 313, 323: Terminal device
400: 현장 제어장치 410: 모뎀400: field control device 410: modem
420: 중앙처리장치 430: 출력모듈420: central processing unit 430: output module
440: 입력모듈 450: 전원모듈440: input module 450: power module
460: 동작제한 계전기460: operation limit relay
본 발명은 ATC 지상장치(20)에서 각 궤도별로 출력되는 열차운행속도 값을 비상시에는 SLP(10)에서 수동으로 조절할 수밖에 없던 것을 원격지에서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열차자동제어 지상장치의 속도제한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motely control the speed limit of the train automatic grounding device to safely control the train operating speed value output for each track from the ATC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이 지나가는 궤도변에는 전방 선로구간의 운행 가능한 열차속도를 기관사에게 알려주는 신호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시속 150Km로 운행하는 일반열차와 달리 고속철도는 시속 300km의 빠른 속도로 운행하기 때문에 기관사가 육안으로 전방의 신호기를 보고 운전할 수 없다. In general, a tracker is provided on the track side through which the railroad car passes to inform the engineer of the speed of the train that can run in the forward track section. However, unlike ordinary trains operating at 150 km / h, high-speed trains operate at a high speed of 300 km / h, so the engineer cannot see and drive the signal in front of the naked eye.
따라서 신호기를 대신하여 선행열차의 위치와 운행진로 및 곡선 등 선로의 제반조건에 따른 열차운행에 적합한 속도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여 열차 운전실에 표시하고, 열차의 운행속도가 그 허용속도를 초과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열차의 제 동장치를 제어하는 ATC장치가 열차내부와 지상의 선로변에 각각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Therefore, the speed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train ope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onditions of the track, such as the position of the preceding train, the driving route and the curve, is transmitted to the vehicle and displayed in the cab of the train, and the operating speed of the train exceeds the allowable speed. The ATC system that automatically controls the braking system of the train is installed inside the train and on the track side of the ground.
상기 ATC 장치는 크게 지상의 선로변에 설치되어 각 폐색구간별로 열차운행조건에 적합한 속도신호정보를 생생하고 그 속도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변조하여 현장 선로의 궤도회로와 루프 케이블로 전송하는 ATC 지상장치(20)와, 상기 ATC 지상장치(20)로부터 수신된 속도정보를 운전실에 표시하고 열차가 허용속도를 초과할 때 자동으로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ATC 차상장치로 분류된다. The ATC device is largely installed on the track side of the ground to generate speed signal information suitable for the train operating conditions for each occlusion section, and modulates the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speed, and transmits it to the track circuit of the field track and the loop cable. 20 and the spee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TC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ATC 장치 중에서 ATC 지상장치(20)와 관계된 것이다. Here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ATC
한편, 속도가 300km/h이상으로 운행되는 고속철도의 경우에는 계획된 상황이 아닌 장애나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 곧 바로 대처하지 못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대비해서 현재 모든 역의 신호계전기실에는 비상시에 보수자가 상기 ATC 지상장치(20)로 출력되는 열차운행속도를 170km/h, 또는 90km/h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SLP(10)를 ATC 지상장치(20)에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high-speed trains operating at speeds of 300 km / h or more will lead to large-scale accidents if they do not respond immediately when an obstacle or emergency occurs, rather than a planned situation. Therefore, in preparation for this, in the signal relay room of all stations, the SLP 10 for limiting the train operating speed output to the ATC
여기서 종래의 ATC 지상장치(20)와 SLP(10)의 구성을 도 1과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Here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ATC
