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602B1 -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Google Patents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69602B1 KR100569602B1 KR1020030054464A KR20030054464A KR100569602B1 KR 100569602 B1 KR100569602 B1 KR 100569602B1 KR 1020030054464 A KR1020030054464 A KR 1020030054464A KR 20030054464 A KR20030054464 A KR 20030054464A KR 100569602 B1 KR100569602 B1 KR 1005696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voltage
- latch
- pump circuit
- voltage
- circui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5—Applications of charge pumps; Boosted voltage circuits; Clamp circuits therefo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Data output latch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08—Word line control circuits, e.g. drivers, boosters, pull-up circuits, pull-down circuits, precharging circuits, for word lin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전원전압 이상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압용 전하펌프회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펌프회로 각단의 구성은 첫단이 하나의 래치와 전달트랜지스터가 한 조를 이루고, 래치의 두개의 래치노드 가운데 하나는 전달트랜지스터의 입력과 연결되고, 래치의 다른 하나의 래치노드는 전달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한 조의 회로는 동일한 회로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한 조의 회로들과 전달 트랜지스터의 입력들과 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들이 서로 "X"자로 결선되어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첫단의 출력과 둘째 단의 입력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고 양단의 래치들도 서로 직접 연결(short)되어 있어 래치 노드들을 일정부분 공유한다. 둘째단 출력과 둘째 단의 입력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으나 양단의 래치들은 서로 직접연결(short)되어 있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하펌프 내부에서 고전압의 발생을 위한 전하펌핑 동작이 이루어지고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노드에 전하를 전달할 때 전달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압이 충분한 고전압으로 되어 전하펌핑 효율이 증대하고 전달 트랜지스터들이 문턱전압 손실이 최소화되록 하는 회로를 제공할수 있게 된다.
전하펌프, 고전압, 클럭, 래치, 부트스트래핑, VPP
Description
도 1은 개선된 모양을 갖는 종래의 딕슨 타입의 전하펌프회로이다.
도 2는 통상적인 고전압 발생을 위한 회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전하펌프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회로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하펌프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하펌프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종래 회로에 대한 VDD 동작특성을 비교한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종래의 회로에 대한 단(stage)수에 따른 동작특성을 비교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전원전압이상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하펌프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프리차징(Precharging) 동작에 의해 회로 내부의 특정 노드의 전압을 프리차지 한 후, 주기적인 여러 개의 클럭신호로 하여금 복수개의 래치회로와 복수개의 커패시터를 동작시켜 전하펌프회로의 출력전압을 전원전압 이상으로 펌핑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소자들의 크기는 점점 줄어들게 되어 하나의 칩에 보다 많은 수의 소자가 집적되고 있다. 소자의 크기가 줄어들수록 소자가 전압에 견디는 특성, 즉 내압특성도 점차 낮아지게 되었다. 한편, 소자의 수가 많아질수록 소비하는 전력은 점점 늘어나게 되었다.
