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76939B1 -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6939B1
KR100676939B1 KR1020050082763A KR20050082763A KR100676939B1 KR 100676939 B1 KR100676939 B1 KR 100676939B1 KR 1020050082763 A KR1020050082763 A KR 1020050082763A KR 20050082763 A KR20050082763 A KR 20050082763A KR 100676939 B1 KR100676939 B1 KR 10067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beam
foaming
thermoplastic olefin
composition
crossli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린
이장훈
함용구
박완용
이현배
Original Assignee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939B1/ko
Priority to CN2006800320361A priority patent/CN101253233B/zh
Priority to PCT/KR2006/003117 priority patent/WO2007029924A1/en
Priority to JP2008529908A priority patent/JP4907661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06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chemical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5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4Applications used for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08L2312/06Crosslinking by radi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조사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은, 기본수지, 상용화제, 발포제 및 가교조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추가적으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혼련성 증진제 등이 더 첨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 과정에,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며, 적정한 압출기 내의 공정 조건을 유지하고, 전자선 가교방법을 통해 가교시킨 후 최종적으로 발포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면, 보다 개선된 물성을 가지면서 친환경성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품의 외관 특성 및 각종 기계적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성 높은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할 수 있다.
TPO, 발포체, 폼, 전자선 가교, 발포제, 폴리올레핀, 복합탄성체

Description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radiation cross-linking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radiation cross-linking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foam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도가 쇼어(Shore) D 타입 경도계로 35 이상인 폴리 올레핀계 수지와 복합탄성체를 기본수지로 활용하여, 전자선 조사 방식에 의해 가교시키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등으로 대표되는 쇼어(shore) D 경도가 35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대표적인 범용수지로서, 저밀도, 고강도, 고내열성 등 매우 우수한 물성을 갖고 있음은 물론 재활용이 수월한 환경친화적 소재이다. 또한 생활용품에서 공업용 부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합한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도 가장 큰 성장이 예측되는 플라스틱 소재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유리전이온도와 높은 결정화도, 그리고 고유의 비극성(non-polar) 등으로 인하여 저온충격저항 및 도장성 등의 단점도 있어, 이를 극복함과 아울러,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공중합, 고무상의 도입, FRP 등의 다양한 방법의 복합화가 모색되고 있다.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TPO라 약칭하기도 함) 수지는 상온에서 열경화성 고무의 유연성을 포함, 상분리 조작 등에 의한 다양한 물성의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이 가공성을 가지고 있어, 재활용 또한 용이한 점 등을 이유로 기존의 고무제품 또는 내충격 강화소재의 대체재로서 주목받고 있는 고분자 블랜드 수지이다. 상업화된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의 하드 세그멘트는 PP, PE 등의 경도가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며, 소프트 세그멘트는 EPDM, EPR, EVA,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탄성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NBR, 부틸고무, 천연고무 등과도 블랜딩하는 등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다양한 조성을 갖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수지의 개발도 시도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수지로 적정한 물질을 선택하여 블랜딩 후, 압출 및 발포과정을 진행하여 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혼합수지의 블랜딩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용화제, 복합탄성체를 발포시키기 위한 발포제, 적정하게 선택된 방법에 따른 가교 공정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한 가교조제 등 추가적인 성분을 포함한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발포제를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미리 투입하게 되면, 발포공정에 이르기 전에 조성물 내에서 미리 분해되기 때문에 양호한 발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더구나,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싱글 압출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발포제의 적정한 투입 시점과 방법을 고려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발포제가 포함된 조성물이 압출기내에 투입된 경우, 그 압출기 조건에 따라서 상기 포함된 발포제에 대한 물성 변화가 초래되어 이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화학가교방법은 환경오염원을 배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가교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공정 진행과정의 마지막 단계의 발포과정에서는 종래에 잘 알려져 있는 발포로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치하고 공기를 열전달매체로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외에도, 새로운 방식의 발포 기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폼을 제조함에 있어서, 최초 준비되는 조성물의 성분과 함량에 대한 개량과 더불어, 제조 공정 중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공정 조건이나 구체적인 진행 방법 등에 대한 개선을 통해, 최 종 생산되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품의 물성 향상을 위한 관련 분야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조성 성분과 각 성분별 함량을 적절하게 제시하여, 양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재료를 준비하며, 이를 이용하여 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의 진행 공정 조건별로 요구되는 최적의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제조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은, 기본수지, 상용화제, 발포제 및 가교조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며, 상기 기본수지는 10 내지 8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쇼어(Shore) D 타입 경도계로 35 이상인 고경도 폴리올레핀계 수지(하드세그먼트)와 20 내지 90 중량%의 탄성중합체(elastomer : 소프트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탄성체이고,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불록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래파이트된 에틸렌 프로필렌고무(EPDM) 및 기능성 폴리머(functionalized polym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며, 상기 발포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탄산수소암모늄(Ammonium bi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및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ate)으로 이루어진 무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DPT), 벤젠 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TSH) 및 톨루엔 술포닐 세미카바자이드(PTSS)로 이루어진 유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 상기 가교조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유기과산화물, 불포화수지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가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방법은, (S11)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 성분 전부를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 (S12)상기 준비된 발포제를 포함한 조성물을 트윈 압출기에 투입하며 압출시키는 단계; (S13)상기 압출된 결과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 및 (S14)상기 가교된 결과물에 대해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달리, (S21)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성분 중 발포제를 제외한 다른 나머지 성분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 (S22)상기 (S21)단계에서 제외한 발포제 성분을 상기 트윈 압출기에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시키면서 압출시키는 단계; (S23)상기 압출된 결과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 및 (S24)상기 가교된 결과물에 대해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필한 경우에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기본수지는 10 내지 8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쇼어 D 타입 경도계로 35 이상인 고경도 폴리올레핀계 수지(하드세그먼트)와 20 내지 90 중량%의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수지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기본수지로 블랜딩된 경도가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하드 세그멘트로, 상기 기본수지로 블랜딩된 탄성중합체는 소프트 세그멘트로 구성되도록 조성된다. 