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98546B1 - 렌지 - Google Patents

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546B1
KR100598546B1 KR1020050026776A KR20050026776A KR100598546B1 KR 100598546 B1 KR100598546 B1 KR 100598546B1 KR 1020050026776 A KR1020050026776 A KR 1020050026776A KR 20050026776 A KR20050026776 A KR 20050026776A KR 100598546 B1 KR100598546 B1 KR 100598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tate
switch
burner
thermal pow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048A (ko
Inventor
아츠지 우라
신이치로 하타
히로유키 야마다
카스야 히로타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54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조리물이 과잉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렌지를 제공한다. 버너(4a,4b)를 수용한 렌지본체(1)의 상면을 덮어씌운 유리천판(2)에 사용자가 버너(4a,4b)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설치되고 유리천판(2)의 상면에 접촉물이나 접근물을 검지하는 터치스위치를 갖는 조작부(6)와, 터치스위치가 on상태(검지상태)인지 off상태(비검지상태)인지를 파악하며, 파악결과에 대응하여 버너(4a,4b)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버너(4a)가 연소상태인 때에 조작부(6)의 버너(4a)용 화력업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었을 때에는 버너(4a)의 화력을 1단계 증가시키고, 그 후 화력업스위치가 on상태로 유지된 때에는 버너(4a)의 화력을 1단계 감소시킨다.
렌지, 렌지본체, 유리천판, 터치스위치, 점등제어수단

Description

렌지{range}
도 1a,1b는 본 발명의 렌지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작부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렌지의 제어블럭도이다.
도 4는 버너의 화력변경처리를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도 5는 버너의 화력변경처리를 나타낸 플로챠트이다.
도 6은 종래 렌지의 외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렌지본체 2 : 유리천판
4a : 좌버너 4b : 우버너
6 : 조작부 10 : 운전스위치
11a,11b : 점화준비스위치 12a,12b : 화력다운스위치
13a,13b : 화력업스위치 14a,14b : 점화준비표시부
15a,15b : 화력레벨표시부 16 : 언록표시부
17 : 록표시부 31 : 가열제어수단
32 : 점등제어수단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천판의 상면에 가열수단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 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로서,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시스템주방의 카운터톱의 열린 공간에 렌지본체(101)를 매설한 드롭인식 렌지에 있어서, 가스버너(100a,100b)가 수용되는 렌지본체(101)의 상면을 덮는 유리천판(102)에 가스버너(100a,100b)의 점화/소화와 화력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손잡이(103a,103b)를 설치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문헌 1 : 실개소58-186302호 공보 참조).
이러한 렌지에 의하면, 전면에 조작부를 구비한 렌지를 설치한 경우와 같이, 카운터톱의 전면에 조작부를 향하도록 개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카운터톱의 렌지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가스버너의 점화/소화 및 화력조절을 위한 조작손잡이(103a,103b)를 천판(102)에 설치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낸 렌지에 의하면, 조작손잡이(103a,103b)가 유리천판(102)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를 행할 때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었다. 여기서, 가스버너(100a,100b)의 조작수단으로 예를 들어, 정전용량식 센서의 검출부를 유리천판(102)의 배면에 설치하여 유리천판(102)의 배면에 조작부를 구비한 터치스위치를 구성하고 유리천판(102)의 상면을 평면으로 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버너(100a,100b)의 화력을 복수 단계로 증감시키기 위해 각 버너에 대해서 화력의 증가를 지시하는 화력업스위치와 화력의 감소를 지시하는 화력다운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력업스위치와 화력다운스위치를 눌러 각 버너의 화력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력업스위치를 터치스위치로 하여 유리천판(102)에 설치한 경우에 가열 조리 중에 오덕(104a,104b)에 놓여진 냄비 등에서 조리물의 끓어넘침이나 유리천판(102)으로의 낙하물 등에 의해 화력업스위치가 전도(覆)되어 화력업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버너(100b)를 이용하여 가열조리를 행하고 있을 때 상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 이외의 요인에 의해 우버너(100b)의 화력업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된 때에도 우버너(100b)의 화력을 증가시키는 처리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우버너(100b)의 화력이 증가되어 조리물이 과잉 가열되어 조리를 실패하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조리물이 과잉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렌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열수단을 수용하는 렌지본체의 상면을 덮는 천판에 