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387B1 -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59387B1 KR100659387B1 KR1020040077097A KR20040077097A KR100659387B1 KR 100659387 B1 KR100659387 B1 KR 100659387B1 KR 1020040077097 A KR1020040077097 A KR 1020040077097A KR 20040077097 A KR20040077097 A KR 20040077097A KR 100659387 B1 KR100659387 B1 KR 100659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imaging
- imaging device
- face
- feature extra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3708 edge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100328887 Caenorhabditis elegans col-34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40—Analysis of tex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2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local oper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easuring, monitoring or signaling apparatus, e.g. for transmitting measured information to a central lo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촬상장치의 자세가 검출되고, 피사체의 특징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최적의 필터 처리가 선택되므로, 처리가 단순화된다. 셔터 버튼이 반누름인 동안, 자세센서로부터 얻어진 자세정보에 의거하여 촬상장치가 풍경 촬상 또는 포트레이트 촬상을 수행하는지가 판정된다(S105). 그 다음,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이한 스캔 방향으로 두 개의 필터 처리 중 하나가 수행됨으로써, 화상 속의 인물의 얼굴이 검출된다. 다음으로, 화상의 인물의 얼굴 영역에 의거하여 다음 번의 촬상 조건이 판정된다. 셔터 버튼이 완전누름인 경우에는, 최신의 촬상 조건에 따라 촬상이 수행되고, 얻어진 화상은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촬상장치, 자세센서, 필터처리, 스캔방향, 얼굴검출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a는 촬상장치가 횡위치에 있을 때의 필터처리의 스캔방향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3b는 촬상장치가 제1종위치에 있을 때의 필터처리의 스캔방향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노출제어에 사용되는 소영역의 가중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초점 조절 영역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처리에 사용되는 소영역을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 처리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8은 촬상장치의 위치에 따른 화상 방향의 변화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PU 2 : ROM
3 : RAM 4 : 메모리 카드
5 : 메모리 슬롯 6 : 조작부
7 : 광 렌즈 8, 10 : 드라이버
9 : 조리개부 11 : 촬상소자
12 : 화상처리부 13 : 표시부
14 : 자세센서 15 : 얼굴검출 처리회로
본 발명은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 검출기능을 갖는 촬상장치(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카메라부착 휴대전화 등)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로 인물을 촬상할 때,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에 초점을 맞추고 얼굴에 대해 최적의 노출을 하면서 촬상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카메라에서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정보, 피사체의 콘트라스트 정보, 또는 사용자의 시선 축 정보에 의거하여 화면 내의 소정의 복수의 영역 중에서 특정한 영역이 선택되고, 이 특정된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특정된 영역에 대한 최적의 노출을 하여 촬상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방법에서는 피사체인 인물의 얼굴이 소정의 복수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인물의 얼굴에 대해 올바른 노출과 초점이 얻 어질 수 없다.
따라서,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을 화상처리에 의해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 카메라가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2001-215403호에 제안되어 있다. 이 카메라에 의하면, 촬상 화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인물의 얼굴에 초점을 잘 맞추어 인물의 얼굴에 대해 최적의 노출을 하면서 촬상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을 화상처리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일본 특개평8-63597호는, 화상으로부터 얼굴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얼굴 후보영역의 검출과, 얼굴 후보영역과 소정의 얼굴 기준 데이터 간의 매칭과, 매칭의 결과에 의거하여 얼굴 후보영역이 인물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개평8-63597호에 제안된 방법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위치에 있는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신호의 얼굴 기울기는 횡위치에 있는 카메라로 촬상한 화상신호의 얼굴 기울기와 다르다. 따라서, 얼굴영역의 검출 처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수 회 수행되어야 한다.