상기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멘트의 함량과 소프트 세그멘트의 함량 비율에 따라 제품의 기계적 물성이 변화된다. 특히, 상기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수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압출 및 발포 가공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한 반면, 전자선 가교에 의해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함에 있어서 유연성을 저하시킬 수 있어, 탄성체로서의 성능 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그 함량 조절에 주의가 요망된다. 즉, 상기 하드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경도가 높은(쇼어 D 타입 경도계로 35 이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함량과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내열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고,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탄성체로서 이용하기 위한 유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상기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탄성중합체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탄성체로서 이용하기 위한 유연성이 확보되지 않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내열성, 기계적 물성 및 가공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에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경도가 높은 폴리올레핀계 수지(하드세그멘트)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에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탄성중합체로는 올레핀계(EPR, EPDM, 에텔렌 옥텐 공중합체,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스타일렌계(SBS, SIS, SEBS), 부타디엔 러버 및 불소유기계(불소가 함유된 하이드로카본 폴리머) 탄성중합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불록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래파이트된 에틸렌 프로필렌고무(EPDM) 및 기능성 폴리머(functionalized polym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 는 둘 이상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용화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상기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멘트와 소프트 세그멘트 간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결합력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그 영향이 미소하에 이루어져 요구되는 제품 물성 확보가 어렵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멘트와 소프트 세그멘트 간의 계면에서 발생하는 결합력에 과도한 영향을 미쳐 요구되는 제품 물성 확보가 어렵게 됨은 물론 추가량에 비례적인 효과 증대가 없으면서 소요비용 증대만 이루어져 경제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상용화제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기능성 폴리머는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grafted-Maleic anhydride, 'PP-g-MAH'라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ene ethyl acrylate-grafted-Maleic anhydride, 'EEA-MAH'라고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grafted-maleic anhydride, 'EVA-g-MAH'라고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스타일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타일렌(Styrene ethylene butadiene styrene- grafted-maleic anhydride, 'SEBS-g-MAH'라고 약하기도 함), 말레산 무수물과 공중합된 폴리스티렌[PS(polystyrene)-co-MAH(Maleic anhydride)],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GMA(Grafted maleic anhydride)] 및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EEA(Ethylene ethyl acetate)-GMA(grafted maleic anhydrid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탄산수소암모늄(Ammonium bicarbonate), 탄산수소나트륨(Sodium bicarbonate) 및 보로수소화나트륨(Sodium borohydrate)으로 이루어진 무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아조디카본아마이드(ADCA),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DPT), 벤젠 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TSH) 및 톨루엔 술포닐 세미카바자이드(PTSS)로 이루어진 유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포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요구되는 발포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발포가 과도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이로 인한 제품의 물성 저하가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 조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유기 과산화물, 불포화 수지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가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조제는 발포시 최적의 수지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이때,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거나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포시 최적의 수지 점도를 확보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가교조제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유기 과산화물은 하이드로 퍼옥사이드, 디알킬-아릴퍼옥사이드(디쿠밀 퍼옥사이드), 디아실 퍼옥사이드, 퍼옥시 케탈, 퍼옥시 에스테르, 퍼옥시카보네이트, 케톤 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며, 상기 가교조 제로 선택되어 사용되는 불포화수지 가교제는 비닐 모노머, 아크릴계 화합물, 메타크릴계 화합물 및 에폭시계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혼합수지의 혼련성 증진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산화방지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압출 및 발포시 가공성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첨가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안정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압출 및 발포시 가공성이 저하되고 수지가 분해되어 물성이 저하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의 첨가로 인해,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품의 기계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혼합수지의 혼련성 증진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탈크,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혼합수지의 혼련성 증진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블랜딩된 혼합수지의 혼련성 증진에 아무런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아 첨가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첨가량에 증대에 따른 효과 증대가 없으면서, 과도한 첨가량으로 인한 공정 안정성 및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 상기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각 단계별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공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음의 4단계(S11 내지 S14)를 진행하여 공정을 진행함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전체 성분을 준비하여 혼합한다(S11). 이후, 상기 단계(S11)에서 준비된 발포제가 포함된 조성물을 트윈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시킨다(S12). 이어서, 상기 단계(S12)의 압출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킨다(S3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단계(S13)의 가교물에 대해 발포시킨다(S14).