도 1은 종래의 ATC 지상장치(20)의 수동조작을 위한 시스템 블럭도 이고, 도 2는 ATC 지상장치(20)와 SLP(10)의 결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ystem block diagram for the manual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ATC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구성을 살펴보면, 판넬에 폐색 구간별 궤도의 속도를 170km/h와 90km/h로 제한하는 ON/OFF스위치 다수개가 배치되고, 각 스위치 입력을 상기 ATC 지상장치(20)로 출력하는 SLP(10)와; 현장 역 신호기계실에서 상기 SLP(10) 및 연동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폐색구간별 운행 조건에 적합한 속도신호정보를 생성하여 그 정보를 각 궤도별로 전송하는 ATC 지상장치(20)와; 상기 ATC 지상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전류를 열차가 이동하는 철로에 흘려주는 궤도로 구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ON / OFF switches for limiting the speeds of tracks by occlusion sections to 170 km / h and 90 km / h are disposed on a panel, and each switch input is input to the ATC
여기서 상기 ATC 지상장치(20)는 평상시에는 상기 연동장치로부터 연동처리조건을 입력받아 처리하다가 SLP(1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연동장치의 입력을 처리하지 않고 SLP(10)의 입력을 처리한다. 이는 현재 고속철도 신호제어시스템이 자동화로 운영되기 때문에 다급하게 속도를 줄여야 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이다.Here, the ATC
다음으로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ATC 지상장치(20)와 SLP(10)의 결선도를 살펴보면, 상기 SLP(10)에는 하나의 궤도당 두개의 스위치(170km/h, 90km/h)가 있고 각 스위치는 상기 ATC 지상장치(20)와 1:1로 회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SLP(10)의 모든 스위치가 ON상태일 때 상기 ATC 지상장치(20)는 정상운행속도인 300km/h로 출력되고 연동장치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SLP(10)중 어느 하나(170km/h, 90km/h)의 스위치가 OFF상태일 때 상기 ATC 지상장치(20)는 OFF된 속 도(170km/h중 어느 하나 90km/h)를 출력한다.Next, referring to the connection diagram of the ATC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ATC 지상장치(20)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ATC 지상장치(20)는 평상시에는 상기 연동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연동처리조건에 따라 궤도별 속도신호정보를 출력하다가 선로변을 보수해야하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보수자가 즉시 신호계전기실로 달려가 상기 SLP(10)에서 해당 궤도구간을 확인하고 관련 궤도를 제한하고자 하는 속도(170km/h 또는 90km/h)의 스위치를 ON에서 OFF로 변경한다. 그러면 상기 ATC 지상장치(20)는 해당 궤도의 속도신호정보를 상기 SLP(10)의 OFF된 속도 값(170km/h중 어느 하나 90km/h)으로 변경하여 궤도회로로 출력한다. 이후 보수자는 다시 정상운행속도로 되돌리기 위해서 상기 SLP(10)의 OFF된 스위치를 ON시켜준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TC
여기서 상기 SLP(10)의 제어명령은 연동장치의 제어명령보다도 우선으로 처리되므로 보수자가 다시 복귀시키기 전까지 상기 ATC 지상장치(20)의 출력은 상기 SLP(10)의 출력신호에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해당 궤도구간을 고속철도의 최고속도인 300km/h로 운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연쇄적으로 철도 전 구간에서의 열차운행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OFF된 상기 SLP(10)의 스위치를 복원시키는 작업 또한 놓쳐서는 안 되는 중요한 작업인 것이다. In this case, the control command of the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 중인 상기 SLP(10)는 위급한 상황에 보수자가 상기 ATC 지상장치(20)를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상기 SLP(10)를 수동으로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보수자는 SLP(10)가 설치된 현장역의 신호계전기실로 가서 직접 조작해야한다. Meanwhile, as mentioned above, the SLP 10 currently in use allows the repairer to directly change the ATC
그러나 현재 운용중인 고속철도의 경우 연동장치를 비롯한 모든 장치가 자동화 시스템으로 되어 있어 모든 역내의 신호계전기실에는 운전취급자나 보수자가 상주하지 않고, 일부 역들에만 상주하면서 인접한 나머지 다수의 역들을 관리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high-speed railways currently in operation, all devices including interlocks are automated systems, so driver operators and maintenance workers do not reside in the signal relay room in all stations, and only some stations operate to manage the remaining multiple stations.
실제로 현재 광명역과 대구역간의 19개소 신호기계실 중에서 광명역, 천안역, 영동역에만 운전취급자가 상주하면서 나머지 역들을 관리하고, 위급상황이 발생할 때에는 보수자가 빠른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역으로 이동한 뒤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fact, among the 19 signaling machine rooms between Gwangmyeong Station and Daegu Station, the driver handles only the Gwangmyeong Station, Cheonan Station, and Yeongdong Station, and manages the remaining stations. There is a situation.
