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729674B1 -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 Google Patents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9674B1
KR100729674B1 KR1020060017193A KR20060017193A KR100729674B1 KR 100729674 B1 KR100729674 B1 KR 100729674B1 KR 1020060017193 A KR1020060017193 A KR 1020060017193A KR 20060017193 A KR20060017193 A KR 20060017193A KR 100729674 B1 KR100729674 B1 KR 100729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ocking
insect
window
insect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헌
양진영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67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방충망이 롤 형상으로 인장 권취되어 수납된 방충망 케이스; 상기 방충망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방충망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충망 케이스에 대해 이동가능한 방충망 홀더; 상기 방충망 홀더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 및 해제부재; 및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충망 케이스와 상기 걸림부재는 각각 창틀과 창짝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가 개시된다.
방충망, 해충, 조망권, 오염, 먼지, 방충망 케이스, 권취

Description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Mothproof apparatus linked with a wind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실내로 침입하는 해충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용한다. 방충망은 일반적으로 창호의 가장 바깥쪽에 설치하는데, 통상 미서기창에서는 창틀에 형성된 방충망틀용 레일 위에 방충망이 결합된 방충망틀을 결합하여 설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설치된 방충망은 항상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방충망이 먼지에 의해 오염된 경우, 시야 확보가 부족하여 조망권이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창틀에 방충망틀용 레일을 형성해야 하므로 공간확보가 필요하고 자재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시에만 설치될 수 있는 방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이하 서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충망이 롤 형상으로 인장 권취되어 수납된 방충망 케이스; 상기 방충망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방충망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충망 케이스에 대해 이동가능한 방충망 홀더; 상기 방충망 홀더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 및 해제부재; 및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충망 케이스와 상기 걸림부재는 각각 창틀과 창짝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충망 홀더에는 자석블록과 상기 자석블록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스톱퍼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블록과 스톱퍼블록 사이에 그 일단부가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는 상기 방충망 홀더의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잠금 및 해제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는 독립하여 이동하거나 함께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의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방충망 케이스(100)가 창틀에 설치되고, 걸림부재(300)가 창짝에 설치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방충망 케이스(100)가 창짝에 설치되고 걸림부재(300)가 창틀에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방충장치는 방충망 케이스(100), 방충망 홀더(200), 잠금 및 해제부재(250), 및 걸림부재(300)로 구성된다.
방충망 케이스(100)는 금속이나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창짝(40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창틀(500)의 외부에 설치된다.
방충망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마련되어 방충망(110)이 수납된다.
방충망(110)은 롤 형상으로 인장 권취되어 자연 상태에서 항상 중심으로 감기려는 복원력을 갖는다.
방충망 홀더(200)는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며, 방충망 케이스(100)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접촉된다. 방충망 홀더(20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210)에 형성된 홈(212)은 방충망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되는 방충망(110)의 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방충망 홀더(200)가 이동하는 경우, 방충망 홀더(200)에 결합된 방충망(110)이 방충망 케이스(100)로부터 딸려 나오게 된다.
방충망 홀더(200)의 일단부에는 수납공간(230)이 마련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지지부(254), 자석블록(260), 및 스톱퍼블록(270)이 수납된다.
또한, 방충망 홀더(200)의 타단부는 절곡되어 차단부(220)를 형성하며, 이 차단부(220)에 모헤어(222)를 설치함으로써 창짝(400)과 방충망 홀더(200) 사이로 침입하는 해충을 차단할 수 있다.
잠금 및 해제부재(250)는 금속재질의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바와 같이, 일단에 지지부(254)가 형성되고, 타단에 절곡부(252)가 형성된다. 지지부(254)는 방충망 홀더(200)에 형성된 수납공간(23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절곡부(252)는 방충망 홀더(200)의 차단부(220)에 고정된다. 또한, 잠금 및 해제부재(250)에는 손잡이(256)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방충망 홀더(200)에 형성된 수납공간(230)에는 자석블록(260)과 스톱퍼블록(270)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며, 이 사이에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지지부(254)가 위치한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잠금 및 해제부재(25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금속재질의 잠금 및 해제부재(250)는 자석블록(260)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잠금 및 해제부재(250)가 하부로 이동하면, 스톱퍼블록(270)에 의해 더 이상의 이동이 중지된다.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부재(250)는 방충망 홀더(200)의 상하방향으로 다 수 개 설치되고, 상호 독립하여 이동하거나 함께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걸림부재(300)는 돌출된 걸림돌기(310)를 포함하여 단일 몸체로 이루어지며, 창짝(300)에 고정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잠금 및 해제부재(259)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절곡부(25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걸림돌기(310)에 걸리거나, 걸림돌기(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의 구조에서, 창짝(400)이 창틀(500)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서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절곡부(252)가 걸림부재(300)의 걸림돌기(31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는 공간에 손을 넣어 잠금 및 해제부재(250)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방충망 홀더(200)와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폭은 이러한 기능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방충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방충망(110)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창짝(400)을 조금 연 상태에서 창짝(400)과 창틀(500) 사이에 손을 넣어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손잡이(256)를 아래로 내려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절곡부(252)가 걸림부재(300)의 걸림돌기(310)에 걸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창짝(400)을 이동시키면, 방충망 홀더(200)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방충망 홀더(200)에 연결된 방충망(110)이 방충망 케이스(100)로부터 끌려나온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창짝(400)과 방충망 홀더(200) 사이는 방충망 홀더 (200)의 차단부(220)에 설치한 모헤어(222)에 의해 차폐되므로 해충의 침입을 차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창짝(400)을 닫게 되면, 걸림부재(300)의 걸림돌기(310)가 잠금 및 해제부재(250)의 절곡부(252)에 가하던 압력이 해제되고, 따라서 방충망 홀더(200)는 방충망(110)의 인장력에 의해 끌려 이동하며, 방충망 홀더(200)의 결합부(210)가 방충망 케이스(100)에 접촉하면서 이동이 중지된다.
한편, 방충망(11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잡이(256)를 이용하여 잠금 및 해제부재(250)를 위로 올리면 자석블록(260)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창짝(400)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필요에 의해서만 방충망을 노출시킬 수 있어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먼지에 의한 오염을 제거함으로써, 충분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방충망이 방충망 홀더에 고정되어 이동하므로 별도의 레일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별도의 공간확보가 필요하지 않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이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의해서만 방충망을 노출시킬 수 있어 먼지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먼지에 의한 오염을 제거함으로써, 충분한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충망이 방충망 홀더에 고정되어 이동하므로 별도의 레일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별도의 공간확보가 필요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자재비가 절약된다.