상기 (S12)의 압출 단계에서 사용된 압출기와 관련하여, 종래의 싱글 압출기를 사용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제가 포함된 열가소성 올레핀계 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함에 기술적 장애가 발생하여 목적하는 압출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트윈 압출기는 역방향 타입(counter-rotation type) 및 동방향 타입(co-rotation type) 모두를 사용할 수 있지만, 후자의 동방향 타입의 트윈 압출기를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한 압출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다음의 4단계(S21 내지 S24)를 진행하여 공정을 진행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중, 발포제를 제외한 다른 성분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과정으로 진행한다(S21). 이어서, 상기 (S21)단계에서 제외된 발포제를 상기 트윈 압출기 중단부를 통해 사이드 피딩 투입시키면서 압출시키는 방법으로 진행한다(S22). 전술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의 성분 중 발포제를 제외한 다른 성분으로 구성된 조성물을 별도 준비하는 것은 후속 공정(S22 단계)에서 압출기에 중간 사이드 피딩 방식에 의해 발포제를 별도 투입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압출기에 최초 조성물을 투입하면서 발포제를 제외하는 것은 압출기 내부의 공정 조건에 의해 발포제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상기 (S22)의 압출단계에서, 발포제를 사이드 피딩 방식, 즉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중간 부분에서 발포제를 투입하면서 진행하면 조성물의 혼련성 및 발포제의 효율이 극대화되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는 120 내지 200℃로 유지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며,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투입된 조성물의 적정한 혼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 중간으로 투입된 발포제의 발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 내부의 스크루 중 니딩 블럭(kneading block)의 수가 10 내지 40% 정도로 조절되어야 하며, 만일 상기 수치범위의 하한치에 미달하면 투입된 수지 조성물의 혼련성이 저하되고, 상기 수치범위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발포제의 성능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트윈 압출기 스크루의 온도가 50 내지 120℃로 유지되어야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트윈 압출기 스크루 온도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수지 조성물이 급격하게 고체화 되어 마더쉬트(Mother Sheet)의 성형이 어렵고,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의 상분리 일어나 정상적이 제품의 생산이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발포제의 성능이 저하되고 물성이 저하되어 후속 발포 공정(S14 또는 S24)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제품 성능에 불량이 발생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이, 상기 트윈 압출기 스크루의 온도를 적정한 범위로 낮출 수 있는 냉각시스템이 도입되어 제품 생산성 및 수율 저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방법에서 채택된 가교 단계(S14 또는 S24)에 채택된 가교 방식은 전자선 조사를 통해 가교 방식으로서, 이는 종래의 화학가교 방식에 비해 친환경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하고 공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S13 또는 S23)의 가교 단계는, 100 내지 1,000 kV의 전압과 0.5 내지 10 Mrad의 전자선량으로 가속전자선이 조사되도록 진행하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가교 전압의 조절은 상기 압출 단계(S12 또는 S22)를 통해 얻어진 압출시트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며, 상기 가교전자선량은 앞서 투입된 발포제의 밀도와 물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 전압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상기 단계(S12 또는 S22)에서 얻어진 압출물에 대해 충분한 깊이까지 가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과도한 깊이까지 조사가 되어 조사량이 겹치는 부분은 과가교반응이 일어나 발포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물론, 경제성도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가교 전자선량에 대한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하한치에 미달하면 상기 단계(S12 또는 S22)에서 얻어진 압출물에 대해 충분한 가교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후속 발포공정(S14 또는 S24) 진행에 문제가 발생하며,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면 과도한 가교 전자선량 때문에 가교반응이 과포화상태에 이르러 발포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경제성도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하에서 진행되는 전자선 조사를 이용한 가교방법은 가교의 대상물인 전단계(S12 또는 S22)의 결과물인 압출물 시트에 가속전자선이 조사되어 상기 압출물 시트 내에 포함된 올레핀계 수지 내에 포함된 수소가 제거되며, 이로 인하여 올레핀계 수지 내에 라디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라디칼은 높은 반응성을 갖게 되며, 올레핀계 수지 내에서 가교반응이 유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S14 또는 S24)의 발포단계는, 발포로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수평발포방법, 발포로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수직발포방법 및 열전달매체로 액상의 설트를 이용하는 설트발포방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3가지의 발포방법은 모두 상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며, 발포로의 설치 방법과 열전달 매체에 따라 상호 구분된다. 