결국 보수자가 해당 역에 조금이라도 늦게 도착하면 바로 대형사고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위급한 상황이 처리되어 정상운행이 가능할 때에는 SLP(10)의 OFF된 스위치를 다시 원위치로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그때까지 보수자가 해당 역에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As a result, if a conservative arrives a little late at the st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mmediately leads to a large accident. 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is handled and normal operation is possible, there is a problem that a maintenance worker must wait in the corresponding station until the OFF switch of the
그리고 다수 역의 신호기계실을 이동하면서 차례로 제어취급을 하는 경우에는 이동시간이 오래 걸리며, 취급된 SLP(10)를 다시 차례로 복귀해야 하므로 예기치 않은 장애가 한번 발생하면 정상운행시까지 지연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ontrol handling is carried out in sequence while moving the signal machine room of a large number of stations, it takes a long time to move, and since the handled
따라서 이로 인해 지체되는 시간은 전체 철도를 운행하는 다른 열차운행시간에도 지장을 주게 되어 고객의 불편과 불신을 사게 되고, 덩달아 지체된 시간에 비 례하여 영업상의 손해액도 커지며, 실제로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보수자에게도 비효율적인 업무효과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a result, the delayed time also interferes with other train operation times on the entire railway, which leads to inconveniences and distrust of customers, and increases the amount of business damage compared to the delayed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lso brings inefficient work effects to the payers.
그러므로 ATC 지상장치(20)를 원격지에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refore, alternatives must be made to safely and accurately control the ATC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ATC 지상장치(20)를 원격지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취급이 편리하고 열차를 안전하고 빠르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of the ATC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수자가 상주하는 관리역 뿐만 아니라 고속철도 전 구간을 제어 감독하는 사령제어실에서도 각 역의 ATC 지상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control th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SLP(10)와 원격 제어시스템이 별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제어시스템의 장애발생시 그 영향이 SLP(10) 및 ATC 지상장치(20)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함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exis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TC 지상장치(20)를 제어하는 모든 장치는 자기 진단기능을 가지고 있어 주기적인 자기진단으로 고장여부를 검지하고, 고장 발생시 에는 기존 SLP(10)로 동작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ll devices that control the AT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격 제어시스템은 현장역 기계실에 설치된 ATC 지상장치(20)의 속도를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ATC 지상장치(20)가 출력하는 속도정보 및 SLP(10)의 동작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원격 제어장치(300)와; 현장역의 ATC 지상장치(20)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원격 제어장치(300)로부터 전송받은 제어명령을 상기 ATC 지상장치(20)로 출력하고 현장의 SLP(10) 동작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원격 제어장치(300)로 전송하는 현장 제어장치(400)와; 상기 원격 제어장치(300)와 SLP(10) 및 연동장치로부터 속도제한 신호를 입력받아 그 속도에 대응하는 신호로 주파수를 변조하여 해당 궤도회로로 전송하는 ATC 지상장치(20); 및 신호계전기실에 설치되어 보수자가 수동으로 취급한 속도제한 신호를 ATC 지상장치(20)로 출력하는 SLP(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mot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remotely control the speed of the
바람직하기는 상기 원격 제어장치(300)는 경우에 따라 철도 전 구간을 제어 감독하는 사령실과, 이웃하는 일부 역들을 제어 감독하는 관리역으로 구분하여 운영한다. Preferably, the
이하 도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살펴본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먼저 현장역의 신호기계실에 설치되어 하기 현장 제어장치(400)와 SLP(10) 및 연동장치로부터 속도제한 신호를 입력받아 그 속도에 대응하는 신호로 주파수를 변조하여 해당 궤도회로로 전송하는 ATC 지상장치(20)와; 신호계전기실에 설치되어 보수자가 수동으로 취급한 속도제한 신호를 상기 ATC 지상장치(20)로 출력하는 SLP(10)와; 고속철도 전 구간에 위치한 상기 ATC 지상장치(20)의 속도를 제어 감독하는 사령 제어장치(310)와; 운전취급자나 보수자가 상주하는 관리역에 설치되어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 또는 관리역의 운전취급자로부터 속도제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로 전송하고,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로 전송하는 역 제어장치(320); 및 상기 ATC 지상장치(20)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역 제어장치(320)로부터 전송받은 속도 값을 상기 ATC 지상장치(20)로 출력하며 상기 SLP(10)의 출력 값을 수집하여 상기 역 제어장치(320)로 전송하는 현장 제어장치(400)로 구성된다. First, the ATC ground is installed in the signal machine room of the field station and receives the speed limit signal from the following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는 상기 역 제어장치(320)들과 통신하는 모뎀(311)과; 상기 모뎀(311)을 통해 상기 역 제어장치(320)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SLP(10)의 출력정보, 상기 역 제어장치(320) 및 현장 제어장치(400)의 동작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령운전취급자의 제어명령을 상기 역 제어장치(320)로 전송하는 사령 단말장치(313)와; 상기 사령 단말장치(313)에 연결되어 현장 정보를 화면에 문자나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모니터(312)로 구성된다.(도5 참조)The