이같은 추세에 따라 반도체 소자에 사용하는 전원 전압을 낮추어야만 미세한 소자가 전압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이 줄어들고, 전력의 소비 또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지난 10여년간 반도체 소자를 구동하는 전원전압은 5볼트, 3.3볼트, 2.5볼트 등으로 점차 낮아졌으나 이같은 저전압화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의 DRAM 기술에서는 1.8볼트의 전원전압을 쓰는 것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나 곧 1.5볼트 정도의 저전압도 상용화되어 사용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칩 내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반면 트래지스터들의 문턱전압은 이에 비례해서 줄어들지 않는다. 만일 문턱전압이 전원전압이 줄어드는 비율만큼 줄어든다면 트랜지스터의 서브-쓰레스홀드(sub-threshold) 누설전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므로 저전력화 추세에 맞지 않게 되고, 급기야 배터리 등으로 구동하는 저전력 시스템에 적용을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반도체 칩에 연결되는 전압은 대개 전원전압과 접지전압이다. 그러나 반도체 칩 내에서 전원전압보다 크거나 작은 전압이 필요할 경우 대개는 칩내의 회 로에서 자체 생성시켜 사용한다. 특히 DRAM과 같은 고집적 반도체 칩에서 한 노드의 전압이 다른 노드로 전달될 경우 문턱전압의 감소라는 현상이 생기기도 한다. 특히, 1.8볼트 이하의 저전압을 사용하는 반도체 칩에서는 이러한 문턱전압의 감소현상을 제거하면서도, 서브-쓰레스홀드(sub-threshold) 누설전류량을 더 이상 증가시키지 않기위해 고전압(VPP)을 발생시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고전압 레벨은 전원전압의 두 배인 2VDD 정도이다. 반면에 1.8볼트 이하의 전원전압을 사용하는 고집적 DRAM에서는 고전압 발생의 효율이 떨어져, 원하는 만큼의 고전압(VPP)을 발생시킬 수 없음으로 인해 이진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셀의 리프레쉬 특성이 나빠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플래쉬 메모리 제품에서는 저장정보의 프로그래밍이나 소거를 위해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고전압 발생을 위한 종래의 회로로는 다이오드와 펌핑 커패시터로 구성된 잘 알려진 딕슨형(Dickson type) 전하펌프회로가 IEEE의 J.Solid-State Circuits, vol.11,pp374-378, June 1976호에 "On-chip high-voltage generation in NMOS integrated circuits using an improved voltage multiplier technique"이라는 제목으로 공개되어 있다. 이 회로는 반도체 회로 기술자들에게 너무나 잘 알려진 것이어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딕슨형 전하펌프회로는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감소할수록 펌핑의 효율이 떨어지는 특성이 있으므로 현재는 변형되거나 개선된 형태의 딕슨형 전하펌프회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 개선된 형태의 종래의 딕슨형 전하펌프회로의 한 예를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회로는 설명의 편의상 2단으로만 구성된 회로이다. 필요한 고전압의 정도에 따라 단(stage)수를 증가시킬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나타낸 종래의 개선된 딕슨형 전하펌프 회로의 동작상 특징은 "문턱전압의 감소"라는 현상을 배제하기 위하여 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를 구동하는 전압이 전원전압 이상이 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클럭신호 CLK1이 커패시터 C1이 펌핑할 때 트랜지스터 MN1과 MP1에 의해 MS1의 게이트 전압이 전원전압 이상으로 부트스트랩(bootstrap)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개선된 형태의 딕슨형 전하펌프회로에서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단 수가 지나갈수록 펌핑되어 전달되는 전압이 높아지므로 전달 트랜지스터의 소오스(source)노드와 기판 사이의 전압차이가 커지게 되어 이른바 몸체효과(body-effect), 혹은 백-바이어스(back-bias)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백-바이어스 효과가 증가할수록 문턱전압이 증가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따라서 개선된 형태의 딕슨펌프를 사용하여도 궁극에 가서는 전하펌프의 마지막 단에 속해있는 전달 트랜지스터(도1의 경우에는 MS2)의 높아진 문턱전압으로 인해 전하펌핑 효율이 어느정도 저감되는 것은 피할수 없다. 또한, 전하펌프회로의 최종 출력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다이오드 형상의 트랜지스터(MDO, 도1)에서는 문턱전압의 감소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하펌프회로의 출력측의 고전압에도 효율이 떨어지지 않는 효율적인 전하펌프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압 환경하에서도 잘 동작하는 전하펌프회로를 제공하여 본 발명의 회로를 내장하게 될 여러 반도체 칩들의 고전압 동작신뢰성을 보장케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전압 출력시 전하펌프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턱전압의 감소현상을 최소화하여 저전압에서도 효율적인 전하펌프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전압 발생 전하펌핑회로는 입력 클럭신호들;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들; 프리차지(precharge) 회로들 및 펌핑 커패시터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프리차지 회로들은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회로 내부의 특정노드를 프리차징(precharging)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입력 클럭신호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되 서로 중첩되지 않는 주기적인 신호이면 좋다. 전달 트랜지스터들은 고전압 펌핑 사이클에서 발생된 전하를 다음 단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복수 개의 펌핑 커패시터는 입력클럭신호들과 각각 연결되어 펌핑사이클에서 전압을 펌핑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될 본 발명의 전하펌프회로에 의하면 전하펌프회로 내부에서 펌핑 동작에 의한 고전압의 발생이 이루어지고, 고전압을 필요로 하는 노드로의 전하 전달이 이루어 질때 스위칭하는 전달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압이 충분한 고전압이 되어 손실 전달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한 클럭 사이클 내에서 전하펌핑 동작이 두 번 이루어 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인 사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 내용 및 첨부도면의 회로와 그 타이밍도를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나 동일한 역할을 나타낸다.