사용자가 가열수단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 천판의 상면으로의 접촉물 또는 접근물을 검지하는 터치스위치와,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로 변경하는 가열량변경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 중인 때 상기 터치스위치 중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 증가를 지시하는 가열량업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상기 가열량변경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1단계 증가시키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후 이 검지상태가 유지될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상기 가열량변경수단을 통해 1단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에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1단계 증가시키지만, 그 후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검지상태로 유지될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1단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조리물의 끓어넘침 등에 의해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되고, 그 후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검지상태를 유지하는 상태가 되어도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은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비검지 상태였을 때의 가열량으로 돌아가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이 증가한 상태가 지속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조리물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과잉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이 상기 복수 단계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도록 하는 가열량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가열량업스위치를 연속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검지상태로 유지되면 일단 증가한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이 상기 가열제어수단에 의한 처리에 의해 1단계 감소하여 조작 전 상태로 돌아간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가열수단을 증가시키려고 상기 가열량업스위치를 조작하는 것과 관계없이 일단 증가된 가열수단의 가열량이 원래대로 되돌아 가버리기 때문에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량표시수단에 의해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표시하고, 가열량업스위치를 연속 조작하면 가열수단의 가열량이 원래대로 되돌아가 변화되지 않은 것을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술한 위화감을 갖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1b는 본 발명의 렌지 외관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작부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렌지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버너의 화력변경처리에 대한 플로챠트이다.
도 1a,1b는 렌지본체(1)의 상면에 내열성이 뛰어난 결정화유리로 형성된 유리천판(2)을 장착한 드롭인식 렌지를 나타내고 있다. 유리천판(2)에는 좌우에 한 쌍의 렌지개구(3a,3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렌지본체(1) 내부에는 각 렌지개 구(3a,3b)를 향하고 있는 좌버너(4a) 및 우버너(4b)(본 발명의 가열수단에 해당됨)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렌지개구(3a,3b)에는 조리용기를 올려놓는 오덕(5a,5b)이 배치되고, 유리천판(2)의 상면 전방측에는 좌버너(4a) 및 우버너(4b)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부(6)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 조작부(6)에는 렌지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좌버너(4a) 및 우버너(4b)의 작동지시가 가능한 「운전상태」와 작동지시가 불가능한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운전스위치(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좌버너(4a)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하여 좌버너(4a)를 점화준비상태로 하는 점화준비스위치(11a), 좌버너(4a)의 화력을 5단계(레벨1에서 레벨5까지)로 전환시키는 화력다운스위치(12a)(본 발명의 가열량 다운스위치에 해당됨)와 화력업스위치(13a)(본 발명의 가열량 업스위치에 해당됨), 좌버너(4a)가 점화준비상태인 때와 좌버너(4a)의 작동 중에 점등되는 점화준비표시부(14a) 및 좌버너(4a)의 화력설정을 표시하는 화력레벨표시부(15a) (본 발명의 가열량 표시수단에 해당됨)가 설치되어 있다.
즉, 좌버너(4a)가 점화준비상태인 때에 화력업스위치(13a)를 조작하면 좌버너(4a)가 점화된다. 또한, 좌버너(4a)의 연소 중에 점화준비스위치(11a) 또는 운전스위치(10)가 조작되었을 때 좌버너(4a)는 꺼진다.
상기와 대등하게, 우버너(4b)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하여 우버너(4b)를 점화준비상태로 하는 점화준비스위치(11b), 우버너(4b)의 화력을 5단계(레벨1에서 레벨5까지)로 전환시키는 화력다운스위치(12b)(본 발명의 가열량 다운스위치에 해당됨)와 화력업스위치(13b)(본 발명의 가열량 업스위치에 해당됨), 우버너(4b)가 점화준 비상태인 때와 우버너(4b)의 작동 중에 점등되는 점화준비표시부(14b) 및 우버너(4b)의 화력설정을 표시하는 화력레벨표시부(15b)(본 발명의 가열량표시수단에 해당됨)가 설치되어 있다.