카메라에 의해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을 정밀도 높게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촬상조건에 반영시키기 위하여, 얼굴 검출 시간은 가능한 많이 감소되어야 한다. 얼굴 검출에 많은 시간이 걸릴 경우, 얼굴에 대한 초점 및 노출의 제어를 위한 처리시간이 지연되고, 사용자의 촬상 지시로부터 카메라에 의한 실제 촬상까지의 릴리즈 타임 지연(lag)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을 고속으로 검출함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었으며, 촬상에 의해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을 고속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촬상소자를 갖는 촬상장치는, 상기 촬상장치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 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에 의거하여 얻어진 화상에서 피사체로부터의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특징 추출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특징 추출회로가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자세정보에 의거하여 피사체로부터의 특징 추출방법을 변경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르면, 촬상소자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얻어진 화상에서 피사체로부터의 특징 추출을 수행하는 특징 추출회로를 갖는 촬상장치를 위한 제어방법은, 상기 촬상장치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징 추출회로에 의한 피사체로부터의 특징 추출방법은 상기 자세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자세정보에 의거하여 변경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며,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촬상장치는 얼굴 검출기능(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인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전체 장치를 제어하는 CPU를 나타내고, 2는 CPU(1)를 위한 처리순서(프로그램)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ROM을 나타내며, 3은 CPU(1)를 위한 작업 영역(work area)으로서 사용되고,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이 임시로 저장되는 RAM을 나타내며, 4는 착탈 가능한 기록매체인 메모리 카드를 나타내며, 5는 메모리 카드(4)를 전기적으로 촬상장치에 접속시키는 메모리 슬롯을 나타내며, 6은 셔터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 버튼을 갖는 조작부를 나타낸다. 셔터 버튼은 3개의 상태 즉, 릴리즈 상태, 반누름 상태, 완전누름 상태를 가지며, 각각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참조번호 7은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광 렌즈군을 나타내며, 8은 광 렌즈군(7)의 포커싱과 줌의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를 나타내며, 9는 조리개부를 나타내며, 10은 조리개부(9)를 위한 드라이버를 나타내며, 11은 광 렌즈군(7)과 조리개부(9)를 거쳐서 형성된 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기능을 갖는 CCD 또는 CMOS 등의 촬상소자를 나타내며, 12는 광학 블랙(Optical Black) 제거처리(조 리개를 닫아서 피사체로부터의 광 입사를 방지할 때, 촬상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임의의 신호에 대한 상쇄처리), 화이트 밸런스 처리, 압축 부호화 및, 복호처리를 포함하는 각종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 처리부를 나타낸다.
참조번호 13은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과 각종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나타내며, 14는 촬상장치의 자세(제1의 종위치, 제2의 종위치 또는 횡위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자세센서를 나타낸다. 자세센서(14)는 광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45°이상 회전시킨 촬상장치의 상태를 "제1의 종위치"로 검출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45°이상 회전시킨 촬상장치의 상태를 "제2의 종위치"로 검출하며, 그 이외의 상태를 "횡위치"로 검출한다. 기준 상태로서, 촬상장치에서 얻어진 직사각형 화상에서 긴 변이 횡방향을 향하고 짧은 변이 종방향을 향하는 위치이다. 참조번호 15는 화상 처리부(12)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에서 인물의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을 검출하는 얼굴검출 처리회로를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서, 조작부(6)의 셔터 버튼이 눌러질 때, 촬상소자(11)에서 얻어진 화상신호는 화상 처리부(12)에 의해 압축 부호화(일반적으로, JPEG부호화)되어, 메모리 슬롯(5)에 접속된 메모리 카드(4)에 저장된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포트레이트(portrait) 모드, 풍경 모드 및 오토 모드를 포함하는 촬상 모드를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포트레이트 모드는 인물의 촬영에 적합하게 프로그램되어 있으며, 인물이 돋보이도록 인물을 주요 피사체로 하여 피사계 심도를 낮게 하여 촬영한다. 풍경 모드는 풍경의 촬영에 적합하게 무한 초점 거리를 갖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오토 모드는 피사체의 특징을 자 동적으로 판별하여 최적의 촬상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들 촬상 모드 중 하나는 조작부(6)의 모드 선택 다이얼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촬상장치는,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오토 모드가 선택될 때에는, 피사체에 인물이 포함되어 있고 인물을 주요 피사체로 하여 촬상이 수행될 가능성이 높은 점에 의거하여 얼굴 검출기능을 유효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 풍경 모드가 선택될 때에는, 인물을 주요 피사체로 하여 촬상을 행할 가능성이 낮은 점에 의거하여 얼굴 검출기능을 무효로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기능은 풍경 모드에서 고속의 촬상처리를 실현한다.