도 2는 고전압 발생을 위한 발생기 회로 전체의 블럭도이다. 레벨 검출기(11)는 고전압 출력(VPP)가 원하는 전압만큼 펌핑되었을 때 이를 검출하여 전체회로의 동작을 멈추게 하고, 고전압 출력(VPP)가 원하는 전압보다 작을때는 전체회로의 계속적인 동작을 유지케 한다. 링 발진기(12)는 레벨 검출기(11)의 지시 동작에 따라 복수개의 클럭신호를 만들어 내어 전하펌프회로(10)에 입력시키거나 입력을 중단케 하는 동작특성을 가진 회로이다. 전하펌프회로(10)는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링 발진기(12)로부터 입력되는 클럭신호에 따라 고전압(VPP)을 발생시켜 출력하는 회로이다.
본 발명은 전하펌프회로에 치우쳐 있으므로 도 2에 나타난 블럭들 가운데 전하펌프회로(10)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따로이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하펌프회로를 나타내는 하나의 실시예이다.
네개의 클럭신호(CLK0~CLK3)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 주기적인 클럭신호이다. 두 개의 클럭신호 CLK0와 CLK2는 진폭만 다를 뿐 기본적으로는 서로 같은 위상을 갖는 신호이다.
이와 유사하게 두 개의 클럭신호 CLK1와 CLK3 역시 진폭만 서로 다를 뿐 기본적으로는 서로 같은 위상을 갖는 신호이다.
네 개의 펌핑 커패시터(C1~C4)는 클럭신호들(CLK1, CLK2)들의 포지티브 천이(transition)나 네가티브 천이 가운데 적절한 것에 의해 주어진 노드들(N1, N2, N5, N6)을 펌핑한다.
프리차지 회로들(MP1, MP2, MN5와 MP3, MP4, MN6)은 클럭신호 CLK0, CLK3에 의해 노드 N1과 N2를 프리차징(Precharging)한다.
펌프회로 각 단의 구성을 첫 단의 예로 들어 설명하면, 하나의 래치(MP11,MP12)와 전달트랜지스터(MP5)가 한 조를 이루고, 래치내부(MP11,MP12)의 두 개의 래치노드 가운데 하나는 전달트랜지스터(MP5)의 입력(N1)과 연결되고, 래치내부의 다른 하나의 래치노드는 전달 트랜지스터의 출력(VD)과 연결되고, 상기 한 조의 회로는 동일한 회로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한 조의 회로(MP6, MP13,MP14)들과 전달 트랜지스터의 입력들과 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들이 서로 "X"자로 결선되어 대칭구조를 이루어 한 단의 펌프회로가 구성된다.
첫 단의 출력과 둘째 단의 입력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고 양단의 래치들도 서로 직접 연결(short)되어 있어 양 단은 래치 노드들은 서로 일정부분 공유한다.
둘째 단 출력과 세째 단의 입력은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으나 양단의 래치들은 서로 직접연결(short)되어 있지는 않다.
도 3에 도시한 회로의 각 노드별 전압이 정상상태(steady-state)에 다다랐을 때의 전압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회로동작시 각 노드들의 전압은 이러한 정상상태의 값으로부터 출발하여 또 다른 정상상태로 스위칭한다.
