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0492545B1 -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 Google Patents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545B1
KR100492545B1 KR10-2000-0055221A KR20000055221A KR100492545B1 KR 100492545 B1 KR100492545 B1 KR 100492545B1 KR 20000055221 A KR20000055221 A KR 20000055221A KR 100492545 B1 KR100492545 B1 KR 100492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m cell
atm
processor
information
rou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438A (ko
Inventor
김선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5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2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5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30Peripheral units, e.g. input or output ports
    • H04L49/3081ATM peripheral units, e.g. policing, insertion or extr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9Network Node Interface, e.g. tandem connections, transit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8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입력되는 ATM 셀에 대해 가상경로(VP)/가상채널(VC)을 판단하기 위한 테이블을 구비하고 ATM 셀의 헤더 부분에 가상경로/가상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가상경로/가상채널 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신을 원하는 프로세서를 판단하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가상 채널(VC) 및 가상 경로(VP) 값을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셀버스로부터 수신된 ATM 셀에 포함된 VP/VC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태그신호를 출력하는 VP/VC 테이블(312)과, 각각의 프로세서(316∼318)의 전단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완충시키는 선입선출 메모리(FIFO)(313∼315)와, 셀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ATM 셀에서 VP/VC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VP/VC 테이블(312)에 전송하고 그 VP/VC 테이블(312)에서 비교 결과에 따른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프로세서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의해 ATM 셀을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313∼315) 중 해당 메모리에 저장하는 라우터(31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DATA TRANSFER PATH DECISION APPARATUS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55Mbps의 STM-1(Synchronous Transport Module level-1) Link를 사용하는 비동기 전송 방식(ATM ; Asynchronous Transfer Mode) 시스템에서 하나의 보드 내에 여러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 가상 경로(VP ; Virtual Path)/가상 채널(VC ; Virtual Channel)을 이용하여 원하는 프로세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1은 종래의 ATM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버스(100)에 마스터 보드(110)와 복수의 슬래브 보드(1201∼1220)를 병렬 연결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마스터 보드(110)는 MCC(111)와, 프로세서(113)가 연결된 NCC(11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슬래부 보드(1201∼1220)는 NCC(121)와, 그 NCC(121)에 병렬 접속된 복수의 프로세서(122∼1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은 종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표준인 53바이트의 ATM 셀이 들어오면 마스터 카드(110)의 MCC(Master Cell Converter) 블럭(111)에서 SLOT의 정보를 나타내는 슬롯 인식명(SLOT_ID)와 프로세서의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세서 인식명(PROC_ID) 등의 정보를 가진 3바이트의 헤더를 추가하여 56바이트로 만들게 된다.
이 후, MCC(111)가 도2와 같은 포맷으로 변환된 ATM 셀을 셀 버스로 전송하면 각각의 슬래브 카드(1201∼1220)는 NCC(Node Cell Converter) 블럭(121)에서 3바이트의 정보를 점검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ATM 셀인지 판단하고 자신에게 전송되는 ATM 셀로 판단하면 프로세서(122∼124)중 어느 프로세서로 전송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종래 기술은 NCC 블럭(112 또는 121)에서 MCC 블럭(111)에서 추가되는 3바이트의 정보를 이용하여 원하는 프로세서로 표준화된 ATM 셀을 전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56바이트의 셀 포맷은 도2의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화된 53바이트의 ATM 셀에는 없는 3바이트의 정보를 추가하는 것으로, 슬롯 인식명(SLOT_ID)를 나타내는 SID와 Multi-Processor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세서의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세서 