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544169B1 -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169B1
KR100544169B1 KR1019980054536A KR19980054536A KR100544169B1 KR 100544169 B1 KR100544169 B1 KR 100544169B1 KR 1019980054536 A KR1019980054536 A KR 1019980054536A KR 19980054536 A KR19980054536 A KR 19980054536A KR 100544169 B1 KR100544169 B1 KR 100544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hotosensitive belt
developer
pipe
carr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9258A (ko
Inventor
신중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16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9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1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인쇄기의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에 관하여 개시된다. 개시된 캐리어 제거장치는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액 중의 액상 캐리어를 증발 제거시키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그 내부에는 에어가 유입되어 가열됨으로써 열풍이 발생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열풍을 상기 감광벨트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열풍배출구가 마련된 열풍관과, 상기 열풍관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열풍관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펌프와 상기 열풍관을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액상 캐리어의 증발이 촉진되므로 스퀴즈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Description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본 발명은 습식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액상 캐리어의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인쇄기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을 형성시키고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로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한 뒤 기록지에 전사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인쇄기는 사용하는 토너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크게 대별되는데, 습식인 경우에는 휘발 성분의 액상 캐리어에 토너가 섞여 있는 현상액이 사용된다. 이러한 현상액을 사용하는 습식 인쇄기는 분말 상태의 토너를 이용하는 건식의 경우보다 인쇄 품질이 좋으며, 유해한 토너 분진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그 이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습식 인쇄기는 무한궤도상의 감광벨트(10)와, 상기 감광벨트(10)를 주어진 경로에서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롤러(20)와 백업롤러(30) 및 텐션롤러(40)의 세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감광벨트(10)의 일측부에 인접하여 감광벨트(10)를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주대전기(50)가 마련되고, 감광벨트(10)의 하부에는 화상신호에 따라 감광벨트(10)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LSU(Laser scanning unit, 60)와, 상기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상 캐리어로 된 현상액을 부착시켜 현상하는 현상기(70)가 설치되어 있다. 칼라 프린터인 경우에는 색상의 조합을 위해 다수개의 LSU(60)와 다수의 색상을 가진 현상액을 각각 분리하여 담고 있는 다수개의 현상기(7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현상기(70)에 의해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은 현상기(70) 이후에 마련된 드라이롤러(81)와 히트롤러(82)에 의해 건조되어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에는 토너만 남은 토너상이 형성된다. 즉, 상기 드라이롤러(81)는 상기 현상액 중 액상 케리어를 흡수하고, 상기 히트롤러(82)는 흡수된 액상 캐리어를 가열하여 증발시킨다. 상기 토너상은 감광벨트(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백업 롤러(30)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롤러(91)에 의해 기록지(93)에 전사된다. 상기 기록지(93)는 상기 전사롤러(91)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그와 평행하게 설치된 정착롤러(92)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고, 상기 기록지(93)에 전사된 토너는 상기 정착롤러(92)에 의해 가열, 가압되어 기록지에 정착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캐리어 제거장치가 구비된 현상기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현상기(70)의 내부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상 캐리어로 된 현상액(A)이 담겨져 있고, 그 상부에는 현상액 공급장치(71)에 의해 공급되는 현상액(A)을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시키는 현상롤러(72)와, 상기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A) 중에서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캐리어 제거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기(70) 내에는 상기 현상롤러(72)에 접촉되며, 그 현상롤러(72)에 부착된 현상액(A)을 크리닝해주기 위한 크리닝롤러(8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제거장치는 상기 감광벨트(10)에 접촉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퀴즈롤러(Squeeze roller, 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퀴즈롤러(73)는 도시되지 않은 소정의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0)에 밀착되며, 그 마찰력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0)의 주행방향으로 피동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A) 중에서 액상 캐리어를 짜내어 분리하고, 상기 감광벨트(10)에는 얇은 현상액막(B)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액상 캐리어는 상기 스퀴즈롤러(73)를 타고 흘러내리다가 블레이드(74)에 의해 제거되어 현상기(70) 내부에 회수 저장된다.
