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646329B1 - 교량의 내진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내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6329B1
KR100646329B1 KR1020050047340A KR20050047340A KR100646329B1 KR 100646329 B1 KR100646329 B1 KR 100646329B1 KR 1020050047340 A KR1020050047340 A KR 1020050047340A KR 20050047340 A KR20050047340 A KR 20050047340A KR 100646329 B1 KR100646329 B1 KR 10064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d
bridge
steel damper
pin hole
typ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강호규
손만길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강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강호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코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50047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6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내진 장치로서, 지진이 발생할 때 상부 구조물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흡수하면서 분산시켜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은 물론, 이미 건설된 교량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내진 설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LUD와, LUD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쪽의 개방된 설치 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하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LUD 블록과, 중심 부분이 LUD에 고정 설치되며 LUD 블록의 외측에 위치하여 LUD와 함께 수평 하중을 흡수하는 E형 강재 댐퍼와, E형 강재 댐퍼의 대응되는 양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체결되며 LUD가 설치된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핀 구멍이 형성된 연결 링크와, 일측은 연결 링크의 핀 구멍을 매개로 연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핀 구멍에 대응되게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교량, 내진, 분산, 수직, 수평

Description

교량의 내진 장치{Earthquake-resistant device of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내진 장치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교량의 내진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4-4선 방향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장치가 교량에 설치된 다른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LUD(Lock Up Device) 13 : 실린더 몸체
15 : 실린더 로드 20 : LUD 블록
23 : 베이스 판 25 : LUD 설치대
30 : E형 강재 댐퍼 33 : 빔
40 : 고정판 50 : 연결 링크
53 : 핀 구멍 60 : 브래킷
63 : 체결판 65 : 체결편
66 : 결합 구멍 70,170 : 교량
71,171 : 하부 구조물 72,172 : 상부 구조물
100 : 내진 장치
본 발명은 교량의 내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진 발생시 상부 구조물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흡수하면서 하부 구조물로 분산시켜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의 내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부 구조물인 고정단 교각 및 가동단 교각의 상단에 상부 구조물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데, 기존에 시공된 대부분의 교량은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지만 근래에 시공되는 대부분의 교량은 내진 설계가 되어 있다.
일반적인 내진 설계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에 상부 구조물의 수평 방향의 변위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고정단 교각이 전부 지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교량에 설치되는 내진 장치는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며, 지진이 발생할 때에 상부 구조물의 수평방향의 변위에 의하여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고정단 교각이 전부 지지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내진 장치에서 수평 하중을 충분히 흡수하여 분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진 발생시 고정단 교각에 작용하는 수평 하중을 가동단 교각으로 분산하기 위한 강선을 이용한 내진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을 강선으로 연결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강선, 상부 구조물 및 하부 구조물에 충격을 유발하여 오히려 교량의 손상 정도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내진 장치가 교각의 상단과 상부 구조물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미 건설된 교량에 내진 장치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발생시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분산하여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 건설된 교량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내진 설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교량의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내진 장치로서, 한 쌍의 LUD와, 상기 LUD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쪽의 개방된 설치 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하부 구조에 고정 설치되는 LUD 블록과, 상기 LUD에 중심 부분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LUD 블록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LUD와 함께 수평 하중을 흡수하는 E형 강재 댐퍼와, 상기 E형 강재 댐퍼의 대응되는 양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체결되며, 상기 LUD가 설치된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핀 구멍이 형성된 연결 링크와, 일측은 상기 연결 링크의 핀 구멍을 매개로 상기 연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핀 구멍에 대응되게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브래킷의 결합 구멍은 상기 연결 링크의 핀 구멍을 중심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을 제공한다.