상기 역 제어장치(320)는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와 하기 현장 제어장 치(400)들과 통신하는 모뎀(321)과; 상기 모뎀(321)을 통해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령제어장치로 전송하는 한편, 관리역의 운전취급자나 상기 모뎀(321)으로 수신된 사령 제어장치(310)의 제어명령을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로 전송하는 관리역 단말장치(323)와; 상기 관리역 단말장치(323)에 연결되어 현장 정보를 화면에 문자나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모니터(322)로 구성된다.(도5 참조)The reverse control device (320) includes a modem (321)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mmand control device (310) and the following field control devices (400); The command control device received by the operator of the management station or the modem 321 while stor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는 상기 역 제어장치(320)와 통신하는 모뎀(410)과; 상기 모뎀(410)으로부터 전송받은 제어명령을 처리하고, 상기 SLP(10) 또는 현장장비들의 상태 및 장애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모뎀(410)으로 출력하는 중앙처리장치(420)와; 상기 중앙처리장치(42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상기 ATC 지상장치(20)로 출력하는 출력모듈(430)과; 상기 출력모듈(430)과 SLP(1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중앙처리장치(420)로 출력하는 입력모듈(440); 및 상기 모뎀(410), 중앙처리장치(420), 출력모듈(430)과 입력모듈(4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450)로 구성된다.(도6 참조)The
바람직하기는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와 역 제어장치(320)는 관할구역을 역별로 각각의 화면에 표시하거나 하나의 화면에 모든 역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Preferably, the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 역 제어장치(320)와 현장 제어 장치(400)는 장애 시에 다른 예비 장치로 바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든 구성요소를 이중계로 구성한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 역 제어장치(320)는 이중계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검지 되면 다른 예비 장치로 자동 전환하도록 하는 자기 진단 기능을 내장한다. Preferably, the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는 이중계 중 어느 하나에 장애가 검지 되면 다른 예비 장치로 자동 전환하도록 하는 자기 진단 기능을 내장하고, 두 장치 모두에 고장이 검지 되면 상기 출력모듈(430)의 마지막 출력신호를 안전측으로 고정시키는 동작제한 계전기(460)를 추가로 구성한다. Preferably, the
바람직하기는 또한 기존의 SLP(10)에서 ATC 지상장치(20)로 연결되는 커넥터의 배선을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와 직렬 연결하여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에 고장이 검지되면 상기 SLP(10)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4 참조)Preferably, the SLP (if the failure is detected in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It describ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현재 운용중인 ATC 지상장치(20)는 SLP(10)의 제어명령을 최우선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원격제어 시스템을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SLP(10)에서 출력되는 모든 궤도의 170km/h와 90km/h용 스위치는 ON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는 평상시에 모든 궤도의 170km/h와 90km/h를 ON으로 출력한다.First, since the currently operating
한편, 상기 입력모듈(440)은 상기 SLP(10)와 현장 제어장치(400)의 출력정보 를 검출하여 모뎀(410)을 통해 역 제어장치(320)로 전송하면, 상기 역 제어장치(320)는 관할하는 모든 역으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와 자기 동작상태 정보를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로 출력한 뒤 변경된 정보를 모니터(322)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는 상기 역 제어장치(320)들로부터 전송받은 철도 전 구간의 상기 SLP(10)와 현장 제어장치(400)의 출력정보 및 상기 역 제어장치(320)들의 동작상태를 화면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후 선로 구간에 예기치 않은 장애로 그 선로구간의 열차운행 속도를 170km/h로 제한할 필요성이 발생할 경우 사령실의 운전취급자는 화면을 주시하면서 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궤도구간의 속도를 170km/h로 제한하는 명령을 취급하고, 사령 단말장치(313)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모뎀(311)을 통해 역 제어장치(320)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명령은 역 제어장치(320)의 단말기를 통해 해당 현장 제어장치(400)의 중앙처리장치(420)로 전송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420)는 제어명령을 처리하여 출력모듈(430)에서 해당 궤도의 170km/h 포트에 OFF를 90km/h 포트에 ON을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ATC 지상장치(20)는 해당 궤도회로로 170km/h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출력한다. Then, when there is a need for limiting the train operating speed of the track section to 170km / h due to an unexpected obstacle in the track section, the driver of the command room limits the speed of the track section to 170km / h through the terminal device while watching the screen. When the command terminal device 313 generates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그리고 사령실의 운전취급자는 필요에 따라 다수 역의 ATC 지상장치(20)를 제어하는 명령을 취급할 수 있고, 취급된 신호를 다시 복귀시키는 명령을 취급할 수 있다. And the driver of the command room can handle the command to control the