인식명(PROC_ID)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도2의 포맷에서 GFC는 Generic Flow Control, CLP는 Cell Loss Priority, PT는 Payload Type, HEC는 Header Error Control, VPI는 Virtual Path Identifier, VCI는 Virtual Channel Identifier를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에는 여러 표준화된 ATM 부품이나 장비를 사용할 경우 도2와 같은 ATM 셀 포맷을 지원하지 않는 부품이 있어 도2와 같은 ATM 셀 포맷을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 3바이트를 추가하여 56바이트의 ATM 셀 구조는 표준 방식이 아니므로 ATM과 물리계층간의 인터페이스인 UTOPA(Universal Operations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ATM)를 실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 입력되는 ATM 셀에 대해 가상경로(VP)/가상채널(VC)을 판단하기 위한 테이블을 구비하고 ATM 셀의 헤더 부분에 가상경로/가상채널 정보를 삽입하여 전송함으로써 가상경로/가상채널 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신을 원하는 프로세서를 판별하도록 창안한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TM 버스에 마스터 카드 및 복수의 프로세서를 각기 구비한 복수의 슬래브 카드를 병렬로 연결함에 있어서, 가상 채널(VC) 및 가상 경로(VP)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VP/VC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태그신호를 출력하는 VP/VC 테이블과, 복수의 프로세서의 전단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선입선출 메모리(FIFO)와, ATM 셀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ATM 셀로부터 추출한 VP/VC 정보를 상기 VP/VC 테이블에 전송하고 그 VP/VC 테이블에서 비교결과에 따른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중 통신하고자 하는 프로세서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의해 ATM 셀을 상기 복수의 선입선출 메모리중 상기에서 결정된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는 해당 메모리로 저장하는 라우터(ACR ; ATM Cell Router)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우터는 ATM 셀 버스로 전송된 ATM 셀에서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분리하는 래치와, 상기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VP/VC 테이블로 전송하고 그 VP/VC 테이블에서의 비교 결과를 수신하는 테이블 인터페이스부와, 이 테이블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비교 결과에 의해 상기 래치에서의 ATM 셀을 해당 프로세서에 연결된 선입선출 메모리로 전송하는 디멀티플렉서(DEMUX)와, 임의의 프로세서에서 헤더 정보가 부가된 ATM 셀이 전송되면 ATM 셀 버스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MUX)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한 슬래브 카드의 블럭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채널(VC) 및 가상 경로(VP)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는 VP/VC 테이블(312)과, 각각의 프로세서(316∼318)의 전단에 연결되는 선입선출 메모리(FIFO)(313∼315)와, 셀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ATM 셀을 수신하여 VP/VC 정보를 상기 VP/VC 테이블(312)에서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의 태그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고자 하는 프로세서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의해 ATM 셀을 상기 선입선출 메모리(313∼315)중 해당 메모리로 저장하는 라우터(311)로 구성한다.
상기 라우터(311)는 ACR(ATM Cell Router)로서 도4의 블럭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셀을 래치하여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분리하는 래치(411)와, 상기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VP/VC 테이블(312)로 전송하고 그 때의 비교 결과를 수신하는 테이블 인터페이스부(412)와, 이 테이블 인터페이스부(412)에서 수신한 비교 결과에 의해 상기 래치(411)에서의 ATM 셀을 해당 프로세서측으로 전송하는 디멀티플렉서(413)와, 프로세서(316∼318)중 임의의 프로세서로부터 ATM 셀에 헤더 정보를 삽입하면 그중 하나를 선택하여 ATM 버스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414)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SVC(Switched Virtual Circuit ; 상대선택접속)(VC ; Virtual Channel, 가상채널)를 사용하여 ATM 버스로의 ATM 셀의 전송시 ATM 셀에 헤더 정보를 삽입함과 아울러 VP/VC 테이블(312)의 내용을 갱신하도록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PVC(Permanent Virtual Circuit ; 상대고정접속)를 사용하는 경우 마스터 카드 또는 슬래브 카드에 구비되는 각 프로세서에도 가상 경로/가상 채널(VP/VC)을 할당함으로써 마스터 카드에서는 통신하고자 하는 프로세서의 가상 경로/가상 채널(VP/VC) 값을 ATM 셀의 헤더 부분에 삽입시킨 후 도5의 예시도와 같은 포맷의 53바이트의 ATM 셀을 STM-1 Link를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STM-1 Link를 통하여 전송되는 ATM 셀의 포맷은 도5의 예시도와 같이, 3바이트의 VPI(Virtual Channel Identifier, 가상채널 식별자), VCI(Virtual Channel Identifier, 가상 채널 식별자)와 처음과 끝을 가르키는 PT(Payload Type)와, 이 ATM 셀의 에러를 알려주는 HEC(Header Error Control)가 포함된다.
