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65859B1 -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859B1
KR100565859B1 KR1020030020352A KR20030020352A KR100565859B1 KR 100565859 B1 KR100565859 B1 KR 100565859B1 KR 1020030020352 A KR1020030020352 A KR 1020030020352A KR 20030020352 A KR20030020352 A KR 20030020352A KR 100565859 B1 KR100565859 B1 KR 100565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ens barrel
wiring cable
optical system
cas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729A (ko
Inventor
히루누마겐
후나츠고지
가네코아츠미
Original Assignee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6Focusing binocular pai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6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 G02B23/18Housings; Caps; Mountings; Supports, e.g. with counterweight for binocula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Telescopes (AREA)
  • Lens Barrel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광학장치는 렌즈경통과 케이싱을 포함하고 있다. 케이싱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케이싱 부분을 가지고 있다. 배선 케이블이 케이싱내에 제공되어, 케이싱 부분들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배선 케이블은 렌즈경통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져, 케이싱 부분들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배선 케이블의 운동이 배선 케이블의 느슨하게 감겨진 부분에 의해 흡수된다.
광학장치, 렌즈경통, 케이싱, 배선 케이블, 관찰 광학계, 대물 광학계, 정립 광학계, 접안 광학계

Description

광학장치{OPTIC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의 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수평 단면도로서, 가동 케이싱 부분이 수납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과 유사한 수평 단면도로서, 가동 케이싱 부분이 최대 인출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와 유사한 수평 단면도로서, 가동 케이싱 부분이 최대 인출 위치에 설정된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쌍안경의 케이싱내에 제공되는 지지판 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지지판 조립체상에 배치되는 우측 마운트판 및 좌측 마운트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라 본 입면도;
도 8은 도 1의 VIII-VIII 선을 따라 본 입면도.
본 발명은 광학계를 유지하는 렌즈경통과 렌즈경통을 수용하는 케이싱을 가 진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싱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케이싱 부분을 가지고 있고, 배선 케이블이 케이싱 부분들 사이에 제공된다.
광학장치의 일례로서, 슬라이드식 쌍안경이 있으며, 이 슬라이드식 쌍안경은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도록 서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맞물려진 2개의 케이싱 부분으로 이루어진 케이싱을 가지고 있고, 관찰 광학계가 각각의 케이싱 부분내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쌍안경에 필요한 기능인 안폭이 조정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는 슬라이드식 쌍안경에서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쌍안경에 자동 초점맞춤 기능이나 전자적 촬영기능이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자제어장치가 제공되어져야 한다.
광학장치의 또다른 예로서는, 고체 촬상소자를 이용하는 전자 카메라, 즉 디지털 카메라가 있다. 디지털 카메라에 관해서는, 컴팩트하고 휴대가능한 것이 중요하므로, 케이싱의 일부분이 케이싱 본체 부분에 대해 신축가능하도록 된다. 즉,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할 때에는, 케이싱의 일부분이 몸체의 전체 치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케이싱의 본체 부분내에 수납되고, 촬영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본체 부분내에 수납된 케이싱의 일부분이 인출된다. 물론, 전자제어장치는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 필수적이다.
상술한 광학장치에 있어서는, 배터리 및 전원 회로기판이 전자제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즉, 전원 회로기판상에 제공된 전원 회로는 급전을 받아, 소정의 전압을 가진 전원을 전자제어장치에 포함된 전자부품에 공급한다.
배터리와 전원 회로기판이 떨어진 위치, 즉 쌍안경 또는 디지털 카메라의 대 향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와 전원 회로기판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케이싱 부분 사이에 연장되는 급전 케이블과 접속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케이싱 부분들의 상대이동을 보증하기 위해, 급전 케이블은 충분히 길어야만 한다. 즉, 전원 케이블은 충분한 느슨함이 제공되어져야 하고, 케이싱 부분들의 상대 이동에 따라 원활히 변형되어져야 한다. 이 경우, 전원 케이블의 운동이 쌍안경이나 디지털 카메라내에 제공된 내부 기구를 방해하지 않도록 규제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원 케이블의 운동의 적정한 규제를 위한 규제 기구의 구비는 쌍안경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비용과 크기를 증대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술한 광학장치에서는, 배터리와 전원 회로기판 사이의 관계가 설명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2개의 케이싱 부분에 제어 회로기판이 제공되는 또다른 타입의 광학장치에서는, 제어 회로기판들 사이에 신호 케이블이 제공되어져야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 부분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배선 케이블의 운동이 적정하게 규제되는 광학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부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킴이 없이 상기한 목적을 성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렌즈경통, 케이싱, 및 배선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광학장치가 제공된다. 렌즈경통은 광학계를 유지한다. 렌즈경통은 케이싱내에 수납된다. 케이싱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케이싱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배선 케이블은 케이싱 부분들 사이에 연장된다. 배선 케이블은 렌즈경통의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져, 케이싱 부분들의 상대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배선 케이블의 운동은 배선 케이블의 느슨하게 감겨진 부분에 의해 흡수된다.