이때, 상기 스퀴즈롤러(73)에 의해 제거되는 액상 캐리어 중에 일부는 상기 스퀴즈롤러(73)의 양단부를 돌아 넘어가는 랩-어라운드(Wrap-around)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75)이 상기 스퀴즈롤러(73)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분사노즐(75)은 에어 공급관(76)을 통해 펌프(77)와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면부호 78과 79 각각은 상기 감광벨트(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퀴즈롤러(73) 및 상기 현상롤러(72)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스퀴즈백업롤러 및 현상백업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퀴즈롤러(73)에 의한 현상액 중 액상 캐리어의 제거 효율(이하 스퀴즈 효율이라고 한다)은 화상의 품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즉, 스퀴즈 효율이 낮으면 상기 드라이롤러(도 1의 81)가 쉽게 포화되므로 현상액막(B)의 건조가 미흡하게 되어 화상의 품질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은 스퀴즈 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로는 상기 감광벨트(10)에 가해지는 가압력과 현상액의 온도 등이 있다. 특히, 온도는 스퀴즈 효율과 거의 비례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인쇄기가 온도가 낮은 환경하에서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스퀴즈롤러(73)에 의한 스퀴즈 효율이 떨어져 정상적인 화상을 형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퀴즈롤러(73)의 감광벨트(10)에 대한 가압력 증가만으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스퀴즈 효율을 얻기가 힘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스퀴즈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현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열풍공급장치가 구비된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는: 습식 인쇄기의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감광벨트의 저면과 접촉하여 회전 가능도록 설치되어 현상롤러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현상액 중의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는 스퀴즈롤러와,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액 중의 액상 캐리어를 증발 제거시키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그 내부에는 에어가 유입되어 가열됨으로써 열풍이 발생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열풍을 상기 감광벨트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열풍배출구가 마련된 열풍관; 상기 열풍관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 상기 열풍관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상기 열풍관을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풍관은 상기 스퀴즈롤러 이후 및 상기 현상롤러 이전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관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열풍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항발열체로 된 코일 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열풍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액상 캐리어의 증발이 촉진되므로 스퀴즈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제거장치가 구비된 현상기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풍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습식 인쇄기의 현상기(170)의 내부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토너와 액상 캐리어로 된 현상액(A)이 담겨져 있고, 그 상부에는 현상액 공급장치(171)에 의해 공급되는 현상액(A)을 감광벨트(10)의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시키는 현상롤러(172)와, 상기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A) 중에서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캐리어 제거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기(170) 내에는 상기 현상롤러(172)에 접촉되며, 그 현상롤러(172)에 부착된 현상액(A)을 크리닝해주기 위한 크리닝롤러(18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제거장치는 상기 감광벨트(10)에 접촉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퀴즈롤러(173)와,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액 중의 액상 캐리어를 증발 제거시키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퀴즈롤러(173)는 도시되지 않은 소정의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0)에 밀착되며, 그 마찰력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0)의 주행방향으로 피동회전하면서 상기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A) 중에서 액상 캐리어를 짜내어 분리하고, 상기 감광벨트(10)에는 얇은 현상액막(B)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액상 캐리어는 상기 스퀴즈롤러(173)를 타고 흘러내리다가 블레이드(174)에 의해 제거되어 현상기(170) 내부에 회수 저장된다. 여기에서, 도면부호 178과 179 각각은 상기 감광벨트(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퀴즈롤러(173) 및 상기 현상롤러(172)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스퀴즈백업롤러 및 현상백업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본 발명의 특징부로서, 열풍관(181)과 가열수단과 펌프(177)와 에어 공급관(176)을 구비한다.
상기 열풍관(181)은 상기 스퀴즈롤러(173) 이후에 설치되며, 브라켓(18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열풍관(181)은 상기 감광벨트(10)의 저면과 소정 간격을 갖고 상기 스퀴즈롤러(173)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열풍관(181)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관으로 되어 있으며, 그 일측단부에는 후술하는 에어 공급관(176)과 연결되는 에어 유입구(182)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열풍관(18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상호 소정 간격을 갖는 다수의 열풍 배출구(183)가 마련된다.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열풍관(181)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으로는 상기 열풍관(181) 내부에 설치되는 저항발열체로 된 코일 히터(185)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일 히터(185)의 양단부는 히터 전원(186)과 연결된다.