표 1
CLK0, CLK2 | 0 | VDD |
CLK1, CLK3 | VDD | 0 |
N1 | 2VDD | VDD |
N2 | VDD | 2VDD |
N3 | 2VDD | 0 |
N4 | 0 | 2VDD |
VD | 2VDD | 2VDD |
N5 | 2VDD | 3VDD |
N6 | 3VDD | 2VDD |
표 1에 나타낸 정상상태의 값들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회로동작을 이해하기 쉽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회로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t1 이전동안 CLK0와 CLK2는 전원전압 VDD, CLK1과 CLK3는 접지전압인 0을 유지하고 있고 프리차지 회로(MP1, MP2, MN5)에 의해 노드 N1은 전원전압 VDD로 프리차징되어 있다. 이 구간동안 노드 N2의 전압은 이전 사이클에서 펌핑되어 있던 값인 2VDD를 유지한다. 또한 이전 사이클에서 3VDD로 펌핑되어 있던 노드 N6의 전압도 이 전압값을 유지한다.
t1의 순간에 CLK0는 전원전압 VDD에서 접지전압 0으로 바뀌는 이른바 네가티 브 천이(transition) 동작을 하여 노드 N1에 대한 프리차지 동작을 멈추게 한다.
t2의 순간, 노드 N1의 전압은 클럭신호 CLK1의 포지티브 에지(edge)에 동기되어 C1에 의해 2VDD로 펌핑된 후 이 전압을 유지한다. 노드 N1의 이 전압은 추후 CLK1의 네가티브 에지에 동기되어 VDD로 떨어진다. 클럭신호 CLK0과 CLK1은 서로 반대의 위상이나 서로 "high"인 상태가 겹치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CLK0에 의한 노드 N1의 프리차징 구간과 CLK1에 의한 펌핑구간이 서로 겹치지 않는다. 또한 이구간동안 C4에 의해 노드 N6의 전압은 2VDD에서 3VDD로 펌핑된다.
클럭신호 CLK2가 네가티브 천이를 하는 t3의 순간에 2VDD로 펌핑되어 있던 노드 N2의 전압은 C2에 의해 VDD로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전달트랜지스터 MP5가 턴온(turn-on)되어 노드 N1에 펌핑되어 있던 2VDD전압은 노드 VD로 전달되므로 노드 VD의 전압은 2VDD가 된다. 또한 노드 N5의 전압은 C3에 의해 3VDD에서 2VDD로 바뀌게 되어 p-채널 트랜지스터인 MP8을 턴온(turn-on)시키게 되므로 노드 N6의 3VDD 전압이 VPP단자로 전달된다.
CLK3가 포지티브 천이를 하는 t4 순간에는 노드 N2가 프리차지 회로()에 의해 VDD로 프리차징된다. 이상적으로는 노드 N2가 프리차징 되기 직전 VDD로 내려와 있어 프리차지로 인한 N2노드의 전압 변화가 없어야 하나, 실제에 있어서 프리차지 직전의 N2 노드 전압은 회로들의 이상적이지 않은 특성들 때문에 VDD에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CLK3에 의해 프리차지 회로(MP3, MP4, MN6)가 N2를 프리차징하는 것은 이상적인 회로동작에 근접하고자 하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
t5의 순간에, CLK3는 네거티브 천이를 하고 노드 N2로의 프리차징 동작은 끝 난다.
t6의 순간에는 CLK2의 포지티브 천이에 의해 펌핑 커패시터 C2, C3가 노드 N2, N5의 전압을 각각 2VDD, 3VDD로 펌핑한다.
다음으로 t7의 순간에 CLK1에 의해 펌핑 커패시터 C1, C4가 노드 N1, N6의 전압을 VDD, 2VDD로 떨어뜨리게 되어 p-채널 전달 트랜지스터 MP6, MP7가 턴온된다. 이러한 회로 작용에 의해 N2 노드와 N5 노드에 펌핑되었던 2VDD, 3VDD전압을 각각 다음단으로 전달한다. 도 3에 나타난 회로는 N5 노드의 다음단이 고 전압 출력신호인 VPP 노드이다.
t8의 순간, CLK0신호의 포지티브 에지에 의해 프리차지 회로(MP1, MP2, MN5)가 동작, 노드 N1은 VDD로 프리차지 되어 하나의 클럭사이클을 기준으로 하는 회로동작이 마무리 된다.
