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47396B1 - 운전석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운전석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396B1
KR100747396B1 KR1020060015267A KR20060015267A KR100747396B1 KR 100747396 B1 KR100747396 B1 KR 100747396B1 KR 1020060015267 A KR1020060015267 A KR 1020060015267A KR 20060015267 A KR20060015267 A KR 20060015267A KR 100747396 B1 KR100747396 B1 KR 10074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 bag
cushion
retainer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5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5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3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3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36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or the interlocking key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 and using hook and slot or keyhole-typ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너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하우징에 후크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볼트와 너트구조가 삭제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에어백, 운전석, 쿠션, 리테이너, 하우징, 후크, 조립성

Description

운전석 에어백 모듈{Driver Air-Bag Modu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가 삽입된 에어백 쿠션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배면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에어백 커버 52: 에어백 쿠션
54: 에어백 하우징 56: 인플레이터
58: 보강포 60: 리테이너
60a: 링부 60b: 후크부
62: 재봉선 64: 리벳
본 발명은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너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하우징에 후크 결합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백은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Driver Air-Bag,DAB)과,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Bag,PAB)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중앙에 위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에어백 커버(10)와, 상기 에어백 커버(10)의 후방에 결합되어 일정 형상으로 접혀진 에어백 쿠션(12)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20)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의 중앙 홀에 설치되어 충돌사고 발생시 상기 에어백 쿠션(12)이 운전석을 향해 전개되도록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12)은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는 바, 상기 에어백 쿠션(12)의 개구부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12)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 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40)가 장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12)은 상기 리테이너(40)에 의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에 고정된다. 상기 리테이너(40)에는 상기 에어백 쿠션(12)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에어백 쿠션(1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을 관통하여 너트(44)가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스터드(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12)에는 상기 리테이너(40)의 스터드(42)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에는 상기 인플레이터(30)의 결합홀(32a)을 관통한 상기 스터드(42)가 결합되는 다수개의 결합홀(20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플레이터(30)의 둘레면에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에 맞대어져 상기 리테이너(40)의 스터드(42)와 체결되는 플랜지부(32)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플랜지부(32)에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을 관통한 상기 스터드(42)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홀(32a)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리테이너(40)를 상기 에어백 쿠션(12)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상기 리테이너(40)의 스터드(42)를 상기 에어백 쿠션(12)에 삽입시킨 후, 상기 에어백 쿠션(12)을 접는다.
이후, 상기 리테이너(40)의 스터드(42)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의 결합홀 (20a)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커버(10)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을 덮도록 장착한 후, 리벳(14)을 이용하여 상기 에어백 커버(10)와 에어백 하우징(20)을 조립한다.
이후, 상기 에어백 하우징(20)의 배면에 상기 인플레이터(30)를 장착한다.
이 때, 상기 리테이너(40)의 스터드(42)가 상기 인플레이터(30)의 결합홀(32a)에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스터드(42)에 너트(44)를 체결시키면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상기 리테이너(40)의 스터드(42)를 상기 에어백 쿠션(12)에 끼우는 작업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상기 스터드(42)와 너트(44)를 체결시키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상기 너트(44)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특수 너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립이 단순하고 간편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위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고,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하우징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링부와, 상기 링부에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을 향해 돌출 형성된 후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보강포가 구비되고, 상기 링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과 보강포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과 보강포는 상기 링부가 삽입된 후 재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도록 후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가 삽입된 에어백 쿠션의 내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배면이 도시된 배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미도시)의 중앙에 위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에어백 커버(50)와, 상기 에어백 커버(50)의 후방에 결합되고, 에어백 쿠션(52)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54)과, 상기 에어백 쿠션(52)이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에 결합되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60)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52)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52)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의 내부에 접힌 상태로 수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56)가 삽입가능토록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의 중앙에도 상기 인플레이터(56)가 장착되도록 장착홀(54a)이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56)의 둘레면에는 상기 장착홀(56a)에 걸림되도록 돌출 형성된 플랜지부(56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리테이너(60)는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에어백 하우징(54)에 후크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너(60)는 상기 에어백 쿠션(52)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링부(60a)와, 상기 링부(60a)에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을 향해 돌출 형성된 후크부(6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부(60a)는 상기 인플레이터(56)가 삽입되도록 중앙에 홀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크부(60b)는 상기 링부(60a)의 상하좌우측면에서 각각 후크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바,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다수개씩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여기서는 각 한 개씩 형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에어백 쿠션(52)에는 상기 후크부(60b)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52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백 쿠션(52)의 내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56)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52)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보강포(58)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포(5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 쿠션(52)의 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60)의 링부(60a)는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보강포(58)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보강포(58)는 상기 링부(60a)가 삽입된 후 재봉되어 일체로 조립된다.
도 4 및 도5에서 참조부호 62는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보강포(58)의 재봉선을 표시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에는 상기 리테이너(60)의 상기 후크부(60b)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후크홀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에어백 쿠션(52)을 제작시,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상기 보강포(58)의 사이에 상기 리테이너(60)를 삽입한다.
상기 리테이너(60)의 링부(60a)는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상기 보강포(58)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리테이너(60)의 후크부(60b)는 상기 에어백 쿠션(52)의 관통홀(52a)을 통해 외측으로 빠져나온다.
이후,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상기 보강포(58)를 재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52)의 제작 단계에서 상기 에어백 쿠션(52)과 보강포(58), 리테이너(60)가 일체로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 쿠션(52)을 일정 형상으로 접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에 수납한다.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의 상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56)를 장착한다.
상기 인플레이터(56)가 장착된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에 상기 에어백 쿠션(50)을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에어백 쿠션(50)을 관통해서 빠져나온 상기 리테이너(60)의 후크부(60b)가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의 후크홀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리테이너(60)의 후크부(60b)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에 후크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52)을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너트를 체결 고정시키는 작업이 삭제되어,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52)이 수납된 상기 에어백 하우징(54)의 상면은 상기 에어백 커버(50)가 씌워지고, 상기 에어백 하우징(54)과 에어백 커버(50)는 리벳(64)에 의해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석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을 에어백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리테이너가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하우징에 후크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볼트와 너트구조가 삭제되어 비용이 절감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테이너는 에어백 쿠션과 보강포 사이에 삽입되어, 에어백 쿠션의 제작시 에어백 쿠션과 일체로 제작됨으로써 운전석 에어백 모듈의 조립 공정이 축소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위치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에어백 커버와; 상기 에어백 커버의 후방에 결합되고, 에어백 쿠션이 수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에어백 쿠션과 에어백 하우징에 후크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지지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에 고압의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에어백 쿠션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는 보강포가 구비되고, 상기 리테이너의 일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과 보강포 사이에 삽입된 후 재봉된 운전석 에어백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링부와, 상기 링부에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을 향해 돌출 형성된 후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부가 상기 에어백 쿠션과 보강포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후크부가 결합되도록 후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석 에어백 모듈.
KR1020060015267A 2006-02-16 2006-02-16 운전석 에어백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74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67A KR100747396B1 (ko) 2006-02-16 2006-02-16 운전석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5267A KR100747396B1 (ko) 2006-02-16 2006-02-16 운전석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396B1 true KR100747396B1 (ko) 2007-08-07

