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47174B1 -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174B1
KR100547174B1 KR1020030072615A KR20030072615A KR100547174B1 KR 100547174 B1 KR100547174 B1 KR 100547174B1 KR 1020030072615 A KR1020030072615 A KR 1020030072615A KR 20030072615 A KR20030072615 A KR 20030072615A KR 100547174 B1 KR100547174 B1 KR 10054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tor
passenger seat
cross member
airbag device
cowl cro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168A (ko
Inventor
임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7174B1/ko
Priority to US10/702,470 priority patent/US7090244B2/en
Publication of KR2005003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1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가 저감되며, 설치 작업이 간편한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 멤버에 직접 장착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내측에 삽입되고 차량의 충돌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 형성된 디퓨져 홀을 통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으로 가스를 방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와 외부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탑승자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으로 구성되어,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가 카울 크로스 멤버에 내장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에 에어백 하우징이 직접 장착되므로,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고 크기도 저감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실현되는 이점이 있다.
조수석 에어백 장치, 인스트루먼트 패널, 카울 크로스 멤버, 인플레이터, 에어백 하우징, 리테이너, 쿠션

Description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Passenger air bag system of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일예에 대한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한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인스트루먼트 패널 54 : 카울 크로스 멤버
56 : 에어백 하우징 58 : 디퓨져 홀
60 : 인플레이터 62 : 커넥터
64 : 쿠션 66 : 리테이너
68 : 쿠션 수납부 70 : 하우징 장착부
72 : 장착홈부 76 : 인플레이터 수납부
78 : 커넥터 홀 80, 88 : 제 1 고정부
82, 90 : 제 2 고정부 86 : 설치홀
92 : 인플레이터 장착홀 94 : 장착 커버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크기가 저감되며, 설치 작업이 간편한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 전방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순간적으로 쿠션이 팽창되면서 운전자 및 승객의 생명과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상기한 에어백 장치는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 장치와,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로 구분된다. 상기 운전자용 에어백 장치는 필수사양 이고, 상기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선택사양이지만, 최근에는 동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필수 사양으로 하는 차량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 및 카울 크로스 멤버(4)에 설치된 에어백 하우징(6)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6)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시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8)와, 상기 인플레이터(8)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부장치로부터 전원 및 작동신호 등을 인플레이터(8)에 전달하는 커넥터(10)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6)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8)의 가스에 의해 조수석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12)과, 상기 에어백 하우징(6)에 장착되어 상기 쿠션(12)을 지지하는 리테이너(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6)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쿠션(12)이 수납된 쿠션 하우징(16)과, 상기 쿠션 하우징(16)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8)가 설치된 캔 하우징(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 하우징(16)은 전면의 외측 둘레면에 플랜지(16a)가 형성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배면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쿠션 하우징(16)이 장착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는 쿠션(12)의 전개시 파단이 용이하도록 절개선이 구비된 크러쉬 패드(2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2)은 차량의 충돌 사고시 상기 인플레이터(8)의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쿠션(12)에 의해 파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그로 인해 탑승자의 전방으로 상기 쿠션(12)의 신속한 전개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캔 하우징(18)은 상기 쿠션 하우징(16)의 후면에 연통되게 결합된 것으로, 마운팅 브래킷(20)에 의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 내부의 카울 크로스 멤버(4)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20)은 일단이 상기 캔 하우징(18)의 측면 일측에 볼트로 체결되고, 타단은 카울 크로스 멤버(4)의 외주면 일측에 볼트로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6)은 인스트루먼트 패널(2)과 카울 크로스 멤버(4)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과 카울 크로스 멤버(4)에 전부와 후부가 각각 고정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인플레이터(8)는 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캔 하우징(18)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지지 고정되며, 상기 커넥터(10)를 통해 전자제어유닛(미도시) 및 전원단자(미도시)와 같은 외부장치와 연결된다.
즉,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인플레이터(8)는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고, 전원단자로부터 전달된 전원에 의해 폭발되면서 일정 압력 이상의 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쿠션(12)은 입구부가 상기 리테이너(14)의 중앙에 형성된 홀(14a)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테이너(14)와 함께 상기 캔 하우징(18)에 설치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상기 전자제어유닛이 커넥터(10)를 통해 인플레이터(8)에 작동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인플레이터(8)는 전원단자의 전원에 의해 폭발되면서 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8)에 의해 생성된 가스는 캔 하우징(18)을 따라 확산되어 상기 리테이너(14)의 홀(14a)로 유동되고, 상기 리테이너(14)의 홀(14a)로 유동된 가스는 상기 쿠션(12)의 입구부를 통해 상기 쿠션(12)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쿠션(12)은 유입되는 가스에 의해 일정압력과 속도로 전개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크러쉬 패드(2a)를 파단시키면서 조수석에 탑승한 승객의 전방으로 전개된다.
