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653B1 - 도어 클로징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53653B1 KR100553653B1 KR1020040013443A KR20040013443A KR100553653B1 KR 100553653 B1 KR100553653 B1 KR 100553653B1 KR 1020040013443 A KR1020040013443 A KR 1020040013443A KR 20040013443 A KR20040013443 A KR 20040013443A KR 100553653 B1 KR100553653 B1 KR 1005536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tch
- posture
- lever
- motor
- fu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05B53/008—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by planetary gea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36—Noise prevention; Anti-rattling me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44—Multiple head
- Y10T292/1045—Operating means
- Y10T292/1047—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스트라이커를 풀래치 자세로 끌어들이는 것을 완료하고, 도어의 전폐(全閉) 상태가 확보되어 있는 상태에서 불필요한 모터의 소음 등을 감소시킨다.
래치, 래치 레버, 폴(pawl)을 구비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래치 레버의 자세를 변경시켜서 하프래치(half-latch) 자세로부터 풀래치(full-latch) 자세로 전환시키는 도어 클로징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도어핸들의 오프닝 조작에 의해 폴에 의한 래치의 풀래치 자세 유지를 해제시킴과 동시에 모터와 래치 레버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취소 기구를 구비하고, 풀래치 동작의 완료 후에 다음의 도어핸들 클로징 조작이 실행될 때까지 래치 레버를 그 대기 자세와 동작 최종 자세의 중간 자세로 유지시킨다.
도어 클로징 장치, 래치, 스트라이커, 도어핸들, 모터
Description
도 1은 본원의 도어 클로징 장치를 장비한 차량의 주요부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도어 클로징 장치를 장비한 차량의 주요부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스트라이커 맞물림 전의 도어 클로징 장치의 주요부 자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래치 기구 본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어 하프래치 자세에 있는 도어 클로징 장치의 주요부 자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래치 레버가 동작 최종 자세에 도달한 상태에 있는 도어 클로징 장치의 주요부 자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풀래치 자세에 있는 도어 클로징 장치의 주요부 자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해제동작 개시 시의 도어 클로징 장치의 주요부 자세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출력 상태에 있는 모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출력 상태에 있는 유성기어 기구 및 연결 차단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비출력 상태에 있는 모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비출력 상태에 있는 유성기어 기구 및 연결 차단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도어 클로징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도어 클로징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를 소위, 반폐(半閉) 상태로부터 전폐(全閉) 상태로 하는 도어 클로징 장치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이 종류의 도어 클로징 장치는 상대측에 있는 스트라이커를 그 하프래치(half-latch) 대응 위치로부터 풀래치(full-latch) 대응 위치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이 종류의 도어 클로징 장치는 스트라이커에 대한 래치, 이 래치를 자세변경하기 위한 래치 레버(또는 클로징 레버), 래치를 그 풀래치 자세로 자세 유지하는 폴(pawl)을 기본요소로서 포함한다.
그 동작의 개략을 도 5,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도 7에 나타내는 스트라이커(2)의 클로징 장치에 대한 위치가 풀래치 대응 위치이며, 도 5에 나타내는 위치가 하프래치 대응 위치이다.
스트라이커(2)는 도어의 수동조작 등에 의하여, 그 하프래치 대응 위치까지 이동하여 오는 동시에 도어 클로징 장치(1)가 작용함으로써 그 풀래치 대응 위치로 보내져, 그 위치에서 위치된다. 이 목적으로부터, 스트라이커(2)에 대한 래치(101)의 대응 개소는 독특한 U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래치(101)는 상기 스트라이커(2)의 하프래치 대응 위치 및 풀래치 대응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하프래치 자세, 풀래치 자세로 자세가 설정된다. 래치(101)의 풀래치 자세는 폴(103)에 의해 그 자세가 유지된다.
상기 래치(101)에 대하여, 그 자세를 상기 하프래치 자세로부터 풀래치 자세로 자세를 변경하기 위해 래치 레버(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치 레버는 래치를 하프래치 자세로부터 풀래치 자세로 자세를 변경시키는 경우에 작용하는 것이며, 이 자세변경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내는 대기 자세(원점 자세)로부터 동작 최종 자세로 자세를 변경한다. 도 6에는 래치 레버(102)가 동작 최종 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에는 래치 레버(102)가 약간 되돌아온 자세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래치 레버(102)가 동작 최종 자세에 있는 상태와 약간 되돌아온 상태에 있는 경우, 래치 자체의 자세는 크게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본원에서는 래치(101)의 자세를 모두, 풀래치 자세라고 부른다. 단, 전자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01)의 자세유지가 실질적으로 래치 레버(102)와의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데 대하여, 후자의 상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01)의 자세유지는 폴(103)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래치(101)의 역방향으로의 자세변경은 폴(103)에 의한 자세유지가 해제된 상태에서 래치(101)에 구비되는 스프링 등에 의한 편향 수단의 작용에 의해, 이 자세변경이 이루어진다.
종래, 래치 레버의 자세변경은 별도 설치되어 있는 모터의 회전에 의한 것이며, 예를 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가 정회전하여 래치 레버가 그 대기 자세로부터 동작 최종 자세로 자세가 변경되고, 역회전하여 동작 최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로 복귀한다. 따라서, 전자의 자세변경을 행하는 경우는 래치가 그 하프래치 자세에 있으면, 풀래치 자세로의 자세변경이 이루어지고, 스트라이커는 래치 기구 내부에 유지된다.
이상은 본원이 대상으로 하는 도어 클로징 장치의 기본적인 작용이지만, 전술한 래치 레버는 종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를 풀래치 자세로 자세 변경한 후, 즉시 대기 자세(원점 자세)에 복귀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즉, 도어가 하프래치 자세로부터 풀래치 자세로 된 경우, 도어의 전폐가 확보되어 있는 것과 관계없이 래치 레버를 대기 자세로 복귀시키기 때문에 모터가 동작하게 되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7-39784호 참조).