또한 관리역의 운전취급자도 사령실의 운전취급자와 동일한 제어취급을 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운전취급자가 역 제어장치(320)의 관리역 단말장치(323)를 통 해 제어취급하며 이후 제어명령은 사령실의 취급과정과 동일하게 모뎀(321)을 통해 해당 현장 제어장치(400)의 중앙처리장치(420)에서 처리하여 ATC 지상장치(20)가 제한된 속도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궤도회로로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driver of the management station can handle the same control as the driver of the command room. In this case, the driver handles the control through the management station terminal device 323 of the
한편, 사령 제어장치(310)와 역 제어장치(320)의 각 단말장치(313, 323)는 자기검진하여 자체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비상장치로 바로 전환 시키고, 모니터(312, 322) 화면에 장비의 장애 여부를 표시하는데 특히 역 제어장치(320)는 현재 동작중인 장비의 상태정보를 사령 단말장치(313)로 실시간 전송하며 사령 단말장치(313)는 사령실 장비와 함께 각 현장 역들에 설치된 장비의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each terminal device (313, 323) of the
그리고 현장 제어장치(400)의 중앙처리장치(420)는 자기검진하여 자체장비에 장애가 발생하면 동작제한 계전기(460)를 무여자시켜 출력모듈(430)의 마지막 출력신호를 유지시키고 ATC 지상장치(20)로 출력모듈(430)의 출력신호가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이후 중앙처리장치(420)가 장애발생정보를 역 제어장치(320)와 사령 제어장치(310)로 전송하면, 상기 역 제어장치(320)와 사령 제어장치(310)는 운전취급자에게 장애발생을 통보하고, 이를 확인한 운전취급자가 현장 제어장치(400)를 보수하면 상기 동작제한 계전기(460)는 여자되어 출력모듈(430)의 출력신호가 다시 ATC 지상장치(20)로 출력되며 전체 시스템은 정상동작 하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사령 제어장치(310)의 모니터(312) 화면표시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고속철도 전체 19개의 역들을 광명역, 천안아산역, 영동역의 3개의 관할역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고, 각 관할역에 설치된 역 제어장치(320)의 이중계 통신상태와 상기 역 제어장치(320)와 현장제어장치의 이중계 통신상태를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여 녹색과 적색으로 표시하며, 모든 궤도는 평상시, 170km/h, 90km/h, 장애로 분류하고 각각은 색깔로(흰색, 청색, 적색, 회색) 구분하여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면에서 사령운전취급자는 궤도를 더블클릭하여 표시되는 새로운 창에서 170km/h, 90km/h 및 복귀 중 하나의 속도 값을 입력할 수 있고, 확대버튼을 선택하여 현장 역에 설치된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 정류기, Fuze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아래에는 문자로 각 장치들의 동작 및 장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nitor 312 screen display of the
그리고 상기 역 제어장치(320)의 모니터(322) 화면표시의 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관할구역에서 관리하는 역들이 표시되고, 각 현장 역에 설치된 현장 제어장치(400)의 이중계 통신상태를 정상과 비정상으로 구분하여 녹색과 적색으로 표시하며, 모든 궤도는 평상시, 170km/h, 90km/h, 장애로 분류하고 각각은 색깔로(흰색, 청색, 적색, 회색) 구분하여 표시하고, 현장 역에 설치된 상기 현장 제어장치(400), 정류기, Fuze의 동작상태를 색깔로 표시한다. 그리고 사령 제어장치(310)와 동일하게 운전취급자는 궤도를 더블클릭하여 속도제한 명령을 취급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아래에는 문자로 각 장치들의 동작 및 장애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nitor 322 screen display of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it is a deviation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all such suitable changes and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속철도 전 구간의 ATC 지상장치(20)를 원격지에서도 제어 감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예상하지 못한 장애상황을 빠르게 대처하여 안전한 열차운행을 도모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and supervise the
그리고 기존의 SLP(10)와 원격 제어시스템이 별개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제어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기존 SLP(10)로 ATC 지상장치(20)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d by allowing the existing
또한 원격 제어시스템은 자기 진단기능을 내장함으로써, 장애발생시 바로 대처하여 그 영향이 SLP(10) 및 ATC 지상장치(20)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mote control system has a built-in self-diagnostic fun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mpact does not affect th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9852A KR100772128B1 (en) | 2007-02-27 | 2007-02-27 | Speed limit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9852A KR100772128B1 (en) | 2007-02-27 | 2007-02-27 | Speed limit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72128B1 true KR100772128B1 (en) | 2007-10-31 |
Family
ID=3881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9852A Active KR100772128B1 (en) | 2007-02-27 | 2007-02-27 | Speed limit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7212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3533B1 (en) | 2010-04-28 | 2011-03-21 |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 Real-time remote recovery system of high speed railway agency and its control method |