도 2는 얼굴 검출기능을 사용하는 촬상처리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우선, 셔터 버튼의 반누름 상태가 검출되면(단계 S101), CPU(1)는 소정의 제1의 노출 조건(조리개 값 및 노출 시간)과 초점 위치를 설정하도록 광 렌즈군(7)과 조리개부(9)가 제어된 상태에서, 제1의 화상신호를 취득한다(단계 S1O2). 제1의 화상신호는, 디폴트로서 설정된 특정 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제2의 노출 조건과 초점 위치의 판정에 사용된다(단계 S1O3).
다음으로, CPU(1)는 제2의 노출 조건과 초점 위치를 설정하도록 광 렌즈군(7)과 조리개부(9)가 제어된 상태에서 제2의 화상신호를 취득한다(단계 S1O4). 간단한 노출 제어와 초점 조절 제어는 단계 S1O1 내지 S1O4에서 미리 수행되므로, 화상신호의 피사체 상은 명확하게 되고, 얼굴 검출 처리의 정밀도는 향상된다. 또한, 그 때, CPU(1)는 자세센서(14)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현재의 촬상이 횡위치 촬상, 제1의 종위치 촬상 또는 제2의 종위치 촬상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1O5). 그 다음, 얼굴검출 처리회로(15)는 상기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얼굴 검출을 위한 전처리인 필터 처리(에지 검출처리)가 화상의 종방향으로 수행되는지(단계 S106), 제1의 횡방향으로 수행되는지(단계 S1O7) 또는 제2의 횡방향으로 수행되는지(단계 S1O8)를 판정하고, 어느 하나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1O5에서 촬상이 횡위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제2의 화상신호가 종방향으로 1라인씩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고, 대역통과(band-pass) 필터가 종방향으로 인가되며, 종방향 고주파신호(에지 정보)가 RAM(3)에 저장된다(단계 S1O6). 촬상이 제1의 종위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제2의 화상신호가 횡방향으로 1라인씩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고, 횡방향으로 대역통과 필터가 인가되며, 횡방향 고주파신호가 RAM(3)에 저장된다(단계 S1O7). 또한, 촬상이 제2의 종위치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제2의 화상신호가 단계 S1O7과 반대측으로부터 횡방향으로 1라인씩 메모리로부터 판독되고, 횡방향으로 대역통과 필터가 인가되며, 횡방향 고주파신호가 RAM(3)에 저장된다(단계 S1O8).
종방향과 횡방향은, 촬상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직사각형 화상의 긴 변은 횡방향을 따르고 짧은 변은 종방향을 따른다는 가정하에서 정의된다. 횡위치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물의 얼굴 화상이 얻어지므로, 단계 S1O6에서 도 3a의 화살표를 따라 필터 처리(에지 검출처리)가 수행되고, 그 처리 결과는 RAM(3)에 저장된다. 또한, 제1의 종위치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상이 얻어지므로, 단계 S1O7에서 도 3b의 화살표를 따라 필터 처리(에지 검출처리)가 수행되고, 그 처리 결과는 RAM(3)에 저장된다.
도 3a와 도 3b의 얼굴 화상에 대해 직사각형 화상의 짧은 변에 평행한 방향으로 에지 검출이 수행된 경우, 도 3a에서의 에지검출 결과는 도 3b의 에지검출 결과와 크게 다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센서(14)의 검출결과에 따라 에지 검출의 방향이 변경된다.
또한, 도 3b의 얼굴 화상은 에지 검출을 행하기 전에 도 3a의 얼굴 화상과 동일한 방향으로 미리 회전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얼굴 화상에 대한 에지 검출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횡위치, 제1의 종위치 및 제2의 종위치를 가정하여 전체 화상신호를 회전시키거나, 복수 방향으로부터의 에지검출을 위해서는, 많은 처리시간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신호에 대한 에지 검출의 방향이 촬상장치의 자세에 따라 설정되므로, 촬상장치의 자세에 관계없이 얻어진 화상의 얼굴 화상에 대해 종방향으로 에지 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시간 안에 정확한 얼굴 검출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O6, S1O7 또는 S1O8의 처리가 수행되었으면, 얼굴검출 처리회로(15)는 패턴 매칭을 수행한다(단계 S1O9). 패턴 매칭에서는, RAM(3)에 저장된 고주파신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신호와 비교됨으로써, 즉, 인간의 눈에 관한 형상패턴 인식처리가 수행됨으로써, 눈 후보군이 검출된다. 동시에, 코, 입, 귀 등의 특징점을 갖는 파트에 대해서, 고주파 신호가 기준 신호군과 비교됨으로써, 형상인식에 의해 검출이 이루어진다.