Claims (4)

  1. 방충망이 롤 형상으로 인장 권취되어 수납된 방충망 케이스;
    상기 방충망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방충망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충망 케이스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방충망 홀더;
    상기 방충망 홀더에 결합하여 상하 이동가능한 잠금 및 해제부재; 및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충망 케이스와 상기 걸림부재는 각각 창틀과 창짝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충망 홀더에는 자석블록과 상기 자석블록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스톱퍼블록이 설치되며,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블록과 스톱퍼블록 사이에 그 일단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 및 해제부재는 상기 방충망 홀더의 상하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다수 개의 잠금 및 해제부재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4. 삭제
KR1020060017193A 2006-02-22 2006-02-22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29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93A KR100729674B1 (ko) 2006-02-22 2006-02-22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193A KR100729674B1 (ko) 2006-02-22 2006-02-22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9674B1 true KR100729674B1 (ko) 2007-06-18

Family

ID=3837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1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9674B1 (ko) 2006-02-22 2006-02-22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96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362Y1 (ko) 2001-05-04 2001-10-12 박영호 미서기 창문의 로울러식 방충망 부착구조
KR200329079Y1 (ko) 2003-07-21 2003-10-04 정석동 창틀용 안전망
KR200355861Y1 (ko) 2004-04-13 2004-07-09 권오훈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200398753Y1 (ko) 2005-07-11 2005-10-18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미서기 창문용 착탈식 방충망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362Y1 (ko) 2001-05-04 2001-10-12 박영호 미서기 창문의 로울러식 방충망 부착구조
KR200329079Y1 (ko) 2003-07-21 2003-10-04 정석동 창틀용 안전망
KR200355861Y1 (ko) 2004-04-13 2004-07-09 권오훈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200398753Y1 (ko) 2005-07-11 2005-10-18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미서기 창문용 착탈식 방충망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75221B (zh) 具备可替换的微尘阻隔用过滤网的防虫网组装体
KR101786852B1 (ko) 방충망 기능이 구비된 방범창호
KR102112220B1 (ko) 미세먼지 필터망의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조립체
KR20130104388A (ko) 슬라이딩 창호용 롤 방충망 장치
JP6126898B2 (ja) サッシ
KR100729674B1 (ko) 창짝 연동형 방충장치
KR101507745B1 (ko) 미닫이창용 잠금장치
KR101882763B1 (ko)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200435394Y1 (ko) 별도의 안내레일이 필요없는 안전 방충망
KR101599896B1 (ko) 방충망 도어의 잠금장치
KR102361344B1 (ko) 잔여롤 회수가 가능한 롤 방충망
KR200459938Y1 (ko) 방충망 고정장치
KR101693003B1 (ko) 롤형 방충망의 잠금장치
KR101463600B1 (ko) 마그네틱센서의 자석이 삽입된 미서기 방충창용 락킹 핸들
KR102074985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JP2008303546A (ja) 上げ下げ窓の安全装置
KR200398753Y1 (ko) 미서기 창문용 착탈식 방충망
KR20100036114A (ko) 이중방충망
KR102022411B1 (ko) 롤형 방충망의 양방향 잠금해제장치
KR101905263B1 (ko) 롤 방충망의 잠금장치
KR200205906Y1 (ko) 방충 및 차광기능이 가능한 다기능 창호시스템
KR101751471B1 (ko) 현관문용 롤형 방충망의 잠금장치
KR200381606Y1 (ko) 방충망 잠금 장치
KR200425012Y1 (ko) 로울러식 방충망의 록킹장치
KR200483044Y1 (ko) 롤 타입 방충망의 손잡이 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