상기와 같이 전개된 쿠션(12)은 차량의 충돌 사고로 인한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 및 완충함으로서 차량 사고로 인한 인명 손실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상기 인플레이터(8)가 내장된 캔 하우징(18)이 마운팅 브래킷(20)에 의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4)에 설치 고정된 구조이므로, 상기 마운팅 브래킷(20)이 사용됨에 따라 부품수가 증가되고, 설치 작업도 매우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과 카울 크로스 멤버(4)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므로, 상기 에어백 하우징(6)의 크기와 형상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고, 설치하거나 작동되는 과정에서도 다른 구성품과 간섭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울 크로스 멤버에 인플레이터를 내장시키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 에어백 하우징을 직접 장착시킴으로서, 에어백 장치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크기도 저감되며, 설치 작업이 용이한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카울 크로스 멤버에 직접 장착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내측에 삽입되고 차량의 충돌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 형성된 디퓨져 홀을 통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으로 가스를 방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와 외부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탑승자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일예가 도시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일예에 대한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정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다른 예에 대한 주요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배면에 전부가 장착되고 카울 크로스 멤버(54)에 후부가 직접 장착된 에어백 하우징(56)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내측에 삽입 고정되어 차량의 충돌 사고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외주에 형성된 디퓨져 홀(58)을 통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으로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60)와, 상기 인플레이터(60)와 외부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인플레이터(60)로 작동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62)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60)의 분출된 가스에 의해 탑승자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64)과, 상기 쿠션(64)과 함께 에어백 하우징(56)에 설치되어 상기 쿠션(64)을 지지하고 상기 인플레이터(60)의 가스가 통과되는 홀(66a)이 형성된 리테이너(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은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쿠션(64)이 수납된 쿠션 수납부(68)와, 상기 쿠션 수납부(68)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외주 일측에 장착되는 하우징 장착부(70)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 수납부(68)는 전면의 외측 둘레면에 플랜지(68a)가 형성되어 상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배면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에는 쿠션(64)의 전개 압력에 의해 파단이 용이하도록 절개선이 구비된 크러쉬 패드(5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차량의 충돌 사고시 상기 인플레이터(60)의 가스에 의해 전개되는 쿠션(64)은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크러쉬 패드(52a)를 파단시키면서 탑승자의 전방으로 신속히 전개된다.
상기 하우징 장착부(70)는 상기 쿠션 수납부(68)의 후면에 연통되게 장착되고, 후부에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외주에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장착홈부(72)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부(72)는 카울 크로스 멤버(54)와 동일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외주에 빈틈없이 형합되고, 양측단에는 제 1 체결공(72a)이 형성되어 체결부재(74)에 의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외주에 형성된 제 2 체결공(54a)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제 1 체결공(72a) 및 제 2 체결공(54a)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 장착부(70)의 양측단과 카울 크로스 멤버(54)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인플레이터(60)는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내부에 수납되는 바, 상기 하우징 장착부(70)가 안착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54) 일측에는 상기 인플레이터(60)를 수납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수납부(76)가 형성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장착부(70)가 장착되는 외주에는 상기 디퓨져 홀(58)이 형성되며, 특히 상기 인플레이터(60)의 외경보다 내경이 크도록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가 형성된다.
