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9856B1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Google Patents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09856B1 KR100709856B1 KR1020050061914A KR20050061914A KR100709856B1 KR 100709856 B1 KR100709856 B1 KR 100709856B1 KR 1020050061914 A KR1020050061914 A KR 1020050061914A KR 20050061914 A KR20050061914 A KR 20050061914A KR 100709856 B1 KR100709856 B1 KR 100709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istor
- voltage
- current
- gate
- current limi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7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feedback circui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
- 기준 전압이 반전 단자에 입력되고, 출력 전압이 분압된 후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에러 앰프와,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가 게이트에 연결되고, 소스와 드레인에 각각 입력 전원 단자 및 출력 전원 단자가 연결된 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와 전원 입력 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출력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단락 및 과부하시의 전류 제한점을 결정하는 제1전류 제한부와,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 제1전류 제한부 및 전원 입력 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단락 및 과부하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제2전류 제한부를 포함하고,상기 제1전류 제한부는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 및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소스가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되며, 전원 출력 단자에 드레인이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소스와 상기 전원 입력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압 강하용 저항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공통으로 드레인이 연결되고, 전원 입력 단자에 소스가 연결된 동시에,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소스에 게이트가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고,상기 제2전류 제한부는 상기 제1전류 제한부의 제1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제2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전원 입력 단자에 소스가 연결된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된 동시에, 드레인과 게이트가 공통 연결되고, 또한 커런트 소스에 소스가 연결된 제4트랜지스터와, 상기 제4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 및 제3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드레인이 연결되며, 상기 전원 출력 단자에 소스가 연결된 제5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류 제한부는 상기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단락 및 과부하시 패스 트랜지스터를 오프시켜 출력 전류가 0이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출력 전압이 작아지면 상기 에러 앰프의 비반전 단자를 통해 작아진 분압 전압이 인가되고, 이어서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에 의해 작아진 전압이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인가되며, 이어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게이트간 전압상승에 의해 출력 전류가 증가됨으로써, 출력 전압이 정상 상태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출력 전압이 더 작아지면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한 출력 전류가 더 증가하되,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전류 역시 함께 증가하여 전압 강하용 저항의 전압 강하가 커지고, 이어서 상기 제2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며, 이어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의 소스-게이트 전압의 합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출력 전류가 더 이상 증가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 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 제한부의 동작에 의해 제2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면, 상기 제2전류 제한부의 제3트랜지스터 및 제4트랜지스터가 턴온되고, 이어서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하여 단락 및 과부하 상태가 되면 상기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출력 전압의 감소에 의해 제5트랜지스터의 게이트-소스 전압이 상승하여 턴온되고, 이어서 제1전류 제한부의 전압 강하용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가 더 증가하게 되며, 이어서 제2트랜지스터가 딥 트라이오드 영역(deep triode region)에서 동작하여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입력 전압까지 상승하고, 이어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기준 전압이 반전 단자에 입력되고, 출력 전압이 분압된 후 비반전 단자에 입력되는 에러 앰프와, 상기 에러 앰프의 출력 단자가 게이트에 연결되고, 소스와 드레인에 각각 입력 전원 단자 및 출력 전원 단자가 연결된 패스 트랜지스터와,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와 전원 입력 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출력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하는 동시에, 단락 및 과부하시의 전류 제한점을 결정하는 제1전류 제한부와,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 제1전류 제한부 및 전원 입력 단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단락 및 과부하시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는 제2전류 제한부를 포함하고,상기 전원 출력 단자에는 제1,2,3분압 저항이 직렬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3분압 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과 기준 전압은 상기 제1전류 제한부로 인가되고, 상기 제3분압 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은 상기 에러 앰프의 비반전 단자로 인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류 제한부는상기 전원 입력 단자에 소스가 연결되고, 게이트 및 드레인이 공통 연결된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 입력 단자에 소스가 연결되고, 게이트 및 드레인이 공통 연결된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에는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3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드레인이 연결되고, 게이트에는 상기 제2,3분압 저항에 의해 분압된 전압이 인가되는 