이 특허문헌에서는 래치를 그 대기 자세로부터 풀래치 자세로 자세를 변경하는 부재를 클로징 레버라 칭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의 래치 레버도, 클로징 측 동작에 관해서는 동일한 동작을 한다.
이러한 종류의 동작이 필요한 이유는 일본국 특공평7-39784호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의 부분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음의 개시 위치인 정지 위치에 오차가 생기기 쉽고, 이 정지 위치에 오차가 생기면, 다음의 작동 타이밍이 오차, 오작동이나 작동불량을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장치 전체가 대형화하기 쉽다는 이유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도어의 전폐 조작이 완료되고, 예를 들면, 승객이 차량 내 시트 상에 착석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어 클로징 장치에 구비되는 모터가 래치 레버를 그 대기 자세로 되돌릴 목적으로만 작용할 필요가 있고, 모터의 소음이 귀에 거슬리게 되었다.
그런데, 본원 출원인은 예를 들면, 본원이 대상으로 하는 도어 클로징 장치가 작용하여, 래치가 그 하프래치 자세로부터 풀래치 자세로 자세가 변경되어 있는 상태, 또는 래치가 걸려 있는 도어의 풀래치 자세에서 핸들 레버가 오프닝 조작된 경우에 모터로부터 래치 레버로의 구동 전달을 단절하여, 래치 레버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일본국 특개2002-250165호 참조).
이러한 종류의 기술도, 상기 과제의 해결에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도어 클로징 장치에 관해서, 스트라이커의 풀래치 대응 위치로의 끌어들이기가 완료되어, 도어의 전폐 상태가 확보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불필요한 모터의 소음 등의 발생이 적은 도어 클로징 장치를 얻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어 클로징 장치에서는, 도어를 반폐(半閉)한 상태에서의 하프래치(half-latch)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striker)를 유지시키는 하프래치 대응 자세와, 상기 도어를 전폐(全閉) 상태에서의 풀래치(full-latch)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를 유지시키는 풀래치 대응 자세로, 상기 스트라이커를 이동시키는 래치,
상기 래치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를 유지시키는 폴,
상기 래치와 결합 및 이탈가능한 래치 레버,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로부터 이탈시킨 대기 자세와,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와 결합시킨 동작 최종 자세로, 상기 래치 레버를 이동시키는 클로징 케이블,
상기 클로징 케이블을 동작시키는 모터,
상기 클로징 케이블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동작 최종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 레버에 의해 상기 래치의 자세를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하프 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 래치 대응 위치로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 및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래치를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쪽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폴을 상기 래치와 결합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의 상기 모터의 동작량은,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상기 모터의 동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를 유지시키는 폴,
상기 래치와 결합 및 이탈가능한 래치 레버,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로부터 이탈시킨 대기 자세와,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와 결합시킨 동작 최종 자세로, 상기 래치 레버를 이동시키는 클로징 케이블,
상기 클로징 케이블을 동작시키는 모터,
상기 클로징 케이블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동작 최종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 레버에 의해 상기 래치의 자세를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하프 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 래치 대응 위치로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 및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래치를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쪽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폴을 상기 래치와 결합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의 상기 모터의 동작량은,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상기 모터의 동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원의 도어 클로징 장치에서는, 래치 레버의 대기 자세로부터 동작 최종 자세까지의 동작이 구동원에 대한 제어 장치에 구비되는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실행되고, 스트라이커가 실질적으로 그 풀래치 대응 위치로 끌려들어와 클로징 동작을 완료한다.
이 동작의 완료 후, 마찬가지로 구동원에 대한 제2 제어수단에 의한 제어가 작용하지만, 그 동작량은 래치 레버가 제1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를 받는 동작량보다 작다. 극단적인 경우, 대부분 그 수단에 의한 복귀 제어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래치 레버는 그 대기 자세와 동작 최종 자세 사이의 위치에 멈추게 된다.
따라서, 본원이 문제로 하는 모터 등의 구동원의 작동 소음이 발생하는 시간을 짧게 하여, 본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래치 레버를 대기 자세로 복귀시키는 시점, 및 그 위치 결정이 문제가 되지만, 본원이 문제로 하는 동작 상황은 하프래치 자세로부터 풀래치 자세로의 움직임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정 시간의 경과 후, 또는 직후에 필요에 따라, 도어핸들이 오프닝 조작된다.