한쌍의 렌즈경통이 케이싱 부분들내에 수납될 수 있고, 이 경우, 배선 케이블은 한쌍의 렌즈경통중 하나의 둘레에 감겨진다. 또한, 이 경우에는, 쌍안경으로 기능하는 한쌍의 관찰 광학계가 제공될 수 있고, 관찰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가 한쌍의 렌즈경통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2개의 케이싱 부분은 또한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안폭조정을 위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2개의 케이싱 부분은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광축이 소정의 평면내에서 이동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가능하여,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안폭이 조정될 수 있다.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각각은 대물 광학계, 정립 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고, 대물 광학계만이 렌즈경통내에 수납되고, 정립 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는 초점맞춤운동을 위해 대물 광학계에 대해 전후로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 부분들 중 하나에는 초점맞춤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초점맞춤 기구와 초점맞춤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로터리 휠이 제공되고, 배선 케이블은 나머지 다른 케이싱 부분내에 수납된 렌즈경통 둘레에 감겨진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리 휠은 촬영 광학계가 내부에 장착된 로터리 휠 실린더의 외면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이다. 선택적으로, 배터리가 케이싱 부분들 중 하나의 외측부에 수용되고, 전원 회 로기판이 나머지 다른 케이싱 부분의 외측부에 수납되고, 배선 케이블은 배터리와 전원 회로기판을 접속하는 전원 케이블이 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선 케이블은 렌즈경통의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지는 루프 부분을 가지고 있고, 배선 케이블의 운동이 루프 부분의 직경 변화에 의해 흡수된다. 루프 부분은 루프 부분의 직경이 최대치에 도달하도록 케이싱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위치되었을 때 케이싱의 내벽과 접촉함이 없이 루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적용된 광학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 광학장치는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쌍안경은 직사각형을 가지는 케이싱(1O)을 가지고 있고, 케이싱 본체 부분(10A)과 가동 케이싱 부분(1OB)을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가 케이싱(10)내에 제공된다. 관찰 광학계(12R, 12L)는 대칭구조를 가지고, 우측 관찰 광학계 및 좌측 관찰 광학계용으로서 사용된다. 우측 관찰 광학계(12R)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내에 장착되고, 대물 렌즈계(13R), 정립 프리즘계(14R) 및 접안 렌즈계(15R)를 포함하고 있다. 관찰창(16R)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전방벽내에 형성되고, 대물 렌즈계(13R)와 정렬된다. 좌측 관찰 광학계(12L)는 가동 케이싱 부분(10B)내에 장착되고, 대물 렌즈계(13L), 정립 프리즘계(14L) 및 접안 렌즈계(15L)를 포함하고 있다. 관찰창(16L)이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전방벽내에 형성되고, 대물 렌즈계(13L)와 정렬된다.
설명의 편의상, 이하의 기재에서는, 전방 및 후방은 한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에 대하여 대물렌즈계측 및 접안렌즈계측으로서 정의되고, 또 우측 및 좌측은 접안렌즈계를 향했을 때 우측 및 좌측으로서 정의된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케이싱 본체 부분(10A)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즉, 가동 케이싱 부분(10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수납 위치와,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수납 위치로부터 인출된 상태인 최대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적합한 마찰력이 케이싱 부분(10A, 10B) 양자 상의 미끄럼면상에 작용하여, 일정한 인출력 또는 압입력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신축될 수 있기 전에 가동 케이싱 부분(10B)상에 가해져야만 한다. 따라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은, 케이싱 부분(10A, 10B) 양자의 미끄럼면상에 작용하는 적당한 마찰력으로 인해, 완전 수납 위치(도 1 및 도 2)와 최대 인출 위치(도 3 및 도 4) 사이의 임의의 광학적 위치에서 유지되거나 정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와 도 3 및 도 4의 비교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으로부터 인출될 때, 좌측 관찰 광학계(12L)는 가동 케이싱 부분(10B)과 함께 이동하지만, 우측 관찰 광학계(10R)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내에 유지된다. 따라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을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임의의 인출 위치에 위치결정하는 것에 의해, 접안 렌즈계(15R, 15L)의 광축간 거리 즉 안폭이 조절된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수납 위치에 설정된 때, 관찰 광학계(12R, 12L) 사이의 거리는 최소치가 되고(도 1 및 도 2),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최대 인출 위치에 설정된 때, 관찰 광학계(12R, 12L) 사이의 거리는 최대치가 된다(도 3 및 도 4).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대물 렌즈계(13R)는 렌즈경통(17R)내에 수용되고, 이 렌즈경통(17R)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고정 위치에 장착되고, 정립 프리즘계(14R) 및 접안 렌즈계(15R)는 대물 렌즈계(13R)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우측 관찰 광학계(12R)가 초점맞춤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대물 렌즈계(13L)는 렌즈경통(17L)내에 수용되고, 이 렌즈경통(17L)은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대해 고정 위치에 장착되고, 정립 프리즘계(14L) 및 접안 렌즈계(15L)는 대물 렌즈계(13L)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좌측 관찰 광학계(12L)가 초점맞춤될 수 있다.
렌즈경통(17R)은 대물 렌즈계(13R)가 수용되는 원통부(18R)와, 원통부(18R)의 하측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부착대(19R)를 가지고 있다. 부착대(19R)는 원통부(18R)로부터 케이싱(10)의 중앙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부착부(19R')와, 원통부(18R)로부터 케이싱(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 부착부(19R")를 가지고 있다. 내측 부착부(19R')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진 측방 블록부이고, 외측 부착부(19R")는 평탄한 부분이다.