즉, 통상적으로 카울 크로스 멤버(54)는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가 사용되고 내경이 인플레이터(60)의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상기 인플레이터(60)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카울 크로스 멤버(54)가 단차지게 직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62)는 전원단자와 전자제어유닛 등과 같은 외부장치를 상기 인플레이터(60)와 연결시키는 부품으로서, 상기 인플레이터(60)에 전원 및 작동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62)는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내측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커넥터 홀(78)을 통해 상기 인플레이터(60)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홀(78)은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외주면 중 상기 인플레이터(60)가 수납되는 밀폐된 공간 이외의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인플레이터(60)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 1 고정부(80)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6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개구부(84)가 형성되며, 외주에는 상기 인플레이터(60)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82)가 삽입되는 삽입홀(86)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고정부(80) 및 제 2 고정부(82)는 상기 인플레이터(60)의 양단을 지지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60)가 수납되는 공간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 2 고정부(82)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70)의 장착홈부(7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이 인플레이터 수납부(76)에 장착될 때 상기 삽입홀(86)을 통해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인플레이터(60)의 타단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개구부(84)는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캔 형상의 인플레이터(60)를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내부로 삽입시키는 입구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고정부(82)가 삽입홀(86)에 삽입되어 상기 개구부(84)의 개폐가 이루어짐으로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이 설치되기 전에 상기 인플레이터(60)의 삽입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인플레이터 수납부(76)는 하우징 장착부(70)가 안착되는 부위에 상기 삽입홀(86)과 디퓨져 홀(5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디퓨져 홀(58)은 상기 인플레이터(60)에 의해 발생한 가스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으로 유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에 내부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디퓨져 홀(58)은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외주면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60)로부터 가스의 토출이 원활하도록 상대적으로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상기 인플레이터(60)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 1 고정부(88)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60)의 타단을 고정하는 제 2 고정부(90)가 설치 고정되며, 외주에는 상기 인플레이터(60)를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홀(92)이 형성된 구조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1 고정부(88) 및 제 2 고정부(90)는 상기 인플레이터(60)의 양단을 지지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60)가 수납되는 공간의 기밀성을 유지시키게 되며,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54)의 제작시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에 미리 설치 고정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홀(92)은 상기 하우징 장착부(70)가 장착되는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에 수납된 인플레이터(60)가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홀(92)을 통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56) 내부로 이탈되는 않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홀(92)에는 장착 커버(94)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장착 커버(94)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외주에 장착되고, 아울러 상기 인플레이터(60)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56)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디퓨져 홀(58)이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디퓨져 홀(58)은 장착 커버(94)에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60)의 가스 토출이 원활하도록 위치에 따라 크기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작동에 대 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충돌 사고시 인플레이터(60)는 커넥터(62)를 통해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작동 신호 및 전원단자의 전원을 전달받아 폭발되면서 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플레이터(60)에 의해 발생된 가스는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76)의 외주면에 형성된 디퓨져 홀(58)을 통해 에어백 하우징(56)의 하우징 장착부(70)로 유동되고, 상기 하우징 장착부(70)에 전달된 가스는 리테이너(66)의 홀(66a)을 통과하여 상기 쿠션(64)으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쿠션(64)은 유입된 가스에 의해 일정 압력과 속도로 전개되어 절개선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을 파단시키면서 조수석의 전방을 향해 전개되고, 차량의 충돌로 인한 탑승자의 충격을 흡수 및 완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인플레이터가 카울 크로스 멤버에 내장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에 에어백 하우징이 직접 장착되므로,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게 되고 크기도 저감되어 제품의 소형화가 실현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소형화가 실현되면, 에어백 장치의 설치시 공간상의 한계가 완화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의 협소한 공간에 보다 설치가 간편하게 되고,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도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에 에어백 하우징이 직접 체결 장착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에 에어백 하우징을 카울 크로스 멤버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마운팅 브래킷이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어 부품수가 감소되고, 상기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설치 공정도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크기가 저감됨과 아울러 부품수가 감소됨으로 제품의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카울 크로스 멤버에 직접 장착된 에어백 하우징과;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내측에 삽입되고 차량의 충돌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 형성된 디퓨져 홀을 통해 상기 에어백 하우징으로 가스를 방출하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와 외부를 연결하는 커넥터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가스에 의해 탑승자의 전방으로 전개되는 쿠션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후면에 전부가 장착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 상기 디퓨져 홀과 연통되도록 후부가 직접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쿠션이 내부에 수납된 쿠션 수납부와, 상기 쿠션 수납부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 직접 장착되는 하우징 장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장착부는 카울 크로스 멤버와 동일 직경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장착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장착부의 양측단에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는 상기 제 1 체결공과 대응되도록 제 2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장착부 및 카울 크로스 