첫 번째의 상기 수평발포방법은 발포로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발포시 발포체가 수평으로 생산되며, 모든 공정이 수 평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수평발포방법은 발포로의 배치 및 공정 진행 과정에서 중력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으므로 발포시 길이 방향의 팽창비가 작으므로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물성 변화가 작은 장점이 있다. 두 번째의 상기 수직발포방법은 발포로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마더시트(mother sheet)를 하강시키면서 발포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수직발포방법은 발포시 공기중에서 발포가 이루어지므로 외관이 우수하고 아울러 폭 방향으로의 편차가 작게 발생하여 수율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다. 세 번째의 상기 설트발포방법은 열전달매체로 액상 설트를 사용하는 점에서 전술한 두 가지의 발포방법과는 공정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수직발포방법과는 달리 공기를 열전달체로 사용하지 않고 액상의 설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전달 효과가 우수하며 시트상에서 균일하게 발포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전술한 수평 또는 수직발포방법에 의해 생산된 발포제품에 비해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에서의 물성 편차가 매우 작아 제품 특성이 우수하게 평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된 각각의 조성물의 조성, 사용된 압출기 종류, 압출기의 스크루 냉각시스템의 채택 여부, 가교방법, 발포방법 등을 감안하여 실시예들(1-3)와 비교예들(1-3)로 각각 구분 설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폴리올레핀계 40 40 40 100 0 40 40 40 40
탄성중합체 60 60 60 0 100 60 60 60 60
상용화제 5 5 5 5 5 5 5 5 5
발포제 15 15 15 15 15 15 15 15 15
가교제 1.0 1.0 1.0 1.0 1.0 1.0 1.0 1.0 1.0
안정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혼련성증진제 5 5 5 5 5 5 5 5 5
압출기종류 트윈 트윈 트윈 트윈 트윈 싱글 트윈 트윈 트윈
냉각시스템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적용 적용 비적용 적용 적용
가교방법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전자선 화학
발포방법 수직 수평 설트 수직 수직 수평 수직 수직 수직
상기 표 1에서, 경도가 높은 폴리 올레핀계 수지는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하드 세그멘트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하였으며, 탄성중합체는 기본수지를 구성하는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EPDM을 이용하였으며, 상용화제는 듀폰에서 생산되고 있는 말레산 무수물이 0.9% 도입된 EPDM을 이용하였으며, 발포제는 ADCA를 이용하였으며, 가교조제는 아크릴계 화합물을 이용하였으며, 안정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 메탄을 이용하였으며, 혼련성 증진제는 탈크를 이용하였다. 상기 압출기의 종류와 관련하여, 트윈으로 표시된 것은 트윈형 압출기를 의미하며, 싱글로 표시된 것은 싱글형 압출기를 의미한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에는 트윈형 압출기이면서 역회전방식의 것이며, 실시예 2 및 3의 경우에는 동방향 회전 방식의 것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냉각시스템과 관련하여, 압출기 스크루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경우에는 적용으로 표시하였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비적용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가교방법으로서 전자선방식이 채택된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의 전자선량은 3.0 Mrad이며, 아울러 비교예의 경우도 비교예 5을 제외한 모든 경우의 전자선량은 3.0 Mrad로 하였으며, 비교예 5의 경우의 전자선량은 11.0 Mrad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발포방법으로서, 실시예 1, 비교예 1, 2 및 4 내지 6은 수직발포방법을, 실시예 2 및 비교예 3은 수평발포 방법을, 실시예 3은 설트발포방법을 각각 채택하여 진행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압출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가 불가 양호 양호
발포성 양호 양호 극히양호 양호 양호 불가 불가 불가 양호
생산성 우수 우수 극히우수 우수 우수 불가 불가 불가 준양호
물성의 균일성 (길이,폭방향) 길이방향우수 모든방향우수 모든방향 극히우수 길이방향 우수 길이방향우수 - - 길이방향우수
인장강도(kg/㎠) 7.2/5.0 6.8/6.5 7.2/7.0 15.0/7.0 3.0/1.5 6.5/6.0
팽창비(길이/폭) 길이>폭 길이=폭 길이=폭 길이>폭 길이>폭 - - 길이>폭
밀도(kg/㎥) 50 50 50 50 50 - - 50
셀크기(㎛) 120 150 150 150 170 - - 300
열저항성 (가열치수변화 %)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나쁨 - - 우수
-2.5 -2.3 -2.2 -1.0 -25 -2.5
유연성 (압축경도 kgf/㎠) 우수 우수 우수 나쁨 우수 - - 우수
0.43 0.44 0.44 0.85 0.21
친환경성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 - 나쁨
상기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1-3)의 경우는 비교예들(1-6)에 비해 진행 공정 중에 요구되는 여러 제반 문제, 예컨대 압출성, 발포성, 생산성 등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면서, 결과적으로 산출된 제품의 물성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탁월한 기술적 효과가 충분히 검증되었다 할 것이다.