마찬가지로, 렌즈경통(17L)은 대물 렌즈계(13L)가 수용되는 원통부(18L)와, 원통부(18L)의 하측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부착대(19L)를 가지고 있다. 부착대(19L)는 원통부(18L)로부터 케이싱(10)의 중앙측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 부착부(19L')와, 원통부(18L)로부터 케이싱(1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 부착부(19L")를 가지고 있다. 내측 부착부(19L')는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지는 측방 블록부이고, 외측 부착부(19L")는 평탄한 부분이다.
상술한 안폭조절 동작 및 초점맞춤 동작을 행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지지판 조립체(20)가 케이싱(10)의 바닥부상에 제공된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지지판 조립체(20)는 도면의 간단함을 위해 생략되어 있다.
지지판 조립체(20)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고정된 직사각형판(20A)과, 이 직사각형판(20A)상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대해 고정된 슬라이드판(20B)으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판(20B)은 직사각형판(20A)과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부(22)와, 이 직사각형부(22)로부터 우측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연장된 연장부(24)를 가지고 있다. 렌즈경통(17R)의 부착대(19R)는 직사각형판(20A)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고, 렌즈경통(17L)의 부착대(19L)는 슬라이드판(20B)의 직사각형부(22)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도 5에서는, 렌즈경통(17R)의 부착대(19R)의 고정 위치가 2점쇄선(25R)으로 에워싸여진 영역으로서 표시되고, 렌즈경통(17L)의 부착대(19L)의 고정 위치가 2점쇄선(25L)으로 에워싸여진 영역으로서 표시되어 있다.
한쌍의 안내 슬롯(26)이 슬라이드판(20B)의 직사각형부(22)내에 형성되고, 또다른 안내 슬롯(27)이 연장부(24)내에 형성된다. 안내 슬롯(26)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안내핀(26')과, 안내 슬롯(27)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결합된 안내핀(27')이 고정판(20A)상에 고정된다. 안내 슬롯(26, 27)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좌우방향으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된다. 각각의 안내 슬롯(26, 27)의 길이는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이동거리, 즉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수납 위치(도 1 및 도 2)와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최대 인출 위치(도 3 및 도 4)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도 2 및 도 4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지지판 조립체(20)는 케이싱(10)내에 위치되고, 케이싱(10)의 바닥부로부터 떨어져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고 있다. 직사각형판(20A)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고정되고, 슬라이드판(20B)은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고정된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에 대해 슬라이드판(20B)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직사각형부(22)의 좌변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플랜지(28)가 제공되어, 가동 케이싱 부분(10B)내에 형성된 칸막이(29)상에 고정된다.
도 6 및 도 7은 우측 마운트판(30R)과 좌측 마운트판(30L)을 도시하고 있다. 우측 마운트판(30R)은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정립 프리즘계(14R)를 탑재하기 위해 제공되고, 좌측 마운트판(30L)은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정립 프리즘계(14L)를 장착하기 위해 제공된다. 직립판(32R, 32L)이 우측 마운트판(30R) 및 좌측 마운트판(30L)의 후방측 외주를 따라 제공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접안 렌즈계(15R)가 우측 직립판(32R)에 부착되고, 좌측 접안 렌즈계(15L)가 좌측 직립판(32L)에 부착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마운트판(30R)에는 그 우측 에지 근처의 바닥면에 고정된 안내 슈(34R)가 제공된다. 이 안내 슈(34R)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판(20A)의 우측 에지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홈(36R)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마운트판(30L)에는 그 좌측 에지 근처의 바닥면에 고정된 안내 슈(34L)가 제공된다. 이 안내 슈(34L)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판(20B)의 우측 에지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홈(36L)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기 때문에, 지지판 조립체(20)는 도 7에는 도시되지 않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명의 편의상, 도 7에는, 지지판 조립체(20)가 도 5의 VII-VII 선을 따르는 단면으로서 도시되고, 안내 슈(34R, 34L)가 단면으로서 도시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마운트판(30R)은 좌측 에지를 따라 제공된 측벽(38R)을 가지고 있고, 이 측벽(38R)의 하부는 안내 로드(42R)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납하기 위한 관통 보어를 가진 확대부(40R)로서 형성된다. 안내 로드(42R)의 전방 단부는 부착대(19R)의 내측 부착부(19R')내에 형성된 구멍(43R)에 삽입되어, 그것에 고정된다. 안내 로드(42R)의 후방 단부는 직사각형판(20A)의 후방 에지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직립 지지편(44R)내에 형성된 구멍(45R)내에 삽입되어, 그것에 고정된다(도 5). 도 5에서는, 직립 지지편(44R)은 구멍(45R)이 보이도록 단면으로 도시되고, 도 1 및 도 3에서는, 안내 로드(42R)의 후방 단부는 직립 지지편(44R)의 구멍(45R)내에 삽입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마운트판(30L)은 우측 에지를 따라 제공된 측벽(38L)을 가지고 있고, 이 측벽(38L)의 하부는 안내 로드(42L)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관통보어를 가진 확대부(40L)로서 형성된다. 안내 로드(42L)의 전방 단부는 부착대(19L)의 내측 부착부(l9L')내에 형성된 구멍(43L)에 삽입되어, 그것에 고정된다. 안내 로드(42L)의 후방 단부는 슬라이드판(20B)의 후방 에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직립 지지편(44L)내에 형성된 구멍(45L)내에 삽입되어, 그것에 고정된다. 직립 지지편(44R)과 마찬가지로, 도 5에서는, 직립 지지편(44L)은 구멍(45L)이 보이도록 횡단면으로 도시되고, 도 1 및 도 3에서는, 안내 로드(42L)의 후방 단부는 직립 지지편(44L)의 구멍(45L)에 삽입된다.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대물 렌즈계(13R)는 우측 마운트판(30R)의 전방의 정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우측 마운트판(30R)이 안내 로드(42R)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때, 대물 렌즈계(13R)와 정립 프리즘계(14R)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우측 관찰 광학계(12R)의 초점맞춤 동작이 행해진다. 마찬가지로,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대물 렌즈계(13L)는 좌측 마운트판(30L)의 전방의 정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좌측 마운트판(30L)을 안내 로드(42L)를 따라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대물 렌즈계(13L)와 정립 프리즘계(14L)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어, 좌측 관찰 광학계(12L)의 초점맞춤 동작이 행해진다.