이 도어핸들의 조작에 따라, 본원 구성에서는 취소 기구를 구비하고, 이 기구가 폴 측의 맞물림 해제 조작(래치의 풀래치 자세 해제 조작)을 담당하고, 또한 구동원과 래치 레버의 구동 연결을 차단하기(해제하기) 때문에, 래치 레버는 그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대기 자세로 복귀할 수 있다. 또, 이 위치도 래치 기구 측 구성에 의해 확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면서, 작동 소음에 관한 문제를 일으키지도 않는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원의 도어 클로징 장치는 그 동작 상황으로부터 설명하면, 다음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도어 클로징 장치에서는, 도어를 반폐(半閉)한 상태에서의 하프래치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를 유지시키는 하프래치 대응 자세와, 상기 도어를 전폐(全閉)한 상태에서의 풀래치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를 유지시키는 풀래치 대응 자세로, 상기 스트라이커를 이동시키는 래치,
상기 래치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를 유지시키는 폴,
상기 래치와 결합 및 이탈가능한 래치 레버,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로부터 이탈시킨 대기 자세와,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와 결합시킨 동작 최종 자세로, 상기 래치 레버를 이동시키는 클로징 케이블,
상기 클로징 케이블을 동작시키는 모터,
상기 클로징 케이블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동작 최종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 레버에 의해 상기 래치의 자세를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하프 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 래치 대응 위치로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 및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래치를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쪽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폴을 상기 래치와 결합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하프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대기 자세와 상기 동작 최종 자세 사이에서 그 자세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래치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의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를 유지시키는 폴,
상기 래치와 결합 및 이탈가능한 래치 레버,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로부터 이탈시킨 대기 자세와,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래치와 결합시킨 동작 최종 자세로, 상기 래치 레버를 이동시키는 클로징 케이블,
상기 클로징 케이블을 동작시키는 모터,
상기 클로징 케이블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동작 최종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 레버에 의해 상기 래치의 자세를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를 상기 하프 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 래치 대응 위치로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 및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래치를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쪽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폴을 상기 래치와 결합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하프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래치 레버는 상기 대기 자세와 상기 동작 최종 자세 사이에서 그 자세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 자세가 유지되는 상황에서는 예기치 않게 폴 등이 분리된 경우에 래치 레버가 도어의 위치 유지의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풀래치 자세에 있어서 상기 래치와 맞물려 자세의 유지가 가능한 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제어수단에 의한 상기 구동원의 역방향 동작에 의해, 상기 래치와 상기 폴의 맞물림이 확보되는 동시에 상기 래치와 상기 래치 레버의 접촉이 단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래치가 풀래치 자세로 폴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스트라이커에 대하여 래치가 이탈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그 힘을 폴에서 받게 된다.
그 결과, 래치 레버, 또는 클로징 구동 측에 힘이 전파되지 않고, 클로징 구동 측 고장의 원인이 되는 일이 없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구동원과 상기 래치 레버의 사이에 구동 전달용 유성기어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취소 기구에 의한 연결 차단이 유성기어 기구를 이루는 한 가지 종류 이상의 기어로의 동력전달 허용 또는 금지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성기어 기구를 채용하는 것으로, 기구를 간단히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도어 클로징 장치(1)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어 클로징 장치를 구성하는 기기의 개요〕
도 1, 도 2,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의 도어 클로징 장치는 스트라이커(2)가 침입하여 래치(101)에 의해 위치가 유지되는 래치 기구 본체(100)와, 래치(101)의 자세를 변경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동용 모터 장치(200)와, 클로징 대상인 도어(4)에 구비되는 핸들(5)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래치 기구 본체(100) 및 상기 구동용 모터 장치(200)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전달 기구(30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도어 클로징 장치(1)에는 장치의 동작 상황을 감시하는 동시에 소정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모터 장치(200)에 대한 모터 M의 정회전, 역회전에 관한 동작명령을 내는 제어 장치로서의 컨트롤러 C를 구비하고 있다.
본원은 이 컨트롤러 C의 구성에 특징이 있으며,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컨트롤러 C의 주요한 동작은 별도로 입력되어 오는 클로징 명령에 따라서, 모터 M으로 소정 시간의 정회전 명령을 내고, 모터 M이 정회전함으로써, 래치(101)를 하프래치 자세로부터 풀래치 자세로 자세 변경시키는 것이다.
이 자세 변경 시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6,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하고, 핸들(5)의 조작에 따라 도어의 오프닝 조작이 실행되면,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도어의 클로징 조작은 최초 수동에 의해 실행되지만, 도 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하프래치 자세로의 이행 시는 원칙으로서 수동에 의한 조작이 되고, 도 5로부터 도 6에 나타내는 동작이 풀래치 자세로의 자동 클로징 조작이 된다. 또한, 본원 특유의 구성에 의해 도 6으로부터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 되고, 래치(101)의 자세 유지가 폴(103)에 의해 확보된다.
[각 구성 기기의 연계]
도 2, 도 5, 도 6,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기구 본체(100)는 스트라이커(2)의 침입에 따라, 이것을 래치(101)에 의해, 그 하프래치 대응 위치 또는 풀래치 대응 위치로 유지시킨다. 이 래치 기구 본체(100)에는 구동 연결 기구로서의 상기 모터 장치(200)로부터 클로징 케이블(301)을 통하여 래치 레버(102)의 자세 변경용 구동이 전달된다.
한편, 래치 기구 본체(100)로부터 모터 장치(200)에 취소 케이블(302)이 연장되어 있고, 래치 기구 본체(100)에 전달되어 오는 도어핸들(5)의 오프닝 조작을 수반한 클로징 동작의 중지, 오프닝 명령을 모터 장치 측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2, 도 3, 도 5, 도 6, 도 7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래치 기구 본체(100)에는 인사이드 도어핸들(5a) 또는 아웃사이드 도어핸들(5b) 중 어느 하나가 오프닝 조작된 경우에 이 조작 상태를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핸들조작 전달 기구(3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전달이 실행되면, 상기 래치(101)에 대하여 구비되는 폴(103)이 자세 유지를 해제시키는 자세로 되어, 래치(101)의 풀래치 자세에서의 자세 유지가 해제된다.
또한, 이 동작의 전달이 실행되면, 상기 취소 케이블(302)이 반응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취소 케이블(302)에 의해 모터 장치(200) 측으로, 그 장치에 구비되는 연결 차단 기구(201)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또 상세하게 각 기기의 구성을 설명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본원 발명에 관한 구성을 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대응하여 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스트라이커(2)가 하프래치 대응 위치에 있는 하프래치 자세와, 도 6, 도 7에 나타내는 스트라이커(2)가 풀래치 대응 위치에 있는 풀래치 자세에서의 각각의 기기의 상태를 대비하면서 설명한다.