이 때, 촬상장치의 자세가 이미 판정되어 있으므로, 해당하는 방향의 후보군 의 프레임 내에서 처리가 수행됨으로써 패턴매칭 처리가 간략화될 수 있다.
패턴매칭 처리가 완료되었으면, 인물의 눈(양 눈)이 검출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단계 S11O). 인물의 눈이 검출된 경우에는, 검출된 눈의 후보군 중에서 쌍으로 되는 눈의 결합에 의해 눈 후보군 데이터는 더욱 감소된다. 그 다음, 눈의 후보군 데이터와, 그 밖의 파트(코, 입 및 귀)에 의거하여, 소정의 비얼굴조건(non-face condition) 필터(ROM(2)에 저장되어 있음) 중 하나가 선택되고, 그 필터를 통과한 영역은 "얼굴"로 판정된다(단계 S111). 얼굴검출 처리회로(15)는 "눈"과 "얼굴"로 판정된 영역의 크기와 위치를 CPU(1)에 회신한다(단계 S112). CPU(1)는 검출된 얼굴 영역에 의거하여 측광 영역에 가중(weighting)을 수행하고, 양 눈을 중심부로서 갖는 영역을 초점 조절 영역으로서 설정한다(단계 S113).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촬상 도중에 얻어진 화상은 표시부(13)에 실시간으로 표시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셔터 버튼이 반누름인 상태에서 인물의 얼굴(특히, 눈)이 검출되는 경우, 얼굴 검출이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소정의 기호가 표시부(13)에 표시된다. 이것은 인물의 얼굴에 대해 최적의 촬상 조건이 설정되었음을 알린다.
한편, 단계 S11O에서 양 눈이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될 경우에는, 디폴트의 측광 영역과 초점 조절 영역이 설정되고(단계 S116), 이들 영역에 의거하여 노출 제어와 초점 조절 제어가 수행된다.
여하튼, 측광 영역과 초점 조절 영역이 설정되었으면, 셔터 버튼이 완전히 눌러졌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단계 S114). 셔터 버튼이 반누름 상태에 있는 한 상기 처리는 반복된다. 또한, 셔터 버튼의 완전누름이 검출되었을 경우에는(단계 S114), 조리개부(9)가 최신의 측광영역에서 최적의 휘도를 달성하도록 제어되고, 광 렌즈군(7)은 최신의 초점 조절 영역에서 초점을 얻도록 구동되어 촬상이 수행된다. 얻어진 화상신호는 압축 부호화되어 메모리 카드(4)에 기록된다(단계 S115).
다음으로, 단계 S115에서의 노출 제어와 초점 조절 제어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상의 화면은 복수의 블록(소영역)으로 분할되고, 각 블록에서 휘도값이 계산된다. 도 4에서, 타원으로 둘러싸여진 영역은 얼굴검출 처리회로(15)에 의해 검출된 얼굴 영역이다. 이 때, 각 블록에서의 얼굴 영역의 비율에 따라 가중이 수행된다. 이 경우, 5단계의 가중이 수행된다. "5"는 블록 내에 얼굴 영역만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얼굴영역과 비얼굴(non-face)영역의 양쪽을 포함하는 블록에는, 그들 간의 비율에 해당하는 값이 할당된다. 비얼굴영역만을 포함하는 블록에는, "1"이 할당된다.
그 결과, 각 블록의 휘도가 Bi(i = 1, 2 ..., 블록의 전체 갯수)이고, 각각의 가중 값이 Di인 것으로 가정할 때, 전체 화상의 적분휘도 TB는 TB=∑Bi ×Di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각 휘도값의 적분 휘도값의 평균 휘도값이 미리 설정된 목표 휘도값이 되도록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가 계산된다. 따라서, 얼굴영역을 우선시 하여 최적의 휘도를 달성하는 노출 보정이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역광 조건에서의 노 출이더라도 인물에 대해 최적인 노출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가중 없이 얼굴검출 처리회로(15)에 의해 검출된 얼굴영역으로부터 얻어지는 휘도값 만을 이용하여 노출 보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된 양 눈을 포함하도록 초점 조절 영역이 설정되고, 그 초점 조절 영역 내에서 초점을 얻도록 광 렌즈군(7)이 제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렌즈군(7)의 초점은 소정의 단계 폭만큼 이동되어 그 때마다 촬상이 수행된 다음, 설정된 초점 조절 영역의 화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가 생성되고, 대역통과 필터가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고주파 신호군이 생성된다. 그 다음, 각 고주파 신호군의 절대치의 합은 AF(오토 포커스) 신호로서 계산된다. 최대의 AF신호 값을 갖는 위치는 초점 위치로 판정되고, 광 렌즈군(7)에 포함되는 초점 렌즈는 그 위치로 설정된다.