우측 마운트판(30R)과 좌측 마운트판(30L) 사이의 거리가 변경가능하도록, 우측 마운트판(30R) 및 좌측 마운트판(30L)을 안내 로드(42R, 42L)를 따라 동시에 이동시키 위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마운트판(30R) 및 좌측 마운트판(30L)은 신축가능한 연결수단(4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연결수단(46)은, 우측 마운트판(30R)의 측벽(40R)의 확대부(42R)의 전방 단부에서 좌측으로 연장된 횡단면 직사각형의 판형부재(46A)와, 이 판형부재(46A)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포크형 부재(46B)를 포함하고 있다. 판형부재(46A)는 그것의 전방 단부에서 측벽(38R)의 확대부(40R)의 바닥부에 고정부착되고, 포크형 부재(46B)는 그것의 전방 단부에서 측벽(38L)의 확대부(40L)의 바닥부에 고정부착된다. 판형부재(46A) 및 포크형 부재(46B)는 모두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수납 위치(도 1 및 도 2)와 최대 인출 위치(도 3 및 도 4) 사이의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이동거리보다 큰 길이를 가지고 있다. 즉,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수납 위치로부터 최대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어도, 미끄럼운동가능한 맞물림은 부재(46A, 46B) 사이에서 유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VIII-VIII 선을 따르는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4 및 도 8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내부 프레임(48)이 케이싱(10)내에 수용되어, 케이싱 본체 부분(10A)과 직사각형판(20A)에 대하여 고정된다. 내부 프레임(48)은 중앙 부분(48C)과, 이 중앙 부분(48C)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연장된 우측 날개모양 부분(48R)과, 이 우측 날개모양 부분(48R)의 오른쪽 외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벽(48S)과, 중앙 부분(48C)으로부터 왼쪽으로 연장되는 좌측 날개모양 부분(48L)을 가지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50)가 중앙 부분(48C)의 전방 단부에 형성되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전방벽에 형성된 원형창(51)과 정렬된다. 오목부(52)가 중앙 부분(48C)의 후방 부분에 형성되고, 직사각형 개구부(54)가 이 오목부(52)의 바닥부에 형성된다.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정상부벽에는 오목부(52)를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제공되고, 이 개구부는 개구부로터 제거될 수 있는 덮개판(55)에 의해 폐쇄된다.
관형 조립체(56)가 폐쇄판(55)이 제거되어 있는 동안에 오목부(52)내에 조립된다. 관형 조립체(56)는 로터리 휠 실린더(57)와, 로터리 휠 실린더(57)내에 동심적으로 배치된 렌즈경통(58)을 가지고 있다. 로터리 휠 실린더(57)는 오목부(52)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렌즈경통(58)은 그 중심축선을 따라 이동될 수 있지만, 렌즈경통(58)은 중심축선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관형 조립체(56)를 조립한 후, 덮개판(55)은 오목부(52)를 덮도록 고정된다. 로터리 휠(60)이 로터리 휠 실린더(57)상에 제공된다. 이 로터리 휠(60)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외면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를 가지고 있고, 로터리 휠(60)은 덮개판(55)에 형성된 개구부(62)를 통하여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정상부벽 외부로 노출된다.
헬리코이드(64)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외면상에 형성되고, 환형 부재(66)가 헬리코이드(64)상에 나사고정된다. 즉,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헬리코이드(64)에 맞물림되는 복수의 돌기요소가 환형 부재(66)의 내벽상에 형성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평탄면이 환형 부재(66)의 외주면상에 형성되어, 덮개판(55)의 내벽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맞물린다. 즉, 로터리 휠 실린더(57)가 회전될 때, 환형 부재(66)는 평탄면과 덮개판(55)의 내벽과의 맞물림으로 인해 회전되 지 않고, 비회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로터리 휠 실린더(57)가 회전될 때, 환형 부재(66)는 헬리코이드(64)와의 나사접촉으로 인해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중심축선을 따라 이동되고, 그 이동 방향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회전방향에 의존한다.