〔래치 기구 본체〕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치 기구 본체(100)는 종래 형태의 래치 구조를 답습하는 것이며, 스트라이커(2)에 대한 래치(101), 래치(101)에 대한 래치 레버(102) 및 폴(103), 이 폴(103)에 대한 오픈 레버(1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도어의 하프래치 자세에서 스트라이커(2)는 그 하프래치 대응 위치에 있고, 이 스트라이커(2)를 끼움으로써 래치(101)의 자세가 결정되어 있다. 이 래치(101)의 자세가 하프래치 자세이다. 이 자세에서는 래치(101)에 구비 되는 래치발톱(101a)이 상방우측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되어 있고, 래치 레버(102)의 레버발톱(102a)은 그 회전에 의해 압동(押動)할 수 있는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한편, 폴(103)은 이 상태에 있어서, 래치(101)의 내측 맞물림부(101b)에 결합하는 자세에 있으며, 래치(101)의 반시계방향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다.
이 래치(101)의 회전각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101)의 뒤편에 동축으로 구비되는 래치각도 센서(101s)에 의해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래치 레버(102)는 이 레버의 상부 림(upper rim)에 감기는 클로징 케이블(301)이 래치 기구 본체의 가장 내측에 침입한 상태이어서, 상기 레버발톱(102a)이 도면상 우측으로 후퇴된 자세를 취한다. 이 자세가 래치 레버(102)의 대기 자세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의 풀래치 자세에서 스트라이커(2)는 그 풀래치 대응 위치에 있으며, 래치(101)의 자세가 풀래치 자세로 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자세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자세이다.
도 6에 나타내는 자세에서 래치(101)에 구비되는 래치발톱(101a)은 대략 상방을 향한 자세로 되어 있고, 래치 레버(102)의 레버발톱(102a)이 그 시계방향 주위의 회전에 의해 래치(101)의 회전 동작을 완료한 위치관계로 된다. 이 동작 최종 자세에서는 래치 레버(102)와 래치(101)의 접촉이 확보되어 있고, 폴(103)과 래치(101)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래치 레버(102)는 이 레버의 상부 림에 감기는 클로징 케이블(301)이 래치 기구 본체(100) 내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이고, 상기 레버발톱(102a)이 도면상 좌측으로 진출한 자세를 취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폴(103)은 래치(101)와 래치의 회전방향에서 외측맞물림부(101c)와 맞물리는 자세로 되어 있고, 래치(101)의 시계방향 회전을 저지하여, 그 풀래치 자세의 유지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폴(10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한, 래치(101)가 하프래치 자세 측으로 자세를 회복하지 않는다.
도 7에 나타내는 자세는 클로징 케이블(301)의 조작에 의해 래치 레버(102) 측이 약간 복귀하여, 래치(101)와 폴(103)의 접촉 맞물림이 일어나는 동작으로 실현된다.
오픈 레버(104)는 폴(103)에 관련하여 취소 케이블(302) 조작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7에서는, 폴(103)이 래치(101)의 외측 맞물림부(101c)에 결합하여, 그 시계방향 주위를 한정하고 있는 상태인 오픈 레버(104)의 풀래치 자세(도 5에 나타내는 하프래치 자세, 도 6에 나타내는 자세와 동일함)를, 도 8에서는 폴(103)의 맞물림을 해제한 상태인 오픈 레버(104)의 해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폴(103)의 맞물림을 분리하는 경우, 오픈 레버(104)는 상기 2개의 도면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소정량 회전한다.
도 6, 도 7,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오픈 레버(104)에의 조작 입력은 아웃사이드핸들(5b)로부터는 직접적으로, 인사이드핸들(5a)로부터는 간접적으로 핸 들조작 전달 기구(300)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이 된다.
도 3, 도 5, 도 6, 도 7과, 도 8의 비교에서 판명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핸들(5b)의 오프닝 조작은 오픈 레버(104)를 밀어 내리는(취소 케이블(302)을 인상함)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인사이드핸들(5a)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것이 조작됨으로써 오픈 레버(104)의 자세 변경을 일으켜, 취소 케이블(302)을 인상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조작에 의해, 결과적으로, 폴(103)의 래치(101) 외측 맞물림부(101c)에 대한 맞물림 이탈 조작이 실행된다.
그런데, 상기 래치(101)는 도 5에서 시계방향, 즉 풀래치 자세로부터 하프래치 자세의 방향으로 항상 편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폴(103)은 래치(101)와의 맞물림 방향인 도 5의 반시계방향으로, 그리고 래치 레버(102)는 도 5에서 반시계방향, 즉 동작 최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의 방향으로 항상 편향되어 있다. 이 래치 레버(102)의 회전 자세 변경 한계는 클로징 케이블(301)과의 취합 관계에 의해 상기 대기 자세가 된다.
또한, 오픈 레버(104)도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고, 이 오픈 레버(104)에 관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하프래치 자세, 풀래치 자세가 그 원점 자세로 된다.
이들 기기는 특별한 자세 유지를 요구받지 않는 경우, 원점 자세로 복귀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래치 기구 본체(100)는 래치(101)가 하프래치 자세를 취 하는 상태에 있어서, 클로징 케이블(301)이 당김 조작을 받은 경우, 래치 레버(10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치(101)가 풀래치 자세를 취할 때까지 동작한다. 그리고, 래치 레버(102)가 약간 복귀됨으로써, 폴(103)이 래치(101)의 외측 맞물림부(101c)에 결합하여, 도어(4)를 풀래치 자세로 할 수 있다.
한편, 래치 기구 본체(100)는 아웃사이드핸들(5a) 또는 인사이드핸들(5b)이 오프닝 조작된 경우, 오픈 레버(104)가 그 하프래치 또는 풀래치 자세로부터 해제자세로 회전하여, 폴(103)의 래치(101)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동시에 취소 케이블(302)을 인상한다.
본원에서는 도어핸들(5)의 오프닝 조작에 의해, 래치(101)의 풀래치 자세 유지를 해제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모터 M과 래치 레버(102)의 구동 연결을 단절시키는 기구를 취소 기구라 칭하지만, 이상 설명한 핸들(5)로부터 폴(103)에 이르는 기구가 이 취소 기구의 전방부를 구성한다.