즉, 우버너(4b)가 점화준비상태인 때에 화력업스위치(13b)를 조작하면 우버너(4b)가 점화된다. 또한, 우버너(4b)의 연소중에 점화준비스위치(11b) 또는 운전스위치(10)가 조작되었을 때 우버너(4b)는 꺼진다.
그리고, 조작부(6)에는 「운전상태」인 때에 점등되는 언록표시부(16)와, 운전스위치(10)가 소정시간(예를 들어 4초) 이상 연속해서 조작되어 모든 스위치의 조작이 불가능한 이른바 차일드록 상태가 된 때에 점등되는 록표시부(17)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부(6)의 각 스위치는 유리천판(2)의 뒷면에 설치된 정전용량센서와, 이 정전용량센서에 대향하는 유리천판(2)의 표면부분에 인쇄된 각 스위치터치포인트를 표시하는 프린트부분으로 구성된 무접점형의 터치스위치이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부분(정전용량센서에 대향하는 유리천판 2의 표면부분)에 정전체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정전용량센서에 의해 이 정전체가 검출되어 터치스위치는 on상태(본 발명의 검지상태에 해당됨)가 된다. 한편, 상기 프린트부분에 정전체가 놓여있지 않을 때에는 정전용량센서가 이 정전체를 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터치스위치는 off상태(본 발명의 비검지상태에 해당됨)가 된다.
또한, 조작부(6)의 각 표시부는 유리천판(2)의 뒷면에 설치된 LED와, 이 LED에 대향하는 유리천판(2)의 표면부분에 인쇄된 프린트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LED를 on시켰을 때 표시부가 점등상태로 되고 LED를 off시켰을 때 표시부는 소등상태가 된다.
또한, 화력레벨표시부(15a)는 좌버너(4a)의 화력레벨(레벨1 ~ 레벨5)을 도시된 5개의 점등부분으로 된 바표시의 좌측에서부터 점등부분의 점등개수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좌버너(4a)의 화력레벨이 1인 경우 바표시의 좌단 점등부분만 점등되고, 좌버너(4a)의 화력레벨이 5인 경우 바표시의 5개의 점등부분이 모두 점등된다. 이와 대등하게, 화력레벨표시부(15b)는 우버너(4b)의 화력레벨(레벨1 ~ 레벨5)을 도시된 5개의 점등부분으로 된 바표시의 좌측에서부터 점등부분의 점등개수로 표시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렌지본체(1) 내부에는 렌지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30)가 구비되어 있고, 조작부(6)의 각 스위치(운전스위치 10, 점화준비스위치 11a, 11b, 화력다운스위치 12a, 12b, 화력업스위치 13a, 13b)의 조작상태(on/off)의 검지신호가 콘트롤러(30)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3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렌지본체(1)로의 연료가스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가스원밸브(40),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좌버너용개폐밸브(41a),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변경시키는 좌버너용화력조절밸브(42a)(본 발명의 가열량 변경수단에 해당됨), 좌버너(4a)의 점화전극(미도시)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불꽃방전이 생기도록 하는 좌버너용이그나이터(43a), 우버너(4b)로의 연료가스의 공급과 차단을 전환시키는 우버너용개폐밸브(41b), 우버너(4b)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유량을 변경시키는 우 버너용화력조절밸브(42b)(본 발명의 가열량 변경수단에 해당됨), 우버너(4b)의 점화전극(미도시)으로 고전압을 인가하여 불꽃방전이 생기도록 하는 우버너용이그나이터(43b)의 작동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러(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조작부(6)에 구비된 각 표시부(점화준비표시부 14a, 14b, 화력레벨표시부 15a, 15b, 언록표시부 16, 록표시부 17)의 점등/소등과, 부저(18)의 on/off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30)에는 좌버너(4a)와 우버너(4b)의 작동을 제어하는 가열제어수단(31)과, 조작부(6)에 구비된 각 표시부의 점등/소등의 제어와 부저(18)를 통해 보고를 행하는 점등제어수단(3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좌버너(4a)가 연소 중일 때 사용자가 좌버너용 화력업스위치(13a)를 터치하여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4a)의 