Family

ID=3860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52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47396B1 (ko) 2006-02-16 2006-02-16 운전석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3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341A (ja) * 1992-03-30 1993-10-19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H082365A (ja) * 1994-06-20 1996-01-09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H08150891A (ja) * 1994-11-29 1996-06-1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1010436A (ja) 1999-06-30 2001-01-16 T S Tec Kk エアバッグ装置
JP2001047957A (ja) 1999-08-06 2001-02-20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20020031579A (ko) * 2000-10-21 2002-05-02 이계안 에어백 모듈 고정장치
KR20030096524A (ko) * 2002-06-12 2003-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나사 체결 구조를 가진 에어백 모듈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341A (ja) * 1992-03-30 1993-10-19 Takata Kk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H082365A (ja) * 1994-06-20 1996-01-09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H08150891A (ja) * 1994-11-29 1996-06-11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2001010436A (ja) 1999-06-30 2001-01-16 T S Tec Kk エアバッグ装置
JP2001047957A (ja) 1999-08-06 2001-02-20 Tokai Rika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20020031579A (ko) * 2000-10-21 2002-05-02 이계안 에어백 모듈 고정장치
KR20030096524A (ko) * 2002-06-12 2003-12-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나사 체결 구조를 가진 에어백 모듈 조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5912B2 (en)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JP3705537B2 (ja) ピラートリムの取付構造
US8196954B2 (en) Passenger seat air-bag module
EP2987683B1 (en) Side airbag device
JP3760727B2 (ja) オーナメントを備えたエアバッグカバー
JP2019131002A (ja) 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06281945A (ja) 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るため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H07291068A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CN111867892B (zh) 侧边安全气囊装置
CN112789199B (zh) 后侧安全气囊设备
KR100747396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2010201979A (ja) エアバッグ装置
CN111002942B (zh) 侧安全气囊装置
JP3649035B2 (ja) エアバッグカバー
KR100622417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
JP4906700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9161023A (ja) ハンドルのスイッチ装置及びハンドル
JP2001163162A (ja) エアバッグ
JP7544629B2 (ja) 車両用内装部材及びハンドル
JP2002178868A (ja) エアバック装置
JP2020055505A (ja) リア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874574B2 (en) Arrangement for retaining an airbag housing and cover
KR100698713B1 (ko) 조수석 니에어백 모듈의 조립 구조
KR100629337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100068913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8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