한편, 오픈 레버(104)로부터 취소 케이블(302)에 이르고, 이하에 나타내는 모터 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연결 차단 기구(201)에 이르는 기구, 및 연결 차단 기구(201)는 취소 기구의 후방부를 구성한다.
〔모터 장치〕
모터 장치(200)는 기본적으로는 모터 출력을 유성기어 기구(202)를 통하여 출력 샤프트(203)에 감속하여 전달하는 것이며, 이 전달이 실행되는 출력 상태 및 출력이 행하여지지 않는 비출력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9에는 출력 상태에 있는 모터 장치의 평면도를, 도 10에는 출력 상태에 있는 유성기어 기구(202) 및 연결 차단 기구(2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도 11에는 비출력 상태에 있는 모터 장치(200)의 평면도를, 도 12에는 비출력 상태에 있는 유성기어 기구(202) 및 연결 차단 기구(201)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출력 상태에서는 모터 M의 정/역회전을 행함으로써 상기 래치 레버(102)를 그 대기 자세로부터 동작 최종 자세로, 또는 그 역방향으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한다.
상기 출력 상태와 비출력 상태는 상기 취소 케이블(302)을 잡아당김으로써 전환된다.
장치의 개략을 도 9 및 도 10에 따라 설명하면, 모터 장치(200)는 모터 M, 출력 샤프트(203), 유성기어 기구(202), 연결 차단 기구(20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출력 샤프트(203)는 출력 레버(203a)를 통하여 클로징 케이블(30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연결 차단 기구 샤프트(204)는 취소 레버(204a)를 통하여 취소 케이블(302)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취소 케이블(302) 또는 클로징 케이블(301)이 전후로 움직인다.
모터 M은 그 출력 샤프트 Ma에 웜 Mb를 구비하고, 유성기어 기구(202)의 태양기어(20)에 회전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모터 M은 전술한 컨트롤러 C에 의해서 제어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한다.
유성기어 기구(202)는 소위 감속기어 기구로서, 태양기어(20), 회전이 상기 연결 차단 기구(201)와의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상태로 허용 또는 금지되는 링기어(21), 출력요소로서의 캐리어(2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캐리어(22)는 3개의 유성기어(23)의 공전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출력 샤프트(203)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유성기어 기구(202)는 모터 M으로부터 태양기어(20)에 입력되는 회전동력에 의해서 각 유성기어(23)를 회전 구동하고, 연결 차단 기구(201)에 의해 링기어(21)가 자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출력 상태에서 실현함)로 링기어(21)에 맞물리는 각 유성기어(23)를 자전시키는 동시에 출력 샤프트(203)의 축심 주위로 공전시킨다. 그리고, 각 유성기어(23)가 지지되어 있는 캐리어(22)를 자전시킴으로써 출력 샤프트(203)로부터 감속된 회전동력을 출력한다.
즉,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출력 상태를 실현한다.
연결 차단 기구(201)가 작용하여 링기어(21)가 자유로워지는 상태에서는 출력 샤프트(203)로부터의 모터 M의 출력은 없고,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출력 상태로 된다.
그런데, 상기의 연결 차단 기구(201)는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링기어(21)의 외주면에 설치된 외측 치열부(27)와, 이 외측 치열부(27)에 결합 및 이탈 가능한 결합이탈 블록(201a)과, 도어핸들(5)의 오프닝 조작에 의해서 결합이탈 블록(201a)을 조작하기 위한 맞물림 조작 부재(201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결합이탈 블록(201a)은 도 9,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단 측에 링기어(21)의 외측 치열부(27)에 결합 가능한 치형 맞물림부(201a)a를 구비하고, 타단 측에 접촉면(201ab)을 구비하고 있다. 또, 결합이탈 블록(201a)의 상면(도 10, 도 12에서 하측)에는 핀형 맞물림부(201ac)가 설치되어 있다.
결합이탈 블록(201a)은 링기어(21)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대략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합이탈 블록(201a)은 그 치형 맞물림부(201aa)가 외측 치열부(27)에 결합하는 상태에서는 링기어(21)를 자전 불가능하게 고정하고, 결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링기어(21)를 자전 가능하게 고정을 해제한다.
이 결합이탈 블록(201a)의 직경 방향에서의 이동은 맞물림 조작 부재(201b)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 맞물림 조작 부재(201b)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링기어(2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링기어(21)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한다.
이 맞물림 조작 부재(201b)는 도 9, 도 11에 있어서 스프링(201d)에 의해 시계방향 주위로 편향되어 있고, 핀형 맞물림부(201ac)에 결합하는 캠 홈(201ba)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출력 상태에서의 자세가 원점 자세이다.
이에 대하여, 취소 케이블(302)이 당겨진 상태에서는 맞물림 조작 부재(201b)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결합이탈 블록(201a)을 들어올리고(발취하고), 링기어(21)의 외측 치열부(27)와의 맞물림을 해제함으로써 이 기어(27)가 자유롭게 회전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본원에서 말 하는 비출력 상태를 실현한다.
〔도어 컨트롤러〕
이 컨트롤러 C는 본원의 도어 클로징 장치(1)의 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며, 기본적으로 모터 장치(100)에 대한 모터 구동의 정회전, 역회전의 명령을 내리는 것이다.
본원은 스트라이커(2)를 그 하프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풀래치 대응 위치로 보내는 클로징 동작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이 동작에서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제어가 작용하는 전단계(前段階)에서는 스트라이커(2)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101)에 근접하도록 이동되어 온다.
스트라이커(2)가 그 하프래치 대응 위치에 도달하면, 래치(101)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래치 센서(101s)에 의해 그 회전각이 검출된다.
