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46888B1 -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6888B1
KR100546888B1 KR1020030010991A KR20030010991A KR100546888B1 KR 100546888 B1 KR100546888 B1 KR 100546888B1 KR 1020030010991 A KR1020030010991 A KR 1020030010991A KR 20030010991 A KR20030010991 A KR 20030010991A KR 100546888 B1 KR100546888 B1 KR 10054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ase
refrigerant pipe
roller
tap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5480A (ko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철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철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철사
Priority to KR102003001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8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5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5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8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냉매관을 감아서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인너케이스의 상하측면에 밀착되어 인너케이스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지그(102,104)와; 상기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냉매관을 공급하는 냉매관롤; 상기 냉매관을 인너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롤과; 공급되는 냉매관을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할 때, 상기 냉매관 및 테이프를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가압하기 위한 롤러; 상기 롤러를 프레임(F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가이드(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롤러는, 냉매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단면이 반원형의 압착홈이 원주면에 성형되어 있다.
김치냉장고, 인너케이스, 냉매관, 롤러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어셈블리{Apparatus for making inner casing assembly for Kimchi refrigerator}
도 1은 일반적인 김치냉장고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롤러와 인너케이스 사이의 관계를 보인 부분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측면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인너케이스 110 ..... 롤러
102, 104 ..... 지그 116 ..... 압착홈
120 ..... 테이프롤 122 ..... 테이프
130 ..... 냉매관롤 132 ..... 냉매관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매관이 외측면에 감겨지는 인너케이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인너케이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서, 일반적인 김치냉장고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김치냉장고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상면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4)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에는, 복수개의 저장용기(Ca,Cb)가 수납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저장공간은, 실질적으로는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8)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인너케이스(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되어 있는 용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알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너케이스(8)의 측면에는, 냉매관(12)이 감겨져 있다. 상기 냉매관(12)은, 본체(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 및 응축기, 그리고 모세관을 거치면서 저온저압화된 액상의 냉매가 흐르면서, 상기 인너케이스(8)에 대하여 열교환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냉매관(12)과의 열교환에 의하여, 상기 인너케이스(8)의 내부에는 소정의 저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인너케이스(8)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12)은 통상 접착테이프(14)에 의하여, 인너케이스(8)의 외측면에 감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인너케이스(8)의 외측면에 냉매관(12)을 권취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한 테이프(14)를 접착하는 종래의 과정은, 실질적으로 수작업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김치냉장고용 인너케이스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과정이 수작 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에 일정한 제약이 뒤따를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측면에 냉매관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을 수 있는 인너케이스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제조장치는,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냉매관을 감아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너케이스의 상하측면에 밀착되어 인너케이스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지그와; 상기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냉매관을 공급하는 냉매관롤; 상기 냉매관을 인너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롤과; 공급되는 냉매관을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할 때, 상기 냉매관 및 테이프를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가압하기 위한 롤러; 상기 롤러를 프레임(F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가이드(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냉매관이 권취됨에 따라서 상기 인너케이스를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냉매관이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지그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베이스에 설치되는 직선형의 안내봉,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이동블럭; 그리고 상기 이동블럭을 안내봉을 따라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실린더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는, 냉매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단면이 반원형의 압착홈이 원주면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냉매관이 감겨지고, 이러한 냉매관은 테이프(예를 들면 알미늄테이프)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인너케이스(100)의 상하면에 한쌍의 지그(102,104)가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인너케이스(100)가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지그(102,104)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인너케이스(100)가 회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지그(102,104)가 상하단부에 밀착되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인너케이스(100)는 거의 수평에 가깝게 누운 상태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인너케이스(100)의 측면에는 롤러(110)가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110)는, 냉매관(132) 및 테이프(예를 들면 알미늄테이프)(122)를, 상기 인너케이스(100)의 측면에 밀착시키면서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롤러(110)의 하측면에 접촉하도록 공급되는 상기 냉매관(132) 및 테이프(122)는, 회전하고 있는 상기 인너케이스(100)의 측면에 감기면서 밀착될 것이다.