이때, 각 슬래브 카드에서는 라우터(311)가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분리하여 VP/VC 테이블(312)에서 비교하게 되며 상기 VP/VC 테이블(312)에서의 비교 결과 라우팅 태그(TAG) 값으로 변환되면 라우터(311)는 이를 분석하여 프로세서(313∼315)중 어느 프로세서로 전송될 ATM 셀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라우터(311)는 상기 판단 결과에 의해 ATM 셀을 선입선출 메모리(316∼318)중 해당 선입선출메모리로 전송함으로써 상기에서 판단된 해당 프로세서로 상기 ATM 셀을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라우터(311)는 도4의 블럭도와 같이 구성되므로 마스터 카드로부터 셀 버스로 53바이트의 ATM 셀이 실리면 래치(411)가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분리하여 테이블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VP/VC 테이블(312)로 전송함과 동시에 그 53바이트의 ATM 셀을 디멀티플렉서(413)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VP/VC 테이블(312)에서는 래치(411)에서 분리된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면 그 비교 결과 라우팅 태그(TAG) 값에 의해 디멀티플렉서(413)가 프로세서(313∼315)중 해당 프로세서로 53바이트의 ATM 셀을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VP/VC 테이블(312)의 구조는 도6의 예시도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VP/VC값이 '00/20'의 데이터가 들어오는 경우를 예를 들면 VP/VC 테이블(312)의 내용과 래치(411)에서 분리된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비교하였을 때 라우팅 태그(TAG)의 값이 '00/00'으로 출력되며 이 '00/00'값이 라우터(311)로 입력되면 디멀티플렉서(413)가 0번 프로세서 예로, 프로세서(316)라 가정하는 경우 그 프로세서(316)과 통신할 수 있도록 디멀티플렉싱 동작을 수행하여 선입선출 메모리(313)에 상기 래치(411)에서의 53바이트의 ATM 셀을 저장하게 된다.
만일, 상기에서 VP/VC 테이블(312)에서 비교 결과 태그 신호가 없으면 라우터(311)는 자신에게 전송되는 데이터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또한, SVC(Switched Virtual Circuit ; 상대선택접속)(VC ; Virtual Channel, 가상채널)를 사용하는 경우 PVC 방식과 사용 방법은 같으나 헤더에 정보를 삽입시켜 보냄과 동시에 Signalling Signal을 통하여 VP/VC 테이블(312)의 내용을 업데이트시켜 나간다.
즉, SVC를 사용하는 경우 프로세서(316∼318)중 임의의 프로세서가 ATM 셀에 헤더 정보를 삽입하여 선입선출 메모리(313∼315)중 자신에게 연결된 선입선출 메모리에 저장하면 라우터(311)는 VP/VC 테이블(312)에서 저장 내용을 갱신함과 아울러 멀티플렉서(414)가 해당 프로세서에서의 ATM 셀을 선택하여 ATM 버스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준 ATM 셀로부터 VP/VC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저장된 테이블에서 비교함에 의해 통신을 원하는 프로세서를 판별하도록 함으로써 비표준화된 ATM 셀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의 설계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향후 IS-95C, IMT-2000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ATM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종래의 ATM 셀 포맷을 보인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슬래브 카드의 구성도.
도4는 도3에서 라우터의 블럭도.
도5는 표준 ATM 셀의 포맷을 보인 예시도.
도6은 도3에서 VP/VC 테이블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311 : 라우터(Router) 312 : VP/VC 테이블
313∼315 : 선입선출 메모리(FIFO) 316∼318 : 프로세서

Claims (2)

  1. ATM 버스에 마스터 카드 및 복수의 프로세서를 각기 구비한 복수의 슬래브 카드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한 ATM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 채널(VC) 및 가상 경로(VP)를 테이블화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VP/VC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태그신호를 출력하는 VP/VC 테이블과,
    복수의 프로세서의 전단에 각기 연결되는 복수의 선입선출 메모리(FIFO)와,
    ATM 셀 버스로부터 전송되는 ATM 셀로부터 추출한 VP/VC 정보를 상기 VP/VC 테이블에 전송하고 그 VP/VC 테이블에서 비교결과에 따른 태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복수의 프로세서중 통신하고자 하는 프로세서를 결정하며 그 결정에 의해 ATM 셀을 상기 복수의 선입선출 메모리중 상기에서 결정된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는 해당 메모리로 저장하는 라우터(ACR ; ATM Cell Router)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라우터는 ATM 셀 버스로 전송된 ATM 셀에서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분리하는 래치와, 상기 4바이트의 헤더 정보를 VP/VC 테이블로 전송하고 그 VP/VC 테이블에서의 비교 결과를 수신하는 테이블 인터페이스부와, 이 테이블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비교 결과에 의해 상기 래치에서의 ATM 셀을 해당 프로세서에 연결된 선입선출 메모리로 전송하는 디멀티플렉서(DEMUX)와, 임의의 프로세서에서 헤더 정보가 부가된 ATM 셀이 전송되면 ATM 셀 버스로 전송하는 멀티플렉서(MUX)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KR10-2000-0055221A 2000-09-20 2000-09-20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92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21A KR100492545B1 (ko) 2000-09-20 2000-09-20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221A KR100492545B1 (ko) 2000-09-20 2000-09-20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438A KR20020022438A (ko) 2002-03-27