텅(67)이 환형 부재(66)로부터 돌출되어, 환형 부재(66)의 평탄면의 대향측에 위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67)은 중앙 부분(48C)의 직사각형 개구부(54)로부터 돌출되어, 로드 부재(46A)내에 형성된 구멍(47)내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로터리 휠(60)의 노출부에 접촉함으로써 로터리 휠 실린더(57)를 회전시키면, 환형 부재(6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중심축선을 따라 이동되어, 마운트판(30R, 30L)이 관찰 광학계(12R, 12L)의 광축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로터리 휠(60)의 회전운동이 정립 프리즘계(14R, 14L)와 접안 렌즈계(15R, l5L)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관찰 광학계(12R, 12L)는 초점맞춤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는, 예를 들면, 정립 프리즘계(14R, 14L)와 접안 렌즈계(15R, 15L)로부터 각각의 대물 렌즈계(13R, 13L)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을 때, 한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는 쌍안경 앞 40 미터와 무한대 사이의 거리에 위치된 대상물에 대해 초점맞춤하도록 설계되고, 쌍안경 앞 2 미터와 40 미터 사이의 대상물을 관찰할 때, 정립 프리즘계와 접안 렌즈계는 대상물을 초점맞춤하기 위해 대물 렌즈계에서 떨어뜨려진다. 즉, 정립 프리즘계가 대물 렌즈계에서 최대 거리만큼 떨어질 때, 한쌍의 관찰 광학계는 쌍안경 앞 2 미터 거리에 위치된 대상물에 관하여 초점맞춤한다.
촬영 광학계(68)가 로터리 휠 실린더(57)내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렌즈경통(58)내에 제공된다. 촬영 광학계(68)는 제1 렌즈군(68A)과 제2 렌즈군(68B)을 가지고 있다. 회로기판(70)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후방 단부벽의 내면상에 부착된다. CCD(72)와 같은 고체 촬상소자가 회로기판(70)상에 장착되고, CCD(72)의 수광면이 촬영 광학계(68)와 정렬된다. 개구부가 내부 프레임(48)의 중앙 부분(48C)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어,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을 따라 정렬된다. 광학적 저역 필터(74)가 개구부내에 끼워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쌍안경은 디지털 카메라와 동일한 촬영기능을 가져, 촬영 광학계(68)에 의해 얻어지는 대물상은 CCD(72)의 수광면상에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은 참조부호 OS로 표시되고,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12L)의 광축들은 참조부호 0R 및 OL로 표시된다. 광축(OR, OL)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촬영 광학계(68)의 광축(0S)과 평행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OR, OL)은 촬영 광학계(68)의 광축(OS)에 평행한 평면(P)을 한정한다. 우측 및 좌측 관찰 광학계(12R, 12L)는 그 평면(P)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어, 광축(OR, OL)간 거리 즉 안폭이 조절될 수 있다.
촬영 광학계(68)가 쌍안경 앞 소정의 거리에 위치된 가까운 피사체와 무한대의 피사체를 포함하는 피사체에 대해 초점맞춤하는 팬 포커스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촬영 작업이 팬 포커스로만 수행되는 경우에는, 초점맞춤 기구가 렌즈경통(58)내에 장착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쌍안경에 통상의 디지털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쌍안경 앞 2 미터보다 가까이 위치된 가까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 렌즈경통(58)에 초점맞춤 기구가 제공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암나사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내벽에 형성되고,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암나사와 체결되는 수나사가 렌즈경통(58)의 외벽에 형성된다. 렌즈경통(58)의 전방 단부는 보어(50)내에 삽입되고, 전방 단부의 바닥부에는 키 홈(76)이 형성되고, 키 홈(76)은 렌즈경통(58)의 전방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구멍이 내부 프레임(48)의 전방 단부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핀 요소(78)가 키 홈(76)과 맞물리도록 구멍에 끼워설치된다. 따라서, 키 홈(76)과 핀 요소(78)의 맞물림에 의해, 렌즈경통(58)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러므로, 로터리 휠 실린더(57)가 로터리 휠(60)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때, 렌즈경통(58)은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내벽상에 형성된 암나사와 렌즈경통(58)의 외벽상에 형성된 수나사는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회전운동을 렌즈경통(58)의 직선운동 즉 렌즈경통(58)의 초점맞춤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기구를 형성한다.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외벽상에 형성된 헬리코이드(64)와 로터리 휠 실린더(57)의 내벽상에 형성된 암나사는 서로 역방향으로 되어, 정립 프리즘계(14R, 14L)와 접안 렌즈계(15R, 15L)가 대물 렌즈계(13R, l3L)로부터 떨어지도록 로터리 휠 실린더(57)가 회전될 때, 렌즈경통(58)은 CCD(72)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된다. 이로 인해, 가까운 피사체의 상이 CCD(72)의 수광면상에 초점맞춤될 수 있다. 헬리코이드(64)의 피치와 내벽의 암나사의 피치는 한쌍의 관찰 광학계(12R, 12L)의 광학 특성 및 촬영 광학계(68)의 광학 특성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회로기판(80)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우측 단부내에 제공된다. 