각각의 타이밍 순간마다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로는 한 사이클에 두 번의 전하펌핑동작이 일어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한 두 번째의 실시 예에 해당하는 전하펌프회로이다. 이 회로는 도 3에 나타내어 공개된 회로와 프리차지 회로부분이 서로 다를 뿐 각 클럭신호에 따른 회로들의 동작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서 보인 회로들은 전달 트랜지스터들(MP5~MP8, MN7,MN8)의 몸체(body)부분이 각 전달 트랜지스터들의 소오스 노드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래치회로의 공통 노드에 연결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래치회로 각각은 펌핑시 각각의 전달트랜지스터들(MP5~MP8, MN7,MN8)에 가해지는 전압의 정도를 항상 "래칭(latching)"하고 있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연결에 의해 각각의 전달 트랜지스터들(MP5~MP8, MN7,MN8)의 몸체(body) 노드의 전압은 문턱전압의 감소라는 현상이 최소화되도록 설정되므로 이른 바 몸체효과(body effect) 발생이 최소화되어 전하펌핑의 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3VDD정도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나 본 발명의 회로는 용이한 확장성을 갖고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도 6은 도시된 회로는 전원전압의 네배가 되는 4VDD정도의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회로이다. 도 6을 주의깊게 관찰하여 보면 MP11~MP14 및 MN11~MN14이 이루는 네 개의 래치회로 쌍이 또 하나(MP15~MP18 및 MN15~MN18) 반복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로구성은 이같이 회로단을 증가시킴에 의해 설계자가 필요한 고전압을 손쉽게 만들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설계된 회로의 성능을 검증해 보기 위하여, 0.18um triple-well CMOS 공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회로를 제작한 다음, 이를 측정하였다. 칩 제작공정에 사용된 n-채널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을 0.7볼트이고, p-채널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은 -0.7볼트이다. 도 7은 도 3에 나타낸 회로에서 부하전류가 없고 클럭 주파수가 10MHz인 경우에 대해 전원전압 대 고전압VPP의 특성을, 실제 제작된 칩에서 측정한 값과 회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부터 추출된 값을 비교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모의 실험 결과에서 예측한 바대로 실제 회로가 잘 동작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로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본 발명의 회로와 종래의 딕슨형 펌프 회로를 회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 비교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모의실험은 수평축이 회로의 단(stage)수이고 수직축이 VPP전압이다. 양자의 비교 결과에 의하면 회로단 수가 증가할 수록 본 발명의 회로가 목표전압에 쉽게 다가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두 가지의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하펌프회로의 동작에 의하면, 고전압을 전달하는 전달 트랜지스터들의 몸체효과가 최소화되어 전달효율이 증대됨으로써, 원하는 고전압으로 신속히 다가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회로에 의하면, 전하펌핑동작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본 발명의 회로를 내장하고 있을 여러 반도체 제품, 예컨대 1V 정도의 저전원전압을 사용할 차세대의 반도체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로는 필요한 고전압의 정도에 따라 여러단으로 쉽게 확장가능하므로 설계자가 원하는 고전압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주기적인 클럭신호들을 이용하여 전원전압보다 큰 고전압(VPP)을 발생을 위한 전하펌프회로에 있어서,하나의 래치와 전달트랜지스터가 한 조를 이루되, 상기 래치 내부의 두개의 래치노드 가운데 하나는 상기 전달트랜지스터의 입력과 연결되고,상기 래치내부의 다른 하나의 래치노드는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의 출력과 연결되고,상기 한 조의 회로는 동일한 회로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한 조의 회로들과 전달 트랜지스터의 입력들 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들이 서로 "X"자로 결선되어 대칭구조를 이루어 한 단의 펌프회로를 이루고,상기 대칭구조의 펌프회로가 복수개 연결되고,상기 클럭신호들이 커패시터를 구동하는 펌핑동작이 이루어 짐에 의해 고전압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주기적인 클럭신호들을 이용하여 전원전압보다 큰 고전압(VPP) 발생을 위한 전하펌프회로에 있어서,복수개의 클럭신호에 의해 펌핑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커패시터;하나의 래치와 전달 트랜지스터가 한 조를 이루고, 래치 내부의 두개의 래치 노드 가운데 하나는 전달 트랜지스터의 입력과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래치노드는 출력과 연결되고, 상기 한 조의 회로는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지는 