화력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대등하게, 우버너(4b)가 연소 중일 때 사용자가 우버너용 화력업스위치(13b)를 터치하여 화력업스위치(13b)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가열제어수단(31)은 우버너(4b)의 화력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것과 같이, 조작부(6)에 설치된 각 터치스위치는 유리천판(2)의 상면에 소재하는 정전체의 유무를 검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스위치를 직접 터치하는 경우 이외에는 도 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버너(4a)를 사용하여 냄비(20) 내의 조리물을 가열하고 있을 때에 조리물의 끓어넘침(21)이 생겨 이 끓어넘침(21)이 조작부(6)로 도달하여 어느 하나의 터치스위치 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또는, 유리천판(2) 상의 낙하물(행주, 식재료 등)에 의해 조작부(6)가 전도(覆)되어 터치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되는 경우 및 곤충 등이 조작부(6) 위로 이동하여 터치스위치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사용자의 조작 이외의 요인에 의해 좌버너(4a)의 연소 중 좌버너(4a)용 화력업스위치(13)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 좌버너(4a)의 화력을 증가시켜 조리물의 가열을 지속시키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조리물이 가열 과잉되어 조리를 실패하게 된다. 우버너(4b)의 연소 중에 사용자의 조작 이외의 요인에 의해 우버너(4b)용 화력스위치(13b)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된 때에서 상황은 같다.
여기서, 상기 콘트롤러(30)에 구비된 가열제어수단(31)은 이렇게 좌버너(4a)의 연소 중에 사용자의 조작 이외의 요인에 의해 좌버너용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될 때 좌버너(4a)의 연소량이 증가된 상태가 지속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이와 대등하게, 가열제어수단(31)은 우버너(4b)의 연소 중에 우버너용 화력업스위치(13b)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된 때에 우버너(4b)의 연소량이 증가된 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하, 도 4 및 도 5의 플로챠트에 따라서 이들의 처리를 포함하는 가열제어수단(31)에 의한 버너의 화력 증가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즉, 도 4 및 도 5의 플로챠트는 좌버너(4a)에 대한 처리지만 우버너(4b)에 대한 처리도 동일하게 이루어진 다.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4a)가 연소 중인 때는 도 4의 스텝1에서 도 5의 스텝4의 루프를 반복 실행한다. 그리고, 스텝1에서 점화준비스위치(11a)가 on상태로 되었을 때는 스텝10으로 분기되어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용 개폐밸브(41a)를 닫고 좌버너(4a)를 소화(消火)시킨다.
또한, 스텝11 및 스텝12는 점등제어수단(32)에 대한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11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를 점등시키며, 스텝12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소등시키고, 스텝13에서 부저(18)를 울려 좌버너(4a)가 꺼진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다음에, 스텝2에서 화력다운스위치(12a)가 on상태로 된 때는 스텝20으로 분기된다. 스텝20 내지 스텝22는 좌버너(4a)의 화력을 1단계 감소시키는 처리이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20에서 부저(18)를 울리며, 스텝21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의 바표시를 1단계 일방향(도 2에서 좌측방향)으로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좌버너(4a)의 화력이 감소된 것을 알린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22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용화력조절밸브(42a)의 열린 정도를 1단계 작게 하여 좌버너(4a)의 화력을 1단계 감소시킨다.