변압기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이 전원 회로기판(80)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전원 회로기판(80)의 중량은 비교적 높다. 도 2,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제어 회로기판(82)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바닥부와 지지판 조립체(20) 사이에 제공되어, 바닥부상에 고정된다. 마이크로 컴퓨터 및 메모리와 같은 전자부품이 주 제어 회로기판(82)상에 장착되고, 회로기판(70) 및 전원 회로기판(80)은 평탄한 가요성 배선 코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주 제어 회로기판(82)에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CD 표시기(84)가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정상부벽의 상부면상에 배치된다. 이 LCD 표시기(84)는 평탄한 직사각형 판형상을 가지고 있다. LCD 표시기(84)는 대향측에 위치된 전방 측변과 후방 측변이 촬영 광학계(68)의 광축에 대해 직각이 되도록 배열되고, LCD 표시기(84)는 전방 측변을 따라 제공된 회전축(86)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LCD 표시기(84)는 통상은 도 8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접혀 있다. 즉 닫혀 있다. 이 상태에서, LCD 표시기(84)의 표시 화면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상부면에 대해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은 보여질 수 없다. 반대로, 촬영 작동이 CCD(72)를 사용하여 수행될 때는, LCD 표시기(84)는 접힘 위치에서 도 8에서 파선으로 도시된 표시 위치까지 회전되어 상승되어서, LCD 표시기(84)의 표시 화면이 접안 렌즈계(l5R, 15L) 측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좌측 단부는 칸막이(29)에 의해 구분되어, 배터리(92)가 수용되는 배터리실(88)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90)가 배터리실(88)의 바닥벽에 제공된다. 이 덮개(90)를 여는 것에 의해, 배터리(92)가 배터리실(88)내로 장착되거나 배터리실(88)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덮개(90)는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일부를 형성하여, 적당한 맞물림 기구에 의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 회로기판(80)의 중량은 비교적 크고, 마찬가지로 배터리(92)의 중량도 비교적 크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교적 큰 중량을 가진 2개의 구성요소가 케이싱(10)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의 중량 밸런스가 개선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94, 96)이 배터리실(88)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제공된다. 배터리(92)는 배터리실(88)내에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되고, 배터리실내에서 반대방향으로 향해져서 전극판(94, 96)과 접촉한다. 전극판(94)은 도체로 만들어져, 배터리들(92)중 하나의 양극과 배터리들(92)중 다른 하나의 음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배터리들(92)은 서로 직렬로 접속된다. 반대로, 전극판(96)은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도전성 부분(96A, 96B)을 구비한다. 도전성 부분(96A)은 상측의 배터리(92)의 음극에 접속되고, 도전성 부분(96B)은 하측의 배터리(92)의 양극에 접속된다.
배터리(92)에 의해 발생된 전원은 케이싱 본체 부분(10A)과 가동 케이싱 부분(10B) 사이에 연장된 배선 케이블(즉 전원 케이블; 98)을 통해 전원 회로기판(80)으로 공급된다. 즉, 배선 케이블(98)은 광축(OR, OL)에 수직인 안폭조정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98)은 2개의 리드선(98A, 98B)을 단으로 묶음으로써 형성되고, 피복된 전선이다. 리드선(98A, 98B)은 도전성 부분(96A, 96B)상에 납땜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케이블(98)은 칸막이(29)를 관통하여, 칸막이(29)를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된다. 전원 케이블(98)은 우측으로 향해져서 대물 렌즈계(13L)의 렌즈경통(17L)에 느슨하게 감겨진다. 전원 케이블(98)은 내부 프레임(48)의 중앙 부분(48C)과 대물 렌즈(13R)의 렌즈경통(17R)의 아래를 통과하여, 전원 회로기판(80)상에 제공된 커넥터(100)에 접속된다. 전원 회로기판(80)이 배터리(92)로부터 급전을 받으면, 소정의 전압을 가진 전원이 전원 회로기판(80)에 의해 CCD(72)상에 장착된 마이크로 컴퓨터 및 메모리와 같은 각각의 전자부품에 공급된다.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안폭조정을 위해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 전원 케이블(98)은 상대적 이동을 보증하기 위해 충분히 길어야 한다. 그러므로, 전원 케이블(98)은 렌즈경통(17L)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져 루프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와 도 3 및 도 4 사이의 비교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해 수납 위치에 설정되어 있을 때(도 1 및 도 2), 전원 케이블(98)은 렌즈경통(17L)의 둘레에 충분한 느슨함을 가지고 감겨진다. 렌즈경통(17L)의 둘레에 감겨진 전원 케이블(98)의 루프 부분의 치 수는 쌍안경내의 공간의 두께보다 약간 작다. 즉, 루프 부분은 케이싱(10)의 내벽과 접촉함이 없이 케이싱(10)내의 공간의 두께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가져, 루프 부분은 케이싱(10)의 내벽으로부터 외력을 받지 않는 동시에 거의 원형을 유지한다.
즉, 루프 부분은 그것의 직경이 최대가 되도록 케이싱 부분(10A, 10B)이 상대적으로 위치될 때 루프 형상을 유지한다. 따라서, 안폭을 조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전원 케이블(98)의 부분은 절곡되는 일 없이 루프형상으로 렌즈경통(17L)의 둘레에 축적 또는 유지된다.