상기 펌프(177)는 상기 열풍관(181)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에어 공급관(176)은 상기 펌프(177)로부터 상기 열풍관(181) 내부로 에어가 공급되는 통로로서 상기 펌프(177)와 상기 열풍관(181)의 에어 공급구(182)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스퀴즈롤러(173)에 의해 제거되는 액상 캐리어 중에 일부는 상기 스퀴즈롤러(173)의 양단부를 돌아 넘어가는 랩-어라운드(Wrap-around) 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175)이 상기 스퀴즈롤러(173)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에어분사노즐(175)에 에어를 공급할 펌프와 에어 공급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펌프(177)와 상기 에어 공급관(176)은 상기 열풍관(181) 및 상기 에어분사노즐(175)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공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펌프(177)로부터 상기 에어 공급관(176)과 상기 에어 유입구(182)를 통해 상기 열풍관(181) 내부로 에어가 유입된다. 유입된 에어는 상기 코일 히터(185)에 의해 가열되어 열풍을 발생시키고, 상기 열풍은 상기 열풍 배출구(183)를 통해 감광벨트(10)를 향하여 배출된다. 감광벨트(10)에 도달된 열풍은 감광벨트(10)에 부착된 현상액막(B)를 가열하여 액상 캐리어를 증발 제거시킨다. 따라서, 스퀴즈 효율이 종래보다 대략 2배 정도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화상의 품질이 향상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열풍관(181)을 상기 현상롤러(172) 이전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상기 열풍관(181)으로부터 배출되는 열풍은 상기 감광벨트(10)를 가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현상롤러(172)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10)에 부착되는 현상액(A)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상기 현상액(A) 중의 액상 캐리어의 증발이 촉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습식 인쇄기용 캐리어 제거장치는 감광벨트 내지 이에 부착된 현상액을 가열하기 위해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다. 따라서, 현상액의 온도가 상승하여 액상 캐리어의 증발이 촉진됨으로써 스퀴즈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온도가 낮은 환경하에서 인쇄동작이 수행되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스퀴즈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되므로 화상의 품질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인쇄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캐리어 제거장치가 구비된 현상기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제거장치가 구비된 현상기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열풍공급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감광벨트 70,170...현상기
71,171...현상액 공급장치 72,172...현상롤러
73,173...스퀴즈롤러 74,174...블레이드
75,175...에어분사노즐 76,176...에어 공급관
77,177...펌프 80,180...크리닝롤러
181...열풍관 182...에어 유입구
183...열풍 배출구 184...브라켓
185...코일 히터 186...히터 전원

Claims (6)

  1. 습식 인쇄기의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 중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벨트의 저면과 접촉하여 회전 가능도록 설치되어 현상롤러에 의해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현상액 중의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는 스퀴즈롤러; 및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감광벨트에 부착된 현상액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액 중의 액상 캐리어를 증발 제거시키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그 내부에는 에어가 유입되어 가열됨으로써 열풍이 발생되며, 그 일측에는 상기 열풍을 상기 감광벨트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열풍배출구가 마련된 열풍관;
    상기 열풍관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를 가열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열수단;
    상기 열풍관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펌프; 및
    상기 펌프와 상기 열풍관을 연결하는 에어 공급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은 상기 스퀴즈롤러 이후 및 상기 현상롤러 이전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관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동관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열풍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저항발열체로 된 코일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제거장치는 상기 스퀴즈롤러 양단부를 돌아 넘어가는 액상 캐리어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분사노즐을 더 구비하고, 상기 펌프와 상기 에어 공급관은 상기 에어분사노즐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KR1019980054536A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44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36A KR100544169B1 (ko)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536A KR100544169B1 (ko)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58A KR20000039258A (ko) 2000-07-05
KR100544169B1 true KR100544169B1 (ko) 2006-07-25

Family

ID=1956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5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4169B1 (ko) 1998-12-11 1998-12-11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1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9258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792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544169B1 (ko) 습식 인쇄기의 캐리어 제거장치
KR10023432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US6618568B2 (en) Image fusing unit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KR10057190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현상액 스퀴즈장치
US617830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nk solidifying method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30330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304632B1 (ko) 습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JPS6341878A (ja) 連続用紙乾燥装置を備えた電子写真式印字機
KR100343177B1 (ko) 습식인쇄기용캐리어건조장치
KR100230328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US5995798A (en) Fixing device equipped in image forming device
KR100261113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2383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200147793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30324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26110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43156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캐리어건조장치
KR100261088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장치의건조유니트
KR1003466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유닛
KR100538206B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261102B1 (ko) 습식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장치
KR10038598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감광벨트 크리닝장치
KR20020018905A (ko) 습식인쇄기용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체 캐리어건조방법
KR19990004966U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11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2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