복수의 얼굴 영역이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검출된 경우에는, 각 얼굴영역에서 상기 처리가 수행되고, 초점 렌즈는 가장 근접한 거리를 갖는 초점 위치로 이동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얼굴 특히, 눈에 대한 초점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의 화면이 RGB 컬러필터로 피복된 복수의 소블록으로 분할되고, 이하의 식을 이용하여 각 블록에서 화이트 평가치(Cx, Cy)가 계산된다.
Cx = (R-B)/Y
Cy = (R+B-2G)/Y
R, G, B 값은 R필터, G필터 및 B필터를 통과한 광속의 광전변환에 의해 얻어진다. Y 값은 이들 R, G, B의 값을 계산하여 얻어진 휘도값이다.
각 색 평가값이 미리 설정된 화이트 검출 범위내(도 7)에 들어가면, 그 블록은 화이트라고 판정되고("화이트 서치(white search)"라고 함), 그 블록의 화소 적분값으로부터 화이트 밸런스 이득이 계산된다. 이것이 보통 사용되고 있는 화이트 밸런스 처리의 기본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은 색온도 광원하의 백색 피사체와 높은 색온도 광원하의 피부색 피사체는 거의 동일한 색평가값을 가지므로, 올바른 색온도 판별이 수행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단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얼굴로 판정된 소블록은 화이트 서치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화이트 검출 이외에, 얼굴로 판정된 영역에서의 화이트 검출과 마찬가지로 피부색 검출이 수행되고, 미리 설정된 피부색 및 색온도 특성 그래프로부터 색온도가 특정된다. 따라서, 올바른 광원 색온도가 계산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장치의 자세(횡 또는 종위치)에 따라 얼굴 검출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이 고속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가 디지털 카메라이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이외의 장치(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카메라부착 휴대전화 등)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오토 모드일 경우에는 얼굴 검출기능이 유효하게 되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시예의 촬상장치에는, 촬영 모드가 포트레이트 모드 또는 오토 모드일 경우라도 유저의 지시에 따라 얼굴 검출기능을 무효로 하는 메뉴얼 설정 기능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눈 위치를 검출하고 눈 위치에 의거하여 다른 파트를 검출함으로써 얼굴에 해당하는 영역이 검출되지만, 본 발명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촬상장치의 자세에 따라 검출방법을 변경함으로써 눈만을 검출하거나, 다른 파트만을 검출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장치의 자세에 따라 얼굴 검출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이 고속으로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수의 명백하고 폭넓으며 상이한 실시예들은 그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후술하는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바를 제외하고 그 구체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장치의 자세에 따라 얼굴 검출방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화상으로부터 인물의 얼굴이 고속으로 검출될 수 있다.