또 다른 한 조의 회로들과 전달 트랜지스터의 입력들과 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들이 서로 “X”로 결선되어 대칭구조를 이루는 펌프회로; 및상기 펌프회로 전단에 위치하여 클럭신호에 의해 노드를 프리차징하는 복수의 프리차징 회로;를 포함하고,(a)상기 복수개의 클럭신호들 가운데 하나는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회로 가운데 하나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프리차징(precharging) 동작을 하고,(b)상기 복수개의 클럭신호들 가운데 또다른 하나는 상기 복수개의 프리차지 회로 가운데 또다른 하나의 입력에 연결되어 프리차징 동작을 하고,(c)상기 복수개의 커패시터들, 상기 래치회로들,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들이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전원전압 이상의 고전압 펌핑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들은 서로 중첩되지 않는(non-overlapping)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들은 제1 내지 제4 클럭 신호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들은 상기 클럭신호들 가운데 두 개에 의해 번갈아 펌핑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트랜지스터들은 그 몸체(body) 노드가 각기 인접한 래치내부의 공통 노드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4464A KR100569602B1 (ko) | 2003-08-06 | 2003-08-06 |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54464A KR100569602B1 (ko) | 2003-08-06 | 2003-08-06 |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5580A KR20050015580A (ko) | 2005-02-21 |
KR100569602B1 true KR100569602B1 (ko) | 2006-04-11 |
Family
ID=3722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54464A KR100569602B1 (ko) | 2003-08-06 | 2003-08-06 |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6960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6958B1 (ko) * | 2005-04-29 | 2007-03-2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내부 전압 발생 회로 |
KR100729138B1 (ko) * | 2005-08-11 | 2007-06-18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딕슨 전하 펌프를 이용한 고전압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
-
2003
- 2003-08-06 KR KR1020030054464A patent/KR10056960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15580A (ko) | 2005-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23260B2 (en) | Charge pump circuit incorporating corresponding parallel charge pump stages and method therefor | |
US7098725B2 (en) | Multi stage voltage pump circuit | |
US6545529B2 (en) | High voltage generating circuit | |
US6359501B2 (en) | Charge-pumping circuits for a low-supply voltage | |
KR100834195B1 (ko) | 전하펌프 전원 공급장치 | |
US6483728B1 (en) | Charge pump circuit | |
KR100640615B1 (ko) | 고 전압 발생용 전하 펌프 회로 | |
KR100432890B1 (ko) | 안정적으로 승압 전압을 발생하는 승압 전압 발생 회로 및그 승압 전압 제어 방법 | |
US5905402A (en) | Voltage pump circuit having an independent well-bias voltage | |
JP3337344B2 (ja) | Cmos回路 | |
JP2009509481A (ja) | 広範囲の供給電圧のための効率的なチャージポンプ | |
JP2009509449A (ja) | 単一しきい値・単一導電型論理回路 | |
EP0594230A1 (en) | High efficiency n-channel charge pump | |
KR100340866B1 (ko) | 고전위 발생 장치 | |
US8421522B2 (en) | High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high voltage | |
KR20090071860A (ko) | 크로스 커플 전하펌프방식의 저전압 dram용 고전압발생기 | |
KR100569602B1 (ko) | 고전압 발생 전하펌프회로 | |
US5721509A (en) | Charge pump having reduced threshold voltage losses | |
Mohammadi et al. | Ultra low energy and area efficient charge pump with automatic clock controller in 65 nm CMOS | |
KR100632922B1 (ko) | 저전압용 전하펌프회로 | |
KR100281281B1 (ko) | 고전압 발생기 | |
Tsiatouhas | A stress-relaxed negative voltage-level converter | |
KR100271712B1 (ko) | 고전압 발생기 | |
KR102035085B1 (ko) | 이이피롬의 크로스 커플 전하펌프 회로 | |
KR100802223B1 (ko) | 반도체 장치의 챠지 펌프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