이 검출 결과는 컨트롤러 C에 보내져 제어가 시작된다.
도 3, 도 5, 도 6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컨트롤러 C는 스트라이커(2)를 그 풀래치 대응 위치로 끌어들이는 풀래치 조작 동작에 있어서, 모터 M을 정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1 제어수단(c1)과, 래치 레버(102)가 풀래치 동작 완료한 후,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제2 제어수단(c2)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제어수단(c1)에 의한 정방향의 동작량은 당연히 래치 레버(102)를 그 대기 자세로부터 동작 최종 자세로 변경하는 데 필요한 전체 조작량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 제2 제어수단(c2)에 의한 역방향에서의 동작량은 래치 레버(102)의 대기 자세로부터 동작 최종 자세에 도달하는 데에 필요한 동작량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 다.
구체적으로는 래치 레버(102)를 그 동작 최종 자세로부터 대기 자세 측으로 약간 되돌리는 동작량은 100ms 정도로 되어 있고, 상기 폴(103)에 의한 래치(101)의 풀래치 자세로 유지가 확보되는 양으로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 클로징 장치(1)의 상태, 및 각 제어수단의 작용을 시간 순서적으로 설명한다.
1. 도어(4)가 하프래치 자세에 있는 시점(도 5 참조)에서, 각 기기는 이하의 위치 또는 상태를 취한다.
[표 1]
스트라이커 하프래치 대응 위치
래치 하프래치 자세
래치 레버 대기 자세
폴 래치의 내측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자세
오픈 레버 취소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은 하프래치 자세
모터 장치 출력 상태
2. 래치각도 센서(101s)가 하프래치 자세를 검출하면, 상기 상태에 있어서 클로징 동작이 컨트롤러 C에 구비되는 제1 제어수단(c1)의 제어가 실행된다(도 6 참조).
클로징 동작 개시 시점에서 모터 장치(100)는 출력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1 제어수단(c1)에 의해 소정 시간의 모터 회전 명령이 출력됨으로써 래치 레버(102)가 소정량으로 도 6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래치(10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트라이커(2)가 풀래치 대응 위치로 끌려들어온다.
3. 상기 끌어들이기가 완료된 후, 제2 제어수단(c2)의 제어가 실행된다(도 7 참조).
제2 제어수단(c2)은 모터 M에 대한 역회전 명령을 소정의 시간만큼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시간은 짧게 설정되기 때문에 래치 레버(102)가 그 대기 자세로 되돌아가지 않고, 래치 레버(102)를 대기 자세 측으로 약간 회전시킨다. 래치(101)의 복귀 회전은 폴(103)이 래치의 외측 맞물림부(101c)에 결합함으로써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클로징 조작은 완료되고, 차량(3)은 주행한다.
이 시점에서의 각 기기의 위치, 자세는 이하와 같다.
[표 2]
스트라이커 풀래치 대응 위치
래치 풀래치 자세
래치 레버 동작 최종 자세로부터 약간 되돌아간 자세
폴 래치의 외측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맞물림 자세
오픈 레버 취소 케이블을 잡아당기지 않은 풀래치 자세
모터 장치 출력 상태
4. 차량(3)이 목적 지점에 도달한 후의 오프닝 도어 동작은 아래와 같이 하 여 행하여진다(도 8 참조).
승객은 예를 들면, 인사이드핸들(5a)을 오프닝 조작한다. 인사이드핸들(5a)의 오프닝 조작이 행하여지면, 이 조작은 래치 기구 본체(100)에 구비되는 오픈 레버(104)에 전달되고, 이 오픈 레버(104)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폴(103)의 래치(101)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동시에 취소 레버(302)를 당긴다.
취소 레버(302)가 당겨짐으로써, 모터 장치(200)는 비출력 상태로 되고, 결과적으로 래치 레버(102)가 모터 장치(200)에 대하여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래치 레버(102)는 그 대기 자세로 복귀하는 상태로 된다. 동시에 폴(103)에 의한 래치(101)의 복귀 저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래치(101)도 하프래치 자세로 복귀하게 되어 하프래치 자세로 된다.
이 시점에서의 각 기기의 상태를 표 1, 표 2와 마찬가지로 기재하면 표 3과 같이 된다.
[표 3]
스트라이커 하프래치 대응 위치
래치 하프래치 자세
래치 레버 대기 자세
폴 래치와 맞물리지 않은 자세
오픈 레버 폴과 래치의 외측 맞물림부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취소 케이블을 잡아당긴 해제 자세
모터 장치 비출력 상태
결과적으로, 도어의 하프래치 자세로부터 클로징 동작, 그에 따르는 핸들조작을 수반한 도어의 오프닝 조작에 의해, 도어의 오프닝 동작은 양호하게 실행된다.
또한, 클로징 동작에 따른 스트라이커 잡아당기기 완료 후의 모터의 움직임을 짧게 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동작을 도 13에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은 횡축에는 시간을, 종축에는 래치 레버(102)의 회전 자세와 모터 M의 정회전·역회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시간 축 상에는 도어 하프래치 자세 검출과, 다음의 도어핸들 오프닝 조작 시점을 나타내는 동시에, 종축에는 래치 레버(102)의 대기 자세 및 동작 최종 자세를 보였다.