KR100492545B1 true KR100492545B1 (ko) 2005-06-02

Family

ID=1968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221A Expired - Fee Related KR100492545B1 (ko) 2000-09-20 2000-09-20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5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541B1 (ko) * 2001-11-12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따른 메시지 처리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252A (ja) * 1995-02-23 1996-09-13 Fujitsu Ltd Atmセル処理装置
KR970072818A (ko) * 1996-04-10 1997-11-07 김광호 비동기통신모드 셀 분배장치
JPH11191779A (ja) * 1997-12-25 1999-07-13 Toshiba Corp Atmスイッチ
KR20000075224A (ko) * 1999-05-31 2000-12-15 윤종용 비동기전송모드 셀 라우팅 방법
KR20010028611A (ko) * 1999-09-22 2001-04-06 김진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로 구성된 레이블 스위치 라우터
KR20020017247A (ko) * 2000-08-29 2002-03-07 구자홍 에이티엠 셀 버스 스위칭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7252A (ja) * 1995-02-23 1996-09-13 Fujitsu Ltd Atmセル処理装置
KR970072818A (ko) * 1996-04-10 1997-11-07 김광호 비동기통신모드 셀 분배장치
KR0164833B1 (ko) * 1996-04-10 1999-02-01 김광호 비동기통신모드 셀 분배장치
JPH11191779A (ja) * 1997-12-25 1999-07-13 Toshiba Corp Atmスイッチ
KR20000075224A (ko) * 1999-05-31 2000-12-15 윤종용 비동기전송모드 셀 라우팅 방법
KR20010028611A (ko) * 1999-09-22 2001-04-06 김진찬 비동기 전송 모드 교환기로 구성된 레이블 스위치 라우터
KR20020017247A (ko) * 2000-08-29 2002-03-07 구자홍 에이티엠 셀 버스 스위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438A (ko)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8067A (en) Converting between an internal cell and multiple standard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s
CA2020244C (en) Packet switch network for communication using packet having virtual connection identifier vci
US5303236A (en) Signalling apparatus for use in an ATM switching system
JP2000041051A (ja) Aal受信回路と無線基地局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atmセルのaal処理方法
US6829248B1 (en) Integrated switching segmentation and reassembly (SAR) device
US20010030966A1 (en) ATM cell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of ATM switching system
KR100492545B1 (ko) Atm 시스템의 데이터 전송 경로 판별 장치
US6795396B1 (en) ATM buffer system
US5987007A (en) Manipulation of header field in ATM cell
KR100317124B1 (ko) 에이티엠-피오엔 시스템의 광망유니트 기능 처리장치
JP2002506587A (ja) Atmノードにおける信号メッセージの処理
KR100372519B1 (ko) 복합 비동기 전송 모드 가입자 정합 장치
US6643285B1 (en) Message based packet switch based on a common, generic bus medium for transport
JPH1174892A (ja) セル交換機
KR100377800B1 (ko) 셀 버스 상에서 유토피아 레벨1과 유토피아 레벨2 정합 방법
US6389020B1 (en) Customer premise network equipment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based on single ring configuration
JPH11261568A (ja) Atm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被制御パッケージ並びにそのパッケージ間通信方法
WO1997004566A1 (en) Converting between an internal cell and multiple standard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s
KR19980036815A (ko) Atm 접속카드의 atm 망 접속을 위한 셀 다중화 장치
KR100215568B1 (ko) Atm 셀 역 다중화장치
KR100480042B1 (ko) Atm 교환시스템의 atm셀 수신장치
KR100233943B1 (ko) 실시간 데이타용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비동기 전송모드(atm)셀 처리 장치
KR970002748B1 (ko) 에이티엠(atm) 교환기의 내부셀 생성장치
KR100372876B1 (ko) 에스티엠-4씨급 가입자 정합 장치 및 방법
KR100195057B1 (ko) 에이티엠 네트워크 시스템의 유지보수 셀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9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40409