상기 롤러(110)는 롤러가이드(112)의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가이드(112)는 프레임(Fa)에 대하여, 회전축(114)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롤러가이드(11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롤러(110)는,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되고,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 형상에 따라서 상기 롤러가이드(112)가 회동하면서, 공급되는 테이프(122) 및 냉매관(132)을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롤러가이드(112)를 이용하여 롤러(110)를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가압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롤러가이드(112)를 인너케이스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별도의 탄성기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냉매관(132)은, 냉매관롤(130)에 감겨져 있는 상태에서 풀리면서 공급된다. 그리고 테이프(122)는 냉매관(132)을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테이프롤(120)에 권취되어 있는 상태에서 풀리면서 공급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롤러(110)는, 중심방향을 따른 외측면에 형성된 압착홈(1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착홈(116)은, 냉매관(132)의 단면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홈(116)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있는 냉매관(132)을, 테이프(122)가 외측에서 인너케이스(100)를 향하여 완벽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성형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급되는 냉매관(132)의 외측에 테이프(122)가 붙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롤러(110)가 냉매관(132) 및 테이프(122)를 인너케이스(100)에 밀착시키게 되면, 직경에 의하여 약간 돌출되는 냉매관(132)은 압착홈(116)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이 때 상기 테이프(122)는 롤러(110)의 다른 외측면에 의하여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냉매관(132)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압착홈(116)을 롤러(110)에 형성하여, 냉매관(132)을 테이프(122)와 같이 밀착시킴으로써, 가장 효율적으로 냉매관(132)을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정리하면, 냉매관롤(130)에 감겨져 있는 냉매관(132)과, 테이프롤(120)에 감겨있는 테이프(122)가, 회전하는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접착되면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테이프(122)는, 냉매관(132)을 인너케이스(100)의 측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냉매관(132)을 하부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매관(132)이 테이프(122)에 의하여, 인너케이스(100)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냉매관(132)을 내측에 수용할 수 있는 압착홈(116)이 형성된 롤러(110)가 테이프(122)를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가압하여 압착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122)를 알미늄테이프로 하여, 냉매관을 완전히 감아서 고정한 후에는, 별도의 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냉매관 및 알미늄 테이프(122)가 이탈하지 않도록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감겨지는 상기 냉매관(132)은, 실질적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이렇게 나선형으로 냉매관(132)을 권취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화살표(A) 방향으로 상기 인너케이스(100)가 피딩되어야 한 다. 즉, 최초 냉매관(132) 및 테이프(122)가 인너케이스(100)에 부착되기 시작하여, 냉매관(132)이 나선형으로 권취되기 위해서는 인너케이스(100)의 회전에 의하여 냉매관(132)이 권취되면서, 상기 인너케이스(100)가 화살표(A)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너케이스(100)의 상하측을 지지하고 있는 한쌍의 지그(102,104)는, 프레임(Fb,Fc)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b,Fc)의 하단부는, 베이스(B)에 설치되어 있는 직선상의 안내봉(15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이동블럭(14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b,Fc) 또는 이동블럭(142)은, 실린더(16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하는 피스톤(162)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인너케이스(100)의 회전이 시작되면서, 냉매관(132)이 테이프(122)에 의하여, 상기 인너케이스(100)의 외측면에 권취되기 시작하게 되면, 냉매관(132)의 권취의 진행정도에 따라서 상기 실린더(160)의 피스톤(162)이 동작하게 된다. 실린더(160)의 피스톤(162)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Fb,Fc)이, 안내봉(150)을 따라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실런더(160)는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인너케이스(100)의 이동에 의하여, 외측면에 감겨지는 냉매관(132)은, 나선형으로 감겨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실시예 이외에도, 냉매관이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감겨짐에 따라서 상기 인너케이스(100)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에 대 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롤러 및 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냉매관에 의한 직접 냉각방식을 가지는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에 냉매관을 감아서 고정하는 공정이 현저하게 편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생산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Claims (5)

  1.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냉매관을 감아서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써;
    상기 인너케이스의 상하측면에 밀착되어 인너케이스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지그(102,104)와;
    상기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냉매관을 공급하는 냉매관롤;
    상기 냉매관을 인너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접착되는 테이프를 공급하는 테이프롤과;
    공급되는 냉매관을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할 때, 상기 냉매관 및 테이프를 인너케이스의 외측면에 가압하기 위한 롤러;
    상기 롤러를 프레임(F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가이드(112);
    냉매관이 권취됨에 따라서 상기 인너케이스를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냉매관이 나선형으로 감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지그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Fb,Fc)과,
    베이스(B)에 설치되는 직선형의 안내봉(150),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봉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이동블럭(142); 그리고
    상기 이동블럭을 안내봉을 따라 이동시키는 피스톤을 구비하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케이스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냉매관의 직경에 대응하는 단면이 반원형의 압착홈이 원주면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너케이스 제조장치.