이 방법에 따라서, 종래 형태의 동작을 도 14에 나타내었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본원 구성에서는 래치 레버(102)가 스트라이커(2)를 풀래치 대응 위치로 끌어들이는 풀래치 동작 완료 후, 다음의 도어핸들(5)의 오프닝 조작이 실행될 때까지 대기 자세와 동작 최종 자세의 중간의 자세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수단(c1), 제2 제어수단(c2)을 컨트롤러 C에 구비함으로써 본원 발명을 달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기계적으로, 래치 레버(102)가 대기 측으로 약간 되돌아가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도어 클로징 장치에 의해, 스트라이커를 풀래치 대응 위치로 끌어 들이기를 완료하여 도어의 전폐 상태가 확보되어 있는 상태에서, 불필요한 모터의 소음 등의 발생이 적은 도어 클로징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 도어(4)를 반폐(半閉)한 상태에서의 하프래치(half-latch)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striker)(2)를 유지시키는 하프래치 대응 자세와, 상기 도어(4)를 전폐(全閉)한 상태에서의 풀래치(full-latch)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2)를 유지시키는 풀래치 대응 자세의 사이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이동시키는 래치(101),상기 래치(101)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101)의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를 유지시키는 폴(103),상기 래치(101)와 결합 및 이탈가능한 래치 레버(102),상기 래치 레버(102)를 상기 래치(101)로부터 이탈시킨 대기 자세와, 상기 래치 레버(102)를 상기 래치(101)와 결합시킨 동작 최종 자세의 사이에서, 상기 래치 레버(102)를 이동시키는 클로징 케이블(301),상기 클로징 케이블(301)을 동작시키는 모터(M),상기 클로징 케이블(301)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102)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동작 최종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 레버(102)에 의해 상기 래치(101)의 자세를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101)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2)를 상기 하프 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 래치 대응 위치로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c1), 및상기 제1 제어 수단(c1)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래치(101)를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쪽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폴(103)을 상기 래치(101)와 결합시키도록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c2)을 구비하고,상기 제2 제어 수단(c)의 상기 모터(M)의 동작량은, 상기 제1 제어 수단(c)의 상기 모터(M)의 동작량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징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제어수단(c)은, 상기 래치(101)로부터 상기 래치 레버(102)가 이탈될 때까지 상기 래치 레버(102)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징 장치.
- 도어(4)를 반폐(半閉)한 상태에서의 하프래치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2)를 유지시키는 하프래치 대응 자세와, 상기 도어(4)를 전폐(全閉)한 상태에서의 풀래치 대응 위치에 스트라이커(2)를 유지시키는 풀래치 대응 자세의 사이에서, 상기 스트라이커를 이동시키는 래치(101),상기 래치(101)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101)의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를 유지시키는 폴(103),상기 래치(101)와 결합 및 이탈가능한 래치 레버(102),상기 래치 레버(102)를 상기 래치(101)로부터 이탈시킨 대기 자세와, 상기 래치 레버(102)를 상기 래치(101)와 결합시킨 동작 최종 자세의 사이에서, 상기 래치 레버(102)를 이동시키는 클로징 케이블(301),상기 클로징 케이블(301)을 동작시키는 모터(M),상기 클로징 케이블(301)에 의해 상기 래치 레버(102)를 상기 대기 자세로부터 상기 동작 최종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 레버(102)에 의해 상기 래치(101)의 자세를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 변경하고, 상기 래치(101)에 의해 상기 스트라이커(2)를 상기 하프 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 래치 대응 위치로 변경하도록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제1 제어 수단(c1), 및상기 제1 제어 수단(c1)의 동작이 완료된 후, 상기 래치(101)를 상기 풀래치 대응 자세로부터 상기 하프래치 대응 자세쪽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상기 폴(103)을 상기 래치(101)와 결합시키도록 상기 모터(M)를 제어하는 제2 제어 수단(c2)을 구비하고,상기 스트라이커(2)가 상기 하프래치 대응 위치로부터 상기 풀래치 대응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래치 레버(102)는 상기 대기 자세와 상기 동작 최종 자세 사이에서 그 자세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징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모터(M)에는 상기 모터(M)의 동력을 래치 레버(102)에 전달하는 유성기어 기구(202)가 구비되고, 상기 유성기어 기구(202)에는 상기 모터(M)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래치 레버(102)에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연결 차단 기구(20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054046 | 2003-02-28 | ||
JP2003054046A JP2004263413A (ja) | 2003-02-28 | 2003-02-28 | ドアクローザ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7545A KR20040077545A (ko) | 2004-09-04 |
KR100553653B1 true KR100553653B1 (ko) | 2006-02-24 |
Family
ID=3276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3443A KR100553653B1 (ko) | 2003-02-28 | 2004-02-27 | 도어 클로징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040227357A1 (ko) |
EP (1) | EP1452361A3 (ko) |
JP (1) | JP2004263413A (ko) |
KR (1) | KR1005536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95790B2 (ja) * | 2005-11-17 | 2010-12-08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
JP4747796B2 (ja) * | 2005-11-17 | 2011-08-1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
EP2080856A3 (en) * | 2005-11-17 | 2009-08-19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Driving mechanism and door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
JP4600250B2 (ja) * | 2005-11-17 | 2010-12-15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
DE102005062614A1 (de) * | 2005-12-23 | 2007-06-28 | Kiekert Ag | Kraftfahrzeugtürschloss |
FR2916788B1 (fr) * | 2007-06-01 | 2013-02-15 | Valeo Securite Habitacle | Serrure electrique a assistance de fermetu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
JP5184012B2 (ja) * | 2007-09-07 | 2013-04-17 | 株式会社ミツバ | 車両用自動開閉装置 |
JP4962283B2 (ja) | 2007-11-22 | 2012-06-2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ドア開閉装置 |
JP5177536B2 (ja) * | 2008-09-25 | 2013-04-03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オープンルーフ開閉装置 |