여기서 LUD 블록은, 하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 상부에 형성되며 양쪽에 LUD 설치 공간이 형성된 수평 단면이 영문자 "H"형태의 LUD 설치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UD와 상기 E형 강재 댐퍼는 동일면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LUD는 상기 LUD 설치 공간의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LUD 설치 공간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E형 강재 댐퍼는 동일면상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E형 강재 댐퍼의 대응되는 양단의 상하부면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 링크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판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연결 링크의 타단에 상기 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상부 구조물에 체결되는 체결판과, 상기 연결 링크가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상기 체결판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링크 의 핀 구멍에 대응되게 결합 구멍이 형성된 체결편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내진 장치(100)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교량의 내진 장치(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내진 장치(100)는 한 쌍의 LUD(10; Lock Up device), LUD 블록(20; LUD block), 한 쌍의 E형 강재 댐퍼(30; E-shape steel damper), 고정판(40), 연결 링크(50) 그리고 브래킷(6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지진 발생시 발생되는 수평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분산하여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내진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LUD(10)는 LUD 블록(2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수평 하중을 흡수하는 수단으로서, 실린더 몸체(13)와, 실린더 몸체(13)의 양단으로 돌출된 실린더 로드(15)를 포함하는 보통의 유압 실린더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하지만 실린더 몸체(13)에 충전된 내부 충전물(filling fluid)로 충격 하중에 의해 성상이 변화-유체에서 탄성고체로-하는 실리콘 퍼티(silicone putty)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부 구조물의 온도변화,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저속(0.01mm/sec)의 변위에 대해서는 작은 반력(공칭하중 20% 미만)의 발생으로 수용하고, 지진 등의 급격한 충격하중이 작용하면 순간적으로 잠기게 되어 변위의 발생을 제어한다.
LUD 블록(20)은 한 쌍의 LUD(1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쪽의 개방된 설치 공간(27)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하부 구조에 고정 설치된다. 즉 LUD 블록(20)은 하부 구조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판(23)과, 베이스 판(23) 상부에 형성되며 양쪽에 LUD 설치 공간(27)이 형성된 수평 단면이 영문자 "H" 형태의 LUD 설치대(25)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LUD(10)는 양쪽의 LUD 설치대(20)에 설치될 때, LUD 설치 공간(27)의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에 실린더 몸체(13)가 위치하고, 실린더 몸체(13)의 양단으로 돌출된 실린더 로드(15)는 LUD 설치 공간(27)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LUD(10)는 수평면에 대해서 평행하게 설치된다.
E형 강재 댐퍼(30)는 LUD의 실린더 몸체(13)에 중심 부분이 고정 설치되며 LUD 블록(20)의 외측에 위치하여 LUD(10)와 함께 수평 하중을 완충하는 수단으로서, LUD(10)에 각기 설치된다. E형 강재 댐퍼(30)는 연성이 뛰어난 특수 강재로 제조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빔(33; beam)의 일측에 3 개의 다리(35, 3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라멘(Rahmen)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특히 E형 강재 댐퍼(30)의 양 외측의 다리들(37)은 고정되고 중앙의 다리(35)만 가동될 수 있도록 LUD의 실린더 몸체(13)에 고정 볼트(81)로 체결됨으로써, 상시 온도변화,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저속의 이동에 대해서는 LUD의 거동으로 수용하고 지진 등으로 항복력(yield force) 이상의 수평 하중이 작용할 때는 LUD 잠겨 고정됨과 동시에 실린더 몸체(13)에 체결된 E형 강재 댐퍼(30)의 중앙 다리(35)는 고정되고 빔(33)은 S자 형상의 소성 변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그 변형 에너지와 열 에너지로 수평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즉, 항복력 이하의 수평 하중이 작용할 때는 E형 강재 댐퍼(30)는 수평 하중 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LUD의 실린더 몸체(13)와 함께 실린더 로드(15)를 따라서 이동하지만, 지진과 같은 급격한 수평 하중이 작용할 경우, LUD(10)가 순간적으로 잠기면서 E형 강재 댐퍼의 중앙의 다리(35)는 고정되고 수평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E형 강재 댐퍼의 빔(33)이 S자 형상의 소성 변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수평 하중을 흡수하면서 이웃하는 가동단 교각으로 수평 하중을 분산하게 된다.