상기 표 2의 항목 중 물성의 균일성과 팽창비는 비례 관계가 있으므로 물성의 균일성은 기계적 물성의 대표 항목인 인장강도를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측정하여 그 값을 비교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길이 방향의 인장강도는 7.2 kgf/㎠이며, 폭 방향의 인장강도는 5.0 kgf/㎠의 값을 나타났다. 실시예 2 및 3의 경우에는 각각 수평 발포 방식과 설트 발포 방식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의 값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2의 경우 길이 방향으로는 6.8 kgf/㎠, 폭 방향으로는 6.5 kgf/㎠의 인장강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실시예 3의 경우 길이 방향으로 7.2 kgf/㎠, 폭 방향으로는 7.0 kgf/㎠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인장강도 측정 방법은 KS M 3014(폴리에틸렌 발포 제품 시험방법)을 적용하였다. 한편, 발포 후 발포체의 셀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서 SEM을 이용하여 셀 크기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역방향 트윈 압출기를 적용한 실시예 1 경우 셀 크기(Cell Size)가 가장 작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아울러 비교예 6의 경우 셀 크기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화학 가교 방법과 전자선 가교 방법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된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의 유연성과 열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유연성의 경우는 25% 압출시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열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120℃에서 1시간 동안 방치 후 폼의 변화량을 측정하였다. 인장강도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KS M 3014 기준을 적용하여 압축경도와 가열수축변화를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가열 치수변화가 -1%이고 압축경도는 0.85 kgf/㎠을 나타났으며, 비교예 2의 경우는 가열 치수변화가 -25%, 압축경도가 0.21 kgf/㎠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2의 경우 달리,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는 가열치수변화가 -2.2에서 -2.5% 값을 나타냈으며, 압축경도도 0.43에서 0.44 kgf/㎠의 값을 나타내어 열저항성과 유연성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면, 보다 개선된 물성을 가지면서 친환경성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품의 외관 특성 및 각종 기계적 특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성 높은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할 수 있다.
현재 TPO 폼의 적용 분야는 크게 두 분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동차 소재 분야와 일반 잡화 및 전자 소재 분야이다. 자동차 내장재 분야가 국내외에서 TPO 폼에 대해서 가장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분야이다. 자동차의 내장부품은 크게 패트형(소프트함)과 비패드형(하드함)으로 나뉘어진다. 비패드형은 표면이 딱딱한 부품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녈, 도어 트림, 콘솔박스, 가니쉬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감성을 요구하는 현대인들은 딱딱한 느낌 보다는 시각적인 면에서나 감촉면에서 우수한 부품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트림, 인스트루먼트 판넬, 헤드 라이너, 사이드 필라 등에 패드형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상기 패드형에 사용되고 있는 소재는 비패드형에 사용되는 소재와 달리 3층(스킨/폼/코어)의 구조로 되어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구조는 PVC 스킨/PU 폼/ABS 코어 형태로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으며, PVC는 환경 유해 물질로 사용규제가 예상되는 소재이다. 따라서 기존의 구조를 TPO 스킨/TPO 폼/PP 코어로 대체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며 일부 차종에는 적용하고 있다.