전원 케이블(98)의 루프 부분은 루프의 직경을 항상 확장시키는 복원력을 받는다. 이 힘은 케이블(98)을 피복하는 비닐 피복재에 의해 야기되는 탄성력에 기인한다. 이로 인해, 루프 부분은,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수납 위치와 최대 인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루프 부분을 가압하거나 안내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를 제공함이 없이, 렌즈경통(17L)의 둘레에 항상 형성된다. 즉,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으로부터 최대 인출 위치까지 이동될 때(도 3 및 도 4), 루프 부분이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채로, 루프 부분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렌즈경통(17L)의 둘레에 조여진다. 역으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이 최대 인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로 이동될 때는, 루프 부분이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채로, 루프 부분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케이싱 본체 부분(10A)에 대한 가동 케이싱 부분(10B)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전원 케이블(98)의 운동은 렌즈경통(17L)의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진 부분에 의해 즉 루프 부분의 직경변화에 의해 흡수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98)은 크게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전원 케이블(98)의 운동은 루프 부분이 렌즈경통(17L) 둘레에 유지되도록 규제된다. 그러므로, 전원 케이블(98)은 주 회로기판(82)상에 장착된 전자부품과 케이싱(10)내에 수용된 각종 기구를 방해할 수 없다. 또한, 루프 부분은 거의 원형을 유지하기 때문에, 루프 부분은 가동 케이싱 부분(lOB)의 운동을 원활히 추종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회로기판(80)상에 외부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비디오 출력 단자(102)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 외부 커넥터가 비디오 출력 단자(102)에 접속되도록 구멍(104)이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전방 벽에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F 카드가 메모리 카드로서 탈착가능하게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CF 카드 홀더(lO6)가 케이싱 본체 부분(10A)의 바닥부상의 주 제어 회로기판(82)의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98)은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렌즈경통(17L) 둘레에 감겨져 있지만, 전원 케이블(98)은 좌측 렌즈경통(17L) 대신에 우측 렌즈경통(17R) 둘레에 감겨질 수 있다. 또한, 전원 케이블(98)은 렌즈경통(17R, 17L) 양자 모두의 둘레에 감겨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전원 케이블(98)의 느슨함의 양은 렌즈경통(17R, 17L) 양자에 나누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기능이 있는 쌍안경과 다른 광학장치, 예를 들면 케이싱의 일부가 이동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케이싱 본체 부분과 가동 케이싱 부분 사이에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과 같 은 배선 케이블은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 광학계의 렌즈경통 둘레에 감겨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과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학장치에 있어서는,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케이싱 부분 사이에 연장되는 전원 케이블 등의 배선 케이블은 렌즈경통에 느슨하게 감겨지고, 이것에 의해 2개의 케이싱 부분의 상대적 이동시에 수반하는 배선 케이블의 운동이 렌즈경통 둘레의 배선 케이블의 느슨하게 감겨진 부분에 의해 흡수되어 규제되므로, 배선 케이블의 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가적인 규제수단이 필요치 않게 된다. 다시 말해, 배선 케이블의 운동을 규제하기 위한 부가적인 비용은 필요치 않게 된다.

Claims (10)

  1. 광학계를 유지하는 렌즈경통;
    내부에 상기 렌즈경통이 수용되고,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2개의 케이싱 부분을 가지고 있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 부분들 사이에 연장되는 배선 케이블로서, 상기 배선 케이블이 상기 렌즈경통의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져, 상기 케이싱 부분들의 상대적 이동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배선 케이블의 운동이 상기 렌즈경통 둘레의 상기 배선 케이블의 느슨하게 감겨진 부분에 의해 흡수되도록 되어 있는, 배선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렌즈경통이 상기 케이싱 부분들내에 수납되고, 상기 배선 케이블이 상기 한쌍의 렌즈경통중 하나의 둘레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쌍안경으로서 기능하는 한쌍의 관찰 광학계가 제공되고, 상기 관찰 광학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한쌍의 렌즈경통에 의해 유지되고, 상기 2개의 케이싱 부분이 상기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안폭을 조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싱 부분은 상기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광축이 소정의 평면내에서 이동하도록 상대적으로 직선운동되어,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안폭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관찰 광학계의 각각이 대물 광학계, 정립 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대물 광학계만이 상기 렌즈경통내에 수납되고, 상기 정립 광학계 및 접안 광학계가 초점맞춤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대물 광학계에 대해 전후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부분들 중 하나에 초점맞춤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초점맞춤 기구와, 상기 초점맞춤 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로터리 휠이 제공되고, 상기 배선 케이블이 상기 케이싱 부분들 중 다른 하나에 수납된 상기 렌즈경통 둘레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휠은 촬영 광학계가 내부에 장착되는 로터리 휠 실린더의 외면상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가 상기 케이싱 부분들 중 하나의 외측부에 수용되고, 전원 회로기판이 상기 케이싱 부분들 중 다른 하나의 외측부에 수용되고, 상기 배선 케이블이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원 회로기판을 접속하는 전원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케이블이 상기 렌즈경통 둘레에 느슨하게 감겨지는 루프 부분을 가지고, 상기 배선 케이블의 상기 운동이 상기 루프 부분의 직경변화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부분은 상기 루프 부분의 직경이 최대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위치될 때 케이싱의 내벽과 접촉함이 없이 루프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KR1020030020352A 2002-04-02 2003-04-01 광학장치 KR100565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00045A JP3843034B2 (ja) 2002-04-02 2002-04-02 光学装置
JPJP-P-2002-00100045 2002-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729A KR20030079729A (ko) 2003-10-10
KR100565859B1 true KR100565859B1 (ko) 2006-03-30

Family