다음의 스텝23에서 화력다운스위치(12a)가 off상태로 되돌아간 때에는 도 5의 스텝3으로 진행하고, 화력다운스위치(12a)가 on상태로 있을 때에는 스텝30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스텝30에서 화력다운스위치(12a)가 소정시간(예를 들어 1초) 이상 연속해서 on상태로 유지되는 「연소on상태」인 때에는 스텝31로 진행된다. 스텝 30 내지 스텝33은 상기 스텝20 내지 스텝22와 동일한 처리를 수행하여 좌버너(4a)의 화력을 1단계 감소시킨다.
그리고, 스텝33에서 스텝23으로 되돌아가 화력다운스위치(12a)가 「연속on상태」인 때에는 스텝30에서 스텝31로 진행하여 스텝31 내지 스텝33의 처리가 반복 실행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화력다운스위치(12a)를 지속적으로 눌러서 화력다운스위치(12a)를 on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좌버너(4a)의 화력을 최소레벨(레벨1)까지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감소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도 5의 스텝3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로 된 때에는 스텝40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40에서 부저(18)를 울리고, 스텝42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의 바표시를 1단계 +방향(도 2에서 우측방향)으로 증가시켜 사용자에게 좌버너(4a)의 화력이 증가된 것을 알린다. 또한, 계속해서 스텝41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용 화력조절밸브(42a)의 열린 정도를 1단계 크게 하여 좌버너(4a)의 화력을 1단계 증가시킨다.
그리고, 다음의 스텝43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로 돌아간 때에는 스텝4로 진행되고, 화력업스위치(13a)가 on상태인 때에는 스텝50으로 분기된다. 스텝50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연속on상태」인 때에는 스텝51로 진행한다.
스텝51 내지 스텝53은 상술한 스텝20 내지 스텝22와 같은 처리를 수행하고, 좌버너(4a)의 화력이 1단계 감소한다. 그리고, 스텝54에서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가 되는 것을 기다려 스텝4로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서, 화력업스위치(13a)가 「연소on상태」로 된 때에는 스텝42에서 일단 1단계 증가된 좌버너(4a)의 화력 이 스텝53에서 1단계 감소하여 원래대로 돌아간다.
여기서, 끓어넘침에 의해 조작부(6)가 전도(覆)되어 사용자의 조작 이외의 요인에 의해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었을 때는 화력업스위치(13a)는 그 후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은 on상태로 유지된다고 상정(想定)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는 「연속on상태」가 되고 스텝 30에서 스텝 31로 진행하여 스텝 33에서 좌버너(4a)의 화력이 1단계 감소한다.
이것에 의해, 좌버너(4a)의 화력은 끓어넘침 등에 의해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되기 전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끓어넘침 등에 의해 조작부(6)가 전도되어 화력업스위치(13a)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좌버너(4a)의 화력이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고 조리물이 과잉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좌버너(4a)의 화력을 증가시키고 싶을 때에는 좌버너용 화력업스위치(13a)에 손가락을 접촉시켜 「연속on상태」로 되기 전에 손가락을 떼어 내면 된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스텝43에서 스텝4로 진행하고, 스텝42에서 좌버너(4a)의 화력이 1단계 증가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에, 스텝4에서 좌버너(4a)의 실화(失火) 등 이상이 검출된 때에는 스텝60으로 분기되고, 점등제어수단(32)은 스텝60에서 부저를 울리며, 스텝61에서 점화준비표시부(14a)를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이상 발생을 알린다. 또한, 점등제어수단(32)은 다음의 스텝62에서 화력레벨표시부(15a)를 소등시킨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63에서 가열제어수단(31)은 좌버너용 개폐밸브(41a)를 닫아서 좌버너(4a)로의 연료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며, 스텝64로 진행하여 에러정지상태가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가열수단으로서 가스버너(4a,4b)를 구비한 렌지를 나타내었지만 전기히터 등 다른 종류의 가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천판으로서 내열유리를 사용한 유리천판(2)을 구비한 렌지를 나타내었지만, 스텐레스 등 다른 소재의 천판을 구비한 렌지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터치스위치로서 정전용량형 터치스위치를 채용한 렌지를 나타내었지만 터치스위치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외선 발광부/수광부를 구비한 포토스위치 및 택트스위치 등의 기계접점식 터치스위치를 채용한 렌지인 경우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렌지는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조리물이 과잉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Claims (2)

  1. 가열수단을 수용하는 렌지본체의 상면을 덮는 천판에 사용자가 가열수단의 작동을 지시하기 위해 설치되고 이 천판의 상면으로의 접촉물 또는 접근물을 검지하는 터치스위치와,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미리 설정된 복수 단계로 변경하는 가열량변경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 중인 때 상기 터치스위치 중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의 증가를 지시하는 가열량업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때에는 상기 가열량변경수단에 의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1단계 증가시키는 가열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지에 있어서,
    상기 가열제어수단은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 상기 가열량업스위치가 비검지상태에서 검지상태로 전환된 후 상기 검지상태가 유지될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을 상기 가열량변경수단을 통해 1단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이 작동상태인 때에는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량이 상기 복수 단계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도록 하는 가열량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지.