  5. 삭제
KR1020030010991A 2003-02-21 2003-02-21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 어셈블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54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91A KR100546888B1 (ko) 2003-02-21 2003-02-21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991A KR100546888B1 (ko) 2003-02-21 2003-02-21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80A KR20040075480A (ko) 2004-08-30
KR100546888B1 true KR100546888B1 (ko) 2006-01-26

Family

ID=3736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9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6888B1 (ko) 2003-02-21 2003-02-21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8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857B1 (ko) * 2004-08-31 2011-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내부케이스의 증발기파이프 와인딩방법 및내부케이스 고정지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823U (ko) * 1979-09-04 1981-04-15
JPS61249623A (ja) * 1985-04-27 1986-11-06 Mitsubishi Heavy Ind Ltd 巻込鋼管の製造方法
JPH0857547A (ja) * 1994-08-24 1996-03-05 Ykk Kk 金属製長尺形材の曲げ加工方法と曲げ加工機
JPH08323424A (ja) * 1995-05-31 1996-12-10 Nippon Sanso Kk パイプ曲げ器具
KR200240657Y1 (ko) * 2001-04-23 2001-10-12 주식회사 신흥 김치냉장고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동파이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0823U (ko) * 1979-09-04 1981-04-15
JPS61249623A (ja) * 1985-04-27 1986-11-06 Mitsubishi Heavy Ind Ltd 巻込鋼管の製造方法
JPH0857547A (ja) * 1994-08-24 1996-03-05 Ykk Kk 金属製長尺形材の曲げ加工方法と曲げ加工機
JPH08323424A (ja) * 1995-05-31 1996-12-10 Nippon Sanso Kk パイプ曲げ器具
KR200240657Y1 (ko) * 2001-04-23 2001-10-12 주식회사 신흥 김치냉장고의 냉각효율을 높이기 위한 동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5480A (ko) 2004-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8769B2 (en) Film-removing device
KR100546888B1 (ko) 김치냉장고의 인너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냉매관 권취용 롤러 어셈블리
KR20140140046A (ko) 진공 펌핑 장치, 진공유리 제작 시스템, 및 관련 방법
US20070131300A1 (en) Pipe joint insulation, apparatus and method
CN86107563A (zh) 低温薄样切片机
JP4943283B2 (ja) 冷蔵庫の製造方法
CN114864277B (zh) 一种电子变压器生产用线圈卷绕装置
CN208373917U (zh) 内冷管自动拉伸设备
CN215120487U (zh) 圆度矫正机构
CN116380519A (zh) 一种冰冻切片的收片转移系统及收片转移方法
KR200288680Y1 (ko) 김치냉장고용 저장고의 냉각관 부착구조
KR101507217B1 (ko) 연통 이중관의 플랜지 포밍장치
CN220664344U (zh) 一种收卷自动换卷控制柜
CN108620479B (zh) 冷柜箱壳内冷管组装方法
KR101292003B1 (ko) 나노입자를 이용한 다채널 평판형 나노튜브 제작시스템
KR20160056646A (ko) 냉동사이클용 열교환기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20517340U (zh) 一种胶片冷却装置
CN112793199A (zh) 一种空调压花保温管制造加工工艺
CN221088298U (zh) 一种冷却管道的自动切割设备
CN218744032U (zh) 铜管加工用的拉伸装置
KR100295067B1 (ko) 파이프진공봉입장치및진공파이프
CN112850313A (zh) 一种适于鱼竿的自动缠胶带机
CN220448251U (zh) 一种包装袋封口装置
CN218874985U (zh) 一种线切割机导轮调位装置
US20050022662A1 (en) Spring standoff for a reciproc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0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