Claims (12)
- 촬상소자를 갖는 촬상장치에 있어서,상기 촬상장치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와,상기 촬상소자의 출력에 의거하여 얻어지는 화상에서 피사체의 형상 인식을 수행하는 특징 추출회로를 구비하며,상기 특징 추출회로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자세정보에 의거하여, 형상 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피사체의 촬상된 화상으로부터의 판독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특징 추출회로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자세정보에 의거하여 판독 방향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판독 방향을 이용하여 판독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에지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에지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형상 인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특징 추출회로에 의해 추출된 형상 인식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조건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특징 추출회로는, 상기 형상 인식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에서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정보와, 상기 화상에서 인물의 눈을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특징 추출회로는, 상기 형상 인식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에서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정보와, 상기 화상에서 인물의 눈을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영역상에 초점을 얻도록 초점 조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특징 추출회로는, 상기 형상 인식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에서 인물의 얼굴을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정보와, 상기 화상에서 인물의 눈을 포함하는 영역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영역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한 휘도정보에 따라 노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 제1항에 있어서,촬상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촬상모드 설정부를 더 구비하며,상기 특징 추출회로는, 상기 촬상모드 설정부에 의해 소정의 촬상 프로그램이 설정되었을 경우, 상기 피사체의 형상 인식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 촬상소자를 갖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상기 촬상장치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단계와,상기 촬상소자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얻어진 화상의 피사체의 형상 인식을 수행하는 특징 추출단계를 포함하며,상기 특징 추출단계에서는, 상기 자세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자세정보에 의거하여, 형상 인식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피사체의 촬상된 화상으로부터의 판독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특징 추출단계에서는, 상기 자세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자세정보에 의거하여 판독 방향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판독 방향을 이용하여 판독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에지가 검출되며, 상기 검출된 에지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의 형상 인식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 제9항에 있어서,상기 특징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형상 인식의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촬상장치의 촬상조건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338812 | 2003-09-29 | ||
JPJP-P-2003-00338812 | 2003-09-29 | ||
JPJP-P-2004-00267514 | 2004-09-14 | ||
JP2004267514A JP4290100B2 (ja) | 2003-09-29 | 2004-09-14 |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1427A KR20050031427A (ko) | 2005-04-06 |
KR100659387B1 true KR100659387B1 (ko) | 2006-12-19 |
Family
ID=3419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7097A KR100659387B1 (ko) | 2003-09-29 | 2004-09-24 |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564486B2 (ko) |
EP (1) | EP1519560B1 (ko) |
JP (1) | JP4290100B2 (ko) |
KR (1) | KR100659387B1 (ko) |
CN (1) | CN1604621B (ko) |
DE (1) | DE602004017684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206654A1 (en) * | 2002-05-01 | 2003-11-06 | Heng-Tun Teng | Replacing method of an object in a dynamic image |
US8326084B1 (en) * | 2003-11-05 | 2012-12-04 | Cognex Technology And Investment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of auto-exposure control for image acquisition hardware using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
KR100608596B1 (ko) * | 2004-12-28 | 2006-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얼굴 검출을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 영상 촬영 기기 및영상 촬영 방법 |
JP4284448B2 (ja) * | 2005-01-28 | 2009-06-24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
JP4457980B2 (ja) * | 2005-06-21 | 2010-04-28 | ソニー株式会社 | 撮像装置、この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
EP1748378B1 (en) * | 2005-07-26 | 2009-09-16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
US20070031060A1 (en) * | 2005-08-04 | 2007-02-08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alculating white balance evaluation value, program including program code for realizing the method for calculating white balance evaluation value,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
JP4619927B2 (ja) * | 2005-11-01 | 2011-01-26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顔検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
JP4521360B2 (ja) * | 2006-01-18 | 2010-08-1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対象物検出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記録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