US8727926B2 (en) * | 2010-09-24 | 2014-05-20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Vehicle door driving device |
JP5741266B2 (ja) * | 2011-07-13 | 2015-07-01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FR2983508B1 (fr) * | 2011-12-06 | 2015-06-19 | Valeo Securite Habitacle | Organe de liaison d'un ensemble verrou-serrure de vehicule et ensemble verrou-serrure |
FR2983509A1 (fr) * | 2011-12-06 | 2013-06-07 | Valeo Securite Habitacle | Organe de liaison d'un ensemble verrou/serrure de vehicule et ensemble verrou-serrure |
GB2505745B (en) * | 2012-06-28 | 2015-08-12 | Mitsui Kinzoku Act Corp | Vehicle door closer device |
JP6007745B2 (ja) * | 2012-11-20 | 2016-10-12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ドア駆動装置 |
JP6384291B2 (ja) * | 2014-11-26 | 2018-09-05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クローザ装置、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US20180073282A1 (en) * | 2016-07-15 | 2018-03-15 | Ansel Corporation | Vehicle door lock apparatus |
CN107620529B (zh) | 2016-07-15 | 2020-12-15 | 株式会社安成 | 车辆用门锁装置 |
JP6627672B2 (ja) | 2016-07-20 | 2020-01-08 | 株式会社アンセイ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JP6627729B2 (ja) | 2016-11-25 | 2020-01-08 | 株式会社アンセイ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DE102017107361A1 (de) * | 2017-04-05 | 2018-10-11 |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 Schlossanordnung für ein Fahrzeug |
FR3070704A1 (fr) | 2017-09-07 | 2019-03-08 | U-Shin France | Dispositif de fermeture de porte a ouverture prioritaire pour 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
US11674338B2 (en) * | 2018-03-26 | 2023-06-13 | Magna Closures Inc. | Automotive door latch with power opening feature |
JP6627920B2 (ja) | 2018-06-26 | 2020-01-08 | 株式会社アンセイ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US11885159B2 (en) * | 2019-04-02 | 2024-01-30 | Magna Closures Inc. | Power actuator having cam-driven dual cable actuation mechanism for use with vehicular closure latch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835997A (en) * | 1984-03-14 | 1989-06-06 | A. L. Hansen Manufacturing Company | Two-way rotary lock |
GB2276665B (en) * | 1993-02-05 | 1995-12-06 | Mitsui Mining & Smelting Co |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mechanism |
US5474339A (en) * | 1993-10-15 | 1995-12-12 | Kelsey-Hayes Company | Door latch with double locking antitheft feature |
JP3023278B2 (ja) * | 1994-05-24 | 2000-03-21 |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 自動閉扉機構付車両ドアロック装置 |
US5639130A (en) * | 1995-05-31 | 1997-06-17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Rotary door cinching mechanism with manual override |
DE19736445B4 (de) * | 1996-08-22 | 2006-06-08 | Asmo Co., Ltd., Kosai-shi | Türgliedverriegelungs-/entriegelungsvorrichtung |
US5738393A (en) * | 1996-11-08 | 1998-04-14 |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 Automotive hood latch having remote actuator |
JP3430436B2 (ja) * | 1997-03-28 | 2003-07-28 | 株式会社大井製作所 |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
JP4048394B2 (ja) * | 1998-05-13 | 2008-02-20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ドアロックシステム |
US6390516B1 (en) * | 1998-09-03 | 2002-05-21 | Ohi Seisakusho Co. Ltd. | Door lock unit of vehicular door closure system |
JP3777270B2 (ja) * | 1999-06-18 | 2006-05-24 | 株式会社大井製作所 | 車両用扉のクロージャー装置 |
JP4474811B2 (ja) * | 2000-11-27 | 2010-06-09 | 株式会社デンソー | ドアロック駆動装置 |
JP4617582B2 (ja) * | 2001-02-23 | 2011-01-26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車両用ドア操作装置の駆動用モータ装置及び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
-
2003
- 2003-02-28 JP JP2003054046A patent/JP2004263413A/ja not_active Withdrawn
-
2004
- 2004-02-27 US US10/787,756 patent/US2004022735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4-02-27 EP EP20040004547 patent/EP1452361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4-02-27 KR KR1020040013443A patent/KR10055365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4263413A (ja) | 2004-09-24 |
EP1452361A2 (en) | 2004-09-01 |
EP1452361A3 (en) | 2006-02-08 |
KR20040077545A (ko) | 2004-09-04 |
US20040227357A1 (en) | 2004-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53653B1 (ko) | 도어 클로징 장치 | |
JP3754285B2 (ja) | ドアの自動開閉装置 | |
US7261338B2 (en) | Single actuator power close latch mechanism with failsafe | |
US20240110411A1 (en) | Latch assembly with power release and dual stage cinch function | |
US8894103B2 (en) | Vehicle door opening-closing device | |
US10358846B2 (en)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 |
US10214944B2 (en) | Opening-and-closing device for vehicle door | |
JP2003269029A (ja) | 自動車用ドアロック | |
JP6318423B2 (ja) | 車両用ドア開閉装置 | |
US20140070549A1 (en) | Door latch system for vehicle | |
GB2292768A (en) | A motor vehicle door lock | |
US5018303A (en) | Automatic door operating system | |
US9638299B2 (en) | Actuating device | |
JP4072111B2 (ja) | 動力装置 | |
JP5718147B2 (ja) | 車両用ドアラッチシステム | |
US5083397A (en) | Automatic door operating system | |
WO2021005156A1 (en) | Motor vehicle lock | |
US5072163A (en) | Feeding system for electric devices mounted in door | |
JP2003120104A (ja) | ドアロック駆動装置 | |
JP3955013B2 (ja) | 動力装置のクラッチ機構 | |
JP2001182406A (ja) | 車両用ロックのオープン及びクローズ装置 | |
JP3723437B2 (ja) |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自動開閉装置 | |
JP3955014B2 (ja) | 動力装置のクラッチ機構 | |
JP3224518B2 (ja) | 車両スライド扉の自動開閉装置 | |
JPH1181771A (ja) | 車両スライド扉の自動開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