예컨대 E형 강재 댐퍼(30)는 탄성 변형량이 10mm 내외, 최대 소성 변형량이 150mm를 기준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항복력은 E형 강재 댐퍼(30)가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전에 받을 수 있는 외력으로, 상부 구조물의 하중에 따라 결정되며, 지진력을 제외한 수평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탄성 변형량(yield displacement)은 E형 강재 댐퍼(30)가 탄성적인 거동을 보이는 영역에서의 최대 변형량으로, E형 강재 댐퍼(30)는 탄성 변형량 10mm를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성 변형량(ultimate displacement)은 E형 강재 댐퍼(30)의 탄성 영역을 벗어난 소성 변형을 일으키는 최대의 변형량으로 150mm를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E형 강재 댐퍼의 빔(33)은 LUD의 실린더 로드(15)와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유는 E형 강재 댐퍼(30)와 LUD(10)에 작용하는 수평 하중을 E형 강재 댐퍼의 빔(33)과 LUD(10)에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E형 강재 댐퍼의 중앙의 다리(35)가 실린더 몸체(13)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중앙의 다리(35)는 "⊂" 형태를 가지며 LUD의 실린더 몸체(13) 외측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판(40), 연결 링크(50) 그리고 브래킷(60)은 내진 장치(100)를 상부 구조물에 체결하기 위한 연결 수단으로서, 고정판(40)은 E형 강재 댐퍼(30)의 대응되는 양쪽의 다리(37)를 연결하여 고정 볼트(82)로 체결한다. 연결 링크(50)는 고정판(40)에 고정 볼트(83)로 체결되며 LUD(10)가 설치된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핀 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판(40)은 한 쌍으로서, E형 강재 댐퍼(30)의 대응되는 양쪽의 다리(37)의 상하부면에 양단이 고정 볼트(82)로 체결되며, 연결 링크(50)의 일단은 한 쌍의 고정판 (40)사이에 삽입되어 고정 핀(84)으로 체결된다. 연결 링크(50)의 핀 구멍(53) 타단에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60)은 연결 링크의 핀 구멍(53)을 매개로 연결 링크(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 핀(84)으로 결합되며, 실질적으로 상부 구조물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이때 브래킷(60)은 연결 링크(50)의 핀 구멍(53)에 대응되게 결합 구멍(66)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 구멍(66)은 핀 구멍(53)을 중심으로 상하로 브래킷(6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예컨대, 브래킷(60)은 상부 구조물에 체결되는 체결판(63)과, 연결 링크(5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체결판(63) 하부면에 형성되며 연결 링크(50)의 핀 구멍(53)에 대응되게 체결 구멍(66)이 형성된 체결편(65)을 포함한다. 이때 체결편(65) 사이에 연결 링크(50)의 타단을 삽입시킨 후 브래킷의 체결 구멍(66)과 연결 링크의 핀 구멍(53)의 위치를 정렬시킨 상태에서 고정 핀(84)으로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링크의 핀 구멍(53)에 대해서 체결 구멍(66)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 하중이 작용할 경우 핀 구멍(53)과 체결 구멍 (66) 사이의 유격에 대응되는 만큼 브래킷(6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구조물의 거동을 소정 정도 허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교량의 하부 구조물(71)과 상부 구조물(72)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장치(100)가 교량(70)에 설치된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방향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교량의 상부 구조물(72)이 설치되는 길이 방향에 수평하게 E형 강재 댐퍼(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교량의 하부 구조물(71)과 상부 구조물(72)이 접하는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 구조물(71)인 가동단 교각의 상단에 LUD 블록의 베이스 판(23)이 앵커 볼트(85)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양쪽의 브래킷(60)은 상부 구조물(72)의 바닥면에 고정 볼트(86)로 고정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장치(100)의 LUD(10)와 E형 강재 댐퍼(30)는 교량(7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상시 온도변화,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의한 저속의 이동에 대해서는 LUD의 거동으로 수용한다.