JP4579169B2 (ja) * | 2006-02-27 | 2010-11-1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影条件設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撮影装置 |
JP5319078B2 (ja) * | 2006-07-07 | 2013-10-16 |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 カメラ、カメラ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
JP4904108B2 (ja) | 2006-07-25 | 2012-03-28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影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 |
JP4943769B2 (ja) * | 2006-08-15 | 2012-05-3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影装置および合焦位置探索方法 |
US8049807B2 (en) * | 2006-09-05 | 2011-11-01 | Olympus Imaging Corp. | Digital camera and dust reduction apparatus for digital camera |
US20080107341A1 (en) * | 2006-11-02 | 2008-05-08 | Juwei Lu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ces In Digital Images |
JP4286292B2 (ja) * | 2007-01-30 | 2009-06-24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子カメラ |
JP4989243B2 (ja) | 2007-02-05 | 2012-08-01 | 株式会社リコー | 撮像装置及びその被写体検出方法 |
JP4315212B2 (ja) | 2007-05-02 | 2009-08-19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撮像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像制御方法 |
KR101363017B1 (ko) * | 2007-08-23 | 2014-02-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얼굴영상 촬영 및 분류 시스템과 방법 |
JP5004726B2 (ja) * | 2007-09-05 | 2012-08-2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制御方法 |
US20090202180A1 (en) * | 2008-02-11 | 2009-08-13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Rotation independent face detection |
JP2009194469A (ja) * | 2008-02-12 | 2009-08-27 | Ricoh Co Ltd | 撮像装置 |
JP5141317B2 (ja) * | 2008-03-14 | 2013-02-13 | オムロン株式会社 | 対象画像検出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対象画像検出デバイスを備えた電子機器 |
JP4911165B2 (ja) * | 2008-12-12 | 2012-04-04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顔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5144487B2 (ja) * | 2008-12-15 | 2013-02-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主顔選択装置、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5264516B2 (ja) * | 2009-01-07 | 2013-08-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5332668B2 (ja) * | 2009-02-04 | 2013-11-06 | 株式会社ニコン | 撮像装置および被写体検出プログラム |
JP5035702B2 (ja) | 2009-02-27 | 2012-09-26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
KR20100099008A (ko) * | 2009-03-02 | 2010-09-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오토 포커싱 제어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
JP2010226558A (ja) * | 2009-03-25 | 2010-10-07 | Sony Corp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8228403B2 (en) * | 2009-12-31 | 2012-07-24 | Omnivision Technologies, Inc. | Generating column offset corrections for image sensors |
US8405736B2 (en) * | 2010-04-07 | 2013-03-26 | Apple Inc. | Face detection using orientation sensor data |
JP2012034069A (ja) * | 2010-07-29 | 2012-02-16 | Nikon Corp |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
US8593558B2 (en) * | 2010-09-08 | 2013-11-26 | Apple Inc. | Camera-based orientation fix from portrait to landscape |
JP5725793B2 (ja) * | 2010-10-26 | 2015-05-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US8873840B2 (en) * | 2010-12-03 | 2014-10-28 | Microsoft Corporation | Reducing false detection rate using local pattern based post-filter |
US8971574B2 (en) * | 2011-11-22 | 2015-03-03 | Ulsee Inc. | Orientation corre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ed to perform facial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CN102982536B (zh) * | 2012-11-05 | 2015-07-22 | 华为技术有限公司 | 处理图像的方法和设备 |
JP5697650B2 (ja) * | 2012-12-13 | 2015-04-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装置とその制御方法 |
CN103516985A (zh) * | 2013-09-18 | 2014-01-15 | 上海鼎为软件技术有限公司 | 移动终端及其获取图像的方法 |
JP5874753B2 (ja) * | 2014-01-28 | 2016-03-02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6411829B2 (ja) * | 2014-09-17 | 2018-10-2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像ブレ補正方法 |
KR101715325B1 (ko) * | 2014-12-09 | 2017-03-13 | (유)도건테크 | 3차원 스캔 기술을 사용한 사진 설계 도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US9754355B2 (en) | 2015-01-09 | 2017-09-05 | Snap Inc. | Object recognition based photo filters |
US20170272716A1 (en) * | 2016-03-15 | 2017-09-21 | Casio Computer Co., Ltd. | Projection apparatus, projec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
JP2019168999A (ja) | 2018-03-23 | 2019-10-03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16546333B (zh) * | 2023-04-03 | 2023-10-31 | 华光影像科技合肥有限公司 | 同时输出不同拍摄模式的视频画面的方法、系统和摄像机 |
CN118396987B (zh) * | 2024-06-25 | 2024-09-20 | 成都航空职业技术学院 | 一种印刷出版物的图像评价方法和系统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0909B1 (ko) * | 1981-02-06 | 1988-05-30 | 미다 가쓰시게 | 컬러 촬상장치 |
KR940017750A (ko) * | 1992-12-29 | 1994-07-27 | 이헌조 | 비디오 카메라의 화상 기울림 보정장치 |
KR19990059545A (ko) * | 1997-12-30 | 1999-07-26 | 윤종용 |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다중 저장장치 |