ID=1919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352A KR100565859B1 (ko) 2002-04-02 2003-04-01 광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71434B2 (ko)
JP (1) JP3843034B2 (ko)
KR (1) KR100565859B1 (ko)
CN (1) CN1303473C (ko)
DE (1) DE10315085B4 (ko)
GB (1) GB2387918B (ko)
TW (1) TWI2242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481B2 (en) 2006-02-14 2008-12-16 Mccabe Timothy Lee Binocular with disparate fields of view
AT522470B1 (de) 2019-07-19 2020-11-15 Swarovski Optik Kg Fernoptisches Gerät mit Bilderfassungskanal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7027A (en) 1976-08-31 1978-01-03 Asia American Industries Ltd. Binocular telescope containing a camera
USD259569S (en) 1978-05-30 1981-06-16 J. Gerber and Co., (Japan) Ltd. Combined camera and binoculars
USD262632S (en) 1979-02-27 1982-01-12 Ajia Amerikan Boueki Kabushiki Kaisha Combined binoculars and detachable camera
USD265479S (en) 1979-05-23 1982-07-20 Ajia Amerikan Boueki Kabushiki Kaisha Combined binocular and detachable camera
DE3943675C2 (de) * 1988-06-01 1994-11-03 Asahi Optical Co Ltd Nockenanordnung für ein Varioobjektiv
DE4244161A1 (en) 1991-12-26 1993-07-01 Asahi Optical Co Ltd Automatic focus field glasses - have lens which can be moved in direction of optical axis for sharp adjustment and lenses movable along optical axis for varying refractory force
JPH0730546B2 (ja) 1992-06-17 1995-04-05 株式会社タイヨー パイル内セメント抜取用具
JP3563773B2 (ja) 1993-06-03 2004-09-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双眼鏡
JP3653773B2 (ja) * 1995-02-24 2005-06-02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
JP3344193B2 (ja) * 1996-01-31 2002-11-11 ミノルタ株式会社 多段繰り出し鏡胴
US5963369A (en) 1996-06-03 1999-10-05 Steinthal; Gregory Digital solid-state binoculars
US6088053A (en) 1996-07-15 2000-07-11 Hammack; Jack C. Digital record and replay binoculars
US5930035A (en) 1996-08-20 1999-07-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Binocular with a movable unit including an erecting system and an eyepiece system
JPH1164743A (ja) 1997-08-18 1999-03-05 Asahi Optical Co Ltd デジタルカメラ付き双眼鏡
JP3511898B2 (ja) * 1998-06-15 2004-03-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およびレンズ鏡筒
JP2000028897A (ja) 1998-07-10 2000-01-28 Minolta Co Ltd ズームレンズ鏡胴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ES2317682T3 (es) * 1998-09-04 2009-04-16 Videotec S.P.A. Un dispositivo de exploracion y limpieza para una caja a prueba de explosion para aparato de monitorizacion, en particular para una camara de television de vigilancia en un entorno explosivo.
JP2000267148A (ja) * 1999-03-17 2000-09-29 Canon Inc 可動レンズ保持装置、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2001169156A (ja) * 1999-12-09 2001-06-22 Aiwa Co Ltd 撮影装置
WO2001052531A1 (en) 2000-01-07 2001-07-19 Hammack Jack C Digital record and replay binoculars
JP4612755B2 (ja) * 2000-02-21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機器
JP2001281555A (ja) 2000-03-31 2001-10-10 Nikon Corp 撮像機能付き双眼鏡
TW594046B (en) * 2001-09-28 2004-06-21 Pentax Corp Optical viewer instrument with photographing function
JP2003172868A (ja) * 2001-09-28 2003-06-20 Pentax Corp 自動合焦機構を備えた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JP2003107369A (ja) * 2001-09-28 2003-04-09 Pentax Corp 撮影機能付双眼鏡
JP3887242B2 (ja) * 2001-09-28 2007-02-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US6754010B2 (en) * 2001-11-01 2004-06-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ta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program
JP2003233014A (ja) * 2002-02-12 2003-08-22 Pentax Corp 双眼鏡
TWI249621B (en) * 2002-02-12 2006-02-21 Pentax Corp Structure for assembly of binocular telescope with photographing function
JP2003241112A (ja) * 2002-02-14 2003-08-27 Pentax Corp 撮影機能付双眼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71434B2 (en) 2004-08-03
TWI224204B (en) 2004-11-21
DE10315085B4 (de) 2010-07-08
US20030184879A1 (en) 2003-10-02
GB0307639D0 (en) 2003-05-07
DE10315085A1 (de) 2003-10-16
CN1448780A (zh) 2003-10-15
TW200402543A (en) 2004-02-16
JP3843034B2 (ja) 2006-11-08
JP2003295067A (ja) 2003-10-15
GB2387918A (en) 2003-10-29
KR20030079729A (ko) 2003-10-10
CN1303473C (zh) 2007-03-07
GB2387918B (en)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108B1 (ko)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
JP3887242B2 (ja)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KR20030027853A (ko) 촬영기능을 가진 관찰광학장치
KR100565859B1 (ko) 광학장치
KR100517712B1 (ko) 광학 유닛용 광학적 위치결정 조정장치
JP2004138954A (ja) 携帯電子機器
KR20030084695A (ko) 휴대 기기
KR100795448B1 (ko) 광학 장치
KR100817194B1 (ko) 촬영기능을 가진 쌍안경
GB2387919A (en) Reflective mechanism for a stage lamp
JP4181368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GB2393265A (en) Observation optical device with camera and reticle
JP2004139937A (ja) 画像表示機能付き携帯機器
JP3998961B2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107368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302581A (ja) 電子光学装置
KR20030079765A (ko) 휴대형 광학 장치
JP2003241110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241111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172884A (ja) 撮影機能付双眼鏡
JP2003172883A (ja) 撮影機能付観察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