KR1020050026776A 2004-03-31 2005-03-30 렌지 Expired - Fee Related KR100598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2482A JP2005291511A (ja) 2004-03-31 2004-03-31 コンロ
JPJP-P-2004-00102482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048A KR20060045048A (ko) 2006-05-16
KR100598546B1 true KR100598546B1 (ko) 2006-07-07

Family

ID=3532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7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8546B1 (ko) 2004-03-31 2005-03-30 렌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291511A (ko)
KR (1) KR100598546B1 (ko)
TW (1) TWI2757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511A (ja) 2004-03-31 2005-10-20 Rinnai Corp コンロ
JP4064942B2 (ja) 2004-04-02 2008-03-19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87026A (ja) * 1989-04-27 1990-11-27 Toshiba Corp 電気加熱調理器
JPH02287027A (ja) * 1989-04-27 1990-11-27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US4997161A (en) 1988-10-21 1991-03-05 Robertshaw Controls Company Fuel control system throttle valve uni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5241463A (en) 1989-06-05 1993-08-3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ntrol system for gas burners
JP2521367B2 (ja) 1990-08-10 1996-08-07 富士工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のスイッチ装置
EP1582819A1 (en) 2004-03-31 2005-10-05 Rinnai Corporation Cooking stove
JP2005291511A (ja) 2004-03-31 2005-10-20 Rinnai Corp コンロ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7161A (en) 1988-10-21 1991-03-05 Robertshaw Controls Company Fuel control system throttle valve unit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H02287026A (ja) * 1989-04-27 1990-11-27 Toshiba Corp 電気加熱調理器
JPH02287027A (ja) * 1989-04-27 1990-11-27 Toshiba Corp 加熱調理器
US5241463A (en) 1989-06-05 1993-08-31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ontrol system for gas burners
JP2521367B2 (ja) 1990-08-10 1996-08-07 富士工業株式会社 電気調理器のスイッチ装置
EP1582819A1 (en) 2004-03-31 2005-10-05 Rinnai Corporation Cooking stove
JP2005291511A (ja) 2004-03-31 2005-10-20 Rinnai Corp 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048A (ko) 2006-05-16
TW200535380A (en) 2005-11-01
TWI275748B (en) 2007-03-11
JP2005291511A (ja)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244B1 (ko) 렌지
JP6872428B2 (ja) 加熱調理器
KR100598544B1 (ko) 렌지
US7335861B2 (en) Cooking stove
KR100598545B1 (ko) 렌지
KR100598546B1 (ko) 렌지
US7422010B2 (en) Cooking stove
JP7010596B2 (ja) ビルトイン式加熱調理器
KR100666243B1 (ko) 렌지
KR100598547B1 (ko) 렌지
JP6998227B2 (ja) 加熱調理器
KR20100110199A (ko) 중화 렌지
JPH07167428A (ja) 燃焼制御装置
JP2005221138A (ja) ガス調理器
JP2005221141A (ja) ガス調理器
KR19990048548A (ko) 오븐 자동 연소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