KR20020080837A (ko) * | 2001-04-18 | 2002-10-26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촬영 장치의 촬영 모드 자동 변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040075052A (ko) * | 2002-10-03 | 2004-08-26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온스크린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및 화상 표시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43434A (ja) | 1993-06-23 | 1995-06-02 | Nikon Corp | 撮影画像方向を一定にするデジタル電子スチルカメラ |
JP3557659B2 (ja) | 1994-08-22 | 2004-08-25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顔抽出方法 |
US5629752A (en) * | 1994-10-28 | 1997-05-13 | Fuji Photo Film Co., Ltd. | Method of determining an exposure amount using optical recognition of facial features |
US6597817B1 (en) * | 1997-07-15 | 2003-07-22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Orientation detection for digital cameras |
US6727948B1 (en) * | 1997-07-15 | 2004-04-27 |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 Utilizing autofocus information for image processing in a digital camera |
JP2001091819A (ja) * | 1999-09-17 | 2001-04-06 | Olympus Optical Co Ltd | カメラの測距装置 |
JP3980234B2 (ja) * | 2000-01-07 | 2007-09-26 |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 デジタルカメラ |
JP2001215403A (ja) | 2000-02-01 | 2001-08-10 | Canon Inc | 撮像装置および焦点の自動検出方法 |
US7298412B2 (en) * | 2001-09-18 | 2007-11-20 | Ricoh Company, Limited | Image pickup device, automatic focusing method, automatic exposure method, electronic flash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JP2004234689A (ja) | 2004-04-05 | 2004-08-19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顔抽出方法 |
JP2004206738A (ja) | 2004-04-05 | 2004-07-22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顔抽出方法 |
JP2004265431A (ja) | 2004-04-05 | 2004-09-24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顔抽出方法 |
JP2004234688A (ja) | 2004-04-05 | 2004-08-19 | Konica Minolta Holdings Inc | 顔抽出方法 |
-
2004
- 2004-09-14 JP JP2004267514A patent/JP429010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24 KR KR1020040077097A patent/KR1006593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9-28 EP EP04255918A patent/EP151956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9-28 US US10/951,483 patent/US756448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9-28 DE DE602004017684T patent/DE602004017684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09-29 CN CN2004100831641A patent/CN160462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000909B1 (ko) * | 1981-02-06 | 1988-05-30 | 미다 가쓰시게 | 컬러 촬상장치 |
KR940017750A (ko) * | 1992-12-29 | 1994-07-27 | 이헌조 | 비디오 카메라의 화상 기울림 보정장치 |
KR19990059545A (ko) * | 1997-12-30 | 1999-07-26 | 윤종용 |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다중 저장장치 |
KR20020080837A (ko) * | 2001-04-18 | 2002-10-26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촬영 장치의 촬영 모드 자동 변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20040075052A (ko) * | 2002-10-03 | 2004-08-26 |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 온스크린 표시를 제어하는 화상 표시장치 및 화상 표시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7564486B2 (en) | 2009-07-21 |
EP1519560A3 (en) | 2006-05-03 |
KR20050031427A (ko) | 2005-04-06 |
EP1519560B1 (en) | 2008-11-12 |
JP4290100B2 (ja) | 2009-07-01 |
US20050088536A1 (en) | 2005-04-28 |
EP1519560A2 (en) | 2005-03-30 |
CN1604621A (zh) | 2005-04-06 |
DE602004017684D1 (de) | 2008-12-24 |
JP2005130468A (ja) | 2005-05-19 |
CN1604621B (zh) | 2010-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59387B1 (ko) | 촬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EP1522952B1 (en) | Digital camera | |
US7791668B2 (en) | Digital camera | |
JP4671133B2 (ja) | 画像処理装置 | |
US8786760B2 (en) |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face recognition function | |
US839569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 |
US7158182B2 (en) | Camera that engages in a focusing operation through a contrast method | |
US8917334B2 (en) | Image detection device, focusing device, image-capturing device, image detection method, and focusing method | |
EP2563006A1 (en) | Method for displaying character information, and image-taking device | |
US7957633B2 (en) | Focus adjusting apparatus and focus adjusting method | |
US20080100721A1 (en) | Method of detecting specific object region and digital camera | |
JP2006208558A (ja) | 撮像装置 | |
JP7154758B2 (ja) |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4578334B2 (ja) | 撮像レンズの合焦位置決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JP2008028747A (ja) |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JP2000155257A (ja) | 自動焦点調節装置および方法 | |
JP2003289468A (ja) | 撮像装置 | |
JP2005223658A (ja) | デジタルカメラ | |
KR20090125602A (ko)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
JP5116494B2 (ja) | 撮像装置 | |
KR101427661B1 (ko) |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
JP5672922B2 (ja) | 撮像装置 | |
JP2016200742A (ja) | 撮像装置 | |
JP2009010546A (ja) | 撮像装置、及び、特定画像検出プログラム | |
JP2009098192A (ja) |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