KR101318349B1 (en) | 2012-09-13 | 2013-10-18 | 대아티아이 (주) | Power control system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y frequency hopping spectrum spread for atc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5607A (en) * | 2001-05-09 | 2002-11-22 | Kawasaki Heavy Ind Ltd | Vehicle driving support system using satellite navigation system |
JP2004359020A (en) * | 2003-06-03 | 2004-12-24 | Kyosan Electric Mfg Co Ltd |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
-
2007
- 2007-02-27 KR KR1020070019852A patent/KR10077212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35607A (en) * | 2001-05-09 | 2002-11-22 | Kawasaki Heavy Ind Ltd | Vehicle driving support system using satellite navigation system |
JP2004359020A (en) * | 2003-06-03 | 2004-12-24 | Kyosan Electric Mfg Co Ltd | Automatic train control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3533B1 (en) | 2010-04-28 | 2011-03-21 |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 Real-time remote recovery system of high speed railway agency and its control method |
KR101318349B1 (en) | 2012-09-13 | 2013-10-18 | 대아티아이 (주) | Power control system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y frequency hopping spectrum spread for atc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74113C2 (en) | Locomotive remote control system | |
CA2512979C (en) | Locomotive consist configuration control | |
CN102085874A (en) | Control system for CBTC train | |
KR20130018795A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pecific events related to the movements of a guided vehicle | |
CN213015928U (en) | Shield door control system | |
KR101340080B1 (en) |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switch to main information process module in train control system | |
CN113060185B (en) | Novel full-electronic interlocking turnout control method and system | |
EP3235706A1 (en) | Method for initializing the fs mode for the movement of a train on a railway equipped with an ertms/etcs signaling system | |
CN114604300A (en) | FAO remote driving system based on 5G technology | |
KR101210930B1 (en) |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switch of trackside signal processing modules in railroad | |
KR20050094712A (en) | Train unmanned automatic operation system | |
KR100772128B1 (en) | Speed limit remote control system for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 | |
CN114662290A (en) | Full-electronic interlocking monitoring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KR100775647B1 (en) | How to display time delay information by superimposing 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rain concentration control device | |
KR102700059B1 (en) | System for integrated monitoring and monitoring of railway signals in real time | |
KR101114576B1 (en) | Converged Electronic Block Control System | |
JP4987419B2 (en) | Train control network system, station intermediate small terminal device and station intermediate control device | |
KR102008924B1 (en) | Safety System for Track Crossing Worker | |
KR100673535B1 (en) | Transfer system and method by multiplexing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of train track side | |
KR100956315B1 (en) | Test system of twc ground facilities | |
KR101062338B1 (en) | Occlusion device stand-alone communication system | |
KR100644226B1 (en) | Automatic train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using CBT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RU2603708C2 (en) | Method for operating, securing and/or monitoring of rail-bound traffic and operation control system | |
KR101064984B1 (en) | Integrated occlusion system with automatic skip of fault local device | |
KR102501799B1 (en) | Smart Shunting Signal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3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7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708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011 Appeal identifier: 2007101009043 Request date: 20070823 |
|
AMND | Amendment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9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710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0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1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7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