반면에 지진 등으로 항복력(yield force) 이상의 수평 하중이 작용할 때는 LUD 잠겨 고정됨과 동시에 E형 강재 댐퍼(30)에 소성 변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그 변형 에너지와 열 에너지로 수평 하중을 흡수하게 된다. 즉, 지진 등 항복력 이상의 수평 하중이 작용하면 LUD 내에서 충전제의 성상이 변화하여 LUD의 실린더 몸체(13)가 멈추기 때문에, LUD의 실린더 몸체(13)에 체결된 중앙의 다리(35)는 고정된 다. 그리고 교각의 흔들림에 따라 E형 강재 댐퍼의 빔(33)에서 S자 형상의 소성 변형이 반복적으로 일어나 변형 에너지와 열 에너지로 수평 하중을 흡수하고 이를 이웃한 가동단 교각으로 분산하여 교량(70)의 손상을 억제한다.
또한 브래킷(60)과 연결 링크(50)를 연결하는 부분 즉, 연결 링크(50)의 핀 구멍(53)에 대해서 체결 구멍(66)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량 상부 구조물이 거동할 경우 핀 구멍(53)과 체결 구멍(66) 사이의 유격에 대응되는 만큼 상하로 브래킷(60)이 이동하면서 수직 이동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장치(100)는 일 예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교량을 처음 시공할 때 또는 하부 구조물 위의 상부 구조물을 분리한 이후에 유지보수작업을 할 때 설치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설치된 교량(170)에도 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장치(100)가 교량(170)에 설치된 다른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내진 장치(100)는 상부 구조물(172)과 하부 구조물(171)이 접하는 부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다. 즉, 교량의 상부 구조물(172)이 설치되는 길이 방향에 수평하게 E형 강재 댐퍼(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일측의 브래킷(60a)은 하부 구조물(171)의 측면에 설치되고 E형 강재 댐퍼(30)를 포함한 브래킷(60b)은 상부 구조물(172)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내진 장치(100)가 교량(170)에 설치된 다른 예는 내진 장치(100)가 설치된 일 예와 유사하게 LUD(10)와 E형 강재 댐퍼(20)가 교량(170)의 길이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일 예와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진 등으로 하중이 내진 장치가 시공된 교량에 작용할 경우 수평 하중은 LUD와 E형 강재 댐퍼에서 흡수하고, 수직 거동은 E형 강재 댐퍼에 연결된 연결 수단에서 수용하면서 이웃하는 가동단 교각으로 수평 하중을 분산하기 때문에, 지진 발생시 발생되는 수평 하중과 더불어 수직 거동을 효과적으로 흡수 및 분산하여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양쪽에 설치된 브래킷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이 접하는 부분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 건설된 교량에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내진 설계를 보강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즉 브래킷의 일측은 교량의 가동단 교각의 상단의 외측면에 고정 설치하고, LUD 및 E형 강재 댐퍼를 포함하는 부분의 브래킷은 상부 부조물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이미 건설된 교량의 내진 설계를 보강할 수 있다.

Claims (8)

  1. 교량의 하부 구조물과 상부 구조물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내진 장치로서,
    한 쌍의 LUD와;
    상기 LUD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양쪽의 개방된 설치 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하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LUD 블록과;
    중심부분이 상기 LUD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LUD 블록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LUD와 함께 수평 하중을 흡수하는 E형 강재 댐퍼와;
    상기 E형 강재 댐퍼의 대응되는 양단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체결되며, 상기 LUD가 설치된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핀 구멍이 형성된 연결 링크와;
    일측은 상기 연결 링크의 핀 구멍을 매개로 상기 연결 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핀 구멍에 대응되게 결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UD 블록은,
    하부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 상부에 형성되며 양쪽에 LUD 설치 공간이 형성된 수평 단면이 영문자 "H"형태의 LUD 설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 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LUD와 상기 E형 강재 댐퍼는 동일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LUD는, 상기 LUD 설치 공간의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의 양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LUD 설치 공간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E형 강재 댐퍼는 동일면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E형 강재 댐퍼의 대응되는 양단의 상하부면에 체결되며, 상기 연결 링크의 일단은 상기 한 쌍의 고정판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링크의 타단에 상기 핀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상부 구조물에 체결되는 체결판과;
    상기 연결 링크가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상기 체결판 하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 링크의 핀 구멍에 대응되게 결합 구멍이 형성된 체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결합 구멍은 상기 상부 구조물이 상하로 거동 가능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내진 장치.