또한, 일반 잡화 및 전자 소재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 중에 있으 며 현재 가장 빨리 적용 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테이프류와 논-슬립 매트류이다. 테이프류의 경우 대표적인 타겟 제품은 노턴 테이프(Norton Tape)류이며 현재 전량 수입되어 건축시장에 적용되고 있다. 발포 배율은 저배율이며 경도에 비해 유연성이 우수한 제품이며, 실리콘 실란트 형상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들은 접착력이 뛰어나고 형상 유지력이 뛰어나야 한다. 현재 타 업체에서 폴리우레탄, PVC 폼 등으로 대체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 미흡한 단계이다. 아울러, TPO 폼에 논-슬립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일반 가정용 매트, 마우스 패드, 전자제품의 패킹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전자제품의 실링재로 적용되고 있는 포론(Poron) 폼의 경우 현재 전량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입제품을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국내에서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으나 현재 미흡한 상태이다. 이러한 포론폼의 시장도 TPO 폼의 실링 특성을 부여하여 시장 개척의 가능성도 함께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기본수지, 상용화제, 발포제 및 가교조제를 포함하여 조성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기본수지는, 10 내지 80 중량%의 쇼어 D 타입의 경도가 35 이상인 고경도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20 내지 90 중량%의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계 복합탄성체이고,
    상기 상용화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래파이트된 에틸렌 프로필렌고무 및 기능성 폴리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며,
    상기 발포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탄산수소암모늄, 탄산수소나트륨 및 보로수소화나트륨으로 이루어진 무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거나, 아조디카본아마이드, 디니트로소 펜타메틸렌 테트라민, 벤젠 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톨루엔술포닐 하이드라자이드 및 톨루엔 술포닐 세미카바자이드로 이루어진 유기발포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
    상기 가교조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유기과산화물, 불포화수지 가교제 및 폴리우레탄 가교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 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고경도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수지로 포함되는 탄성중합체는,
    EPR, EPDM,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및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올레핀계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올레핀계 물질;
    SBS, SIS 및 SEBS로 이루어진 스타일렌계 물질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스타일렌계 물질;
    부타디엔계 러버 물질; 및
    불소가 함유된 하이드로카본 폴리머인 불소유기계 물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로 선택되는 기능성 폴리머는,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프로필렌,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스타일렌 에틸렌 부타디엔 스타일렌, 말레산 무수물과 공중합된 폴리스티렌,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폴리에틸렌 및 말레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에틸 아세테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로 선택되는 유기과산화물은,
    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알킬-아릴퍼옥사이드(디쿠밀 퍼옥사이드), 디아실 퍼옥사이드, 퍼옥시 케탈, 퍼옥시 에스테르, 퍼옥시카보네이트, 케톤 퍼옥사이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로 선택되는 불포화수지 가교제는 비닐 모노머, 아크릴계 화합물, 메타크릴계 화합물 및 에폭시계 화합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에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혼합수지의 혼련성 증진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더 첨가될 수 있으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페놀계, 아미노계, 인계 및 유황계로 이루어진 산화방지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
    상기 열안정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2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Cd/Ba/Zn계, Cd/Ba계, Ba/Zn계, Ca/Zn계, Na/Zn계, Sn계, Pb계, Cd계 및 Zn계로 이루어진 열안정제 그룹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이며,
    상기 혼합수지의 혼련성 증진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2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며, 탈크, 탄산칼슘,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용 조성물.
  8.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S11)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모든 성분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
    (S12)상기 준비된 발포제를 포함한 조성물을 트윈 압출기에 투입하며 압출시키는 단계;
    (S13)상기 압출된 결과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 및
    (S14)상기 가교된 결과물에 대해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단계(S12)는, 상기 (S11)단계에서 준비된 조성물을 트윈 압출기에 투입하며 압출시켜 진행하되,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는 120 내지 200℃로 유지하되, 상기 트윈 압출기 스크루의 온도가 50 내지 120℃로 유지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10. (S21)상기 제1항 내지 제7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조성 성분 중 발포제를 제외한 다른 나머지 성분을 준비하여 혼합하는 단계;
    (S22)상기 (S21)단계에서 제외한 발포제 성분을 상기 트윈 압출기에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투입시키면서 압출시키는 단계;
    (S23)상기 압출된 결과물에 대해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 및
    (S24)상기 가교된 결과물에 대해 발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단계(S22)는, 상기 (S21)단계에서 준비된 조성물을 트윈 압출기에 투입한 후, 상기 조성물 성분에서 제외된 발포제를 사이드 피딩 방식으로 트윈 압출기에 투입하면서 진행하며, 상기 트윈 압출기 실린더의 온도는 120 내지 200℃로 유지하되, 상기 트윈 압출기 스크루의 온도가 50 내지 120℃로 유지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단계는, 100 내지 1,000 kV의 전압과 0.5 내지 10 Mrad의 전자선량으로 가속전자선이 조사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단계는, 발포로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수평발포방법, 발포로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수직발포방법 및 열전달매체로 액상의 설트를 이용하는 설트발포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 폼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단계는, 100 내지 1,000 kV의 전압과 0.5 내지 10 Mrad의 전자선량으로 가속전자선이 조사되도록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단계는, 발포로를 수평으로 설치하는 수평발포방법, 발포로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수직발포방법 및 열전달매체로 액상의 설트를 이용하는 설트발포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선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 폼 제조방법.