멤버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공 및 제 2 체결공은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는 내부에 인플레이터가 수납되도록 상기 인플레이터의 직경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는 일단부에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 1 고정부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며, 외주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 2 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 장착부의 장착홈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는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장착되는 외주면에 상기 삽입홀과 디퓨져 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는 일단부에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 1 고정부가 설치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인플레이터의 타단을 고정하는 제 2 고정부가 설치 고정되며, 외주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인플레이터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홀은 상기 에어백 하우징이 장착되는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 장착홀에는 장착 커버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커버는 중앙에 디퓨져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홀은 다수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는 인플레이터 수납부의 내부 공간이 외부와 격리되도록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의 내면에 밀봉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는 중앙에 단자홀이 형성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의 일단에 형성된 커넥터 단자가 삽입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 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외주에 형성된 커넥터 홀을 통해 상기 인플레이터의 커넥터 단자에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은 상기 인플레이터 수납부 이외의 카울 크로스 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0030072615A 2003-10-17 2003-10-17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4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615A KR100547174B1 (ko) 2003-10-17 2003-10-17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10/702,470 US7090244B2 (en) 2003-10-17 2003-11-07 Passenger air bag system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615A KR100547174B1 (ko) 2003-10-17 2003-10-17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168A KR20050037168A (ko) 2005-04-21
KR100547174B1 true KR100547174B1 (ko) 2006-01-31

Family

ID=3451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7174B1 (ko) 2003-10-17 2003-10-17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90244B2 (ko)
KR (1) KR100547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641B1 (ko) * 2005-11-23 2006-10-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716855B1 (ko) * 2005-12-15 2007-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쿠션.
KR100666624B1 (ko) * 2005-12-16 2007-0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KR100699173B1 (ko) * 2005-12-16 2007-03-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모듈
FR2897814B1 (fr) 2006-02-28 2008-04-18 Renault Sas Agencement de planche de bord avec dispositif de protection a coussin d'air gonflabl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KR100757626B1 (ko) * 2006-06-23 2007-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장치의 쿠션
US20080007032A1 (en) * 2006-07-07 2008-01-10 Lear Corporation Instrument panel assembly with airbag
KR100856987B1 (ko) * 2007-09-18 2008-09-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승객구분장치
DE102007046211A1 (de) 2007-09-27 2009-04-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Airbagmodul mit Oberflächenstruktur
JP5749431B2 (ja) * 2009-11-11 2015-07-15 タカタ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8246074B2 (en) * 2009-11-13 2012-08-21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mounting assembly for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3273A (en) * 1978-04-14 1979-05-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Occupant restraint cushion system
JPH0268250U (ko) * 1988-11-11 1990-05-23
JPH05139237A (ja) * 1991-06-28 1993-06-08 Daihatsu Motor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ツグモジユールの取付け構造
FR2704510B1 (fr) * 1993-04-28 1995-07-21 Ecia Equip Composants Ind Auto Structure de planche de bord par exemple pour vehicule automobile.
US5503428A (en) * 1995-02-03 1996-04-02 Hoover Universal, Inc. Vehicle seat with an inflatable air cushion
DE19626903A1 (de) * 1996-07-04 1997-06-26 Daimler Benz Ag Rückhalteeinrichtung für die Insassen eines Kraftfahrzeuges
US5735572A (en) * 1997-01-16 1998-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seat back frame and airbag module assembly
JPH1191503A (ja) * 1997-09-24 1999-04-06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7163234B2 (en) * 2003-06-25 2007-01-16 Lear Corporation Vehicular cross car beam assembly having an integral air bag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90244B2 (en) 2006-08-15
US20050082800A1 (en) 2005-04-21
KR20050037168A (ko)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7169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47174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7364191B2 (en) Gas flow distributor for a lateral airbag module
KR100547175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10709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47176B1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468540B1 (ko) 스티어링휠의 에어백모듈 설치구조
KR100397513B1 (ko) 자동차용 에어백모듈 연결장치
KR100503242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KR20060016404A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20060034319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
KR20090050243A (ko) 하우징리스 타입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0520988B1 (ko) 차량용 측면 에어백
KR100417383B1 (ko) 승객용 에어백 연결장치
KR100538510B1 (ko) 멀티 스테이지 에어백 시스템
KR20030073752A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0641036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KR100228103B1 (ko) 이중 전개가능한 에어 백
KR100557320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547298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KR100509029B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 보호용 수평 마운팅식 조수석 에어백구조
KR100529495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KR100622425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KR100571471B1 (ko) 자동차의 에어백모듈 및 에어백모듈의 리테이너
KR100503535B1 (ko) 수평 마운팅식 조수석 에어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