KR1020050047340A 2005-06-02 2005-06-02 교량의 내진 장치 KR10064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340A KR100646329B1 (ko) 2005-06-02 2005-06-02 교량의 내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340A KR100646329B1 (ko) 2005-06-02 2005-06-02 교량의 내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6329B1 true KR100646329B1 (ko) 2006-11-23

Family

ID=3771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340A KR100646329B1 (ko) 2005-06-02 2005-06-02 교량의 내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632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47B1 (ko) 2007-04-25 2008-06-03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내진형 교좌장치
CN102409609A (zh) * 2011-09-23 2012-04-11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地震时能耗散地震水平力作用的方法及桥梁支座
JP2017197916A (ja) * 2016-04-25 2017-11-02 ライト工業株式会社 落橋防止装置の補修方法及び補修構造
CN111321813A (zh) * 2020-04-07 2020-06-23 钟建敏 一种双向滑移连接支座
CN111749119A (zh) * 2020-07-08 2020-10-09 中南大学 速度锁定软钢阻尼器以及包含该阻尼器的大跨度桥梁
CN118407326A (zh) * 2024-06-27 2024-07-30 河南璟信工程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桥梁限位装置及桥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47B1 (ko) 2007-04-25 2008-06-03 주식회사 예경산업개발 내진형 교좌장치
CN102409609A (zh) * 2011-09-23 2012-04-11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地震时能耗散地震水平力作用的方法及桥梁支座
JP2017197916A (ja) * 2016-04-25 2017-11-02 ライト工業株式会社 落橋防止装置の補修方法及び補修構造
CN111321813A (zh) * 2020-04-07 2020-06-23 钟建敏 一种双向滑移连接支座
CN111749119A (zh) * 2020-07-08 2020-10-09 中南大学 速度锁定软钢阻尼器以及包含该阻尼器的大跨度桥梁
CN111749119B (zh) * 2020-07-08 2021-08-10 中南大学 速度锁定软钢阻尼器以及包含该阻尼器的大跨度桥梁
CN118407326A (zh) * 2024-06-27 2024-07-30 河南璟信工程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桥梁限位装置及桥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062B1 (ko) 전단형 마찰댐퍼
CN211522851U (zh) 一种桥梁抗震防落梁支座
KR100589289B1 (ko) 환봉을 이용한 교량용 내진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내진보강공법
CN109898691B (zh) 一种阻尼接地型装配式钢筋混凝土调谐质量阻尼墙
KR100646329B1 (ko) 교량의 내진 장치
CN114165093A (zh) 一种装配式的减震结构及可恢复功能的剪力墙
KR100965236B1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KR101317464B1 (ko) 교량용 슬라이딩 탄성받침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 받침방법
CN106835952B (zh) 一种组合式抗震系统以及组合式抗震桥梁
KR102152740B1 (ko) 교량구조물의 교량받침 배치방법
KR20090033669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교량
CN214535443U (zh) 一种装配式盾构机托架
KR101192503B1 (ko) 레일간 등간격 조절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KR200231056Y1 (ko) 충격하중 흡수식 교좌장치
KR101171346B1 (ko) 트러스 구조물의 충격 흡수장치
CN113089831A (zh) 一种高性能阻尼梁柱榫卯结构及其制作方法
KR20210041813A (ko) 거더 조인트
KR100577967B1 (ko) 구조물용 베어링장치
KR20020095271A (ko) 교량의 탄성 슬라이드 받침장치
CN220952914U (zh) 一种桥梁用墙型多维长效粘滞阻尼装置
CN216405799U (zh) 一种装配建筑结构减震装置
KR200219967Y1 (ko) 교좌장치
CN219840205U (zh) 一种抗震用连杆件
KR102673242B1 (ko) 구축 건물의 내진보강을 위한 적층강재댐퍼
CN221878347U (zh) 一种框架梁节点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