KR1020050082763A 2005-09-06 2005-09-06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KR10067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763A KR100676939B1 (ko) 2005-09-06 2005-09-06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CN2006800320361A CN101253233B (zh) 2005-09-06 2006-08-08 用于制备辐射交联热塑性烯烃弹性体泡沫的组合物以及使用该组合物制备辐射交联热塑性烯烃弹性体泡沫的方法
PCT/KR2006/003117 WO2007029924A1 (en) 2005-09-06 2006-08-08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radiation cross-linking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foa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adiation cross-linking thermoplastic olefin elastomer foam using the same
JP2008529908A JP4907661B2 (ja) 2005-09-06 2006-08-08 電子線架橋熱可塑性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線架橋熱可塑性オレフィン系エラストマーフォーム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763A KR100676939B1 (ko) 2005-09-06 2005-09-06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939B1 true KR100676939B1 (ko) 2007-02-02

Family

ID=3783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763A KR100676939B1 (ko) 2005-09-06 2005-09-06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07661B2 (ko)
KR (1) KR100676939B1 (ko)
CN (1) CN101253233B (ko)
WO (1) WO2007029924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856B1 (ko) 2007-06-01 2009-01-30 (주)지비엔테크 전자빔을 이용한 폐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분말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0040B1 (ko) 2008-10-16 2010-09-03 삼창산업 주식회사 롤 타입의 비할로겐계 전자파 흡수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12743B1 (ko) 2010-06-18 2011-02-09 영보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 덕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1303A (ko) * 2009-12-01 2011-06-09 영보화학 주식회사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KR101389455B1 (ko) 2007-01-02 2014-04-29 영보화학 주식회사 화학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KR20150001702A (ko) * 2014-11-13 2015-01-06 영보화학 주식회사 전자선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23814B1 (ko) * 2012-04-06 2015-05-28 (주)엘지하우시스 강도, 내마모성, 난연성 및 엠보싱 유지력이 우수한 고분자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233369B1 (ko) * 2019-10-02 2021-03-30 (주) 화승소재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19401A2 (en) * 2006-08-10 2008-02-14 Adco Products, Inc. Curable sealing method and baffle composition
JP2009040998A (ja) 2007-07-18 2009-02-26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11178989A (ja) * 2010-02-04 2011-09-15 Nitto Denko Corp 熱可塑性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888052A (zh) * 2011-07-19 2013-01-23 上海升广科技有限公司 聚丙烯塑料的发泡新配方
CN102924801B (zh) * 2012-10-25 2014-04-16 陕西科技大学 一种复合发泡材料的制备方法
JP6018495B2 (ja) * 2012-12-14 2016-11-02 株式会社イノアック技術研究所 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012816B (zh) * 2012-12-19 2014-08-06 上海邦中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塑料增韧剂的制备方法
CN104072880B (zh) * 2013-03-28 2016-09-28 晋江凯基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tpo发泡微球的制备方法以及应用
CN104098786B (zh) * 2013-04-02 2016-10-26 晋江凯基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etpu发泡微球的制备以及应用
EP2886596B1 (en) * 2013-12-17 2024-02-07 LANXESS Deutschland GmbH A vulcanizable polymer composition
CN104877236B (zh) * 2014-02-27 2020-11-10 浙江交联辐照材料股份有限公司 辐射交联聚丙烯泡沫塑料及其连续生产方法
CN104004259B (zh) * 2014-04-15 2016-08-31 神华集团有限责任公司 发泡聚烯烃组合物、聚烯烃泡沫材料及其制备方法和由该组合物制备的制品
JP6563316B2 (ja) * 2014-11-28 2019-08-21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グラフト共重合体
GB201421805D0 (en) * 2014-12-08 2015-01-21 Colormatrix Holdings Inc Thermoplastics polymers
CN106280046B (zh) * 2015-05-29 2019-05-31 广东奔迪新材料科技有限公司 预发泡epo珠粒、其制备方法及设备
JP7226908B2 (ja) 2016-09-30 2023-02-2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JP6832112B2 (ja) * 2016-09-30 2021-02-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DE102017203967A1 (de) 2017-03-10 2018-09-13 Benecke-Kaliko Ag Rückstellfähige Polyolefin-Schaumlaminate
US11680145B2 (en) 2017-03-31 2023-06-20 Sekisui Chemical Co., Ltd. Crosslinked polyolefin foam and molded body using same
CN106977760A (zh) * 2017-04-20 2017-07-25 苏州固德新材科技有限公司 超柔软高回弹树脂发泡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762228B (zh) * 2018-12-24 2021-05-18 浙江万里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辐照交联聚乙烯泡棉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724348B (zh) * 2019-10-17 2024-04-05 江苏德威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风能电缆用热塑性耐低温扭转弹性体绝缘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40781B1 (ko) * 2020-09-25 2022-09-07 주식회사 포스코 발포기공을 갖는 구속형 제진 금속판 및 그 제조방법
CN112778621B (zh) * 2020-12-31 2023-01-10 安踏(中国)有限公司 一种用于制备运动鞋底用高弹记忆eva复合发泡材料的组合物及制备方法
CN115593034A (zh) * 2021-07-08 2023-01-13 上海海优威新材料股份有限公司(Cn) 高剥离性辐射交联聚烯烃弹性体人造革
CN115477812A (zh) * 2022-10-11 2022-12-16 安徽泓诺新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弹力交联聚丙烯泡棉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59B1 (ko) * 1991-04-24 1994-07-20 주식회사 럭키 열가소성 수지 발포용 조성물
JPH07173317A (ja) * 1993-12-20 1995-07-11 Toray Ind Inc 成形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系電子線架橋発泡体