제4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류 제한부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드레인이 전원 입력 단자에 연결되며, 소스는 상기 패스 트랜 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제6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 단자를 통한 단락 및 과부하에 의해 제2,3분압 저항에 의한 분압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게 되면, 상기 제1전류 제한부의 제3트랜지스터는 턴온되는 동시에, 제4트랜지스터는 턴오프됨으로써,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증가하고, 이어서 제2전류 제한부의 제6트랜지스터가 턴온됨으로써, 상기 패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증가하여 턴오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914A KR100709856B1 (ko) | 2005-07-08 | 2005-07-08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61914A KR100709856B1 (ko) | 2005-07-08 | 2005-07-08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6514A KR20070006514A (ko) | 2007-01-11 |
KR100709856B1 true KR100709856B1 (ko) | 2007-04-23 |
Family
ID=3787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61914A Expired - Lifetime KR100709856B1 (ko) | 2005-07-08 | 2005-07-08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985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9896B1 (ko) | 2009-12-24 | 2011-1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0600B1 (ko) * | 2014-08-06 | 2016-06-16 | (주)태진기술 | 과전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압 레귤레이터 |
KR102436699B1 (ko) * | 2016-05-11 | 2022-08-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
CN116301165B (zh) * | 2023-04-13 | 2025-07-04 | 湖南国科微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ldo电路及ldo芯片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3232A (ja) | 1997-08-28 | 1999-03-16 | Ricoh Co Ltd | 電流制限回路及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
JP2004080346A (ja) | 2002-08-16 | 2004-03-11 | Nec Electronics Corp | 電流制限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出力回路 |
US6804102B2 (en) | 2001-01-19 | 2004-10-12 | Stmicroelectronics S.A. | Voltage regulator protected against short-circuits by current limiter responsive to output voltage |
US20050007189A1 (en) | 2003-07-10 | 2005-01-13 | Atmel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t limitation in voltage regulators |
US6897638B2 (en) | 2002-07-08 | 2005-05-24 | Rohm Co., Ltd. | Stabilized power supply unit having a current limiting function |
KR20050081632A (ko) * | 2004-02-16 | 2005-08-19 | 주식회사 케이이씨 | 저전압강하 레귤레이터 |
-
2005
- 2005-07-08 KR KR1020050061914A patent/KR100709856B1/ko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3232A (ja) | 1997-08-28 | 1999-03-16 | Ricoh Co Ltd | 電流制限回路及び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
US6804102B2 (en) | 2001-01-19 | 2004-10-12 | Stmicroelectronics S.A. | Voltage regulator protected against short-circuits by current limiter responsive to output voltage |
US6897638B2 (en) | 2002-07-08 | 2005-05-24 | Rohm Co., Ltd. | Stabilized power supply unit having a current limiting function |
JP2004080346A (ja) | 2002-08-16 | 2004-03-11 | Nec Electronics Corp | 電流制限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出力回路 |
US20050007189A1 (en) | 2003-07-10 | 2005-01-13 | Atmel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current limitation in voltage regulators |
KR20050081632A (ko) * | 2004-02-16 | 2005-08-19 | 주식회사 케이이씨 | 저전압강하 레귤레이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9896B1 (ko) | 2009-12-24 | 2011-12-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06514A (ko) | 2007-01-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02162B2 (en) | Voltage regulator with over-current protection | |
CN109032241B (zh) | 一种带电流限功能的低压差线性稳压器 | |
KR101435238B1 (ko) | 볼티지 레귤레이터 | |
KR101012566B1 (ko) | 전압 레귤레이터 | |
US8446215B2 (en) | Constant voltage circuit | |
US8665020B2 (en) |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that can change current flowing through a constant-current source according to load variation, and series regulator including the same | |
EP1865397A1 (en) | Low drop-out voltage regulator | |
JP2005235932A (ja) |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9071047B2 (en) | Voltage regulator | |
US10571941B2 (en) | Voltage regulator | |
US9831757B2 (en) | Voltage regulator | |
KR101109308B1 (ko) | 전압 레귤레이터 | |
KR102390730B1 (ko) | 과전류 보호 회로 및 전압 레귤레이터 | |
JP2021018657A (ja) | シリーズレギュレータ | |
US6570437B2 (en) | Bandgap reference voltage circuit | |
JP4614750B2 (ja) | レギュレータ | |
KR100709856B1 (ko) | 저전압 강하 레귤레이터의 전류 제한 회로 | |
US20230088617A1 (en) | Constant voltage circuit | |
CN111650988B (zh) | 一种稳压器 | |
US20240275160A1 (en) |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power supply device | |
CN119396240A (zh) | 一种负载电流可校准的片上电源限流保护电路 | |
CN117348658A (zh) | 驱动级电路、线性稳压器及电源装置 | |
JP2024137677A (ja) | ボルテージレギュレータ | |
WO2025013775A1 (ja) | 半導体装置 | |
CN119717993A (zh) | 一种具有限流保护的低压差线性稳压器、芯片及电子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7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3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1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