JPH07286059A (ja) * 1994-04-19 1995-10-31 Toray Ind Inc ポリエチレン系電子線架橋発泡体
JPH11255936A (ja) 1998-03-13 1999-09-21 Toray Ind Inc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2897A (ja) * 2002-12-04 2004-07-02 Sekisui Chem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6406A (en) * 1995-02-08 1998-07-28 Toray Industries, Inc. Polyolefin based crosslinked foam
DE69941343D1 (de) * 1998-10-30 2009-10-08 Mitsui Chemicals Inc Vernetzter Elastomerschaum auf Basis von Polyolefin und Zusammensetzung dafür
JP2003082144A (ja) * 2001-09-14 2003-03-19 Sekisui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架橋発泡体
KR20040024106A (ko) * 2002-09-13 2004-03-20 영보화학 주식회사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4161902A (ja) * 2002-11-13 2004-06-10 Sekisui Chem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459B1 (ko) * 1991-04-24 1994-07-20 주식회사 럭키 열가소성 수지 발포용 조성물
JPH07173317A (ja) * 1993-12-20 1995-07-11 Toray Ind Inc 成形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系電子線架橋発泡体
JPH07286059A (ja) * 1994-04-19 1995-10-31 Toray Ind Inc ポリエチレン系電子線架橋発泡体
JPH11255936A (ja) 1998-03-13 1999-09-21 Toray Ind Inc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2897A (ja) * 2002-12-04 2004-07-02 Sekisui Chem Co Ltd 架橋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体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9455B1 (ko) 2007-01-02 2014-04-29 영보화학 주식회사 화학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KR100880856B1 (ko) 2007-06-01 2009-01-30 (주)지비엔테크 전자빔을 이용한 폐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분말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980040B1 (ko) 2008-10-16 2010-09-03 삼창산업 주식회사 롤 타입의 비할로겐계 전자파 흡수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61303A (ko) * 2009-12-01 2011-06-09 영보화학 주식회사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KR101678616B1 (ko) * 2009-12-01 2016-12-07 영보화학 주식회사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KR101012743B1 (ko) 2010-06-18 2011-02-09 영보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에어 덕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523814B1 (ko) * 2012-04-06 2015-05-28 (주)엘지하우시스 강도, 내마모성, 난연성 및 엠보싱 유지력이 우수한 고분자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01702A (ko) * 2014-11-13 2015-01-06 영보화학 주식회사 전자선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80651B1 (ko) 2014-11-13 2015-12-30 영보화학 주식회사 전자선가교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난연 발포단열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33369B1 (ko) * 2019-10-02 2021-03-30 (주) 화승소재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및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3233B (zh) 2012-07-18
CN101253233A (zh) 2008-08-27
JP4907661B2 (ja) 2012-04-04
WO2007029924A1 (en) 2007-03-15
JP2009507123A (ja)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939B1 (ko)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EP1828313B1 (en) High melt strength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915622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lastic film
EP3225374B1 (en) Methods of producing polyolefin foam sheets and articles made thereof
KR20170017611A (ko) 발포성 마스터배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포성과 무도장 특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JPH028642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積層体の製造方法
CN102532754A (zh) 交联型聚氯乙烯/热塑性聚氨酯轻质发泡材料及制备方法
EP1847566A1 (en) Polymer blends comprising polystyrene and other thermoplastics
JP4025423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
KR101007763B1 (ko) 발포 사출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포체
KR20120103144A (ko) 생분해성 전자선 가교 발포성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이를 이용한 상기 생분해성 전자선 가교 발포성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발포체 및 발포 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1678616B1 (ko)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자선 가교 열가소성 고내열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발포폼재 제조방법
US6262138B1 (en) Extrusion-foamed board of resin blend comprising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and polystyrene resin
KR100681869B1 (ko) 발포 특성이 우수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및 이를 이용한발포체
KR101068714B1 (ko) 발포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포체
KR100574681B1 (ko) 고용융장력을 지닌 폴리올레핀 수지조성물 및 그를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KR10057468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포체
KR101215057B1 (ko) 미세 발포 성능이 우수한 연질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389455B1 (ko) 화학 가교 열가소성 올레핀계 복합탄성체 폼 제조방법
JPH0347849A (ja) 部分架橋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4012575A1 (en) Reversible crosslinked foam article and process
JP3706753B2 (ja)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からなる発泡シートおよび成形体
JPH03139535A (ja) ポリオレフィン架橋発泡体用組成物
CN118459888A (zh) 辐照交联聚丙烯泡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0109591A (ja) 改質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からなる発泡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